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271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271A
KR20150059271A KR1020130142655A KR20130142655A KR20150059271A KR 20150059271 A KR20150059271 A KR 20150059271A KR 1020130142655 A KR1020130142655 A KR 1020130142655A KR 20130142655 A KR20130142655 A KR 20130142655A KR 20150059271 A KR20150059271 A KR 20150059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b
bulb
waveguide
length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성
김현정
박병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9271A/ko
Publication of KR2015005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a separate microwave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제1 스터브(stub); 상기 제1 스터브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2 스터브(stub); 상기 제2 스터브와 연결되며, 도즈가 봉입된 벌브; 및 상기 제1 스터브와 제2 스터브를 둘러싸는 도파관을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발광하는 무전극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수 100MHz - 수 GHz)를 이용한 조명장치(Microwave dischage lamp)는 무전극 플라즈마 전구에 마이크로파를 가하여 가시광선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파 조명장치는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하여 휘도가 높고 효율이 높으며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마이크로파 조명장치(무전극 조명장치라고도 함)는 무전극 방전 램프로 전극이 없는 석영구(벌브) 내에 불활성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최근 마이크로파 조명장치는 유황을 고압 상태로 방전시키면서 가시광 영역의 연속 스펙트럼을 방사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전극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무전극 조명장치의 반사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마이크로파 조명장치(10)는 마그네트론(20)과 발광물질이 봉입된 벌브(50)와 상기 벌브(50)를 둘러싸는 공진기(40) 및 상기 마그네트론(20)과 상기 공진기(40)를 연결하는 도파관(30)을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론(20)은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며, 상기 마그네트론(20)과 일체 또는 별도로 고전압발생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론(20)은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안테나(21)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21)는 상기 도파관(30)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도파관(30)은 상기 안테나(21)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안내하는 도파공간(31)과 상기 마이크로파를 상기 공진기(40)로 전달하기 위한 개구부(32)를 포함한다.
상기 공진기(40)는 유입된 마이크로파의 외부 방출을 차폐하여 공진모드를 형성하며, 상기 마이크로파를 여기시켜 강한 전계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공진기(40)는 메쉬(mesh)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진기(40) 내부에는 발광물질(도즈)이 충진된 벌브(50)가 배치되고, 상기 벌브(50)에 마련된 회전축은 모터(6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전극 조명장치(10)는 상기 모터(60)를 둘러싸는 하우징(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기(40)로 유입된 마이크로파는 공진기(40) 내부에서 공진되면서 상기 벌브(50)의 발광물질을 여기시킨다. 또한, 상기 벌브(50) 내부에 충진된 발광물질이 플라즈마 상태로 변화되어 빛이 발생하고, 상기 빛은 공진기(40) 외부로 방사된다.
도 2의 (a)는 전구가 방전되기 전의 반사계수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전구가 방전된 후의 반사계수를 나타낸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전극 조명장치(10)는 전구의 상태에 따라 안정된 동작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초기 전구를 점등하는 상황과 점등 후 안정된 발광 상태를 유지하는 상황을 동시에 만족시키기가 힘들다. 이로 인해 전구가 점등되어 초기 방전이 일어나도 안정 상태로 넘어가다가 전구가 꺼지는 일이 발생하거나 전구가 안정 상태에 도달해도 전자파의 임피던스 접합이 불량하여 조명장치의 효율이 크게 저하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점등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초기 점등시 벌브에 전계를 집중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방전을 위한 급격한 입력전력변화에 의한 마그네트론의 전기적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전 이후 반사파 매칭을 통해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효율을 높이고 마그네트론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계의 균등한 분포로 벌브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점등시 시간 및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제1 스터브(stub); 상기 제1 스터브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2 스터브(stub); 상기 제2 스터브와 연결되며, 도즈가 봉입된 벌브; 및 상기 제1 스터브와 제2 스터브를 둘러싸는 도파관을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터브와 제2 스터브의 간격을 통해 정전 용량(capacitance)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터브는 벌브와 연결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일부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는 제1 스터브와 동축 상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의 길이는 마이크로파 파장의 0.25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임피던스 트랜스포머를 통해 점등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초기 점등시 벌브에 전계를 집중시킬 수 있다.
