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745A -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745A
KR20150057745A KR1020130141492A KR20130141492A KR20150057745A KR 20150057745 A KR20150057745 A KR 20150057745A KR 1020130141492 A KR1020130141492 A KR 1020130141492A KR 20130141492 A KR20130141492 A KR 20130141492A KR 20150057745 A KR20150057745 A KR 20150057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tag
plate
pedestal
fix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490B1 (ko
Inventor
박정원
유상우
김진겸
양일영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13014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4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orsional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05Repeated or cycl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1Torsio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태그를 반복적으로 비틀어 전자태그의 파손시점을 감지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 형상의 베이스판(100)과, 베이스판(100)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된 전자태그(1)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전자태그회전부재(200)와, 전자태그회전부재(200)에 연결되어 이동시키는 구동부재(300)와, 전자태그회전부재(200)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면서 전자태그(1)의 타단을 고정하는 전자태그고정부재(400), 및 구동부재(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Testing device for durability of RF ID tag}
본 발명은 전자태그를 반복적으로 비틀어 전자태그의 파손시점을 감지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더/라이터(reader/writer)로 대표되는 외부기기 사이에서 전파에 의해 비접촉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여러 종류의 전자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전자태그의 일종으로서, 플라스틱이나 종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 상에 전파 통신용 안테나 패턴과 IC 칩이 탑재된 구성이 제안되어 있고, 이러한 타입의 전자태그는 물품 등에 붙여져 그 물품에 관한 정보를 외부기기와 교환함으로써 물품의 식별 등을 행하는 이용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전자태그의 베이스 시트가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되지만, 종이인 경우에는 방수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의류 등과 같은 세탁물에 붙여 사용할 수 없었고, 플라스틱으로 된 경우에는 경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의류 등에 사용하기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사용처에 따라서 경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지만, 제작된 전자태그의 비틀림 등에 따른 마모성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태그를 반복적으로 비틀어 전자태그의 파손시점을 감지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는 판 형상의 베이스판(100)과, 베이스판(100)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된 전자태그(1)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전자태그회전부재(200)와, 전자태그회전부재(200)에 연결되어 이동시키는 구동부재(300)와, 전자태그회전부재(200)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면서 전자태그(1)의 타단을 고정하는 전자태그고정부재(400), 및 구동부재(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5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자태그회전부재(2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서 하부면이 베이스판(100)에 고정되는 받침대(210)와, 받침대(210)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면에 래크(221)가 형성된 직선운동부(220)와, 중앙에 직선운동부(220)의 래크(221)에 치결합되는 피니언(231)이 형성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연장된 회전축(230)과, 받침대(210)의 좌우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회전축(230)을 관통시키면서 지지하는 고정대(240)와, 회전축(230)의 끝단에 결합되어 회전축(230)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되며 전자태그(1)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 파지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자태그회전부재(200)는 회전축(230)에는 회전축(230)의 회전각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정대(240)에 결합되는 각도판(271) 및 상기 회전축(230)에 결합되어 회전축(230)이 회전될 시 상기 각도판(271)에 인쇄된 눈금을 표시하기 위한 바늘(272)로 이루어진 각도확인부(2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구동부재(300)는 직선운동부(220)에 체결되는 구동축(310)과, 구동축(310)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자태그고정부재(400)는 전자태그회전부재(200)와 동일한 길이로 제1 파지부(250)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받침판(410)과, 받침판(41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420)와,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좌우로 슬라이딩되며 전자태그(1)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제2 파지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재(500)는 구동부재(300)를 동작시키며 회전수를 조절하여 전자태그회전부재(200)의 제1 파지부(250)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부 관리부(510)와, 작동된 회전수 등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의하면, 전자태그가 상품으로 제작된 전자태그의 비틀림 한계를 측정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단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2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태그회전부재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는 판 형상의 베이스판(100)과, 베이스판(100)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된 전자태그(1)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전자태그회전부재(200)와, 전자태그회전부재(200)에 연결되어 이동시키는 구동부재(300)와, 전자태그회전부재(200)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면서 전자태그(1)의 타단을 고정하는 전자태그고정부재(400), 및 구동부재(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500)를 포함한다.
베이스판(100)은 판 형상으로 수평하게 설치되고, 제어부재(500)가 설치된다.
전자태그회전부재(2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서 하부면이 베이스판(100)에 고정되는 받침대(210)와, 받침대(210)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면에 래크(221)가 형성된 직선운동부(220)와, 중앙에 직선운동부(220)의 래크(221)에 치결합되는 피니언(231)이 형성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연장된 회전축(230)과, 받침대(210)의 좌우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회전축(230)을 관통시키면서 지지하는 고정대(240)와, 회전축(230)의 끝단에 결합되어 회전축(230)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되며 전자태그(1)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 파지부(250)를 포함한다.
