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440A -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440A
KR20150056440A KR1020140041911A KR20140041911A KR20150056440A KR 20150056440 A KR20150056440 A KR 20150056440A KR 1020140041911 A KR1020140041911 A KR 1020140041911A KR 20140041911 A KR20140041911 A KR 20140041911A KR 20150056440 A KR20150056440 A KR 20150056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smart
electronic money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194B1 (ko
Inventor
김종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비스
Publication of KR2015005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06Q20/3415Cards acting autonomously as pay-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레거시 결제경로(마그네틱스트립, 접촉식 IC 칩)와 근거리 무선통신 결제경로(NFC)를 둘다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활용하여 레거시 결제경로를 활용한 카드결제 처리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 결제경로를 활용한 스마트 결제시스템을 연계 운용하는 방식의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 단말이 직관적으로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에 탑재된 보안모듈의 스크램블 및 디스크램블 기능을 스마트 단말이 활용함으로써 스마트 단말이 외부의 금융회사 서버와 주고받는 정보에 대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와 동등한 수준의 보안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어 스마트 단말에 공인인증서를 설치할 필요없이 온라인 결제, 잔액조회, 결제내역 조회 등과 같은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of providing linkage-type on-line card-related services using hybrid smart-car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인 레거시 결제경로(마그네틱스트립, 접촉식 IC 칩)와 근거리 무선통신 결제경로(NFC)를 둘다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활용하여 레거시 결제경로를 활용한 카드결제 처리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 결제경로를 활용한 스마트 결제시스템을 연계 운용하는 방식의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신용카드, 기프트 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 등의 결제 카드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카드의 장측에 마그네틱스트립(magnetic strip, MS)을 배치한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MS 방식의 결제 카드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현재 이를 통해 금전 결제를 달성하기 위한 인프라(가맹점 단말기, VAN 네트워크 등)도 전국 방방곡곡에 구축되어 있다.
마그네틱스트립 방식은 쉽게 훼손되고 무엇보다 불법 카드복제가 용이하기 때문에 접촉식 IC 칩을 채용한 스마트카드가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스마트카드 방식의 결제 카드는 플라스틱 카드에 IC 칩을 실장한 것으로 가맹점 단말기에 스마트카드를 끼우면 IC 칩의 커넥터에 가맹점 단말기의 포트가 접촉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결제가 이루어진다. 가맹점 단말기를 교체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 아직까지는 부진하지만, 보안이 강력하므로 신용카드를 중심으로 향후로는 널리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교통카드와 전자화폐 분야를 중심으로 결제 카드에 근거리 무선통신도 활용되고 있다. 버스 승강장, 지하철 출입구,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마련되어 있는 무선결제 단말기에 지갑을 갖다대는 것만으로 현금을 지급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이러한 결제 카드를 사용함에 따른 상태 확인은 각자 결제 카드 종류별로 마련되어 있는 방식을 활용해야 한다. 신용카드와 직불카드는 문자메세지로 개별적인 결제 항목을 확인하고 매월 제공되는 카드 명세서를 통해 한달 동안의 사용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컴퓨터로 카드사의 사이트를 접속하거나 스마트폰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아 설치하는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인인증서가 해킹되면 대형 금융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에서는 사용이 꺼려진다.
선불카드와 기프트 카드는 결제 영수증으로부터 현재 잔액이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교통카드와 전자화폐에서는 카드 사용시에 무선결제 단말기 화면에 결제 이후의 잔액이 표시된다. 선불카드, 기프트 카드, 교통카드, 전자화폐 등에서는 이렇게 그때그때 표시되는 잔액을 사용자가 기억하면서 다음에 사용할 때 참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처럼 각자 분야별로 현재 다양한 결제 방식이 혼재되어 있는데 결제 카드의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이들 결제방식이 거의 통합되어 있다. 즉, 현재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신용카드에는 마그네틱스트립, IC 칩,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모두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측면에서는 이들 결제방식이 따로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근거리 무선통신 결제 경로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아쉬움이 있다.
