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229A - Workplace Black-box Apparatus - Google Patents

Workplace Black-box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229A
KR20150059229A KR1020130142510A KR20130142510A KR20150059229A KR 20150059229 A KR20150059229 A KR 20150059229A KR 1020130142510 A KR1020130142510 A KR 1020130142510A KR 20130142510 A KR20130142510 A KR 20130142510A KR 20150059229 A KR20150059229 A KR 20150059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senso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환
장달현
이희용
정호열
박창현
황기현
윤태수
이세영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9229A/en
Publication of KR2015005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2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kplace black-box apparatus, so vocal information in a certain section can be automatically stored in a server when a worker with a slave terminal has an accident at an industrial site and be analyz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ident causes can be effectively understoo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using the vocal information together with image information, thereby accurately determining the accident causes or circumstances.

Description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Workplace Black-box Apparatus} {Workplace Black-box Apparatus}

본 발명은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에서 사고 등의 이벤트 발생시 그 위험상황 전후의 일정시간 동안 작업자의 음성 정보를 녹음하고 실시간 서버로 전송하여 사고 발생원인을 파악할 수 있게 한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ck box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ack box system capable of recording voice information of a work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and after a dangerous event when an event such as an accident occurs at a worksite, To a black box system device for a business site.

각종 산업 현장에서 산업재해를 방지하고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갖가지 안전대책을 마련함에도 불구하고 의도치 않게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란 어려운 숙제이다. 이러한 사고 원인 등을 살펴보면 현장 감독 및 관리의 문제에서부터 작업자 본인의 실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Various measures are being sought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at various industrial sites and to establish a safety management system.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vent unexpected accidents despite various safety measures. The causes of such accidents vary from problems of on-site supervision and management to mistakes of workers themselves.

이처럼 산업 현장에서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무엇보다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나, 또한 그 사고 원인이나 발생 과정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이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If an industrial accident occurs,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it promptly.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ause of the accident or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This is because it can be used as data for preparing safety measure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same or similar accidents.

현재, 산업현장에는 사고 발생시 이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안전요원이나 감시원을 활용하는 방안 및 작업장용 CCTV 등의 카메라를 활용하는 방안 등이 있다. At present, there are measures to utilize safety personnel or surveillance personnel as a means to confirm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in the industrial field, and to use cameras such as CCTV for workplace.

그 중, 안전요원이나 감시원을 활용하는 방안은 작업자들에게 장비조작 교육 및 사고예방 교육을 통해 위험을 사전에 인지시키고 근무태도를 바로잡아주는 역할 이외에 사고 발생 상황 시 그 주변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원인을 규명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넓은 범위의 작업장의 관리를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력 배치가 잘못 이루어진 경우 사고 발생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었다. Among them, the use of safety personnel or the monitoring staff is not only the task of recognizing the risk and correcting the working attitude through the equipment operation training and the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to the workers, It helps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accident. However, in this case, a lot of manpower is needed to manage a wide range of workplaces. Therefore, it was not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when the staffing was made incorrectly.

반면,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저장되는 영상정보를 통해 사고 발생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영상정보만을 촬영/저장하고, 음성 정보에 대한 저장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사고 발생 시 영상 정보만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사고 당시의 정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란 실질적으로 한계가 있다. 또한 카메라의 화소가 낮으면 영상 정보조차도 정확하게 현장 상황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할 수 없었다.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camera,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accident occurrence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through stored image information. However, most cameras installed in an industrial field typically only capture / store image information, and do not perform storage operations for audio information. Therefore, since it is based on only image information when an accident occurs, it is practically limited to accurately grasp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an accident. Also, if the camera pixels are low, even the image information could not be used as data that can accurately identify the scene situation.

물론, 작업자마다 카메라가 탑재된 단말기를 지급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그렇지만, 비용 측면에서 모든 작업자에게 단말기를 지급하기란 사실상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이처럼 단말기를 지급한다고 하더라도 작업자의 작업 방향에 따라 사각 지대는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높은 효과를 기대하기란 어렵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for each operator. However, it is actually difficult to pay handsets to all workers in terms of cost. Even if a terminal is paid in this way, it is difficult to expect a high effect because a blind spot always exists depending on the work direction of an operator.

한국등록특허 제0133158호(1997.12.17)Korean Patent No. 0133158 (Dec. 17, 1997) 한국등록특허 제0779727호(2007.11.28)Korean Patent No. 0779727 (November 28, 200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산업현장에서 사고 발생시의 전후 일정 시간 동안 기록되는 음성정보를 통해 사고 발생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ack box system device for a workplace, which can identify the cause of an accident through voice information recorded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an accident at an industrial si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정보와 함께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발생원인이나 정황 판단을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ack box system device for a business that enables the use of video information of a camera together with voice information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cause of an accident or the circumstan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음성정보를 수집하는 슬레이브 단말들; 상기 슬레이브 단말들의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단말; 상기 호스트 단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음성정보를 호스트단말별,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음성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ave terminal for collecting voice information; At least one host terminal receiving voice information from some or all of the slave terminals; A server for storing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host terminal for each host terminal and for each time slot; And a user interface for analyzing the 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er.

