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219A - Led 조명용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Led 조명용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219A
KR20150060219A KR1020130144392A KR20130144392A KR20150060219A KR 20150060219 A KR20150060219 A KR 20150060219A KR 1020130144392 A KR1020130144392 A KR 1020130144392A KR 20130144392 A KR20130144392 A KR 20130144392A KR 20150060219 A KR20150060219 A KR 2015006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urrent
control circuit
pow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김주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0219A/ko
Priority to US15/038,884 priority patent/US9807833B2/en
Priority to PCT/KR2014/011426 priority patent/WO2015080467A1/ko
Publication of KR2015006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조명용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교류 전원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필터, 상기 필터와 연결되고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로부터 수신된 전원의 역률을 제어하는 역률 보상 회로, LED 조명용 전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회로, 상기 역률 보상 회로를 거쳐 입력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LED로 제공하는 LED 제어 회로 및 LED의 전류를 센싱하여 LED 제어 회로에 전송하는 전류 변환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전류 변환 회로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로부터 펄스폭 변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펄스폭 변조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며, LED로부터 수신한 전류를 상기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따라 가공하여 LED 제어 회로로 전송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조명용 전원 장치이다.

Description

LED 조명용 전원 장치{Power device for LED lighting}
본 발명은 LED 조명용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 도어용 LED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부합하는 조명을 제공하는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특히, LED 조명장치는 다수 배열설치된 LED의 점멸 순서, 발광 색상 및 밝기 등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연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기존의 재래식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램프,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실내 인테리어의 일반 조명, 특정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무대 조명, 광고 조명 및 경관 조명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조명 장치는 경과 조명으로써 건물 외벽, 공원, 가로등, 다리 난간 또는 공연장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적용되는 용도나 대상 또는 위치에 따라 그 크기 및 적용 시스템이 각각 달리질 수 있다. 즉, 건물 외벽용은 건물 외벽에 띠 형태로 단순히 점멸 기능이나 단색 또는 조합된 색상으로 단순 표출되어서 사용하고, 공원이나 가로등, 다리 난간 등은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조명을 설치하여 점멸이나 색상을 변경하여 사용된다. 또한, 공연장은 무대 주변이나 무대에 띠 형태로 단순 점멸이나 색상을 표출하여 공연장의 화려함을 효과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외용 조명 장치의 경우, 실내용 조명 장치에 비해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조명 장치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실외용 조명 장치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2013-0106799호
본 발명은 LED 조명용 전원 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기능 중, IC 회로로는 구현할 수 없는 부분을 회로적으로 구현하여, 아날로그 회로로 디지털 회로를 제어하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LED 조명용 전원 장치는 입력 교류 전원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필터, 상기 필터와 연결되고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로부터 수신된 전원의 역률을 제어하는 역률 보상 회로, LED 조명용 전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회로, 상기 역률 보상 회로를 거쳐 입력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LED로 제공하는 LED 제어 회로 및 LED의 전류를 센싱하여 LED 제어 회로에 전송하는 전류 변환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전류 변환 회로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로부터 펄스폭 변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펄스폭 변조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며, LED로부터 수신한 전류를 상기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따라 가공하여 LED 제어 회로로 전송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는 중앙 제어 회로에 의해 듀티비가 조절되고, 스위칭 소자는 듀티비가 조절된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 온/오프를 제어하며, 전류 제어부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에 따라 LED 제어 회로로 입력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FET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이 때, 신호 입력부는 상기 FET 소자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신호 입력부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전류 제어부는 상기 FET 소자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는 노드에 복수의 저항이 연결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FET 소자의 드레인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캐패시턴스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듀티비의 조절에 따라, 전류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레벨이 조절되고, 듀티비가 0인 경우 전류 제어부의 최소 전류가 LED 제어 회로로 유입되고, 듀티비가 1인 경우 전류 제어부의 최대 전류가 LED 제어 회로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LED 조명용 전원 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기능 중, 아날로그 회로를 이용한 PWM 제어에 의해, 디지털 회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용 전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LED 조명용 전원 장치 내 전류 변환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LED 조명용 전원 장치 내 전류 변환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LED 조명용 전원 장치에 입력되는 PWM 신호에 따른 전류 변환 회로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용 전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LED 조명용 