특히, 점등 초기에 종래보다 약 20배 이상의 강한 전계가 벌브로 인가되어 점등 특성이 우수하고, 반사파 매칭을 통해 조명장치가 받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방전을 위한 급격한 입력전력변화에 의한 마그네트론의 전기적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방전 이후 반사파 매칭을 통해 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도파관을 통해 전계의 균등한 분포를 발생시킴으로써 벌브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재점등시 시간 및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전극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무전극 조명장치의 반사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요부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반사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전계 세기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무전극 조명장치'라고도 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1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요부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100)는 마그네트론(110)과 제1 스터브(Stub, 130)와 제2 스터브(140)와 벌브(170) 및 도파관(120)을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론(110)은 소정 주파수(f, 예를 들어, 2.49Ghz)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안테나(1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터브(130)는 전도성(conductivity)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1 스터브(130)는 구리, 알루미늄 또는 SU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터브(13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있다. 즉, 상기 제1 스터브(130)는 소정의 직경(d2)과 소정의 길이(h1)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터브(130)는 상기 도파관(120)의 중심축(C)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터브(130)는 상기 도파관(120)의 중심축(C)과 동축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도파관(120)의 중심축(C)과 상기 제1 스터브(130)의 중심축은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파관(120)의 중심축(C)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평행한 방향을 제1 스터브(130)의 길이방향이라 지칭할 수 있고, 길이방향에 따른 길이를 제1 스터브(130)의 길이(h1, 도 7참조)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스터브(130)는 상기 안테나(111)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111)는 적어도 일부 영역 이상이 상기 제1 스터브(13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111)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가 상기 제1 스터브(130)에 집중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터브(140)는 상기 제1 스터브(13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즉, 제1 스터브(130)와 제2 스터브(140)는 물리적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제2 스터브(140)는 상기 제1 스터브(130)와 상기 도파관(120)의 중심축(C)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도 있고, 상기 도파관(120)의 직경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스터브(140)는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터브(1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터브(130)와 제2 스터브(140)의 대향하는 각 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파관(120)의 중심축(C)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평행한 방향을 제2 스터브(140)의 길이방향이라 지칭할 수 있고, 길이방향에 따른 길이를 제2 스터브(140)의 길이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스터브(140)는 상기 벌브(170)와 연결된다.
상기 벌브(170)에는 발광물질인 도즈가 봉입된다. 상기 도즈는 황(Sulfur)과 메탈 할라이드(Metal Hallid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탈 할라이드는 칼슘브로마이드(CaBr2), 리듐아이오다이드(LiI) 및 인듐브로마이드(InBr)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벌브(170)는 도즈가 수용된 봉입부(171)와 팁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벌브(170)의 일부영역은 상기 제2 스터브(14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벌브(170)의 팁부(172)는 상기 제2 스터브(14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반적인 무전극 조명장치(10)는 도 1에서와 같이 벌브(50)를 둘러싸는 공진기(40)가 마련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벌브(170)의 팁부(172)가 상기 제2 스터브(140)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공진기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스터브(140)를 통해 벌브(150)로 전계가 집중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진기가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벌브(170)를 둘러싸는 반사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에는 빛을 외부로 방사시키기 위한 글라스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벌브(170)는 상기 반사부재와 글라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글라스에는 전자파 차폐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파관(120)은 제1 스터브(130)와 제2 스터브(140)를 둘러싼다. 상기 도파관(1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스터브(130, 1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파관(120)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파관(120)은 상기 도파관(120)의 중심축(C)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길이 및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스터브(130)와 제2 스터브(140)는 모든 영역이 상기 도파관(120) 내부에 위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2 스터브(14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 스터브(140)는 벌브(170)와 연결되는 제1 부재(150)와 상기 제1 부재(150)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 제2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160)는 상기 제1 스터브(130)와 인접한 제1 부재(150)의 종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150)와 제2 부재(160)는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150)는 상기 도파관(120)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 부재(160)는 상기 도파관(120)의 직경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2 스터브(140)는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재(150)는 상기 도파관(120)의 중심축(C) 방향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벌브(170)의 팁부(172)는 상기 제1 부재(150)에 삽입된다.
