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340A -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 Google Patents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340A
KR20150059340A KR1020130142820A KR20130142820A KR20150059340A KR 20150059340 A KR20150059340 A KR 20150059340A KR 1020130142820 A KR1020130142820 A KR 1020130142820A KR 20130142820 A KR20130142820 A KR 20130142820A KR 20150059340 A KR20150059340 A KR 20150059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butadiene
acrylonitrile
resin
styren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1761B1 (en
Inventor
정재일
유영만
이계윤
전성완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761B1/en
Priority to PCT/KR2014/011136 priority patent/WO2015076560A1/en
Priority to TW103140435A priority patent/TWI649370B/en
Publication of KR2015005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3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including: (1) 30 to 90 parts by weight of a polylactic acid resin; and (2) 70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The (1) polylactic acid resin includes: a hard segment including a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of chemical formula 1; and a soft segment including a polyolefin-based repeating unit where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s of chemical formula 2 are linearly or basinally connected with a urethane combination or an ester combination as a mediu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which has greater than or equal to 60 weight% of an organic carbon content (%Cbio) of a biomass origin defined as a math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enables to show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to be usefully used as a material of a shaped product since superb general properties such as thermal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 mechanical property, injection machinability, etc. are excellent, as well as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with an eco-friendly feature.

Description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Technical Field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

본 발명은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향상된 내충격강도를 나타낼 뿐 아니라, 내열성, 내습성, 기계적 물성 및 사출 가공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여 성형품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는 폴리유산 수지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which not only exhibits an improved impact strength but also has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moisture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and injection- Butadiene-styrene copolymers, which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molded article material, and which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나일론(nylon), 폴리올레핀(polyolefin) 또는 연질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원유기반 수지는 현재까지도 포장용 재료 등 다양한 용도의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러나, 이러한 원유기반 수지는 생분해성을 가지지 않아 폐기시 지구 온난화가스인 이산화탄소 등을 다량 배출하는 등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점차로 석유 자원이 고갈되어감에 따라, 최근에는 바이오 매스(bio mass) 기반의 수지, 대표적으로 폴리유산 수지의 사용이 널리 검토되고 있다. Crude oil-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nylon, polyolefin or flexible polyvinyl chloride (PVC) are still widely used as materials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ackaging materials. However, these crude oil-based resins do not have biodegradability and thus have a problem of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a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which is a global warming gas, when they are disposed of. Further, as the petroleum resources gradually become depleted, the use of biomass-based resins, typically polylactic acid resins, has been widely studied.

그러나, 이러한 폴리유산 수지는 원유기반 수지에 비하여 내열성 및 내습성이나 기계적 물성 등이 충분치 못하기 때문에,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분야 또는 용도에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폴리유산 수지를 포장용 필름 등의 포장용 재료로서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진 바 있지만,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낮은 유연성 때문에 이러한 적용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However, these polylactic acid resins are insufficient in heat resistance, moisture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crude oil-based resins, and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fields or applications to which they can be applied. Particular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poly (lactic acid) resin as a packaging material for packaging films and the like, but such applications are limited due to the low flexibility of the poly (lactic acid) resin.

이러한 폴리유산 수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폴리유산 수지와 다른 범용 수지 및/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얼로이 형태의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얼로이 형태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품 등을 얻더라도,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두 수지간의 상용성 문제로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uch polylactic acid resins, polylactic acid resins and other general-purpose resins and / or alloying-type compositions of engineering plastics are used. However, even when a molded article containing a polylactic acid resin is obtained by using such a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ring, in most cases, compatibility problems between the two resins have been limited in improving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또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폴리유산 수지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를 얼로이 하는데,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용화제를 도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1626호 및 제2011-0000247호). 그러나, 이러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용화제 또는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반응성 상용화제를 사용한 폴리유산계 수지 조성물 및 제품은 상용화제의 원가 부담이 문제가 되며, 폴리유산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의 낮은 상용성을 극복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물성 개선의 효과가 충분치 않아 높은 내구성을 요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로의 적용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유산계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 분포가 넓고 용융특성이 불량하여 성형 사출상태가 좋지 않고, 제품의 외관이 불량하고,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 또한 충분치 못하였다. 또한, 상기 상용화제는 잔류 용매와 단량체, 그리고 컴파운딩시 열 분해물로 인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발생시켜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s)의 발생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에서 특히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또는 탄소수 5 내지 12의 알칸류의 화합물은 강한 자극성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러한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공기에 사람이 장시간 노출되게 되면 두통, 졸음, 멀미, 호흡곤란, 눈, 코, 목 통증 등의 해를 입을 수도 있다.In addition, recently, a method of introducing a graft copolymer compatibilizer into a polylactic acid resi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s been proposed (Korean Patent Laid- 2012-0041626 and 2011-0000247). However,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s and products using such graft copolymer compatibilizers or glycidyl methacrylate reactive compatibilizers are problematic in that the cost of the compatibilizing agent is high, and when the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acrylonitrile-butadiene- There is a limit in overcoming the low compatibility of the rhenylene copolymer so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is not sufficient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henylene copolymer as an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requiring high durability. In addition, such a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has a wid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oor melting property, poor molding injection state, poor appearance of the product, and insufficient mechanical properties, heat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In addition, the compatibilizers generate volatile organic compounds due to residual solvents, monomers, and thermal decomposition products upon compounding, thereby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s). Among these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mpounds of toluene, xylene, styrene, or alkanes of 5 to 12 carbon atoms have a strong irritating odor, and when a person is exposed to the air containing such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 a long time, Drowsiness, motion sickness, shortness of breath, eye, nose, and neck pain may be harmful.

또한, 폴리유산 수지는 일반적으로 내습성이 매우 취약한데, 이는 주로 수지가 함유하는 수분에 의한 가수분해 반응(hydrolysis reaction)이 주된 원인이며, 그 결과 중합체 일부가 유산,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로 분해되어 분자량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The polylactic acid resin generally has a very weak moisture resistance, which is mainly caused by a hydrolysis reaction of water contained in the resin. As a result, a part of the polymer is decomposed into lactic acid, a monomer or an oligomer, Degradation occurs.

더욱이 생성된 유산, 모노머와 올리고머는 수지의 성형 가공시 휘발되어 기계 장치의 오염 및 부식을 유발하기도 하며, 성형된 제품의 품질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압출 성형에 의한 시트 제조의 경우, 수지 내 잔류하는 유산, 모노머 및 올리고머가 시트 압출시 휘발되어 제조되는 시트의 두께 편차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사출 성형품의 경우 제조된 이후에도 제품 사용 환경에 따라 지속적인 가수분해가 일어나 기계적 물성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폴리유산 수지의 특성상 수분흡수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압출기를 통과한 후 냉각을 위해 워터 배스(water bath)에서 작업시, 또는 이들 컴파운딩 제품의 보관시 펠렛 상태에서 수분흡수가 증가하며, 이를 이용하여 성형품을 사출할 경우 수지 내의 수분에 의한 실버 스트리크(silver streak)와 같은 외관불량이나 물성저하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e resulting lactic acid, monomers and oligomers volatilize during the molding process of the resin, leading to cont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machine and also to quality problems of the molded product. Specifically, in the case of sheet production by extrusion molding, residual lactic acid, monomer and oligomer remaining in the resin are volatilized during sheet extrusion, resulting in a variation in thickness of a sheet to be produced. In the case of injection molded articles, Hydrolysis may occur and deterio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may occur.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poly (lactic acid) resin, the water absorption is very easy, so that the water absorption in the pellet stat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bath for cool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extruder, Injection of a molded product may cause defects such as appearance of silver streak due to moisture in the resin and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따라서, 보다 향상된 내충격성을 나타내면서도, 내습성이 우수하고, 또한 기계적 물성, 내열성 또는 내블리드 아웃 특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한 폴리유산 수지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컴파운딩후 수지로부터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수지 자체의 물성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continuing demand for development of a poly (lactic acid) resin which exhibits improved impact resistance, is excellent in moisture resistance, and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heat resistance and bleeding-out propertie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ique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genera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mainta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itself.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162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416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024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00247

본 발명은 향상된 내충격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내습성, 기계적 물성, 투명성, 내열성, 내블로킹성 및 성형 가공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여 플라스틱 성형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polyolefin resin which exhibits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is excellent in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oisture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transparency, heat resistance, blocking resistance and molding processability, Lactic acid / lactone / 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object,

(1) 폴리유산 수지 30 내지 90 중량부 및 (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 70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서,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block co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1) 30 to 90 parts by weight of a polylactic acid resin and (2) 70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as,

상기 (1) 폴리유산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먼트, 및 하기 화학식 2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먼트를 포함하고,The polylactic acid resin (1) comprises a hard segment comprising a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a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in a linear or branched Based polyol repeat units,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60 중량% 이상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having an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of biomass origin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s 60% by weight or mor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1][Equation 1]

%C바이오 = (폴리유산 수지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바이오 매스 기원 표준 물질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C = Bio (poly 14 C isotope ratio by weight of the 12 C isotope of carbon atoms of the lactic acid resin) / (14 C isotope ratio by weight of the bio-12 C isotope of carbon atoms of the mass origin standard)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n은 700 내지 5,000의 정수이고, m+l은 5 내지 200의 정수이다. In the general formulas (1) and (2), n is an integer of 700 to 5,000 and m + 1 is an integer of 5 to 200.

본 발명에 따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향상된 내충격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내열성, 내습성, 기계적 물성 및 사출 가공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여 성형품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지므로 환경 오염 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xhibits improved impact resistance but also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moisture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and injection processability, It can be usefully used, and since it has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it can contribute to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도 1 내지 3은 각각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펠렛의 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1 to 3 are electron micrograph (SEM) photographs of the pellet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respectively.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1) 폴리유산 수지 30 내지 90 중량부 및 (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 70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30 to 90 parts by weight of a polylactic acid resin, and (2) an acrylonitrile-butadiene- 10 parts by weight,

상기 (1) 폴리유산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먼트, 및 하기 화학식 2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먼트를 포함하고,The polylactic acid resin (1) comprises a hard segment comprising a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a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in a linear or branched Based polyol repeat units,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60 중량% 이상이다:The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of the biomass origin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s 60% by weight or more: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화학식 2](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 1][Equation 1]

%C바이오 = (폴리유산 수지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바이오 매스 기원 표준 물질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C = Bio (poly 14 C isotope ratio by weight of the 12 C isotope of carbon atoms of the lactic acid resin) / (14 C isotope ratio by weight of the bio-12 C isotope of carbon atoms of the mass origin standard)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n은 700 내지 5,000의 정수이고, m+l은 5 내지 200의 정수이다.
In the general formulas (1) and (2), n is an integer of 700 to 5,000 and m + 1 is an integer of 5 to 200.

(1) 폴리유산 수지(1) Polylactic acid resin

본 발명에 따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이 포함하는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기본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하드세그먼트로서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소프트세그먼트로서 포함하는데,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C(=O)-NH-) 또는 에스터 결합(-C(=O)-O-)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The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ed i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ntains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as a hard segment. In addition, the poly (lactic acid) resin includes a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as a soft segment. In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tional units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 Or an ester bond (-C (= O) -O-).

이러한 폴리유산 수지는 기본적으로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하드세그먼트로서 포함함에 따라 바이오매스 기반 수지 특유의 생분해성 및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소프트세그먼트로서 포함함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이용하여 크게 향상된 유연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우수한 투명성 및 낮은 헤이즈 값을 나타내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이러한 소프트세그먼트가 하드세그먼트와 결합된 형태로 폴리유산 수지 자체에 도입됨에 따라, 유연성 향상을 위한 소프트세그먼트가 블리드 아웃되거나 낮은 안정성을 나타낼 우려도 줄어들며,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품 등의 헤이즈가 커지거나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도 감소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유연성 향상을 위한 소프트세그먼트의 함량을 그리 높이지 않으면서도, 상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바이오 매스 기반 수지, 예컨대 폴리유산 수지에서 유래한 하드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se polylactic acid resins can basically exhibit biodegradabilit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characteristics peculiar to biomass-based resins by including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s as hard segments. Further,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conducted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inclusion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as a soft segment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a molded article exhibiting greatly improved flexibility using the polylactic acid resin as well as exhibit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low haze value . Particularly, since such a soft segment is introduced into the polylactic acid resin itself in a form combined with the hard segment, there is less concern that the soft segment for improving the flexibility is bleed out or exhibits low stability, and the molded product including the polylactic acid resin It was confirmed that the haze was increased or the transparency was lowered. In addition, the poly (lactic acid) resin can exhibit the above-described effects without increasing the soft segment content for improving flexibility. Therefore, a relatively high content of a biomass-based resin, for example, a hard segment derived from a poly .

한편,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비극성 소프트세그먼트를 함유하므로 보통의 폴리유산 수지에 비하여 탁월한 내습성을 가진다. On the other hand, the polylactic acid resin has an excellent moisture resistance as compared with ordinary polylactic acid resin because it contains a non-polar soft segment.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유산 수지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약 60 중량% 이상, 약 70 중량% 이상, 약 80 중량% 이상, 약 85 중량% 이상,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일 수 있다. The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ed i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preferably has an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of biomass origin defined by the above formula (1) , At least about 70 wt%, at least about 80 wt%, at least about 85 wt%, at least about 90 wt%, or at least about 95 w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유산 수지와는 달리,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가 아닌 폴리에스테르계 반복단위를 소프트세그먼트로서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의 경우에는, 우수한 유연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보다 높은 함량의 화석 연료 기원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반복단위 등 다른 수지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술한 약 60 중량%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Unlike the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ed i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s a polyester-based repeating unit other than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as a soft segment In the case of the poly (lactic acid) resi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other resin such as a polyester polyol repeating unit having a higher content of fossil fuel origin in order to achieve excellent flexibility.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can be difficult to achieve.

상기 수학식 1에 의한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의 측정 방법은, 예컨대 ASTM D6866 표준에 기재된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의 기술적 의미와 측정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면 다음과 같다. The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of the biomass origin according to Equation 1 can be measured by, for example, the method described in the ASTM D6866 standard. The technical meanings and measurement methods of the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일반적으로, 화석 원료에서 유래한 수지 등 유기 물질과는 달리, 바이오 매스(생물자원)에서 유래한 수지 등의 유기 물질은 동위 원소 14C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물 또는 식물 등 살아 있는 유기체로부터 취한 모든 유기 물질은 탄소 원자로서 12C(약 98.892 중량%), 13C(약 1.108 중량%) 및 14C(약 1.2×10-10 중량%)의 3 종의 동위원소를 함께 포함하고 있으며, 각 동위원소의 비율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대기 중의 각 동위원소 비율과 동일한 것으로서, 살아 있는 유기체가 대사 활동을 계속하면서 외부 환경과 탄소 원자를 계속적으로 교환하기 때문에, 이러한 동위 원소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In general, unlike organic materials such as resins derived from fossil raw materials, organic materials such as resins derived from biomass (biomass) are known to contain isotope 14C . More specifically, all organic materials taken from living organisms such as animals or plants contain 12 C (about 98.892 wt%), 13 C (about 1.108 wt%) and 14 C (about 1.2 x 10 -10 wt% , And it is known that the ratio of each isotope is kept constant. This is equal to the ratio of each isotope in the atmosphere, and this isotope ratio remains constant, as living organisms continue to metabolize and continuously exchange carbon atoms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한편, 14C는 방사성 동위원소로서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시간 (

Figure pat00005
)의 경과에 따라 그 함량이 감소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14 C is a radioactive isotope,
Figure pat00005
), The content thereof may decrease.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상기 수학식 2에서, 상기

Figure pat00007
14C 동위원소의 초기 원자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시간 후에 잔존하는 14C 동위원소의 원자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pat00010
는 반감기와 관련된 붕괴 상수(또는 방사성 상수)를 나타낸다. In the above Equation 2,
Figure pat00007
Represents the initial number of atoms of the 14 C isotope,
Figure pat00008
silver
Figure pat00009
Represents the number of atoms of the 14 C isotope remaining after the time,
Figure pat00010
Represents the decay constant (or radioactive constant) associated with half-life.

