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070A - Multi-vision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ulti-vision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070A
KR20150060070A KR1020130144046A KR20130144046A KR20150060070A KR 20150060070 A KR20150060070 A KR 20150060070A KR 1020130144046 A KR1020130144046 A KR 1020130144046A KR 20130144046 A KR20130144046 A KR 20130144046A KR 20150060070 A KR20150060070 A KR 20150060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ens
display devic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9884B1 (en
Inventor
윤경상
황학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884B1/en
Publication of KR2015006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0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8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8Tile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narrow bezel between unit displays from being recognized.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which are arranged in transverse and vertical directions includes a lens device which is arranged on each upper side of the display panels and includes grooves formed on each end on the lower side thereof, and a bracket which is fixed to the lens device when one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lens device and is combined with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Description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MULTI-VISION DISPLAY DEVICE}[0001] MULTI-VISION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위 디스플레이(unit display)들 사이의 베젤영역(narrow bezel)이 인식되지 않도록 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in which a narrow bezel is not recognized between unit displays.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술의 진보에 따라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초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 100인치 이상의 초대면적의 화면을 구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곤란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Recently,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has been gradually expand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technology.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realiz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large area using a flat panel display device. However, it is practically very difficult to realize a screen having an area over 100 inches with a single flat panel display panel. Accordingly,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has been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hereto.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하여 대면적의 화면을 구현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와 같은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단위 디스플레이 패널에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하나의 영상을 각 단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분할하여 표시한다.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is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implement a large-sized screen. Such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displays different images on each unit display panel or displays one image on each unit display panel.

이러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한 방식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접합하여 대면적의 화면을 구현한 타일드 방식(tiled type)의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가 제안되었다. As a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a multi-vision display of a tiled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re joined to realize a large-sized screen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와 같은 타일드 방식의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의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하는 비표시 영역(베젤 영역)으로 인해 경계면에서의 이질감이 생기므로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면에서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tiled-type multi-vision display, a non-display region (bezel region) existing in the edge region of each display panel generates a sense of heterogeneity at the interface, There was a limit in terms of.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종래의 타일드 방식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타일드 방식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역 R1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tiled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iled-type multi-vision display device,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region R1 shown in FIG. 1 and 2 illustrat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s an example of a display panel.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타일드 방식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DP11~DP13, DP21~DP23)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컬러필터 기판 어레이(CFA),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어레이(TFTA), 이들 어레이(CFA, TFTA)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도시생략), 백라이트 유닛(BLU), 백라이트 유닛(BLU) 상측에 배치되어 컬러필터 기판 어레이(CFA)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어레이(TFTA)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가이드 패널(GP), 가이드 패널의 외측과 결합되며, 컬러필터 기판 어레이(CFA)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프런트 커버(FC)에 의해 하나의 디스플레이 단위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conventional tiled multivision display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DP11 through DP13 and DP21 through DP23 fastened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Each of the display panels constituting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includes a color filter substrate array CFA,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rray TFTA,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se arrays CFA and TFTA, a backlight unit BLU A guide panel GP disposed on the backlight unit BLU and hav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lor filter substrate array CFA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TFTA; And a front cover FC fo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from an impact from the outside to form one display unit.

이와 같이 종래의 타일드 방식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단위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단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영역2개가 합쳐진 영역이 베젤영역(BA)으로 되어 표시영역(DA)에 비해 베젤영역(BA)이 두드러지게 넓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iled-type multi-vision display device, since a plurality of unit display panels are combined, the area where two bezel areas of the unit display panel are combined becomes the bezel area B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zel area BA is remarkably wid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넬 렌즈를 이용하여 화면 최외곽까지 화상이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베젤영역이 시인되지 않도록 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in which a bezel area is not visually recognized by enlarging an image to the outermost portion of a screen using a Fresnel lens.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면의 위치에서 각 단부에 형성되는 홈들을 구비하는 렌즈장치; 및 상기 렌즈장치의 홈에 일단부가 삽입된 채 상기 렌즈장치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A lens device having grooves formed at each end in a position of a lens barrel; And a bracket fixed to the lens unit with one end thereof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lens unit and coupled with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상기 구성에서 렌즈장치는 베이스 렌즈와, 상기 베이스 렌즈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ens apparatus may include a base lens and a plurality of sub lenses disposed on the base lens.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 렌즈는 상기 베이스 렌즈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평면상에서 동심원의 형태를 갖도록 배열된다.Further, the plurality of sub lenses are arranged so as to form a concentric circle on a plane with respect to a central portion of the base lens.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 렌즈는 상기 베이스 렌즈의 중심부에는 배치되지 않는다.Further, the plurality of sub lenses are no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ase lens.

