KR20150062333A -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333A
KR20150062333A KR1020130146875A KR20130146875A KR20150062333A KR 20150062333 A KR20150062333 A KR 20150062333A KR 1020130146875 A KR1020130146875 A KR 1020130146875A KR 20130146875 A KR20130146875 A KR 20130146875A KR 20150062333 A KR20150062333 A KR 20150062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eather
basic data
precipitatio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025B1 (ko
Inventor
명광민
전재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0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2001/006Main server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several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 장치는 기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기상정보와, 강수형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그 기온 정보 및 강수형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결정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주기로 전송되는 관측, 분석, 예보 정보들을 활용하여 하늘 상태에 대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실제와 가깝게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EATHER SERVICE INFORMATION}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주기로 전송되는 관측, 분석, 예보 정보들을 활용하여 하늘 상태에 대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때 기온 및 강수 형태에 따라 기상 정보의 요소와 종류를 선택하고 그 기상 정보의 요소와 종류를 이용하여 실제와 가장 가까운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상은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예로부터 이러한 기상 상태를 미리 관측하고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 및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고 현재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국가에서 일정 지역마다 기상 관측소를 두어 기상을 관측하고, 관측 정보들을 수집 및 분석하여 일정 지역별로 기상을 예보하였지만, 최근에는 기상 관측 장비들이 발전하고 날씨를 관련으로 한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자체 관측 장비를 갖추어 날씨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민간업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민간업체들은 자체적으로 측정한 관측 정보 외에도 기상청이나 다른 업체에서 측정 및 분석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기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때, 기상청이나 다른 업체로부터 또는 자체 관측 장비로부터 서로 다른 주기로 관측 정보들이 수신되면 긴 주기의 관측 정보를 기준으로 기상 서비스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지구의 온난화 등으로 인하여 기상이변 및 가까운 지역에서도 서로 다른 날씨를 보이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0-0106174호는 이와 같이 국지적으로 변하는 기상 정보를 좀 더 정확히 제공하기 위해 학교 및 공공 기관의 기반시설을 이용하여 국지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짧은 시간 동안에 날씨가 급변하는 최근의 기상 상황에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기상 정보를 확인하고 약속이나 여행 계획 등을 세우는 일반 사용자나 날씨 정보 등을 회사의 마케팅 등에 활용하는 회사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기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서로 다른 주기로 전송되는 관측, 분석, 예보 정보들을 활용하여 하늘 상태와 같은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종 기상 정보를 기온 및 강수 형태에 따라 기상 정보의 요소와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상 정보의 요소와 종류를 이용하여 실제와 가장 가까운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는 기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기상정보와, 강수형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기상정보 수집부, 기온 정보 및 강수형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결정하는 기초 자료 결정부 및 결정된 기초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정보 수집부는 제1 기상정보를 제1 주기로 수집하고, 제2 기상정보를 제1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2 주기로 수집할 수 있다.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는 기상 서비스 정보를 제1 주기 단위로 생성할 수 있다.