전원 장치는 입력 교류 전원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필터(100), 상기 필터(100)와 연결되고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기(200), 상기 정류기(200)로부터 수신된 전원의 역률을 제어하는 역률 보상 회로(300), LED 조명용 전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회로(500), 상기 역률 보상 회로(300)를 거쳐 입력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LED로 제공하는 LED 제어 회로(400) 및 LED의 전류를 센싱하여 LED 제어 회로(400)에 전송하는 전류 변환 회로(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필터(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상용화된 전원은 교류 전원이다)에 포함된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LED 조명용 전원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LED의 온/오프를 비롯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데, LED는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즉,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전원 변환에 앞서 교류 전원에 포함된 여러가지 성분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효율적으로 전원을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계통으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노이즈가 LED 조명용 전원 장치에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노이즈 신호가 전원 장치의 부품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류기(20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LED 조명은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나, 상용화된 전원은 교류 전원이므로, 이를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정류기(20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정류기(200)는 하프 브릿지 정류기, 풀 브릿지 정류기를 비롯한 다양한 형대의 정류 소자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역률 보상 회로(300)는 회로 전체의 역률을 개선하여 입력 대비 출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뿐만 아니라, 절연된 전압을 LED 제어 회로(400) 쪽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역률 보상 회로(300)는 플라이백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다만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소자를 이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청구항에 기재된 역률 보상 회로(300)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본 발명의 중앙 제어 회로(500)는 LED 조명용 전원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LED의 구동 여부, 밝기, 외부와의 통신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며, 특히 전원 장치 내의 각 구성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구성을 제어하여 전원 장치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중앙 제어 회로(500)는 마이컴과 같은 제어 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LED 제어 회로(400)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5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역률 보상 회로(300)를 거쳐 LED로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역률 보상 회로(300)를 거쳐 입력되는 LED 전원의 크기는 LED의 구동 전원에 비하여 크거나, 작을 수 있는데(대개는 더 크다) 전원의 스케일을 조정하여, 일례로 DC-DC 변환에 의해 LED 구동에 적합한 정도로 전원을 변환하여 LED에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중앙 제어 회로(50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LED의 구동 여부, 밝기, 구동 시간 등을 제어한다.
전류 변환 회로(600)는 LED의 전류를 센싱하여 LED 제어 회로(400)에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LED로부터 수신되는 전류를 가공하여 LED 제어 회로(400)에서 처리 가능한 전압 레벨로 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류 변환 회로(6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LED 조명용 전원 장치 내 전류 변환 회로(6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LED 조명용 전원 장치 내의 전류 변환 회로(600)는 중앙 제어 회로(500)로부터 펄스폭 변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610), 신호 입력부(610)로부터 수신한 펄스폭 변조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620) 및 상기 스위칭 소자(620)와 연결되며, LED로부터 수신한 전류를 상기 스위칭 소자(620)의 동작에 따라 가공하여 LED 제어 회로(400)로 전송하는 전류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신호 입력부(610)는 중앙 제어 회로(500)와 연결되며, 중앙 제어 회로(5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입력받는 통로로 기능한다. 중앙 제어 회로(500)는 펄스폭 변조 신호(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이용하여 상기 전류 변환 회로(60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LED 제어 회로(400) 중 특정 단자의 전압 레벨 및 LED 제어 회로(400)에 유입되는 전류를 제어하는데, 신호 입력부(610)는 중앙 제어 회로(500)로부터 PWM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 소자(620)가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른 전류 변환 회로(600)의 동작은 후술한다.
스위칭 소자(620)는 신호 입력부(610)로부터 수신한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소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펄스폭 변조 신호에 의해 스위칭 소자(620)의 온/오프 되는 정도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스위칭 소자(620)의 후단(예, 전류 제어부(630))의 전류 및 이에 따른 전압 레벨이 조절된다.
전류 제어부(630)는 스위칭 소자(620)와 연결되고, 특히 스위칭 소자(620)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LED로부터 센싱한 전류를 가공하여 LED 제어 회로(400)로 전송한다. 앞서 언급한대로 본 발명의 전류 변환 회로(600)는 항상 일정한 레벨의 전압을 유지해야 하는 LED 제어 회로(400)의 특정 단자가 일정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LED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제어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LED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류 변환 회로(6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LED 조명용 전원 장치 내 전류 변환 회로(600)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FET 소자를 이용하여 스위칭 소자(62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는 상술한 예에 따른 FET 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FET 소자는 게이트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드레인과 소스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는 정도가 달라지며, 채널 형성 정도에 따라 전류, 전압의 통전 여부, 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PWM 신호를 입력받아 회로를 제어하는 데에 적합하다.