이때, 받침대(210)는 일정간격으로 대칭되게 제1 받침대(211)와 제2 받침대(212)로 이루어지며 제1 받침대(211)와 제2 받침대(212)의 상부에는 슬라이딩홈(213)이 형성되고, 직선운동부(220)는 제1 받침대(211)와 제2 받침대(212)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슬라이딩홈(213)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딩돌기(2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직선운동부(220)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구동부재(300)의 구동축(310)이 나사결합으로 관통되는 구동홀(223)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파지부(250)는 회전축(230)의 끝단에 결합되어 회전축(230)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되며 전자태그(1)의 일단부를 고정한다. 제1 파지부(250)는 일단이 회전축(230)에 결합되고 타단의 상부면에 전자태그(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1 몸체(251)와 제1 몸체(251)부의 상부면에 전자태그(1)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1 덮개(252)와, 제1 몸체(251)와 제1 덮개(252)를 체결하는 제1 체결나사(25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태그회전부재(200)는 제1 받침대(211)와 제2 받침대(212)의 상부를 중심으로 직선운동부(220)가 전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면 직선운동부(220)에 치결합된 회전축(230)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230)에 체결된 제1 파지부(250)도 회전축(230)을 따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제1 파지부(250)에 고정된 전자태그(1)를 비틀게 된다.
그리고, 전자태그회전부재(200)는 회전축(230)에는 회전축(230)의 회전각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정대(240)에 결합되는 각도판(271) 및 상기 회전축(230)에 결합되어 회전축(230)이 회전될 시 상기 각도판(271)에 인쇄된 눈금을 표시하기 위한 바늘(272)로 이루어진 각도확인부(270)를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파지부(250)의 정 또는 역방향의 회전에 의해 비틀려지는 전자태그(1)가 비틀어지는 각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동부재(300)는 전자태그회전부재(200)의 직선운동부(2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직선운동부(220)의 구동홀(223)에 체결되는 구동축(310)과, 구동축(310)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부재(300)에 의하여 구동모터(320)를 작동시키면 구동축(310)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구동홀(223)을 통해 구동축(310)에 연결된 직선운동부(22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자태그고정부재(400)는 전자태그회전부재(200)와 동일한 길이로 제1 파지부(250)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받침판(410)과, 받침판(41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420)와,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좌우로 슬라이딩되며 전자태그(1)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제2 파지부(430)를 포함한다.
받침판(410)은 전방으로 좌우로 관통홀이 형성된 돌출부(411)를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 받침판(410)을 바닥에서 일정 높이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슬라이딩되는 간격유지부(412)가 형성된다. 받침판(410)의 상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제2 파지부(430)가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는 슬라이딩판(413)이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판(410)의 끝단에 위치하는 간격유지부(412)에는 받침판(410)에 밀착되어 움직이는 것을 차단하는 밀착판(414)과 밀착판(414)을 이동시키는 고정손잡이(415)가 형성된다.
좌우이동부(420)는 받침판(4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1 지지대(421)와 제2 지지대(422) 및 제1,2 지지대(421,422)에 받침판(410)의 돌출부(411)가 놓이면 관통홀을 삽입되면서 체결되어 받침판(41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조절나사(423)로 이루어진다.
제2 파지부(430)는 받침판(410)의 상부면에 좌우로 슬라이딩되며 전자태그(1)의 타단부를 고정한다. 이러한 제2 파지부(430)는 하부면이 받침판(410)의 슬라이딩판(413)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고 상부면에 전자태그(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2 몸체(431)와, 제2 몸체(431)의 상부에서 전자태그(1)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2 덮개(432)와, 제2 몸체(431)와 제2 덮개(432)를 체결하는 제2 체결나사(4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자태그고정부재(400)는 제2 몸체(431)의 후방에서 전자태그(1)가 항시 팽팽하게 펴지도록 하기 위해 제2 몸체(431)를 슬라이딩판(413)의 후방으로 무게추(440)가 결합되고, 받침판(410)의 외측면에는 무게추(440)에 연결된 연결선에 가해지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봉(441)이 형성된다. 이러한 무게추(440)에 의하여 제1,2 파지부(250,430)에 전자태그(1)가 장착되면 제2 파지부(430)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어 전자태그(1)를 항상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재(500)는 구동부재(300)를 동작시키며 회전수를 조절하여 전자태그회전부재(200)의 제1 파지부(250)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부 관리부(510)와, 작동된 회전수 등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2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실험대상인 전자태그(1)의 일단부는 전자태그회전부재(200)의 회전축(230)의 끝단에 결합된 제1 파지부(250)에 고정하고, 전자태그(1)의 타단부는 전자태그고정부재(400)의 제2 파지부(430)에 고정한다. 이때, 전자태그(1)는 제1,2 파지부(250,430)의 제1,2 몸체(251,431) 상부면에 전자태그의 단부들을 놓은 후에 제1,2 덮개(252,432)를 밀착시키고 제1,2 체결나사(253,433)로 결합시켜 고정하게 된다.