기상정보 수집부는 제1 기상정보를 이동통신 기지국에 설치된 자동기상관측장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상정보는 강수량 정보를 더 포함하고, 기초 자료 결정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에 더 기초하여 강수량 정보와 강수형태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기초 자료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강수형태는 "없음", "비", "비/눈" 및 "눈" 중의 어느 하나이고, 기초 자료 결정부는 기온이 "0"도를 초과하고, 강수형태가 "없음" 또는 "비"이면, 강수량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초 자료 결정부는 기온이 "0"도 이하이거나, 강수형태가 "비/눈" 또는 "눈"이면, 강수형태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상정보는 하늘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고,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는 기초 자료로 결정된 강수량 정보 또는 강수형태 정보와, 하늘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상정보는 낙뢰 정보를 더 포함하고, 기초 서비스 정보 생성부는 기초 자료로 결정된 강수량 정보 또는 강수형태 정보와, 하늘상태 정보 및 낙뢰 정보 중에서 둘 이상을 조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하늘상태 정보는 "맑음", "구름조금", "구름많음" 및 "흐림"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방법은 기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강수형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기온 정보 및 강수형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기초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제1 기상 정보를 제1 주기로 수집하고, 제2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제2 기상정보를 제1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2 주기로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상정보는 강수량 정보를 더 포함하고, 기초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기준 정보에 더 기초하여 강수량 정보와 강수형태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기초 자료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상정보는 하늘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고,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초 자료로 결정된 강수량 정보 또는 강수형태 정보와, 하늘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상정보는 낙뢰 정보를 더 포함하고,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초 자료로 결정된 강수량 정보 또는 강수형태 정보와, 하늘상태 정보 및 낙뢰 정보 중에서 둘 이상을 조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주기로 전송되는 관측, 분석, 예보 정보들을 활용하여 하늘 상태와 같은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종 기상 정보를 기온 및 강수 형태에 따라 기상 정보의 요소와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상 정보의 요소와 종류를 이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서비스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늘상태 기준 정보의 예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상 서비스 정보 중에서 하늘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서비스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기상 서비스 생성 방법 중 기초 자료 결정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강수량 및 강수형태 중에서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서비스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상 서비스 생성 시스템(1)은 기상 상태를 측정하는 관측소(110,120)와,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300)들로 이루어진다.
관측소(110,120)는 기상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측정된 기상정보 또는 측정 결과들을 분석 및 예측하여 분석 실황이나 예보 정보를 기상정보로서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측소(110)는 제1 기상정보를 제1 주기로 전송하고, 관측소(120)는 제2 기상정보를 제1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2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상정보를 전송하는 관측소(110)는 이동통신 기지국일 수 있으며, 제2 기상정보를 전송하는 관측소(120)는 기상청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제1 기상정보를 전송하는 관측소(110)와 제2 기상정보를 전송하는 관측소(120)는 각각 이동통신 기지국과 기상청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자체적으로 기상관측장비를 구비하여 기상 상태를 측정하거나, 타 시스템에서 측정된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분석/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모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관측소(110)와 관측소(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주기로 기상정보를 전송하는 하나의 관측소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기지국(110)은 내부에 자동기상관측장비(Automatic Weather Station, AWS)를 구비하고, 자동기상관측장비를 통해 측정된 기온 정보, 강수량 정보, 낙뢰 정보 등의 제1 기상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기지국(110)은 기온정보, 강수량 정보 및 낙뢰 정보 등의 제1 기상정보를 실시간, 예컨대 1분 주기로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온 정보는 현재기온, 오늘의 최고기온, 오늘의 최저기온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수량 정보는 10분 이동누적 강우량, 15분 이동누적 강우량, 30분 이동누적 강우량, 1시간 이동 누적 강우량, 6시간 이동누적 강우량, 12시간 이동누적 강우량, 24시간 이동누적 강우량, 1시간 누적 강우량 및 일 누적 강우량 등의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상청(120)은 자체 관측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상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또한, 측정된 기상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1 시간 주기의 초단기 예보 정보나 분석 실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는 기상청(120)으로부터 제2 주기 예컨대, 1 시간 주기로 초단기 예보 또는 분석 실황 등의 제2 기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기상정보는 하늘상태 정보 및 강수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늘상태 정보는 "맑음", "구름조금", "구름많음" 및 "흐림"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강수형태 정보는 "없음", "비", "비/눈" 및 "눈"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는 제1 기상정보 및 제2 기상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관측 정보들을 활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들을 생성한다.
