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895A - Apparatus and methdo for controlling acces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do for controlling acc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895A
KR20150057895A KR1020130165604A KR20130165604A KR20150057895A KR 20150057895 A KR20150057895 A KR 20150057895A KR 1020130165604 A KR1020130165604 A KR 1020130165604A KR 20130165604 A KR20130165604 A KR 20130165604A KR 20150057895 A KR20150057895 A KR 2015005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user terminal
access point
wireless access
respon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6086B1 (en
Inventor
서성훈
김경아
이현송
현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5005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8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0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wireless access point among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nd transmits a confirmation request of a connection state to a user terminal which is possible to be connected to the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he apparatus comprising: a connection state confirmation unit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a user terminal; an access failure terminal detect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failed or not by referring the response signal; an access termination processing unit for requesting an access termin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wireless access point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when the user terminal has a failure connection; and a terminal resource termination unit for terminating allocated resource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has the failure connection.

Description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DO FOR CONTROLLING ACCESS} [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0002]

본 발명은 접속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기종 망 환경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control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control technique of a terminal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이기종 망에서 이용가능한 사용자 단말은 자신이 접속 가 능한 망에 IP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다. 즉, 사용자 단말이 한 시점에 연결된 접속점(Point of attachment)는 유일하며, 하나의 접속점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은 해당 접속점을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The user terminals available in the heterogeneous network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to which they are connected through the IP protocol. That is, the point of attachment in which a user terminal is connected at one point is unique, and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one connection point can communicate only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oint.

사용자 단말은 특정 망의 접속점에 연결 가능한 상태에서 연결 불가능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망으로 재연결을 시도하고, 재연결이 실패하는 경우, 해당 망에 연결된 망자원 해지를 신청하고, 다른 망으로 접속을 시도한다.
When a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int of a specific network and is in an unreachable state, the user terminal attempts to reconnect to the network. If the reconnection fails, the user terminal requests the termination of the network resource connected to the network, Attempt to conne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 망에서 타 망으로 핸드오버 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이 적은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ces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ith less delay time occurring during handover from one network to anoth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기종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점에 연결되고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 상태 확인부;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상기 무선 접속점으로 요청하는 접속 해지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도록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는 단말 자원 해지부;를 포함하는 접속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ing unit that transmits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ny one of wireless connection points of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able to the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art; A bad connec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connection failure of the user terminal by referring to the response signal; A connection termination processing unit for reques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to termin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wireless access point when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And a terminal resource cancellation unit for canceling a resource allocated to the user terminal in case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상기 접속 상태 확인부는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전송할 수 있다.The connection state checking unit may transmit the connection state checking request every predetermined period.

상기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는 상기 응답 신호에 따른 응답회수,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 미응답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faulty terminal detection unit refers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responses in response to the response signal,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of receiving a response signal to the number of connection state confirmation requests, the number of consecutive unsuccessful responses, Can be determined.

상기 접속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접속점과 미리 지정된 터널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속 상태 확인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nection point through a predetermined tunnel protocol, wherein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unit transmits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have.

상기 무선 접속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요청 받는 경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접속점을 통한 재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접속점에 상응하는 무선 통신망 이외의 타 무선 통신망의 무선 접속점으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Wherein the wireless access point transmits an explicit connection termin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connection termin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explicit connection termination message, If the re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access point is not performed, the access point can connect to a wireless access point of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ther tha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기종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점에 연결되고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상기 무선 접속점으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도록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ny one of wireless connection points of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termining that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by referring to the response signal; Reques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to termin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wireless access point when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And terminating the resource allocat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무선 접속점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Transmitting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wireless access point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may be a step of transmitting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every predetermined period.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에 따른 응답회수,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 미응답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judging that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by referring to the response signal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times of the response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of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to the number of connection state confirmation request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by referring to one or more.

무선 접속점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지정된 터널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wireless access point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hrough a predetermined tunnel protocol and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

상기 무선 접속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요청 받는 경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접속점을 통한 재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접속점에 상응하는 무선 통신망 이외의 타 무선 통신망의 무선 접속점으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Wherein the wireless access point transmits an explicit connection termin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connection termin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explicit connection termination message, If the re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access point is not performed, the access point can connect to a wireless access point of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ther tha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을 통해 통신 불가능 상태인 경우, 다른 망으로 핸드 오버하고 기존 망의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기 위해 소요되는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munication is impossible through a connection point at a base station, a delay time required for handing over to another network and terminating an allocated resource of an existing network can be reduc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버 제어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접속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가 사용자 단말의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dov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connection of a user terminal to perform a handover in a system including a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connection of a use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를 “전송한다”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transmitting " a signal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to transmit a signal,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by mediating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버 제어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dov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버 제어 시스템은 앵커 게이트웨이(110), 제1 무선 접속점(120), 접속 제어 장치(130), 제2 무선 접속점(140) 및 사용자 단말(150)을 포함한다. 이 때, 앵커 게이트웨이(110) 및 제2 무선 접속점(140)은 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접속 제어 장치(130), 제1 무선 접속점(120)은 보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handov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chor gateway 110, a first wireless access point 120, a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a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150). At this time, the anchor gateway 110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constitute a main network, and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and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120 may constitute an auxiliary network.

