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320A - Ice feeding structure and ice maker - Google Patents

Ice feeding structure and ic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320A
KR20150060320A KR1020130144605A KR20130144605A KR20150060320A KR 20150060320 A KR20150060320 A KR 20150060320A KR 1020130144605 A KR1020130144605 A KR 1020130144605A KR 20130144605 A KR20130144605 A KR 20130144605A KR 20150060320 A KR20150060320 A KR 20150060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nsfer structure
making unit
transfer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5416B1 (en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4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416B1/en
Publication of KR20150060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3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4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Abstract

Disclosed are an ice transfer structure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transfer structure may comprise: an accepting part to temporarily accept ice made by an ice making unit; and a transfer passage connecting the accepting part to an ice outlet to successively discharge and transfer ice to the ice outlet.

Description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ICE FEEDING STRUCTURE AND ICE MAK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transfer structure and an ice-

본 발명은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얼음이 토출되는 얼음토출구로 이송시키는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이송유로를 통해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도록 하는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transfer structure for transferring ice made by an ice making unit to an ic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ice transfer structure for transferring ice made by the ice making unit to an ice discharge port through a transfer channel,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ice maker.

제빙기는 얼음을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제빙기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유닛이 포함된다. 제빙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 등을 포함하여 얼음을 만든다.An ice maker is a device that makes ice and supplies it to the user. Ice makers include ice making units that make ice. The ice-making unit includes an evaporator or the lik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to make ice.

또한, 제빙기에는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고도 포함된다. 얼음저장고는 제빙유닛 아래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은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얼음저장고에 저장된다.The ice maker also includes an ice reservoir for storing ice made in the ice making unit. The ice reservoir is provided under the ice making unit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Accordingly, the ice produced by the ice making unit is dropped by its own weight and stored in the ice storage.

그러므로, 얼음이 낙하하여 얼음저장고에 저장될 때, 얼음이 얼음저장고에 부딪혀서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ice falls and is stored in the ice reservoi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ce hits the ice reservoir to generate noise.

한편, 얼음저장고에는 스크류 등의 얼음이송부재가 구비되어 얼음이 얼음토출구로 이송되어 토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얼음이 순차적으로 얼음토출구로 이송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ce reservoir is provided with an ice transfer member such as a screw so that ice is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and discharged. However, in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ce can not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needs or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얼음저장고가 없어도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ice made in the ice making unit to be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without an ice storage.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얼음토출구로의 얼음의 이송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during the transfer of ice to the ice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얼음이 얼음토출구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ice to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An ice transfer structure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이송유로를 통해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that the ice made in the ice making unit is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through the transfer passage.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얼음이송구조는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임시로 수용되는 수용부; 및 수용부와 얼음이 토출되는 얼음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며 얼음이 순차적으로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유로;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transfer structure including: an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ice made in an ice making unit is temporarily accommodated; And a conveying passage connect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ice discharging opening through which the ice is discharged and allowing the ice to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ing opening; . ≪ / RTI >

이 경우, 상기 이송유로는 지그재그형상이거나 나선형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veying passage may be zigzag or spiral.

또한, 상기 이송유로는 얼음을 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이송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ying passage may include at least three conveying supporting members for supporting the ice.

그리고, 상기 수용부는 제빙유닛 아래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below the ice making unit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can be opened.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유닛; 및 전술한 얼음이송구조; 를 포함할 수 있다.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 making unit for making ice; And the aforementioned ice transfer structure; . ≪ / RTI >

이 경우, 상기 얼음이송구조에 포함되는 이송유로를 이동하는 얼음의 조각이나 얼음이 녹은 물이 저장되는 냉수탱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cold water tank in which a piece of ice or water in which ice is melted is stored in a transfer passage included in the ice transfer structur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냉수탱크는 얼음이송구조 아래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Further, the cold water tank may be provided below the ice transfer structure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may be opened.

그리고, 상기 제빙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ce making unit may include an evaporator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또한, 상기 제빙유닛은 전원이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ice making unit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module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when power is appli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유닛과 얼음토출구를 연결하는 이송유로를 포함하여 얼음저장고가 없어도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얼음토출구로 이송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de in the ice-making unit can be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even if there is no ice reservoir including the transfer channel connecting the ice-making unit and the ice discharge po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토출구로의 얼음의 이송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 noise may be generated during the transfer of ice to the ice discharge port.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이 얼음토출구로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ce can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다른 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FIGS. 2 to 5 are views showing operations of an ice transfer structure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ce transfer structure and the ice maker including the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state thereof.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 ice transfer structure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embodiments.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이송유로를 통해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that ice made in the ice making unit is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through the transfer channe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n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FIGS. 2 to 5 are views showing an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perations of an embodiment of the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to be.