상기 벌브(170)는 그 중심이 상기 제1 부재(150)의 중심축에 일치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벌브(170)와 상기 제1 부재(150)는 동축 상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150)는 제1 스터브(130)와 동축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터브(130)와 제1 부재(150) 및 상기 벌브(170)는 동축 상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축은 도파관(120)의 중심축(C)일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회로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조명장치(100)는 도 6과 같은 회로도로 표현될 수 있다. 즉, 도 6은 상기 조명장치(100)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터브(130)와 제2 스터브(140)의 간격(A)을 통해 정전 용량(capacitance, C2)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파관(120)과 상기 제2 스터브(140)의 제1 부재(150) 사이의 간격(B)을 통해 정전 용량(C1)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도파관(120)은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도파관(120)은 제1 직경을 갖는 제1 영역(121)과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영역(1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은 중심축이 일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21)의 중심과 제2 영역(122)의 중심은 상기 도파관(120)의 중심축(C)에 각각 위치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111)에서 상기 벌브(17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이 차례로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121)은 마그네트론(110) 측에 가깝게 위치되고, 제2 영역(122)은 벌브(170) 측에 가깝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영역(121)의 길이는 상기 제2 영역(122)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부재(150)와 벌브(170)는 동축 상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부재(150)와 벌브(170)는 상기 도파관(120)의 제2 영역(122)의 중심축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열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벌브(170) 주변의 전계가 균등하게 분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벌브(170)를 회전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무전극 조명장치에서는 벌브 주변의 전계 세기가 균일하지 않게 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벌브를 회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의 도파관(120)을 통해 상기 벌브(170)에 가해지는 전계 세기를 균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벌브의 무회전 설계가 가능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R1값은 마그네트론(110)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고, R3값은 벌브(170) 주변의 외부 저항값을 나타낸다. 즉, R1값과 R3값은 미리 결정된다. 이때, R2값은 R1값과 R3값 사이의 소정 값(예를 들어, 중간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조명장치(100)의 시스템 정합을 위하여, 임피던스 설계가 요구된다.
제2 스터브(140)의 제1 부재(150)와 제2 부재(160)의 인덕턱스(Inductance) L1과 L2 및 정전 용량(Capacitance) C1과 C2는 아래 수학식 1 내지 6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상기 C1을 통하여 제1 스터브(130)와 제2 스터브(140) 사이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2를 통하여 제2 스터브(140), 구체적으로 제1 부재(150)와 상기 도파관(120) 사이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제1 부재(140) 및 제2 부재(150)의 직경 및 길이는 아래 수학식 7을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상기 수학식 7에서, 부호 L은 인덕턴스를 나타내고(단위: μH), 부호 a는 반경을 나타내며(단위: in.), 부호 b는 접지면에 평행한 길이를 나타내고(단위: in.), 부호 h는 접지면에 대한 높이를 나타낸다(단위: i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전술한 수학식 1 내지 7을 통해, 제2 스터브(140)의 길이 및 직경을 각각 계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부재(160)의 직경(d3)은 제1 부재(150)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160)의 길이(h3)는 마이크로파 파장(λ)의 0.25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150)의 길이(h2)는 제2 부재(160)의 길이(h3)보다 크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1 부재(150)의 길이(h2)와 제2 부재(160)의 길이(h3)의 비는 3:1일 수 있다.
