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811A - Diffus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diffuser of vehicle - Google Patents

Diffus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diffuser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811A
KR20150057811A KR1020130141619A KR20130141619A KR20150057811A KR 20150057811 A KR20150057811 A KR 20150057811A KR 1020130141619 A KR1020130141619 A KR 1020130141619A KR 20130141619 A KR20130141619 A KR 20130141619A KR 20150057811 A KR20150057811 A KR 20150057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ering
diffuser
control sig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0042B1 (en
Inventor
성시영성시영
성시영
한범석한범석
한범석
정도현정도현
정도현
김진용김진용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1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042B1/en
Publication of KR2015005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8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2Streamlining the under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9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haracterised by computing methods or stabilisation processes or systems, e.g. responding to yaw rate, lateral wind, load, road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iffuser to correct under steering and over steering and to allow the internal storage. The vehicle diffuser may comprise: a lateral lift generator which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vehicle to generate leftward lift to be applied from the right to the left or rightward lift applied from the left to the right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vehicle movement detection sensor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part receiving a vehicle moving signal from vehicle movement detection sensor to apply a lift control signal to the lateral lift generator.

Description

차량의 디퓨져 및 차량의 디퓨져 제어 방법{Diffus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diffuser of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iffuser,

본 발명은 차량의 디퓨져 및 차량의 디퓨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언더 스티어링이나 오버 스티어링 현상을 바로 잡을 수 있고, 내부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디퓨져 및 차량의 디퓨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iffuser and a vehicle diffuser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iffuser and a vehicle diffuser control method capable of correcting understeering and oversteering, .

차량에 장착되는 리어 디퓨져(Rear Diffuser)란 고속 주행 시, 차량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가 후면으로 빠지면서 발생하는 공기의 와류인 케비테이션(cavitation)을 제어하기 위해 차량 뒷편 하부에 장착하는 장치로서, 스틸, 알루미늄, 수지 및 복합 재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rear diffuser mounted on the vehicle is a devic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rear of the vehicle to control cavitation, which is a vortex of the air generated when the air flowing into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is dropp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at high speeds, , Aluminum, resin, and composite materials.

한편, 자동차는 달릴 때 앞쪽에서 공기를 상하좌우로 밀어내고, 이때 밀린 공기는 뒤쪽으로 가면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그러나 공기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데는 시간이 걸리고, 시간이 오래 걸리면 걸릴수록 차 뒤쪽에는 많은 진공 부분이 생기게 된다. 여기서 형성된 진공이 차를 뒤에서 잡아당겨 자동차는 공기의 저항을 받게 되고, 이때 와류현상이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r is running, the air is push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top and to the left and left side, and the air that is pushed back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However, it takes time for the air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longer it takes, the more vacuum is generated behind the car. The vacuum created here pulls the car from behind and the car is subjected to the resistance of the air, and vortices occur.

이러한 와류현상으로 인하여 차량이 고속으로 달리면 차체가 뜨는 양력현상이 일어난다. 이를 막기 위하여 차량 뒤쪽 바닥에 다는 날개 모양의 공력장치의 일종이고, 스포티한 스타일 때문에 멋으로 장착하는 경우도 많다.Due to such a vortex phenomenon, when the vehicle runs at high speed, lift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vehicle body floats. To prevent this, it is a kind of wing-like aerodynamic device on the bottom of the back of the vehicle.

즉, 종래의 차량의 디퓨져는, 차량 뒤쪽의 와류를 제어하여 고속으로 달릴 때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다.That is, the main purpose of the conventional diffuser of a vehicle is to control the vortex behind the vehic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runs at high spe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디퓨져는, 중속 또는 고속에서의 코너링이나 과동한 조향으로 인하여 차량이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조작과 상관 없이 정상적인 정상 스티어링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 즉, 차량이 정상적인 정상 스티어링 경로에 미치지 못하는 언더 스티어링 경로로 주행하거나, 정상 스티어링 경로 보다 초과하는 오버 스티어링 경로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차량에 어떠한 도움도 줄 수 없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vehicle diffuser has a problem that when the vehicle is out of the normal normal steering path regardless of the steering wheel operation of the driver due to cornering or oversteering at medium or high speed, that is, when the vehicle does not reach the normal normal steering path It is not possible to give any assistance to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runs on an under-steering path that can not be reached or on an over-steering path that exceeds the normal steering path.

