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157A - Construc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157A
KR20150057157A KR1020130140133A KR20130140133A KR20150057157A KR 20150057157 A KR20150057157 A KR 20150057157A KR 1020130140133 A KR1020130140133 A KR 1020130140133A KR 20130140133 A KR20130140133 A KR 20130140133A KR 20150057157 A KR20150057157 A KR 20150057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arm
cylinder
mode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1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6329B1 (en
Inventor
최계현
임종형
이호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0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329B1/en
Priority to PCT/KR2013/011564 priority patent/WO2014123300A1/en
Priority to EP13874576.5A priority patent/EP2955279B1/en
Priority to CN201380072226.6A priority patent/CN104968863B/en
Priority to US14/764,220 priority patent/US9598839B2/en
Publication of KR2015005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1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3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25Drive system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om operating part having boom head side and rod side returning solenoid to control the rise and drop of the boom by controlling a boom, a boom cylinder and the expansion of the boom cylinder; an arm operating part to move the arm by controlling an arm, an arm cylinder and the expansion of the arm cylinder; and a control part to control the boom cylinder by creating a flow interworking signal to at least some of the boom head side and rod side returning solenoids when an arm lever is operated in a boom float mode. The work to require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both a boom and an arm can be done only by an arm lever operation of an operator, so a skilled work is unnecessary and fatigue due to a repeated work can be alleviated.

Description

건설장비{CONSTRUCTION EQUIPMENT}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장비에서 붐 실린더의 플로트 모드를 제어하도록 한 건설장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equipment for controlling a float mode of a boom cylinder in a construction equipment.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상부 선회체에 붐, 암, 버켓 등과 같은 프론트 작업장치를 구비하고, 해당 작업장치의 하나 이상을 하나 이상의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로 단독 또는 동시에 작동시켜, 굴삭 작업, 지면고르기, 자재 수집 작업, 상차 작업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복합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복합 작업이라 함은 붐, 암, 선회모터 중 2개 이상의 유압장치들을 동시에 작동시켜 이루어지는 작업들을 말한다.In general, an excavator is provided with a front working device such as a boom, an arm, a bucket, or the like in an upper revolving structure, and at least one of the working devices is operated by a pressure channel exclusively or simultaneously operated by one or more hydraulic pumps, , Material collection work, cargo work, and so on. Here, the complex operation refers to operations performed by simultaneously operating two or more hydraulic devices such as a boom, an arm, and a swing motor.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68668호는 굴삭기의 붐과 암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복합동작을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붐 밸브가 파이롯 밸브의 조작량에 따라 붐 속도를 자동으로 증감시킴으로써, 상차 작업이나 평탄 작업과 같이 암 작동 부하의 변동보다 붐 작동 부하의 변동이 큰 복합 작업의 경우에 붐에 많은 펌프 유량을 우선 제공하는 기술이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068668 discloses a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bined operation of simultaneously operating a boom and an arm of an excavator. The boom valve automatically adjusts the boom spe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mount of the pilot valve This is a technique that first provides a large amount of pump flow to the boom in the case of a combined operation in which the fluctuation of the boom working load is larger than the fluctuation of the arm working load such as the running work or the flat work.

이러한 선행기술은 굴삭기와 같은 건설장비의 주된 작업 중 하나인 지면 고르기 또는 자재 수집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붐과 암을 지면에 따라 동시에 정밀하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된 조종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These prior art techniques require precise maneuvering of the boom and arm at the same time along the ground when performing floor picking or material gathering operations, one of the main tasks of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Repetition of these tasks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fatigue of the worker increases.