앵커 게이트웨이(110)는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주 네트워크 및 보조 네트워크와 인터넷 간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50)은 앵커 게이트웨이(11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The anchor gateway 11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and serves as a gateway for connecting the main network and the auxiliary network to the Internet.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5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the anchor gateway 110. [

제1 무선 접속점(120)은 미리 지정된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150)과 연결되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접속점(120)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일 수 있다.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12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50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For example,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120 may be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접속 제어 장치(130)는 보조네트워크 및 앵커 게이트웨이 간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이다.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제2 무선 접속점(14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50)의 연결 상태를 체크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150)의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한 접속을 제어한다. 추후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접속 제어 장치(130)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is a gateway for connecting between the auxiliary network and the anchor gateway.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check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user terminal 150 connected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and controls the connection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of the user terminal 150.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제2 무선 접속점(140)은 보조 네트워크와 사용자 단말(150)간의 연결하여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접속점(140)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를 제공하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일 수 있다. 또한, 접속 제어 장치(130)와 제2 무선 접속점(140) 간의 연결은 Ethernet over GRE, IPSec, L2TP 등의 공지된 터널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제어 장치(130) 및 제2 무선 접속점(140) 간의 메시지 유실에 의해 접속 상태가 오인되는 경우를 방지될 수 있다.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connects the auxiliary network and the user terminal 150 to provide wireless network services. For example,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may be an access point that provides a WiFi service. Also,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130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may be transmitted using a known tunneling protocol such as Ethernet over GRE, IPSec, or L2T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ase where the connection state is misunderstood due to message loss between 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130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

사용자 단말(150)은 주 네트워크 및 보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이다.
The user terminal 150 is a terminal connected to the main network and the auxiliary network to receive a wireless network ser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접속 제어 장치(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 접속 상태 확인부(220), 데이터베이스(230),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240), 단말 자원 해지부(250) 및 접속 해지부(260)를 포함한다.2, 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130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210,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unit 220, a database 230, a connection faulty terminal detection unit 240, a terminal resource release unit 250, And a canceling unit 2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는 하나 이상의 제2 무선 접속점(14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는 thernet over GRE, IPSec, L2TP 등의 공지된 터널링 프로토콜을 통해 제2 무선 접속점(14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210 is connected to one or mor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s 14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t this time, the network interface 210 can communicate with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through a known tunneling protocol such as thernet over GRE, IPSec, and L2TP.

접속 상태 확인부(220)는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을 요청하는 접속 상태 확인 요청를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한다. 접속 상태 확인부(220)는 접속 상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데이터베이스(230)로 전송한다.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unit 220 transmits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150 periodically requesting confirmation of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 terminal 150.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unit 220 receives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database 230. [

데이터베이스(230)는 접속 상태 확인부(220)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를 저장한다.The database 230 stores a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nection state checking unit 220. [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240)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응답 신호를 확인하고 접속 상태가 불량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이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사용자 단말이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240)는 접속 해지부(260)로 해당 단말에 대한 접속 해지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240)는 응답 신호를 확인하여, 접속 상태에서의 응답회수,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 미응답 패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즉,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240)는 응답회수가 3회 이상이고,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이 0.9 이상이고,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50)에 대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없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bad connection terminal detection unit 240 checks the response signal stored in the database 230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ion state is bad and the user terminal can not maintain the connection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can not maintain the connection state, the connection faulty terminal detection unit 240 requests the connection release unit 260 to terminate the connection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For example, the connection-defective-terminal detecting unit 240 checks the response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number of responses in the connected state,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of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to the number of connection state confirmation requests, the number of consecutive unsuccessful responses, It can be judged according to the above. That is, when the number of responses is three or more and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of receiving a response signal to the number of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s is 0.9 or more and the number of consecutive unanswered responses is two or m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150 can not be maintained.

접속 해지부(260)는 접속 해지부(260)는 해당 단말과 연결되었던 제2 무선 접속점으로 접속 해지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접속 해지부(260)는 자원 해지 요청을 단말 자원 해지부(250)로 전송한다.The connection termination unit 260 transmits a connection termination request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connection termination unit 260 transmits a resource termination request to the terminal resource termination unit 250.