또한, 종래의 차량의 디퓨져는, 항상 차량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iffuser of the vehicle always protrudes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which has a problem of occupying a large sp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언더 스티어링 이나 오버 스티어링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상쇄할 수 있어서 차량의 조향성능 및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 내부에 수납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차량의 디퓨져 및 차량의 디퓨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stability control system capable of ensuring stability at a high speed of a vehicle, and to offset the understeering or oversteering phenomenon, A vehicle diffuser and a vehicle diffuser control method capable of greatly improving steering performance and safety, and capable of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by being housed in a vehicle.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는, 차량의 하면에 설치되고,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작용하는 좌향 양력을 발생시키거나 좌측에서 우측으로 작용하는 우향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 차량의 거동을 감지하는 차량 거동 감지 센서; 및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로부터 차량 거동 신호를 인가받아서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에 양력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diffuser, which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a vehicle and generates a leftward lift force acting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on the basis of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lateral lif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right lifting force to be generated by the lifting device; A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vehicle behavior signal from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and applying a lift control signal to the lateral lift generator.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는, 차량의 후방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ral direction lift generation device can be installed on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조향 각도가 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 및 상기 수직 날개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teral lift-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vertical blade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apable of changing a steering angle; And a rotation actuator capable of rotating the vertical blade.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는,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를 차량의 수용 공간 안에 수납하거나 수용 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할 수 있는 날개 수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ffus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ng accommodation devi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ateral side lift generating device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vehicle or drawing it out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날개 수납 장치는,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가 설치되는 가동대; 및 상기 가동대를 이동시키는 가동대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ne accommod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movable base on which the lateral side lift generator is installed; And a movable band actuator for moving the movable band.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가동대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동대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band actuator may be a rotary motor that rotates a rotary shaf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ovable band.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는, 차량의 언더 스티어링 상태 또는 오버 스티어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감지 센서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may be a steering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understeering state or an oversteering state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스티어링 감지 센서는, 적어도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 센서, 횡방향 가속도 센서, 요레이트(yaw rate) 센서, 바퀴별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 센서,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 중력을 감지하는 중력 감지 센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진행 방향 감지 센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차량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 센서, 바퀴별 각도를 측정하는 바퀴 각도 측정 센서,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스티어링 휠 각도 측정 센서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detection sensor includes at least a steering angle sensor for sensing a steering angle, a vehicle speed sensor for sensing a vehicle speed, a lateral acceleration sensor, a yaw rat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 gravity sensor for sensing gravity, a traveling dir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 steering wheel angl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a steering wheel angl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turn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로부터 차량 거동 신호를 인가받아 정상적인 스티어링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 거동 신호가 정상 데이터에 부족하면 언더 스티어링 경로로 판단하고, 상기 차량 거동 신호가 정상 데이터를 초과하면 오버 스티어링 경로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vehicle behavior signal from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and compares the received vehicle behavior signal with normal steering data, determines the understeering path when the vehicle behavior signal is insufficient for normal data, If the behavior signal exceeds the normal data, it may be determined to be an over-steering path.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거동이 언더 스티어링으로 판단되면, 언더 스티어링을 상쇄하는 언더 스티어링 상쇄 제어 신호를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에 인가하고, 상기 차량의 거동이 오버 스티어링으로 판단되면, 오버 스티어링을 상쇄하는 오버 스티어링 상쇄 제어 신호를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에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ehavior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understeering, an understeering canceling control signal for canceling understeering is applied to the lateral lift generating device, and the behavior of the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o be oversteering, it may be to apply an oversteering cancellation control signal to the lateral lift generator to offset oversteering.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 제어 방법은, 차량 주행 중 조향각 센서 및 차속센서의 신호를 수집하여 중립조향에 필요한 이론적 차량 거동값을 계산하는 단계; 차량에 장착되어있는 횡방향 가속 센서 및 요레이트 센서의 신호를 수집하여 실제 차량 거동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론적 차량 거동값과 실제 차량 거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부족 조향인지 과대 조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부족 조향값의 크기나 과대 조향값의 크기가 안전 운전을 위한 허용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안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의 의지를 반영하여, 부족 조향 설정시, 차량의 디퓨져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를 선회 반경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과대 조향 설정시 차량의 디퓨져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를 선회 반경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위험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안전 주행 설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부족 조향시, 차량의 디퓨져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를 선회 반경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 및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과대 조향시, 차량의 디퓨져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를 선회 반경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 및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diffuser, comprising the steps of: collecting signals of a steering angle sensor and a vehicle speed sensor during a running of a vehicle to calculate a theoretical vehicle behavior value required for neutral steering; Measuring actual vehicle behavior data by collecting signals of a lateral acceleration sensor and a yaw rate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Comparing the theoretical vehicle behavior value with actual vehicle behavior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under-steering or over-steering; Determining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deficient steering value or the magnitude of the excessive steering value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for safe operation; When the driver is determined to be in a safe state, the driver outputs a steering control signal to rotate at least one vertical vane provided in the diffuser of the vehicle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Outputting a steering control signal for rotating at least one vertical vane provided in the diffuser of the diffuser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And a steering control signal and a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for rotating at least one vertical vane installed in the diffuser of the vehicle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automa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safe running set value when judged to be in a dangerous state And outputting a steering control signal and a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for rotating at least one vertical vane provided in the diffuser of the vehicle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when the vehicle is oversteering.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위험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안전 주행 설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부족 조향시, 조향 제어 신호 및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과대 조향시, 조향 제어 신호 및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부족 조향시, 상기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는, ESC(Electric Stability Control) 시스템의 안쪽 바퀴 브레이크 제어 신호 또는 엔진 브레이크 신호이고, 상기 과대 조향시, 상기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는, ESC(Electric Stability Control) 시스템의 바깥쪽 바퀴 브레이크 제어 신호 또는 엔진 브레이크 신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dangerous state, the steering control signal and the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are automatically output according to the safe running set value, the steering control signal and the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are output,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in the under-steering, the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is an inner wheel brake control signal or an engine brake signal of an ESC (Electric Stability Control) system, The signal may be an outer wheel brake control signal or an engine brake signal of an ESC (Electric Stability Control) system.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차량의 언더 스티어링이나 오버 스티어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table running of the vehicle is enabled, understeering or oversteering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and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디퓨져의 준비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의 디퓨져의 좌향 양력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차량의 디퓨져의 우향 양력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의 디퓨져의 날개 수납 장치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차량의 디퓨져의 날개 수납 장치의 인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차량의 디퓨져의 언더 스티어링 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차량의 디퓨져의 오버 스티어링 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n operating stat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diffuser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preparation state of the diffuser of the vehicle of Fig. 1. Fig.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left-side lift generation state of the diffuser of the vehicle of Fig. 2;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right lift generated state of the diffuser of the vehicle of Fig. 2; Fig.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housed state of the wing accommodation device of the diffuser of the vehicle of Fig. 1; Fig.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drawn-out state of the wing accommodation device of the diffuser of the vehicle of Fig. 1;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ffuser of the vehicle of Fig. 1 when understeering;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iffuser of the vehicle of FIG. 1 upon oversteering.
Figure 9 is a top view of a diffuser of a vehicle in accordance with some 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ffuser of a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order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such as a film, region or substrate is referred to as being "on", "connected to", "lamina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lements may be directly "on", "connected", "lamina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or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one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is interprete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do.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portions,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It is obvious that n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Also, relative terms such as "top" or "above" and "under" or "below" can be used herein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certain elements to other elements as illustrated in the Figures. Relativ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in addition to those depicted in the Figures. For example, in the figures the elements are turned over so that the elements depicted as be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other elements are orie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lements. Thus, the example "top" may include both "under" and "top" directions depending on the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figure. If the elements ar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ther direction), the relative descriptions used herein can be interpreted accordingl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singular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specifying the presence of stated shap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s, for example, variations in the shape shown may be expect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shapes of the regions shown herei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changes in shape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100)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디퓨져(100)의 준비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의 디퓨져(100)의 좌향 양력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차량의 디퓨져(100)의 우향 양력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a preparation state of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of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of the diffuser 100 of FIG. 1,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right lift generated state of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shown in Fig. 2;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left lift generated state of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shown in Fig.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100)는, 크게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10)와, 차량 거동 감지 센서(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a diffuser 100 of a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teral lift generator 10, a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20, (30).