얼음이송구조Ice transfer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이송구조(100)의 일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0) 및, 이송유로(300)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ice transfer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200 and a transfer path 300 as shown in FIG.

수용부(200)에는 제빙유닛(20)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임시로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20)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the ice I made in the ice making unit 20 can be temporarily accommodated. The receiving portion 200 may be provided under the ice making unit 20 as shown in FIG. Then, the upper part can be opened.

이에 따라, 제빙유닛(20)에서 만들어진 얼음(I)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20)으로부터 낙하되어 수용부(2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부(200)에 임시로 수용될 수 있다.5, the ice (I) produced by the ice making unit 20 is dropped from the ice making unit 20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through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

그러나, 제빙유닛(20)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수용부(200)에 임시로 수용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이동공간(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수용부(200)에 임시 수용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a configuration in which ice (I) produced in the ice making unit 20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and a temporary accommodating portion 200 i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through a separate moving space Or any other known configuration.

수용부(2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배출구멍(2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수용부(200)의 얼음배출구멍(210)을 통해 수용부(200)에 임시로 수용된 얼음(I)이 배출되어 후술할 이송유로(300)에 유입될 수 있다.1, an ice discharge hole 210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200. As shown in FIG. The ice I temporarily receiv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0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ice discharge hole 210 of the accommodating part 200 as shown in Figure 5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veying passage 300 to be described later .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배출구멍(210)은 수용부(20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얼음배출구멍(210)의 수용부(200)에서의 형성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200)에 임시로 수용된 얼음(I)이 배출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ice discharge hole 210 may be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receiving portion 200. However, the position where the ice discharge hole 210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med at any position as long as the ice I temporari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200 can be discharged. have.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로(300)는 수용부(200)와 얼음(I)이 토출되는 얼음토출구(O)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순차적으로 얼음토출구(O)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얼음토출구(O)로 이송된 얼음(I)은 얼음토출구(O)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yance passage 300 can connect between the receptacle 200 and the ice discharge port O through which the ice I is discharg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ice I can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O. The ice (I)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O)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ce discharge port (O) and supplied to the user.

이에 따라, 이송유로(300)를 충분히 길게 하면, 얼음(I)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얼음(I)이 저장되는 별도의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conveying passage 300 is sufficiently long, a separate ice reservoir (not shown) in which ice (I) is stored may not be required since ice (I) can be stored.

또한, 얼음토출구(O)로의 얼음(I)의 이송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얼음(I)이 얼음토출구(O)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no noise may be generated during the transfer of the ice (I) to the ice discharge port (O). Then, the ice can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O).

이외에, 후술할 바와 같이 얼음(I)의 조각 또는 얼음(I)이 녹은 물 등이 이송유로(300)로부터 냉수탱크(30)로 이동하도록 하여 냉수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water or the like, in which the pieces of ice (I) or the ice (I) are melted, moves from the transfer path 300 to the cold water tank 30, thereby making it easy to make cold water.

이송유로(3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량의 얼음(I)이 이송유로(3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이송유로(30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The transfer path 300 may be a spiral shap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conveyance passage 300 can be sufficiently long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I) can be stored in the conveyance passage 300.

그러나, 이송유로(3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I)이 저장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지그재그형상이나 임의의 곡선형상 등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shape of the transfer passage 3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well-known shape such as a zigzag shape or an arbitrary curve shape can be used as long as the shape can be made sufficiently long that the ice I can be stored.

이송유로(3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 이상의 이송지지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이송지지부재(310)에 의해서 얼음(I)이 지지되어 얼음(I)이 얼음토출구(O)로 이송될 수 있다.The conveying passage 300 may include at least three conveying support members 310 as shown in FIG. The ice I can be conveyed to the ice discharge port O by supporting the ice I by the conveying support member 310 as shown in FIG.

또한, 이송지지부재(31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없는 얼음(I)의 조각 또는 얼음(I)이 녹은 물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냉수탱크(30)에 낙하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수탱크(30)에 저장된 물이 얼음(I)의 조각 또는 얼음(I)이 녹은 물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a piece of ice I that can not be supported by the conveying support member 310 or water in which the ice I is melted can be dropped into the cold water tank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Thereby, the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30 can be cooled by the water of the pieces of ice (I) or the water of the ice (I) to become cold water.