단말 자원 해지부(250)는 접속 해지부(260)로부터 수신한 자원 해지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에 상응하여 할당되었던 자원을 해지한다.
The terminal resource cancellation unit 250 cancels resources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ource cancell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connection cancellation unit 260. [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50)에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여 접속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50)은 별도의 재접속을 위한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당해 접속 제어 장치(130)나 제2 무선 접속점(140)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150)에 대해 할당한 자원을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130)는 재접속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재접속을 시도로 인해 소요되는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check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user terminal 150, and when the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150 is not normal, And terminates the allocated resources to block the connection.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50 can recover resources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50 from 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130 or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reconnection process have. Therefore, 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waste of resources due to reconnection attempt in a situation where reconnection is im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접속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 때, 사용자 단말(150)의 초기 상태는 보조 접속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임을 가정하도록 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connection of a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a handover in a system including a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initial state of the user terminal 150 is a stat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secondary access point.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3, in step 310,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transmits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150.

단계 320에서 사용자 단말(150)은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현재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 상태가 양호함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접속 제어 장치(130)로 전송한다.Upon receiving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he user terminal 15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150 is good to 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130 in step 320.

단계 33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 상태가 양호함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한다. 이 때, 단계 310과 단계 330 간은 미리 지정된 시간차로 수행될 수 있다. In step 330,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transmits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150 upon receiving a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status is good. At this time, the step between the step 310 and the step 330 may be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단계 340에서 사용자 단말(150)은 접속점과의 접속 상태가 좋지 않음에 따라 현재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 상태가 불량함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접속 제어 장치(130)로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150)은 접속점과의 접속 상태가 좋지 않음에 따라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접속 제어 장치(130)로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34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속 상태가 불량함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In step 340, the user terminal 15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150 is poor, to 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130 as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connection point is poor.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50 may not be able to transmit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when the connection state confirmation request is not received due to poor connection state with the connection point. Accordingly, in step 340, 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130 may receive a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quick state is poor from the user terminal 150, or may not receive a response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단계 35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단계 340에서 수신한 응답 신호 또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함에 따라 제2 무선 접속점(140)으로 접속 해지 요청을 전송한다.In step 350,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130 transmits a connection termination request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in response to the failure to receive the response signal or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in step 340.

단계 355에서 제2 무선 접속점(140)은 접속 해지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50)과의 접속을 해지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150)에 할당된 자원을 해지한다. 이 때, 제2 무선 접속점(140)은 사용자 단말(150)로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50)이 접속 해지를 하도록 할 수 있다. In step 355,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50 and releases the resources allocated to the user terminal 15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cancellation request. At this time,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may transmit an explicit connection termin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50 to allow the user terminal 150 to disconnect.

단계 360에서 사용자 단말(150)은 제2 무선 접속점과의 접속이 불량해짐에 따라 접속 요청을 제1 무선 접속점(120)으로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150)은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한 통신이 불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무선 접속점(120)을 통해 접속을 시도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50)은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해 재접속을 시도하고, 재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지속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50)은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해 재접속을 시도하여, 재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한 통신이 불가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50)는 제2 무선 접속점(140)으로부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접속을 해지할 수 있다.At step 360, the user terminal 15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120 as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becomes poor.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communication via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is impossibl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terminal 150 tries to access throug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120. The user terminal 150 may also attempt to reconnect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for a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and to continue communicating over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if a reconnection is made . Also, the user terminal 150 may attempt to reconnect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for a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and may determine that communication via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is not possible if re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 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50 receives the explicit connection termination message from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the user terminal 150 can terminate the connection.

단계 370에서 제1 무선 접속점(120)은 접속 요청에 상응하는 접속 수락을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한다.At step 370,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120 transmits a connection acceptanc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150.

단계 380에서 제1 무선 접속점(120)과 사용자 단말(150) 간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다.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120 and the user terminal 150 at step 38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점과 당해 접속 제어 장치(130)에 할당된 사용자 단말(150)에 대해 할당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50)은 재접속 시도 없이 망을 전환하여 네트워크 서비스가 중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cover the resource allocated to the connection point and the user terminal 150 assigned to 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130. FIG. Also, the user terminal 150 can switch the network without attempting to reconnect and reduce the time for which the network service is interrup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가 사용자 단말의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connection of a use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의 초기 접속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150)이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해 전송한 접속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50)이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해 초기 접속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접속 제어 장치(130)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기 위해 미리 지정된 자원을 사용자 단말(150)에 할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410,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confirms that an initial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150 has been established. For example,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may determine that the initial connection is established through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by the user terminal 150 according to a connec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50 via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 At this time,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may allocate a predetermined resource to the user terminal 150 to provide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단계 42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한다.In step 420,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transmits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150.

단계 43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의 접속 상태에 따라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단계 430이 종료될 수 있다.In step 430,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50. Th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130 may not receive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5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tep 430 may terminate.