이러한 수학식 2에서, 14C 동위원소의 반감기는 약 5,730년이다. 이러한 반감기를 고려할 때, 외부 환경과 계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로부터 취한 유기 물질, 즉 바이오 매스(생물자원)에서 유래한 수지 등의 유기 물질은 동위원소의 미세한 함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14C 동위원소 함량 및 다른 동위원소와의 일정한 함량비, 예컨대 14C/12C = 약 1.2×10-12인 일정한 함량비(중량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equation (2), the half-life of the 14 C isotope is about 5,730 years. Considering this half-life, organic matter, such as resin derived from biomass (biomass), taken from a living organism that continually interacts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has a substantially constant 14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content ratio (weight ratio) of C isotope content and a constant content ratio with other isotopes such as 14 C / 12 C = about 1.2 × 10 -12 .

이에 비해, 석탄 또는 석유 등 화석 연료는 50,000년 이상 외부 환경과의 탄소 원자 교환이 차단된 상태의 것이다. 이에 따라, 화석 원료에서 유래한 수지 등 유기 물질은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추정하였을 때, 14C 동위원소를 초기 함량(원자수)의 0.2% 이하로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14C 동위원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fossil fuels such as coal or petroleum have been blocked from carbon exchange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over 50,000 years. Accordingly, a resin such as an organic material derived from the fossil raw material is when estimated according to the equation (2), comprising the 14 C isotope in more than 0.2% of the initial content (atomic number), substantially containing the 14 C isotope I never do that.

상기 수학식 1은 상술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분모는 바이오 매스에서 유래한 동위원소 14C/12C의 중량비, 예컨대 약 1.2×10-12일 수 있으며, 분자는 측정 대상 수지에 포함된 14C/12C의 중량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오 매스에서 유래한 탄소 원자는 약 1.2×10-12의 동위원소 중량비를 유지하는데 비해, 화석 연료에서 유래한 탄소 원자는 이러한 동위원소 중량비가 실질적으로 0이 된다는 사실로부터,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유산 수지에서, 전체 탄소 원자 중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각 탄소 동위원소의 함량 및 이들의 함량비(중량비)는 ASTM D6866-06 표준(방사성 탄소 및 동위원소 비율 질량 분광법 분석을 이용하여 천연 물질의 생물기반 함량을 결정하는 표준시험 방법)에 기술된 3 가지 방법 중 하나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측정 대상 수지에 포함된 탄소 원자를 그라파이트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 형태로 만들고 질량 분석기로 측정하거나, 액체 섬광 분광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질량 분석기 등과 함께 14C 이온을 12C 이온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가속기를 함께 사용해 2개의 동위 원소를 분리하고 각 동위 원소의 함량 및 함량비를 질량 분석기로 측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액체 섬광 분광법을 이용해 각 동위 원소의 함량 및 함량비를 구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학식 1의 측정치를 도출할 수 있다. As the equation (1) considering the above points, the denominator is the weight ratio of the isotope 14 C / 12 C derived from a biomass, e.g., may be about 1.2 × 10 -12, molecules contained in the measurement target resin 14 C / 12 < / RTI > C. As described above, from the fact that the carbon atom derived from the biomass maintains the isotope weight ratio of about 1.2 x 10 <" 12 & gt ;, while the carbon atom derived from the fossil fuel has the substantially zero isotope weight ratio, (% C bio ) of the total carbon atoms of biomass origin in the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ed i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is measured by the above formula . At this time, the content of each carbon isotope and the content ratio thereof (weight ratio) are described in ASTM D6866-06 standard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the biological base content of a natural substance using radioactive carbon and isotope ratio mass spectrometry analysis) And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one of the three methods. Suitably, the carbon atoms contained in the resin to be measured may be converted into a graphite or carbon dioxide gas form, measured by a mass spectrometer, or measured by liquid scintillation spectrometry. At this time, together with the mass spectrometer, two isotopes can be separated using an accelerator for separating 14 C ions from 12 C ions, and the content and content ratio of each isotope can be measured by a mass spectrometer. Optionally, the content and content ratio of each isotope may be determined using liquid scintillation spectroscopy, which is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measurement of Equation (1) can be derived therefrom.

이와 같이 도출된 수학식 1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의 측정치가 약 60 중량% 이상이면, 상기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보다 많은 함량의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수지 및 탄소를 포함하는 것이고, 특유의 친환경적 특성 및 생분해성을 적절히 나타낼 수 있다.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of the formula (1) derived above is about 60 wt% or more, the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 The composition contains a resin and carbon derived from a larger amount of biomass, and can properly exhibit uniqu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biodegradability.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높은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충족하는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이하에 설명하는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 poly (lactic acid) resin and a poly (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poly (lactic acid) resin satisfying such a high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exhibit the environment- .

폴리유산 수지와 같은 바이오화학 제품의 특징은 생분해성으로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으며 현재 기술 수준에서 석유화학제품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 108%까지 줄일 수 있고, 수지 제조를 위한 에너지를 최대 50%까지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매스 원료를 활용해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하면 화석원료 사용 대비 ISO 14000 compliant Life Cycle Analysis(LCA, 환경 전과정 평가)에 의해 산출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최대 70% 가량 줄어들 수 있다. Biochemicals such as poly lactic acid resins are biodegradable and have low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can reduce CO2 emissions by up to 108% compared to petrochemical products at present technology level and reduce energy for resin manufacturing by up to 50% can do. In addition, the use of biomass raw materials to produce bioplastics can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calculated by ISO 14000 compliant Life Cycle Analysis (LCA) by up to 70% compared to the use of fossil raw materials.

구체적인 예로서, 네이처웍스(NatureWorks)사에 따르면 PET 수지 제조시 kg당 3.4 k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반면, 바이오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유산 수지는 kg당 0.77 kg의 이산화탄소밖에 발생되지 않아 약 77%의 이산화탄소 저감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에너지 사용량에 있어서도 PET 대비 56%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폴리유산 수지의 경우, 낮은 유연성 등으로 인해 적용에 한계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고자 가소제 등 다른 성분을 포함시키는 경우, 상술한 바이오 플라스틱으로서의 장점이 크게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As a concrete example, according to NatureWorks, when producing PET resin, 3.4 kg of carbon dioxide is emitted per kg, while the polylactic acid resin, which is a kind of bio-plastic, generates only about 77 kg of carbon dioxide per kg, It can reduce carbon dioxide, and it is known that energy consumption is only 56% of PET. However, in the case of a previously known poly (lactic acid) resin, application is limited due to low flexibility and the like, and when other components such as a plasticizer are includ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vantages as the bioplastics described above are greatly reduced.

그러나, 상기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높은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충족함에 따라, 바이오 플라스틱으로서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으면서도, 폴리유산 수지의 낮은 유연성 등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However, the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polylactic acid resin are excellent in bioplastics It can solve the problems such as low flexibility of poly (lactic acid) resin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따라서, 상술한 높은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충족하는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바이오 플라스틱으로서의 장점을 살려 이산화탄소 발생량 및 에너지 사용량을 크게 줄이는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친환경적 특성은, 예컨대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전생애 환경평가기법(life cycle assessment)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olylactic acid resin satisfying the above-mentioned high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and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It can exhibit eco-friendly characteristics that greatly reduce energy consumption. Such environmentally-friendly properties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life cycle assessment of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탄소 원자 중 14C 동위원소의 함량이 약 7.2×10-11 내지 1.2×10-10 중량%, 약 9.6×10-11 내지 1.2×10-10 중량%, 또는 약 1.08×10-10 내지 1.2×10-10 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14C 동위원소의 함량을 갖는 폴리유산 수지는 보다 많은 수지 및 탄소, 혹은 실질적으로 전부의 수지 및 탄소가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할 수 있고, 보다 우수한 생분해성 및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I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the polylactic acid resin preferably has a content of 14 C isotopes in carbon atoms of about 7.2 x 10 -11 to 1.2 x 10 -10 wt% About 9.6 × 10 -11 to 1.2 × 10 -10 % by weight, or about 1.08 × 10 -10 to 1.2 × 10 -10 % by weight. Polylactic acid resin having such a content of 14 C isotopes can originate from more resins and carbon, or substantially all of resin and carbon, and can exhibit better biodegradabilit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characteristics.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하드세그먼트의 폴리유산 반복단위가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할 뿐 아니라, 소프트세그먼트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역시 바이오 매스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 단위는, 예컨대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수지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이오매스는 임의의 식물 또는 동물 자원, 예컨대 옥수수, 사탕수수, 또는 타피오카 같은 식물 자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보다 높은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 예컨대 약 90 중량% 이상, 혹은 약 95 중량% 이상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나타낼 수 있다. In the polylactic acid resin, not only the hard segment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is derived from the biomass, but the soft segment polyolefin polyol constituent unit may also be derived from the biomass. Such a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can be obtained, for example, from a polyolefin-based polyol resin derived from biomass. The biomass can be any plant or animal resource, such as a plant resource such as corn, sugarcane, or tapioca. Thus, the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ing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biomass and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have higher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Such as at least about 90% by weight, or at least about 95% by weight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이때, 상기 폴리유산 수지에서,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하드세그먼트는 상술한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약 9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5 내지 10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소프트세그먼트는 상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약 7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95 중량%일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polylactic acid resin, the hard segment derived from the biomass has an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of biomass origin defined by the above-mentioned formula (1) is about 90% by weight or more, Wt%, and the soft segment derived from the biomass has an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of biomass origin as defined in Equation 1 of not less than about 70 wt%, preferably about 75 to 95 wt% Lt; / RTI >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유산 수지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약 60 중량% 이상, 혹은 약 80 중량% 이상으로 높으므로, 표준 ASTM D6866에 기반하는 인증인, JBPA의 "생물량 플라(Biomass Pla)" 인증을 획득하기 위한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JORA의 "생물량 기반(Biomass-based)" 라벨을 정당하게 부착할 수 있다. The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ed i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has an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of biomass origin of at least about 60% by weight, or at least about 80% by weight , It can meet the criteria for obtaining the "Biomass Pla" certification of JBPA, a certification based on the standard ASTM D6866. Thus, the polylactic acid resin can properly adhere to the "Biomass-based" label of JORA.

상기 폴리유산 수지에서, 하드세그먼트에 포함된 화학식 1의 폴리유산 반복단위는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homopolymer) 또는 이를 이루는 반복단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유산 반복단위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L-유산 또는 D-유산으로부터 환상 2 단량체인 L-락티드 또는 D-락티드를 생성하고 이를 개환 중합하는 방법으로 얻거나, L-유산 또는 D-유산을 직접 탈수 축중합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개환 중합법을 통해 보다 높은 중합도의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는 L-락티드 및 D-락티드를 일정 비율로 공중합하여 비결정성을 띄도록 제조될 수도 있지만,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품의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L-락티드 또는 D-락티드의 어느 하나를 사용해 단일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학순도 98% 이상의 L-락티드 또는 D-락티드 원료를 사용해 개환 중합함으로써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얻을 수 있으며, 광학순도가 이에 못 미치면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용융온도(Tm)가 낮아질 수 있다. In the polylactic acid resin,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of formula (1) contained in the hard segment may refer to a polylactic acid homopolymer or a repeating unit constituting the same. Such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s can be obtained by a method for producing polylactic acid homopolymer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L-lactide or D-lactide is produced from L-lactic acid or D-lactic acid as a cyclic double monomer and is subjected to ring-opening polymerization, or a method of direct dehydration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L-lactic acid or D- Among them, a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having a higher degree of polymeriz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ring-opening polymerization.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may be prepared so as to have amorphous properties by copolymerizing L-lactide and D-lactide at a certain ratio. However,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heat resistance of the molded article containing the polylactic acid resin, L-lactide, or D-lactide. More specifically,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can be obtained by ring-opening polymerization using an L-lactide or D-lactide raw material having an optical purity of 98% or more. When the optical purity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melting temperature (Tm) Can be lowered.