여기서,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10)는, 차량(1)의 후방 하면(1b)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1)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1)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작용하는 도 3의 좌향 양력(F1)을 발생시키거나 좌측에서 우측으로 작용하는 도 4의 우향 양력(F2)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10)는 차량(1)의 전방 하면이나, 바닥면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The lateral side elevation generator 10 is provided on the rear lower surface 1b of the vehicle 1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teral lift generating devices 10 which act on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 with referenc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 3 that generates the left lift F 1 of FIG. 4 or the right lift F 2 of FIG. 4 that acts from the left to the right. In addition, the lateral side elevation generator 10 can also be installed on the front, bottom, or the like of the vehicle 1.

예를 들어서,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날개(11) 및 회동 액츄에이터(1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ateral lift generator 10 may include a vertical wing 11 and a tilt actuator 12, as shown in Figs. 1-4.

여기서, 상기 수직 날개(11)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11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조향 각도(K1)(K2)가 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형 구조물일 수 있다.Here, the vertical vane 11 may be at least one wing-shaped structure that is rotated around a rotary shaft 11a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an change the steering angle K1 (K2).

이러한, 상기 수직 날개(11)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에서는 5개의 수직 날개(11)가 예시되었으나, 이외에도 1개에서 수십개 이상 등 다양한 개수의 수직 날개(11)들이 적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ertical blades 11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FIG. 1, five vertical blades 11 are illustrated. However, a plurality of vertical blades 11, such as one to dozens or more,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수직 날개(11)의 단면 형상은 유선형이나, 판형이나 만곡된 곡선형 등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날개(11)의 회전축(11a) 역시, 상기 수직 날개(11)의 전방, 후방, 중간부분 등 다양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vertical blade 11 may be various, such as a streamline shape, a plate shape or a curved shape. The rotary shaft 11a of the vertical blade 11 may also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front, rear, and middle portions of the vertical blade 11.

또한, 예컨데,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직 날개(11)의 측면에 차량(1)에 고정된 형태의 지지 날개가 설치될 수 있다.Further,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supporting blade fixed to the vehicle 1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blade 11. [

또한, 상술된 상기 수직 날개(11)는 차량(1)의 고속 주행시 공기의 저항을 견딜 수 있도록 적절한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이나 수지 재질이나 목재나, 복합 재질의 구조물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vertical blade 11 may be a metal material, a resin material, wood, or a composite material having an appropriate strength to withstand the resistance of air at the time of driving the vehicle 1 at a high speed.

또한, 상기 수직 날개(11)들은 각도에 따라서 상기 좌향 양력(F1)이나 우향 양력(F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vanes 11 can adjust the magnitude of the left lift F1 or the right lift F2 according to the angle.

한편, 상기 회동 액츄에이터(12)는, 상기 수직 날개(11)를 회전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날개(11)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수직 날개(11)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동 모터일 수 있다.The rotary actuator 12 is an actuator capable of rotating the vertical vanes 11 and is installed in each of the vertical vanes 11 to form respective vertical vanes 11 11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이외에도, 상기 회동 액츄에이터(12)는,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서 작동되는 실린더나, 솔레노이드나, 이들과 연결되는 각종 링크 조합, 랙 앤 피니언 기어 조합, 베벨 기어 조합, 밸트 및 풀리 조합, 가동대 및 나사봉 조합, 체인 및 스프로킷 휠 조합, 와이어 및 도르레 조합, 엔진, 내연기관, 외연기관 등 각종 액츄에이터들이나 동력전달장치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날개(11)들은 동력전달장치들에 의해서 서로 연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actuator 12 may be a cylinder, a solenoid, various combinations of links connected thereto, a rack and pinion gear combination, a bevel gear combination, a belt and pulley combination, Various actuators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s such as a rod-and-pinion combination, a combination of a chain and a sprocket wheel, a combination of a wire and a pulley, an engin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ddition, the vertical blades 11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power transmission devices.

