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515A - Carry of beverage dispenser modular devices - Google Patents
Carry of beverage dispenser modular devi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1515A KR20150061515A KR1020130145754A KR20130145754A KR20150061515A KR 20150061515 A KR20150061515 A KR 20150061515A KR 1020130145754 A KR1020130145754 A KR 1020130145754A KR 20130145754 A KR20130145754 A KR 20130145754A KR 20150061515 A KR20150061515 A KR 201500615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ke
- base member
- beverage
- screw
- beverage dispen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 자동판매기의 모듈형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반출장치를 단위 유닛(unit)의 모듈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상품을 동시에 수납하여 반출함은 물론 자동판매기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알맞는 크기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자동판매기의 모듈형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동전이나 지폐를 입력받고 커피, 차 및 음료 등을 판매하는 무인 판매장치를 말한다. 상기 자동판매기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여러 종류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도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판매하는 자동판매기는 크게 원료와 첨가물을 물과 혼합하여 액상으로 판매하는 것과, 음용할 음료가 수용된 음료 용기를 판매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In general, a vending machine is an unattended vending machine that receives coins or bills and sells coffee, tea and drinks.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is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nd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product or purpose to be sold. Among them,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which sells the drink so as to be able to drink is mainly composed of mixing raw materials and additives with water and selling them in liquid form, And to sell beverage containers containing beverages to be dispensed.
본원에서는 음료가 수용된 음료 용기를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의 반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delivery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for selling a beverage container containing a beverage.
통상의 음료가 수용된 음료 용기는 음용하고자 하는 음료에 따라 철재의 캔이나 유리로 제작된 유리병 또는 PET에 의해 제조된 음료 용기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은 물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A beverage container containing ordinary beverages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s well as various shapes such as a can made of steel, a glass bottle made of glass or a beverage container made of PET according to a beverage to be consumed.
종래 음료 용기를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서의 반출수단은 통상 세펜타인식 컬럼과 회전식 반출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32287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이라 합니다)와 특허출원 제10-2005-0006518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 있다. Conventionally, a means of transporting a vending machine in a vending machine that sells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uses a three-penta recognition column and a rotary take-out machine, an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132287 (hereinafter referred to as "
또한, 종래에 나선형 용수철인 스파이럴을 이용하여 상품을 반출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8787호(이하 '선행특허문헌 3'이라 합니다)와 등록실용신안 제20-0461385호(이하 '선행특허문헌 4'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 있다. In addition, a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878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Patent Document 3") and a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6138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Patent Document 3"), which exports a product using a spiral spring, 4 ").
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1442호(이하 '선행특허문헌 5'라 합니다)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0680호(이하 '선행특허문헌 6'이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품 반출을 위한 스크류를 사용한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Also,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025144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Patent Document 5") and Open Utility Model No. 20-2009-001068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Patent Document 6"), A technique using a screw for a screw is also proposed.
아울러, 벨트방식을 이용하여 상품을 반출할 수 있도록 미국 등록특허 US6808082호(이하 '선행특허문헌 7'이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다수의 프로덕트 컬럼과, 상기 프로덕트 컬럼의 전방에 상품이 수납되는 버킷과 상기 버킷을 승하강시키는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송하는 엘리베이터를 구비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duct columns provided with a conveyor belt as disclosed in U.S. Patent No. 680808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Patent Document 7") for carrying out a product using a belt system,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bucket for storing goods and an elevator for transporting the bucket to a required position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ucket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문헌 1 내지 7의 자동판매기에 구비된 각 반출수단은 일체로 고정되는 일체형으로 동일한 상품만을 반출할 수밖에 없는 단점은 물론 자동판매기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일체형 반출장치의 크기를 그 자동판매기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각각 제작해야 하는 단점과 함께 자동판매기의 크기 또한 대부부분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어야 하는 단점도 가진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반출장치를 단위 유닛(unit)의 모듈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상품을 동시에 수납하여 반출함은 물론 자동판매기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알맞는 크기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모듈형 반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is to form a unit of a unit as a module of a unit so that various types of goods are stored and taken out at the same time, Which can be assembled and used in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품의 크기에 따라 반출장치의 폭 또한 간편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vary the width of the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의 수납 또는 반출이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the storage or export of goods to be carried out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료 자동판매기에 상품이 수납되고 반출되도록 구비되는 반출장치로서, 상기 반출장치는 본체 하우징의 중간에 구동원과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양측에 위치한 상품을 산과 골에 의해 하나씩 교호(交互)로 수납 또는 반출시키는 반출스크류로 구성된 모듈 형태인 복수의 반출기; 및 상기 복수의 반출기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유닛트화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akeout apparatus including a beverage dispenser for storing and delivering goods to and from a beverage vending machine, A plurality of take-out units in the form of a module composed of take-out screws which are alternately stored or carried out one by one by the take- And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nveyor side surfaces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unit.