또한,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는 기상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면 사용자의 단말(300), 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의 모바일 단말이나, 노트북, 데스크탑 PC, 서버 등의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는 사용자의 단말(300)에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식,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웹(Web),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등의 방식으로 연동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3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애플리케이션은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에 접속하여 필요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며, 다양한 시각적인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300)이나 PC(300) 등에서 웹을 통하여 기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상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휴 기업의 시스템(30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하여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와 연동하고 필요한 기상 서비스 정보를 방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늘상태 기준 정보의 예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상 서비스 정보 중에서 하늘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상 서비스 생성 장치(200)는 기상정보 수집부(210), 기초 자료 결정부(220),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230), 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240) 및 기준정보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정보 수집부(210)는 제1 기상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제1 기상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기지국에 구비된 자동기상관측장비를 통해 측정된 기온 정보, 강수량 정보 및 낙뢰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상정보 수집부(210)는 제2 기상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제2 기상정보는 예를 들어 기상청에서 1시간 주기로 업데이트 되는 초단기 예보 또는 분석 실황의 하늘 상태 정보 및 강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상정보 수집부(210)는 제1 기상정보와 제2 기상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1 기상정보와 제2 기상정보를 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기상정보 수집부(210)는 제1 기상정보와 제2 기상정보를 각각 제1 주기와 제2 주기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주기가 제1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시간 간격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주기는 실시간 또는 1분 단위일 수 있으며, 제2 주기는 1 시간 단위의 시간 간격일 수 있다.
기초 자료 결정부(220)는 제1 기상정보와 제2 기상정보가 수집되면, 기상 정보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수집된 기상 정보를 확인하고, 기상 서비스 정보(예: 하늘 상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결정한다.
이때, 기초 자료 결정부(220)는 수집된 제1 기상정보에 강수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제2 기상정보에 강수형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준정보데이터베이스(250)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기준 정보에 따라 강수량 정보와 강수형태 정보 중에서 어느 자료를 기초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지 그 기초자료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기초 자료 결정을 위한 기준 정보는 기온과 강수형태를 기초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정보는 수집된 기온이 기온 기준(예: 0도)을 초과하고, 강수형태가 "없음" 또는 "비"이면 제1 기상정보의 강수량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하고, 수집된 기온이 기온 기준을 초과하더라도 강수형태가 "비/눈" 또는 "눈"이거나, 수집된 기온이 기온 기준 이하인 경우 제2 기상정보의 강수형태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초 자료 결정부(220)는 제1 기상정보에 낙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낙뢰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초 자료 결정부(220)는 제2 기상정보에 하늘 상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하늘 상태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할 수 있다.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230)는 기초 자료가 결정되면 기준정보데이터베이스(250)에서 필요한 기준 정보를 확인하고, 그 기준 정보에 따라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기준정보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하늘 상태 기준 정보로서, 예시된 바와 같이 하늘 상태 코드 정보는 하늘 상태 코드, 코드명과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230)는 제1 기상정보의 강수량 정보와 제2 기상정보의 강수형태 정보 중에서 결정된 어느 하나의 기초 자료와, 제2 기준정보의 하늘 상태를 조합하고, 그 결과에 따라 기준정보데이터베이스(250)의 하늘 상태 기준 정보에서 하늘 상태의 코드와 코드명을 검색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집된 기온이 0도를 초과하고 강수형태가 "없음" 또는 "비"이면 강수량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하고, 수집된 기온이 0도를 초과하더라도 강수형태가 "비/눈" 또는 "눈"이거나, 수집된 기온이 0도 이하인 경우 강수형태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하도록 미리 기준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는 기상 서비스 정보 중의 하늘 상태 정보를 예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수집된 제1 기상정보의 기온이 5도, 강수량이 "0.0mm", 낙뢰가 "무"이고, 제2 기상정보의 하늘상태가 "구름많음", 강수형태가 "비"인 경우 기초 자료 결정부(220)는 기온이 0도를 초과하고, 강수형태가 "비"이므로, 비록 강수형태가 "비"라 하더라도, 강수량 정보를 기초자료로 결정한다.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220)는 낙뢰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하늘 상태 정보와 강수량 정보를 조합한다. 이때, 1분 단위의 실시간 관측 정보인 강수량 정보가 "0.1mm" 미만이므로 비가 오지 않는 경우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하늘 상태 정보와 강수량 정보의 조합은 "구름많음"이 될 수 있다.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220)는 조합 결과를 통해 도 3의 하늘 상태 기준 정보에서 하늘 상태 코드와 코드 명을 검색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로서 하늘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집된 제1 기상정보의 기온이 5도, 강수량이 "0.2mm", 낙뢰가 "유"이고, 제2 기상정보의 하늘상태가 "구름많음", 강수형태가 "눈"인 경우 기초 자료 결정부(220)는 기온이 0도를 초과하고, 강수형태가 "눈"이므로, 비록 강수량 정보가 "0.1mm"를 초과하여 비가 오는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강수형태를 기초 자료로 결정한다.