따라서 작업자가 의도하는 경우에, 붐 실린더의 로드 또는 헤드 측의 유압 회로를 유압 탱크와 연결시켜 붐이 펌프 압력 대신 작업장치의 자중으로 하강하거나, 지면의 반발력에 의해 붐을 상승시키는 플로트 회로를 갖추어 작업을 용이하게 한 장비들이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operator intends, a float circuit is provided which connects the hydraulic circuit of the rod or the head side of the boom cylinder with the hydraulic tank so that the boom descends to the self weight of the working device instead of the pump pressure or raises the boom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ground Equipment that facilitates work is being developed.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버켓이 지면을 따라 움직이는 동작 후에 붐을 들어 버켓을 옮기는 복귀 동작이 필요하므로 여전히 붐과 암을 조작하여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even in such a case, there is still a disadvantage that it is still necessary to operate the boom and the arm in order to return the bucket after moving the bucket after moving it along the ground.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6866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6866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장비의 붐과 암을 동시에 조작해야 하는 작업(예를 들어, 지면 고르기 및 자재 수집 작업)을 암 조작만으로 용이하도록 한 건설장비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equipment that can easily operate a boom and an arm of a construction equipment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a ground selection and a material collection operation) by simply operating the a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장비의 굴삭력을 붐 레버의 간단한 조작으로 조정하는 건설장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equipment that adjusts excavating force of a construction equipment by a simple operation of a boom lever.

실시예들 중에서, 건설장비는 붐, 붐 실린더 및 상기 붐 실린더의 신축을 제어하여 상기 붐의 상승과 하강을 제어하는 붐 헤드측 및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들을 포함하는 붐 작동부; 암, 암 실린더 및 상기 암 실린더의 신축을 제어하여 상기 암을 움직이는 암 작동부; 및 붐 플로트 모드에서 암 레버가 조작되면 상기 붐 헤드측 및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들 중 적어도 일부에 유로연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붐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struction equipment includes a boom operation portion including a boom, a boom cylinder, and a boom head side and rod-side return solenoids for controll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om by controll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om cylinder; An arm operating section for controlling the arm and the arm cylinder and the arm and the cylinder to expand and contract to move the arm;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oom cylinder by generating a channel interlock signal on at least a part of the boom head side and the rod side return solenoids when the arm lever is operated in the boom float m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플로트 모드가 암 인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붐 헤드측 및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들에 상기 유로연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붐 실린더의 헤드측 및 로드측 유로들을 유압 탱크에 연동할 수 있다.When the boom float mode corresponds to a mode in which the boom float mode is the arm,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channel interlocking signal to the boom head side and the rod side return solenoids to interlock the head side and rod side flow paths of the boom cylinder with the hydraulic tank .

상기 붐은 상기 암 인 모드에서 버켓에 의한 지면 반발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붐 실린더의 수축을 통해 하강 할 수 있고, 상기 암 인 모드에서 상기 버켓에 의한 지면 반발력이 발생하면 상기 버켓이 해당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The boom can descend through the shrinkage of the boom cylinder if the ground reaction force by the bucket does not occur in the arm mode, and when the bucket causes the ground reaction force by the bucket in the arm mode, Lt; / RTI >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플로트 모드가 암 아웃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붐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에 상기 유로연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붐 실린더의 로드측 유로를 유압 탱크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the oil line interlocking signal to the boom rod return solenoid when the boom float mode corresponds to the arm out mode and interlock the rod side oil passage of the boom cylinder with the hydraulic tank.

상기 붐은 상기 암 아웃 모드에서 버켓에 의한 지면 반발력이 최종적으로 발생한 시점에서 해당 위치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승할 수 있다.The boom can maintain the position or rise at the time when the ground reaction force by the bucket finally occurs in the arm-out m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플로트 모드가 붐 다운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에 상기 유로연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붐 실린더의 헤드측 유로를 유압 탱크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boom float mode corresponds to the boom-down mode,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channel interlocking signal to the boom-head-side return solenoid and interlocks the head-side channel of the boom cylinder with the hydraulic tank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는 내부 또는 연결 통로에 오리피스를 연결하여 상기 붐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om-head-side return solenoid may connect the orifice to the inside or the connecting passage to reduce the falling speed of the boom.