한편,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소프트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는 상기 화학식 2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C(=O)-NH-) 또는 에스터 결합(-C(=O)-O-)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는 부타디엔과 같은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 또는 이를 이루는 구성단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그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5,000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HTPB)을 말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s included in the soft segment of the poly (lactic acid) resin are those in which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s of the above-mentioned formula (2) are bonded by a urethane bond (-C (= O) -NH-) ) -O-). Specifically,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may be a polymer obtained by conjugating a monomer such as butadiene (such as a poly (1,2-butadiene) or poly 1,3-butadiene), or a constituent unit thereof, refers to a 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HTPB)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 to 5,000 obtained by hydrogenating a hydroxyl group at the terminal thereof.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에 락티드를 부가중합시킨 프리폴리머와,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관능기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으로 상기 우레탄 결합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가 락티드 또는 유산 유도체 화합물과 반응할 경우 에스터 결합(-C(=O)-O-)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이룰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rethane bond can be formed by a reaction between a hydroxyl group at the end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or a prepolymer obtained by addition polymerization of a lactide to the hydroxy group at the end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and a diisocyanate or an isocyanate compound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C (= O) -O-) when the hydroxyl group at the end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is reacted with the lactide or the lactic acid derivative compound.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linearly or in a branched manner via the urethane bond or the ester bond to form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와,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관능기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몰비는 1 : 0.50 내지 1 : 0.99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 :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몰비는 약 1 : 0.60 내지 약 1 : 0.9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 0.70 내지 약 1 : 0.90일 수 있다. The reaction molar ratio of the hydroxy group at the end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to the isocyanate group of the diisocyanate or the isocyanate compound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may be from 1: 0.50 to 1: 0.99. Preferably, the reaction molar ratio of the isocyanate group of the terminal hydroxyl group: isocyanate compound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may be from about 1: 0.60 to about 1: 0.95, more preferably from about 1: 0.70 to about 1: 0.90.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을 매개로 선형으로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진 중합체 또는 이를 이루는 반복단위는 특히 폴리우레탄 폴리올 반복단위로 지칭될 수 있으며, 그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는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형성을 위한 중합 과정에서 개시제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히드록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몰비가 0.99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높아지면,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올 반복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 개수가 부족하게 되어(OHV<1), 개시제로서 제대로 작용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몰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 개수가 지나치게 많아져서(OHV>35) 고분자량의 폴리유산 반복단위 및 폴리유산 수지를 얻기 어렵게 된다. The polymer formed by linking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s linearly via an urethane bond, or the repeating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may be referred to as a polyurethane polyol repeating unit, and may have a hydroxyl group at the terminal thereof. Accordingly,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can act as an initiator in the polymerization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However, if the molar ratio of the hydroxyl group to the isocyanate group is excessively high, the number of terminal hydroxyl groups in the polyurethane polyol repeating unit is insufficient (OHV <1), and the polyurethane polyol repeating unit may not function properly as an initiator. If the molar ratio of the hydroxyl group to the isocyanate group is too low, the number of terminal hydroxyl groups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becomes too large (OHV &gt; 35),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a polyunsaturated fatty acid repeating unit and a polylactic acid resin.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중합체는 약 1,0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내지 50,000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중합체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크거나 작게 되면, 상기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의 유연성, 내습성이나 기계적 물성 등이 충분치 못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적절한 분자량 특성 등을 충족하기 어렵게 될 수 있으므로,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저하되거나 상기 성형품의 유연성, 내습성 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polymer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may have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 to 100,000, preferably about 10,000 to 50,000. If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is excessively large or small, the flexibility of the molded article obtained from the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poly (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Moisture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may become insufficient. In addition, since the polylactic acid resin may be difficult to meet appropriat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the processability of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may deteriorate or the flexibility, moisture resistance, The physical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와 결합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임의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화석 연료에서 유래할 수 있다. The isocyanate compound capable of bonding with the terminal hydroxyl group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to form a urethane bond may be any compound having two or more isocyanate groups in the molecule, and may be derived from a fossil fuel.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예로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비스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아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수첨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이 3 이상인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올리고머,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폴리머,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고리형 다량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cyanurate),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다양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면 별다른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폴리유산 수지 성형품에 대한 유연성 부여 등의 측면에서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diisocyanate compound include 1,6-hexamethylene diisocyanate, 2,4-toluene diisocyanate, 2,6-toluene diisocyanate, 1,3-xylene diisocyanate, 1,4-xylene diisocyanate, , 5-naphthalene diisocyanate, m-phenylenediisocyanate, p-phenylenediisocyanate, 3,3'-dimethyl-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4,4'- bisphenylenediisocyanate, hexamethylene di Isocyanurate, 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or hydrogenated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examples of the polyisocyanate compound having an isocyanate group equivalent of at least 3 include an oligomer of the diisocyanate compound, a polymer of the diisocyanate compound, a diisocyanate compound Of cyclic oligomers,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cyanurate diisocyanate isocyanurate, triisocyanate compounds, and isomers of these isocyanate compounds. Various diisocyanate compound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However, 1,6-hexamethylene diisocyanat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arting flexibility to molded products of polylactic acid resin.

한편,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상기 하드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말단 카르복시기가 상기 소프트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와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우레탄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lylactic acid resin is preferably a block copolymer in which the terminal carboxyl group of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contained in the hard segmen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hydroxy group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contained in the soft segment by ester bonding, May include linear or branched linked block copolymers via urethane linkages.

구체적으로,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에서는,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말단 카르복시기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와 에스터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의 화학 구조는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such a block copolymer, the terminal carboxyl group of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may form an ester bond with a terminal hydroxy group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For example, the chemical structure of such a block copolymer can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일반식 1][Formula 1]

폴리유산 반복단위(L)-(E)-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O-U-O-U-O)-(E)-폴리유산 반복단위(L)(L) - (E) -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s (O-U-O-U-O) - (E)

[일반식 2][Formula 2]

폴리유산 반복단위(L)-(E)-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O)-(E)-폴리유산 반복단위(L)-(U)-폴리유산 반복단위(L)-(E)-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O)-(E)-폴리유산 반복단위(L)
Polyol repeating units (L) - (E) - Polyolefin polyol constituent units (O) - (E) - Polyester repeating units (L) Polyol constituent unit (O) - (E) -Poly lactic acid repeating unit (L)

상기 일반식 1 및 2에서, 상기 O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를 나타내며, U는 우레탄 결합을 나타내며, E는 에스터 결합을 나타낸다. In the general formulas 1 and 2, O represents a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U represents a urethane bond, and E represents an ester bond.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와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가 결합된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유연성 부여를 위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 등이 블리드 아웃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성형품이 우수한 내습성, 투명성, 기계적 물성, 내열성 또는 내블로킹성 등의 제반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 및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적어도 일부가 블록 공중합체 형태를 띰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분자량 분포, 유리 전이 온도(Tg) 및 용융 온도(Tm) 등이 최적화되어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 유연성 및 내열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or the repeating unit for imparting flexibility can be inhibited from bleeding out by including the block copolymer in which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and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or the repeating unit are bonded, A poly (lactic acid resin) molded article containing a poly (lactic acid) resin can have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excellent moisture resistance, transparency, mechanical properties, heat resistance and blocking resistance.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the melting temperature (Tm) of the poly (lactic acid) resin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block copolymer type at least a part of the poly (lactic acid) The mechanical properties, flexibility and heat resistance of the molded article can be further improved.

다만, 상기 폴리유산 수지에 포함된 폴리유산 반복단위들 모두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와 결합된 블록 공중합체의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폴리유산 반복단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와 결합되지 않은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상기 하드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말단 카르복시기가 상기 소프트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와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우레탄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에,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와 결합되지 않은 폴리유산 반복단위, 즉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혼합물 형태일 수 있다.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hat all of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s contained in the polylactic acid resin is in the form of a block copolymer bonded to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or the repeating unit, and at least a part of the polylactic acid- Or may be in the form of a poly (lactic acid) homopolymer not bonded to a polyol constituent unit or a repeating unit. In this case, the polylactic acid resin may be a block copolymer in which the terminal carboxyl group of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contained in the hard segment is linked by ester bonding to the terminal hydroxyl group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contained in the soft segment, May be in the form of a mixture further comprising a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i.e., a polylactic acid homopolymer, which is not bonded to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in a linear or branched block copolymer through an urethane bond.

한편,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이의 전체 100 중량부(상술한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과, 선택적으로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단일 중합체와의 중량 합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술한 하드세그먼트 약 65 내지 95 중량부, 약 80 내지 95 중량부, 또는 약 82 내지 92 중량부와, 소프트세그먼트 약 5 내지 35 중량부, 약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약 8 내지 1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total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the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polylactic acid homopolymer is optionally contained, 100 parts by weight in total with such a homopolymer) About 65 to 95 parts by weight, about 80 to 95 parts by weight, or about 82 to 92 parts by weight of the hard segment, about 5 to 35 parts by weight, about 5 to 20 parts by weight, or about 8 to 18 parts by weight of the soft segment .

상기 소프트세그먼트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고분자량의 폴리유산 수지의 제공이 어려워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의 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져 성형품을 이용한 포장 가공시 슬립성(slipping), 취급성 또는 형태 유지 특성 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소프트세그먼트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품의 유연성 및 내습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폴리유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성형품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소프트세그먼트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가 개시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기 어려워 중합 전환율이 떨어지거나 높은 분자량의 폴리유산 수지가 제대로 제조되지 못할 수도 있다. If the content of the soft segment is excessively high, it may become difficult to provide a poly (lactic acid) resin having a high molecular weight,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of the molded article containing the poly (lactic acid) resin may be deteriorated. 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owered, and slipping, handling property or shape retaining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during packaging using a molded article.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soft segment is excessively low, there is a limit to improve the flexibility and moisture resistance of the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poly (lactic acid) resin and the poly (lactic acid) resin. Particularly,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 (lactic acid) resin becomes too high, and the flexibility of the molded product may be deteriorated. Since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or the repeating unit of soft segment is difficult to act as an initiator, The resin may not be manufactured properly.

상술한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유산 수지는 약 50,000 내지 200,000의 수 평균 분자량, 바람직하게는 약 50,000 내지 150,000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약 100,000 내지 4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바람직하게는 약 100,000 내지 32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분자량은 상술한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나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분자량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 압출 등의 방법으로 용융 가공할 때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 성형품 등으로의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고, 성형품으로의 가공이 가능하더라도 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분자량이 지나치게 큰 경우, 용융 가공시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성형품으로의 생산성 및 가공성 등을 크게 떨어질 수 있다. The polylactic acid resin in the above-described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may have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00 to 200,000, preferably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00 to 150,000. The poly (lactic acid)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00 to 400,000, preferably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00 to 320,000. Such a molecular weight may affect the workability of the above-mentioned poly (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olded article. When the molecular weight is too small, the melt viscosity is too low when melt-processed by a method such as extrusion and the workability in a molded product or the like may be deteriorated,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may be lowered even if it can be processed into a molded product.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lecular weight is excessively high, the melt viscosity during melt processing is too high, and productivity and workability as a molded product may be greatly reduced.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수 평균 분자량(Mn)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비로 정의되는 분자량 분포(Mw/Mn)가 약 1.6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약 1.80 내지 2.15일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이러한 좁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냄에 따라, 압출 등의 방법으로 용융 가공할 때 적절한 용융 점도 및 용융 특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한 우수한 성형품 압출상태 및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품이 우수한 강도 등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비해, 분자량 분포가 지나치게 좁아지는 경우, 압출 등을 위한 가공 온도에서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커서 성형품으로서의 가공이 어려울 수 있으며, 반대로 분자량 분포가 지나치게 넓어지는 경우, 성형품의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거나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작아지는 등 용융특성이 불량하여 성형 자체가 어렵게 되거나 성형 압출상태가 좋지 않을 수도 있다.The polylactic acid resin may have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of about 1.60 to 3.0, preferably about 1.80 to 2.15, which is defined as a ratio of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to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As the poly (lactic acid) resin exhibits such a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t exhibits an appropriate melt viscosity and melting property when it is melt processed by a method such as extrusion and can exhibit an excellent molded article extrusion state and processability, Can exhibit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In contrast, when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s too narrow, the melt viscosity at the processing temperature for extrusion or the like is excessively large, which may result in difficulty in processing as a molded product. Conversely, if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s excessively widened, The melt viscosity may become too small and the melt property may be poor, which may make the molding itself difficult or the molded extrusion state may not be good.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용융온도(Tm)가 약 145 내지 178℃, 약 160 내지 178℃, 또는 약 165 내지 175℃일 수 있다. 용융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품의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지나치게 높아지면 압출 등의 방법으로 용융 가공시 고온이 필요하거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성형품 등으로의 가공 특성이 악화될 수 있다. Further, the polylactic acid resin may have a melting temperature (Tm) of about 145 to 178 ° C, about 160 to 178 ° C, or about 165 to 175 ° C. If the melting temperature is too low, the heat resistance of the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polylactic acid resin may be deteriorated. If the melting temperature is excessively high, a high temperature is required for melt processing by extrusion or the like, or the viscosity becomes too high, .

그리고, 상기 폴리유산 수지, 예컨대 이에 포함된 블록 공중합체는 약 20 내지 55℃, 혹은 약 25 내지 55℃, 혹은 약 30 내지 55℃ 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갖는다. 이러한 폴리유산 수지가 이러한 유리 전이 온도 범위를 나타냄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유연성이나 강도(stiffness)가 적절히 유지되어 이를 성형품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 성형품의 유연성은 향상될 수 있지만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짐에 따라 성형품을 이용한 조립 가공시 슬립성(slipping), 취급성, 형태 유지 특성 또는 내블로킹성 등이 불량하게 될 수 있고, 이 때문에 성형품으로의 적용이 부적당할 수 있다. 반대로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성형품의 유연성이 낮고 강도가 너무 높아서, 성형품 조립시 대상 제품에 대한 밀착성이 불량하게 될 수 있다. And, the polylactic acid resin, such as the block copolymer contained therein,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bout 20 to 55 캜, or about 25 to 55 캜, or about 30 to 55 캜. As the polylactic acid resin exhibits such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ange, flexibility and stiffness of the molded article containing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are appropriately maintained, Can be preferably used.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 (lactic acid) resin is too low, the flexibility of the molded article may be improved. However, as the strength becomes too low, slippage, handling property, And the like may be poor, which may make the application to a molded article unsuitable. On the other hand,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too high, the flexibility of the molded product is low and the strength is too high, which may result in poor adhesion to the object product during assembly of the molded product.

한편,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이에 포함된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중량에 대해, 약 1 중량% 미만의 단량체(예컨대,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락티드 단량체 등)가 잔류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5 중량%의 단량체가 잔류할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특정한 구조적 특성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포함함에 따라, 제조 과정 중에 사용된 락티드 단량체의 대부분이 중합에 참여하여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이루며,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해중합 또는 분해 또한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최소화된 함량의 잔류 단량체, 예컨대 잔류 락티드 단량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less than about 1% by weight of a monomer (for example, a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 And more preferably about 0.01 to 0.5% by weight of the monomer may remai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ontains a block copolymer having specific structural characteristics, a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ing the block copolymer and an antioxidant, Most of the monomers participate in the polymerization to form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s, and the depolymerization or decomposition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does not substantially occur. For this reaso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 minimized amount of residual monomers such as residual lactide monomers and the like.

만일, 잔류 단량체 함량이 약 1 중량% 이상이면,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 가공시 취기 문제가 발생되며, 또한 성형 가공에 따른 폴리유산 수지의 분자량 감소로 최종 성형품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며, 특히 식품 포장용 적용시에 잔류 단량체가 흡출(bleed-out)되어 안정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If the residual monomer content is about 1% by weight or more, problems arise during molding using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The reduction of the molecular weight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final molded product, and the residual monomers may be bleed-out during application for food packaging, resulting in stability problems.

(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2)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본 발명에 따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이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물성 보강을 위해 사용되며,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내충격 강도, 강성, 내구성 및 내열성 등의 물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강성 중합체일 수 있다.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included i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reinforc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Butadiene-styrene copolymer as a main component in order to maximiz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strength, rigidity,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of the lactic acid resin.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ABS)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10 내지 30 중량%, 부타디엔 10 내지 30 중량%, 및 스타이렌 4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10 중량% 이상이면 원하는 강성, 내유성 및 내화학 약품성을 달성할 수 있고, 30 중량% 이하이면 원하는 성형가공성 및 내충격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부타디엔의 함량이 10 중량% 이상이면 원하는 내충격성을 달성할 수 있고, 30 중량% 이하이면 원하는 강성, 내유성 및 내화학 약품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타이렌의 함량이 40 중량% 이상이면 원하는 성형가공성을 달성할 수 있고, 70 중량% 이하이면 원하는 강성, 내유성, 내화학 약품성 및 내충격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는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는 스타이렌 60 내지 80 중량%에 아크릴로니트릴 20 내지 40 중량%가 그래프트 중합된 공중합체이다. 상기 스타이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와 충분한 상용성을 발휘하여 원하는 복합재료의 물리적 물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7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에 대한 상기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의 사용량이 30 중량부 이상이면 충분한 상용성을 발휘하여 원하는 물리적 물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사용량이 70 중량부 이하이면 충분한 내충격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는 폴리유산 수지와 함께 복합재료의 매트릭스 수지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부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폴리유산 수지와의 상용성, 내열성, 외관특성 및 내충격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resin may include 10 to 30% by weight of acrylonitrile, 10 to 30% by weight of butadiene, and 40 to 70% by weight of styrene. If the content of acrylonitrile is 10 wt% or more, desired stiffness, oil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can be achieved. If the content is 30 wt% or less, desired molding process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can be achieved. If the content of butadiene is 10 wt% or more, desired impact resistance can be achieved. If the content of butadiene is 30 wt% or less, desired rigidity, oil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can be achieved. If the content of styrene is 40% by weight or more, desired molding processability can be achieved. If the content of styrene is 70% by weight or less, desired stiffness, oil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can be achieved.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may further comprise a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 wherein the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 comprises 60 to 80 wt% Is graft-polymerized with 20 to 40% by weight of acrylonitrile. When the content of styrene is within the above range, sufficient physical properties of the desired composite material can be achieved by exhibiting sufficient compatibility with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The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 may be used in an amount of 30 to 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If the amount of the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 used for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is 30 parts by weight or more, sufficient physical properties can be achieved, If it is 70 parts by weight or less, sufficient impact resistance can be achieved.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may be a matrix resin of a composite material together with a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may be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 It may be 10 to 70 parts by weight, preferably 30 to 6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is range, compatibility with the polylactic acid resin, heat resistance, It can exert strength.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충격보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n impact modifier.