또한, 상기 브라켓은 평판형의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강성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cket may include a plate-like plate and a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bracket plate.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와 반대쪽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 구멍과, 상기 체결 구멍의 각각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열팽창 흡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The bracke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other end of the plate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plate, and a thermal expansion absorbing slit formed to surround the fastening holes.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하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기 위한 프런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체결구멍과 상기 프런트 커버에 형성되는 다른 체결 구멍들에 삽입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guide panel for supporting the display unit in the display load unit, and a front cover for protecting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plate of the bracket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inserted into the other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front co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프런트 케이스에 브라켓이 부착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이나 표시장치로부터 발생한 열이 가이드 패널과 프런트 케이스를 거쳐 직접 프레넬 렌즈에 전달되지 않고 브라켓을 더 거쳐 전달되기 때문에 열로부터 프레넬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acket is attached to the front case, heat generated from the backlight unit or the display device is not transmitted directly to the Fresnel lens through the guide panel and the front case,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Fresnel lens from heat can be obtained.

또한, 프레넬 렌즈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브라켓의 일단부가 고정되므로 브라켓과 함께 가이드 패널 및 프런트 케이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는 사람의 눈에 뜨이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one end of the bracket is fixed to th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esnel lens, the guide panel and the front case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bracket, so that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visibly observed by the viewer .

또한, 브라켓의 브라켓 플레이트에는 플레넬 렌즈에 인접하여 강성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레넬 렌즈의 하중에 의해 브라켓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bracket plate of the bracket is provided with the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adjacent to the plenel lens, the bracke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by the load of the plenel lens.

또한, 브라켓의 브라켓 플레이트에는 하측 단부에 열팽창 흡수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 조건(예를 들면, 일기 변화에 따른 고온, 고습의 환경)에 따라 플레넬 렌즈가 열 팽창하더라도 체결 구멍을 감싸고 있는 열팽창 흡수 슬릿에 의해 그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환경조건에 의해 발생된 열팽창 때문에 브라켓(BR)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bracket plate of the bracket is provided with the thermal expansion absorbing slit at the lower end thereof, even if the plastic lens is thermally expanded according to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exampl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due to diurnal changes) The thermal expansion can be absorbed by the thermal expansion absorbing sl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acket BR from being deformed due to thermal expansion caused by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도 1은 종래의 타일드 방식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역 R1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역 R2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넬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6c는 도 4에 도시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영역과 브라켓이 시인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광경로를 도시한 도면.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iled type multi-vision display device,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region R1 shown in FIG. 1,
3 is a front view showing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gion R2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esnel lens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shown in FIG. 4,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shown in FIG. 4,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shown in FIG. 6A,
FIG. 6C is a plan view of the bracket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shown in FIG. 4,
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for explaining a reason why a bezel area and a bracket of a unit display panel are not visible in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역 R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gion R2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shown in FIG. 3 and 4 illustrat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s an example of a display pane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other flat panel display device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DP11~DP13, DP21~DP23)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P11~DP13, DP21~DP23)의 각각(즉, 단위 디스플레이 패널)은 컬러필터 기판 어레이(CFA),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어레이(TFTA), 이들 어레이(CFA, TFTA)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도시생략), 백라이트 유닛(BLU), 백라이트 유닛(BLU) 상측에 배치되어 컬러필터 기판 어레이(CFA)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어레이(TFTA)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가이드 패널(GP), 가이드 패널(GP)의 외측과 결합되고, 컬러필터 기판 어레이(CFA)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프런트 커버(FC)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asten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DP11 to DP13 and DP21 to DP23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Each of the display panels DP11 to DP13 and DP21 to DP23 constituting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that is, a unit display panel) includes a color filter substrate array CFA,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rray TFTA, (Not shown), a backlight unit (BLU), and a guide panel (not shown) disposed above the backlight unit (BLU) and hav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lor filter substrate array CFA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TFTA And a front cover FC which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anel GP and is arranged to surround the rim of the color filter substrate array CFA and protects the display panel from an external impact.