또한,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20)는, 상기 차량(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1)의 거동을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일 수 있다.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20 may be various sensors installed in the vehicle 1 and capable of detect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1. For example,

예를 들어서,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20)는, 차량(1)의 언더 스티어링 상태 또는 오버 스티어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감지 센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20 may be a steering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nsing an understeering state or an oversteering state of the vehicle 1. [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티어링 감지 센서는, 적어도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 센서, 횡방향 가속도 센서, 요레이트(yaw rate) 센서, 바퀴별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 센서,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 중력을 감지하는 중력 감지 센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진행 방향 감지 센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차량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 센서, 바퀴별 각도를 측정하는 바퀴 각도 측정 센서,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스티어링 휠 각도 측정 센서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각종 센서들에 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널리 상용화된 기술로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ore specifically, the steering sensor includes at least a steering angle sensor for sensing a steering angle, a vehicle speed sensor for sensing a vehicle speed, a lateral acceleration sensor, a yaw rate sensor, a rotation speed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 gravity sensor for sensing gravity, a traveling dir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 wheel angl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wheel angle, a steering wheel angl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turn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a combination thereof. Here, the description of these various sensors is well known and widely commercializ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20)로부터 차량 거동 신호를 인가받아서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10)에 양력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20)로부터 차량 거동 신호를 인가받아 도 7 및 도 8의 정상적인 정상 스티어링 경로(P1)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 거동 신호가 정상 데이터에 부족하면 도 7의 언더 스티어링 경로(P2)로 판단하고, 상기 차량 거동 신호가 정상 스티어링 경로(P1)의 데이터를 초과하면 도 8의 오버 스티어링 경로(P3)로 판단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엔진 콘트롤 유닛(ECU)나 각종 회로나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나 연산 장치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receives a vehicle behavior signal from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20 and applies a lift control signal to the lateral lift apparatus 10, When the vehicle behavio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20 and compared with the data of the normal normal steering path P1 of FIGS. 7 and 8, if the vehicle behavior signal is insufficient for the normal data, it is judged by the understeering path P2 of FIG. 7 And an engine control unit (ECU), various circuits, or a pre-input program (P3) that can determine the oversteer path P3 of FIG. 8 when the vehicle behavior signal exceeds the data of the normal steering path P1 And may be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r an arithmetic operation unit such as a computer.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차량(1)의 거동이 언더 스티어링으로 판단되면, 언더 스티어링을 상쇄하는 언더 스티어링 상쇄 제어 신호를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10)에 인가하고, 상기 차량(1)의 거동이 오버 스티어링으로 판단되면, 오버 스티어링을 상쇄하는 오버 스티어링 상쇄 제어 신호를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10)에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behavior of the vehicle 1 is determined to be understeering, the control unit 30 applies the understeering canceling control signal to the lateral direction lift generator 10 to cancel the understeer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ehavior of the vehicle 1 is oversteering, it may be to apply an oversteering canceling control signal to the lateral lift generator 10, which offsets the oversteering.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예를 들어서 운전자가 차량(1)을 직진시키는 동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날개(11)들이 상기 차량(1)의 진행 방향과 일치되는 각도로 세워져서 어떠한 양력도 발생되지 않다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우측으로 회전시켜서 차량(1)을 우회전시키면,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2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우회전 신호를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회동 액츄에이터(12)에 정회전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수직 날개(11)들을 정회전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for example, 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e vehicle 1, as shown in Fig. 2, 3, the driver rotates the steering wheel to the right side, and the vehicle 1 is stopped, as shown in FIG. 3, after the vertical vanes 11 are raised at an angle that coincides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20 senses this and the right turn signal can be applied to the control unit 30.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rotation actuator 12 to transmit a forward rotation control signal So that the vertical vanes 11 can rotate forward.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날개(11)에는 차량(1)의 우회전을 도울 수 있도록 차량(1)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1)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작용하는 좌향 양력(F1)을 발생시킬 수 있다.3, the vertical wing 11 is provided with a left-side lift (left-right lift) acting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 on the basis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so as to assist the right turn of the vehicle 1, (F1).

역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좌측으로 회전시켜서 차량(1)을 좌회전시키면,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2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좌회전 신호를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회동 액츄에이터(12)에 역회전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수직 날개(11)들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Converse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driver turns the steering wheel to the left by turning the steering wheel to the left,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20 senses this and the left turn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30 can reverse the vertical vanes 11 by applying a reverse rotation control signal to the rotation actuator 12. [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날개(11)에는 차량(1)의 좌회전을 도울 수 있도록 차량(1)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1)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작용하는 우향 양력(F2)을 발생시킬 수 있다.4, the vertical blade 11 is provided with a right-side lift fo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right-side lift ") acting from left to right of the vehicle 1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so as to assist the left- (F2) can be generated.