그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결제 경로를 일반적인 레거시 결제경로(마그네틱스트립, 접촉식 IC 칩)와 연계하여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사용자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하나인 NFC 기술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결제 카드와 스마트폰을 적극적으로 연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킹 우려로 인해 스마트폰에 공인인증서를 설치하는 것은 사용자들이 꺼린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02773호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기반 네트워크 카드 운영 방법"
2.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98455호 "스마트카드 인증 시스템, 서명정보를 저장한 스마트카드, 스마트카드 인증을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 스마트카드 인증을 위한 서버장치 및 스마트카드 인증 방법"
3.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64637호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복합적인 신용카드 단말기 및 그 시스템"
4.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078285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및 시스템"
5.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74720호 "모바일 아이디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서비스 제공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레거시 결제경로(마그네틱스트립, 접촉식 IC 칩)와 근거리 무선통신 결제경로(NFC)를 둘다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활용하여 레거시 결제경로를 활용한 카드결제 처리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 결제경로를 활용한 스마트 결제시스템을 연계 운용하는 방식의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거시 인터페이스와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레거시 인터페이스를 통한 카드결제 처리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스마트 결제시스템을 연동시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의 레거시 인터페이스를 통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이 결제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가 자신의 카드정보를 스크램블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제시하며 연계관리 서버에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카드결제 처리시스템 상의 금융정보를 조회 요청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의 카드발행사 서버에 대해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카드결제 처리시스템 상의 금융정보를 조회 요청하는 단계; 카드발행사 서버가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카드결제 처리시스템 상의 금융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연체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조회 요청된 금융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연계관리 서버로부터 금융정보를 수신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에 금융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가 금융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디스크램블된 금융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마트 단말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한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제시하며 연계관리 서버에 스마트 결제시스템 상의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카드발행사 서버에 대해 카드정보와 전자화폐 충전요청에 대응하는 비용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카드발행사 서버가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카드정보에 대해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에 따라 그 요청된 비용결제를 승인하여 연계관리 서버로 통지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제시하며 스마트 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에 카드정보에 대응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가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카드정보에 대해 전자화폐 충전을 승인하는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연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가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내부의 전자화폐 관리모듈에 대해 전자화폐 충전정보에 따른 금액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마트 단말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한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제시하며 연계관리 서버에 스마트 결제시스템 상의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카드발행사 서버에 대해 카드정보와 전자화폐 충전요청에 대응하는 비용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카드발행사 서버가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카드정보에 대해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에 따라 그 요청된 비용결제를 승인하여 연계관리 서버로 통지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스마트 단말의 식별정보를 제시하며 스마트 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로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가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전자지갑 모듈에 대해 전자화폐 충전을 승인하는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연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의 전자지갑 관리모듈이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전자화폐 충전정보에 따른 금액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마트 단말이 온라인 결제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스크램블된 카드정보 및 온라인 결제 프로세스를 위한 판매결제 서버의 정보를 제시하면서 연계관리 서버에 온라인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카드발행사 서버로 온라인 결제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카드발행사 서버가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판매결제 서버와 통신하여 카드정보에 대해 온라인 결제를 처리한 후, 그에 따른 결제승인 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연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결제승인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승인 정보를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가 결제승인 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디스크램블된 결제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은,상기 스마트 단말이 온라인 결제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스크램블된 카드정보 및 온라인 결제 프로세스를 위한 판매결제 서버의 정보를 제시하면서 연계관리 서버에 온라인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스마트 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로 온라인 결제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가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판매결제 서버와 통신하여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로 온라인 결제를 처리한 후, 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연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연계관리 서버가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가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전자화폐 차감정보에 따라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거시 인터페이스는 마그네틱스트립과 접촉식 IC 칩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NFC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카드결제 처리시스템 상의 금융정보는 기프트 카드 및 선불카드의 잔액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나타낸다.