상기 슬레이브 단말은, 작업 환경에 따라 기준 값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소켓; 상기 센서의 감지 시점을 전후로 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음성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슬레이브 단말을 무전기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모드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slave terminal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a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a work environment; A socket on which the sensor is mounted; A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voic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efore and after the sensing point of time of the sensor;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voice information; And a mode switch for enabling the slave terminal to be used as a radio.

상기 저장부는 평상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의 음성정보만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한다.Wherein the storage unit comprises: a first storage unit for storing voice information in a normal state; And a second storage unit for storing only voic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감지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정보의 일부 구간을 마킹하고, 마킹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ntrol unit may mark a part of the 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and transmit the mark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when the sensor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슬레이브 단말이 충전 중인 경우에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저장된 순서대로 삭제한다. The terminal control unit deletes the 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only in a stored order when the slave terminal is being charged.

상기 슬레이브 단말은, 상기 센서가 적어도 둘 이상이 장착된 경우 작업 환경에 따라 대응하는 센서가 동작되게 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lav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for allowing a corresponding sensor to operate according to a work environment when at least two sensors are installed.

상기 서버는, 상기 슬레이브 단말 또는 상기 호스트 단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음성정보를 DB화하는 처리부; 및 상기 음성정보와 영상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정보는 작업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한다. Wherein the server comprises: a processing unit for dividing the voice information by the slave terminal or the host terminal into a DB; And a synchronization unit for synchronizing the audio information and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video information is acquired from a camera installed in a work sit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음성을 녹음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휴대하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시에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의 작업자의 음성 정보를 기록할 수 있어, 사고 발생원인이나 정황 등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orker carries a portab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recording a voice in an industrial field, it is possible to record voice information of a work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ause of the accident and the circumstance.

또한 본 발명은 음성정보와 선택적으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함께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음성정보에 비해 사고 원인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he voice information and the video information selectively obtained by the camera, the cause of the accident can be grasped more accurately than the voice information.

그리고 작업자가 단말장치를 휴대하기 때문에 음성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의 방향이 바뀌더라도 수집되는 음성 세기가 달라질 뿐 작업자의 음성정보를 충분히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정확한 사고 정황판단이 가능하다.Also, since the operator carries the terminal device,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microphone for collecting voice information changes, the voice intensity to be collected can be changed, and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operator can be sufficiently obtained.

아울러 음성정보만 활용하더라도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영상정보에 비해 단위시간당 적은 용량의 데이터만이 저장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도 사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only voice informa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irect cause of the accident, and since only a small amount of data per unit time is stored compared with the image information, a system capable of judging an accident situation with low cost can be expected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레이브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기의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black box system for a workpl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slave terminal shown i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host terminal shown in FIG.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server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5 is an exemplary drawing of the user interface shown in Fig. 1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black box system for a workpl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black box system for a busi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사고 위험성이 높은 산업현장에서 사고발생 시에 사고 발생시점 전후의 음성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발생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집된 음성정보 이외에도 산업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 예컨대 CCTV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음성정보와 매칭시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을 더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collecting and analyzing voice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an accident when an accident occurs in an industrial site with high accident risk, so that the cause of an accident can be accurately grasped. In addition to the collected voice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allows a video camera installed in an industrial field, for example, CCTV, to match video information with audio information to utilize the audio information to more effectively determine the direct cause of an accident.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black box system for a workpl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100)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장치로서의 슬레이브 단말(110)과,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110)이 전송하는 음성정보를 전달받는 호스트 단말(130)과, 호스트 단말(130)이 전송하는 음성정보를 전달받는 서버(140), 및 서버(140)에 접속하여 음성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한다. 1, the workplace black box system 100 includes a slave terminal 110 as a portable terminal device that can be carried by an operator, and a slave terminal 110 as a portable terminal device that receives and transmits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lave terminals 110 A server 140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st terminal 130 and a user interface 150 for accessing the server 140 and analyzing voice information.

그리고 슬레이브 단말(100)은 작업장의 영역이나 업무별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영역이나 동일한 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자가 휴대한 슬레이브 단말(100)은 하나의 호스트 단말(130)과 통신하고, 다른 영역이나 다른 업무를 담당하는 다른 슬레이브 단말들은 다른 호스트 단말(130)과 통신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호스트 단말(130)들은 하나의 서버(140)와 통신하도록 시스템이 구축된다. The slave terminal 100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workplace or tasks. Therefore, the slave terminal 100 carried by a worker in a certain area or the same job communicates with one host terminal 130, and the other slave terminals that are in charge of another domain or another task communicate with other host terminal 130 . The system is configured such that these host terminals 130 communicate with one server 140.

이와 같은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100)의 각 구성을 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business black box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슬레이브 단말(110)은 도 2를 참조한다. First, the slave terminal 110 refers to FIG.

슬레이브 단말(110)은 생산 현장에서 작업자 자신 또는 주변의 다른 작업자의 음성정보, 그리고 주변의 음성정보로서 예컨대 기계음 등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정보는 단순히 일정 기준 값 이상의 소리정보뿐만 아니라 기준 값 이하의 세기를 가지는 신음소리나 '피해!', '살려줘!' 등의 정보 등도 포함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슬레이브 단말(110)은 음성이나 기계음을 효과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개소에 장착되는 것이 좋다. 예로 작업자의 신체 중 어깨나 모자 등에 장착할 수 있으며 휴대 가능한 구성이어야 한다. The slave terminal 110 plays a role of collecting, for example, a machine sound or the like as voice information of a worker himself / herself or other workers in the vicinity of the production site, and surrounding voice information. Here, the voice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voice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but also a moaning sound having a frequency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Damage!' And so 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ave terminal 110 be mounted in a place where voice or machine sound can be effectively input. For example, the body of the worker can be mounted on shoulders or hats, and should be portable.