상기 충격보강제로는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계 충격보강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계 충격보강제, 실리콘계 충격보강제 및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충격보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충격보강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올레핀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Examples of the impact modifier include an olefin impact modifier, an acrylic impact modifier, a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MBS) impact modifier, a 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SEBS) impact modifier, a silicone impact modifier, An elastomeric impact modifier, and an elastomeric impact modifier, and preferably an olefin-based impact modifier, and more preferably an ethylene-olefin-based copolymer.

상기 올레핀계 충격보강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와의 상용성 및 발현되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특히 상기 에틸렌-∂-올레핀계 공중합체는 탄성,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상기 에틸렌-∂-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olefin-based impact modifier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nd exhibits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is economical. Particularly, the ethylene-olefin-based copolymer has excellent elasticity, flexibility and impact resistance , The ethylene-olefin-based copolymer is preferably prepared using a metallocene catalyst.

본 발명의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폴리유산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성분이 폴리유산 수지 폴리머 구조 내에 도입되어 있어,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계 충격보강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계 충격보강제, 실리콘계 충격보강제 및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충격보강제와도 우수한 상용성을 보이므로, 어느 특정 충격보강제 사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The polylactic acid resin of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mponent is introduced into the polylactic acid resin polymer structure, and an acrylic impact modifier, methyl methacrylate-butadiene - Since it show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styrene (MBS) type impact modifier, 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SEBS) type impact modifier, silicone type impact modifier and polyester elastomer impact modifier, Do not.

상기 충격보강제는 (1) 폴리유산 수지 및 (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The impact modifier is added in an amount of 20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0.1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1) the poly (lactic acid) resin and (2) the acrylonitrile-butadiene- 5 to 10 parts by weight may be included.

상기 범위 내에서 폴리유산 수지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또한 제조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신율 및 내열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 속도 및 결정화 함량을 낮추어 내열성 및 사출 성형성을 떨어뜨리므로, 상기 충격보강제의 양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 및 사출 성형품의 외관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Within the above range,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the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resin, and the impact resistance , The elongation and the heat resistance are greatly improved. Since the impact modifier lowers the crystallization speed and crystallization rate of the poly (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to deteriorate the heat resistance and injection moldability, the amount of the impact modifier exceeds 20 parts by weigh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heat resistance and appearance of the injection-molded article are deteriorated.

한편,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폴리유산 수지의 황변을 억제하여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소프트세그먼트 등이 산화 또는 열분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n antioxidant. The antioxidant suppresses the yellowing of the poly (lactic acid) resin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poly (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the molded article, and suppresses oxidation or pyrolysis of the soft segment can do.

이를 위해,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형성을 위한 단량체(예컨대, 유산 또는 락티드) 첨가량에 대해, 약 100 내지 3,000 ppmw, 약 100 내지 2,000 ppmw, 약 500 내지 1,500 ppmw, 또는 약 1,000 내지 1,500 ppmw의 함량으로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 (in terms of the amount of monomers (for example, lactic acid or lactide) To about 3,000 ppmw, about 100 to 2,000 ppmw, about 500 to 1,500 ppmw, or about 1,000 to 1,500 ppmw.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상기 소프트세그먼트와 같은 유연화 성분의 산화 등에 의해 폴리유산 수지가 황변될 수 있고,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의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반면,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상기 산화방지제가 락티드 등의 중합 속도를 저하시켜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먼트가 제대로 생성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기계적 물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When the content of the antioxidant is excessively low, the polylactic acid resin may be yellowed by oxidation of a softening component such as the soft segment, and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y be poor in appear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antioxidant is excessively high, the antioxidant may lower the polymerization rate of lactide or the like and hard segments containing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s may not be properly formed.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like may be deteriorated.

상기 산화방지제를 최적화된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예컨대 폴리유산 수지 제조를 위한 중합시에 상기 산화방지제를 최적화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상기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얻는 경우에는, 폴리유산 수지의 중합수율(conversion of polymerization) 및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를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대해 180℃ 이상의 가열을 필요로 하는 성형 가공 공정에서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이 우수한 열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락티드 또는 유산과 같은 단량체나 환상 올리고머 체인 상태의 저분자 물질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When the antioxidant is contained in an optimized amount, for example, the antioxidant is added in an optimized amount at the time of polymerization for producing a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In the case of obtaining the alloy resin composition, the conversion of polymerization an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 (lactic acid) resin can be improv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Further, in a molding process which requires heating at 180 占 폚 or more to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Since the composition can exhibit excellent thermal stability, it is possible to inhibit the formation of monomers such as lactide or lactic acid or low molecular weight substances in the state of cyclic oligomers.

따라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분자량 저하나 성형품의 색상 변화(황변) 등이 억제되는 결과, 우수한 외관을 가질 뿐만 아니라, 크게 향상된 유연성을 나타내며,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내블로킹성 등 제반 물성 또한 우수하게 발현되는 성형품 제공이 가능해 진다. As a result,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 (lactic acid) resin is suppressed and the color change (yellowing) of the molded article is suppressed. As a result, not only excellent appearance but also greatly improved flexibility and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heat resistance and blocking resistanc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molded article to be displayed.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입체장애 페놀(hindered phenol)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티오계 산화방지제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기타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As the antioxidan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indered phenol antioxidant, an amine antioxidant, a thio antioxidant and a phosphite antioxidant may be used, and other polyoxyalkylene / Various antioxidants known to be usable in the 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an be used.

다만,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에스터(ester) 반복단위를 가질 수 있으므로, 고온 중합 반응시, 고온 압출가공 또는 성형시에 산화 또는 열분해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위에서 나열된 계열의 열 안정제, 중합 안정제 또는 산화방지제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화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인산, 트리메틸포스페이트 또는 트리에틸포스페이트와 같은 인산계 열안정제; 2,6-디-t-부틸-p-크레졸, 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비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파이트 디에틸에스테르,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또는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tert-부틸-페닐)부탄산]글리콜 에스터와 같은 입체장애 페놀계 1차 산화방지제; 페닐-α-나프틸아민, 페닐-β-나프틸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또는 N,N'-디-β-나프틸-p-페닐렌디아민과 같은 아민계 2차 산화방지제; 디라우릴디설파이드, 디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머캡토벤조티아졸 또는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 테트라비스[메틸렌-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의 티오(thio)계 2차 산화방지제; 또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이소데실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 디포스파이트 또는 (1,1'-비페닐)-4,4'-디일비스포스포너스산 테트라키스[2,4-비스(1,1-디메틸에틸)페닐]에스터와 같은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방지제를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와 다른 산화방지제를 조합하여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However, since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an have an ester repeating unit,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has a tendency of being oxidized or pyrolyzed during high-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above-mentioned series of heat stabilizers, polymerization stabilizers or antioxidants as the antioxidant. Specific examples of such antioxidants include phosphoric acid type heat stabilizers such as phosphoric acid, trimethyl phosphate or triethyl phosphate; Butyl-p-cresol, octadecyl-3- (4-hydroxy-3,5-di-t- butylphenyl) propionate, tetrabis [methylene- 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1,3,5-trimethyl-2,4,6-tris (3,5-di- 4-hydroxybenzylphosphite diethyl ester, 4,4'-butylidene-bis (3-methyl-6-t-butylphenol), 4, Such as 4'-thiobis (3-methyl-6-t-butylphenol) or bis [3,3-bis- (4'-hydroxy-3'- tert- butylphenyl) butanoic acid] Primary phenolic antioxidants; Amines such as phenyl-? -Naphthylamine, phenyl-? -Naphthylamine, N, N'-diphenyl-p-phenylenediamine or N, N'-di-? -Naphthyl- Secondary antioxidant; Such as thiourea such as diaryldisulfide, dilaurylthiopropionate, distearyl thiopropionate, mercaptobenzothiazole, or tetramethylthiuram disulfide tetrabis [methylene-3- (laurylthio) propionate] thio-based secondary antioxidants; (2,4-di-t-butylphen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or (1,1'-biphenyl) -4, triphenylphosphite, tris (nonylphenyl) phosphite, triisodecylphosphite, And a phosphite-based secondary antioxidant such as tetrakis [2,4-bis (1,1-dimethylethyl) phenyl] ester of 4'-diylbiposphonous acid. Among them,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a combination of a phosphite-based antioxidant and another antioxidant.

상술한 충격보강제 및 산화방지제 외에도,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각종 내가수분해 억제제, 핵제, 유기 또는 무기 필러, 가소제, 사슬 연장제, 자외선 안정제, 착색 방지제, 무광택제, 탈취제, 난연제, 내후제, 대전방지제, 이형제, 항산화제, 이온 교환제, 착색 안료, 무기 또는 유기 입자 등의 각종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impact modifier and antioxidant,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various well-known anti-hydrolysis inhibitors, nucleating agents, organic or inorganic fillers And further includes various additives such as a plasticizer, a chain extender, an ultraviolet stabilizer, a coloring inhibitor, a matting agent, a deodorant, a flame retardant, a lubricant, an antistatic agent, a releasing agent, an antioxidant, an ion exchanger, a coloring pigment, It is possible.

상기 내가수분해제는 폴리유산의 말단 성분인 하이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화합물로,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의 내가수분해성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내가수분해제는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과 같은 에스테르계 수지에 적용되어 고분자 사슬의 끝부분에 엔드캡핑(endcapping) 반응을 하여 물 또는 산에 의한 수지 조성물의 가수분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가수분해제는 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예컨대 변성 페닐카보디이미드, 폴리(톨릴카보디이미드), 폴리(4,4'-디페닐메탄카보디이미드), 폴리(3,3'-디메틸-4,4'바이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p-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m-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3,3'-디메틸-4,4'-디페닐메탄카보디이미드)일 수 있다. 상기 내가수분해제는 폴리유산 수지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내로 사용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moisture release is a reactive compound capable of reacting with a hydroxyl group or a carboxyl group which is a terminal component of polylactic acid, and can improve the hydrolysis resistance as well as the durability of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 That is, the moisture release is applied to an ester resin such as polyester, polyamide or polyurethane to end-cap the end of the polymer chain to prevent hydrolysis of the resin composition by water or acid It plays a role. The moisture release may be a carbodiimide compound, for example, a modified phenyl carbodiimide, poly (tolylcarbodiimide), poly (4,4'-diphenylmethanecarbodiimide), poly (3,3 ' -Dimethyl-4,4'biphenylenecarbodiimide), poly (p-phenylenecarbodiimide), poly (m-phenylenecarbodiimide), poly (3,3'-dimethyl- Methane carbodiimide). The moisture release can be used in an amount of 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um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상기 핵제는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부(핵제 포함)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내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내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내열성 및 사출 성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핵제는 소르비톨계 금속염, 포스페이트계 금속염, 퀴나크리돈, 칼슘 카르복실레이트, 및 아마이드계 유기 화합물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계 금속염일 수 있다.The nucleat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nucleating agent) Within the above range, heat resistance and injection moldability are improved. The nucleating agent may be a sorbitol-based metal salt, a phosphate-based metal salt, a quinacridone, a calcium carboxylate, an amide-based organic compound, or the like, preferably a phosphate-based metal salt.

상기 가소제의 예로는, 프탈산 디에틸, 프탈산 디옥틸, 프탈산 디시클로 헥실 등의 프탈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아디핀산 디-1-부틸, 아디핀산 디-n-옥틸, 세바신산 디-n-부틸, 아제라인산 디-2-에틸 헥실 등의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인산 디페닐-2-에틸 헥실, 인산 디페닐 옥틸 등의 인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아세틸 구연산 트리 부틸, 아세틸 구연산 트리-2-에틸 헥실, 구연산 트리 부틸 등의 하이드록시 다가 카르본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아세틸 리시놀산 메틸, 스테아린산 아미드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글리세린 트리 아세테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화 콩기름, 에폭시화 아마니 기름 지방산 부틸 에스터, 에폭시 스테아린산 옥틸 등의 에폭시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lasticizer include phthalate ester plasticizers such as diethyl phthalate, dioctyl phthalate and dicyclohexyl phthalate; Aliphatic dibasic acid ester plasticizers such as di-n-butyl adipate, di-n-octyl adipate, di-n-butyl sebacate and di-2-ethylhexyl azelate; Phosphate ester plasticizers such as diphenyl-2-ethylhexyl phosphate and diphenyloctyl phosphate; Tributyl acetyl citrate, tri-2-ethylhexyl acetyl citrate, tributyl citrate, and other hydroxycarboxylic acid ester plasticizers; Fatty acid ester plasticizers such as methyl acetyl ricinoleate and stearic acid amide; Polyhydric alcohol ester plasticizers such as glycerin triacetate; Epoxidized soybean oil, epoxylated amami-oil fatty acid butyl ester, and epoxy-based stearyl epoxy stearate.

또한, 상기 착색 안료의 예로는, 카본 블랙, 산화 티탄, 산화 아연, 산화철 등의 무기안료; 시아닌계, 인계, 퀴논계, 레리논계, 이소인돌리논계, 치오인디고계 등의 유기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olored pigments include inorganic pigments such as carbon black, titanium oxide, zinc oxide and iron oxide; Organic pigments such as cyanine pigments, phosphorus pigments, quinone pigments, lineron pigments, isoindolinone pigments, and thioindigo pigments.