단위 디스플레이 패널(DP11~DP13, DP21~DP23)은 또한 컬러필터 어레이(CFA)로 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갖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FL)와 프런트 커버(FC)의 외측에서 프런트 커버(FC)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프레넬 렌즈(FL)에 부착된 브라켓(BR)을 포함한다. The unit display panels DP11 to DP13 and DP21 to DP23 also include a Fresnel lens FL arranged apart from the color filter array CF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udes a bracket BR attached to the Fresnel lens FL, one end of which is arranged to be engaged with the front cover FC.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패널들(DP11~DP13, DP21~DP23)에 구비된 브라켓들(BR)을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is formed by combining the brackets BR provided in neighboring unit display panels DP11 to DP13 and DP21 to DP23.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넬 렌즈(FL)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넬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Next, the Fresnel lens FL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esnel lens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프레넬 렌즈(FL)는 베이스 렌즈(base lens)(100)와, 베이스 렌즈부(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평면상에서 동심원의 형태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서브 렌즈(sub-lens)(110)를 포함한다. 5, the Fresnel lens FL includes a base lens 100, a plurality of sub lenses sub (sub) lenses 100 arranged in a concentric shape o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lens unit 100, (110).

프레넬 렌즈(FL)의 베이스 렌즈(100)는 그 하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오목부 또는 홈(이하, "홈"이라 함)(120)을 구비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오목부 또는 홈(120)이 한쪽이 완전히 제거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랑 또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base lens 100 of the Fresnel lens FL has a concave portion or a groove 1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groove " In the embodiment of FIG. 5, one of the recesses or grooves 120 is shown as being completely removed, but it may have a shape of a ditch or a groove.

프레넬 렌즈(FL)의 서브 렌즈들(110)은 베이스 렌즈(100)의 중심부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서브 렌즈들(11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계면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열된다. 각 서브 렌즈(110)은 단면 형상이 직각 삼각형의 프리즘 형태를 가지며, 베이스 렌즈(100)와 동일 굴절율을 갖거나 다른 굴절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ub lenses 110 of the Fresnel lens FL are no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ase lens 100. [ In addition, the sub lenses 110 are arranged to be symmetrical about the interface of the display panel. Each of the sub lenses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ism shape of a right triangle in cross section and having the same refractive index as the base lens 100 or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켓(BR)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4에 도시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Next, the bracket BR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shown in FIG. 4,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shown in FIG. 6A, 1 is a plan view showing a bracket of a display device.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켓(BR)은 평판형의 브라켓 플레이트(200)와, 브라켓 플레이트(20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강성 보강부(210)를 포함한다. 강성 보강부(210)는 브라켓 플레이트(200)를 "ㄷ"자 형상이나 볼록(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브라켓(BR)은 또한 브라켓 플레이트(200)의 일측 단부와 반대쪽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 구멍(220)과, 각각의 체결 구멍(220)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열팽창 흡수 슬릿(230)을 포함한다.6A to 6C, the bracket BR of the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plate type bracket plate 200, And a reinforcing portion 210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The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210 is formed to have a "C" shape or a convex (concave) shape in the bracket plate 200. The bracket BR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0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bracket plate 20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0 formed to surround the fastening holes 220, And includes a slit 230.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BR)의 일단부는 프레넬 렌즈의 홈(120)에 끼워진 채 UV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프레넬 렌즈(FL)와 결합된다. 브라켓(BR)의 강성 보강부(210)는 프런트 케이스(FC)의 상단 테두리에 올려지며, 브라켓(BR)의 브라켓 플레이트(200)는 그 타측 단부에 형성된 체결 구멍(220)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도시생략)에 의해 프런트 케이스(FC)의 측면부에 고정된다. 즉 체결부재는 브라켓 플레이트(200)의 체결 구멍과 프런트 케이스(FC)에 형성된 다른 체결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브라켓 플레이트(200)와 프런트 케이스(FC)를 고정시킨다. Referring to FIG. 4 again, one end of the bracket BR is engaged with the Fresnel lens FL by a UV adhesive,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while being fitted in the groove 120 of the Fresnel lens. The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210 of the bracket BR is mounted on the upper edge of the front case FC and the bracket plate 200 of the bracket B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20 formed at the other end portion thereof, (Not shown) of the front case FC. That is,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of the bracket plate 200 and the other fastening 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front case FC to fix the bracket plate 200 and the front case FC.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프런트 케이스(FC)에 브라켓(BR)이 부착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BLU)이나 표시장치로부터 발생한 열이 가이드 패널(GP)과 프런트 케이스(FC)를 거쳐 직접 프레넬 렌즈에 전달되지 않고 브라켓(BR)을 더 거쳐 전달되기 때문에 열로부터 프레넬 렌즈(FL)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bracket BR is attached to the front case FC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acklight unit BLU or the display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guide panel GP The Fresnel lens FL can be protected from heat since it is not transmitted directly to the Fresnel lens via the front case FC but is further transmitted through the bracket BR.