음성 정보 등을 획득하기 위한 구성으로 정보 수집부인 마이크(112)가 구성된다. 마이크(112)는 슬레이브 단말(110)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장착되어 음성정보나 기계음을 효율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마이크(112)는 작업자의 음성정보만을 수집하는 마이크 및 기계음 등을 수집하는 마이크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A microphone 112, which is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is configured to acquire voic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microphone 112 i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housings forming the slave terminal 110 so as to efficiently receive voice information or a machine sound. Of course, the microphone 112 may be provided to separate microphones for collecting only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operator, such as a microphone and a machine sound.

마이크(112)에 의해 수집되는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14)가 구성된다. 저장부(114)는 제1 저장부(114a) 및 제2 저장부(114b)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14a)는 사고 미 발생시의 정상적인 작업환경에서 작업자의 음성정보를 계속해서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제2 저장부(114b)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그 시점 전 후의 음성정보만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제2 저장부(114b)가 반드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즉 제1 저장부(114a)에 음성정보가 저장되는 도중 사고가 발생하면 기 정의된 시간 동안에 해당하는 음성정보 구간을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실시 예에는 제2 저장부(114b)가 구성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A storage unit 114 for storing voi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icrophone 112 is configured. The storage unit 114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torage unit 114a and a second storage unit 114b. The first storage unit 114a continuously stores voice information of a worker in a normal work environment when an accident has not occurred, and the second storage unit 114b stores voice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It plays a role. However, the second storage unit 114b is not necessarily configured. That is, if an accident occurs while voic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14a, the corresponding voice information period can be displayed and confirmed during a predefined time. However, the second storage unit 114b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그리고 저장부(114)에 저장되는 음성정보는 일정 구간별로 압축 저장되며, 동시에 저장이 완료된 음성정보는 호스트 단말(130)로 실시간 전송되게 된다. 또한 저장된 음성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슬레이브 단말(110)의 상태에 따라 자동 삭제된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단말(110)이 크레들(cradle) 등에 장착되거나 USB 포트를 이용하여 충전중인 경우에는 작업을 미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어 삭제된다. The 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4 is compressed and stored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same time, the voice information that has been stored is transmitted to the host terminal 130 in real time. Also, some or all of the stored voic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dele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lave terminal 110. For example, when the slave terminal 110 is mounted on a cradle or the like or is being charged using the USB por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ask is being executed and is deleted.

제2 저장부(114b)에 음성정보를 저장해야 할 시점을 감지하는 센서(116)가 구성된다. 센서(116)는 일정 기준 값 이상의 값을 감지한 경우 그 시점 전후의 음성정보를 저장하거나 표시하도록 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기준 값 이상인 경우가 사고 발생시점이 된다. 또는 사고 발생을 판단할 수 있는 소리 정보를 감지한 경우에도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윽', '억'과 같은 신음소리나, '살려줘!'와 같은 소리, 또는 위험상황을 알리는 '피해!'와 같은 소리가 발생하면, 사고가 발생한 경우로 인지하여 그 시점 전 후의 음성정보를 저장 또는 표시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의 소리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이와 대응되는 소리 패턴이 저장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A sensor 116 is provided to sense when the voice information should b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14b. The sensor 116 outputs a detection signal for storing or displaying audio information before or after the reference value is sensed. If the value is above the reference value, it is the time of the accident occurrence. Or when sound information capable of judg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is sensed. For example, if a sound such as 'Ugh', 'Billion', or 'Damage!' That notifies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it is recogniz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To store or display voice information. Of course, in order to detect the sound information, a corresponding sound pattern must be stored.

여기서, 센서(116)는 작업 환경별로 다른 종류의 센서 예컨대, 소리 검출 센서, 열 감지 센서, 조도센서, 습도센서 등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준 값은 센서마다 다르게 제공된다. 그리고 특정작업 환경에 따라 해당 센서만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기 때문에 센서(116)를 탈부착할 수 있는 소켓(118)이 슬레이브 단말(110)에 구성되는 것이 좋다. 즉, 작업 환경에 따라 소리 검출 센서, 열 감지 센서, 조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필요한 센서를 소켓(118)에 결합하면 된다. 물론 상술한 센서들을 모두 슬레이브 단말(110)에 모두 장착하고 작업 환경에 따라 특정 센서를 스위치(미도시) 온 동작시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ere, the sensor 116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types of sensors such as a sound detection sensor, a heat sensing sensor, a lightness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work environment. Therefore, the reference value is provided differently for each sensor. It is also desirable to be able to use only the sensor according to a specific work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socket 118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the sensor 116 is formed in the slave terminal 110. That is, a sound sensor, a heat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socket 118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all of the above-described sensors on the slave terminal 110, and to use a specific sensor in a switch-on (not shown) depending on the work environment.