한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품을 제조할 경우, 제조된 성형품의 몰드 이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 또는 유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 또는 유기 입자는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내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또는 유기 입자의 예로는 실리카, 콜로이달(colloidal)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나 졸, 탈크, 이산화티타늄, 마이카, 탄산칼슘, 폴리스티렌, 폴리 메틸 메타크레이트, 또는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이산화티타늄 또는 탈크는 표면처리 여부에 제한되지 않으나, 표면처리된 이산화티타늄 또는 탈크를 사용하는 경우 강성 및 충격강도 등이 포함된 전체 물성 발란스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중 저하, 내열성 및 사출 성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표면처리는, 구체적으로는 실란 커플링제, 고급 지방산, 지방산의 금속염, 불포화 지방산, 유기 티나네이트, 수지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처리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평균입자 크기가 1 내지 3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내열성 및 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molded article is manufactured using a poly (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it may contain inorganic or organic particles to improve the mold releasability and the like of the produced molded article. The inorganic or organic particles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Examples of the inorganic or organic particles include silica, colloidal silica, alumina, alumina sol, talc, titanium dioxide, mica, calcium carbonate, poly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or silicone. The above silica, titanium dioxide or talc is not limited to whether or not the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However, when the surface treated titanium dioxide or talc is used, not only the whole property balance including rigidity and impact strength is excellent but also the specific gravity, heat resistance, The moldability is improved. Specifically, the surface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by a chemical or physical method using a treating agent such as a silane coupling agent, a higher fatty acid, a metal salt of a fatty acid, an unsaturated fatty acid, an organic tinate, a resin acid or polyethylene glycol. The inorganic particles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 to 30 탆, preferably 1 to 15 탆, and the heat resistance and rigidity are improved within the above range.

이외에도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또는 그 성형품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종류나 입수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져 있다. In addition, various additives known to be usable in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or a molded article thereof can be included, and specific types and methods of obtaining the same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한편,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칩 상태에서 color-b 값이 15 미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를 포함함으로서, 폴리유산 수지의 황변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15 미만의 color-b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color-b 값이 15 이상이면, 성형 용도로 사용시 성형품 외관이 불량해져 상품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may have a color-b value of less than 15 and preferably 10 or less in a chip state. Since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ontains an antioxidant, the yellowing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can be suppressed, so that it can exhibit a color-b value of less than 15. If the color-b value of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is 15 or more, the appearance of the molded article may become poor when used for molding, and the product value may be lowered.

이하, 본 발명의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유산의 제조 방법을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polylactic acid contained i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의 제조>&Lt; Preparation of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s &gt;

우선, 부타디엔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의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분자량 1,000 내지 3,000 범위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HTPB)을 형성하여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를 얻는다. 이는 통상적인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따라 진행할 수 있다. First, a hydroxyl group is added to the terminal of a polymer (poly 1,2-butadiene or poly 1,3 -butadiene) obtained by conjugating a butadiene monomer, and a liquid polybutadie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 to 3,000 -terminated polybutadiene: HTPB) to obtain a (co) polymer having a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This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polyolefin-based polyol (co) polymer.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A의 제조>&Lt; Preparation of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A &

그 다음,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다관능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우레탄 반응 촉매를 반응기에 충진시키고 가열 및 교반하여 우레탄 반응을 수행한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공)중합체의 말단 히드록시기가 결합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한다. 그 결과,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상기 우레탄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 연결된 형태의 폴리우레탄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공)중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폴리유산 수지의 소프트세그먼트로서 포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올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O)들이 우레탄 결합(U)을 매개로 O-U-O-U-O 또는 O-U(-O)-O-U-O의 형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결합되어 양 말단에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n, the (co) polymer having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the polyfunctional isocyanate compound and the urethane reaction catalyst are charged in the reactor, heated and stirred to carry out the urethane reaction. By this reaction, two or more isocyanate groups of the isocyanate compound and a terminal hydroxyl group of the (co) polymer are bonded to form a urethane bond. As a result, a (co) polymer in which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s have a polyurethane polyol repeating unit in a linear or branched connected form via the urethane bond can be formed. This is included as a soft segment of the above-described poly (lactic acid) resin. At this time, the polyurethane polyol (co) polymer is a polyol (co) polymer in which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s (O) are linearly or branched in the form of OUOUO or OU (-O) -OUO via a urethane bond And may be formed in a form having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s.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B의 제조>&Lt; Preparation of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B &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유산(D 또는 L-유산), 락티드(D 또는 L-락티드) 화합물 및 축합반응 또는 개환반응 촉매를 반응기에 충진시키고 가열 및 교반하여 폴리에스테르 반응 또는 개환중합 반응을 수행한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상기 유산(D 또는 L-유산), 락티드(D 또는 L-락티드)와, 상기 (공)중합체의 말단 히드록시기가 결합하여 에스터 결합을 형성한다. 그 결과,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상기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 연결된 형태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O) 및 폴리유산 수지 반복단위(L)를 갖는 (공)중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및 폴리유산 수지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O)들이 에스터 결합(E)을 매개로 L-E-O-E-L의 형태로 선형 결합되어 양 말단에 폴리유산 수지 반복단위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reactor is filled with the (co) polymer having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the lactic acid (D or L-lactic acid), the lactide (D or L-lactide) compound and the condensation reaction or the ring- To carry out a polyester reaction or a ring-opening polymerization reaction. By such a reaction, the lactic acid (D or L-lactic acid), the lactide (D or L-lactide) and the terminal hydroxyl group of the (co) polymer are bonded to form an ester bond. As a result, a (co) polymer in which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s have a polyolefin-based polyol (O) and a polylactic acid resin repeat unit (L) in a linear or branched connected form via the ester bond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polyolefin-based polyol and the poly (lactic acid) resin (co) polymer are obtained by a method in which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s (O) are linearly bonded in the form of LEOEL via ester bond (E) As shown in FIG.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공)중합체의 말단 히드록시기가 결합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여 L-E-O-E-L-U-L-E-O-E-L의 형태로 선형 또는 분지형 결합되어, 본 발명의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최종 폴리유산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Two or more isocyanate groups of an isocyanate compound and a terminal hydroxyl group of the (co) polymer are combined to form a urethane bond and are linearly or branched-bonded in the form of LEOELULEOEL so that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 The final poly (lactic acid) resin contained in th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an be produced.

이때, 상기 부타디엔으로부터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들은 식물 자원 등의 바이오매스에서 기원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공)중합체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약 70 중량% 이상으로 상당히 높은 값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s obtained from the butadiene may be originated from biomass such as plant resources, and accordingly,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 polymer has an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Can be a very high value of 70% by weight or more.

상기 우레탄 반응은 통상적인 주석계 촉매, 예를 들면,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stannous octoate),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옥틸틴 디라우레이트 등의 존재 하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반응은 통상적인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를 위한 반응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공)중합체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가한 후, 상기 우레탄 반응 촉매를 투입하여 반응온도 70 내지 80℃에서 1 내지 5시간 반응시켜 폴리올레핀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The urethan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conventional tin catalyst, for example, stannous octoate, dibutyltin dilaurate, dioctyltin dilaurat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urethan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under the reaction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 conventional polyurethane resin. For example, the isocyanate compound and the polyolefin-based polyol (co) polymer are added in a nitrogen atmosphere, the urethane reaction catalyst is added, and the reaction is carried out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70 to 80 ° C for 1 to 5 hours to obtain a (co) polymer having polyolefin polyol repeating units Can be manufactured.

이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및 산화방지제의 존재 하에, 유산(D 또는 L-유산)을 축중합하거나, 락티드(D 또는 L-락티드)를 개환 중합하면, 상술한 블록 공중합체(혹은 이를 포함한 폴리유산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중합 반응을 거치게 되면, 산화방지제에 의해 소프트세그먼트의 산화 등에 의한 황변이 억제되면서 하드세그먼트로 포함된 폴리유산 반복단위가 형성되어,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제조되며, 이때 적어도 일부의 폴리유산 반복단위 말단에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올 반복단위가 결합되어 블록 공중합체가 형성될 수도 있다. Then, when lactic acid (D or L-lactic acid) is subjected to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r lactide (D or L-lactide) is subjected to ring-opening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the (co) polymer having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and the antioxidant,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block copolymer (or a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ing the same) and an antioxidant may be prepared. That is, whe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carried out, the yellowing due to the oxidation of the soft segment and the like is suppressed by the antioxidant to form a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contained as a hard segment, and the polylactic acid resin is produced, The polyurethane polyol repeating unit may be bonded to the end of the repeating unit to form a block copolymer.

또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과 락티드를 먼저 결합시킨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제조한 후 이러한 프리폴리머들을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사슬 연장시킨 형태의 공지된 폴리유산계 공중합체나, 상기 프리폴리머들을 2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킨 공지된 분지형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known polylactic acid copolymer prepared by preparing a prepolymer in which a polyolefin-based polyol and a lactide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then chain-extending the prepolymers with a diisocyanate compound, And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an be formed.

한편, 상기 락티드 개환 중합 반응은 알칼리토류 금속, 희토류 금속, 전이금속, 알루미늄, 게르마늄, 주석 또는 안티몬 등을 포함하는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금속 촉매는 이들 금속의 카르본산염, 알콕사이드, 할로겐화물, 산화물 또는 탄산염 등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촉매로서, 옥틸산 주석, 티탄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 또는 알루미늄트리이소프로폭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lactide ring-opening polymerization reaction may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metal catalyst including an alkaline earth metal, a rare earth metal, a transition metal, aluminum, germanium, tin or antimony. In particular, such metal catalysts may be in the form of carboxylates, alkoxides, halides, oxides or carbonates of these metals. Preferably, as the metal catalyst, tin octylate, titanium tetraisopropoxide or aluminum triisopropoxide may be used.

또한, 상술한 락티드 개환 중합 반응 등의 폴리유산 반복단위 형성 단계는 상기 우레탄 반응이 진행된 동일 반응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우레탄 반응시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형성한 후, 이러한 반응기 내에 락티드 등의 단량체 및 촉매 등을 연속적으로 가하여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중합체가 개시제로 작용하면서,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가 수율 및 생산성 높게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을 락티드의 개시제로 개환 중합 실시 후, 동일 반응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추가하여 쇄연장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가 높은 수율로 생산성 좋게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forming step such as the lactide ring-opening polymerization reaction may be continuously carried out in the same reactor in which the urethane reaction has proceeded. That is, a polyolefin-based polyol polymer and an isocyanate compound are subjected to a urethane reaction to form a polymer having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s, and then monomers such as lactide and a catalyst, etc., are continuously added to this reactor to form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s . As a result, while the polymer having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s functions as an initiator,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s and the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ing them can be continuously produced with high yield and high productivity. Likewise, when the polyolefin-based polyol is subjected to ring-opening polymerization with an initiator of lactide, and then isocyanate compound is continuously added in the same reactor to effect chain extension polymerization,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and the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ing the same are obtained at a high yield Can be continuously produced with good productivity.

상술한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특정한 하드세그먼트 및 소프트세그먼트가 결합된 블록 공중합체(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함에 따라, 폴리유산 수지의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보다 향상된 유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소프트세그먼트가 블리드 아웃되는 것도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프트세그먼트의 부가에 의해 성형품의 내습성, 기계적 물성, 내열성, 투명성 또는 헤이즈 특성 등이 저하되는 것도 크게 줄일 수 있다.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described above contains a block copolymer (polylactic acid resin) to which a specific hard segment and a soft segment are bonded, exhibits biodegradability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Can also exhibit greater flexibility. Also, the soft segment for imparting flexibility can be minimized to be bleed out, and the degradation of moisture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heat resistance, transparency or haze characteristics of the molded article can be greatly reduced by the addition of such a soft segment.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소정의 유리 전이 온도와, 선택적으로 소정의 용융 온도를 갖게 제조됨에 따라, 이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 등이 포장용 재료로서의 최적화된 유연성 및 강도를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융 가공성도 우수하게 되고, 내블로킹성 및 내열성 또한 보다 향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한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성형품 등의 포장용 재료에 매우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ly (lactic acid) resin is produc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optionally a predetermined melting temperature, a molded article or the like obtained therefrom can exhibit optimized flexibility and strength as a packaging material, And the blocking resistance and the heat resistance are further improved. Accordingly, such a poly (lactic acid) resin and the poly (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an be suitably applied to packaging materials such as molded articles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산화방지제와 함께 포함되어, 제조 또는 사용 과정 중의 황변이 억제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외관 및 상품을 나타내면서도, 크게 향상된 유연성 및 뛰어난 기계적 물성 등 제반 물성을 나타내는 성형품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The poly (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fre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 antioxida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lded article exhibiting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flexi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which are remarkably improved while showing appearance and merchandise.

즉, 본 발명의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소프트세그먼트로 포함함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유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That is,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as a soft segment, and thus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 The flexibility of the molded article produced using the alloy resin composition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하드세그먼트인 폴리유산 수지 대비 비극성인 소프트세그먼트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로 이루어진 수지 성분에 의하여 전체 수지 내에 함습률이 낮아져서 내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isture content in the whole resin is lowered by the resin component made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of the non-polar soft segment relative to the hard segment, which is the hard segment, and moisture resistance can be greatly improved.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원료는 다음과 같다:
The raw materials us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1.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및 그 대응 물질1.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s and corresponding materials thereof

- HTPB 1.0: 부타디엔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의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분자량 1,000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HTPB)- HTPB 1.0: A liquid polybutadie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 obtained through hydrogenation reaction by adding a hydroxy group to the end of a polymer (poly 1,2-butadiene or poly 1,3 -butadiene) obtained by conjugating a butadiene monomer with a conjugated polymer -terminated polybutadiene: HTPB)

- HTPB 2.0: 부타디엔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의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분자량 2,000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TPB)- HTPB 2.0: Liquid polybutadiene (HTPB)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000 obtained by hydrogenating a hydroxyl group at the end of a polymer (poly 1,2-butadiene or poly 1,3-butadiene) obtained by conjugating a butadiene monomer )

- HTPB 3.0: 부타디엔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의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분자량 3,000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TPB)- HTPB 3.0: Liquid polybutadiene (HTPB)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0 obtained by hydrogenating a hydroxyl group at the terminal of a polymer (poly 1,2-butadiene or poly 1,3-butadiene) obtained by conjugating a butadiene monomer )

- HTPB 5.0: 부타디엔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의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분자량 5,000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TPB)- HTPB 5.0: Liquid polybutadiene (HTPB)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5,000 obtained by hydrogenating a hydroxyl group at the terminal of a polymer (poly 1,2-butadiene or poly 1,3-butadiene) obtained by conjugating a butadiene monomer )

- PEG 8.0: 폴리에틸렌글리콜; 수 평균 분자량 8,000- PEG 8.0: polyethylene glycol;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8,000

- PBSA 11.0: 1,4-부탄디올 및 숙신산과 아디핀산의 축합체로 만들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 평균 분자량 11,000
- PBSA 11.0: aliphatic polyester polyols made from 1,4-butanediol and condensates of succinic acid and adipic aci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11,000

2.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3 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2. Diisocyanate compound and trifunctional or higher isocyanate

- H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hexamethylene diisocyanate

- TDI: 2,4- 또는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TDI)- TDI: 2,4- or 2,6-tolylene diisocyanate (toluene diisocyanate: TDI)

- D-L75: 바이엘사 데스모듀어(desmodur) L75 (트리메틸올프로판 + 3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 D-L75: Bayer desmodur L75 (trimethylol propane + 3 toluene diisocyanate)

3. 락티드 단량체3. Lactide monomers

- L-락티드 또는 D-락티드: 퓨락(purac)사제, 광학순도 99.5% 이상 -L-lactide or D-lactide: manufactured by purac, optical purity not less than 99.5%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로만 이루어진 단량체
Monomers consisting only of organic carbon of biomass origin

4. 산화방지제 등4. Antioxidants, etc.