일 실시예에서, 건설장비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붐 플로트 모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작업자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플로트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플로트 모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적용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struction equipment includes a worker input device for outputting a boom float mode selec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an operator, and the control unit applies one or more of the float modes according to the boom float mode selection signal And releasing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는, 암 레버의 작동 방향과 붐 플로트 회로의 작동 여부를 연동하여 건설장비의 지면을 따라 붐과 암을 동시에 조작해야 하는 작업(예를 들어, 지면 고르기 및 자재 수집 작업)을 작업자의 암 레버 조작만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숙련된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반복 작업 시 작업의 피로가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equipment that operates the boom and the arm simultaneously along the ground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by interlocking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arm lever and the operation of the boom float circuit (for example, Material collecting work)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of the worker, so that skilled labor is not required and the fatigue of the work in the repeated work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는, 붐 레버의 작동 정도와 붐 플로트 회로의 작동 여부를 연동하여 별도의 전환 스위치 없이 작업장치의 굴삭력을 조정함으로써, 작업이 끊어짐이 없어 정교한 작업과 부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the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degree of the boom lever is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boom float circuit so that the excavation force of the work device is adjusted without a separate changeover switch, It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the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붐 플로트 모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 레버 조작에 따라 결정되는 붐 플로트 모드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 제어부에서 결정되는 플로트 모드에 따른 굴삭기의 붐, 암 및 버켓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boom float mode control system of a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boom float mod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r operation in Fig. 1.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oom, the arm and the bucket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float mod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in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건설 장비(100)의 일종인 굴삭기는 땅을 파거나 깎을 때 사용되는 건설기계로서,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 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 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 작업 및 지면을 정리하는 지면 고르기 작업 등을 수행하며,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및 작업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Excavator, which is a type of construction equipment (100), is a construction machine used for digging and shoveling land. Excavation work for digging earth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construction site, loading work for transporting soil, And an upper revolving body and a working device mounted on the traveling body and rotating 360 degrees.

도 1을 참조하면, 건설장비(100)는 기본적으로 붐(Boom)(101), 암(Arm)(104) 및 버켓(Bucket)(107)을 통해 굴착 또는 물건 이동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붐(101)은 굴삭기의 본체와 암(104)을 연결하는 부분을 말하며, 암(104)은 붐(101)과 버켓(107)을 연결하는 부분을 말한다. 버켓(107)은 땅을 파거나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는 부분을 말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struction equipment 100 basically performs operations such as excavation or moving objects through a boom 101, an arm 104, and a bucket 107. The boom 101 refers to the portion connecting the main body of the excavator to the arm 104 and the arm 104 refers to the portion connecting the boom 101 to the bucket 107. [ The bucket 107 is a portion that can dig a ground or lift an object.

붐(101)은 붐 실린더(102) 및 붐 작동부(103)에 의해 동작한다. 붐(101)은 붐 실린더(102)의 신축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붐 실린더(102)는 붐 작동부(103)에 의해 신축될 수 있다. 붐 작동부(103)는 파일럿 압력 센서(110),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30)와 붐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붐 작동부(103)의 동작은 도 2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boom (101) is operated by the boom cylinder (102) and the boom operation part (103). The boom 101 can be mov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om cylinder 102 and the boom cylinder 102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boom operation portion 103. [ The boom operation portion 103 may include a pilot pressure sensor 110, a boom head side return solenoid 130, and a boom rod side return solenoid 140. The operation of the boom operation unit 10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암(104)은 암 실린더(105) 및 암 작동부(106)에 의해 동작한다. 암(104)은 암 실린더(105)의 신축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암 실린더(105)는 암 작동부(106)에 의해 신축될 수 있다.The arm 104 is operated by the arm cylinder 105 and the arm actuating part 106. The arm 104 can be mov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arm cylinder 105 and the arm cylinder 105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arm operation portion 106. [

버켓(107)은 암(104)에 연결되어, 굴착 또는 물건 이동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버켓(107)은 버켓 실린더(108)의 신축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버켓 실린더(107)는 버켓 작동부(109)에 의해 신축될 수 있다.The bucket 107 is connected to the arm 104 and performs operations such as excavation or moving objects. The bucket cylinder 107 can be mov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ucket cylinder 108 and the bucket cylinder 107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bucket operation portion 109. [

