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249A - Pulverizer and disposal equipment for food waste matters b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ulverizer and disposal equipment for food waste matters b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249A
KR20150056249A KR1020130138997A KR20130138997A KR20150056249A KR 20150056249 A KR20150056249 A KR 20150056249A KR 1020130138997 A KR1020130138997 A KR 1020130138997A KR 20130138997 A KR20130138997 A KR 20130138997A KR 20150056249 A KR20150056249 A KR 20150056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rushing
mounting shaft
teeth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덕남
장계진
Original Assignee
홍덕남
장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덕남, 장계진 filed Critical 홍덕남
Priority to KR102013013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6249A/en
Publication of KR2015005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2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re a pulveriz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cutters in which a plurality of triangle-shaped first pulverization sawteeth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first round-shaped body at equal intervals; a plurality of second cutters in which a plurality of triangle-shaped second pulverization sawteeth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second round-shaped body whose diamet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ody at equal intervals, thereby being installed between the first cutters; and a first pulverization cutter part which has a first attachment axis to fix the first cutter and the second cutter, and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using the same.

Description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Pulverizer and disposal equipment for food waste matters by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verizer and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당 등에서 대량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와 그에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nder and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grinding food waste discharged in a large amount in a restaurant or the like, and a grinder for grinding food garbag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11437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통상 가정이나 음식점에서는 매일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쓰레기의 대부분은 쓰레기 하치장으로 이송되거나 일부분은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경제성장에 따른 식생활의 개선으로 인해 배출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점차 그 처리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했다.In reference to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0811437,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s usually discharged daily at homes and restaurants, and most of these garbage is transported to a garbage dump or partly used as feed for livestock, Emission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improvements in diet as a result of growth. This situation has led to the problem of increasingly time consuming and costly processing.

특히 음식물 쓰레기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쓰레기를 별다른 제거장치를 거치지 않고 하치장에서 장시간 방치할 경우 심한 악취와 함께 침출수가 발생함으로서 주변의 환경 및 식수원에 심각한 오염을 발생시키게 된다.In particular, food waste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and if such waste is allowed to stan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going through a special removal device, it will cause serious pollution to surrounding environment and drinking water source by generating a bad odor and leachate.

한편, 근래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크게 음식물을 잘게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상기 파쇄수단의 아래에 설치되며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 음식물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수단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devices for treating food waste have recently been disclosed. Conventionally, a general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s roughly composed of a crushing means for finely crushing food and a drying means for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crushed food or the like which is installed under the crushing means.

그러나, 종래의 파쇄수단은 식물성을 제외한 동식물 음식물, 예를 들어 고기 뼈등의 비교적 딱딱한 재질의 음식물은 파쇄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파쇄 전에 고기뼈 등의 동물성 음식물을 별도로 걸러내는 작업을 병행하여야 함으로서 작업의 번거롭다는 문제점 및 파쇄수단에 파쇄된 음식물이 부착되어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파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rushing means, it is impossible to crush food of animal or plant except for vegetable, for example, meat of relatively hard material such as meat bone, and therefore, animal crust such as meat bone must be separately screened before crushing. It is troublesome and the crushed food is adhered to the crushing means, so that the food can not be crushed efficiently.