(1) 스마트 단말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직관적으로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2)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에 탑재된 보안모듈의 스크램블 및 디스크램블 기능을 스마트 단말이 활용함으로써 스마트 단말이 외부의 금융회사 서버와 주고받는 정보에 대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와 동등한 수준의 보안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어 스마트 단말에 공인인증서를 설치할 필요없이 온라인 결제, 잔액조회, 결제내역 조회 등과 같은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3) 스마트카드의 레거시 결제경로(마그네틱스트립, 접촉식 IC 칩)를 통해 수행한 결제 결과(결제내역, 잔액 등)를 근거리 무선통신 결제경로(NFC)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 단말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카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과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의 외형을 도시한 예시도.
[도 2]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과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카드결제 처리시스템과 스마트 결제시스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의 금융정보를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에 전자화폐를 충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이 내부 전자지갑 모듈에 전자화폐를 충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200)과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의 외형과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와 스마트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스마트 단말(200)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예컨대 NFC 모듈이 탑재된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와 스마트 단말(200) 간에 이루어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단지 설명의 편이상 NFC라고 가정한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마그네틱스트립(101), IC 칩(102), 인쇄회로 RF 안테나(103)를 구비한다. 여기서, IC 칩(102)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보안모듈을 실장하고 스마트 단말(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쇄회로 RF 안테나(103)는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스마트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전원을 IC 칩(102)에 인가한다. IC 칩(102)에 구비된 보안모듈은 스마트 단말(200)로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의 카드정보를 스크램블하거나 스마트 단말(200)이 제공한 스크램블된 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스마트 단말(200)로 리턴한다.
본 발명에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와 스마트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200)의 후면에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를 포개어 놓은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2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을 달성한다. 다른 한편, 마그네틱스트립(101)은 스마트 단말(200)과는 별도로 일반적인(레거시)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을 통해 결제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기능 모듈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200)은 단말제어 모듈(21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00), NFC 인터페이스(2300), 전자지갑 모듈(2400)을 구비한다. 또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카드제어 모듈(1100), 레거시 인터페이스(1200), NFC 인터페이스(1300), 전자화폐 관리모듈(1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단말제어 모듈(2100)과 카드제어 모듈(11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서 각각 스마트 단말(200)과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00)는 스마트 단말(200)을 외부 인터넷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로서 예컨대 이동통신망, 와이브로, 무선랜, 유선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200)이 스마트폰(아이폰, 안드로이드폰)의 형태로 구현된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00)는 이동통신망과 무선랜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NFC 인터페이스(2300, 1300)를 통해 스마트 단말(200)과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레거시 인터페이스(1200)는 기존의 일반적인 결제경로(예: 마그네틱스트립, 접촉식 IC 칩)를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의 결제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기술적 수단을 나타낸다. 마그네틱스트립과 접촉식 IC 칩의 전부 또는 이중에서 어느 하나를 구비한 경우를 포함한다.
전자지갑 모듈(2400)과 전자화폐 관리모듈(1400)는 각각 스마트 단말(200)과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전자화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지갑 모듈(2400)은 일반적으로는 스마트 단말(200)에 어플리케이션(APP)의 형태로 구현된다. 전자화폐 관리모듈(1400)은 IC 칩(102)에 내장된 보안모듈을 활용하여 펌웨어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구현된 전자화폐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나, 스마트 단말(200)에 구현된 전자지갑 기능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카드결제 처리시스템과 스마트 결제시스템의 예시도이다.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구비된 레거시 인터페이스(1200), 가맹점 단말기(110), VAN(Value-Added Network) 서버(120), 카드발행사 서버(130)로 동작한다. 스마트 결제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구비된 NFC 인터페이스(1300), 스마트 단말(200), 연계관리 서버(210),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로 동작한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대한 사용자 조작으로 카드결제 처리시스템과 스마트 결제시스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결제가 수행되는데, 그 처리결과는 서로 연동된다.
먼저,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대한 사용자 조작으로 가맹점 단말기(110)와 마그네틱스트립(101) 또는 접촉식 IC 칩을 통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VAN 서버(120)는 가맹점 단말기(110)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카드발행사 서버(130)에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카드발행사 서버(130)가 결제를 승인하면 VAN 서버(120)는 결제승인 정보를 획득하여 가맹점 단말기(110)에 전송한다. 이어서, 가맹점 단말기(110)는 해당 결제승인 정보에 따라 카드결제 영수증을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누적 사용금액이나 누적 결제기록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가 없고 문자메세지 등을 통해 그때그때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기프트 카드, 선불카드, 전자화폐의 경우에 사용 잔액은 영수증이나 가맹점 단말기(110)의 화면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다른 예로, 스마트 결제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200)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로부터 전달받은 카드정보를 가지고 연계관리 서버(210)와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스한다.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구현된 전자화폐에 대한 충전 또는 결제를 수행한다.