제어부(120)는 붐 작동부(103), 암 작동부(106) 및 버켓 작동부(109)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도 2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oom operation unit 103, the arm operation unit 106, and the bucket operation unit 109. The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굴삭기는 상부 선회체를 움직이는 메인 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메인 모터는 강한 유압을 이용하여 상부 선회체를 선회시켜 준다. 해당 선회 중에 생성되는 유압은 굴삭기의 펌프에서 형성되는 메인 압력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메인 압력은, 작업 장치를 지지하는 돌출봉 형태의 붐 실린더(102) 및 유압을 이용하여 굴삭기의 암(104)을 지지하는 암 실린더(105)와 연동될 수 있다.
The excavator may further include a main motor for moving the upper revolving body, wherein the main motor rotates the upper revolving body by using a strong hydraulic pressure.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during the turn is generated by the main pressure formed in the pump of the excavator. This main pressure can be interlocked with the boom cylinder 102 in the form of a protruding rod for supporting the working device and the arm cylinder 105 supporting the arm 104 of the excavator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도 2는 레버 조작에 따라 결정되는 붐 플로트 모드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oom float mode determined according to a lever operation. Fig.

도 2를 참조하면, 암 레버(201) 및 붐 레버(202)는 건설장비의 운전실에 구비된다. 해당 레버의 조작 방향에 따라 하나 이상의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며, 각 작업 장치 구동 밸브(암 구동 밸브 및 붐 구동 밸브)는 형성된 파일럿 압력에 따라 펌프에서 형성된 메인 압력의 작용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arm lever 201 and the boom lever 202 are provided in a cab of a construction equipment. One or more pilot pressures a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lever, and each of the work device drive valves (arm drive valve and boom drive valve) determines the action direction of the main pressure formed in the pump according to the pilot pressure formed.

파일럿 압력센서(110)는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는 유로에 설치되어 파일럿 압력 값을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 값에 대응하는 파일럿 압력 신호를 제어부(120)에 출력한다.The pilot pressure sensor 110 detects a pilot pressure value and outputs a pilot pressur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essure value to the control unit 120. [

제어부(120)는 파일럿 압력센서(110)로부터 수신 받은 파일럿 압력 신호에 따라 붐 플로트 모드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유로연동신호를 생성시켜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30) 또는 붐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40)에 출력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e boom float mode according to the pilot pressure signal received from the pilot pressure sensor 110 and generates a channel interlocking signal to thereby generate a boom head return solenoid 130 or a boom rod return solenoid 140 .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30)는 붐 실린더의 헤드측 유로를 굴삭기의 유압 탱크와 연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유로연동신호를 수신 받아, 봄 실린더(102)의 헤드 측 유로를 유압 탱크와 연동시켜 유로를 개방해 줌으로써, 메인 펌프에서 유입되는 유압에 상관 없이 붐 실린더(102)가 외력에 의해 수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The boom head side return solenoid 130 serves to interlock the head side flow path of the boom cylinder with the hydraulic tank of the excavator. The boom head side return solenoid 130 receives the flow path interlock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opens the flow path by interlocking the head side flow path of the spring cylinder 102 with the hydraulic pressure tank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The boom cylinder 102 can be contracted by an external force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boom cylinder.

붐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40)는 붐 실린더(102)의 로드측 유로를 굴삭기의 유압 탱크와 연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붐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40)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유로연동신호를 수신 받아, 봄 실린더(102)의 로드 측 유로를 유압 탱크와 연동시켜 유로를 개방해 줌으로써, 메인 펌프에서 유입되는 유압에 상관없이 붐 실린더가 외력에 의해 늘어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boom rod-side return solenoid 140 serves to interlock the rod-side flow path of the boom cylinder 102 with the hydraulic tank of the excavator. The boom-rod-side return solenoid 140 receives the passage interlock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opens the oil passage by interlocking the rod-side oil passage of the spring cylinder 102 with the hydraulic tank, The boom cylinder can be stretched by an external force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boom cylinder.

일 실시예에서, 붐 플로트 모드 중 하나인 암 인 모드는 파일럿 압력 값이 암 실린더(105)를 늘리는 암 인 방향일 때를 의미한다. 암 인 모드에서, 제어부(120)는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30)와 붐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40)에 유로연동신호를 출력하여 붐 헤드측 유로와 붐 로드측 유로가 유압 탱크와 연동되도록 한다. 암 인 모드에서, 버켓(107)은 별도의 붐 레버(202) 조작 없이 자중과 지면의 반발력이 일치하는 곳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In one embodiment, a mode that is one of the boom float modes means when the pilot pressure value is in the direction of the arm to extend the arm cylinder 105. [ In the arm mode, the control unit 120 outputs a channel interlock signal to the boom head side return solenoid 130 and the boom rod side return solenoid 140 so that the boom head side channel and the boom rod side channel interlock with the hydraulic tank . In the arm-in mode, the bucket 107 moves along a position where its own weight and the repulsive force of the ground coincide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separate boom lever 202.