단계 44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응답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150)이 접속 상태가 불량한지 판단한다.In step 440,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ion state of the user terminal 150 is poor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단계 44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 상태가 불량한 경우, 단계 45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 해지 요청을 제2 무선 접속점(140)으로 전송한다.In step 440, the connection control device 130 sends a connection release request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40 in step 450 if the connection state is poor.

단계 46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에 할당된 자원을 해지한다.
In step 460,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130 cancels the resource allocated to the user terminal 150. [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ereof. Many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therefore,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이기종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점에 연결되고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 상태 확인부;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상기 무선 접속점으로 요청하는 접속 해지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도록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는 단말 자원 해지부;
를 포함하는 접속 제어 장치.
A connection status verifying unit connected to any one of the wireless access points of the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a user terminal connectable to the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 bad connec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connection failure of the user terminal by referring to the response signal;
A connection termination unit for reques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to terminat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wireless access point when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And
A terminal resource decommissioning unit for terminating a resource allocat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And a connection control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상태 확인부는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state checking unit transmits the connection state checking request every predetermined peri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는 상기 응답 신호에 따른 응답회수,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 미응답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faulty terminal detection unit refers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responses in response to the response signal,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of receiving a response signal to the number of connection state confirmation requests, the number of consecutive unsuccessful responses,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제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접속점과 미리 지정된 터널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속 상태 확인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via one or more connection points with a predetermined tunnel protocol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unit transmits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and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요청 받는 경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접속점을 통한 재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접속점에 상응하는 무선 통신망 이외의 타 무선 통신망의 무선 접속점으로 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access point transmits an explicit connection termin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 connection termination request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wireless access point,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explicit connection termination message or if re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access point is not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user terminal connects to a wireless access point of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ther tha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the connection control unit.
접속 제어 장치가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기종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점에 연결되고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상기 무선 접속점으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도록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접속 제어 방법.
A method for a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to control connection of a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ny one of the wireless access points of the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that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by referring to the response signal;
Reques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to termin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wireless access point when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And
If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canceling the resources allocated to the user terminal;
Lt; / RTI >
제6 항에 있어서,
무선 접속점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ransmitting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wireless access point,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every predetermined perio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에 따른 응답회수,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 미응답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judging that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by referring to the response signal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times of the response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of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to the number of connection state confirmation requests, And judging that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poor with reference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ontrol methods.
제6 항에 있어서,
무선 접속점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지정된 터널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wireless access point,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request through a predetermined tunnel protocol, and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요청 받는 경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접속점을 통한 재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망 이외의 타 무선 통신망의 무선 접속점으로 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ireless access point transmits an explicit connection termin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 connection termination request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wireless access point,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a wireless access point of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ther tha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explicit connection cancellation message or if re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access point is not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onnection control method.
KR1020130165604A 2013-11-18 2013-12-27 Apparatus and methdo for controlling access KR1020860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213 2013-11-18
KR20130140213 2013-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895A true KR20150057895A (en) 2015-05-28
KR102086086B1 KR102086086B1 (en) 2020-03-06

Family

ID=5339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604A KR102086086B1 (en) 2013-11-18 2013-12-27 Apparatus and methdo for controlling acc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0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950A (en) * 2015-12-16 2017-06-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Optical inspec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41B1 (en) * 2006-01-06 2007-06-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Network changing system of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110033469A (en) * 2009-09-25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41B1 (en) * 2006-01-06 2007-06-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Network changing system of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110033469A (en) * 2009-09-25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950A (en) * 2015-12-16 2017-06-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Optical insp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086B1 (en)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6421B2 (en) Edge computing relocation
CN107535012B (en) Relay selection or resel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0838991A (en) Gateway connection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electronic device and gateway device
EP3200486B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EP3142442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ir interface resources
US10530637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and terminal
US9621455B2 (en) Cross-device linear multiplex section protection method, gateway and controller
KR201800471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with Services
EP2930977B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base station
CN110446274B (en) Tunnel establishment method and device
KR100971067B1 (en) Radio bearer management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11869310A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small data fast path communication
US87186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expedited call retry handling due to voice over 4G call failure
WO2013123641A1 (en) Method, system, node b and user equipment for emergency call access
US8630201B2 (en) Call control system, call controller, terminal device, and call control method
US8954054B2 (en) Method for processing and testing of called terminal and long term evolution system
CN106304160B (en) Bearer creation and base station switchin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P2058987A1 (en) A method for dealing with the packet domain gateway support node errors
KR20150057895A (en) Apparatus and methdo for controlling access
CN114338607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firming IP address of 5G user terminal
CN108307401B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JP2017509285A (en) Configur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user equipment
JP4915301B2 (en) Wireless LAN system, wireless LAN terminal, and access point
KR20150014769A (en)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enhancing rrc connection reestablichment in lte system
CN108377519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ession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