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587A -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방법 또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방법 또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587A
KR20150059587A KR1020140092507A KR20140092507A KR20150059587A KR 20150059587 A KR20150059587 A KR 20150059587A KR 1020140092507 A KR1020140092507 A KR 1020140092507A KR 20140092507 A KR20140092507 A KR 20140092507A KR 20150059587 A KR20150059587 A KR 20150059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user
area
documents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달용
Original Assignee
전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달용 filed Critical 전달용
Publication of KR20150059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을 통하면 해당 시스템은 우수한 여러 분야의 문서를 분석하여 DB로 만들어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해당 분야의 문서의 타이틀과 그 세부 작성양식을 시스템은 구분하여 한 화면에 출력을 하여 화면에서 보고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를 검증 및 검토의 기능을 가지게 하여 업무의 효과를 극대화 및 문서작성을 위해 아웃소싱을 하는 경우 개인의 문서정보의 대외 유출의 위험이 있으며 비용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방법 또는 시스템{The system guidance and method that allow you to create various documents}
본 발명은 여러 분야의 문서를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문서작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분야의 문서를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또는 SYSTEM(이하 ‘시스템’ 이라한다.) 으로써 기존에는 참조문서를 출력하여 참조하거나 모니터를 이용하여 한 화면에 두 개 혹은 연결된 다른 모니터 혹은 기기에 띄워놓고 작성을 하거나 그것도 여의치 않을 경우 외부에 아웃소싱을 하였다. 그렇게 되면, 문서를 조사하고 출력하여 일일이 체크하면서 작성하는 불편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 사용자가 문서를 작성하려면 참조도서나 참조문서를 찾아서 보거나 혹은 사전에 만들어진 비슷한 유형의 문서 등을 참조하여 작성을 하였다.
또한, 참조문서를 듀얼모니터 혹은 다른 디바이스(노트북, 스마트폰, 아이패드와 같은 노트패드 등)를 이용하거나 참조문서를 출력하여 직접 보면서 작성을 하였다.
이렇게 되면 모니터가 두 개로 이루어진 듀얼 혹은 그 이상의 모니터로 이루어진 것이거나 혹은 다른 디바이스를 참조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제어하기가 불편하였고,
행여 급하거나 사전지식 및 자료가 없을 경우 외부에 의뢰를 하게 되는데 이때 내부문서의 외부 유출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거나 혹은 비용이 들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과 유사한 특허문헌을 조사한 결과를 비교하여 차이점과 본 발명이 아래의 발명보다 진보성이 있음을 지재한다. 일본공개공보 ?1-280866 호에서는 ‘문서를 특정하여 명세서 작성에 참조로 제공되는 명세서 전체 형식 및 항목별 기재사항의 가이드를 특허명세서 작성 시 자동적으로 얻어지게 함으로써 특허명세서 작성에 편의를 제공하려고 한다.’ 라고 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이 문서를 편집하여 출력하여 사용자가 참조하여 작성하는 것과는 동떨어진 발명이다. 또한, 국내 출원번호 10-2000-0012391의 ‘특허 명세서 작성 참조용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에서는 명세서 작성 참조자료를 생성장치 및 방법의 제공을 통하여 명세서 작성을 단순히 온라인으로 옮기는 것과 더불어 참조자료를 서칭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참조자료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명세서작성을 사용자가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다른 발명에 해당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출원번호 10-2004-7003037의 ‘특허 출원명세서 작성 및 기술 평가를 위한 자동화 된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간단한 내용을 직접입력 후 특허 가치 평가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도식표현과 특허청구범위 등의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위의 국내 출원번호 10-2000-0012391과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은 참조자료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명세서작성을 사용자가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다른 발명에 해당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출원번호 10-2004-090106 인 ‘인터넷을 이용한 특허면세서 작성방법 및 그 특허 출원은 특허사무소와 상호수신을 통한 명세서의 작성으로 사용자가 초안을 작성하여 특허사무실로 보내면 특허사무소는 수정을 하여 사용자에게 보내고 그것을 고쳐서 다시 특허사무실로 보내면 2차로 다시 수정하여 사용자에게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것은 현재 오프라인의 절차를 단순히 온라인으로 이루는 것 일 뿐이다. 국내 출원번호 10-2000-0028777 인 ‘비즈니스 모델 특허출원 명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은 명세서의 분류별 항목을 저장하여 추후에 불러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으로 요약, 발명의 구성, 효과, 청구항을 저장하여 식별요소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발명과 유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단순히 식별요소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참조된 문서를 통하여 문서의 가공을 통해 식별요소를 추출하는 것으로 기술적으로 상당히 진보된 것이다.