한편, 고정되는 전자태그(1)의 길이에 따라서 제1 파지부(250)와 제2 파지부(430)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전자태그고정부재(400)의 좌우이동부(420)의 조절나사(423)를 회전시켜 제2 파지부(430)가 결합된 받침판(41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파지부(430)와 제1 파지부(250)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때, 제2 파지부(430)를 이동시킨 후에는 고정손잡이를 회전시켜 받침판(4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제1 파지부(250)와 제2 파지부(430) 사이에 체결된 전자태그(1)를 팽팽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2 파지부(430)의 제2 몸체(431) 후방에 무게추(440)를 연결하면 무게추(440)의 무게에 의하여 제2 몸체(431)가 받침판(410)의 슬라이딩판(413)을 따라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몸체(431)가 슬라이딩판(41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파지부(250)가 회전되면서 제1 파지부(250)와 제2 파지부(430)의 간격이 짧아지면 제2 몸체(43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파지부(250)와 제2 파지부(430) 사이에 전자태그(1)가 놓인 상태에서 제어부재(500)로 구동부재(300)의 구동모터(320)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320)에 연결된 구동축(310)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축(310)에 연결된 전자태그회전부재(200)의 직선운동부(220)는 전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직선운동부(220)의 상부의 래크(221)에 회전되는 피니언(231)으로 체결된 회전축(230)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230)의 회전함에 따라 각도확인부(270)를 통해 각도를 확인하면 전자태그(1)의 비틀어진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230)의 결합된 제1 파지부(250)의 몸체도 회전축(230)을 따라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태를 비틀게 되면서 파손시점에 대한 내마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태그 100 : 베이스판
200 : 태그회전부재 210 : 받침대
220 : 직선운동부 230 : 회전축
240 : 고정대 250 : 제1 파지부
270 : 각도확인부 300 : 구동부재
310 : 구동축 320 : 구동모터
400 : 태그고정부재 410 : 받침판
420 : 좌우이동부 430 : 제2 파지부
440 : 무게추 500 : 제어부재
510 : 관리부 52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3)

  1. 판 형상의 베이스판(100)과, 베이스판(100)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된 전자태그(1)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전자태그회전부재(200)와,
    전자태그회전부재(200)에 연결되어 이동시키는 구동부재(300)와,
    전자태그회전부재(200)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면서 전자태그(1)의 타단을 고정하는 전자태그고정부재(400), 및
    구동부재(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태그회전부재(2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서 하부면이 베이스판(100)에 고정되는 받침대(210)와, 받침대(210)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면에 래크(221)가 형성된 직선운동부(220)와, 중앙에 직선운동부(220)의 래크(221)에 치결합되는 피니언(231)이 형성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연장된 회전축(230)과, 받침대(210)의 좌우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회전축(230)을 관통시키면서 지지하는 고정대(240)와, 회전축(230)의 끝단에 결합되어 회전축(230)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되며 전자태그(1)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 파지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받침대(210)는 일정간격으로 대칭되게 제1 받침대(211)와 제2 받침대(212)로 이루어지며 제1 받침대(211)와 제2 받침대(212)의 상부에는 슬라이딩홈(213)이 형성되고, 직선운동부(220)는 제1 받침대(211)와 제2 받침대(212)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슬라이딩홈(213)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딩돌기(2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파지부(250)는 일단이 회전축(230)에 결합되고 타단의 상부면에 전자태그(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1 몸체(251)와 제1 몸체(251)부의 상부면에 전자태그(1)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1 덮개(252)와, 제1 몸체(251)와 제1 덮개(252)를 체결하는 제1 체결나사(2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자태그회전부재(200)는 회전축(230)에는 회전축(230)의 회전각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정대(240)에 결합되는 각도판(271) 및 상기 회전축(230)에 결합되어 회전축(230)이 회전될 시 상기 각도판(271)에 인쇄된 눈금을 표시하기 위한 바늘(272)로 이루어진 각도확인부(2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직선운동부(220)의 하부면에는 구동홀(223)이 형성되고, 구동부재(300)는 직선운동부(220)의 구동홀(223)에 체결되는 구동축(310)과, 구동축(310)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자태그고정부재(400)는 전자태그회전부재(200)와 동일한 길이로 제1 파지부(250)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받침판(410)과, 받침판(41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420)와,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좌우로 슬라이딩되며 전자태그(1)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제2 파지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받침판(410)은 전방으로 좌우로 관통홀이 형성된 