도 7은 도 1의 차량의 디퓨져(100)의 언더 스티어링 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차량의 디퓨져(100)의 오버 스티어링 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of Fig. 1 when understeering, and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of Fig. 1 upon oversteering.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20)로부터 차량 거동 신호를 인가받은 데이터가 정상적인 정상 스티어링 경로(P1)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부족하면 언더 스티어링 경로(P2)로 판단할 수 있다.7,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 compares data received from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20 with a vehicle behavior signal to data of a normal normal steering path P1 If it is not enough, it can be judged as the understeering path (P2).

이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차량(1)의 거동이 언더 스티어링으로 판단되면, 언더 스티어링을 상쇄하는 언더 스티어링 상쇄 제어 신호를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10)에 인가할 수 있다.Then, when the behavior of the vehicle 1 is judged as understeering, the control unit 30 can apply the understeering canceling control signal to the lateral lift apparatus 10 to cancel the understeering.

이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회동 액츄에이터(12)에 역회전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수직 날개(11)들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Then, the controller 30 may apply a reverse rotation control signal to the rotary actuator 12 to rotate the vertical blades 11 in reverse.

그러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날개(11)에는 차량(1)의 언더 스티어링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좌회전시킬 수 있도록 차량(1)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1)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작용하는 우향 양력(F2)을 발생시킬 수 있다.7, the vertical vane 11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14a for guiding the vehicle 1 in the direction of canceling the understeering of the vehicle 1, The right lift F2 acting from the left to the right can be generated.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20)로부터 차량 거동 신호를 인가받은 데이터가 정상적인 정상 스티어링 경로(P1)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초과하면 오버 스티어링 경로(P3)로 판단할 수 있다.8,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 compares data received from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20 with a vehicle behavior signal to data of a normal normal steering path P1 If it is exceeded, it can be determined to be the over-steering path P3.

이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차량(1)의 거동이 오버 스티어링으로 판단되면, 오버 스티어링을 상쇄하는 오버 스티어링 상쇄 제어 신호를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10)에 인가할 수 있다.Then, when the behavior of the vehicle 1 is determined to be oversteering, the control unit 30 may apply the oversteering canceling control signal to the lateral lift generator 10 to cancel oversteering.

이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회동 액츄에이터(12)에 정회전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수직 날개(11)들을 정회전시킬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30 may forward-rotate the vertical blades 11 by applying a forward rotation control signal to the rotation actuator 12. [

그러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날개(11)에는 차량(1)의 오버 스티어링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우회전시킬 수 있도록 차량(1)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1)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작용하는 좌향 양력(F1)을 발생시킬 수 있다.8, the vertical wing 11 is provided with a vertical guide vane 11 for guiding the vehicle 1 in the direction of canceling the oversteering of the vehicle 1,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leftward lift F1 acting from the right to the left.

결국,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100)는,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차량의 언더 스티어링이나 오버 스티어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nables stable running of the vehicle, but also can prevent understeering or oversteering of the vehicle.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300)의 회동 액츄에이터(12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9 is a top view of a pivoting actuator 120 of a vehicle diffuser 300 according to some 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액츄에이터(120)는, 상기 수직 날개(11)의 회전축(11a)에 각각 설치된 종동 피니언 기어(121)와,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121)와 치합되는 랙기어(123)와, 상기 랙기어(123)와 치합되는 구동 기어(124) 및 상기 구동 기어(124)를 회전시키는 모터(125)를 포함할 수 있다.9, the pivoting actuator 120 includes a driven pinion gear 121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11a of the vertical blade 11, and a rack gear 122 coupled to the driven pinion gear 121, A driving gear 124 which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123 and a motor 125 which rotates the driving gear 124.

따라서, 상기 모터(125)가 상기 구동 기어(12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상기 구동 기어(124)에 치합된 상기 랙기어(123)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수직 날개(11)의 회전축(11a)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121)들을 동시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 날개(11)들은 하나의 상기 랙기어(123)와 치합되는 것으로서, 그 조향 각도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otor 125 rotates or rotates the driving gear 124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rack gear 123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124 moves forward or backward, A plurality of the driven pinion gears 121 provided on the respective driven pinion gears 11a can be rotated forward or reverse simultaneously. Here, the vertical blades 11 are engaged with one rack gear 123, and their steering angles may be the same.

그러므로, 1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수직 날개(11)들을 모두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a plurality of the vertical vanes 11 can be simultaneously driven by using one motor.

이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간 기어를 적용하거나, 기타 밸트/풀리, 체인/스프로킷휠, 와이어/도르래, 링크, 캠 등 다양한 형태의 회전 액츄에이터들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various types of rotary actuators may be applied, such as intermediate gears, or other belt / pulley, chain / sprocket wheel, wire / pulley, link,