또한, 종래의 건조수단은 열을 발산하는 히팅코일을 이용해서 음식물을 건조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건조방식은 많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게 됨으로서 비경제적이라는 단점과 함께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rying means uses a heating coil that dissipates heat to dry the food. Such a drying method consumes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not economical and requires a long drying tim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식물성 음식물 쓰레기와 동물성 음식물을 함께 파쇄할 수 있으며, 파쇄된 음식물이 부착되지 않는 분쇄기와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하도록 하는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infection apparatus and a disinfection apparatus for disinfecting food waste, And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us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에 의하면, 상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분쇄기에 있어서,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1분쇄 톱니가 원판형상의 제1몸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커터와, 원판형상으로 상기 제1몸체의 원주보다 작은 원주를 가지는 제2몸체의 외주면에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2분쇄 톱니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커터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커터와, 상기 제1커터와 상기 제2커터를 고정하는 제1장착축을 포함하는 제1분쇄 커터부;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3분쇄 톱니가 원판형상의 제3몸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3커터와, 원판형상으로 상기 제3몸체의 원주보다 작은 원주를 가지는 제4몸체의 외주면에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4분쇄 톱니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커터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4커터와, 상기 제3커터와 상기 제4커터를 고정하는 제2장착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쇄 커터부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분쇄 커터부; 상기 제1장착축과 상기 제2장착축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제1장착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1장착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분쇄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ulverizer for pulverizing food waste to be supplied to an upper portion and discharging the pulverized food material to a lower portion of the pulverizer,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pulverizing teeth having a triangular shape are arrang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k- And a plurality of second grinding teeth having a triangular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second body having a circular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in a disk shape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 first grinder cutter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utters provided between the cutters, and a first mounting shaft for fixing the first cutter and the second cutter; A plurality of third grinders each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arranged in the form of a disk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dy at regular intervals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ourth body having a circular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body, And a second mounting shaft for fixing the third cutter and the fourth cutter, wherein the fourth cutter includes a plurality of fourth crushing teeth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 second grinding cutter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grinding cutter part; A frame suppor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from below; And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shaft and rota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이격되게 구비되는 분쇄 커터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분쇄 커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분쇄 톱니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투입구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분쇄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 상기 탈수기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탈수기에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하는 교반기; 및 상기 교반기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키는 미생물을 투입하는 미생물 주입수단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waste disposal system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upper portion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food waste is introduced, and a lower portion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food waste is discharged; And a grinding cutt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triangular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grinding cutter portion by rotating the grinding cutter portion to grind the food garbage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housing, A crusher; A dehydrato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for removing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ground by the crusher; A stirr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hydrator and stirring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s from which moisture is removed from the dehydrator; And a microorganism injecting means for injecting microorganisms for decomposing food garbage into the inside of the stirrer.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원판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커터 외주면에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분쇄 톱니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분쇄 톱니 사이의 커터 외주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라운드진 반원형상을 가짐으로 인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커터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원활하게 분쇄할 수 있다.A grinder and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using the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inding teeth having a triangular shape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a plurality of cutters having a disk shape for grinding food garbag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tter It is possible to smoothly crush the food waste by preventing the crushed food garbage from adhering to the cutter due to having a semicircular shape rounded inwar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분쇄 커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착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후 탈수기로 투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탈수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기로 투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ulve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rush cutter portions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ounting member shown in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shown i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food waste is pulverized and then put into a dehydrator.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ood garbage is dewatered by using a dehydrator.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ehydrated food waste is put into the agita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분쇄 커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착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rinding cutter portions shown in FIG. 1,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후 탈수기로 투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탈수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기로 투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garbage disposal apparatus shown in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ood waste is dewatered by using a dehydrator, and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dehydrated food waste is fed into a stirr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P)는 상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제1분쇄 커터부(10)와, 제2분쇄 커터부(20)와, 프레임(30)과, 구동모터(40)를 포함한다.1 to 3, the pulverizer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inds food garbage to be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and discharges the food garbage to the lower portion. The first pulverizing cutter 10, the second grinding cutter 20 , A frame (30), and a drive motor (40).

상기 제1분쇄 커터부(10)는 제1커터(12)와, 제2커터(14)와, 제1장착축(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커터(12)는 원판형상의 제1몸체(12a)와, 상기 제1몸체(12a)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분쇄 톱니(1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커터(14)는 원판형상의 제2몸체(14a)와, 상기 제2몸체(14a)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분쇄 톱니(1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12a)의 원주는 상기 제2몸체(14a)의 원주보다 더 큰 원주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몸체(12a)와 상기 제2몸체(14a)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1분쇄 톱니(12b)와 상기 제2분쇄 톱니(14b)는 삼각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grinding cutter 10 includes a first cutter 12, a second cutter 14, and a first mounting shaft 16. The first cutter 12 includes a first body 12a having a disk shape and a plurality of first crushing teeth 12b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12a at equal intervals, The cutter 14 is composed of a disk-shaped second body 14a and a plurality of second pulverizing claws 14b provided at equal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4a. It is preferable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12a has a circumference great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14a and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12a has a circumference larger than tha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14a,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rushing tooth 12b and the second crushing tooth 14b have a triangular shape.

상기 제1분쇄 커터부(10)의 일측에는 제2분쇄 커터부(20)가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2분쇄 커터부(20)는 제3커터(22)와, 제4커터(24)와, 제2장착축(26)을 포함한다. 상기 제3커터(22)는 상기 제1커터(12)와 동일하게 원판형상의 몸체(22a)와, 상기 제3몸체(22a)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3분쇄 톱니(2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커터(24)는 상기 제2커터(14)와 동일하게 원판형상의 제4몸체(24a)와, 상기 제4몸체(24a)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4분쇄 톱니(2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몸체(22a) 역시 상기 제4몸체(24a)의 원주보다 더 큰 원주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몸체(22a)와 상기 제4몸체(24a)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3분쇄 톱니(22b)와 상기 제4분쇄 톱니(24b)는 삼각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cond crushing cutter 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rushing cutter 10. The second breaking cutter 20 includes a third cutter 22, a fourth cutter 24, and a second mounting shaft 26. The third cutter 22 has a disk-like body 22a like the first cutter 12 and a plurality of third pulverizing claws 22b arranged equidistant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dy 22a The fourth cutter 24 includes a fourth body 24a in the shape of a disk like the second cutter 14 and a plurality of second bodies 24b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body 24a. And four fourth crushing teeth 24b.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body 22a has a circumference great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ourth body 24a and the third body 22a has a circumference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ourth body 24a,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grinding tooth 22b and the fourth grinding tooth 24b have a triangular shape.