그러나, 이송유로(3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관 형태이며 얼음(I)의 조각 또는 얼음(I)이 녹은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However, the constru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3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tube shap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are formed so that the pieces of ice (I) Any known structure is possible.

제빙기Ice machine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의 일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20) 및, 전술한 얼음이송구조(100)를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ice mak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ice making unit 20 and the above-described ice conveying structure 100 as shown in FIG.

제빙유닛(20)은 얼음(I)을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빙유닛(2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21)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 응축기(도시되지 않음) 및, 모세관 또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냉매가 유동하는 냉동사이클을 이룰 수 있다.The ice making unit 20 can make ice (I). To this end, the freezing unit 20 may include an evaporator 2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s shown in FIG. The evaporator 21 may establish a refrigeration cycle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with a compressor (not shown), a condenser (not shown) and a capillary or expansion valve (not shown).

이에 따라, 증발기(21)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1)에는 압축기에서 나온 뜨거운 냉매가 바이패스되어 뜨거운 냉매가 유동할 수도 있다.As a result, cold refrigerant can flow through the evaporator 21. In addition, the hot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may be bypassed to the evaporator 21 so that the hot refrigerant may flow.

제빙유닛(2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1)에 연결되는 침지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침지부재(22)는 증발기(21)를 유동하는 냉매가 유동하도록 증발기(2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증발기(21)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면 침지부재(22)는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21)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면 침지부재(22)는 가열될 수 있다.The ice making unit 20 may include an immersion member 22 connected to the evaporator 21 as shown in Fig. The immersion member 22 may be connected to the evaporator 21 so that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evaporator 21 flows. When the cold refrigerant flows into the evaporator 21, the immersion member 22 can be cooled. When the hot refrigerant flows into the evaporator 21, the immersion member 22 can be heated.

제빙유닛(20)은 트레이(23)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23)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빙위치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탈빙위치 사이에서 회전축(23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ice making unit 20 may include a tray 23. The tray 23 can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23a between the ice-making position as shown in Figs. 1 to 3 and the ice-making pos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제빙위치에서 트레이(23)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관(28)에 의해서 물이 공급되어 담길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22)가 트레이(23)에 담긴 물에 잠길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증발기(21)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면, 침지부재(22)와 침지부재(22)가 잠긴 트레이(23)에 담긴 물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22)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In the deicing position, the tray 23 can be supplied with water by the water supply pipe 28 as shown in FIG. Thereby, the immersion member 22 can be immers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tray 23 as shown in the figure. In this state, when the coolant is allowed to flow in the evaporator 21, the immersion member 22 and the immersion member 22 are immersed in water by heat exchange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immersed tray 23, Ice (I) may be generated in the member (22).

침지부재(22)에 생성된 얼음(I)이 소정 크기가 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3)를 탈빙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침지부재(22)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침지부재(22)로부터 분리되고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전술한 얼음이송구조(100)의 수용부(200)에 수용될 수 있다.When the ice (I) generated in the immersion member 22 reaches a predetermined size, the tray 23 is rotated to the ice-removing position as shown in FIG. Then, the hot coolant flows to the immersion member 22. 5, the ice I can be separated from the immersion member 22 and fall down by its own weight to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of the ice transfer structure 100 described above.

수용부(200)에 수용된 얼음(I)은 수용부(200)의 얼음배출구멍(210)을 통해 이송유로(300)에 유입되어 이송유로(300)를 따라 얼음토출구(O)까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I)은 얼음토출구(O)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The ice I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00 flows into the conveying passage 300 through the ice discharge hole 210 of the receiving part 200 and can be moved to the ice discharge port O along the conveying passage 300 have. The ice (I)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ce discharge port (O) and supplied to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의 일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수탱크(30)는 전술한 얼음이송구조(100)의 이송유로(300)를 이동하는 얼음(I)의 조각이나 얼음(I)이 녹은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 등의 별도의 냉각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냉수탱크(30)에 구비되지 않아도, 냉수탱크(30)에 저장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1, the icemaker 10 may further include a cold water tank 30 as shown in FIG. The cold water tank 30 can store a piece of ice I moving in the transfer passage 300 of the ice transfer structure 100 and water in which the ice I is melted. Accordingly, even if a separate cool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n evaporator is not provided in the cold water tank 30, the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30 can be stored.