슬레이브 단말(110)은 휴대성을 위해 공급 전원은 내장 배터리나 충전용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내장 배터리인 경우 충전용 크레들 장치나 USB 포트를 통해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단자(120)가 구비되어야 하고,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배터리 안착부(121) 등의 구조가 구비된다. The slave terminal 110 can use a built-in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as a power source for portability. In the case of the built-in battery, the charging terminal 120 should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cradle device or the USB port. In the case of using the charging battery, the battery seating part 121 is provided.

그리고 음성정보를 호스트 단말(130)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22)가 구성된다. 무선 통신부(122)는 무선랜(WLA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씨디엠에이(CDM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사용된다.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for wirelessly transmitting voice information to the host terminal 130 is configur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may be a wireless LAN (WLAN), a ZigBee, a Bluetooth, a CDMA,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a long term evolution (LTE)

한편, 슬레이브 단말(110)은 다른 슬레이브 단말과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전모드를 제공한다. 무전 모드에서 슬레이브 단말 간은 반이중방식(half duplex)으로 동작한다. 즉 무전 모드는 슬레이브 단말들을 통해 작업자 상호 간의 의사소통이 필요한 경우를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모드 스위치(124) 및 스피커(126)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slave terminal 110 provides a radio mode in which voice information is exchanged with another slave terminal. In the wireless mode, the slave terminals operate in half duplex mode. In other words, the wireless mode is to utilize the case wher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workers is required through the slave terminals. And further includes the configuration of the mode switch 124 and the speaker 126 for this purpose.

그리고 상술한 구성들 즉 마이크(112), 저장부(114), 센서(116), 무선 통신부(122) 및 무전 모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부(128)가 구성된다. 단말 제어부(128)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면서 이벤트 발생시에 특정 구간의 음성정보만을 제2 저장부(114b)에 저장하면서 호스트 단말(130)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이벤트 발생 시점 전후의 음성정보를 서버(140)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해당 음성정보 구간의 시작과 종료 시점을 마킹(marking)하고, 그 마킹 정보를 서버(1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마킹 정보는 이벤트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시, 분, 초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128)는 모드 스위치가 조작되면 슬레이브 단말(110)을 무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The microphone 112, the storage unit 114, the sensor 116,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and the terminal control unit 128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mode function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control unit 128 stores only the voice information of a specific section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event while storing the voice information in the second storage unit 114b and transmits the voice information to the host terminal 130. [ At this time, the server 140 may mark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audio information section so that the server 140 can recognize the audio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event occurrence time, and transmit the mark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140. The marking information can be set in units of hour, minute and second based on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event. When the mode switch is operat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28 operates the slave terminal 110 in the wireless mode.

슬레이브 단말(110)과 무선 통신하면서 슬레이브 단말(110)이 수집한 음성 정보를 서버(140)에 전달하는 호스트 단말(130)이 제공된다. 즉 호스트 단말(130)은 슬레이브 단말(110)과 서버(140) 사이에 위치하여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호스트 단말(130)과는 무선 통신기술이 적용되고, 서버(140)와는 유선 통신기술이 적용되어 음성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슬레이브 단말(110)과의 통신을 위한 제1 통신부(132)와 서버(140)와의 통신을 위한 제2 통신부(134)가 구성된다. 즉 제1 통신부(132)는 무선랜(WLA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씨디엠에이(CDM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제2 통신부(134)는 더넷(Ethernet), 직렬(serial)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한다. There is provided a host terminal 130 for communicating voi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lave terminal 110 to the server 140 while communicating wirelessly with the slave terminal 110. That is, the host terminal 130 is located between the slave terminal 110 and the server 140 and transmits voice information. At this tim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host terminal 130, and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server 140 to transmit voice informa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34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32 for communication with the slave terminal 110 and the server 140 is configured.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32 uses a wireless LAN (WLAN), ZigBee, Bluetooth,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long term evolution (LT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34 uses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r the like.

한편, 호스트 단말(130)은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며, 외부 전원 차단시에 내부의 배터리(136)를 이용하여 전원 차단시간 동안 동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내부의 배터리(136)를 충전하는 기능도 제공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ost terminal 130 operates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ust be able to operate during the power down time using the internal battery 136 when the external power is turned off. Therefore, a function of charging the internal battery 136 while external power is supplied must also be provided.

또한 호스트 단말(130)에는 호스트 단말 제어부(138)가 구성된다. 이는 슬레이브 단말(110) 및 서버(140)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고, 아울러 전원 관리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The host terminal 130 is also provided with a host terminal control unit 138. This serve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slave terminal 110 and the server 140, and also controls power management.

한편, 슬레이브 단말(110)과 서버(140)가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면 호스트 단말(130)은 반드시 제공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대규모 산업현장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바,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110)들과 통신할 수 있는 호스트 단말(130)이 필요하다. 즉, 산업 현장은 소정 개수의 소규모 작업장으로 구분되며, 그 작업장마다 작업 환경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작업 환경에 따라 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호스트 단말(130)이 각각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lave terminal 110 and the server 140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an be provided, the host terminal 13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rovided. 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host terminal 13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slave terminals 110 is required, which is also applicable to a large scale industrial field. That is, the industrial sites are divided into a small number of small work sites, and the work environments are different for each work site. Accordingly, the host terminal 130 capable of performing the optimum function according to the work environment must be provided.

