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755A -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755A
KR20150056755A KR1020150061703A KR20150061703A KR20150056755A KR 20150056755 A KR20150056755 A KR 20150056755A KR 1020150061703 A KR1020150061703 A KR 1020150061703A KR 20150061703 A KR20150061703 A KR 20150061703A KR 20150056755 A KR20150056755 A KR 2015005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cursor
product
information
merchand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환
김승현
고마음
송지성
공솔아
박수조
Original Assignee
김수환
박수조
송지성
고마음
공솔아
김승현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환, 박수조, 송지성, 고마음, 공솔아, 김승현,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김수환
Priority to KR102015006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6755A/ko
Publication of KR2015005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커서의 이동경로를 탐색하는 이동경로 인식단계와,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로 이동한 상품을 검색하는 이동상품 검색단계, 및 검색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는 상품정보 로딩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화면에서 이동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ADVERTISING METHOD USING SMART DISPLAY HAVING MOVING PATH DETECTING MODELE}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의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TV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IPTV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네트워크 TV 형태로서, 브로드밴드(Broadband) TV, 웹 TV 등의 개념이 제안되었다. 브로드밴드 TV 또는 웹 TV는 종래의 IPTV와는 달리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고,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VOD, 게임, 화상전화 서비스 등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방송 또는 다양한 컨텐츠를 시청함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되는 물건이나, 음식, 등을 원하는 경우에는 방송 중이나 방송이 종료된 후에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물건을 검색하고 찾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스마트폰 광고 응용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 광고를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과 방법으로 노출시킬 때 광고주가 선택한 전화 번호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클릭 시 선택한 번호로 연결되는 시스템(when smartphone advertising program expose advertise based on user selceted time and method on smartphone, the advertiser selected phone number is displayed, the user clicks the calling button and then it makes calling to the number)(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33304호)
2. 스마트폰 광고 노출 관리 방법 및 스마트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저장매체(Method for managing advertising exposure in smart phone and storage media for applications thereof)(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77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화면에서 이동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커서의 이동경로를 탐색하는 이동경로 인식단계와,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로 이동한 상품을 검색하는 이동상품 검색단계, 및 검색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는 상품정보 로딩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경로 인식단계는 커서의 이동속도와 위치변화를 측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경로 인식단계는 커서의 이동 속도를 기준으로 커서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기 직전의 위치인 제1 정지위치와 커서의 이동 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한 위치인 제2 정지위치 사이에서 커서가 이동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경로 인식단계는 인식된 커서의 이동경로의 길이와 폭을 기 설정된 범위로 확대하여 유사한 경로를 형성하는 유사경로 형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상품 검색단계는 상기 유사한 경로로 이동한 상품들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상품 검색단계는 커서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품들을 검색하여 상품들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상품 검색단계는 경로를 따라 이동한 인물이 착용하거나 소지한 상품들에 대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정보 로딩모듈은 화면에 정보제공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정보제공영역에 선택된 상품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 로딩단계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품의 가격과 상품의 명칭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상품의 수량을 선택하고 결제를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을 생성하고, 입력된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주문 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시청 도중에 화면에서 이동하는 상품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이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101)은 스마트 디스플레이(10), 리모컨(40), 스마트 모바일 기기(50), 방송통신망(60), 및 서버(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디스플레이(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영상 및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고 화면에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며, 스마트 TV를 포함한다. 스마트 디스플레이(10)는 별도의 셋톱박스(STB)를 구비한 셋톱박스(20)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방송통신망(60)을 통해 영상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셋톱박스(20)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셋톱박스(20) 없이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방송통신망(6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방송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기간망이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Internet)이 될 수도 있다.
서버(30)는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소로서 방송 통신망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서버에는 드라마, 오락 프로그램, 영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다.
리모컨(40)은 스마트 디스플레이(10)가 TV로 이루어진 경우 스마트 디스플레이(10)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도구이다. 리모컨(40)은 스마트 디스플레이(10) 및 셋톱박스(20)와 적외선 통신을 통신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다.
스마트 모바일 기기(5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으로 이루어지며 스마트 디스플레이(10)와 근거리 통신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다. 스마트 모바일 기기(50)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전자태그(RFID) RF 통신으로 스마트 디스플레이(10)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스마트 모바일 기기(50) 스마트 디스플레이(10)와 동기화되어 동일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 모바일 기기(50)를 터치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에도 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10)는 스마트 디스플레이(10)는 입력부(11), 출력부(12), 제어부(13), 통신부(17), 및 저장부(18)를 포함한다.