한편,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신호 입력부(610)는 상기 FET 소자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며, 이로써, 중앙 제어 회로(500)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스위칭 소자(62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 입력부(610)와 스위칭 소자(620)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칭 소자(620)로 사용된 FET 소자의 게이트 단자 자체를 신호 입력부(610)로 볼 수도 있고, 게이트 단자와 직접 연결된 별도의 구성,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상의 도선에 의해 연결된 별도의 포트(port)가 신호 입력부(610)가 될 수도 있다. 즉 신호 입력부(610)와 스위칭 소자(620)는 그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지 외형적으로 각각 독립한 구성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신호 입력부(610)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FET의 게이트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저항이 여기에 해당한다.
상기 저항에 의해 FET의 게이트 단자가 구동될 수 있는 정격 전압을 맞춰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류 변환 회로(600)는 FET(스위칭 소자)가 올바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바이어스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술한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소자(620)가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류 제어부(630)에 복수의 저항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FET 소자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는 노드와 LED로부터 전류를 수신하는 노드 사이 또는 전류를 수신하는 노드와 LED 제어 회로(400)에 연결되는 노드 사이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LED 제어 회로(400)로 나가는 전압 레벨을 맞춰주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LED 제어 회로(400), 그 중에서도 전류 변환 회로(600)와 연결되는 단자는 특정 전압(예, 1V)으로 유지, 제어되어야 한다(이는 LED 제어 회로(400)의 전기적 특성에 기인한다.) LED에서 유입되는 전류가 상기 전류 변환 회로(6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LED 제어 회로(400)로 연결되는 경우, 일정 전압이 유지되어야 하는 LED 제어 회로(400)의 특정 단자가 상기 일정 전압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류 제어부(630) 내에 복수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고(도 3의 예에서는 3개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스위칭 소자(620)의 드레인 단자와도 직렬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스위칭 소자(6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항의 전압 및 LED 제어 회로(400)의 특정 단자의 전압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전압 제어는 LED 제어 회로(400)와 같은 IC 회로에서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은 전류 변환 회로(600)를 두어 위와 같은 전압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저항과 LED의 연결 지점 또는 저항의 크기를 조절하여 LED 제어 회로(400)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FET 소자의 드레인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캐패시턴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패시턴스 소자도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패시턴스 소자를 드레인과 접지 단자(또는 소스) 사이에 연결한다. 상술한 캐패시턴스 소자는 고주파 교류 성분을 통과시키는 일종의 하이패스 필터로(High Pass Filter, HPF)로 동작하며, LED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또는 PWM 신호가 FET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노이즈 신호가 상기 캐패시턴스 소자를 통해 접지 단자로 흘러나가도록 한다.
이로써 LED 제어 회로(400)에 직류 성분의 전압 및 전류가 전달되어 이를 바탕으로 LED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류 변환 회로(600)는 상기 신호 입력부(610)를 통해 수신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는 중앙 제어 회로(500)에 의해 듀티비가 조절되고, 스위칭 소자(620)는 듀티비가 조절된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 온/오프를 제어하며, 전류 제어부(630)는 스위칭 소자(620)의 온/오프에 따라 LED 제어 회로(400)로 입력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도 4를 통해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LED 조명용 전원 장치에 입력되는 PWM 신호에 따른 전류 변환 회로(600)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중앙 제어 회로(500)로부터 입력되는 PWM 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스위칭 소자(6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 동작에 따라 전류 제어부(630)에서 LED 제어 회로(400)로 유입되는 전류 및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듀티비가 0인 경우, 스위칭 소자(620)는 오프(off)되므로 LED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는 상기 스위칭 소자(620)로는 입력되지 않고 그대로 LED 제어 회로(400)로 입력된다. 반대로 듀티비가 1인 경우, 스위칭 소자(620)는 완전하게 온(on)되므로 LED로부터 흘러들어온 전류 중 일부가 상기 스위칭 소자(620)를 통해 흘러가고 이는, 상기 전류가 스위칭 소자(620) 및 전류 제어부(630)의 저항을 따라 흐르면서 일정 전압 레벨이 발생되므로, LED 제어 회로(400)는 일정 전압이 유지될 수 있다. 즉, PWM 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LED 제어 회로(400)와 전류 변환 회로(600)가 연결되는 노드의 전압이 결정되는 것이다. 듀티비의 상한(1)과 하한(0)에서의 동작은 위와 같고 듀티비를 위 상한, 하한 범위 내(0 초과 1 미만)로 제어하는 경우, 스위치가 완전히 온(on) 되는 상태와 완전히 오프(off)되는 상태의 사이로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노드(일정 전압 레벨이 유지되어야 함)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고, 여기에 더하여 LED로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IC 회로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사항(LED 제어 회로(400)의 특정 단자에 항상 일정한 전압 레벨이 유지되도록 함)을 특수한 회로 구성(전류 변환 회로(600)) 및 PWM 제어 방식에 의해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LED 조명용 전원 장치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한 부분까지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필터 200 정류기