호스트 단말(130)로부터 음성정보들을 전송받고, 이를 작업장별, 시간대별, 호스트 단말별 등으로 구분하여 DB(141)에 저장하도록 처리부(142)를 구비하는 서버(140)가 구성된다. A server 140 having a processing unit 142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from the host terminal 130 and storing the voice information in the DB 141 for each workplace, time zone, and host terminal is configured.

서버(140)는 호스트 단말(130)과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즉 상술한 바 있는 이더넷(Ethernet), 직렬(serial)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음성정보를 전송받는다. 따라서 서버(140)는 호스트 단말(13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44)가 구성된다. 물론, 호스트 단말(130)과 서버(140)는 반드시 유선 통신방식만을 통해 음성정보를 전송받지는 않고, 상기의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음성정보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즉 호스트 단말(130)과 서버(140)가 설치된 작업 환경에 따라 상기의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방식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이 선택되는 것이다. The server 140 uses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host terminal 130. That is, the voi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using the above-described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method, or the like. Therefore, the server 140 is configured with a communication unit 144 for communication with the host terminal 130. [ Of course, the host terminal 130 and the server 140 may not receive voice information only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but may receive voice information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is,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work environment in which the host terminal 130 and the server 140 are installed.

또한, 서버(140)는 상술한 음성정보만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이에 더해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음성정보와 매칭하는 동기화부(146)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음성정보와 영상정보를 함께 고려하면 사고 발생원인이나 발생 과정 등을 더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영상정보는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카메라 예컨대 CCTV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40)는 CCTV로부터 영상정보를 직접 전달받거나 또는 영상정보를 별도 저장매체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영상정보는 서버(140)가 제공받는 것 대신 아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가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음성정보를 분석하는 구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이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server 140 may provide only the audio information described above, but may also configure the synchronization unit 146 to receive the video information and to match the audio information with the audio information. In other words, considering both audio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know more accurately the cause of the accident and the occurrence process. Here,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a camera installed in an industrial field, for example, a CCTV.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er 14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directly receiving image information from the CCTV 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storage medium. Of course,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terface 150 described below instead of being provided by the server 140. This is because the configuration for actually analyzing the voice information is the user interface 150. [

서버(140)에 수집된 음성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가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서버(140) 내에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기본적으로 음성정보를 청취할 수 있고, 음성정보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수정/삭제할 수 있고, 음성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50)가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동기화한다면 이를 위한 동기화부나 영상정보를 처리하는 구성들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A user interface 150 for analyzing the voic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server 140 is configured. The user interface 150 may be configured in the server 140 or may be a separate device. The user interface 150 is basically capable of listening to voice information, inputting / modifying / deleting user information related to voice information, and providing a function of editing voic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interface 150 synchronizes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a synchronization unit or a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 화면을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An exemplary screen of such a user interface is shown in Fig.

도 5를 보면, 슬레이브 단말(110)의 단말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화면(152)이 표시된다. 슬레이브 단말정보는 통상 그 단말의 고유 ID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화면(152) 중 특정 슬레이브 단말이 선택되면 그 슬레이브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화면(154)과,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 파일을 표시하는 제3 화면(156)이 추가적으로 표시된다. 이에 더해 제1 화면(152)에 표시되는 슬레이브 단말 중 일부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슬레이브 단말을 추가할 수 있는 메뉴도 제공된다. 5, a first screen 152 for display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slave terminal 110 is displayed. The slave terminal information can normally be the unique ID of the terminal. When a specific slave terminal is selected from the first screen 152, a second screen 154 for display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slave terminal and a third screen 156 for displaying the user's audio information file are additionally displayed . In addition, a menu for deleting a part of the slave terminal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152 or adding a new slave terminal is also provided.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방송 모드를 지원한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통상 관리자가 직접 다룬다. 따라서 관리자가 작업자들에게 특정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슬레이브 단말(110)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슬레이브 단말(110)의 전부 또는 특정 슬레이브 단말을 지정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user interface 150 supports the broadcast mode.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150 is directly handled by the administrator. Therefore, when the manager needs to transmit specific information to the workers, th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slave terminal 110. At this time, the user interface 150 may designate all of the slave terminal 110 or a specific slave terminal.

이어서는 상기의 구성을 제공하는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의 작용 동작을 도 6과 함께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Next, the operational operation of the black box system for a workplace provid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black box system for a busin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슬레이브 단말(110)은 모든 작업자에게 지급되며, 작업자는 허리나 어깨, 모자 등에 장착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슬레이브 단말(110)을 장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도중, 작업자가 말하는 모든 음성 정보는 마이크(112)가 수집하고, 단말 제어부(128)의 동작에 따라 제1 저장부(114a)에 저장된다(s102). 이때, 제1 저장부(114a)에 저장될 때 저장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 압축률로 압축된 상태에서 저장된다. 물론 제1 저장부(114a)의 저장 공간이 충분하다면 반드시 압축상태로 저장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작업자의 작업시간 동안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압축하지 않고서도 저장 가능하다면 압축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물론 저장공간이 충분하지 않다면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먼저 저장된 음성정보부터 일정량씩 삭제하면서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First, the slave terminal 110 is paid to all workers, and the worker puts on the waist, shoulder, hat or the like. During the work while the worker is wearing the slave terminal 110, all the voice information that the operator speaks is collected by the microphone 112, and i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14a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28 (S102). At this time, when the data i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14a, the compressed data is stored in a compressed state at a predetermined compression rate to improve utilization of the storage space. Of course, if the storage space of the first storage unit 114a is sufficient, it is not necessarily stored in a compressed state. For example, it is not necessary to compress the voic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worker's work time, if possible, without compressing the voice information. Of course, if there is not enough storage space, it may be possible to delet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previously stored voice information by first in first out (FIFO) method.