붐(101)은 붐 플로트 모드가 암 인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버켓(107)에 의한 지면 반발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붐 실린더(102)의 수축을 통해 하강할 수 있다.When the boom 101 corresponds to the mode in which the boom float mode is dark, the boom 101 can descend through the contraction of the boom cylinder 102 unless the ground reaction force by the bucket 107 is generated.

또한, 붐(101)은 붐 플로트 모드가 암 인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버켓(107)에 의한 지면 반발력이 발생하면 버켓(107)이 해당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boom 101 corresponds to the mode in which the boom float mode is set to the arm, when the ground reaction force by the bucket 107 occurs, the bucket 107 can be adjusted to move along the ground.

일 실시예에서, 붐 플로트 모드 중 하나인 암 아웃 모드는 파일럿 압력 값이 암 실린더(105)를 수축하는 암 아웃 방향일 때를 의미한다. 암 아웃 모드에서, 제어부(120)는 붐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40)에 유로연동신호를 출력하여 붐 로드측 유로가 유압 탱크와 연동되도록 한다. 암 아웃 모드에서, 붐 실린더(102)는, 별도의 붐 레버(202) 조작 없이 버켓(107)이 지면의 반발력에 의해 밀려나는 힘으로 늘어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rm out mode, which is one of the boom float modes, means when the pilot pressure value is in the arm out direction in which the arm cylinder 105 is contracted. In the arm-out mode, the control unit 120 outputs a channel interlock signal to the boom-rod-side return solenoid 140 so that the boom-rod-side channel interlocks with the hydraulic tank. In the arm-out mode, the boom cylinder 102 can be stretched with the force that the bucket 107 is pushed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ground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separate boom lever 202.

붐(101)은 붐 플로트 모드가 암 아웃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버켓(107)에 의한 지면 반발력이 최종적으로 발생한 시점에서 해당 위치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승할 수 있다.When the boom float mode corresponds to the arm-out mode, the boom 101 can maintain or raise the position when the ground reaction force by the bucket 107 is finally generated.

작업자는 암 인 모드 또는 암 아웃 모드를 통해 암 인 및 아웃 방향으로 암 레버(201) 만 움직임으로써 붐 레버(202)의 조작 없이 고르기 및 자재 수집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도 3에서 하도록 한다.The worker can perform the picking and material collecting operations without operating the boom lever 202 by moving the arm lever 201 only in the arm-in and -out directions through the arm-in mode or the arm-out mod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in Fig.

일 실시예에서, 붐 플로팅 모드 중 하나인 붐 다운 모드는 파일럿 압력 값이 붐 실린더(102)를 수축하는 붐 다운 방향이고, 해당 파일럿 압력 값이 설정 범위 이내일 때를 의미한다. 붐 다운 모드에서, 제어부(120)는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30)에 유로연동신호를 출력하여 붐 레버(202)를 미세하게 조작할 때는 자중에 의해 붐 실린더(102)가 내려가게끔 하고, 붐 레버(202)를 끝까지 밀어 붐 구동 밸브에 파일럿 압력이 크게 형성될 때는 메인 펌프의 압력이 붐(101)의 로드 측으로 인가되도록 한다. 이것은 작업자가 정교한 작업을 하기 위해 적은 굴삭력이 필요할 때에는 레버를 미세하게 조작하고, 작업자가 작업장치의 큰 굴삭력이 필요할 때에는 레버의 위치를 끝으로 두는 조작을 하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boom-down mode, which is one of the boom-floating modes, means when the pilot pressure value is in the boom-down direction in which the boom cylinder 102 shrinks and the corresponding pilot pressure value is within the setting range. In the boom-down mode, the control unit 120 outputs a channel interlocking signal to the boom-head-side return solenoid 130 to cause the boom cylinder 102 to descend due to its own weight when the boom lever 202 is finely operated, The lever 202 is pushed to the en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main pump is applied to the rod side of the boom 101 when the pilot pressure is large on the boom drive valve. This reflects the fact that the operator finely manipulates the lever when less excavation force is needed to perform a sophisticated operation and places the lever at the end when the operator needs a large excavating force.