특허청의 전자문서작성기 및 서식작성기가 본 발명과 같은 특허서식을 작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위의 방법은 특허문서작성법 및 규정을 안내하고 있으며, 기존의 문서를 참조하여 작성할 수는 없게 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문서작성 시 실제 유사한 문서 예시를 참조하여 입력 폼을 제공하여 문서를 효과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함께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카테고리의 문서를 작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를 저장하거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문서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참조문서이거나 사용자가 직접저장이 가능한 (DOCUMENT DB); 시스템에서 만들어진 카테고리 별 문서작성 툴인 작성예시가 있는 저장부(DATA DB)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문서의 가공은 시스템에서 제공한 참조문서나 사용자가 직접저장한 문서 즉, DOCUMENT DB를 식별요소를 자르거나 캡처 혹은 텍스트로 추출하거나 해당 부분을 이미지화 하거나 하는 해당 영역을 화면의 특정부분에 보이게 하는 것(이하 ‘편집’ 이라고 한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서의 경우 식별요소(발명의 명칭, 발명의 요약, 기술 분야, 발명의 내용, 발명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항 등)로 편집하여 출력화면의 특정부분에 보이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 사업계획서의 경우 식별요소(제목,목차,사업개요,개발이유,마케팅,시장규모,경쟁분석,기술성,SWOT, 손익계산, 소요자금 등)로 편집하여 출력화면의 특정부분에 보이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이 식별요소는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문서의 목차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고, 순서나 제목일 수 있다.
문서작성 툴이 있는 시스템자체 DB영역 안의 저장부(DATA DB)에는 문서를 직접 작성할 수 있는 작성예시를 저장하고 있다. 이는 여러 카테고리 문서를 분석하여 각 식별요소에 어떠한 내용을 써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문서가공이 완성이 되면 그에 따라 입력 폼을 생성한다. 이 입력 폼은 시스템에서 참조문서나 작성예시 등을 분석하여 시스템에서 자동 생성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문서선택단계에서는 사용자는 사용자 스스로가 만들고자 하는 문서를 찾아서 DB에 직접 올리거나 저장하는 단계 혹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DB에서 찾아서 저장하여 언제든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으로 출력을 할 수 있다.
문서형태출력은 문서 작성 형태의 전체 출력화면은 참조문서와 입력 폼, 작성예시와 입력 폼, 작성예시와 입력 폼 그리고 참조문서를 함께 출력하여 보여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로 참조문서를 두 개와 입력 폼 그리고 작성예시를 함께 한 화면 또는 몇 개의 연결된 모니터로 확장하여 본 시스템에서 제어 및 출력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이란, 컴퓨터시스템내의 디스플레이모드에서 프로젝트에 연결 혹은 디스플레이설정변경에서 다중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확장을 통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기존의 카테고리 별로 참조문서를 통해 시스템에 저장된 참조문서와 작성예시를 만들어진 입력 폼에 저장하여 저장된 입력 폼을 불러들이는 단계는 시스템에서 지정한 형식의 입력 폼을 불러들이는 단계와 사용자가 직접 만든 입력 폼을 불러들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스템은 참조문서를 저장하고 있거나, 사용자가 저장한 문서를 저장하게 되면, 시스템은 해당문서의 영역별로 편집하여 별도로 저장하여 시스템 혹은 사용자가 문서를 불러오게 되면 시스템이 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출력이 되도록 하면 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는 문서를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그 기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문서의 규칙이 엄격하여 각 식별요소가 분명한 특허 명세서에 관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식별요소에 내용입력을 개별적으로 할 수 있는 경우이다. 식별요소를 따로 선택하여 출력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3가지 즉, 참조문서와 작성예시 그리고 입력 폼을 한 화면에 출력을 한 UI를 예를 들어 보인 것이다.