상기 제1커터(12)와 제2커터(14) 및 상기 제3커터(22)와 제4커터(24)에 각각 복수개가 등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1분쇄 톱니(12b), 제2분쇄 톱니(14b), 제3분쇄 톱니(22b) 및 제4분쇄 톱니(24b) 사이의 상기 제1커터(12)와 제2커터(14) 및 상기 제3커터(22)와 제4커터(24)의 외주면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라운드진 반원형상을 가진다. The first and second cutters 12 and 14 and the third and second cutters 22 and 24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first grinding teeth 12b and second The first cutter 12 and the second cutter 14 and the third cutter 22 and the fourth cutter 14 between the crushing teeth 14b, the third crushing teeth 22b and the fourth crushing teeth 24b 24 have a semicircular shape round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상기 복수개의 제1분쇄 톱니(12b), 제2분쇄 톱니(14b), 제3분쇄 톱니(22b) 및 제4분쇄 톱니(24b)가 각각 제1커터(12)와 제2커터(14) 및 상기 제3커터(22)와 제4커터(24)의 외주면에서 삼각형상으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돌출되고, 복수개의 제1분쇄 톱니(12b), 제2분쇄 톱니(14b), 제3분쇄 톱니(22b) 및 제4분쇄 톱니(24b) 사이의 상기 제1커터(12)와 제2커터(14) 및 상기 제3커터(22)와 제4커터(24)의 외주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라운드진 반원형상을 가짐으로 인하여 상기 제1커터(12)와 제2커터(14) 및 상기 제3커터(22)와 제4커터(24)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때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제1커터(12)와 제2커터(14) 및 상기 제3커터(22)와 제4커터(24)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first crushing saw teeth 12b, the second crushing saw teeth 14b, the third crushing saw teeth 22b and the fourth crushing saws 24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utter 12 and the second cutter 14, A plurality of first crushing teeth 12b, a second crushing tooth 14b, a third crushing tooth 14b, a third crushing tooth 14b, and a third crushing tooth 14b.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utter 12 and the second cutter 14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cutter 22 and the fourth cutter 24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teeth 22b, When the first cutter 12 and the second cutter 14 and the third cutter 22 and the fourth cutter 24 crush the food garbage due to the true semicircular shape of the food garbage, The first cutter 12 and the second cutter 14, and the third cutter 22 and the fourth cutter 24, respectively.

상기 제1분쇄 커터부(10)의 제1커터(12)와 상기 제1분쇄 커터부(20)의 제4커터(24)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분쇄 톱니(12b)와 제4분쇄 톱니(24b)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커터(14)와 상기 제3커터(22)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분쇄 톱니(14b)와 제3분쇄 톱니(22b)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first crushing teeth 12b formed on the first cutter 12 of the first crushing cutter unit 10 and a fourth crusher 24 of the first crushing cutter unit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utter 14b and the second cutter 14b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at a plurality of the second crushing teeth 14b and the third crushing tooth 22b formed on the second cutter 14 and the third cutter 2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Do.

여기서, 상기 제1분쇄 커터부(10)의 제1분쇄 톱니(12b)와 제2분쇄 톱니(14b) 및 상기 제2분쇄 커터부(20)의 제3분쇄 톱니(22b)와 제4분쇄 톱니(24b)는 동일형상의 동일크기를 가지도록 상기 제1커터(12), 제2커터(14), 제3커터(22) 및 제4커터(24)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제1, 2, 3, 4분쇄 톱니(12b,14b,22b,24b)가 동일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제1, 2, 3, 4커터(12,14,22,2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반원형상이 동일크기를 가짐으로 인하여 다른 원주를 가지는 제1커터(12)와 제4커터(24) 및 제2커터(14)와 제3커터(22)가 동일하게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게 된다.The first crushing saw tooth 12b and the second crushing tooth 14b of the first crushing cutter 10 and the third crushing tooth 22b of the second crushing cutter 20 and the third crushing tooth 22b of the second crushing cutter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utter 12, the second cutter 14, the third cutter 22 and the fourth cutter 24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cutter 12, the second cutter 22, . Wherein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utters (12b, 14b, 22b, 24b) has the same shape and size and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utters The first cutter 12 and the fourth cutter 24 having different circumferences and the second cutter 14 and the third cutter 22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Food waste is crushed.

상기 제1커터(12)와 상기 제2커터(14)는 제1장착축(16)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3커터(22)와 상기 제4커터(24)는 제2장착축(2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커터(12)와 상기 제2커터(14)에는 상기 제1장착축(16)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12c)과 제2관통홀(14c)가 형성되며, 상기 제3커터(22)와 상기 제4커터(24)에는 상기 제2장착축(26)이 관통하는 제3관통홀(22c)과 제4관통홀(24c)이 형성된다.The first cutter 12 and the second cutter 14 are fixed by a first mounting shaft 16 and the third cutter 22 and the fourth cutter 24 are fixed by a second mounting shaft 26 ). A first through hole 12c and a second through hole 14c through which the first mounting shaft 16 passes are formed in the first cutter 12 and the second cutter 14, A third through hole 22c and a fourth through hole 24c through which the second mounting shaft 26 passes are formed in the first cutter 22 and the fourth cutter 24. [

상기 각각의 제1관통홀(12c), 제2관통홀(14c), 제3관통홀(22c), 제4관통홀(24c)에는 각각 제1키홈(12d), 제2키홈(14d), 제3키홈(22d), 제4키홈(24d)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관통홀(12c,14c)로 관통하는 상기 제1장착축(16)에는 상기 제1키홈(12d) 및 제2키홈(14d)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돌기(16a)가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3 및 제4관통홀(22c,24c)로 관통하는 상기 제2장착축(26)에는 상기 제3키홈(22d) 및 제4키홈(24d)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돌기(26a)가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key groove 12d, a second key groove 14d, and a second key groove 14b are formed in the respective first through holes 12c, the second through holes 14c, the third through holes 22c, and the fourth through holes 24c, The first key groove 12d and the fourth key groove 24d are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shaft 16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2c and 14c.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protrusion 16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keyway 14d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at the second mounting shaft 12c passing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through holes 22c, 26 preferably have second protrusions 26a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hird keyways 22d and the fourth keyways 24d.