일 실시예에서, 건설장비(100)는 붐 구동 밸브(220)를 움직이는 파일럿 압력을 차단하는 붐 파일럿 압력 차단 솔레노이드(230)를 구비하고, 제어부(120)가 붐 레버(202)의 움직임에 따라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30)에 유로연동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붐 파일럿 압력 차단 솔레노이드(230)에 압력차단신호를 출력하여 붐 구동 밸브(220)의 구동을 방지할 수 있다. 붐 레버(202)를 조작하여 붐 구동 밸브(220)가 가동되면 붐이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메인 펌프의 유압으로 구동되어 압력이 크게 형성된다.The construction equipment 100 includes a boom pilot pressure cut-off solenoid 230 for blocking the pilot pressure for moving the boom drive valve 220 and the control unit 120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oom lever 202 The boom drive valve 2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riven by outputting a pressure shutoff signal to the boom pilot pressure cutoff solenoid 230 when generating the channel interlock signal to the boom head return solenoid 130. [ When the boom drive valve 220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boom lever 202, the boom is not lowered by its own weight but is driven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main pump, thereby forming a large pressure.

일 실시예에서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130)는 붐(101)이 지면방향으로 하강할 경우, 붐(101)의 하강속도를 감소하기 위해서, 붐(101)의 내부 또는 연결 통로에 오리피스를 더 연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om head return solenoid 130 has an orifice in the boom 101 or in the connecting passage to reduce the descending speed of the boom 101 when the boom 101 descends toward the ground You can connect.

일 실시예에서, 건설장비(100)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붐 플로트 모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또는 터치 감응 모니터와 같은 작업자 입력 장치(1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작업자 입력 장치(150)에서 출력되는 붐 플로트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붐 플로트 모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적용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struction equipment 100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or input device 150, such as a switch or a touch sensitive monitor, for outputting a boom float mode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or's operation, One or more of the boom float modes can be applied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boom float mode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worker input device 150. [

도 3은 붐 플로트 모드 중 암 레버에 조작에 의한 지면 고르기 및 자재 수집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Fig.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ground picking operation and a material collecting operation by manipulation of the arm lever during the boom float mode. Fig.

도 3을 참조하면, (a)~(c) 는 작업자가 암 레버(201)를 암 인 방향으로 조작하는 암 인 모드를 나타낸다. 암 인 모드에서, 붐(101)의 상승 및 하강은 지면의 모양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버켓(107)은 따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암(104)의 각도 조절에 의해 토사 또는 작업물(타원형으로 표시한 부분)을 굴삭기의 본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Referring to FIG. 3, (a) to (c) show a mode in which the operator operates the arm lever 201 in the arm-in direction. In the in-arm mode, the rise and fall of the boom 10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round. Further, the bucket 107 moves the soil or the workpiece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ellipse) toward the main body of the excavator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arm 104, without operating the bucket 107 separately.

암 인 모드에서, 암(104)이 붐 방향(즉, 암 인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암(104)과 지면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커지게 되므로, 지면의 반발력으로 붐(101)은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된다.In the arm-in mode, the arm 104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boom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arm), and the angle between the arm 104 and the ground becomes larger, so that the boom 101 naturally raises do.

(d)~(e) 는 작업자가 암 레버를 암 아웃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조작하는 암 아웃 모드를 나타낸다. 암 아웃 모드에서, 붐(101)은 (c) 상태에서 상승하거나, (c) 상태의 높이를 유지하는 것만 가능하다. 따라서, 버켓(107)을 따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버켓(107)이 새로운 토사 또는 작업물(점선 타원형 부분)의 윗부분에 부딪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d) to (e) show an arm-out mode in which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arm lever to be offset in the arm-out direction. In the arm-out mode, the boom 101 can only rise in the state (c) or maintain the height of the state (c). Therefore, even if the bucket 107 is not operated separately, the bucket 107 can move without hitting the top of the new soil or work (dotted oval portion).