이때,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220)는 낙뢰 정보가 존재하므로, 낙뢰 정보와 강수형태 정보를 조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우, 눈"의 하늘 상태 코드명을 생성하고, 도 3의 하늘 상태 기준 정보를 통해 하늘 상태 정보를 "SKY_A13", "뇌우,눈"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집된 제1 기상정보의 기온이 영하 3도, 강수량이 "0.2mm", 낙뢰가 "무"이고, 제2 기상정보의 하늘상태가 "흐림", 강수형태가 "비"인 경우, 기초 자료 결정부(220)는 기온이 0도 이하이므로, 비록 강수량 정보가 "0.1mm"를 초과하여 비가 오는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강수형태를 기초 자료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220)는 낙뢰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하늘상태 정보와 강수형태 정보를 조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리고 비"의 하늘 상태 코드명을 생성하고, 도 3의 하늘 상태 기준 정보를 통해 하늘 상태 정보를 "SKY_A08", "흐리고 비"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230)는 제1 기상정보와 제2 기상정보가 수집되고 하늘 상태 정보가 생성되면, 제1 기상정보 및 제2 기상정보와 생성된 하늘 상태 정보를 기상 서비스 제공 구역(예: 대한민국, 아시아 등)의 특정 구역에 매핑하여 그 특정 구역에 대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아래의 표1 및 표 2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상 서비스 제공 구역은 격자 구조로 구분되어 복수의 세부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전체 기상 서비스 제공 구역은 5km x 5km 단위의 격자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230)는 제1 기상정보를 전송한 이동통신기지국의 위치를 기준으로 매핑할 세부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230)가 수집된 제1 기상정보 및 제2 기상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기상 서비스 정보의 예로서, 제1 기상정보가 수신되는 제1 주기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구성 주요 기능
날씨정보 현재날씨(분) 1분 간격으로 기상청 및 기지국 AWS 관측정보 제공
현재날씨(시간) 1시간 간격으로 일 24회(매시 정시), 5km격자 단위로 실황 자료제공, 관측자료기반으로 자료 동화한 결과(분석장)로 현재 기상상태 제공
초단기예보 1시간 간격으로 일 24회(매시 30분), 5km격자 단위로 3시간까지의 초단기 예보 정보 제공
단기예보 3시간 간격으로 일 8회(00시, 03시, 06시, 09시, 12시, 15시, 18시, 21시), 5km격자 단위로 2.5일 예보자료 제공
주간예보 20개 주요 시도의 최저.최고 기온에 대한 익일부터 6일간의 주간예보 정보(하늘상태, 최고/최저기온) 제공
기상특보 호우, 한파, 건조, 대설, 황사, 폭염 등의 기상 특보 제공
태풍정보 태풍경로에 대한 상세 정보 제공
낙뢰정보 10분 간격으로 상세 낙뢰 관측정보 제공
지도중첩 레이더영상 레이더 영상을 지도에 중첩하기 위한 정보 제공하며, time animation을 위한 시간대별 정보 제공
위성영상 위성 영상을 지도에 중첩하기 위한 정보 제공하며, time animation을 위한 시간대별 정보 제공
태풍경로 지도 중첩에 필요한 태풍경로 이미지 제공
낙뢰영상 낙뢰이미지를 지도에 중첩하기 위한 정보 제공하며, time animation을 위한 시간대별 정보 제공
과거자료 어제날씨 하늘상태, 최저/최고기온, 일누적 강수량 등의 어제 날씨 자료 제공
관측자료 과거 특정시점까지의 AWS 관측자료 제공
부가정보 코드정보 기상정보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주소체계 정보(우편번호, 행정구역명, 위경도)를 제공하고, 또한 위경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관측소 정보(stnid) 제공
공지사항 시스템 장애 알림 및 기타 공지 사항 제공
표 1을 참조하면,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되는 기상 서비스 정보는 날씨 정보,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영상(예: 레이더, 위성 영상 등), 태풍 경로, 낙뢰 영상 정보, 과거의 날씨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상 서비스 정보는 제1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제1 주기 예컨대 1분 단위로 생성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표 1의 현재 날씨로서 제공되는 정보의 상세 정보를 예시한 것이다.