상기 복수개의 제1커터(12)와 복수개의 제2커터(14)를 고정하는 상기 제1장착축(16)과 상기 복수개의 제3커터(22)와 복수개의 제4커터(24)를 고정하는 상기 제2장착축(26)은 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제1장착축(16)과 상기 제2장착축(26)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제1장착축(16)의 상기 프레임(3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장착축(26)은 상기 제1장착축(16)과 이격되게 상기 프레임(30)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mounting shaft 16 fixing the plurality of first cutters 12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utters 14 and the plurality of third cutters 22 and the plurality of fourth cutters 24 are fixed The second mounting shaft 26 is supported by the frame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30 supports the first mounting shaft 16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26 from below and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ame 30 of the first mounting shaft 16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26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unting shaft 16. [

상기 프레임(30)에는 상기 제1장착축(16)과 상기 제2장착축(26)을 지지하는 지지수단(32)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수단(32)은 복수개의 돌출단(32a)과 장착부재(32b)를 포함한다.A supporting means 32 for suppor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16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26 is mounted on the frame 30 and the supporting means 32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32a, And a mounting member 32b.

상기 복수개의 돌출단(32a)는 상기 프레임(30)의 상부 양단에 이격되게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재(32b)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단(32a)에 장착되며, 상기 제1장착축(16)과 상기 제2장착축(26)을 상기 복수개의 돌출단(32a)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lurality of projecting ends 32a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s of the frame 30. The mounting member 32b i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rojecting ends 32a,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26 to the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32a.

상기 장착부재(32b)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단(32a)에 체결수단(B)인 볼트에 의해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재(32b)에 중앙에는 상기 제1장착축(16) 또는 상기 제2장착축(26)이 삽입되는 삽입홀(32c)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32c)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장착축(16) 또는 상기 제2장착축(26)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32d)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member 32b is mounted to the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32a by bolts as fastening means B and the center of the mounting member 32b is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shaft 16 or the second mounting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32c is formed with a bearing for smoothly rota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16 or the second mounting shaft 26 32d.

상기 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1장착축(16)은 구동모터(40)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제1장착축(16)은 상기 프레임(30)의 우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장착축(26)이 상기 프레임(30)의 좌측에 구비됨으로 인하여 상기 구동모터(40)와 연결된 상기 제1장착축(16)이 상기 구동모터(4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장착축(16)에 고정된 상기 제1커터(12)와 제2커터(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커터(12)와 제2커터(14)에 형성되는 제1분쇄 톱니(12b)와 제2분쇄 톱니(14b)와 맞물리는 제3분쇄 톱니(22b)와 제4분쇄 톱니(24b)에 의해 제3커터(22)와 제4커터(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면서 복수개의 상기 제1커터(12), 제2커터(14), 제3커터(22)와 제4커터(24)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P)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다.The first mounting shaft 16 supported by the frame 3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40 and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40. The first mounting shaft 16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ame 30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26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30, 1 mounting shaft 16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driving motor 40 so that the first cutter 12 and the second cutter 14 fixed to the first mounting shaft 16 rotate counterclockwise The third grinding teeth 22b and the fourth grinding teeth 22b are engaged with the first grinding teeth 12b and the second grinding teeth 14b formed on the first cutter 12 and the second cutter 14, The third cutter 22 and the fourth cutter 24 are rotated clockwise by the second cutter 24b so that the first cutter 12, the second cutter 14, the third cutter 22, The food waste put into the pulverizer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cutter 24 is pulverized.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는 하우징(100)과, 분쇄기(200)와, 탈수기(300)와, 교반기(400)와, 미생물 주입수단(500)을 포함한다.4 to 8,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crusher 200, a dehydrator 300, a stirrer 400, a microorganism injection unit 500 ).

상기 하우징(100)에는 투입구(110)와 배출구(120)가 형성되는데, 상기 투입구(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110)로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후술되는 분쇄기(200)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출구(120)로 배출된다.The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port 110 and a discharging port 120. The charging port 11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The charging port 110 is filled with food waste, The garbage is crushed by a crusher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n discharged to an outlet 12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분쇄기(200)가 구비된다. 상기 분쇄기(200)는 이격하게 구비되는 제1분쇄 커터부(210)와, 제2분쇄 커터부(220)와, 프레임(230)과, 구동모터(240)를 포함한다.Inside the housing 100, a crusher 200 is provided. The crusher 200 includes a first crushing cutter 210, a second crushing cutter 220, a frame 230, and a driving motor 240.