또한, 프레넬 렌즈(FL)의 하면에 형성된 홈(120)에 브라켓(BR)의 일단부가 고정되므로 브라켓(BR)과 함께 가이드 패널(GP) 및 프런트 케이스(FC)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는 사람의 눈에 뜨이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nce one end of the bracket BR is fixed to the groove 120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Fresnel lens FL, the guide panel GP and the front case FC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bracket B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can not be seen by the viewer.

또한, 브라켓(BR)의 브라켓 플레이트(200)에는 플레넬 렌즈(FL)에 인접하여 강성 보강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레넬 렌즈(FL)의 하중에 의해 브라켓(BR)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bracket plate 200 of the bracket BR is formed with the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210 adjacent to the plenel lens FL, the phenomenon that the bracket BR is bent due to the load of the plenel lens FL Can be prevented.

또한, 브라켓의 브라켓 플레이트에는 하측 단부에 열팽창 흡수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 조건(예를 들면, 일기 변화에 따른 고온, 고습의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플레넬 렌즈가 열 팽창하더라도 체결 구멍을 감싸고 있는 열팽창 흡수 슬릿에 의해 그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환경조건에 의해 발생된 열팽창 때문에 브라켓(BR)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bracket plate of the bracket has the thermal expansion absorbing slit at the lower end thereof, even if the plastic lens is thermally expanded according to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example,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due to weather conditions) The thermal expansion can be absorbed by the wrapping thermal expansion absorbing sl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acket BR from being deformed due to thermal expansion caused by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프레넬 렌즈와 브라켓의 구성에 의해 종래의 베젤영역에 위치한 프런트 커버가 인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ont cover located in the conventional bezel area from being recogn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Fresnel lens and the bracket.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베젤영역의 구성이 외부로 인식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영역과 브라켓이 인식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광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reason why the configuration of the bezel area is not recognized as an outsi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for explaining the reason why the bezel area and the bracket of the unit display panel are not recognized in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프레넬 렌즈(FL)의 베이스 렌즈(100)는 전체 두께가 t이고, 표면에서 홈까지의 높이가 h1, 홈의 깊이가 h2이이다. 베이스 렌즈(100) 상에 형성되는 서브 렌즈(110)는 n1의 굴절율을 가지며, 베이스 렌즈(100)는 n2의 굴절율을 가지며, 공기의 굴절율을 n0라 한다. 프레넬 렌즈(FL)의 베이스 렌즈(100) 하면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컬러필터 기판(CFA) 상면까지의 거리를 h3라고 한다. 또 광이 출사되는 컬러필터 기판(CFA)의 끝단의 위치에서 브라켓(BR) 내측면까지의 거리를 x1, 광이 출사되는 컬러필터 기판(CFA)의 끝단의 위치에서 브라켓(BR) 외측면까지의 거리를 d3라 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base lens 100 of the Fresnel lens FL has a total thickness t, a height h1 from the surface to the groove, and a depth h2 of the groove. The sub lens 110 formed on the base lens 100 has a refractive index of n1, the base lens 100 has a refractive index of n2, and the refractive index of air is n0.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ens 100 of the Fresnel lens F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lor filter substrate CFA of the display panel on which light is emitted is h3.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color filter substrate CFA to the inside of the bracket BR is x1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BR at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color filter substrate CFA from which light is emitted Is referred to as d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고 있는 사람(이하 "시청자"라 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BR)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컬러필터 기판 어레이(CFA)를 통해 출사되는 광이 갖는 화상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도 7에서 화살표는 시청자가 화상정보를 인식하는 광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The view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viewer") who is looking at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cognize the bracket BR as shown in FIG. 7, but rather recognizes the color filter substrate array CFA of the display panel,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cognized. In Fig. 7, arrows indicate optical paths through which the viewer recognizes image information.