- TNPP: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TNPP: Tris (nonylphenyl) phosphite

- U626: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U626: bis (2,4-di-t-butylphen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 S412: 테트라키스[메탄-3-(로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 S412: tetrakis [methane-3- (laurylthio) propionate] methane

- PEPQ: (1,1'-비페닐)-4,4'-디일비스포스포너스산 테트라키스[2,4-비스(1,1-디메틸에틸)페닐]에스터- PEPQ: Tetrakis [2,4-bis (1,1-dimethylethyl) phenyl] ester (1,1'-biphenyl) -4,4'-

- I-1076: 옥타데실 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I-1076: octadecyl 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 O3: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tert-부틸-페닐)부탄산]글리콜 에스터
O3: bis [3,3-bis- (4'-hydroxy-3'-tert-butylphenyl) butanoic acid] glycol ester

5.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 등5.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etc.

- ABS745: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 부타디엔 25 중량% 및 스타이렌 55 중량%로 이루어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ABS) 40 중량% 와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60 중량%의 혼합물, 금호석유화학㈜, 용융지수 10g/10min(220℃, 10 kg), 열변형온도 84℃, 내충격강도(6.4 mm, 23℃) 35 kgf-cm/cm
ABS 745: 40% by weight of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consisting of 20% by weight of acrylonitrile, 25% by weight of butadiene and 55% by weight of styrene and 40% by weight of styrene- acrylonitrile copolymer (SAN) 10 kg / 10 min (220 캜, 10 kg), thermal deformation temperature 84 캜, impact strength (6.4 mm, 23 캜) 35 kgf-cm / cm

6. 충격보강제 등6. Impact reinforcement

- G1701: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KRAPTON사, 경도 72 HD (Shore A, 30s), 37 중량% 스티렌- G1701: styrene / ethylene / propylene block copolymer, KRAPTON, hardness 72 HD (Shore A, 30 s), 37 wt% styrene

- MB838A: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계 블록 공중합체, LG화학㈜, 경도 71 HD (Shore A, 30s)- MB838A: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MBS) block copolymer, LG Chemical Co., Ltd., hardness 71 HD (Shore A, 30s)

- Biostrength 150: 아크릴계 코어-쉘(core-shell) 충격보강제, ARKEMA사
- Biostrength 150: Acrylic core-shell impact modifier, ARKEMA

7. 무기필러 및 핵제 등7. Inorganic fillers and nucleating agents

- SP-3000: 탈크(Talc), 다원화학(주), 평균입도 2.5 ㎛, 비중 0.32 g/cm2 - SP-3000: Talc, Dae Won Chemical Co., Ltd., average particle size 2.5 탆, specific gravity 0.32 g / cm 2

- EMforce™ Bio: CaC02, Special Mineral, 평균입도 1.0 ㎛, 평균 종횡비 5.4- EMforce ™ Bio: CaC0 2 , Special Mineral, average particle size 1.0 μm, average aspect ratio 5.4

- TF-1: N, N', N''-트리사이클로헥실-1,3,5-벤젠트리카복스아미드, NJC㈜- TF-1: N, N ', N "-tricyclohexyl-1,3,5-benzenetricarboxamide, NJC

- NA-11: 2,2'-메틸렌 비스(4,6-디-tert-부틸페놀)소디움 포스페이트, Asahi Denka사
- NA-11: 2,2'-methylenebis (4,6-di-tert-butylphenol) sodium phosphate, Asahi Denka

8. 내가수분해제 및 사슬 연장제8. Moisture Release and Chain Extender

- BioAdimide 100: 카보디이미드계 폴리머, Rhein Chemie사
- BioAdimide 100: carbodiimide polymer, Rhein Chemie

9. 상용화제 등9. Commercialization etc.

- AX8840: 에틸렌-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ARKEMA사, 그라프트율 8.0%- AX8840: ethylene-maleic anhydride graft-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ARKEMA company, graft ratio 8.0%

- PH-200: 프로필렌-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 공중합체, 호남석유화학㈜, 그라프트율 3.9%
- PH-200: propylene-maleic anhydride graft copolymer, Honam Petrochemical Co., Ltd., graft rate 3.9%

제조예 1 내지 6: 폴리유산 수지 A 내지 F의 제조Production Examples 1 to 6: Preparation of Poly (lactic acid) Resins A to F

질소가스 도입관, 교반기, 촉매투입구, 유출 콘덴서와 진공 시스템을 장착한 8 ℓ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의 반응물을 촉매와 함께 충진시켰다. 촉매로는 전체 반응물 함량 대비 130 ppmw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질소 기류 하에서 반응기 온도 70℃에서 2시간 동안 우레탄 반응을 진행하고, 4 kg의 L-(또는 D-)락티드를 투입하여 5회 질소 플러싱(flushing)을 실시하였다. Components and contents of reactants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were charged together with the catalyst in an 8 L reactor equipped with a nitrogen gas inlet tube, a stirrer, a catalyst inlet, an outlet condenser and a vacuum system. As the catalyst, 130 ppmw of dibutyltin dilaurate relative to the total reactant content was used. The urethane reaction was conducted under a nitrogen stream at 70 ° C for 2 hours, and 4 kg of L- (or D-) lactide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nitrogen flushing five times.

이후, 150℃까지 승온하여 L-(혹은 D-)락티드를 완전 용해하고, 촉매투입구를 통해 촉매인 틴2-에틸헥실레이트를 전체 반응물 함량 대비 120 ppmw가 되도록 톨루엔 500 ml로 희석하여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였다. 1 kg 질소 가압 상태에서 185℃로 2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고, 인산 200 ppmw을 촉매투입구로 첨가한 후, 15분간 혼합하여 잔류촉매를 불활성화시켰다. 이어서, 0.5 torr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반응을 통해 미반응 L-(혹은 D-)락티드(최초 투입량의 약 5 중량%)를 제거하였다.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Then,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50 ° C to completely dissolve the L- (or D-) lactide, and the catalyst, tin 2-ethylhexylate, was diluted with 500 ml of toluene to 120 ppmw relative to the total reactant content, .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185 ° C under 1 kg of nitrogen pressure for 2 hours, 200 ppmw of phosphoric acid was added to the catalyst inlet, and the mixture was mixed for 15 minutes to inactivate the residual catalyst. The unreacted L- (or D-) lactide (about 5 wt% of the initial charge) was then removed through a vacuum reaction until a 0.5 torr was reached. Th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Tg, Tm,% C bio, etc. of the obtained resin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제조예 7: 폴리유산 수지 G의 제조Production Example 7: Preparation of poly (lactic acid resin G)

질소가스 도입관, 교반기, 촉매투입구, 유출 콘덴서와 진공 시스템을 장착한 8 ℓ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TPB2.0 865 g과 3.9 kg의 L-락티드와 0.1 kg의 D-락티드를 투입하고 5회 질소 플러싱을 실시하였다. 150℃까지 승온하여 락티드를 완전 용해하고, 촉매투입구를 통해 촉매인 틴2-에틸헥실레이트 120 ppmw를 톨루엔 500 ml로 희석하여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1 kg 질소 가압 상태에서 185℃로 2시간 반응을 진행하고, 인산 200 ppmw을 촉매투입구로 첨가한 후, 15분간 혼합하여 잔류촉매를 불활성화시켰다. 0.5 torr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반응을 통해 미반응 L-락티드(최초 투입량의 약 5 중량부)를 제거하였다. 이 후에 촉매투입구를 통해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HDI와 촉매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120 ppmw를 톨루엔 500 ml로 희석하여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였다. 질소분위기하에서 190℃로 1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고,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To an 8 L reactor equipped with a nitrogen gas inlet, a stirrer, a catalyst inlet, an outlet condenser and a vacuum system, 865 g of HTPB 2.0, 3.9 kg of L-lactide and 0.1 kg of D- And nitrogen flushing was performed five times.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50 ° C to completely dissolve the lactide, and 120 ppmw of tin 2-ethylhexylate as a catalyst was diluted with 500 ml of toluene through a catalyst inlet and added to the reaction vessel. Subsequently,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185 ° C under a pressure of 1 kg of nitrogen for 2 hours, 200 ppmw of phosphoric acid was added to the catalyst inlet, and the mixture was mixed for 15 minutes to inactivate the residual catalyst. Unreacted L-lactide (about 5 parts by weight of the initial charge) was removed through a vacuum reaction until 0.5 torr was reached. Subsequently, 120 ppmw of HDI and catalyst dibutyltin dilaurate as shown in Table 1 below were diluted with 500 ml of toluene through a catalyst inlet and added to the reaction vessel.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in a nitrogen atmosphere at 190 DEG C for 1 hour, and th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Tg, Tm and% C bio, etc. of the obtained resin were measured and are shown in Table 1.

제조예 8: 폴리유산 수지 H의 제조Production Example 8: Production of poly (lactic acid resin) H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TPB2.0 885 g과 3.8 kg의 L-락티드와 0.2 kg의 D-락티드를 사용하고, 이 후에 촉매투입구를 통해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DI와 D-L75를 함께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7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885 g of HTPB2.0, 3.8 kg of L-lactide and 0.2 kg of D-lactide were us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and then HDI and D-L7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7, Th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Tg, Tm,% C bio, etc. of the obtained resin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제조예 9: 폴리유산 수지 I의 제조Production Example 9: Preparation of poly (lactic acid resin I)

질소가스 도입관, 교반기, 촉매투입구, 유출 콘덴서와 진공 시스템을 장착한 8 ℓ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올과 4 kg의 L-락티드를 투입하고 5회 질소 플러싱을 실시하였다. 150℃까지 승온하여 L-락티드를 완전 용해하고, 촉매투입구를 통해 촉매 틴2-에틸헥실레이트 120 ppmw를 톨루엔 500 ml로 희석하여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1 kg 질소 가압 상태에서 185℃로 2시간 반응을 진행하고, 인산 200 ppmw를 촉매투입구로 첨가한 후, 15분간 혼합하여 잔류촉매를 불활성화시켰다. 0.5 torr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반응을 통해 미반응 L-락티드를 제거하였다.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polyol and 4 kg of L-lactide were charged into an 8 L reactor equipped with a nitrogen gas inlet tube, a stirrer, a catalyst inlet, an outlet condenser and a vacuum system, and subjected to nitrogen flushing five times.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50 ° C to completely dissolve the L-lactide, and 120 ppmw of catalyst tin 2-ethylhexylate was diluted with 500 ml of toluene through the catalyst inlet and added to the reaction vessel. Subsequently,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185 ° C under a pressure of 1 kg of nitrogen for 2 hours, 200 ppmw of phosphoric acid was added to the catalyst inlet, and the mixture was mixed for 15 minutes to inactivate the residual catalyst. Unreacted L-lactide was removed through vacuum reaction until 0.5 torr was reached. Th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Tg, Tm,% C bio, etc. of the obtained resin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제조예 10: 폴리유산 수지 J의 제조Production Example 10: Production of poly (lactic acid resin J)

폴리올 대신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PDO2.4(폴리(1,3-프로판디올), 수평균분자량 2,400) 378.8 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Except that 378.8 g of PPDO2.4 (poly (1,3-propanediol),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2,400) was added instead of the polyol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Tg, Tm,% C bio, etc. of the obtained resin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제조예 11: 폴리유산 수지 K의 제조Production Example 11: Production of poly lactic acid resin K

폴리올 대신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도데칸올 6 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9, except that 6 g of 1-dodecanol was added instead of the polyol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Tg, Tm,% C bio, etc. of the obtained resin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제조예 12: 폴리유산 수지 L의 제조Production Example 12: Preparation of poly lactic acid resin L

질소가스 도입관, 교반기, 촉매투입구, 유출 콘덴서와 진공 시스템을 장착한 8ℓ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BSA 폴리올(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HDI를 투입하고 5회 질소 플러싱을 실시하였다. 촉매로는 전체 반응물 함량 대비 130 ppmw 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질소 기류 하에서 반응기 온도 190℃에서 2시간 동안 우레탄 반응을 진행하고, 4 kg의 L-락티드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190℃에서 L-락티드를 완전 용해하고, 촉매투입구를 통해 전체 반응물 함량 대비 부가중합 촉매 틴2-에틸헥실레이트 120 ppmw와 에스터 및/또는 에스터 아미드 교환촉매로서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1,000 ppmw를 톨루엔 500 ml로 희석하여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였다. 1 kg 질소 가압 상태에서 190℃로 2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고, 인산 200 ppmw을 촉매투입구로 첨가 및 15분간 혼합하여 잔류촉매를 불활성화시켰다. 이어서, 0.5 torr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반응을 통해 미반응 L-락티드(최초 투입량의 약 5 중량)를 제거하였다.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A PBSA polyol (polyester polyol) and HDI were charged into an 8 L reactor equipped with a nitrogen gas introducing tube, a stirrer, a catalyst inlet, an outlet condenser and a vacuum system as shown in Table 1 below and nitrogen flushing five times. As the catalyst, 130 ppmw of dibutyltin dilaurate relative to the total reactant content was used. The urethane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2 hours at a reactor temperature of 190 占 폚 under a nitrogen stream, 4 kg of L-lactide was introduced, L-lactide was completely dissolved at 190 占 폚 in a nitrogen atmosphere and the total reactant content Concentration addition catalyst 120 ppmw of tin 2-ethylhexylate and 1,000 ppmw of dibutyltin dilaurate as an ester and / or esteramide exchange catalyst were diluted with 500 ml of toluene and added to the reaction vessel.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190 DEG C under 1 kg of nitrogen pressure for 2 hours, 200 ppmw of phosphoric acid was added to the catalyst inlet and mixed for 15 minutes to inactivate the residual catalyst. The unreacted L-lactide (about 5 wt.% Of the initial charge) was then removed through a vacuum reaction until 0.5 torr was reached. Th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Tg, Tm,% C bio, etc. of the obtained resin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8: 성형품의 제조Ex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8: Production of molded articles

상기 제조예 1 내지 12에서 제조된 폴리유산 수지를 각각 80℃로 6시간 동안 1 torr의 진공 하에서 감압 건조한 뒤, 표 2 또는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외의 재료들을 슈퍼믹서(super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이를 지름 19 mm 이축 스크류 압출기(일축 압출기, 롤밀, 니더 또는 밴버리 믹서 등 다양한 배합 가공기기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음)에서 압출온도 220 내지 250℃ 조건으로 스트랜드(strand)상으로 용융 혼련 압출하였다. 워터배스를 통해 냉각된 스트랜드를 펠렛타이저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를 제습 건조기 또는 열풍 건조기로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사출가공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성형품의 평가결과를 표 2 또는 3에 함께 나타내었다
The polylactic acid resins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s 1 to 12 were respectively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at 80 ° C for 6 hours under a vacuum of 1 torr, and then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and its Were mixed using a super mixer and extruded at an extrusion temperature of 220 to 250 mm in a 19 mm diameter twin screw extruder (one of various compounding machines such as a uniaxial extruder, a roll mill, a kneader or a Banbury mixer could be used) Lt; 0 &gt; C. The cooled strands through a water bath were prepared in the form of pellets using a pelletizer. This was dried in a dehumidifying dryer or a hot-air dryer at 80 ° C for 4 hours or more, and injection-processed to prepare a specime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molded article are shown together in Table 2 or 3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NCO/OH: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형성을 위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예컨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반복단위(또는 (공)중합체)의 말단 히드록시기"의 반응 몰비를 나타내었다. (1) NCO / OH: reaction of terminal hydroxyl group of isocyanate group / polyether polyol repeat unit (or (co) polymer) of "diisocyanate compound (for example, hexamethylene diisocyanate) for formation of polyolefin- Molar ratio.