300 역률 보상 회로 400 LED 제어 회로
500 중앙 제어 회로 600 전류 변환 회로
610 신호 입력부 620 스위칭 소자
630 전류 제어부

Claims (9)

  1. 입력 교류 전원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필터;
    상기 필터와 연결되고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로부터 수신된 전원의 역률을 제어하는 역률 보상 회로;
    LED 조명용 전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회로;
    상기 역률 보상 회로를 거쳐 입력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LED로 제공하는 LED 제어 회로; 및
    LED의 전류를 센싱하여 LED 제어 회로에 전송하는 전류 변환 회로;
    를 포함하되,
    상기 전류 변환 회로는
    상기 중앙 제어 회로로부터 펄스폭 변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펄스폭 변조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며, LED로부터 수신한 전류를 상기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따라 가공하여 LED 제어 회로로 전송하는 전류 제어부;
    를 포함하는 LED 조명용 전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는 중앙 제어 회로에 의해 듀티비가 조절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듀티비가 조절된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 온/오프를 제어하며,
    상기 전류 제어부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에 따라 LED 제어 회로로 입력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전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FET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전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FET 소자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전원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전원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FET 소자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는 노드에 복수의 저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전원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FET 소자의 드레인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캐패시턴스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전원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듀티비의 조절에 따라, 전류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레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전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듀티비가 0인 경우, 전류 제어부의 최소 전류가 LED 제어 회로로 유입되고, 상기 듀티비가 1인 경우, 전류 제어부의 최대 전류가 LED 제어 회로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전원 장치
KR1020130144392A 2013-11-26 2013-11-26 Led 조명용 전원 장치 KR20150060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392A KR20150060219A (ko) 2013-11-26 2013-11-26 Led 조명용 전원 장치
US15/038,884 US9807833B2 (en) 2013-11-26 2014-11-26 Power apparatus for LED lighting
PCT/KR2014/011426 WO2015080467A1 (ko) 2013-11-26 2014-11-26 Led 조명용 전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392A KR20150060219A (ko) 2013-11-26 2013-11-26 Led 조명용 전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219A true KR20150060219A (ko) 2015-06-03

Family

ID=5350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392A KR20150060219A (ko) 2013-11-26 2013-11-26 Led 조명용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02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21518B (zh) Led驱动电路、led照明器件、led照明设备和led照明系统
TWI811305B (zh) 整合式發光二極體(led)照明系統及用於操作led驅動器電路之方法
CN106664755B (zh) 具有调光器兼容性的射频(rf)受控灯
US9313855B1 (en) Intelligent lighting system and integrated circuit for determining ambient light intensity
JP2014160574A (ja) Led駆動装置及びled照明装置
WO2012008800A2 (ko) Led 조명용 통합 전원 집적 회로
US9516717B2 (en) Dimmable LED illuminating system, driver of the illuminating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illuminating system
JP2017536667A (ja) 照明要素の駆動
KR102396417B1 (ko) 조명 제어 장치
JP6373947B2 (ja) 調光器及びドライバが電気的絶縁構造を有する照明装置及びシステム
US9226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control and ambient light detection using an LED light fixture
US9101000B2 (en) Dimmable LED illuminating system
KR20170058097A (ko) 발광부 색온도 통합 제어 회로
KR100850249B1 (ko) 조광장치
JP6794129B2 (ja) 発光ダイオード(led)照明用の電源装置
CN209806125U (zh) 基于无线控制的照明系统
KR20150060219A (ko) Led 조명용 전원 장치
CN101799130A (zh) 自动调光的照明装置
KR20140103198A (ko) Led 디밍 제어 장치
US11490476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 luminaire dimming driver
CN209845369U (zh) 一种开关多段变色led调光电路
KR20190106416A (ko) 조명 제어 장치
KR20100010184U (ko) 구동회로가 내장된 소켓부를 가지는 엘이디램프
KR20170076467A (ko) 유무선 통합 조광 회로를 이용하는 조명 제어 장치
KR102520921B1 (ko) 유무선 통합 조광 회로를 이용하는 조명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