상기 제1분쇄 커터부(210)는 제1커터(212)와, 제2커터(214)와, 제1장착축(2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커터(212)는 원판형상의 제1몸체(212a)와, 상기 제1몸체(212a)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분쇄 톱니(21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커터(214)는 원판형상의 제2몸체(214a)와, 상기 제2몸체(214a)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분쇄 톱니(21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212a)의 원주는 상기 제2몸체(214a)의 원주보다 더 큰 원주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몸체(212a)와 상기 제2몸체(214a)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1분쇄 톱니(212b)와 상기 제2분쇄 톱니(214b)는 삼각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grinding cutter 210 includes a first cutter 212, a second cutter 214, and a first mounting shaft 216. The first cutter 212 includes a first body 212a having a disk shape and a plurality of first crushing teeth 212b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212a at equal intervals, The cutter 214 is composed of a disk-shaped second body 214a and a plurality of second grinding teeth 214b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4a at regular intervals. It is preferable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212a has a circumference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214a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212a has a circumference larger than a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214a.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rushing tooth 212b and the second crushing tooth 214b have a triangular shape.

상기 제1분쇄 커터부(210)의 일측에는 제2분쇄 커터부(220)가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2분쇄 커터부(220)는 제3커터(222)와, 제4커터(224)와, 제2장착축(226)을 포함한다. 상기 제3커터(222)는 상기 제1커터(212)와 동일하게 원판형상의 몸체(222a)와, 상기 제3몸체(222a)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3분쇄 톱니(22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커터(224)는 상기 제2커터(214)와 동일하게 원판형상의 제4몸체(224a)와, 상기 제4몸체(224a)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4분쇄 톱니(22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몸체(222a) 역시 상기 제4몸체(224a)의 원주보다 더 큰 원주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몸체(222a)와 상기 제4몸체(224a)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3분쇄 톱니(222b)와 상기 제4분쇄 톱니(224b)는 삼각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cond grinding cutter 2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grinding cutter 210. The second grinding cutter 220 includes a third cutter 222, a fourth cutter 224, and a second mounting shaft 226. The third cutter 222 has a disk-like body 222a like the first cutter 212 and a plurality of third pulverizing claws 222b arranged equidistant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dy 222a The fourth cutter 224 includes a fourth body 224a in the shape of a disk like the second cutter 214 and a plurality of second cutters 224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urth body 224a at regular intervals Four fourth crushing teeth 224b.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body 222a has a circumference great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ourth body 224a and the third body 222a has a circumference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ourth body 224a,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and second crushing teeth 222b and 224b have a triangular shape.

상기 제1커터(212)와 제2커터(214) 및 상기 제3커터(222)와 제4커터(224)에 각각 복수개가 등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1분쇄 톱니(212b), 제2분쇄 톱니(214b), 제3분쇄 톱니(222b) 및 제4분쇄 톱니(224b) 사이의 상기 제1커터(212)와 제2커터(214) 및 상기 제3커터(222)와 제4커터(224)의 외주면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라운드진 반원형상을 가진다. The first and second cutters 212 and 214 and the third and second cutters 222 and 224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first grinding teeth 212b and second The first cutter 212 and the second cutter 214 and the third cutter 222 and the fourth cutter 222 between the crushing teeth 214b, the third crushing teeth 222b and the fourth crushing teeth 224b 224 have a semicircular shape round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상기 복수개의 제1분쇄 톱니(212b), 제2분쇄 톱니(214b), 제3분쇄 톱니(222b) 및 제4분쇄 톱니(224b)가 각각 제1커터(212)와 제2커터(214) 및 상기 제3커터(222)와 제4커터(224)의 외주면에서 삼각형상으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돌출되고, 복수개의 제1분쇄 톱니(212b), 제2분쇄 톱니(214b), 제3분쇄 톱니(222b) 및 제4분쇄 톱니(224b) 사이의 상기 제1커터(212)와 제2커터(214) 및 상기 제3커터(222)와 제4커터(224)의 외주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라운드진 반원형상을 가짐으로 인하여 상기 제1커터(212)와 제2커터(214) 및 상기 제3커터(222)와 제4커터(224)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때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제1커터(212)와 제2커터(214) 및 상기 제3커터(222)와 제4커터(224)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first crushing teeth 212b, the second crushing teeth 214b, the third crushing teeth 222b and the fourth crushing teeth 224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utter 212 and the second cutter 214, A plurality of first crushing teeth 212b, a second crushing tooth 214b, a third crushing tooth 212b, a third crushing tooth 214b, a third crushing tooth 214b,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cutter 212 and the second cutter 214 and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third cutter 222 and the fourth cutter 224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teeth 222b, When the first cutter 212 and the second cutter 214 and the third cutter 222 and the fourth cutter 224 crush food waste due to having a true semicircular shape, The first cutter 212 and the second cutter 214, and the third cutter 222 and the fourth cutter 224.

상기 제1분쇄 커터부(210)의 제1커터(212)와 상기 제1분쇄 커터부(220)의 제4커터(224)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분쇄 톱니(212b)와 제4분쇄 톱니(224b)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커터(214)와 상기 제3커터(222)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분쇄 톱니(214b)와 제3분쇄 톱니(222b)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first crushing teeth 212b formed on the first cutter 212 of the first crushing cutter 210 and a fourth cutter 224 of the first crushing cutter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grinders 224b engage with each other and that the second grinders 214b and the third grinders 222b formed on the second cutter 214 and the third grinders 22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Do.