이렇게 작업시간 동안 음성정보가 제1 저장부(114a)에 저장되는 도중, 센서(116)는 기준 값 이상의 값이 발생하는 순간을 계속 감지한다(s104). 여기서 104단계에서는 상술한 바 있는 사고발생을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소리 정보의 발생을 감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센서의 예로 일정 수치 이상의 음성 크기를 감지하는 소리 검출 센서가 제공된 경우라면 그 소리 검출 센서는 기준 값 이상의 음성 크기가 발생하는가를 감지할 것이다(s106). 즉 기준 값을 100 dB로 셋팅한 경우라면, 음성 크기가 100 dB 이상 발생한 시점을 감지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기준 값은 센서마다 다른 값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100 dB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다. 반면 센서의 다른 예로 상기한 '신음소리', '피해!', '살려줘!'등의 소리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인 경우에는 이들 소리정보의 발생을 감지할 것이다. While the voic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14a during the work time, the sensor 116 continuously senses a moment when a valu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occurs (s104). Here, in step 104, it is possible to detect occurrence of various sound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described above. Accordingly, if the sound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to sense a sound volum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sound detection sensor will detect whether a sound volume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occurs (s106). That is, if the reference value is set to 100 dB, it is detected that the voice size is 100 dB or more. Needless to say, the reference value is different from sensor to sensor. And the above-mentioned 100 dB is only one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ensor that detects sound information such as 'moaning sound', 'harming!' And 'live!' As another example of the sensor, it will detect the occurrence of these sound information.

이와 같이 센서(116)의 감지 결과 기준 값 이상의 음성 크기가 감지된 경우, 또는 사고발생을 판단할 수 있는 소리 정보가 감지된 경우, 단말 제어부(128)는 사고 발생 상황으로 판단한다(s108). 통상 사고 발생시, 사고 당사자는 비명이나 큰 소리를 지르기 때문이다. 그러면 센서(116)는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s110). 이때 감지 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해서 사고가 반드시 발생한 경우는 아니다. 사고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경우에 따라서 작업자는 큰 소리로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If the sound volume is detect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of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 116 or the sound information capable of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is sens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28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s108). Usually, in case of an accident, the person in charge screams or makes a loud noise. Then, the sensor 116 outputs a detection signal (S110). At this time, i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at an accident occurs because the detection signal is outputted. Even if an accident does not occur, the operator can speak out loud in some cases.

단말 제어부(128)는 센서(116)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는다. 이에 단말 제어부(128)는 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 시간 동안의 음성 정보를 제1 저장부(114a)로부터 리드한 후 이를 제2 저장부(114b)에 저장한다. 동시에 단말 제어부(128)는 제2 저장부(114b)에 저장한 음성 정보(이하, '사고음성정보'라고 하기로 함)를 호스트 단말(130)로 무선 전송한다. 그리고 호스트 단말(130)은 사고음성정보를 다시 서버(140)로 유/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s112).The terminal control unit 128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116. Accordingly, the terminal control unit 128 reads audio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14a and stores it in the second storage unit 114b on the basis of the time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control unit 128 wirelessly transmits the 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14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cident voice information") to the host terminal 130. Then, the host terminal 130 transmits the incident voice information back to the server 140 using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112).

그러면 서버(140)는 호스트 단말(130)로부터 전송받은 사고음성정보를 DB(141)화 한다(s114). DB(141)는 호스트 단말(130)이나 개별 슬레이브 단말(110) 별로 저장하거나, 또는 시간대별, 작업별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예는 사고음성정보 자체를 DB(141)화하고 있지만, 마킹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마킹 정보는 제1 저장부(114a)에 저장된 음성정보의 소정 구간을 표시하는 정보로서, 이는 사고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 시간 동안에 해당하는 음성정보 구간이다. 따라서 마킹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에는 마킹 정보와 함께 음성정보도 함께 전달받아야 한다. Then, the server 140 converts the accident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st terminal 130 into DB 141 (s114). The DB 141 may be stored for each of the host terminal 130 and the individual slave terminals 110, or may be stored in various ways such as by time period, by work, or the like. At this time, although the example of the accident voice information itself is DB 141, the marking information can be received. The mark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14a, which is a voice information sec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 after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Accordingly, when the mark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e marking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must be transmitted together.

이후, 관리자 등이 사고발생시의 원인이나 상황을 파악할 경우 관리자 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사고음성정보를 분석하게 된다(s116).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에 사고음성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유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버에 직접 연결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a manager or the like grasps the cause or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he manager or the like analyzes the incident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150 (s116). At this time, the method of transferring the accident voice information to the user interface 150 may be performed us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in a state where a user interfa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rver.