상기 반출기의 본체 하우징은 음료 용기가 올려지고 슬라이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방에 수납과 반출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배출로, 상기 배출로 측의 베이스부재 상에 상기 반출 스크류의 전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에 반출 스크류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배면부재를 포함한다. Where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take-out machine includes a base member o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raised and slid, a side memb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 discharge passage opened so as to store and remove the beverage in front of the base member, A support member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ront of the take-out screw on a base member of the base member, and a back member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take-out screw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와 배면부재에는 상기 측면부재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The base member and the back member further include a width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width of the side member.
상기 반출 스크류의 선단과 끝단에 형성되는 산의 반지름은 음료 용기의 유입과 반출시 간섭없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반출 스크류의 축 중심의 수직선을 기점으로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adius of the acid formed at the tip and the end of the take-out screw ar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vertical line of the axis of the take-out screw so that the radius of the take-
상기 연결수단은 베이스부재 또는 측면부재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연결되는 연결부재이다.
The connecting means is a connecting member formed and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or the side memb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본 발명은 반출장치를 단위 유닛의 모듈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상품을 동시에 수납하여 반출함은 물론 자동판매기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알맞는 크기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자동판매기로부터 다양한 형태나 크기의 상품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어, 구매자로 하여금 다양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자동판매기의 크기 또한 설치장소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ake-out device is formed in a module form of a unit unit, various types of goods are stored and taken out at the same time as well as assembled in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capacity and size of the vend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products in a variety of shapes and sizes from a variety of sizes and sizes.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allowing the buyer to select a variety of products, the size of the vending machine can also be produced in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conditions.
또한, 상품의 크기에 따라 반출장치의 폭 또한 간편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 또는 반출하고자 하는 상품에 따라 높은 호환성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width of the take-out devi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it is also possible to have high compatibility with the product to be stored or exported.
또, 상품의 수납 또는 반출이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이나 반출에 따른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goods to be stored or unloaded smoothly without inter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defects due to storage and unloading, thereby achieving smooth sale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반출기에 구비된 측면부재의 폭이 조절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반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according to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ide member provided in the take-out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various types of take-out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ate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음료 자동판매기에 음용할 수 있는 음료가 수용된 음료 용기인 상품이 수납되고 반출되도록 구비되는 반출장치(1)를 개시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a
본 발명은 반출장치를 단위 유닛(unit)의 모듈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상품을 동시에 수용하여 반출함은 물론 자동판매기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알맞는 크기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ake-out devi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module of a unit, various types of goods are received and taken out at the same time as well as assembled in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capacity and size of the vending machin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출장치(1)는 본체 하우징(10)의 중간에 통상의 정,역회전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양측에 위치한 상품을 스크류 형태의 산(22)과 골(24)에 의해 하나씩 교호(交互)로 수납 또는 반출시키는 반출스크류(20)로 구성된 모듈 형태인 복수의 반출기(30); 및 상기 복수의 반출기(30)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유닛트화하는 연결수단(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듈 형태인 반출기는 본체 하우징과 반출 스크류로 구성하는 하나의 반출기를 말하는 것이며, 상기 하나의 반출기를 연결수단에 의해 자동판매기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연결되는 상태를 유나트화된 것이라 명명한다. The
그에 따라 반출장치를 하나의 모듈 형태인 반출기를 복수 개로 구비하여,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반출장치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만 제작되었던 자동판매기를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적정한 갯수만큼만 반출기를 연결하여 반출장치를 형성함에 따라 자동판매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나 요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take-out units, each having a single module form, to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number of vending machines, which have been manufactured only by a predetermined size by a conventional take- ,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place or requirement to install the vending machine.