또한, 판매결제 서버(310)는 외부의 인터넷 쇼핑몰이나 홈쇼핑에서 운용하는 결제 서버이다. 사용자가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의 스마트 결제시스템을 사용하여 인터넷 쇼핑몰이나 홈쇼핑 상의 물품 구매를 수행할 때 결제 트랜젝션의 상대방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의 레거시 결제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진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에 따른 금융정보(예: 잔액정보)를 스마트 단말(200)에서 조회하고 스마트 단말(200)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스마트 단말(200)에 공인인증서를 설치할 필요없이 간단히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를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잔액조회나 결제내역 조회 등을 달성할 수 있다.
단계 S110 : 사용자 조작으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의 레거시 인터페이스(1200)(예: 마그네틱스트립, 접촉식 IC 칩)를 통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VAN 서버(120)는 가맹점 단말기(110)의 결제정보를 카드발행사 서버(130)에 전송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이어서, VAN 서버(120)가 카드발행사 서버(130)로부터 결제 승인정보를 수신하여 가맹점 단말기(110)에 전송하고, 가맹점 단말기(110)는 그에 따라 결제 영수증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을 통한 결제처리 과정이 이루어진다.
단계 S120 : 스마트 단말(200)이 NFC 통신을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카드정보를 요청하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자신의 카드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스마트 단말(200)에 전송한다.
단계 S130 :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로부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획득한 스마트 단말(20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00)(예: 이동통신망)을 통해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연계관리 서버(210)에 전송하여 해당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정보(예: 잔액정보, 신용카드 결제기록)의 조회를 요청한다.
단계 S140, 150 : 연계관리 서버(210)는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의 카드발행사 서버(130)와 통신함으로써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카드결제 처리시스템 상의 금융정보를 조회 요청한다. 이에 대해, 카드발행사 서버(130)는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를 식별하고, 해당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카드결제 처리시스템 상의 금융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한다. 그리고, 당해 조회 결과로 도출된 금융정보(예: 잔액정보, 신용카드 결제기록)를 스크램블하여 연체관리 서버(210)로 제공한다.
단계 S160, 170 : 연계관리 서버(210)는 조회 요청된 금융정보를 스크램블된 형태 그대로 스마트 단말(200)에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200)도 당해 금융기록(스크램블된 형태)을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로 전송한다.
단계 S180, 190 :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보안모듈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카드발행사 서버(130)가 스크램블한 금융정보를 디스크램블할 수 있다. 이처럼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금융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스마트 단말(200)에 되돌려주며, 스마트 단말(200)은 금융정보를 디스플레이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200)이 스마트 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를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전자화폐를 충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210 : 스마트 단말(200)이 NFC 통신을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카드정보를 요청하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자신의 카드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스마트 단말(200)에 전송한다.
단계 S220 :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로부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획득한 스마트 단말(20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제시하면서 연계관리 서버(210)에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
단계 S230, S240 : 전자화폐 충전을 위해서는 그에 해당하는 만큼의 지불결제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연계관리 서버(210)는 카드발행사 서버(130)에 대해 카드정보와 전자화폐 충전요청에 대응하는 비용결제를 요청한다. 이에 대응하여, 카드발행사 서버(130)는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를 식별하고, 해당 카드정보에 대해 레거시 결제 방식의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에 따라 그 요청된 비용결제를 승인한다. 예를 들어, 직불카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잔액에서 전자화폐 충전을 결제한다. 그리고 나서, 카드발행사 서버(130)는 해당 승인결과를 연계관리 서버(210)로 통지한다.