이름 형식 필수 예시 설명
station name string Y 서울 관측소명
id string Y 108 관측소아이디
type string Y KMA 관측소타입
(KMA:기상청, BTN:기지국)
latitude string Y 37.5714000000 위도
longitude string Y 126.9658000000 경도
wind wdir string Y 3.90 풍향(degree)
wspd string Y 2657.00 풍속
precipitation type_code string Y 1 강수형태코드
0: 현상없음 1: 비
2: 비/눈 3: 눈
sinceOntime string Y 0.00 적설량 또는 강수량(1시간)
if type_code=0 or 1 or 2
→ 강수량 (mm)
if type_code=3
→ 적설량 (cm)
sky  skycode string Y SKY_A02 하늘상태코드 테이블 참조
skyname string Y 구름조금 하늘상태코드명 테이블 참조
rain last10min string Y 0.00 10분 이동누적 강수량
last15min string Y 0.00 15분 이동누적 강수량
last30min string Y 0.00 30분 이동누적 강수량
last1hr string Y 0.00 60분 이동누적 강수량
last6hr string Y 0.00 6시간 이동누적 강수량
last12hr string Y 0.00 12시간 이동누적 강수량
last24hr string Y 0.00 24시간 이동누적 강수량
sinceOntime string Y 0.00 1시간 누적 강수량
sinceMidnight string Y 0.00 일 누적 강수량
temperature tc string Y 13.40 현재 기온
lightning string Y 0 낙뢰여부(5km 반경내)
0: 없음 1: 있음
  humidity string Y 34.80 습도
표 2를 참조하면, 제1 주기 예컨대, 1분 단위의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현재 날씨에는 관측소(station)에 대한 정보, 바람(wind)에 대한 정보 및 강수 정보(precipitation), 하늘 상태 정보(sky), 강수량 정보, 기온(temperature)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서비스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2의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200)에 의해 수행되는 기상 서비스 생성 방법의 일 실시예일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200)는 기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기상정보를 수집한다(단계 510). 이때, 제1 기상정보는 관측소로부터 제1 주기 단위로 수신되고, 기온 정보 외에도 강수량 정보, 낙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상정보를 전송하는 관측소는 자체 자동기상관측장비를 구비하고 예컨대, 1분 단위의 실시간 기상 상태를 측정하는 이동통신기지국일 수 있다.
그 다음, 강수형태 정보를 포함한 제2 기상정보를 수집한다(단계 520). 이때, 제2 기상정보는 관측소로부터 제2 주기 단위로 수신되고, 하늘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주기는 제1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시간 간격일 수 있다. 제2 기상정보를 전송하는 관측소는 측정한 기상 상태를 분석 및 가공하여 다양한 예보 데이터 및 분석 실황 정보를 생성하는 기상청일 수 있다.
그 다음, 수집된 기온 정보 및 강수 형태 정보를 기초로 기상 서비스 정보 중의 하늘 상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530).