또한, 반출기는 본체 하우징의 중간에 형성되는 반출 스크류의 양측에 수납 또는 반출하고자 하는 상품을 구비함에 따라 보다 많은 물량의 상품을 수납 또는 반출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Further, since the take-out machine has a product to be stored or carried out on both sides of the take-out screw formed in the middle of the main body housing, a larger quantity of goods can be stored or taken out, and also the conditions for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can be obtained.
아울러, 상기 모듈 형태의 반출기에는 후술하는 반출 스크류의 산과 골의 피치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동일한 크기의 상품만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상품을 동시에 수납하여 반출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구매자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더욱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In addition, in the modular take-out machine, the pick and place pitch of the take-out screw,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not only the goods of the same size can be stored, And there is also a condition whereby the buyer can have a wider range of choices.
상기 반출기(30)의 본체 하우징(10)은 음료 용기가 올려지고 슬라이딩되는 베이스부재(12)와, 상기 베이스부재(12)의 상면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부재(14)와, 상기 베이스부재(12)의 전방에 수납과 반출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배출로(15)와, 상기 배출로(15) 측의 베이스부재(12) 상에 상기 반출 스크류(20)의 전방을 통상의 베어링이나 삽입방식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6), 및 상기 베이스부재(12)의 후방에 반출 스크류(20)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배면부재(1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면부재의 후면에는 상기 반출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 등이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는 상품의 밑면과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동일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슬릿돌기 또는 슬라이딩 돌기 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lit protrusions or sliding protrusions having the same width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so as to smoothly slide while minimiz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duct.
상기 측면부재는 베이스부재의 상면과 배면부재의 전면에 통상의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 고정되거나 스크류 고정 또는 브래킷 등에 의해 장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판재 형태나 또는 설치대에 복수의 봉이나 관 등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The side member is formed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member by a conventional fitting method, or fixed by screws or brackets. In the form of a plate or a plurality of rods, Or the like.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12)와 배면부재(18)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재(14)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즉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상품에 따라 반출 스크류(20)와 측면부재(14) 사이의 폭을 상품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폭 조절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폭 조절부(50)는 베이스부재(12) 및 배면부재(18)와 측면부재(14)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통상의 결합돌기와 결합홈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일정 간격을 갖도록 여러 줄로 형성함에 따라 수납 또는 반출하고자 하는 음료 용기에 따라 측면부재의 폭을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나 크기를 가지는 음료 용기의 수납과 반출 역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그리고, 상기 폭 조절부는 결합돌기나 결합홈 형태가 아니라 통상의 브래킷을 사용하거나 장홈 상에서 슬라딩하는 방식 등 공지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면 족할 것이다. The width adjuster may be a means capable of adjusting a known width, such as a method of using a conventional bracket or slid on a slot, not a coupling protrusion or a coupling groove.
그에 따라 음료 용기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높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have high compatibility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beverage container.
한편, 상기 반출 스크류(20)의 선단과 끝단에 형성되는 산(22)의 반지름(r)(R)은 음료 용기의 유입과 반출시 간섭없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반출 스크류(20)의 축(21) 중심의 수직선을 기점으로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The radius r of the
다시 말해서, 상기 선단의 산(22)은 축(21)으로부터 산(22)의 상사점까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끝단의 산(22)은 그 산(22)의 상사점으로부터 축(21)까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형태로 곡률 반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곡률 반경이 짧은 반지름(r)을 가지는 산(22)은 선단으로 음료 용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끝단으로 위치한 음료 용기는 배출되도록 선단과 끝단에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서, 선단의 짧은 반지름을 가지는 산을 통하여 음료 용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반대 방향의 짧은 반지름을 가지는 산은 음료 용기가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반출되도록 선단과 끝단에서 서로 반대 반향으로 형성된다. In other words, the
아울러, 상기 반출 스크류(20)는 축(21)과 스크류 형상의 산(22)과 골(24)을 마모성이 작고 마찰 저항도 작은 통상의 경질의 합성수지재질에 의해 통상의 밀링이나 선반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성형방법에 의해 금형 상에서 성형하여도 무방하다. In addition, the
그에 따라 음료 용기 반출에 따른 합성수지재질로 제조된 반출 스크류에 의해 마찰 소음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재질은 내마모성의 재질을 가짐에 따라 마모 또한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Accordingly, there is provided a condition that minimizes the friction noise by the take-out screw mad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according to the take-out of the beverage container. Since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has a wear-resistant material, the abrasion can be minimized, and a longer period of use can be ensured.