도 6은 사용자에 의해 출력물의 순서 및 위치를 바꾼 것이다. 이때 각 구성들인 참조문서와 입력 폼 그리고 작성예시는 좌우나 상하로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도 7,8은 출력된 화면에 사용자의 의해 화면의 출력물을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는 것을 예로 들어 보인 것이다.
도 9는 문서가공을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을 예시한다.
이때 편집된 부분은 원하는 식별요소에 배치된다. 여기서 문서가공의 편집은 해당 식별요소를 자르는 것과 해당 식별요소부분을 텍스트로 추출하는 기술 그리고 해당 부분을 이미지화하여 추출하거나 해당영역을 캡처하는 등의 기술을 말한다.
도 10은 문서의 검토를 진행하는 단계와 수정을 예시한다.
도 11은 한 화면에 2개의 창을 띄우거나 듀얼모니터를 사용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부터 도17은 한 화면에서 출력되는 문서작성을 예시한 그림이다.
도 18은 작성예시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만들 문서를 보다 손쉽고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실시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DB영역(1000)에는 문서를 직접 작성할 수 있는 작성예시를 저장하고 있다. 이는 여러 카테고리 문서를 분석하여 각 식별요소에 어떠한 내용을 써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가 문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본인에게 필요한 문서를 찾아서 저장하거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문서를 찾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는 사용자가 직접입력이 가능한 DOCUMENT DB영역(1001)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DOCUMENT DB영역(1002);
시스템에서 만들어진 카테고리 별 문서작성 툴인 작성예시가 있는 저장부(1003);
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문서가공영역(2000)은 참조된 문서를 편집함에 따라 시스템은 식별요소를 구분하여 그 식별요소에 맞는 입력 폼을 생성한다. 이 입력 폼은 시스템내의 참조문서를 통해서 사전에 제작이 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추가된 참조문서에 따라서 자동 생성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문서의 가공은 참조 된 문서 즉, DOCUMENT DB를 해당식별요소를 자르거나 캡처 혹은 텍스트로 추출하거나 해당 부분을 이미지화 하거나 하는 해당 영역을 화면의 특정부분에 보이게 하는 것(이하 ‘편집’ 이라고 한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의 경우 식별요소( 발명의 명칭, 발명의 요약, 기술 분야, 발명의 내용 등을 편집을 한 후 )로 편집하여 출력화면의 특정부분에 식별요소를 보이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이 식별요소는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문서의 목차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순서제목일 수 있다.
UI영역(3000)은 원하는 문서선택을 한 사용자는 사용자 스스로가 만들고자 하는 문서를 찾아서 DB에 직접 올리거나 저장하는 단계 혹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DB에서 찾아서 저장하여 언제든 화면 안에 출력을 할 수 있을 수 있다.
문서 작성 형태의 전체 출력화면은 참조문서와 입력 폼, 작성예시와 입력 폼, 작성예시와 입력 폼 그리고 참조문서를 함께 출력하여 보여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참조문서를 두 개와 입력 폼 그리고 작성예시를 함께 한 화면에 출력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존의 카테고리 별로 참조문서를 통해 시스템에 저장된 참조문서와 작성예시를 만들어진 입력 폼에 저장하여 저장된 입력 폼을 불러들이는 단계는 시스템에서 지정한 형식의 입력 폼을 불러들이는 단계와 사용자가 직접 만든 입력 폼을 불러들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참고문서, 참조문서를 작성하는데 참조하거나 예를 드는 것을 '참조문서'라 통일 한다.