이를 위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는 얼음이송구조(100)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유로(300)를 이동하는 얼음(I)의 조각이나 얼음(I)이 녹은 물은 이송유로(300)의 전술한 이송지지부재(310) 사이로 낙하되어 냉수탱크(3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냉수탱크(30)에 유입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1, the cold water tank 30 may be provided under the ice transfer structure 100. Then, the upper part can be opened. Therefore, the pieces of ice I moving in the conveying passage 300 and the water in which the ice I melts fall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nveyance support members 310 of the conveyance passage 300 to open the cold water tank 30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ld water tank 30 through the upper portion.

그러나, 얼음이송구조(100)의 이송유로(300)를 이동하는 얼음(I)의 조각이나 얼음(I)이 녹은 물이 냉수탱크(30)에 저장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송유로(300)와 냉수탱크(30)에 별도의 이동공간(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며 이를 통해 이송유로(300)를 이동하는 얼음(I)의 조각이나 얼음(I)이 녹은 물이 냉수탱크(30)로 이송되어 저장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However, a configuration in which a piece of ice (I) moving in the conveying passage (300) of the ice transfer structure (100) or water in which ice (I) is melted is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separate moving spac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300 and the cold water tank 30 so that the pieces of the ice I moving through the conveying passage 300 or the melted water of the ice I flows through the cold water tank 30 ), And the like.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다른 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ce transfer structure and the ice maker including the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state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다른 실시예는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와 제빙유닛(2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The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ther embodiment of the ice making machine including the ice ma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in the structure of the ice transferring struc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ice making machine and the ice making unit 20 including the ice transferring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refore, the different configurations are mainly described,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can b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다른 실시예의 제빙기(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icemaker 20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ce transfer structure and the icemaker including the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as shown in FIG.

열전모듈(24)은 전원이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열전모듈(24)의 일측은 냉각되어 냉각측이 되고 열전모듈(24)의 타측은 가열되어 가열측이 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24 can be heat-transferr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when power is applied. That is,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is cooled and becomes the cooling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can be heated and become the heating side.

열전모듈(24)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원이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의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configuration can be used as far as the heat transf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is performed when the power source is applied.

한편, 열전모듈(24)에 역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열전모듈(24)의 냉각측은 가열되고 가열측은 냉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a reverse power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the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can be heated and the heating side can be cooled.

열전모듈(24)의 냉각측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5)에 의해서 침지부재(2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모듈(24)에 전원이 인가되면 침지부재(22)가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침지부재(22)와 침지부재(22)가 잠긴 물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침지부재(22)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The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may be connected to the immersion member 22 by the connecting member 25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the immersion member 22 can be cooled. The ice (I) can be generated in the immersion member 22 by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immersion member 22 and the immersion member 22 with the immersed water.

또한, 열전모듈(24)에 역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22)로부터 얼음(I)이 분리되고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전술한 얼음이송구조(100)의 수용부(200)에 수용될 수 있다.6,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ice I is separated from the immersion member 22 and dropped by its own weight, (Not shown).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모듈(24)의 가열측에는 히트싱크(2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히트싱크(26)에는 냉각팬(27)이 구비될 수 있다. 열전모듈(24)의 가열측에 전달된 열은 히트싱크(26)로 전달된 후 히트싱크(26)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열전모듈(24)의 가열측이 냉각될 수 있어서 열전모듈(24)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 heat sink 26 may be provided on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The heat sink 26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fan 27. The heat transferred to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may be transferred to the heat sink 26 and then air flowing between the heat sinks 26. Thereby,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can be cooled, so that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can smoothly operate.

또한, 냉각팬(27)이 구동되면, 히트싱크(26) 사이의 공기의 유동이 더 원활해질 수 있다. 따라서, 히트싱크(26)에 의한 열전모듈(24) 가열측의 냉각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when the cooling fan 27 is driven, the flow of air between the heat sinks 26 can be made more smooth. Therefore, the cooling of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4 by the heat sink 26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사용하면, 얼음저장고가 없어도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얼음토출구로의 얼음의 이송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얼음이 얼음토출구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ce maker including the ice maker,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ice made by the ice making unit to the ice discharge port without ice reservoir, and when the ice is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hole, And the ice can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상기와 같이 설명된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ice transfer structure and the icemaker including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some or all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