그리고, 상기 반출 스크류(20)는 제조시 상기 산(22)과 산(22) 사이의 피치(P)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음료 용기의 직경이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산과 산의 피치를 가지는 반출 스크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itch (P) between the
또, 제조시 상기 산(22)과 골(24)의 경사도를 축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근접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출 스크류의 회전수에 비례하여 이송과 반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산과 골을 음료 용기가 이송되고 배출되는 방향의 축 방향으로 가깝게 형성할 경우, 예를 들어 작은 회전수에 의해서도 이송이나 반출 거리가 멀리 이루어져 신속하게 이송 및 반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산과 골을 축 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할 경우, 예를 들어 많은 회전수에 의해서도 이송이나 반출 걸리가 짧아 이송 및 반출이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그리고, 상기한 모듈 형태인 복수의 반출기(30)를 유닛트화하기 위한 상기 연결수단(40)은 베이스부재(12) 또는 측면부재(14)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연결부재(42)이다. The connecting means 40 for unitizing the plurality of
상기 연결부재(42)는 통상적인 연결방식으로 베이스부재 또는 측면부재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연결돌출부 및 연결홈 또는 체결되는 연결 브래킷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즉, 서로 맞물리게 계단 형태로 맞물리거나 서로 삽입되는 삽입돌기나 삽입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y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insertion protrusions or insertion grooves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a stepped manner or inserted into each other.
또,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측면부재에 스크류 또는 볼팅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통상적인 연결 브래킷 등에 의해 반출기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공지의 어떠한 형태이면 족할 것이다. In addition, any known form capable of interconnecting the ejector with a conventional connecting bracket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or side member by screws or bolting may be sufficient.
그에 따라 모듈 형태의 반출기를 연결수단의 연결부재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So that the modular take-out machine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required by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onnecting means as in Fig.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듈 형태인 복수의 반출기를 연결수단인 연결부재에 의해 필요로 하는 만큼만 서로 연결시켜 하나의 유닛트화함으로써, 하나의 반출장치에서 다양한 상품을 수납하고 반출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구매자로 하여금 넓은 선택의 폭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ake-out units in the form of a modu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ly as much as necessary by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a connecting means, to form a single unit, To have a wide selection range.
아울러,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반출장치의 크기를 도 5에서와 같이 연결수단에 의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으로써, 자동판매기 또한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Further, since the size of the delivery device provided in the vending machine can be variously formed by the connecting means as shown in FIG. 5, the vending machine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It also has conditions that can be produced.
1 : 반출장치
10 : 본체 하우징 12 : 베이스부재
14 : 측면부재 15 : 배출로
16 : 지지대 18 : 배면부재
20 : 반출스크류 21 : 축
22 : 산 24 : 골
30 : 반출기 40 : 연결수단
42 : 연결부재 50 : 폭 조절부1: Exit device
10: main body housing 12: base member
14: side member 15: exhaust passage
16: support member 18: rear member
20: Discharge screw 21: Axis
22: Mountain 24: Goals
30: take-out machine 40: connecting means
42: connecting member 50: width adjusting portion
Claims (5)
상기 반출장치는 본체 하우징의 중간에 구동원과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양측에 위치한 상품을 산과 골에 의해 하나씩 교호(交互)로 수납 또는 반출시키는 반출스크류로 구성된 모듈 형태인 복수의 반출기; 및
상기 복수의 반출기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유닛트화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의 모듈형 반출장치. A take-out device for accommodating and delivering goods to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The take-out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take-out units, each of which is in the form of a module composed of a take-out screw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e source at the middl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rotates the goods placed on both sides alternately by the mountains and the valleys; And
And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nveyor side surfaces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unit.