단계 S250, S260 :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지불결제가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연계관리 서버(210)는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에 스마트 단말(200)이 요청한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 이때, 충전 대상인 당해 전자화폐를 식별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로부터 제공받은 카드정보를 스크램블된 형태로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에 제공한다.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는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전자화폐를 식별하고 충전을 승인하며,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연계관리 서버(210)로 전송한다.
단계 S270, S280 : 연계관리 서버(210)는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스크램블된 상태 그대로 스마트 단말(200)로 전달하고, 스마트 단말(200)도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스크램블된 상태 그대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로 전달한다.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보안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그에 따라 전자화폐 관리모듈(1400)에 대해 금액 충전을 수행한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충전된 전자화폐는 교통카드나 일반적인 전자결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200)이 스마트 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를 통해 스마트 단말(200) 내부의 전자지갑 모듈(2400)에 전자화폐를 충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310 : 스마트 단말(200)이 NFC 통신을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카드정보를 요청하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자신의 카드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스마트 단말(200)에 전송한다.
단계 S320 :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로부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획득한 스마트 단말(20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제시하면서 연계관리 서버(210)에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
단계 S330, S340 : 전자화폐 충전을 위해서는 그에 해당하는 만큼의 지불결제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연계관리 서버(210)는 카드발행사 서버(130)에 대해 카드정보와 전자화폐 충전요청에 대응하는 비용결제를 요청한다. 이에 대응하여, 카드발행사 서버(130)는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를 식별하고, 해당 카드정보에 대해 레거시 결제 방식의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에 따라 그 요청된 비용결제를 승인한다. 예를 들어, 직불카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잔액에서 전자화폐 충전을 결제한다. 그리고 나서, 카드발행사 서버(130)는 해당 승인결과를 연계관리 서버(210)로 통지한다.
단계 S350, S360 :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지불결제가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연계관리 서버(210)는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에 스마트 단말(200)이 요청한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 이때, 충전 대상인 당해 전자지갑 모듈(2400)을 식별하기 위해서 스마트 단말(200)의 식별정보를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에 제공한다.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는 전자지갑 모듈(2400)에 대한 전자화폐 충전을 승인하고, 그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연계관리 서버(210)로 전송한다.
단계 S370, S380 : 연계관리 서버(210)는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스크램블된 상태로 스마트 단말(200)로 전달한다. 스마트 단말(200)의 전자지갑 모듈(2400)은 보안관련 알고리즘 코드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금액 충전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200)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를 이용하여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제 1 실시예로서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스마트 단말(200)에 공인인증서를 설치할 필요없이 간단히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를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온라인 결제를 달성할 수 있다.
단계 S410 : 스마트 단말(200)에서 온라인 결제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200)에 설치된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를 개시한다거나 홈쇼핑을 위해 구매관련 트랜젝션을 개시한 경우에 해당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라인 결제 프로세스는 스마트 단말(200)과 판매결제 서버(310) 간에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단계 S420 : 스마트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카드정보를 요청하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자신의 카드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스마트 단말(200)에 전송한다.
단계 S430, S440 : 스마트 단말(200)은 스크램블된 형태의 카드정보를 제시하면서 연계관리 서버(210)에 온라인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 이에 대응하여, 연계관리 서버(210)는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의 카드발행사 서버(130)에 당해 온라인 결제의 처리를 요청한다. 이때, 온라인 결체 처리의 요청 메시지에는 당해 온라인 결제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예컨대 판매결제 서버(310)의 정보 내지 결제대상 금액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S450, S460 : 카드발행사 서버(130)는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를 식별하고 판매결제 서버(310)와 통신하여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대해 온라인 결제를 처리한다. 그리고 나서, 결제승인 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연계관리 서버(210)로 전송한다. 연계관리 서버(210)는 결제승인 정보를 스크램블된 형태 그대로 스마트 단말(200)로 전송한다.
단계 S470, S480, S490 : 스마트 단말(200)은 연계관리 서버(210)로부터 수신한 결제승인 정보를 스크램블된 상태 그대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로 전송하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보안모듈을 통해 결제승인 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스마트 단말(200)로 리턴한다. 그에 따라, 스마트 단말(200)은 결제승인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여 사용자가 당해 온라인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200)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를 이용하여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제 2 실시예로서 스마트 결제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스마트 단말(200)에 공인인증서를 설치할 필요없이 간단히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를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온라인 결제를 달성할 수 있다.