여기서, 상기 제1분쇄 커터부(210)의 제1분쇄 톱니(212b)와 제2분쇄 톱니(214b) 및 상기 제2분쇄 커터부(220)의 제3분쇄 톱니(222b)와 제4분쇄 톱니(224b)는 동일형상의 동일크기를 가지도록 상기 제1커터(212), 제2커터(214), 제3커터(222) 및 제4커터(224)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제1, 2, 3, 4분쇄 톱니(212b,214b,222b,224b)가 동일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제1, 2, 3, 4커터(212,214,222,22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반원형상이 동일크기를 가짐으로 인하여 다른 원주를 가지는 제1커터(212)와 제4커터(224) 및 제2커터(214)와 제3커터(222)가 동일하게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게 된다.The first crushing tooth 212b and the second crushing tooth 214b of the first crushing cutter 210 and the third crushing tooth 222b of the second crushing cutter 220 and the fourth crushing tooth The first cutter 212, the second cutter 214, the third cutter 222, and the fourth cutter 224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utter 212, the second cutter 222, .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grinding teeth 212b, 214b, 222b and 224b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nd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utters 212, 214, The first cutter 212 and the fourth cutter 224 having the different circumferences and the second cutter 214 and the third cutter 222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to crush the food waste .

상기 복수개의 제1커터(212)와 상기 제2커터(214)는 제1장착축(216)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3커터(222)와 상기 제4커터(224)는 제2장착축(22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복수개의 제1커터(212)와 상기 제2커터(214)에는 각각 상기 제1장착축(216)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212c)과 제2관통홀(214c)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3커터(222)와 상기 제4커터(224)에는 각각 상기 제2장착축(226)이 관통하는 제3관통홀(222c)과 제4관통홀(224c)이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first cutters 212 and the second cutters 214 are fixed by a first mounting shaft 216 and the plurality of third cutters 222 and the fourth cutters 224 are fixed by a second mounting shaft 216. [ And is fixed by a mounting shaft 226. A first through hole 212c and a second through hole 214c through which the first mounting shaft 216 passes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first cutters 212 and the second cutter 214, A third through hole 222c and a fourth through hole 224c through which the second mounting shaft 226 passes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third cutters 222 and the fourth cutter 224, respectively.

상기 각각의 제1관통홀(212c), 제2관통홀(214c), 제3관통홀(222c), 제4관통홀(224c)에는 각각 제1키홈(212d), 제2키홈(214d), 제3키홈(222d), 제4키홈(224d)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관통홀(212c,214c)로 관통하는 상기 제1장착축(216)에는 상기 제1키홈(212d) 및 제2키홈(214d)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돌기(216a)가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3 및 제4관통홀(222c,224c)로 관통하는 상기 제2장착축(226)에는 상기 제3키홈(222d) 및 제4키홈(224d)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돌기(226a)가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key groove 212d, a second key groove 214d, and a second key groove 214c are formed in the respective first through holes 212c, the second through holes 214c, the third through holes 222c, and the fourth through holes 224c, A third key groove 222d and a fourth key groove 224d are formed on the first mounting shaft 216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212c and 214c.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protrusion 216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key groove 214d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212a passing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through holes 222c and 224c 226 may have a second protrusion 226a form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key groove 222d and the fourth key groove 224d.

상기 복수개의 제1커터(212)와 복수개의 제2커터(214)를 고정하는 상기 제1장착축(216)과 상기 복수개의 제3커터(222)와 복수개의 제4커터(224)를 고정하는 상기 제2장착축(226)은 프레임(23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230)은 상기 제1장착축(216)과 상기 제2장착축(226)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제1장착축(216)의 상기 프레임(23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장착축(226)은 상기 제1장착축(216)과 이격되게 상기 프레임(230)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mounting shaft 216 fixing the plurality of first cutters 212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utters 214 and the plurality of third cutters 222 and the plurality of fourth cutters 224 are fixed The second mounting shaft 226 is supported by the frame 230.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230 supports the first mounting shaft 216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226 from below and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ame 230 of the first mounting shaft 216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226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2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unting shaft 216.

상기 프레임(230)에는 상기 제1장착축(216)과 상기 제2장착축(226)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32)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수단(232)은 복수개의 돌출단(232a)과 장착부재(232b)를 포함한다.A supporting means 232 for suppor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216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226 is mounted on the frame 230. The supporting means 232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232a, And a mounting member 232b.

상기 복수개의 돌출단(232a)는 상기 프레임(230)의 상부 양단에 이격되게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재(232b)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단(232a)에 장착되며, 상기 제1장착축(216)과 상기 제2장착축(226)을 상기 복수개의 돌출단(232a)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232a are spaced apart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230. The mounting member 232b i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232a,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226 to the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232a.

상기 장착부재(232b)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단(232a)에 체결수단(B)인 볼트에 의해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재(232b)에 중앙에는 상기 제1장착축(216) 또는 상기 제2장착축(226)이 삽입되는 삽입홀(232c)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232c)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장착축(216) 또는 상기 제2장착축(226)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232d)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member 232b is mounted to the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232a by bolts as fastening means B and the center of the mounting member 232b is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shaft 216 or the second mounting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232c is formed with a bearing for smoothly rota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216 or the second mounting shaft 226 232d.