시청자가 브라켓(BR)이 위치하는 프레넬 렌즈(FL)의 서브 렌즈(110)를 보았을 때 시청자의 시선(화살표 a)과 서브 렌즈(110)의 경사면에 수직인 제 1 법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θ라 하고, 상기 제 1 법선과 서브 렌즈(110)에서 굴절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Φ라고 하면, 서브 렌즈(110) 외측은 공기로서 굴절율 n0이 1이고 서브 렌즈는 n1의 굴절율을 갖는 매질이므로, 스넬의 법칙(snell's law), 즉 수학식 1(sinθ=n1×sinΦ)에 의해 각도 Φ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렌즈(110) 내에서 시청자가 인식하는 광의 경로는 제 1 법선과 Φ의 각도를 이루는 화살표 b의 경로이다. When the viewer views the sub lens 110 of the Fresnel lens FL on which the bracket BR is located, an angle formed by the viewer's gaze (arrow a) and the first normal perpendicular to the slope of the sub lens 110 And the angle formed by light refracted by the first normal line and the sub lens 110 is?, The refractive index n0 is 1 as the air outside the sub lens 110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 lens is n1 The value of the angle? Can be obtained by Snell's law, that is, Equation 1 (sin? = N1? Sin?). Therefore, the path of the light recognized by the viewer in the sub lens 110 is the path of the arrow b which forms an angle with the first normal.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또한, 시청자는 서브 렌즈(110)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 렌즈(100)에서는 화살표 c의 광 경로를 인식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살표 b와 베이스 렌즈(100)의 표면에 수직인 제 2 법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θ-Φ로 된다. 상기 제 2 법선과 베이스 렌즈(100)에서 굴절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μ라고 하면, 서브 렌즈(110)는 n1의 굴절율을 갖고 베이스 렌즈(100)는 n2의 굴절율을 갖는 매질이므로, 스넬의 법칙, 즉 수학식 2에 의해 각도 μ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렌즈(100) 내에서 시청자가 인식하는 광의 경로는 제 2 법선과 μ의 각도를 이루는 화살표 c 경로이다. In addition, the viewer recognizes the optical path of the arrow c in the base lens 100 disposed below the sub lens 110. [ More specifically, the angle formed by the arrow b and the second normal lin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lens 100 is? - ?. The sub lens 110 has a refractive index of n1 and the base lens 100 has a refractive index of n2, and therefore,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normal and the light refracted by the base lens 100 is denoted by p, , That is, the value of the angle [mu] can be obtained from the equation (2). Therefore, the light path recognized by the viewer in the base lens 100 is an arrow c path that forms an angle with the second normal lin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또한, 시청자는 베이스 렌즈(100) 하측의 공간부에서 화살표 d의 광 경로를 인식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살표 d와 베이스 렌즈(100)와 하측의 공기층 사이의 경계선에 수직인 제 3 법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μ로 된다. 상기 제 3 법선과 베이스 렌즈(100) 하측의 공기층에서 굴절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ψ라고 하면, 베이스 렌즈(100)는 n2의 굴절율을 갖고 공기층은 1의 굴절율을 가지므로, 스넬의 법칙, 즉 수학식 3에 의해 각도 ψ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렌즈(100) 하측의 공기층에서 시청자가 인식하는 광의 경로는 제 2 법선과 μ의 각도를 이루는 화살표 c 경로이다. In addition, the viewer recognizes the optical path of the arrow d in the space portion below the base lens 100. [ More specifically, the angle formed by the third normal line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arrow d and the base lens 100 and the lower air layer is μ. If the angle formed by the third normal and the light refracted in the air layer below the base lens 100 is p, then the base lens 100 has a refractive index of n2 and the air layer has a refractive index of 1. Therefore, , That is, the value of the angle? Can be obtained from the equation (3). Therefore, the light path recognized by the viewer in the air layer below the base lens 100 is an arrow c path that forms an angle with the second normal line.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청자의 시선이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켓(BR)이 위치하는 부분을 향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컬러필터 기판 어레이(CFA)를 통해 출사되는 광이 시청자의 눈에 인식되게 되므로, 시청자의 눈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영역과 브라켓(BR)이 인식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even if the line of sight of the viewer is directed to a portion where the bracket BR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is positioned,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color filter substrate array CFA of the display panel substantially passes through the viewer's eyes The bezel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bracket BR are not recognized in the eyes of the viewer.