저장영역(4000)은 사용자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참조문서를 참조하여 작성한 문서는 자동 입력이 되며 저장이 된다. 이 저장된 자료는 언제든 불러들일 수 있고 또한 다른 영역의 사이트와 호환이 가능할 수 있다.
검토영역(5000)은 문서의 규칙이 있는 경우 패턴을 분석하고 그 규칙을 적용하여 검토 및 검증을 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발명의 구성요소를 나열하며, 그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을 하고자 한다.
DB영역(1000)은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이외에 사용자 참조문서와 시스템내 참조문서 그리고 작성예시를 포함한 사용자 작성문서가 포함이 된다.
이때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저장문서영역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문서가 있는데 이를 통칭하여 DOCUMENT DB영역이라 하고, 이는 도 2의 사용자 선택문서인(1001)과 DB문서 선택인 (1002)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 또는 입력 폼에 추가사항을 넣을 수 있는데, 이 자료가 좋을 경우 시스템은 DB영역 혹은 제휴된 시스템으로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참조 및 입력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문서가공영역(2000)은 사용자에 의해 참조 된 문서를 분석하여 식별요소별로 편집하고, 이때 편집된 내용에 따라 입력 폼이 생성 혹은 사용자에 의해 추가가 되며, 참조문서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작성예시를 참조 및 사용자에 의해 추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UI영역은(3000) 은 참조된 문서와 문서작성예시 그리고 문서가공을 거쳐 만들어진 입력 폼이 출력장치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 내에서 모니터의 한 화면에 구성이 되도록 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때 참조문서는 한 화면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 참조문서를 두 개와 입력 폼 그리고 작성예시를 함께 한 화면 또는 몇 개의 연결된 모니터로 확장하여 출력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이란,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모드에서 프로젝트에 연결 혹은 디스플레이설정변경에서 다중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확장이나 무선을 이용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때 참조문서는 사용자에 의해서 각각 상하좌우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추가로 참조문서 및 작성예시를 추가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저장영역(4000)은 사용자가 참고한 참조문서, 작성예시를 참조하여 입력 폼에 해당 내용을 작성하면 수시로 저장을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 또한 저장영역에 보관이 되어 질 수 있는데, 이 자료가 좋을 경우 시스템은 DB영역으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문서는 사용자에 의해서 일정한 보안 및 절차를 거쳐 외부로 공유를 할 수 있다.
검토영역(5000)은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를 언제든 검토 및 검증하는 영역으로써 문서의 규칙이 있는 경우, 문서의 패턴을 분석하여 그 규칙을 적용하여 문서를 검토 및 검증(5001)할 수 있다.
문서의 검토까지 완성이 되면 문서완성(6000)을 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실시하는 과정을 기술한 것이다.
사용자(100)가 시스템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참조문서를 선택하여 저장하거나 시스템에 저장된 자체DB영역(1000)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각 카테고리 별로 문서의 형태 및 구조를 분석하여 자체적으로 개발이 된 문서작성방법을 실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작성예시가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이 되어 지거나 사용자가 직접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어 진다.
이후 문서가공(2000)의 단계가 추가가 되며, 문서가공(2001)은 해당식별요소를 자르거나 캡처 혹은 텍스트로 추출하거나 해당 부분을 이미지화 하거나 하여 해당 영역을 화면의 특정부분에 보이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후 참조문서와 작성예시 그리고 문서가공의 단계에 따라 입력 폼을 생성(2002)할 수 있다. 이 입력 폼은 참조문서와 작성예시 그리고 문서가공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 추가 입력 폼을 생성을 시킬 수도 있다.
참조문서와 작성예시 그리고 문서가공을 거쳐 만들어진 입력 폼이 출력장치는 모니터의 화면에 구성이 되도록 하는 것을 지칭한다.
문서가 선택이 되고 나면 문서형태(3000)로 출력을 시키게 된다.