돌출부(411)를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 받침판(410)을 바닥에서 일정 높이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슬라이딩되는 간격유지부(412)가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제2 파지부(430)가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는 슬라이딩판(4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받침판(410)의 끝단에 위치하는 간격유지부(412)에는 받침판(410)에 밀착되어 움직이는 것을 차단하는 밀착판(414)과 밀착판(414)을 이동시키는 고정손잡이(4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좌우이동부(420)는 받침판(4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1 지지대(421)와 제2 지지대(422) 및 제1,2 지지대(421,422)에 받침판(410)의 돌출부(411)가 놓이면 관통홀을 삽입되면서 체결되어 받침판(41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조절나사(4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 파지부(430)는 받침판(410)의 상부면에 좌우로 슬라이딩되며 전자태그(1)의 타단부를 고정한다. 이러한 제2 파지부(430)는 하부면이 받침판(410)의 슬라이딩판(413)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고 상부면에 전자태그(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2 몸체(431)와, 제2 몸체(431)의 상부에서 전자태그(1)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2 덮개(432)와, 제2 몸체(431)와 제2 덮개(432)를 체결하는 제2 체결나사(4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전자태그고정부재(400)는 제2 몸체(431)의 후방에서 전자태그(1)가 항시 팽팽하게 펴지도록 하기 위해 제2 몸체(431)를 슬라이딩판(413)의 후방으로 무게추(440)가 결합되고, 받침판(410)의 외측면에는 무게추(440)에 연결된 연결선에 가해지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봉(4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부재(500)는 구동부재(300)를 동작시키며 회전수를 조절하여 전자태그회전부재(200)의 제1 파지부(250)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부 관리부(510)와, 작동된 회전수 등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20130141492A 2013-11-20 2013-11-20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1547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492A KR101547490B1 (ko) 2013-11-20 2013-11-20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492A KR101547490B1 (ko) 2013-11-20 2013-11-20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745A true KR20150057745A (ko) 2015-05-28
KR101547490B1 KR101547490B1 (ko) 2015-08-26

Family

ID=5339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492A KR101547490B1 (ko) 2013-11-20 2013-11-20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4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1079A (zh) * 2017-12-05 2018-03-23 国网内蒙古东部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子标签抗弯曲和抗扭曲性能测试装置
CN108827792A (zh) * 2018-06-28 2018-11-16 江苏轩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nb-iot的圆形智能电子标签强度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0176B2 (ja) * 1999-07-15 2009-03-1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多連ねじり疲労試験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1079A (zh) * 2017-12-05 2018-03-23 国网内蒙古东部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子标签抗弯曲和抗扭曲性能测试装置
CN108827792A (zh) * 2018-06-28 2018-11-16 江苏轩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nb-iot的圆形智能电子标签强度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490B1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3928B1 (en) Roundness measuring apparatus
JP5485676B2 (ja) 表面性状測定機
CN108593471A (zh) 柔性屏弯折测试装置
US20090260451A1 (en) Fatigue test apparatus for thin element of electronic device
KR101547490B1 (ko) 전자태그의 내구성 시험장치
JP2006065296A (ja) ガントリー装置{gantryapparatus}
CN106501974B (zh) 液晶显示面板检查装置的探头单元位置调整装置
JP2020501168A5 (ko)
CN102317799A (zh) 天线升降机及电磁波测量系统
CN102717589B (zh) 金属网板绷网机
CN101571565B (zh) 工件特性测定装置及工件特性测定方法
CN106370108B (zh) 一种fpc尺寸快速测量装置
CN107655774A (zh) 手机表面划痕测试装置
KR101395280B1 (ko) 마찰 마모 시험기
CN207398024U (zh) 一种用于继电器簧片的调整机构
CN105547671B (zh) 一种旋钮寿命测试设备
JP4896062B2 (ja) 非接触式変位センサ用冶具
KR20100057432A (ko) 악력 측정 장치
CN104914039A (zh) 一种汽车内饰件划痕测试装置
CN109556785A (zh) 动态力矩和/或力校准装置
US8746088B2 (en) Cycle life testing machine for pivotable articles
US8246419B2 (en) Rolling machine
KR100973976B1 (ko)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코팅 박막의 벤딩 시험 장치
KR2012012421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특성 측정을 위한 지그장치
KR101998510B1 (ko) 연삭부를 갖는 경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도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