상기 반출기의 본체 하우징은 음료 용기가 올려지고 슬라이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방에 수납과 반출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배출로, 상기 배출로 측의 베이스부재 상에 상기 반출 스크류의 전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에 반출 스크류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배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의 모듈형 반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take-out machine includes a base member o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raised and slid, a side memb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 discharge passage opened so as to store and remove the beverage in front of the base member, A support member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ront of the take-out screw on a base member of the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nd a back member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take-out screw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member. .
상기 베이스부재와 배면부재에는 상기 측면부재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의 모듈형 반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se member and the back member further comprise a width adjuster for adjusting a width of the side member.
상기 반출 스크류의 선단과 끝단에 형성되는 산의 반지름은 음료 용기의 유입과 반출시 간섭없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반출 스크류의 축 중심의 수직선을 기점으로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의 모듈형 반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the acid formed at the tip and the tip of the take-out screw is formed so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tarting from the vertical line of the axis of the take-out screw so that the radius of the bea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beverage container Modular take-out device for vending machines.
상기 연결수단은 베이스부재 또는 측면부재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연결되는 연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의 모듈형 반출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is a connecting member formed and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or the side memb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5754A KR20150061515A (en) | 2013-11-27 | 2013-11-27 | Carry of beverage dispenser modular dev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5754A KR20150061515A (en) | 2013-11-27 | 2013-11-27 | Carry of beverage dispenser modular devic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515A true KR20150061515A (en) | 2015-06-04 |
Family
ID=5349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5754A KR20150061515A (en) | 2013-11-27 | 2013-11-27 | Carry of beverage dispenser modular devic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6151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8644A (en) * | 2016-12-30 | 2018-07-10 |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 Guide device for spiral of vending machine |
KR20240044816A (en) | 2022-09-29 | 2024-04-05 | 주식회사 로텍 | cassette for vending machine |
-
2013
- 2013-11-27 KR KR1020130145754A patent/KR2015006151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8644A (en) * | 2016-12-30 | 2018-07-10 |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 Guide device for spiral of vending machine |
KR20240044816A (en) | 2022-09-29 | 2024-04-05 | 주식회사 로텍 | cassette for vend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86185B2 (en) | Dispenser tray for a vending machine | |
US6206237B1 (en) | Bottle dispenser | |
US6237784B1 (en) | Label orienting display rack | |
US20070021866A1 (en) | Dispenser tray for a vending machine | |
CN101658373A (en) | Merchandise display system | |
EP0992957A1 (en) | Distributor | |
KR940002090B1 (en) | Ramp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 |
KR20150061515A (en) | Carry of beverage dispenser modular devices | |
CN210295274U (en) | Vending machine goods way structure | |
KR102303528B1 (en) | Packaging alignment system | |
CN211044376U (en) | Goods shelf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goods and vending machine | |
KR20180078645A (en) | Spirals for vending machines | |
EP0899699B1 (en) | Beverage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KR20150061511A (en) | Carry appointed beverage vending equipment | |
RU69391U1 (en) | FRUIT SELLING MACHINE | |
US5800113A (en) | Device for separating series-connected plastic ampules | |
CN211787335U (en) | Capsule ice cream storage and selling device | |
KR101918603B1 (en) | Guide device for spiral of vending machine | |
KR100746584B1 (en) | A vending machine | |
CN214752051U (en) | Delivery type self-service vending machine replenishment device | |
CN220795956U (en) | Wine outlet mechanism of automatic wine selling machine | |
US20100133969A1 (en) |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cylindrical Articles | |
US20230003433A1 (en) | Ice Vending Machine Having Reduced Footprint | |
CN101116116A (en) | Dispensing mechanism for a vending machine | |
KR20010003373A (en) | A vending machine for goods of a large 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