(2) OHV(KOHmg/g):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또는 (공)중합체)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아세틸화하고, 이것을 가수분해하여 생기는 아세트산을 0.1N KOH 메탄올 용액으로 적정함으로서 측정하였다. 이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또는 (공)중합체)의 말단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의 개수에 대응한다. (2) OHV (KOH mg / g):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or (co) polymer) was dissolved in dichloromethane and acetylated, and acetic acid produced by hydrolysis thereof was titrated with a 0.1N KOH methanol solution . This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present at the ends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or (co) polymer).

(3) Mw 및 Mn(g/mol)과, 분자량 분포(Mw/Mn): 폴리유산 수지를 클로로포름에 0.25 중량% 농도로 용해하고,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제조원: Viscotek TDA 305, 컬럼: Shodex LF804×2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폴리스티렌을 표준물질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 평균 분자량(Mn)을 각각 산출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Mw 및 Mn으로부터 분자량 분포값을 계산하였다.(3) Mw and Mn (g / mol)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The poly lactic acid resin was dissolved in chloroform at a concentration of 0.25% by weight and subjected to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Viscotek TDA 305, column: Shodex LF804 × 2 ea),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were respectively calculated as polystyrene as a standard material.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 Mw and Mn thus calculated.

(4) Tg(유리전이온도, ℃): 시차주사열량계(제조원: TA Instruments)를 사용하여, 시료를 용융 급냉시킨 후에 10℃/분으로 승온시켜 측정하였다. 흡열 곡선 부근의 베이스 라인과 각 접선의 중앙값(mid value)을 Tg로 하였다.(4)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占 폚): Measured by heating the sample at 10 占 폚 / min after melting and quenching the sample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A Instruments). The midline value of the tangent line and the baseline near the endothermic curve was defined as Tg.

(5) Tm(용융온도, ℃): 시차주사열량계(제조원: TA Instruments)를 사용하여, 시료를 용융 급냉시킨 후에 10℃/분으로 승온시켜 측정하였다. 결정의 용융 흡열 피크의 최대치(max value) 온도를 Tm으로 하였다. (5) Tm (melting temperature, 占 폚):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manufactured by TA Instruments), the sample was subjected to melt quenching and then heated to 10 占 폚 / min. The maximum value of the melting endothermic peak of the crystal was defined as Tm.

(6) 잔류 단량체(락티드) 함량(중량%): 수지 0.1 g을 클로로포름 4 ml에 녹인 후 10 ml 헥산을 넣어 필터링해서 GC 분석하여 정량하였다.(6) Residual monomer (lactide) content (% by weight): 0.1 g of the resin was dissolved in 4 ml of chloroform, and 10 ml of hexane was added thereto.

(7)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함량 (중량%): 600 Mhz 핵자기공명(NMR) 스펙트로미터를 사용하여, 각 제조된 폴리유산 수지 내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함량을 정량하였다.(7) Content of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s (%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s contained in each produced poly (lactic acid) resin was quantified using a 600 Mhz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meter.

(8) 칩 color-b: 수지 칩에 대해 색차계(CR-410, Konica Minolta Sensing사)를 사용하여 값을 구한 후, 합계 5회 시험의 평균치를 표시하였다.(8) Chip color-b: The value of the resin chip was determined using a color difference meter (CR-410,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Sensing),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test was measured five times in total.

(9)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 ASTM D6866에 준거하여, 방사성 탄소 농도(Percent Modern; C14)에 의한 바이오매스 기원 물질 함유율 시험으로부터,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을 측정하였다. (9) Organic carbon content of biomass origin (% C bio ):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originating from biomass is measured from the content of biomass originating material by radioactive carbon concentration (Percent Modern; C14) according to ASTM D6866 Respectively.

(10) 압출상태: 홀(hole) 다이(die)를 장착한 지름 30 mm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폴리유산 수지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를 220 내지 250℃의 압출온도에서 스트랜드(strand) 상으로 압출한 후, 20℃의 냉각 워터 배스(bath)에서 고상화 하였다. 이때, 스트랜드 상 토출물의 용융 점도 및 용융물의 균일성을 육안으로 파악하여 용융점도의 상태(압출상태)를 다음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10) Extrusion state: Extrusion of a polylactic acid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at a temperature of 220 to 250 DEG C in a 30 mm diameter twin screw extruder equipped with a hole die Extruded into a strand at a temperature, and then solidified in a cooling water bath at 20 ° C. At this time, the melt viscosity and the uniformity of the melt of the strand-form discharge were grasped visually and the state of melt viscosity (extrusion stat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두 수지간의 상용성이 양호하여 용융점도 균일성 및 스트랜드 생성이 양호하고 끊어지지 않음◎: Good compatibility between the two resins, uniformity of melt viscosity and generation of strand are good and not broken

○: 두 수지간의 상용성이 약간 부족하고, 용융점도 균일성도 약간 낮아서 스트랜드 생성이 어렵지만, 생성자체는 가능하고 끊어짐이 발생 ○: There is a slight lack of compatibility between the two resins, and the uniformity of the melt viscosity is also somewhat low, so strand formation is difficult, but the formation itself is possible and breakage occurs

×: 두 수지간의 상용성이 너무 부족하고 용융점도 균일성도 불량하여 다이 스웰링(die swelling)이 발생하며, 스트랜드가 끊어지면서 생성이 불가능함X: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two resins was so insufficient and the melt viscosity and uniformity were also poor, resulting in die swelling, which could not be generated as the strands were cut off.

(11) MI(용융지수): ASTM D1238에 의거하여 온도 220℃에서 2.16kgf 하중으로 합계 3회 시험의 평균치를 결과치로 표시하였다.(11) MI (melt index): The average value of the test was measured three times in total at a temperature of 220 DEG C and a load of 2.16 kgf according to ASTM D1238.

(12) 상용성: 홀(hole) 다이(die)를 장착한 지름 30 mm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폴리유산 수지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를 220 내지 250℃의 압출온도에서 압출한 후 20℃의 냉각 워터 배스(bath)에서 고상화 하여, 스트랜드(strand) 시편을 얻어서 액체 질소에 침지 및 파단한 후, 절단면을 주사전사현미경(SEM)으로 관찰하고, 육안으로 다음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12) Compatibility: In a 30 mm diameter twin screw extruder equipped with a hole die, a polylactic acid resin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was extruded at 220 to 250 ° C Extruded at a temperature and solidified in a cooling water bath at 20 ° C to obtain a strand specimen. The strand specimen was immersed in and fractured in liquid nitrogen. The cut surfac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 &Lt; / RTI &gt;

◎: 두 수지간 분상 상태가 양호하고 미 분산된 수지 입경이 0.2 ㎛ 이하 ⊚: Good dispersion state between two resins and finely dispersed resin particle diameter of not more than 0.2 탆

○: 두 수지간 분상 상태가 양호하고 미 분산된 수지 입경이 1.0 ㎛ 이하,?: Good dispersion state between two resins and a finely dispersed resin particle diameter of 1.0 占 퐉 or less,

×: 두 수지간 분상 상태가 불량하고 미 분산된 수지 입경이 1.0 ㎛ 이상. X: poor dispersion state between two resins and finely dispersed resin particle diameter of 1.0 占 퐉 or more;

(13) 외관특성: 외관을 육안으로 보아 판단하였으며, 수지 용융물의 흐름성 부족에 의해 발생되는 플로우 마크(flow mark), 웰드 라인(weld line) 및 광택 저하를 판단하였다.(13) Appearance characteristics: Appearance was visually judged, and the flow mark, weld line and gloss drop caused by insufficient flow of resin melt were judged.

◎: 용융점도가 양호하여 플로우 마크, 웰드 라인이 없고, 광택이 우수함◎: Good melt viscosity, no flow mark, weld line, excellent gloss

○: 용융점도가 약간 높아서 플로우 마크, 웰드 라인이 없지만, 광택이 떨어짐○: The melt viscosity is slightly high, so there is no flow mark or weld line, but the gloss is poor

×: 용융점도가 아주 높아서 플로우 마크, 웰드 라인 및 광택저하 발생됨X: very high melt viscosity, resulting in flow mark, weld line and gloss dropping

(14) 초기인장강도(kgf/㎠): ASTM D638에 준하여 시편을 온도 20℃, 습도 65 %RH의 분위기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고, UTM(제조사: INSTRON)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합계 5회 시험한 후, 평균치를 결과치로 표시하였다. (14) Initial Tensile Strength (kgf / cm 2): According to ASTM D638, the specimens were matured for 24 hours in an atmosphere at a temperature of 20 ° C and a humidity of 65% RH and subjected to a total of five tests (INSTRON) And the average value was expressed as a result.

(15) 신율(%): 상기 (14)의 초기인장강도와 같은 조건에서 시편이 파단할 때까지의 신율을 측정하여 합계 5회 시험의 평균치를 결과치로 표시하였다.(15) Elongation (%): The elongation at break of the specimen under the same condition as the initial tensile strength of (14) was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test was measured five times in total.

(16) 충격강도(kgf-cm/cm): ASTM D 256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아이조드 충격기를 사용, 충격강도 값을 측정하였다.(16) Impact strength (kgf-cm / cm): A test specimen was prepared in accordance with ASTM D 256, and the impact strength value was measured using an Izod impactor.

(17) 굴곡강도(kgf/㎠) 및 굴곡탄성율(kgf/㎠):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UTM(제조사: INSTRON)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합계 5회 시험의 평균치를 결과치로 표시하였다. (17) Bending strength (kgf / cm2) and bending elastic modulus (kgf / cm2): A test piece was prepared in accordance with ASTM D790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test was measured five times using UTM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Respectively.

(18) 내열성(℃): ASTM D648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18) Heat resistance (占 폚): A test piece for measurement was prepared in accordance with ASTM D648, and heat resistance was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i) 고온 몰드: 사출시 110℃ 고온 몰드를 사용하였으며, 냉각 시간 30초 이내 i) High temperature mold: High temperature mold at 110 ℃ was used for injection, cooling time was 30 seconds or less

ii) 저온 몰드: 사출시 상온 몰드를 사용하였으며, 냉각 시간 30초 이내 ii) Cold mold: Normal temperature mold was used for injection and cooling time was 30 seconds or less

(19) 블리드 아웃(bleed-out): 성형품의 표면을 관찰하여 촉감에 의해 저분자량 가소제 성분이 성형품 표면으로 흡출된 정도를 A4 크기 필름 샘플을 이용하여 다음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19) Bleed-out: The surface of the molded article was observed, and the extent to which the low molecular weight plasticizer component was absorbed to the surface of the molded article by tactile sensation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using an A4 size film sample.

◎: 흡출 발생 없음◎: No generation of suction

○: 흡출 발생 있으나 심하지 않음○: Suction occurs but not severe

×: 흡출 발생 심함×: Severe draft

(20) 내습 인장강도 유지율(%): 길이 150 mm, 폭 10 mm인 필름 샘플을 온도 40℃, 습도 90%RH의 분위기에서 30일 경과한 후 초기 인장강도 변화를 측정하였다.(20) Humidity tensile strength retention (%): A film sample having a length of 150 mm and a width of 10 mm was subjected to initial tensile strength change after 30 days in an atmosphere at a temperature of 40 DEG C and a humidity of 90% RH for 30 days.

(21) 취기 발생: 컴파운딩 각 조성물 압출혼련 토출물에서 휘발성이 강한 취기의 생성여부를 확인하였다. (21) Odor generation: compounding Each composition extruded and kneaded was checked whether or not a volatile odor was formed in the discharged product.

◎: 취기 발생◎: Occurrence of odor

×: 취기 발생 되지 않음.X: No odor occurred.

(22) 총휘발성유기화합물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HeadSpace-GC/MS-재질 분석(22)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HeadSpace-GC / MS-Material Analysis

1) 샘플 2 g을 취하여 밀봉 병(vial)에 밀봉 후 HS-GC/MS 분석1) Take 2 g of the sample and seal it in a sealed vial. After HS-GC / MS analysis

2) STD: 톨루엔 250, 500, 1000 ppm을 각각 50 ㎕씩 취하여 밀봉 병(vial)에 밀봉 후 HS-GC/MS 분석2) STD: 50 μl of each of toluene 250, 500, and 1000 ppm was sealed in a vial, and HS-GC / MS analysis

3) HS- GC/MS3) HS-GC / MS

- HS: 180℃(30 min)에서 가열 후 상층 가스 분석- HS: After heating at 180 ℃ (30 min), upper gas analysis

- Column DB-5 (60 m×0.32 mm×1.0 ㎛)Column DB-5 (60 m x 0.32 mm x 1.0 mu m)

- 80℃(5 min)-10℃/min-320℃(16 min), inject 280℃, 1:30 split-80 ° C (5 min) -10 ° C / min-320 ° C (16 min), inject 280 ° C, 1:30 split

(23) 내약품성 평가(Chemical Resistance): 20 ml 병(vial)에 각각 가솔린 및 향수 용제 10 ml를 넣은 후, 각각의 시편 10 mm×30 mm×2 mm를 넣어 2시간 후 변화 관찰함(23) Chemical Resistance: 10 ml of gasoline and perfume solvent were placed in 20 ml vials, and 10 mm × 30 mm × 2 mm of each specimen was observed.