작업자가 암 레버를 암 인 방향으로 조금만 치우치도록 미세하게 조작하는 경우, 다시 암 인 모드에 진입 하게 되며((e)에서(f)로 진입) 붐 헤드측 유로가 유압 탱크와 연동되면서 붐 실린더(102)가 수축하여 붐(101)은 자연스럽게 하강하지만, 암 실린더(105)의 길이는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암(104)은 붐(101)의 안쪽 방향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아 버켓(107)은 굴삭기에서 먼 위치에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worker finely manipulates the lever so as to slightly shift the arm lever in the direction of the arm-in, the operator enters the arm-in mode again ((e) to (f)) and the boom- The length of the arm cylinder 105 hardly changes so that the arm 104 hardly moves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oom 101 and the bucket 107 is displaced by the excavator As shown in FIG.

반면에, 작업자가 암 레버(201)를 암 인 방향으로 완전히 치우치도록 조작하는 경우, 붐 헤드측 유로가 완전히 열려 유압 탱크와 연동되면서, 붐 실린더(102)의 길이가 수축하여 붐(101)은 하강하고 동시에 암 실린더(105)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늘어나면서 암(104)은 붐(101)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버켓(107)은 굴삭기에서 가까운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arm lever 201 so as to completely deviate the arm lever 201 in the arm-in direction, the boom head side flow path is completely opened and interlocked with the hydraulic tank, the length of the boom cylinder 102 contracts, The arm 104 moves to the inside of the boom 101 and the bucket 107 can move to a position close to the excavator as the length of the arm cylinder 105 relatively increases rapidly.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암 레버(201)의 조작만으로 토사 또는 작업물을 모으거나 고를 수 있다.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soil or work can be collected or picked up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arm lever 201.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건설장비
101: 붐
102: 붐 실린더
103: 붐 작동부
104: 암
105: 암 실린더
106: 암 작동부
107: 버켓
108: 버켓 실린더
109: 버켓 작동부
110: 파일럿 압력센서
120: 제어부
130: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
140: 붐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
150: 작업자 입력 장치
100: Construction equipment
101: Boom
102: Boom cylinder
103: Boom operation part
104: Cancer
105: female cylinder
106:
107: Bucket
108: Bucket cylinder
109: bucket operating part
110: Pilot pressure sensor
120:
130: Boom head return solenoid
140: Boom rod return solenoid
150: operator input device

Claims (9)