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동작하면, 도 5에 도시된 정보가 화면 표시된다. 물론, 초기에는 슬레이브 단말(110)의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화면(152)만이 표시될 것이다. 그 상태에서 관리자는 사고 발생 당사자가 휴대한 슬레이브 단말(110)을 선택하면, 그 슬레이브 단말(110)의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화면(154)과,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 파일을 표시하는 제3 화면(156)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것이다. 제2 화면(154)에는 사용자의 사번 ID, 성명, 나이, 담당 업무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3 화면(156)에는 사고음성정보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리스트 정보는 모두 사고음성정보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고 발생과 상관없이 작업자가 소리를 지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When the user interface 150 is operated, the information shown in FIG. 5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course, only the first screen 152 for displaying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lave terminal 110 will be initially displayed. In this state, when the administrator selects the slave terminal 110 carried by the accident-causing party, the manager displays a second screen 154 for display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slave terminal 110 and a second screen 154 for displaying the user's audio information file 3 screen 156 will be additionally displayed. In the second screen 154, the user ID, name, age, service charge, etc. of the user are displayed. In the third screen 156, the accident voic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list form. The list information displayed at this time does not include the incident voic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may make a noise regardless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따라서, 관리자는 제3 화면(156)에 표시된 리스트 정보 중 사고 발생시각과 대응하는 파일을 선택한다. 그리고 이를 재생하면 사고발생시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이를 분석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dministrator selects a file corresponding to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accident among the lis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hird screen 156. [ And if you play it, you can check the situation and analyze it.

이때 사고음성정보만으로 사고발생원인 등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추가로 영상정보와 함께 분석가능하다. 즉 산업현장에는 CCTV가 설치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만약 사고 발생 현장의 영상정보가 CCTV에 의해 녹화된 경우라면, 서버(14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상기 영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영상정보와 사고음성정보를 동기화시킨다. 이렇게 하면, 음성정보만을 통한 분석보다는 더 정확하고 용이하게 사고발생 당시의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ause of the accident with only the accident voic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it together with the image information. That is, in many cases, the CCTV is installed in the industrial field. Therefore, if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accident scene is recorded by the CCTV, the server 140 or the user interface 150 can receive the video information. And synchronizes the video information with the accident audio informa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nd accurately grasp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rather than analyzing only through voice information.

한편, 슬레이브 단말(110)의 제1 저장부(114a) 또는 제2 저장부(114b)에 저장된 음성정보는 별도의 삭제 명령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충전용 크레들 장치나 USB 포트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면 자동 삭제될 수 있다. The 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14a or the second storage unit 114b of the slave terminal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slave terminal 110 via the charging cradle unit or the USB port, Can be deleted.

즉, 슬레이브 단말(110)을 충전하는 경우는 작업자가 작업을 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사고 발생과는 전혀 무관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다만, 충전이 시작되는 시점에 음성정보를 삭제하는 것보다는 슬레이브 단말의 만 충전(즉 100%) 대비 대략 90% 이상 충전이 된 경우에 음성정보가 삭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작업자 자신이 직접 사고를 당하지 않고 주변의 작업자가 사고를 당한 경우에 작업자 자신의 슬레이브 단말(110)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사고 발생 원인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charging the slave terminal 110, since the worker does not work, it is completely independent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voice information is deleted when the slave terminal is charged to about 90% or more of the slave terminal's charge (that is, 100%), rather than deleting the voice information at the start of charging. This is because 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operator's own slave terminal 110 can be used to identify the cause of an accident when an operator is not accidentally caught by the operator himself and an accident occurs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or.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산업현장에 작업하는 작업자가 슬레이브 단말(110)을 휴대한 상태에서 사고 발생시에 일정 구간의 음성정보를 서버(140)에 자동 저장되게 하고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음성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사고 발생원인 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operator working in an industrial field carries the slave terminal 110, voice information of a certain period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server 140 when an accident occurs, It is understood that the basic technical point is that the information is analyzed so that the cause of the accident can be effectively grasped.

한편, 본 발명은 슬레이브 단말(110)의 정상 동작 여부를 체크(check) 하는 구성도 포함하고 있다. 즉 서버(140)는 슬레이드 단말(110)로부터 기 정해진 시간 이상 아무런 음성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슬레이브 단말(110)이 현재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체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체크 동작은 실제 사고 발생시 슬레이브 단말(110)의 고정으로 인해 음성정보를 저장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checking whether the slave terminal 110 is operating normally. That is, the server 140 needs to check whether the slave terminal 110 is currently operating normally if no voice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slot terminal 11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is check operation is performed to prevent a case where voice information can not be stored due to the fixing of the slave terminal 110 when an actual occurrence of an accident occurs.