도 5는 도 1의 차량의 디퓨져(100)의 날개 수납 장치(40)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차량의 디퓨져(100)의 날개 수납 장치(40)의 인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housing state of the wing housing unit 40 of the vehicle 100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wing housing unit 40 of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shown in Fig. FIG.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100)는,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10)를 차량(1)의 수용 공간(A) 안에 수납하거나 수용 공간(A)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할 수 있는 날개 수납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ateral direction lift generator 1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of the vehicle 1 (40) which can be drawn ou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여기서, 예컨데, 상기 날개 수납 장치(40)는,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10)가 설치되는 가동대(41) 및 상기 가동대(41)를 이동시키는 가동대 액츄에이터(42)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동대 액츄에이터(42)는, 상기 가동대(41)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축(41a)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vane accommodating device 40 may include a movable stand 41 on which the lateral side elevation generator 10 is installed and a movable stand actuator 42 for moving the movable stand 41 More specifically, the movable band actuator 42 may be a rotary motor that rotates a rotary shaft 41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band 41. [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정지시, 주차시, 저속 주행시 등 측방향 양력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날개 수납 장치(40)의 상기 가동대 액츄에이터(42)가 상기 가동대(41)를 상기 수용 공간(A)의 내부 방향으로 정회동시켜서 상기 수직 날개(11)가 상기 수용 공간(A)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5, when the vehicle 1 is stopped, parked, or when the vehicle is not traveling in the low-speed traveling direction, the movable-side actuator 42 of the wing accommodation device 40 is rotated The vertical vanes 11 can be hou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 by positively rotating the movable stand 41 inward of the accommodating space A. [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고속 주행시, 상기 날개 수납 장치(40)의 상기 가동대 액츄에이터(42)가 상기 가동대(41)를 상기 수용 공간(A)의 외부 방향으로 역회동시켜서 상기 수직 날개(11)가 상기 수용 공간(A)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6, when the vehicle 1 travels at a high speed, the movable band actuator 42 of the wing accommodation device 40 moves the movable band 41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So that the vertical blade 11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100)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수납하다가 필요할 경우에만, 날개를 노출시켜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외관을 수려하게 하며, 제품의 부가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can expose the wings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store them inside the vehicle,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and enhancing the appearance, Can be increas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디퓨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ffuser of a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1)의 디퓨져(100) 제어 방법은, 차량(1) 주행 중 조향각 센서 및 차속센서의 신호를 수집하여 중립조향에 필요한 이론적 차량 거동값을 계산하는 단계(S1)와, 차량(1)에 장착되어있는 횡방향 가속 센서 및 요레이트 센서의 신호를 수집하여 실제 차량 거동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S2)와, 상기 이론적 차량 거동값과 실제 차량 거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부족 조향인지 과대 조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와, 부족 조향값의 크기나 과대 조향값의 크기가 안전 운전을 위한 허용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와, 안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의 의지를 반영하여, 부족 조향 설정시, 차량(1)의 디퓨져(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11)를 선회 반경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과대 조향 설정시 차량(1)의 디퓨져(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11)를 선회 반경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5) 및 위험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안전 주행 설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부족 조향시, 차량(1)의 디퓨져(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11)를 선회 반경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 및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과대 조향시, 차량(1)의 디퓨져(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11)를 선회 반경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 및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10,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1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signals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during traveling of the vehicle 1, (S1) of calculating a theoretical vehicle behavior value, a step S2 of measuring actual vehicle behavior data by collecting signals of a lateral acceleration sensor and a yaw rate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1, (S3) of comparing the behavior value and the actual vehicle behavior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under-steering or over-stee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under-steering value or the magnitude of the excessive steering value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for safe operation At least one vertical blade 11 installed in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1 is rotat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at the time of the under steering setting, reflecting the driver's intention, Steering agent (S5) of outputting a steering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signal to rotate the at least one vertical blade (11) installed in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1) The steering control system automatically rotates the at least one vertical vane 11 installed in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1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in accordance with the safe running set value, A steer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the at least one vertical blade 11 provided in the diffuser 100 of the vehicle 1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and a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Step S6).

여기서, 상기 단계(S6)에서, 상기 부족 조향시, 상기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는, ESC(Electric Stability Control) 시스템의 안쪽 바퀴 브레이크 제어 신호 또는 엔진 브레이크 신호이고, 상기 과대 조향시, 상기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는, ESC(Electric Stability Control) 시스템의 바깥쪽 바퀴 브레이크 제어 신호 또는 엔진 브레이크 신호일 수 있다.Here, in step S6, in the understeering, the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is an inner wheel brake control signal or an engine brake signal of an ESC (Electric Stability Control) system, and in the excessive steering, the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May be an outer wheel brake control signal or engine brake signal of an ESC (Electric Stability Control) system.

이러한, 상기 ESC 시스템은, Electric Stability Control(Program)의 약자로, 차량의 자세제어에 그 목적이 있으며, 여러 회사에서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VDC(Vehicle Dynamic Control), VSC(Vehicle Stability Control)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하고 있다.The ESC system is an abbreviation of Electric Stability Control (Program). The ESC system is intended to control the attitude of a vehicle, and various companies have developed an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ESP), a Vehicle Dynamic Control (VDC) And has been named with various names.