단계 S510 : 스마트 단말(200)에서 온라인 결제 프로세스를 개시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단계 S520 : 스마트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에 카드정보를 요청하면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자신의 카드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스마트 단말(200)에 전송한다.
단계 S530, S540 : 스마트 단말(200)은 스크램블된 형태의 카드정보를 제시하면서 연계관리 서버(210)에 온라인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 이에 대응하여, 연계관리 서버(210)는 스마트 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에 당해 온라인 결제의 처리를 요청한다. 이때, 온라인 결체 처리의 요청 메시지에는 당해 온라인 결제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예컨대 판매결제 서버(310)의 정보 내지 결제대상 금액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S550, S560 :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220)는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를 식별하고 판매결제 서버(310)와 통신하여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의 전자화폐를 활용하여 온라인 결제를 처리한다. 그리고 나서,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연계관리 서버(210)로 전송한다. 연계관리 서버(210)는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스크램블된 형태 그대로 스마트 단말(200)로 전송한다.
단계 S570, S580, S590 : 스마트 단말(200)은 연계관리 서버(210)로부터 수신한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스크램블된 상태 그대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로 전송하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보안모듈을 통해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디스크램블한 후, 그에 따라 전자화폐 금액을 차감한다. 전자화폐 차감을 완료한 후에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100)는 처리성공 정보를 스마트 단말(200)로 제공하며, 스마트 단말(200)은 처리성공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당해 온라인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
101 : 마그네틱스트립
102 : IC 칩
103 : 인쇄회로 RF 안테나
110 : 가맹점 단말기
120 : VAN 서버
130 : 카드발행사 서버
200 : 스마트 단말
210 : 연계관리 서버
220 :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
310 : 판매결제 서버
1100 : 카드 제어모듈
1200 : 레거시 인터페이스
1300 : NFC 인터페이스
1400 : 전자화폐 관리모듈
2100 : 단말 제어모듈
220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300 : NFC 인터페이스
2400 : 전자지갑 모듈

Claims (7)

  1. 레거시 인터페이스와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상기 레거시 인터페이스를 통한 카드결제 처리시스템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스마트 결제시스템을 연동시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의 상기 레거시 인터페이스를 통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이 결제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가 자신의 카드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제시하며 상기 연계관리 서버에 상기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카드결제 처리시스템 상의 금융정보를 조회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의 카드발행사 서버에 대해 상기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카드결제 처리시스템 상의 금융정보를 조회 요청하는 단계;
    상기 카드발행사 서버가 상기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상기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카드결제 처리시스템 상의 금융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상기 연체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조회 요청된 금융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연계관리 서버로부터 금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에 상기 금융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가 상기 금융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디스크램블된 금융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제시하며 상기 연계관리 서버에 상기 스마트 결제시스템 상의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카드발행사 서버에 대해 상기 카드정보와 상기 전자화폐 충전요청에 대응하는 비용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카드발행사 서버가 상기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상기 카드정보에 대해 상기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에 따라 상기 요청된 비용결제를 승인하여 상기 연계관리 서버로 통지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제시하며 상기 스마트 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에 상기 카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가 상기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상기 카드정보에 대해 상기 전자화폐 충전을 승인하는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상기 연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 상기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가 상기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내부의 전자화폐 관리모듈에 대해 상기 전자화폐 충전정보에 따른 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제시하며 상기 연계관리 서버에 상기 스마트 결제시스템 상의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카드발행사 서버에 대해 상기 카드정보와 상기 전자화폐 충전요청에 대응하는 비용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카드발행사 서버가 상기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상기 카드정보에 대해 상기 카드결제 처리시스템에 따라 상기 요청된 비용결제를 승인하여 상기 연계관리 서버로 통지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식별정보를 제시하며 상기 스마트 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로 상기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전자지갑 모듈에 대해 상기 전자화폐 충전을 승인하는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상기 연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전자지갑 관리모듈이 