상기 슬레이브 단말(110)의 정상 동작 여부는 서버(140)가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서버(140)는 음성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을 검색하고, 그 검색된 슬레이브 단말에게만 호스트 단말(130)을 통해 동작확인 요청신호를 전달한다. 그 결과 서버(140)는 상기 동작확인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달하는 슬레이브 단말인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동작확인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는 슬레이브 단말인 경우에는 해당 슬레이브 단말이 고장, 사고 등으로 인해 파손되어 음성정보를 녹음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서버(140)는 해당 슬레이브 단말을 수리할 수 있도록 관리자 등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normal operation of the slave terminal 110 is performed by the server 140. Specifically, the server 140 searches at least one slave terminal for which no voice information is input, and transmits an oper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hrough the host terminal 130 only to the slave terminal searched. As a result, when the server 14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oper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server 140 is operating normall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lave terminal that can not transmit a response signal to the oper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slave terminal is damaged due to a failure, an accident, or the like, so that voice information can not be recorded. In this case, the server 140 performs a function of notifying the manager or the like so that the corresponding slave terminal can be repai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equivalents of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 슬레이브 단말 112 : 마이크
114 : 저장부 116 : 센서
118 : 소켓 122 : 무선 통신부
124 : 모드 스위치 128 : 단말 제어부
130 : 호스트 단말 132 : 제1 통신부
134 : 제2 통신부 136 : 배터리
138 : 호스트 단말 제어부 140 : 서버
142 : 처리부 144 : 통신부
146 : 동기화부 15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10: Slave terminal 112: Microphone
114: storage unit 116: sensor
118: Socket 122:
124: Mode switch 128:
130: Host terminal 132:
134: second communication unit 136: battery
138: Host terminal control section 140:
142: Processor 144:
146: synchronization unit 150: user interface

Claims (7)

음성정보를 수집하는 슬레이브 단말들;
상기 슬레이브 단말들의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단말;
상기 호스트 단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음성정보를 호스트 단말별,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음성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
Slave terminals for collecting voice information;
At least one host terminal receiving voice information from some or all of the slave terminals;
A server for storing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host terminal for each host terminal and for each time slot; And
And a user interface for analyzing the 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단말은,
작업 환경에 따라 기준 값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소켓;
상기 센서의 감지 시점을 전후로 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음성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슬레이브 단말을 무전기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모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ave terminal,
A sensor for sensing a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a working environment;
A socket on which the sensor is mounted;
A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voic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efore and after the sensing point of time of the sensor;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voice information; And
And a mode switch for enabling the slave terminal to be used as a radio.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평상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의 음성정보만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는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first storage unit for storing normal audio information; And
And a second storage unit for storing only voic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감지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정보의 일부 구간을 마킹하고, 마킹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erminal control unit,
And when the sensor outputs a detection signal, marks a part of the 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and transmits mark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슬레이브 단말이 충전 중인 경우에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삭제하는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erminal control unit,
And the 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deleted only when the slave terminal is being char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단말은,
상기 센서가 적어도 둘 이상이 장착된 경우 작업 환경에 따라 대응하는 센서가 동작되게 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av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switch for allowing a corresponding sensor to operate according to a work environment when at least two of the sensors are moun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슬레이브 단말 또는 상기 호스트 단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음성정보를 DB 화하여 저장하는 처리부; 및
상기 음성정보와 영상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정보는 작업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제공받는 사업장용 블랙박스 시스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comprises:
A slave terminal or a host terminal; And
And a synchronization unit for synchronizing the audio information and the video information,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a camera installed at a work site.
KR1020130142510A 2013-11-21 2013-11-21 Workplace Black-box Apparatus KR201500592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510A KR20150059229A (en) 2013-11-21 2013-11-21 Workplace Black-box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510A KR20150059229A (en) 2013-11-21 2013-11-21 Workplace Black-box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229A true KR20150059229A (en) 2015-06-01

Family

ID=5349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510A KR20150059229A (en) 2013-11-21 2013-11-21 Workplace Black-box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922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02A (en) * 2019-02-20 2020-08-28 김태엽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rental of portable blackbox having function of danger respon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02A (en) * 2019-02-20 2020-08-28 김태엽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rental of portable blackbox having function of danger respon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0B1 (en)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KR101431424B1 (en) Plant system for supporting operation/maintenance using smart helmet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US20170076140A1 (en) Wearable camera system and method of notifying person
KR101695596B1 (en) Noxious gas monitor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KR101731995B1 (en) Camera apparatus for fire monitoring
US10847004B1 (en) Security surveillance device
KR101340008B1 (en) Removable Smart Module for Helmet
KR101200268B1 (en) Composite fire sensor device based on image for active evacuation and rescu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152123B1 (en) Video Processing System of Intelligent Mobile Device with Monitoring Application to Detect and Control Commercial Fire
CN105139471A (en) Inspection method for electrical equipment
KR101265564B1 (en) Smart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JP2019125151A (en)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885355B1 (en) Virtual reality device and remote-control system using 360-degree camera and the virtual reality device
US20150091739A1 (en) Low power wireless rf communication platform and ad-hoc security network utilizing same
KR20160096256A (en) Guardian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protege
KR101686822B1 (en) Real time monitoring device using smartphone
KR101608202B1 (en) Site monitoring method using camera and apparatus thereof
KR20200030784A (en) Real time multi-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150059229A (en) Workplace Black-box Apparatus
JP6001252B2 (en) Suspicious radio wave monitoring system and suspicious radio wave monitoring program
KR20150109624A (en) Character shape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806148B2 (en) Working time analysis system, working time analysis program, and working time analysis method
CN108022401B (en) Perimeter protection system rapid layout method based on wireless sensor
CN210181761U (en) Fire hazard troubleshooting system based on wearable equipment
JP2019009562A (en) Monitoring image display system, monitoring image display device, monitoring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nd monitoring image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