◎: 백화(whitening) 및 스웰링(swelling) 미발생◎: no whitening or swelling occurs

○: 스웰링은 미발생하나, 백화가 발생○: Swelling does not occur, but whitening occurs

×: 백화 및 스웰링 발생 ×: Whiteing and swelling occur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와 실시예 7 및 8은 폴리유산 수지 내의 유연화 성분(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함량이 5 내지 35 중량%이고, color b 값이 낮고, 적정 함량의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0 내지 400,000, 분자량 분포 1.60 내지 3.0, Tg 20 내지 60℃ 및 Tm 145 내지 178℃ 등의 물성을 갖는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성형품이다. 또한, 실시예 6은 본 발명의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이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에 해당하는 폴리유산 수지(수지 F)와 일반적인 폴리유산 수지(수지 K)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다.Referring to Table 2, Examples 1 to 5 and Examples 7 and 8 show that the content of the softening component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in the poly (lactic acid resin) is 5 to 35% by weight, the color b value is low, Of an antioxidant and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400,000,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1.60 to 3.0, a Tg of 20 to 60 占 폚 and a Tm of 145 to 178 占 폚, and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copolymer solid resin composition. In Example 6, the polylactic acid resin (resin F) corresponding to the polylactic acid resin contained i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polylactic acid resin (resin K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이러한 실시예 1 내지 8의 사출성형품은 모두 초기인장강도가 300 kgf/㎠ 이상이고, 충격강도가 15 kgf-cm/cm 이상으로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질 뿐 아니라, 고온 몰드 HDT도 75℃ 이상으로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40℃, 습도 90%RH의 분위기에서 30일 경과 후에 내습 인장강도 유지율이 80% 이상으로 우수하고, 스티렌 또는 아크릴계 상용화제 및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아 TVOC 함량이 200 ppm 이하이고, 블리드 아웃 미발생으로 인체에 유해한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수지의 바이오 매스 함량이 25% 이상으로 친환경 소재라 할 수 있다. All of the injection molded articles of Examples 1 to 8 have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an initial tensile strength of 300 kgf / cm 2 or more and an impact strength of 15 kgf-cm / cm or more, as well as high temperature mold HDT Heat resistanc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tensile strength retention after immersion in the atmosphere of 40 DEG C and humidity of 90% RH was excellent at 80% or more after 30 days, TVOC content was 200 ppm or less without use of styrene or acrylic compatibilizer and plasticizer,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amount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harmful to the human body. Further, the biomass content of the resin is 25% or more, which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이에 비해, 폴리올레핀계 폴리올을 소프트세그먼트로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A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로 제조된 비교예 1의 사출 성형품은 여러 제반 물성은 양호하지만, 바이오함량이 25% 이내로 세계 친환경 플라스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폴리유산 수지 K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비교예 2의 압출 혼련 수지는 폴리유산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와의 상용성 부족 및 두 수지 간의 용융점도 차이가 너무 커서 압출혼련 토출시 다이 스웰링 발생 등 압출상태가 불량하였고, 인장강도가 200 kgf/㎠ 미만이고, 충격강도가 5 kgf-cm/cm 미만이며, 내습성이 불량하여 사출 성형품으로서 사용되기 어려웠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 K와 상용화제를 함께 사용한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비교예 3 및 4의 사출 성형품의 경우에는, 두 수지 간의 반응형 상용화제 도입으로 압출상태는 양호하였지만, 두 수지간의 상용성이 충분치 않아서 최종 사출 성형품의 제반 기계적 물성, 내습성 및 내열성이 불량하였다. 더구나, 상용화제 사용에 따른 취기 문제와 블리드 아웃 문제가 심각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injection molded article of Comparative Example 1, which was made of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ntaining polylactic acid resin A containing a polyolefin-based polyol as a soft segment, However, the biodegradable content was less than 25%, which did not meet the global environmentally friendly plastic standards. The extrusion kneaded resin of Comparative Example 2, which was produced from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general polylactic acid resin K, was a mixture of a polylactic acid resin and acrylonitrile-butadiene- The extrusion state was poor such as occurrence of die swelling in the extrusion kneaded soot, the tensile strength was less than 200 kgf / cm 2, the impact strength was 5 kgf-cm / cm &lt; / RTI &gt; and poor moisture resistance, making it difficult to use as an injection molded artic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njection molded articles of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prepared from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using the polylactic acid resin K and the compatibilizing agent together, Although the extrusion state was good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compatibilizing agent, compatibility between the two resins was not sufficient,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moisture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of the final injection molded article were poor. In addition, odor problems and bleed-out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compatibilizers were serious.

또한, 비교예 5는 폴리유산수지 내에 소프트세그먼트인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가 포함되지 않았고, 가소제 성분으로 각각 수 평균 분자량 2,400의 폴리(1,3-프로판디올)을 폴리유산 수지 K에 단순히 컴파운딩 혼합하여 사출 성형화한 것으로, 이러한 비교예 5의 사출 성형품은 상기 가소제 성분의 수지 내 분산 정도가 완전치 않아서 압출 혼련시 용융물의 헤이즈가 높고, 압출 상태 및 외관 특성이 불량하였으며, 시간의 경과 후 사출 성형품에서 가소제 성분이 블리드 아웃되는 현상이 발견되었고, 내습성 및 TVOC(총휘발성유기화합물) 특성이 불량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5, poly (1,3-propanediol)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400 as a plasticizer component was not contained in the soft segment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in the poly (lactic acid) resin,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of Comparative Example 5 had insufficient degree of dispersion of the plasticizer component in the resin, so that the haze of the melt during extrusion kneading was high, the extruded state and appearance characteristics were poor, and after the lapse of time A phenomenon that the plasticizer component bleed out from the injection molded article was found, and the moisture resistance and TVOC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characteristics were poor.

또한, 폴리에테르계 우레탄 폴리올을 소프트세그먼트로 함유하는 폴리유산 수지 I 및 폴리유산 J를 각각 사용한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비교예 6 및 7의 사출 성형품의 경우에도, 상용성 부족 및 두 수지 간의 용융점도 차이가 너무 커서 압출혼련 토출시 다이 스웰링 발생 등 압출상태가 불량하여 사출 성형품으로서 사용되기 어려웠다. Further, in Comparative Examples 6 and 7 prepared from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using polylactic acid resin I and polylactic acid J each containing polyether-based urethane polyol as a soft segment Even in the case of injection molded articles, the difference in melting point between the two resins and the lack of compatibility is too large to be used as an injection molded article due to a poor extrusion state such as occurrence of die swelling in extrusion kneaded soot.

또한, 비교예 8의 사출성형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반복단위가 도입되고 분자량 분포가 넓은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로부터 제조된 것이다. 상기 비교예 8의 사출 성형품은 유연화 성분인 폴리우레탄이 작은 세그먼트 크기로 랜덤하게 도입됨에 따라 비교적 우수한 내 블리드 아웃 특성 및 TVOC 특성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폴리유산 반복단위가 비교적 작은 세그먼트 크기로 도입됨에 따라, 낮은 Tm 등에 의한 열악한 내열성을 나타내고, 상용성 문제로 제반의 기계적 강도가 불량하였다. 또한, 유연화 성분의 형성을 위해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유산의 낮은 상용성으로 인해 압출 혼련물이 불균일하고 성형품의 압출상태 불량 및 기계적 물성 저하를 초래함이 확인되었고, 내습성이 매우 불량하였다.In addition, the injection-molded article of Comparative Example 8 had a polyester polyol repeating unit introduced therein and a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ntaining a poly (lactic acid) resin.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of Comparative Example 8 exhibited relatively excellent bleed-out characteristics and TVOC characteristics as the polyurethane as a softening component was randomly introduced into a small segment size. However, since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was introduced into a relatively small segment size , Low Tm, and the like, and all of the mechanical strengths were poor due to compatibility problems.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xtrusion kneaded product is uneven due to the low miscibility of the polyester polyol and the polylactic acid used for forming the softening component, resulting in poor extruded state of the molded article and deterior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moisture resistance is very poor .

한편,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펠렛에 대하여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모폴로지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 내지 3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3의 경우, 폴리유산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의 비율과 상관없이 폴리유산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특별한 상용화제 사용 없이 두 수지 사이의 상용성이 증가하였다는 의미로서, 굴곡탄성율 및 충격강도의 물성 균형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On the other hand, the morphologies of the pellet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were observed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 to 3, respectively. In the case of Figs. 1 to 3,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did not appear clearly regardless of the ratio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Able to know. This means that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two resins is increased without the use of a special compatibilizer, which shows that the balance of physical properties of flexural modulus and impact strength is improved.

상기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폴리유산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유산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 내에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는 폴리유산 수지 내에서 분산성이 증가하여 폴리유산 수지의 취약점인 내충격성, 결정화 속도 및 내열성을 향상시켜 수지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 균형을 이룰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polylactic acid resin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the polylactic acid resin is contained in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or in the acrylonitrile-butadiene- It is understood that the styrene copolymer resin increases the dispersibility in the polylactic acid resin, thereby improving the impact resistance, the crystallization speed and the heat resistance, which are weak points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thereby achieving a balance of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omposition.

Claims (16)

(1) 폴리유산 수지 30 내지 90 중량부 및 (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 70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1) 폴리유산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먼트, 및 하기 화학식 2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먼트를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60 중량% 이상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4

[화학식 2]
Figure pat00015

[수학식 1]
%C바이오 = (폴리유산 수지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바이오 매스 기원 표준 물질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n은 700 내지 5,000의 정수이고, m+l은 5 내지 200의 정수이다.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block co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1) 30 to 90 parts by weight of a polylactic acid resin and (2) 70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as,
The polylactic acid resin (1) comprises a hard segment comprising a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a polyolefin-based polyol constituent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in a linear or branched Based polyol repeat units,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having an organic carbon content (% C bio ) of biomass origin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60 wt%
[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14

(2)
Figure pat00015

[Equation 1]
% C = Bio (poly 14 C isotope ratio by weight of the 12 C isotope of carbon atoms of the lactic acid resin) / (14 C isotope ratio by weight of the bio-12 C isotope of carbon atoms of the mass origin standard)
In the general formulas (1) and (2), n is an integer of 700 to 5,000 and m + 1 is an integer of 5 to 2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폴리유산 수지 및 (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의 충격보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further comprising 0.1 to 20 parts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1) and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2) 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탄소 원자 중 14C 동위원소의 함량이 7.2×10-11 중량% 내지 1.2×10-10 중량%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14 C isotopes in carbon atoms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is 7.2 × 10 -11 wt% to 1.2 × 10 -10 w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세그먼트가 상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를 70 중량% 이상의 함유율(%C바이오)로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ft segment contains organic carbon of biomass origin as defined in Equation (1) in a content (% C bio ) of 70 wt%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50,000 내지 200,000의 수 평균 분자량, 및 100,000 내지 4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 (lactic acid) resin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to 200,000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400,0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20 내지 55℃의 유리전이 온도(Tg)와 145 내지 178℃의 용융 온도(Tm)를 갖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 (lactic acid) resin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20 to 55 占 폚 and a melting temperature (Tm) of 145 to 178 占 폚.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결합이,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에 락티드를 부가중합시킨 프리폴리머와,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관능기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으로 형성된 것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rethane bond is formed by a reaction between a hydroxyl group at the end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or a prepolymer obtained by addition polymerization of a lactide to the hydroxyl group at the end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and a polyisocyanate compound formed by reaction of a diisocyanate or an isocyanate compound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상기 하드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말단 카르복시기가 상기 소프트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와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우레탄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lactic acid resin is a block copolymer in which the terminal carboxyl group of the polylactic acid repeating unit contained in the hard segment is bonded to the terminal hydroxy group of the polyolefin polyol constituent unit contained in the soft segment by ester bonding,
Wherein the block copolymer comprises a linear or branched block copolymer linked via a urethane bond. 2.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block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와 결합되지 않은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olylactic acid resin further comprises a polylactic acid homopolymer not bonded to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2.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중합체가 1,000 내지 100,000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repeating unit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to 100,00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와,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관능기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몰비가 1 : 0.50 내지 1 : 0.99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action molar ratio of the hydroxyl group at the end of the polyolefin-based polyol structural unit to the diisocyanate or the isocyanate group of the isocyanate compound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is 1: 0.50 to 1: 0.99, and the polyol /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상기 폴리유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하드세그먼트 65 내지 95 중량부 및 소프트세그먼트 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lactic acid resin is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65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hard segments and 5 to 35 parts by weight of soft segments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가 아크릴로니트릴 10 내지 30 중량%, 부타디엔 10 내지 30 중량%, 및 스타이렌 40 내지 70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인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is a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which is a copolymer comprising 10 to 30% by weight of acrylonitrile, 10 to 30% by weight of butadiene, and 40 to 70% 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가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를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70 중량부 포함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is a polylactic acid resin comprising 30 to 70 parts by weight of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onitrile-butadiene-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10 미만의 color-b 값을 나타내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exhibiting a color-b value of less than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미만의 단량체가 잔류하는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lactic acid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has a monomer content of less than 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KR1020130142820A 2013-11-22 2013-11-22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KR102111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820A KR102111761B1 (en) 2013-11-22 2013-11-22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PCT/KR2014/011136 WO2015076560A1 (en) 2013-11-22 2014-11-19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TW103140435A TWI649370B (en) 2013-11-22 2014-11-21 Alloy resin composition of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820A KR102111761B1 (en) 2013-11-22 2013-11-22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340A true KR20150059340A (en) 2015-06-01
KR102111761B1 KR102111761B1 (en) 2020-05-15

Family

ID=5317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820A KR102111761B1 (en) 2013-11-22 2013-11-22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lloy resin compositio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11761B1 (en)
TW (1) TWI649370B (en)
WO (1) WO2015076560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334A (en)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MBS based impact modifi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olylactic aci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126912B1 (en) 2019-01-16 2020-06-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olyolefin/polyamid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US11407845B2 (en) 2016-09-23 2022-08-09 Lg Chem, Ltd. Residual monomer content controlling method of polym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4454A (en) * 2022-06-17 2022-07-22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High-temperature-resistant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247A (en)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lactic acid-thermoplastic resin alloy composition having superior thermal resistance and moisture proof
KR20110067238A (en) * 2009-12-14 2011-06-22 제일모직주식회사 D-polylactic acid block copolymer, polylactic resin including d-polylactic acid block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d-polylactic acid block copolymer
KR20120041626A (en) 2010-10-21 2012-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polylactic acid composit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383A (en)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 lactic acid-styrene alloy composition with enhanced hydrolysus resistance
JP2012131905A (en) * 2010-12-22 2012-07-12 Unitika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comprising the same
WO2012102463A1 (en) * 2011-01-25 2012-08-02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olylactic acid resin film
KR101804430B1 (en) * 2011-01-25 2017-12-05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olylactic acid resin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247A (en)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lactic acid-thermoplastic resin alloy composition having superior thermal resistance and moisture proof
KR20110067238A (en) * 2009-12-14 2011-06-22 제일모직주식회사 D-polylactic acid block copolymer, polylactic resin including d-polylactic acid block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d-polylactic acid block copolymer
KR20120041626A (en) 2010-10-21 2012-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polylactic acid composit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334A (en)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MBS based impact modifi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olylactic aci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1407845B2 (en) 2016-09-23 2022-08-09 Lg Chem, Ltd. Residual monomer content controlling method of polymer
KR102126912B1 (en) 2019-01-16 2020-06-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olyolefin/polyamid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49370B (en) 2019-02-01
WO2015076560A1 (en) 2015-05-28
TW201529688A (en) 2015-08-01
KR102111761B1 (en)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5749B2 (en) Carbodiimide composition with reduced yellowing, hydrolysis resistance stabiliz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Lu et al. Supertoughened poly (lactic acid)/polyurethane blend material by in situ reactive interfacial compatibilization via dynamic vulcanization
EP1674528B1 (en) Aliphatic polyester composition and moulded article
EP2607428B1 (en) Resin composition
JP2005082642A (en) Hydrolysis resistance stabilizer for ester group-bearing resin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2149304B1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for 3d printing
KR102059492B1 (en) Polylactic acid resin and film for packaging comprising the same
KR102103524B1 (en) Polylactic acid-polyamide alloy resin composition
TWI649370B (en) Alloy resin composition of polylactic acid/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CN105189649B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US11118051B2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KR102003480B1 (en) Polylactic acid-polyolefin alloy resin composition
KR102043264B1 (en) Polylactic acid resin film
KR20150140165A (en) Heat sealable and flexible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KR20180124813A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film
KR20130139691A (en) Polylactic acid resin film
KR20130139690A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film
JP2013010844A (en) Resin composition for molded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