또한, 프레넬 렌즈(FL)의 표면으로부터 홈(120) 까지의 두께 h1을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urther, the thickness h1 from the surface of the Fresnel lens FL to the groove 120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4에서 x2는 프레넬 렌즈의 홈에 삽입되는 브라켓(BR)의 두께이다.In Equation (4), x2 is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BR)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Fresnel lens.

또한, 전체 베이스 렌즈의 두께 t가 정해지면 t=h1+h2 (h1은 베이스 렌즈의 상면부터 베이스 렌즈의 홈까지의 두께, h2는 홈의 깊이를 나타냄)이므로 베이스 렌즈의 홈(120)의 깊이 h2를 구할 수 있다. 또한, d1을 0의 값으로 수렴시키면 d2=t×tanμ(d2는 공기층으로부터 베이스 렌즈(100)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위치로부터 브라켓(BR) 외측 단부까지의 수평거리임)로 되고, 다시 d1을 0의 값으로 수렴시키면 프레넬 렌즈(FL)의 베이스 렌즈(100) 하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의 컬러필터 기판 어레이(CFA) 상면까지의 거리 h3는 다음의 수학식 5로부터 구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t of the entire base lens is determined, t = h1 + h2 (where h1 is the thickness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lens to the groove of the base lens and h2 is the depth of the groove) h2 can be obtained. When d1 is converged to a value of 0, d2 = t 占 tan 占 (d2 is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incident position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base lens 100 to the outer end of the bracket BR from the air layer) The distance h3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ens 100 of the Fresnel lens F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lor filter substrate array CFA of the display panel can be obtain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수학식 5에서, x1은 최외측의 광이 출사되는 컬러 필터 기판 어레이(CFA)의 위치에서부터 브라켓(BR)의 내측면 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x2는 브라켓(BR)의 두께를 나타내며, d2는 d2는 공기층으로부터 베이스 렌즈(100)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위치로부터 브라켓(BR) 외측 단부까지의 수평거리를 나타낸다. X1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color filter substrate array CFA from which the outermost light is emit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BR, x2 represents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BR, and d2 D2 represents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incident position of the light incident from the air layer to the base lens 100 to the outer end of the bracket BR.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oplay Panel),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Eltroluminescence Display),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phoresis Display)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display panel of the multi-vision display devic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 plasma display panel,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an electrophoresis display, and the lik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R : 브라켓 FL : 프레넬 렌즈
100 : 베이스 렌즈 110 : 서브 렌즈
200 : 브라켓 플레이트 210 : 보강부
220 : 체결홈 230 : 열팽창 흡수 슬릿
BR: Bracket FL: Fresnel lens
100: Base lens 110: Sub lens
200: Bracket plate 210:
220: fastening groove 230: thermal expansion absorbing slit