이때, 제1 기상정보에 강수량 정보가 포함되고, 제2 기상 정보에 강수형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강수량 정보와 강수형태 정보 중의 어느 정보를 기초로 하늘 상태 정보를 생성할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상정보에 낙뢰 정보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 낙뢰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하고, 제2 기상정보에 하늘상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하늘상태 정보를 기초자료로 결정한다.
그 다음, 결정된 기초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540). 이때, 기상 서비스 정보는 표 1 및 표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늘 상태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기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수신되는 제1 기상정보의 수신 주기에 맞추어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기상 서비스 생성 방법 중 기초 자료 결정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강수량 및 강수형태 중에서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 7의 기초 자료 결정 단계(530)의 일 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2 기상정보에 하늘상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하늘 상태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한다(단계 610).
그 다음, 제1 기상정보에 강수량 정보와 제2 기상정보에 강수형태 정보가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단계 620).
확인 결과(단계 620), 수집된 기상정보에 강수량 정보와 강수형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강수량 및 강수형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기초자료로 결정할 수 있다(단계 640).
도 9를 참조하여 강수량 및 강수형태 중에서 기초자료를 결정하는 단계(64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를 확인한다(단계 710).
그 다음, 수집된 기온 정보의 기온이 기준 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기온(예: 0도)을 초과하는지 확인한다(단계 720).
확인 결과(단계 720), 수집된 기온이 기온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수집된 강수형태가 "없음" 또는 "비"인지 확인한다(단계 730).
확인 결과(단계 730), 강수형태가 "없음"이거나 "비"인 경우에는 제1 기상정보의 강수량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한다(단계 740).
만약, 단계 720에서 확인 결과 수집된 기온 정보의 기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이거나, 단계730에서 확인 결과 강수형태가 "비/눈" 또는 "눈"인 경우 제2 기상정보의 강수형태 정보를 기초 자료로 결정한다(단계 750).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620에서 확인 결과 강수량과 강수형태가 모두 존재하지 않으면, 강수량 또는 강수형태 중에서 존재하는 정보를 기초자료로 결정할 수 있다(단계 630).
그 다음, 제1 기상정보에 낙뢰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단계 650), 낙뢰 정보가 존재하면 그 낙뢰 정보를 추가로 기초 자료로 결정할 수 있다(단계 660).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주기로 수신되는 관측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전송되는 기상 정보를 기초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주기로 전송되는 기상 정보들을 활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며, 이때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전송되는 기상 정보를 기준으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짧은 시간 동안 급변하는 기상 정보를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고, 특히 기온 및 강수 형태에 따라 기상 정보의 요소와 종류를 선택하여 그 정보들을 이용하여 실제와 가장 가까운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상 서비스 제공 장치는 그 활용도가 적지 않을 것이다.
1: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시스템
110,120: 관측소 200: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210: 기상정보 수집부 220: 기초 자료 결정부
230: 기상서비스 정보 생성부 240: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
250: 기준정보 데이터베이스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6)

  1. 기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기상정보와, 강수형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기상정보 수집부;
    상기 기온 정보 및 강수형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결정하는 기초 자료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기초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1 기상정보를 제1 주기로 수집하고, 상기 제2 기상정보를 상기 제1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2 주기로 수집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는
    상기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1 주기 단위로 생성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1 기상정보를 이동통신 기지국에 설치된 자동기상관측장비로부터 수신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상정보는 강수량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 자료 결정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상기 강수량 정보와 상기 강수형태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기초 자료로 결정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수형태는 "없음", "비", "비/눈" 및 "눈"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기초 자료 결정부는
    상기 기온이 "0"도를 초과하고, 상기 강수형태가 "없음" 또는 "비"이면, 상기 강수량 정보를 상기 기초 자료로 결정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수형태는 "없음", "비", "비/눈" 및 "눈"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기초 자료 결정부는
    상기 기온이 "0"도 이하이거나, 상기 강수형태가 "비/눈" 또는 "눈"이면, 상기 강수형태 정보를 상기 기초 자료로 결정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상정보는 하늘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부는
    상기 기초 자료로 결정된 강수량 정보 또는 강수형태 정보와, 상기 하늘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상정보는 낙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 서비스 정보 생성부는
    상기 기초 자료로 결정된 강수량 정보 또는 강수형태 정보와, 상기 하늘상태 정보 및 상기 낙뢰 정보 중에서 둘 이상을 조합하여 상기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늘상태 정보는