한편, 제1 스터브(130)의 길이(h1)는 상기 제2 부재(160)의 길이(h3)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터브(130)의 직경 및 길이와 제2 스터브(140)의 직경 및 길이는 수학식 1 내지 7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의 주파수(f)가 2.49Ghz인 경우,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1 스터브(130)의 길이(h1)는 30mm일 수 있고, 직경(d1)은 12mm일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50)의 길이(h2)는 90mm일 수 있고, 직경(d2)은 6mm일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160)의 길이(h3)는 30mm(λ/4)일 수 있고, 직경(d3)은 24mm일 수 있다.
또한, 도파관(120)의 제1 영역(121)의 길이(h4)는 108mm일 수 있고, 직경(d4)은 66mm일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122)의 길이(h5)는 12mm일 수 있고, 직경(d5)은 54mm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100)의 반사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반사파 매칭을 통해 방전 전과 방전 후 모두 반사계수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일반적인 무전극 조명장치와 비교할 때, 방전 전의 반사계수가 작아짐은 물론, 방전 후의 반사계수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전계 세기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특히 점등 초기 전계 세기가 일반적인 무전극 조명장치에 비하여 월등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지금까지는 제1 스터브(130)와 제2 스터브(140)의 제1 부재(150)가 동축 상에 마련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스터브(130)와 제2 스터브(140)는 상기 도파관(120)의 직경 방향(D)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도파관(120)의 제2 영역(122)은 제1 영역(121)과 편심될 수 있다.
이때에도 제1 부재(150)와 벌브(170)는 동축 상에 각각 배열되며, 상기 동축은 상기 제2 영역(122)의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다.
100: 조명장치
110: 마그네트론
120: 도파관
130: 제1 스터브
140: 제2 스터브
150: 제1 부재
160: 제2 부재
170: 벌브

Claims (13)

  1.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제1 스터브(stub);
    상기 제1 스터브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2 스터브(stub);
    상기 제2 스터브와 연결되며, 도즈가 봉입된 벌브; 및
    상기 제1 스터브와 제2 스터브를 둘러싸는 도파관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터브와 제2 스터브의 간격을 통해 정전 용량(capacitance)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터브는 벌브와 연결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일부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제1 스터브와 동축 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터브와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도파관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각각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직경은 제1 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길이는 마이크로파 파장의 0.25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길이와 제2 부재의 길이의 비는 3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터브와 상기 제2 부재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제1 직경을 갖는 제1 영역과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벌브 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적어도 일부 영역 이상이 상기 제1 스터브 내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의 일부영역은 상기 제2 스터브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30142655A 2013-11-22 2013-11-22 조명장치 KR20150059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55A KR20150059271A (ko) 2013-11-22 2013-11-22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55A KR20150059271A (ko) 2013-11-22 2013-11-22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271A true KR20150059271A (ko) 2015-06-01

Family

ID=5349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655A KR20150059271A (ko) 2013-11-22 2013-11-22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92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9661A (en) Electrodeless fluorescent light source
EP2289288B1 (en) Electrodeless plasma lamp
JP5443595B2 (ja) マイクロ波で駆動される光源
US9236238B2 (en) Electrodeless lamps with coaxial type resonators/waveguides and grounded coupling elements
EA201070620A1 (ru) Источник света
AU2010280512B2 (en) Light source
US8674603B2 (en) Electrodeless lamps with grounded coupling elements
US9245732B2 (en) Lighting apparatus
US9805925B1 (en) Electrodeless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with field suppression probes
EP2747125A2 (en) Electrodeless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177779B1 (en) Low profile electrodeless lamps with an externally-grounded probe
KR20150059271A (ko) 조명장치
KR101880747B1 (ko) 초고주파 방전 램프
CN104701133A (zh) 具有接地耦合元件及改进灯泡组件的无电极灯
JP2003197156A (ja) 無電極放電灯および灯具
US20120274207A1 (en) Lamp
EP2731124B1 (en) Lighting apparatus
JP7112559B1 (ja) 定在波励起型電磁波放電灯
KR100619740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90024655A (ko) 초고주파 방전 램프
KR20050054770A (ko) 플라즈마 램프 시스템의 전구
JP2012195175A (ja) マイクロ波放電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