Claims (7)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면의 위치에서 각 단부에 형성되는 홈들을 구비하는 렌즈장치; 및
상기 렌즈장치의 홈에 일단부가 삽입된 채 상기 렌즈장치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A lens device dispos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nd having grooves formed at each end of the bottom surface; And
And a bracket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he bracket being fixed to the lens unit while being inserted into a groove of the lens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장치는 베이스 렌즈와, 상기 베이스 렌즈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s device comprises a base lens and a plurality of sub lenses disposed on the base le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렌즈는 상기 베이스 렌즈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평면상에서 동심원의 형태를 갖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sub lenses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concentric shape on a plane with respect to a central portion of the base le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렌즈는 상기 베이스 렌즈의 중심부에는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sub lenses are no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ase len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평판형의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강성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bracket includes a flat plate and a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bracket pl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와 반대쪽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 구멍과, 상기 체결 구멍의 각각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열팽창 흡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racket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other end of the plate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plate and a thermal expansion absorbing slit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ides of the fastening holes. Display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하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기 위한 프런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체결구멍과 상기 프런트 커버에 형성되는 다른 체결 구멍들에 삽입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guide panel for supporting the display unit in the display load unit, and a front cover for protecting the display unit,
And the plate of the bracket is fasten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the other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front cover.
KR1020130144046A 2013-11-25 2013-11-25 Multi-vision display device KR1020098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046A KR102009884B1 (en) 2013-11-25 2013-11-25 Multi-vision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046A KR102009884B1 (en) 2013-11-25 2013-11-25 Multi-vision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070A true KR20150060070A (en) 2015-06-03
KR102009884B1 KR102009884B1 (en) 2019-10-21

Family

ID=5350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046A KR102009884B1 (en) 2013-11-25 2013-11-25 Multi-vision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88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527A (en) * 2016-10-26 2018-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for Video Wall Display
WO2020062711A1 (en) * 2018-09-28 2020-04-02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bottom shell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638A (en)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케이티 Multivision apparatus for providing 3d video through multi display modu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410A (en) * 1995-07-19 1998-10-27 Drapeau; Raoul E. Video-wall viewing-angle enhancement system
US20100259566A1 (en) * 2007-11-22 2010-10-1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O2012157207A1 (en) * 2011-05-16 2012-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Multi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410A (en) * 1995-07-19 1998-10-27 Drapeau; Raoul E. Video-wall viewing-angle enhancement system
US20100259566A1 (en) * 2007-11-22 2010-10-1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O2012157207A1 (en) * 2011-05-16 2012-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Multi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527A (en) * 2016-10-26 2018-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for Video Wall Display
WO2020062711A1 (en) * 2018-09-28 2020-04-02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bottom shell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884B1 (en)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244B1 (en) Plate-Type Optical Member with Optical Fiber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2477818B1 (en) Display apparatus
US8472114B2 (en) Display device
US9709783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bezel hiding member
KR102531302B1 (en) Apparatus for Video Wall Display
EP2851741B1 (en) Prism sheet member and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50092442A1 (en) Display, display assembly, and backlight module
JP2009162999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ulti-display system
KR102335073B1 (en) Display apparatus
KR102266008B1 (en) Display device
KR102009884B1 (en) Multi-vision display device
KR20150093276A (en) Display device
TWI650598B (en) Optical film module and device thereof
US20140192554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therewith
KR102355821B1 (en)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 Panel
KR102116442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90010B1 (en) Display apparatus
KR102496169B1 (en) Viewing angle contro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3072980A (en) Array type display device
KR102355828B1 (en)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 Panel
KR102344296B1 (en)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 Panel and Plate-type Optical Member therefor
TWI422871B (en) Optical elememt and display module
JP5538267B2 (en) System frame
US20160170125A1 (en) Display device
KR102355832B1 (en)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