또한, 상기 ESC 시스템은, 차량의 전/후 움직임을 제어하는 ABS 및 TCS와 달리, 급 회전 시 나타나는 차량의 회전(횡적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서, 눈길에 급 브레이크를 잡았을 경우, ABS는 Wheel Lock 제어에 의한 Slip을 막아 주지만, 일단 Slip이 발생하면 이상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나, 상기 ESC 시스템은, 평상시에도 계속하여 Steering 방향과 차량의 방향을 모니터링 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과 차량의 실제 방향을 비교하여 있다가, 차가 운전자의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 달린다고 판단되면 즉시 작동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이끌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ESC system is a system that can control the rotation (transverse movement) of the vehicle during rapid rotation unlike the ABS and TCS for controlling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of the vehicle. For example, However, the ESC system continuously monitors the steering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 normal direction, so that the driver can select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driver And the actual direction of the vehicle is compar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 run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intention of the driver, the driver can immediately operate and guide the vehicle in a desired direc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차량
1b: 하면
F1: 좌향 양력
F2: 우향 양력
10: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
20: 차량 거동 감지 센서
30: 제어부
40: 날개 수납 장치
A: 수용 공간
41: 가동대
41a: 회전축
42: 가동대 액츄에이터
43: 회전축
100: 차량의 디퓨져
11: 수직 날개
11a: 회전축
K1, K2: 조향 각도
12: 회동 액츄에이터
P1: 정상 스티어링 경로
P2: 언더 스티어링 경로
P3: 오버 스티어링 경로
1: vehicle
1b: when
F1: Left-hand lift
F2: Right lift
10: lateral lift generator
20: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30:
40: wing storage device
A: accommodation space
41:
41a:
42: Actuator block actuator
43:
100: vehicle diffuser
11: vertical wing
11a:
K1, K2: steering angle
12: Rotating actuator
P1: normal steering path
P2: Understeering path
P3: Oversteering path

Claims (13)

차량에 하면에 설치되고,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작용하는 좌향 양력을 발생시키거나 좌측에서 우측으로 작용하는 우향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
차량의 거동을 감지하는 차량 거동 감지 센서; 및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로부터 차량 거동 신호를 인가받아서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에 양력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디퓨져.
A lateral lift generating device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and capable of generating a left upward lift acting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on the basis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r generating a right lift acting from left to right;
A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vehicle behavior signal from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and applying a lift control signal to the lateral lift generator;
The diffuser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는,
차량의 후방 하면에 설치되는 것인, 차량의 디퓨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teral lift generation device includes:
And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조향 각도가 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 및
상기 수직 날개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동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차량의 디퓨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teral lift generation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vertical blade rotated about a rotational ax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apable of changing a steering angle; And
A pivoting actuator capable of rotating the vertical blade;
The diffuser of the vehic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액츄에이터는,
상기 수직 날개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된 종동 피니언 기어;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는, 차량의 디퓨져.
The method of claim 3,
The pivoting actuator includes:
A driven pinion gear provided respectively on a rotary shaft of the vertical blade;
A rack gear engaged with the driven pinion gear;
A driving gear engaged with the rack gear;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driving gear;
The diffuser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를 차량의 수용 공간 안에 수납하거나 수용 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할 수 있는 날개 수납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디퓨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ing accommodation devi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ateral side elevation generation device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vehicle or being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Further comprising: a diffuser for the vehic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수납 장치는,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가 설치되는 가동대; 및
상기 가동대를 이동시키는 가동대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차량의 디퓨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ing-
A movable stand on which said lateral lift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And
A movable band actuator for moving the movable band;
The diffuser of the vehic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대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동대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인, 차량의 디퓨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vable unit actuator is a rotary motor that rotates a rotary shaf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st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는,
차량의 언더 스티어링 상태 또는 오버 스티어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감지 센서인, 차량의 디퓨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includes:
A vehicle diffuser, which is a steering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understeering state or an oversteering state of the vehic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감지 센서는, 적어도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 센서, 횡방향 가속도 센서, 요레이트(yaw rate) 센서, 바퀴별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 센서,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 중력을 감지하는 중력 감지 센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진행 방향 감지 센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차량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 센서, 바퀴별 각도를 측정하는 바퀴 각도 측정 센서,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스티어링 휠 각도 측정 센서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디퓨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ering sensor includes at least a steering angle sensor for sensing a steering angle, a vehicle speed sensor for sensing a vehicle speed, a lateral acceleration sensor, a yaw rate sensor, a rotation speed sensor for sen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per wheel, Accelera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gravity sensing sensor for sensing gravity, traveling sensor for detec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 steering wheel angl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turn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a combination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거동 감지 센서로부터 차량 거동 신호를 인가받아 정상적인 스티어링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 거동 신호가 정상 데이터에 부족하면 언더 스티어링 경로로 판단하고, 상기 차량 거동 신호가 정상 데이터를 초과하면 오버 스티어링 경로로 판단하는 것인, 차량의 디퓨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behavio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behavior detection sensor and is compared with normal steering data. If the vehicle behavior signal is insufficient for normal data, it is determined as an understeering path. If the vehicle behavior signal exceeds normal data, The diffuser of the vehic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거동이 언더 스티어링으로 판단되면, 언더 스티어링을 상쇄하는 언더 스티어링 상쇄 제어 신호를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에 인가하고, 상기 차량의 거동이 오버 스티어링으로 판단되면, 오버 스티어링을 상쇄하는 오버 스티어링 상쇄 제어 신호를 상기 측방향 양력 발생 장치에 인가하는 것인, 차량의 디퓨져.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nd when the behavior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understeering, an understeering canceling control signal for canceling understeering is applied to the lateral lift generator, and when the behavior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as oversteering, oversteering And applies an offset control signal to said lateral lift generators.
차량 주행 중 조향각 센서 및 차속센서의 신호를 수집하여 중립조향에 필요한 이론적 차량 거동값을 계산하는 단계;
차량에 장착되어있는 횡방향 가속 센서 및 요레이트 센서의 신호를 수집하여 실제 차량 거동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론적 차량 거동값과 실제 차량 거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부족 조향인지 과대 조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부족 조향값의 크기나 과대 조향값의 크기가 안전 운전을 위한 허용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안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의 의지를 반영하여, 부족 조향 설정시, 차량의 디퓨져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를 선회 반경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과대 조향 설정시 차량의 디퓨져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를 선회 반경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위험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안전 주행 설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부족 조향시, 차량의 디퓨져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를 선회 반경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 및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과대 조향시, 차량의 디퓨져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날개를 선회 반경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제어 신호 및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디퓨져 제어 방법.
Collecting signals of a steering angle sensor and a vehicle speed sensor while the vehicle is traveling, and calculating a theoretical vehicle behavior value required for neutral steering;
Measuring actual vehicle behavior data by collecting signals of a lateral acceleration sensor and a yaw rate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Comparing the theoretical vehicle behavior value with actual vehicle behavior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under-steering or over-steering;
Determining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deficient steering value or the magnitude of the excessive steering value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for safe operation;
When the driver is determined to be in a safe state, the driver outputs a steering control signal to rotate at least one vertical vane provided in the diffuser of the vehicle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Outputting a steering control signal for rotating at least one vertical vane provided in the diffuser of the diffuser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And
And outputs a steering control signal and a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for rotating at least one vertical vane provided in the diffuser of the vehicle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automa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safe running setting value And outputting a steering control signal and a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for rotating at least one vertical vane provided in the diffuser of the vehicle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when the vehicle is oversteering;
Gt; a < / RTI > vehicl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안전 주행 설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부족 조향시, 조향 제어 신호 및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과대 조향시, 조향 제어 신호 및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부족 조향시, 상기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는, ESC(Electric Stability Control) 시스템의 안쪽 바퀴 브레이크 제어 신호 또는 엔진 브레이크 신호이고,
상기 과대 조향시, 상기 차량 브레이크 제어 신호는, ESC(Electric Stability Control) 시스템의 바깥쪽 바퀴 브레이크 제어 신호 또는 엔진 브레이크 신호인, 차량의 디퓨져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outputting the steering control signal and the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in the case of under-steer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steering control signal and the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in the over-steering, ,
In the understeering, the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is an inner wheel brake control signal or engine brake signal of an electric stability control (ESC) system,
Wherein in the oversteering, the vehicle brake control signal is an outer wheel brake control signal or an engine brake signal of an ESC (Electric Stability Control) system.