상기 프레임(23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1장착축(216)은 구동모터(240)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24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제1장착축(216)은 상기 프레임(230)의 우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장착축(226)이 상기 프레임(230)의 좌측에 구비됨으로 인하여 상기 구동모터(240)와 연결된 상기 제1장착축(216)이 상기 구동모터(24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장착축(216)에 고정된 상기 제1커터(212)와 제2커터(2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커터(212)와 제2커터(214)에 형성되는 제1분쇄 톱니(212b)와 제2분쇄 톱니(214b)와 맞물리는 제3분쇄 톱니(222b)와 제4분쇄 톱니(224b)에 의해 제3커터(222)와 제4커터(2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복수개의 상기 제1커터(212), 제2커터(214), 제3커터(222)와 제4커터(224)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게 된다.The first mounting shaft 216 supported by the frame 23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240 and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240. The first mounting shaft 216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ame 230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226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230, 1 mounting shaft 216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driving motor 240 so that the first cutter 212 and the second cutter 214 fixed to the first mounting shaft 216 rotate counterclockwise A third grinding tooth 212b and a third grinding tooth 222b which mesh with the second grinding teeth 214b formed on the first cutter 212 and the second cutter 214, The third cutter 222 and the fourth cutter 224 ar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first cutter 212 and the second cutter 214 and the third cutter 222 and the fourth cutter 224 are rotated clockwise by the first cutter 212, The cutter 224 is rotated to crush the food waste.

상기 구동모터(240)와 상기 제1장착축(216)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데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The driving motor 240 and the first mounting shaft 216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ulley and a belt.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탈수기(300)가 구비되며, 상기 탈수기(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분쇄기(20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A dehydrator 300 is provided below the housing 100 and the dehydrator 300 removes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that has been crushed in the crusher 200 provided in the housing 100 .

살기 탈수기(300)는 내부 탈수통(310)과, 외부 탈수통(320)과, 슬라이드 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탈수통(310)은 원통형상의 몸체(312)를 가지며, 상기 내부 탈수통(310)에는 투입부(314)와 복수개의 배출공(316)이 형성된다.The living dehydrator 300 includes an inner dehydrator 310, an outer dehydrator 320, and a slide member 330. The inner dewatering container 310 has a cylindrical body 312 and the inner dewatering container 31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portion 314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16.

상기 투입구(314)는 상기 몸체(312)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314)로는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다. 상기 복수개의 배출공(316)은 상기 몸체(312)의 일단 하부 둘레면에 형성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된다.The inlet 314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312 and the powdered food waste discharged into the outlet 120 of the housing 100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314.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16 are formed in a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312,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pulverized food waste is discharged.

상기 내부 탈수통(310)의 일단은 외부 탈수통(3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외부 탈수통(320)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에는 상기 내부 탈수통(310)이 삽입되는 개방부(322)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내부 탈수통(310)에서 탈수되어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24)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 탈수통(320)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 탈수통(310)에서 제거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32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홀(322a)로 배출되는 수분은 연결배관(미도시)를 통해 하수구 등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지하다.One end of the inner dewatering container 310 is inserted into the outer dewatering container 320. The outer dewatering container 32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opening 322 through which the inner dewatering container 310 is inserted at one end and dehydrated in the inner dewatering container 310 at the other end, And an outlet 324 through which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and an outlet hole 322a through which the moisture removed from the inner drainage tube 3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drainage tube 320 . The moisture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hole 322a may be discharged to a sewer or the like through a connection pipe (not shown).

상기 내부 탈수통(310)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부재(33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330)는 상기 내부 탈수통(3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내부 탈수통(310)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여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수분이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배출구(324)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330)의 슬라이드 이동은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모터(M)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330)는 연결축(33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lide member 330 is provided in the inner dewatering container 310. The slide member 330 slides inside the inner dewatering container 310 to pressurize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inner dewatering container 310 to remove moisture from the food waste, And discharges it to the discharge port 324.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e member 330 is perform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M and the motor M and the slide member 33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shaft 332.

상기 탈수기(300)는 상기 개방부(322)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324)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탈수기(300)가 경사지게 구비됨으로 인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330)를 이용하지 않고도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배출구(324)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e dehydrator 3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opening 322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outlet 324 is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Since the dehydrator 300 is inclined,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food waste to the discharge port 324 without using it.

상기 탈수기(300)의 일단에는 교반기(400)가 구비된다. 상기 교반기(400)로는 상기 탈수기(300)에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며, 상기 교반기(400)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미생물을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교반기(400)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혼합됨으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더욱 빨리 분해되게 된다.A stirrer 40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hydrator 300. The stirrer 400 is charged with food debris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from the dehydrator 300, and the stirrer 400 stirs the introduced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are mixed in the stirrer 400, and the food waste is decomposed more quickly.