    "맑음", "구름조금", "구름많음" 및 "흐림" 중의 어느 하나인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11. 기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강수형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기온 정보 및 강수형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기초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상 정보를 제1 주기로 수집하고,
    상기 제2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상정보를 상기 제1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2 주기로 수집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상정보는 강수량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기준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상기 강수량 정보와 상기 강수형태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기초 자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상정보는 하늘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 자료로 결정된 강수량 정보 또는 강수형태 정보와, 상기 하늘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상정보는 낙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 자료로 결정된 강수량 정보 또는 강수형태 정보와, 상기 하늘상태 정보 및 상기 낙뢰 정보 중에서 둘 이상을 조합하여 상기 기상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의 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46875A 2013-11-29 2013-11-29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828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875A KR101828025B1 (ko) 2013-11-29 2013-11-29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875A KR101828025B1 (ko) 2013-11-29 2013-11-29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333A true KR20150062333A (ko) 2015-06-08
KR101828025B1 KR101828025B1 (ko) 2018-02-09

Family

ID=5350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875A KR101828025B1 (ko) 2013-11-29 2013-11-29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0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68B1 (ko) * 2019-09-30 2020-05-14 주식회사 비젼코스모 태양전지를 이용한 정류장용 광고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41210A (ko) * 2019-06-10 2020-12-18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환경관리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753B1 (ko) * 2019-03-29 2020-07-06 박순구 환경 데이터 측정이 가능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
KR102284466B1 (ko) * 2020-01-29 2021-08-03 박순구 위급상황 대비를 위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의 통합 패키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3588B2 (ja) * 2005-09-20 2011-02-16 Kddi株式会社 気象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局域気象データ配信システムならびに同システムにおける気象データ推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210A (ko) * 2019-06-10 2020-12-18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환경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105668B1 (ko) * 2019-09-30 2020-05-14 주식회사 비젼코스모 태양전지를 이용한 정류장용 광고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025B1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159B1 (ko) 카테고리별로 구분된 유동인구 정보를 이용한 유동인구 측정 방법
Cavallaro et al.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ourist mobility in mountain areas
US61889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storm direction
Wang et al. Estimating dynamic origin-destination data and travel demand using cell phone network data
JP4633588B2 (ja) 気象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局域気象データ配信システムならびに同システムにおける気象データ推定方法
KR101828025B1 (ko) 기상 서비스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60144814A (ko) 격자 기반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22989B1 (ko) 기지국 유동인구 정보를 활용한 재난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5470269A (zh) 一种多源实况数据在新疆城市暴雨天气中的释用评估方法
Jaedicke et al. GIS-aided avalanche warning in Norway
US8204675B2 (en) Portable navigation device point of interest selection based on store open probability
JP2002357670A (ja) 気象予報システムと気象情報通知システム
Wang et al. Prediction of the typhoon wind field in Hong Kong: integrat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using the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JP2016080552A (ja) 気象情報通知システム
CN114492927A (zh) 气象信息的推送方法、存储介质及计算机终端
Pagano et al. Australian bureau of meteorology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US103175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ecasting weather
Huo et al. Explor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demand-responsive customized bus ridership using multi-source data
CN102222311A (zh) 基于Google Earth遥感影像的配电网地理信息获取方法
US202100260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snowfall probability distributions
KR20130112229A (ko) 기상재해정보 기반의 경로 안내 정보 및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Baltas et al. GIS-based optimisation of the hydrometeorological network in Greece
JP7111397B1 (ja) 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Park et al. Transit travel time forecasts for location-based querie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KR20150055432A (ko) 기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