KR1020130141619A 2013-11-20 2013-11-20 Diffus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diffuser of vehicle KR101540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619A KR101540042B1 (en) 2013-11-20 2013-11-20 Diffus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diffuser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619A KR101540042B1 (en) 2013-11-20 2013-11-20 Diffus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diffuser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811A true KR20150057811A (en) 2015-05-28
KR101540042B1 KR101540042B1 (en) 2015-07-28

Family

ID=5339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619A KR101540042B1 (en) 2013-11-20 2013-11-20 Diffus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diffuser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04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2435A (en) * 2017-09-25 2019-04-02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Adjustable shunt system for motor vehicles
CN110466625A (en) * 2019-09-10 2019-11-19 延锋彼欧汽车外饰系统有限公司 A kind of parallel-moving type automobile active diffuser
US11891126B2 (en) 2021-08-24 2024-02-06 Honda Motor Co., Ltd. Active rear diffuser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0738B2 (en) * 2017-08-04 2021-09-29 有限会社ワタナベエレクトロニクス Electric car
KR102485350B1 (en) 2018-07-19 202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driver distraction state based on jerk, vehicl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31051B (en) * 2005-12-27 2010-05-1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Wheel fairing device for a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283869A (en) * 2006-04-14 2007-11-01 Toyota Motor Corp Aerodynamic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2008260406A (en) * 2007-04-12 2008-10-30 Toyota Motor Corp Aerodynamic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2009248746A (en) * 2008-04-07 2009-10-29 Toyota Motor Corp Aerodynam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2435A (en) * 2017-09-25 2019-04-02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Adjustable shunt system for motor vehicles
CN110466625A (en) * 2019-09-10 2019-11-19 延锋彼欧汽车外饰系统有限公司 A kind of parallel-moving type automobile active diffuser
US11891126B2 (en) 2021-08-24 2024-02-06 Honda Motor Co., Ltd. Active rear diffus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042B1 (en) 201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042B1 (en) Diffus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diffuser of vehicle
CN106184350B (en) A kind of four-wheel steering system and steering pattern control method of multi-mode
KR101507948B1 (en) Spoil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spoiler of vehicle
US9522697B2 (en) Control method for electro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CN103429457B (en) Electronlmobil
US20080086269A1 (en) Obstacle avoidance control apparatus
EP2868506A2 (en) Vehicle drive apparatus
WO2017028788A1 (en) Auxiliary steering system and auxiliary steer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JP6563113B2 (en) Power steering device
JP5936306B2 (en) Electric car
CN101531144A (en) Driving force control device
CN106553689B (en) For motor vehicle estimation rudder angle calculating apparatus
CN103879307A (en) Rear wheel independent driv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automobile
JP2007177915A (en) Right and left side drive force distribution device
JP2007177916A (en) Right and left side drive force distribution device
CN108945082A (en) A kind of automobile steering control system, automobile and control method
JP6600850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104417603B (en)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08698629B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teering wheel contact
KR101646385B1 (en) Electronic active rear wheel stee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346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s in in-wheel driving system of vehicle
JP4936851B2 (e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device
KR20140100324A (en) Steering system
JP5508842B2 (en) Vehicle speed control device
CN109895842A (en) Reduced control device and method are lagged for the steering response in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