입력부(11)는 외부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며 명령은 리모컨(40), 모션, 스마트 모바일 기기(50)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입력부(11)는 리모컨 수신모듈(11a), 모션 인식모듈(11b), 근거리 통신모듈(11c)을 포함한다. 리모컨 수신모듈(11a)은 리모컨(40)과의 적외선 통신을 통해서 신호를 입력 받는데, 리모컨(40)에 설치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리모컨(40)이 회면에 커서를 생성하고, 리모컨의 조작에 따라 화면의 커서가 움직이는 경우에는 커서의 이동에 따라 화면에 나타난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모션 인식모듈(11b)은 카메라와 모션센서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입력 신호로 받아들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면에 표시된 물체를 가리키거나, 손가락으로 물체를 잡는 모션을 취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경우, 모션 센서가 이를 인지하여 입력 신호로 받아들인다.
근거리 통신모듈(11c)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50)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 디스플레이(10)에 구현된 화면을 스마트 모바일 기기(50)로 전송하거나, 스마트 모바일 기기(50)의 터치 패널에 입력된 신호를 받아 들인다.
출력부(12)는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화상으로 나타낸다. 또한 출력부(12)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동영상을 화상으로 나타내거나 문자 또는 아이콘을 화면에 나타낸다.
제어부(13)는 입력부(11)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화면을 제어하며 출력부(12)를 통해서 영상 및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13)는 이동경로 인식모듈(13a), 이동상품 검색모듈(13b), 상품정보 로딩모듈(13c), 주문 처리모듈(13d)을 포함한다.
이동경로 인식모듈(13a)은 화면에 나타난 커서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커서의 이동경로를 특정한다. 커서는 리모컨 또는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동될 수 있다. 이동경로 인식모듈(13a)은 커서의 이동속도와 위치변화를 파악하여 저장한다. 커서는 움직이는 상품의 위치를 추적하여 움직일 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상품의 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움직인다. 이에 위치와 속도를 인식하여 이동경로를 특정한다.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품을 지정할 때, 커서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 위치에서 속도가 갑자기 증가하고 다시 속도가 감소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동경로 인식모듈(13a)은 커서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되 커서의 속도가 증가하기 직전의 위치를 제1 정치위치로 설정하고, 커서의 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한 위치를 제2 정지위치로 설정한다. 커서가 상품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오차 범위 내에서 유사한 속도로 이동한다. 이에 이동경로 인식모듈(13a)은 커서가 이동하는 속도의 범위를 설정하고,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위치를 제1 정지위치로 지정하고, 기 설정범위를 벗어난 직후의 위치를 제2 정지위치로 설정한다. 따라서 제1 정지위치와 제2 정지위치는 커서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속도로 움직이는 범위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경로 인식모듈(13a)은 제1 정지위치와 제2 정지위치 사이에서 커서가 이동한 경로를 탐색하여 상품의 검색을 위한 커서의 이동경로로 지정한다.
이동경로 인식모듈(13a)은 커서의 이동경로가 인식되면, 이동경로의 폭과 길이를 기 설정된 범위로 확대하여 유사한 경로를 형성한다. 사용자가 커서를 상품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킨다고 하더라도 정확하게 경로를 일치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이동경로 인식모듈(13a)은 커서의 이동경로를 인식한 후, 커서의 이동경로를 확대하여 범위를 형성한다.
이동상품 검색모듈(13b)은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로 이동한 상품을 검색하고 상품들의 목록을 생성한다.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를 갖는 복수개의 상품이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촬영 카메라가 이동함으로써 상품이 화면에서 이동할 때에는 복수 개의 상품이 동일한 경로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사한 경로가 유사한 상품들을 모두 검색하고 이들의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동상품 검색모듈(13b)은 커서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품들을 검색하여 상품들의 목록을 생성한다.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의 물건을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품을 모두 검색하여 목록을 생성한다. 또한,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의 물건을 검색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품들을 모두 검색하여 유사한 경로의 상품목록 아래에 표시한다.