붐, 붐 실린더 및 상기 붐 실린더의 신축을 제어하여 상기 붐의 상승과 하강을 제어하는 붐 헤드측 및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들을 포함하는 붐 작동부;
암, 암 실린더 및 상기 암 실린더의 신축을 제어하여 상기 암을 움직이는 암 작동부; 및
붐 플로트 모드에서 암 레버가 조작되면 상기 붐 헤드측 및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들 중 적어도 일부에 유로연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붐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
A boom operation portion including a boom, a boom cylinder, and a boom head side and a rod-side return solenoid for controll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om by controll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om cylinder;
An arm operating section for controlling the arm and the arm cylinder and the arm and the cylinder to expand and contract to move the arm;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oom cylinder by outputting a channel interlock signal to at least a part of the boom head side and the rod side return solenoids when the arm lever is operated in the boom float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플로트 모드가 암 인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붐 헤드측 및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들에 상기 유로연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붐 실린더의 헤드측 및 로드측 유로들을 유압 탱크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장비.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boom float mode corresponds to a mode in which the boom float mode is the arm, outputs the oil channel interlocking signal to the boom head side and the rod side return solenoids to interlock the head side and rod side oil channels of the boom cylinder with the hydraulic tank Construction equip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붐은
상기 암 인 모드에서 버켓에 의한 지면 반발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붐 실린더의 수축을 통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장비.
3. A boo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n the ground reaction force due to the bucket is not generated in the arm mode, the boom cylinder descends through contraction of the boom cylind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붐은
상기 암 인 모드에서 상기 버켓에 의한 지면 반발력이 발생하면 상기 버켓이 해당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장비.
4. The boo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when the ground rea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bucket in the arm mode, the bucket is adjusted to move along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플로트 모드가 암 아웃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붐 로드측 복귀 솔레노이드에 상기 유로연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붐 실린더의 로드측 유로를 유압 탱크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장비.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boom float mode corresponds to the arm-out mode, outputs the channel interlocking signal to the boom-rod-side return solenoid to interlock the rod-side channel of the boom cylinder with the hydraulic tan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붐은
상기 암 아웃 모드에서 버켓에 의한 지면 반발력이 최종적으로 발생한 시점에서 해당 위치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장비.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boom
Wherein the bucket restraining force is maintained or elevated at the time when the buckling force is finally generated in the arm out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플로트 모드가 붐 다운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에 상기 유로연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붐 실린더의 헤드측 유로를 유압 탱크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장비.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boom float mode generating means generates the oil line interlocking signal on the boom head side return solenoid and interlocks the head side oil passage of the boom cylinder with the hydraulic tank when the boom float mode corresponds to the boom down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 헤드측 복귀 솔레노이드는
내부 또는 연결 통로에 오리피스를 연결하여 상기 붐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장비.
The boom he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om head side return solenoid
Wherein an orifice is connected to the inside or the connecting passage to reduce the descending speed of the boom.
제 1항에 있어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붐 플로트 모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작업자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플로트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플로트 모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적용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orker input device for outputting a boom float mode selec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an operator,
Wherein the controller applies or releases one or more of the float modes according to the boom float mode selection signal.
KR1020130140133A 2013-02-05 2013-11-18 Construction equipment KR1019363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133A KR101936329B1 (en) 2013-11-18 2013-11-18 Construction equipment
PCT/KR2013/011564 WO2014123300A1 (en) 2013-02-05 2013-12-13 Construction equipment
EP13874576.5A EP2955279B1 (en) 2013-02-05 2013-12-13 Construction equipment
CN201380072226.6A CN104968863B (en) 2013-02-05 2013-12-13 Construction equipment
US14/764,220 US9598839B2 (en) 2013-02-05 2013-12-13 Construc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133A KR101936329B1 (en) 2013-11-18 2013-11-18 Construction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157A true KR20150057157A (en) 2015-05-28
KR101936329B1 KR101936329B1 (en) 2019-01-08

Family

ID=5339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133A KR101936329B1 (en) 2013-02-05 2013-11-18 Construction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329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2535B2 (en) 2002-06-14 2005-05-17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Hydraulic circuit for boom cylinder combination having float function
KR101112133B1 (en) 2009-06-16 2012-02-2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hydraulic system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float function
JP5481269B2 (en) * 2010-05-06 2014-04-23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Front control device of work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329B1 (en)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419B1 (en) Device for controlling limited-area excavation with construction machine
KR102028414B1 (en) Working machine
WO1995030059A1 (en) Aera limiting digging control device for a building machine
CN104053912A (en) Work implement control system
CN108603359A (en) Excavator
US9598839B2 (en) Construction equipment
CN105317071A (en) material processor
CN110352279A (en) Work machine
EP3305995A1 (en) Hydraulic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
US20140305012A1 (en) Single boom system having dual arm linkage
EP1375758A1 (en) Hydraulic control circuit of boom cylinder of working machine
US9051944B2 (en) Hydraulic system and control logic for collection and recovery of energy in a double actuator arrangement
US6915599B2 (en)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 work machine arm
US20220267984A1 (en) Deep foundation excavator
KR101936329B1 (en) Construction equipment
KR102517099B1 (en) work machine
KR101937786B1 (en) System of controlling boom float mode in the construction equipment
EP2955285B1 (en) A material handling machine
JP5320003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work machine
JP4367728B2 (en) Boom cylinder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2000355957A (en) Zone restrictive excavation controller for hydraulic shovel
JP2019052465A (en) Hydraulic shovel
JP7455285B2 (en) construction machinery
KR20150033934A (en) A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Boom Cylinder of Construction Equipment
KR20230105387A (en) Floating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