참조문서가 저장되고, 문서가공이 되어 입력 폼이 생성이 되면, 원하는 문서를 선택(3001)하여 출력시킨다.
이때 참조문서와 입력 폼 , 작성예시와 입력 폼 혹은 작성예시, 입력 폼 그리고 참조문서를 한 화면에 출력을 시킬 수 있으며, 이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작성예시나 참조문서가 추가로 있을 경우 그것 또한 보이게 할 수 있다.
문서형태출력(3002)은 참조문서와 입력 폼, 작성예시와 입력 폼, 그리고 작성예시, 참조문서와 입력 폼 등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문서형태가 출력이 되면 그에 따라 문서에 입력 및 저장(4001)을 하게 된다.
문서의 입력 및 저장은 한 화면에서 이루어진다.
입력 및 저장이 완료가 되면 검토 및 검증의 단계(5001)를 거치게 된다.
이때 시스템에서 오류메시지를 전송하고 사용자(100)은 오류메시지를 수신 후 오류를 수정하여 재 작성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컨설팅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컨설팅 요청은 시작 혹은 중간 등 매 단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입력이 완성되거나 혹은 입력 중이라고 해도 언제든 문서의 검토 및 검증(5001)이 가능하다. 문서의 패턴을 분석하여 규칙이 있는 경우 그 규칙을 적용하여 검토 및 검증을 특징으로 하며,(본 발명에서는 특허명세서를 구체적인 사례로 들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시스템에서 요청한 수정내용을 직접 수정하거나 혹은 컨설팅 요청을 통하여 수정 및 검토를 요청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입력된 문서는 자동으로 저장이 되며, 언제든지 출력이나 공유가 되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문서의 규칙이 엄격하여 각 식별요소가 분명한 특허 명세서에 관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좌측은 참조 된 명세서를 식별요소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편집하여 모니터에 출력을 한 것이고, 우는 참조문서를 토대로 하여 시스템에서 식별요소를 구분하여 입력 폼을 만든 것을 예시 한 것이다.
도-4는 도-3의 식별요소에 내용을 넣을 필요가 있을 경우 내용을 입력할 수 있으며, 검토 및 수정 등으로 출력을 할 경우에 모든 식별요소가 다 출력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5는 3가지 즉, 참조문서와 작성예시 그리고 입력 폼을 한 화면에 출력을 한 UI를 예를 들어 보인 것이다.
도6은 사용자에 의해 출력물의 순서 및 위치를 바꾼 것이다. 이때 각 구성들인 참조문서와 입력 폼 그리고 작성예시는 좌우나 상하로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도7,8은 출력된 화면에 사용자의 의해 화면의 출력물을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는 것을 예로 들어 보인 것이다.
사용자가 참조문서를 두 개를 원하거나, 작성예시, 그리고 입력 폼을 선택할 경우 4개의 화면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도9는 문서가공(9000)을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을 예시한다.
이때 편집된 부분은 원하는 식별요소에 배치된다. 식별요소는 문서의 제목 혹은 카테고리, 순서 등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문서가공의 편집은 해당 식별요소를 자르는 것과 해당 식별요소부분을 텍스트로 추출하는 기술 그리고 해당 부분을 이미지화하여 추출하거나 해당영역을 캡처하는 등의 기술을 말한다.
도 10은 문서의 검토를 진행하는 단계와 수정을 예시한다.
도 11은 한 화면에 2개의 창을 띄우거나 듀얼모니터를 사용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부터 도17은 한 화면에서 출력되는 문서작성을 예시한 그림이다.