또한,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품들의 목록을 형성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 이외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광고로서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동상품 검색모듈(13b)은 경로를 따라 이동한 인물이 착용하거나 소지한 상품들을 검색하고, 이들에 대한 목록을 형성할 수 있다. 화면에서 상품이 단독으로 이동할 수도 있으나, 등장 인물이 상품을 착용하거나 가지고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인물이 상품을 착용하거나 가지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인물이 착용하거나 소지한 상품들이 모두 동일한 경로로 이동한다. 이에 이동상품 검색모듈(13b)은 커서가 이동하는 경로와 유사한 경로로 이동하는 인물을 선택하고 인물이 착용한 의복, 신발뿐만 아니라 인물이 소지한 가방, 우산 등의 물건을 검색하고 이의 목록을 생성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정보 로딩모듈(13c)은 화면의 가장자리에 정보제공영역을 형성하고, 정보제공영역에 검색된 상품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품정보 로딩모듈(13c)은 검색된 상품의 가격과 상품의 명칭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정보 로딩모듈(13c)은 상품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품의 가격과, 명칭 및 상표를 포함하는 상품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품의 이미지와 상품을 인식할 수 있는 코드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으며, 컨텐츠에 포함되어 스마트 디스플레이로 전송된다. 상품정보 로딩모듈(13c)은 검색된 상품의 목록에 따라 상품의 코드에 맞는 상품 이미지를 로딩하고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상품에 대한 가격, 명칭, 상표 등의 상세정보는 컨텐츠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방송통신망을 통해서 외부의 서버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
주문 처리모듈(13d)은 상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상품의 수량을 선택하고 결제를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을 생성한다.
주문 처리모듈(13d)은 사용자가 상품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품의 상품의 재고수량과 상세 이미지, 재질, 크기, 색상 등을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표시한다. 주문 처리모듈(13d)은 수량 선택과 결제를 위한 입력창을 생성하고 사용자는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수량 및 결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결제 정보는 신용카드 정보, 무선기기를 통해서 전송된 인증번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7)는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는 주문 및 결제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한다.
저장부(18)는 검색된 상품의 목록과 상품의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각각의 경로에 대한 폴더를 형성하고, 폴더에 상품목록과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화면에서 원하는 상품이 이동할 경우, 움직이는 상품을 직접 클릭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로 이동하는 상품들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목록을 제공하므로 움직이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광고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커서의 이동경로를 탐색하는 이동경로 인식단계(S101)와,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로 이동한 상품을 검색하는 이동상품 검색단계(S102), 및 검색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는 상품정보 로딩단계(S103)를 포함한다.
이동경로 인식단계(S101)는 화면에 나타난 커서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커서의 이동경로를 특정한다. 커서는 리모컨 또는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동될 수 있다. 이동경로 인식단계(S101)는 커서의 이동속도와 위치변화를 파악하여 저장한다. 커서는 움직이는 상품의 위치를 추적하여 움직일 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상품의 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움직인다. 이에 위치와 속도를 인식하여 이동경로를 특정한다.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품을 지정할 때, 커서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 위치에서 속도가 갑자기 증가하고 다시 속도가 감소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동경로 인식단계(S101)는 커서의 속도가 증가하기 전의 위치를 제1 정치위치로 설정하고, 커서의 속도가 감소한 위치를 제2 정지위치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동경로 인식단계(S101)는 제1 정지위치와 제2 정지위치 사이에서 커서가 이동한 경로를 탐색하여 상품의 검색을 위한 커서의 이동경로로 지정한다.
이동경로 인식단계(S101)는 커서의 이동경로가 인식되면, 이동경로의 폭과 길이를 기 설정된 범위로 확대하여 유사한 경로를 형성하는 유사경로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커서를 상품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킨다고 하더라도 정확하게 경로를 일치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이동경로 인식모듈(13a)은 커서의 이동경로를 인식한 후, 커서의 이동경로를 확대하여 범위를 갖는 유사한 경로를 형성한다.
이동상품 검색단계(S102)는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로 이동한 상품을 검색하고 상품들의 목록을 생성한다.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를 갖는 복수개의 상품이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가 이동함으로써 상품이 화면에서 이동할 때에는 복수 개의 상품이 동일한 경로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사한 경로가 유사한 상품들을 모두 검색하고 이들의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동상품 검색단계(S102)는 커서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품들을 검색하여 상품들의 목록을 생성한다.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의 물건을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품을 모두 검색하여 목록을 생성한다. 또한,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의 물건을 검색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품들을 모두 검색하여 유사한 경로의 상품목록 아래에 표시한다.