상기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상기 전자화폐 충전정보에 따른 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온라인 결제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 및 상기 온라인 결제 프로세스를 위한 판매결제 서버의 정보를 제시하면서 상기 연계관리 서버에 온라인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카드발행사 서버로 상기 온라인 결제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카드발행사 서버가 상기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상기 판매결제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카드정보에 대해 상기 온라인 결제를 처리한 후, 그에 따른 결제승인 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상기 연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결제승인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승인 정보를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가 상기 결제승인 정보를 디스크램블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디스크램블된 결제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온라인 결제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부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스크램블된 카드정보 및 상기 온라인 결제 프로세스를 위한 판매결제 서버의 정보를 제시하면서 상기 연계관리 서버에 온라인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로 상기 온라인 결제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 발행사 서버가 상기 카드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상기 판매결제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로 상기 온라인 결제를 처리한 후, 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상기 연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계관리 서버가 상기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가 상기 전자화폐 차감정보를 디스크램블하고 상기 전자화폐 차감정보에 따라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인터페이스는 마그네틱스트립과 접촉식 IC 칩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NFC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드결제 처리시스템 상의 금융정보는 기프트 카드 및 선불카드의 잔액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
  7. 컴퓨터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041911A 2013-11-15 2014-04-08 레거시 인터페이스와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레거시 카드결제 시스템과 스마트 결제시스템 간의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613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761 2013-11-15
KR20130138761 2013-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440A true KR20150056440A (ko) 2015-05-26
KR101613194B1 KR101613194B1 (ko) 2016-04-19

Family

ID=5339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911A KR101613194B1 (ko) 2013-11-15 2014-04-08 레거시 인터페이스와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레거시 카드결제 시스템과 스마트 결제시스템 간의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408A (ko) * 2015-09-09 2017-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11B1 (ko) * 2012-05-24 2013-06-17 이유영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결제 시스템, 그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408A (ko) * 2015-09-09 2017-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194B1 (ko)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84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actless payment with a near field communications attachment
US7873540B2 (en) Virtual terminal payer author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50058224A1 (en) Mechanism For Secure In-Vehicle Payment Transaction
JP2018520401A (ja) 自動販売機トランザクション
CN102257524A (zh) 用于在移动设备之间进行支付和非支付虚拟卡传送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WO2014066559A1 (en) Transaction initiation determination system utilizing transaction data elements
WO2017128974A1 (zh) 基于移动终端eSE的信用支付方法及装置
KR101136509B1 (ko) 결제자의 사전 승인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 결제 시스템 및 무선 단말 결제 방법
WO2016088087A1 (en) Third party access to a financial account
KR20170089174A (ko) 오프라인 매장에서 이루어지는 구매자 모바일과판매자 모바일 사이의 신용카드 결제방법
KR101439136B1 (ko) 결제 채널 관리 시스템
US11200565B2 (en) Low cost method and system to enable an unattended device to accept card present transactions
KR20170006740A (ko) 사용자 단말,중앙 서버 및 이들에 의한 요금 결제 방법
Ahuja Mobile payments for conducting M-Commerce
KR101613194B1 (ko) 레거시 인터페이스와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레거시 카드결제 시스템과 스마트 결제시스템 간의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3150650A (zh) 一种远程支付处理方法及移动终端、系统
KR101636975B1 (ko) 근거리 통신 결제를 위한 카드 정보 등록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결제 장치
KR20120088043A (ko)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56708A (ko) 이중 조합 식별 코드를 이용한 개인 인식 결제 서비스 방법및 장치
RU2642360C1 (ru) Способ инициализации банковских транзакций без использования pos-терминалов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502799B1 (ko) 선불 모바일 카드의 후불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01254B1 (ko) 패턴 이미지를 이용한 결제 요청 방법
KR20090091893A (ko) 가맹점 결제 방법과 이를 위한 밴사 서버, 결제처리 서버및 기록매체
US20220300944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supporting a service
KR101332343B1 (ko) 패턴 이미지 중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