10 : 제빙기 20 : 제빙유닛
21 : 증발기 22 : 침지부재
23 : 트레이 23a : 회전축
24 : 열전모듈 25 : 연결부재
26 : 히트싱크 27 : 냉각팬
30 : 냉수탱크 28 : 물공급관
100 : 얼음이송구조 200 : 수용부
210 : 얼음배출구멍 300 : 이송유로
310 : 이송지지부재 I : 얼음
O : 얼음토출구
10: Ice maker 20:
21: evaporator 22: immersion member
23: tray 23a:
24: thermoelectric module 25: connecting member
26: Heat sink 27: Cooling fan
30: cold water tank 28: water supply pipe
100: ice transfer structure 200:
210: ice discharge hole 300: conveying passage
310: Feed supporting member I: Ice
O: Ice outlet

Claims (9)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임시로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얼음이 토출되는 얼음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며 얼음이 순차적으로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유로;
를 포함하는 얼음이송구조.
An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ice made in the ice making unit is temporarily accommodated; And
A transfer passage for connect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ic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ice is discharged and allowing the ice to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The ice transfer structur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로는 지그재그형상이거나 나선형상인 얼음이송구조.The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ying passage is a zigzag or spir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로는 얼음을 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이송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얼음이송구조.The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yance passage includes at least three conveyance supporting members for supporting 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빙유닛 아래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얼음이송구조.The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under the ice making unit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ed. 얼음을 만드는 제빙유닛; 및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얼음이송구조;
를 포함하는 제빙기.
An ice making unit for making ice; And
The ice transfer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이송구조에 포함되는 이송유로를 이동하는 얼음의 조각이나 얼음이 녹은 물이 저장되는 냉수탱크; 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The ic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cold water tank in which a piece of ice or water in which ice is melted is stored in a transfer channel included in the ice transfer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n ice mak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는 상기 얼음이송구조 아래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제빙기.7. The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ld water tank is provided below the ice transfer structure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기.The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ce making unit includes an evaporator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은 전원이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제빙기.



[6] The ice maker of claim 5, wherein the ice making unit includes a thermoelectric module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when power is applied.



KR1020130144605A 2013-11-26 2013-11-26 Ice feeding structure and ice maker KR102195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605A KR102195416B1 (en) 2013-11-26 2013-11-26 Ice feeding structure and ic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605A KR102195416B1 (en) 2013-11-26 2013-11-26 Ice feeding structure and ice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320A true KR20150060320A (en) 2015-06-03
KR102195416B1 KR102195416B1 (en) 2020-12-29

Family

ID=5350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605A KR102195416B1 (en) 2013-11-26 2013-11-26 Ice feeding structure and ic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4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6560A (en) * 2017-05-05 2018-05-1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Anti-sticking ice breaker and chipp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191A (en) * 2006-12-29 200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discharging ice, refrigerat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00251733A1 (en) * 2009-04-02 2010-10-07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technology
KR20120091999A (en) * 2011-12-13 2012-08-20 이은영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KR20130027003A (en) * 2011-09-06 2013-03-14 코웨이 주식회사 Ice mak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191A (en) * 2006-12-29 200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discharging ice, refrigerat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00251733A1 (en) * 2009-04-02 2010-10-07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technology
KR20130027003A (en) * 2011-09-06 2013-03-14 코웨이 주식회사 Ice mak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20091999A (en) * 2011-12-13 2012-08-20 이은영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6560A (en) * 2017-05-05 2018-05-1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Anti-sticking ice breaker and chi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416B1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2358B2 (en) Direct cooling ice maker
US1050885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in refrigerator
US11674729B2 (en) Direct cooling ice maker
KR20080100426A (en) Ice-making system for refrigeration appliance
US8769980B2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US20140137593A1 (en) Ice maker with slush-avoiding sump
KR20110056025A (en) Ice maker apparatus
US10274237B2 (en) Ice maker for an appliance
US7036326B2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6681813B2 (en) Ice dispenser with ice making mechanism
US10612831B2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chilled by thermoelectric device cooled by fresh food compartment air
CN106257172B (en) Ice pan device and method
US11365925B2 (en)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icemaking system
KR102195416B1 (en) Ice feeding structure and ice maker
KR20220092975A (en) Direct cooling ice machine
KR20170023277A (en) Ice maker
WO2023202519A1 (en) Refrigerator having air-cooled transparent ice-making device
JP6407584B2 (en) refrigerator
US20230341163A1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n air-cooled clear ice making assembly
CN216080555U (en) Refrigeration device
WO2023147774A1 (en) Ice-making assembly with cooling storage container
WO2023095527A1 (en) Refrigerator
WO2023279354A1 (en) Evaporator for an ice making assembly
US20230272955A1 (en) Direct cooling ice maker
JP2019117021A (en) Ice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