또한,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품들의 목록을 형성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 이외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광고로서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동상품 검색단계(S102)는 경로를 따라 이동한 인물이 착용하거나 소지한 상품들을 검색하고, 이들에 대한 목록을 형성할 수 있다. 화면에서 상품이 단독으로 이동할 수도 있으나, 등장 인물이 상품을 착용하거나 가지고 이동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물이 착용하거나 소지한 상품들이 모두 동일한 경로로 이동한다. 이에 이동상품 검색모듈(13b)은 커서가 이동하는 경로와 유사한 경로로 이동하는 인물을 선택하고 인물이 착용한 의복, 신발뿐만 아니라 인물이 소지한 가방, 우산 등의 물건을 검색하고 이의 목록을 생성한다.
상품정보 로딩단계(S10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가장자리에 정보제공영역을 형성하고, 정보제공영역에 검색된 상품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품정보 로딩단계(S103)는 검색된 상품의 명칭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정보 로딩단계(S103)는 상품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품의 가격과, 명칭 및 상표를 포함하는 상품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품의 이미지와 상품을 인식할 수 있는 코드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으며, 컨텐츠에 포함되어 스마트 디스플레이로 전송된다. 상품정보 로딩단계(S103)은 검색된 상품의 목록에 따라 상품의 코드에 맞는 상품 이미지를 로딩하고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상품에 대한 가격, 명칭, 상표 등의 상세정보는 컨텐츠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방송통신망을 통해서 외부의 서버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
주문 처리단계(S104)는 상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상품의 수량을 선택하고 결제를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을 생성하고 입력된 주문정보를 전송한다.
주문 처리단계(S104)는 사용자가 상품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품의 상품의 재고수량과 상세 이미지, 재질, 사이즈 등을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표시한다. 주문 처리단계(S104)는 수량 선택과 결제를 위한 입력창을 생성하고 사용자는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수량 및 결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주문 처리단계(S104)는 사용자가 결제 정보는 모두 입력하고 주문을 완료하면 주문된 상세 내역을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전송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스마트 디스플레이 11: 입력부
11a: 리모컨 수신모듈 11b: 모션 인식모듈
11c: 근거리 통신모듈 12: 출력부
13: 제어부 13a: 이동경로 인식모듈
13b: 이동상품 검색모듈 13c: 상품정보 로딩모듈
13d: 주문 처리모듈 17: 통신부
18: 저장부 20: 셋톱박스
30: 서버 40: 리모컨
50: 마트 모바일 기기 60: 방송통신망

Claims (10)

  1. 커서의 이동경로를 탐색하는 이동경로 인식단계;
    커서의 이동경로와 유사한 경로로 이동한 상품을 검색하는 이동상품 검색단계; 및 검색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는 상품정보 로딩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한 상품은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 인식단계는 커서의 이동속도와 위치변화를 파악하여 저장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 인식단계는 제1 정지위치와 제2 정지위치 사이에서 커서가 이동한 경로를 탐색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 인식단계는 인식된 커서의 이동경로의 길이와 폭을 기 설정된 범위로 확대하여 유사한 경로를 형성하는 유사경로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품 검색단계는 상기 유사한 경로로 이동한 상품들의 목록을 생성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품 검색단계는 커서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품들을 검색하여 상품들의 목록을 생성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품 검색단계는 경로를 따라 이동한 인물이 착용하거나 소지한 상품들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로딩모듈은 화면에 정보제공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정보제공영역에 선택된 상품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로딩단계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품의 가격과 상품의 명칭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품의 수량을 선택하고 결제를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을 생성하고, 입력된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주문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20150061703A 2015-04-30 2015-04-30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50056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703A KR20150056755A (ko) 2015-04-30 2015-04-30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703A KR20150056755A (ko) 2015-04-30 2015-04-30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589A Division KR20150044516A (ko) 2013-10-16 2013-10-16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755A true KR20150056755A (ko) 2015-05-27

Family

ID=5339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703A KR20150056755A (ko) 2015-04-30 2015-04-30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67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267B1 (ko) 화면 분할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66231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06657B1 (ko) 탐색바 로딩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453824B1 (ko) 탐색바 로딩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150056755A (ko)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519035B1 (ko)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150044516A (ko)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50044513A (ko) 이동경로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150120899A (ko) 화면 분할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566227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50044507A (ko) 인물상품 검색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19027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611991B1 (ko) 후광영역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664093B1 (ko) 후광영역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519041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50044520A (ko) 배경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150068347A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66222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519022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66235B1 (ko) 상품 이미지 추출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150044508A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534186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612026B1 (ko) 분할영역 변경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66219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50090314A (ko) 분할영역 변경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