도 18은 작성예시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면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했던 문서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모든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1000(DB영역), 2000(문서가공영역) , 3000(UI영역) , 4000(저장영역) , 5000(검토영역) , 6000(문서완성 및 업로드영역), 9000(문서가공) , 100(사용자)

Claims (7)

  1. 사용자가 문서를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이외에 사용자가 참조문서를 저장하는 DB영역(1000);

    사용자에 의해 참조 된 문서를 분석하여 식별요소별로 편집하고, 이때 편집된 내용에 따라 입력 폼이 생성 혹은 사용자에 의해 추가가 되며, 참조 된 문서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작성예시를 참조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추가될 수 있도록 하는 문서가공영역(2000);

    상기에 의해 저장되어진 참조문서와 작성예시 그리고 입력 폼이 화면에 불러 들여 배치되게 할 수 있는 UI(화면구성 출력)영역(3000);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참조 된 문서, 작성예시를 참조하여 입력 폼에 해당 내용을 작성하면 수시로 저장을 하는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에 의해서 언제든 출력이 가능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영역(4000);

    상기에 의해 입력된 문서를 시스템에서 검토를 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정 및 컨설팅요청을 할 수 있는 검토영역(5000);
    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문서를 만들 때 유사한 문서를 찾아 참조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를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문서를 선택하게 되어 바로 참조를 하게 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가 편집이 되어 식별요소별로 저장이 되게 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문서의 출력형태는 사용자에 의해서 자유로이 배치시킬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다른 문서를 추가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서를 시스템에서 분석하여 문서의 불완전요소 및 수정요소를 검토하는 검토영역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정하거나 혹은 컨설팅을 요청하여 문서를 검토할 수 있는 문서를 상호 교환과 검토가 가능한 시스템.
  5. 사용자(100)는 DB영역(10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선택하게 되면,
    시스템에서는 그 참조문서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참조문서는 해당식별요소별로 저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참조문서는 참조 된 문서전체나 참조 된 문서를 해당식별요소를 편집하여 특정영역을 화면에 자유롭게 보이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문서의 출력형태는 사용자에 의해서 자유로이 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의 다른 문서를 추가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KR1020140092507A 2013-11-12 2014-07-22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방법 또는 시스템 KR201500595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707A KR20130133145A (ko) 2013-11-12 2013-11-12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툴 또는 시스템
KR1020130136707 2013-11-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221A Division KR101755160B1 (ko) 2016-06-28 2016-06-28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방법 또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587A true KR20150059587A (ko) 2015-06-01

Family

ID=499812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707A KR20130133145A (ko) 2013-11-12 2013-11-12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툴 또는 시스템
KR1020140092507A KR20150059587A (ko) 2013-11-12 2014-07-22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방법 또는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707A KR20130133145A (ko) 2013-11-12 2013-11-12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툴 또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30133145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145A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2582B2 (en)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able codes in presentation enabling targeted feedback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US9092173B1 (en) Reviewing and editing word processing documents
US108962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compliance framework database schema
RU2498391C2 (ru) Обмен информацией между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м интерфейсом внутренне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редактора документов 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м интерфейсом внешне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редактора документов
US20180113846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diting web pages in-context of a production view
US201301797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editing and publishing cross-platform interactive electronic works
US201502776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al-Time Modification of Videos and Images Within a Social Network Format
US20120109884A1 (en) Enhancement of user created documents with search results
Khalili et al. The rdfa content editor-from wysiwyg to wysiwym
US10565280B2 (en) Website content identification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N107305527B (zh) 代码文件的处理方法和装置
US11004165B2 (e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claim-based patent analysis
US8457412B2 (e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collection of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Dhargalkar et al. A universal new product development and upgradation framework
CN108334484B (zh) 数据录入的方法和装置
US9135234B1 (en) Collaborative generation of digital content with interactive reports
US20110151426A1 (en) Learning tool
US11120200B1 (en) Capturing unstructured information in application pages
US8418051B1 (en) Reviewing and editing word processing documents
Villena et al. Web videos–concerns about accessibility based on user centered design
KR101755160B1 (ko) 다양한 문서를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방법 또는 시스템
Tovstiadi et al. Comparing digital apples and oranges: A comparative analysis of e-books across multiple platforms
CN105718434A (zh) 一种自然语言公式编辑方法和系统
US20130238396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signing assessment report
US20210124720A1 (en) Managing file revisions from multiple review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