상기 교반기(400)는 미생물 주입수단(500)과 연결된다.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500)는 상기 교반기(400)의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키는 미생물을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The stirrer 400 is connected to the microorganism injection unit 500. The microorganism injecting unit 500 injects microorganisms for decomposing food waste into the stirrer 400.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원판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커터 외주면에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분쇄 톱니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분쇄 톱니 사이의 커터 외주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라운드진 반원형상을 가짐으로 인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커터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원활하게 분쇄할 수 있다.
Therefore, a plurality of grinding teeth having a triangular shape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lurality of cutters having a disk shape for grinding food garbag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tter between the plurality of grinding teeth has a semicircular shape round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food garbage can be smoothly crushed by preventing the food garbage from adhering to the cutt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제1분쇄 커터부 12 : 제1커터
14 : 제2커터 16 : 제1장착축
20 : 제2분쇄 커터부 22 : 제3커터
24 : 제4커터 26 : 제2장착축
30 : 프레임 40 : 구동모터
100 : 하우징 110 : 투입구
120 : 배출구 200 : 분쇄기
210 : 제1분쇄 커터부 220 : 제2분쇄 커터부
230 : 프레임 240 : 구동모터
300 : 탈수기 310 : 내부 탈수통
320 : 외부 탈수통 330 : 슬라이드 부재
400 : 교반기 500 : 미생물 주입수단
10: first crushing cutter section 12: first cutter
14: second cutter 16: first mounting shaft
20: second crushing cutter section 22: third cutter
24: fourth cutter 26: second mounting shaft
30: frame 40: drive motor
100: housing 110: inlet
120: outlet 200: crusher
210: first crushing cutter 220: second crushing cutter 220:
230: frame 240: drive motor
300: Dehydrator 310: Internal dehydrator
320: External dewatering tank 330: Slide member
400: stirrer 500: microorganism injection means

Claims (13)

상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분쇄기에 있어서,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1분쇄 톱니가 원판형상의 제1몸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커터와, 원판형상으로 상기 제1몸체의 원주보다 작은 원주를 가지는 제2몸체의 외주면에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2분쇄 톱니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커터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커터와, 상기 제1커터와 상기 제2커터를 고정하는 제1장착축을 포함하는 제1분쇄 커터부;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3분쇄 톱니가 원판형상의 제3몸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3커터와, 원판형상으로 상기 제3몸체의 원주보다 작은 원주를 가지는 제4몸체의 외주면에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4분쇄 톱니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커터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4커터와, 상기 제3커터와 상기 제4커터를 고정하는 제2장착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쇄 커터부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분쇄 커터부;
상기 제1장착축과 상기 제2장착축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제1장착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1장착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분쇄기.
1. A pulverizer for pulverizing and discharging food garbage into a lower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grinders each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ody in the form of a disk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second cutters each hav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second body having a circular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A plurality of second cutter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nd having a triangular shape on the first cutter and provided between the first cutters and a first mounting shaft for fixing the first cutter and the second cutter A first grinding cutter portion;
A plurality of third grinders each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arranged in the form of a disk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dy at regular intervals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ourth body having a circular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body, And a second mounting shaft for fixing the third cutter and the fourth cutter, wherein the fourth cutter includes a plurality of fourth crushing teeth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 second grinding cutter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grinding cutter part;
A frame suppor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from below; And
And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shaft and rota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 커터부의 상기 제1분쇄 톱니와 상기 제2분쇄 커터부의 상기 제4분쇄 톱니 및 상기 제1분쇄 커터부의 제2분쇄 톱니와 상기 제2분쇄 커터부의 제3분쇄 톱니는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rushing teeth of the first crushing cutter portion and the fourth crushing teeth of the second crushing cutter portion and the second crushing teeth of the first crushing cutter portion and the third crushing teeth of the second crushing cutter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Features a grin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분쇄 톱니 사이의 제1커터, 제2분쇄 톱니 사이의 제2커터, 제3분쇄 톱니 사이의 제3커터 및 제4분쇄 톱니 사이의 제4커터의 외주면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라운드진 반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분쇄 톱니, 제2분쇄 톱니, 제3분쇄 톱니 및 상기 제4분쇄 톱니와 상기 반원형상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utter between the respective first crush teeth, the second cutter between the second crush teeth, the third cutter between the third crush teeth, and the fourth cutter between the fourth crush teeth, Having a semicircular shape,
Wherein the first crushing tooth, the second crushing tooth, the third crushing tooth and the fourth crushing tooth and the semicircular shape have the same siz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커터와 상기 제2커터 및 제3커터와 제4커터에는 각각 상기 제1장착축과 제2장착축이 관통하는 제1, 제2, 제3, 제4관통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1, 제2, 제3, 제4관통홀에는 각각 제1, 제2, 제3, 제4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장착축과 제2장착축의 둘레면에는 상기 각각의 제1, 제2, 제3, 제4키홈과 대응되는 제1, 제2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utter, the second cutter, the third cutter and the fourth cutter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mounting shaft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are respectively passed, Second, third, and fourth keyways are formed i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through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shafts, respectively, 1, and second, third, and fourth keyways,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장착축과 상기 제2장착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단에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돌출단과,
상기 복수개의 돌출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1장착축과 상기 제2장착축을 상기 돌출단에 장착시키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분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is equipped with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The support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projecting ends which are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both ends of the frame,
And a mounting member mounted to the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the mounting member moun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to the protruding en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돌출단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재의 중앙에는 상기 제1장착축 또는 제2장착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둘레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mounting member is mounted to the protruding end using fastening means, and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rst mounting shaft or the second mounting shaft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member, and a bearing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Wherein the pulverizer is a pulverizer.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이격되게 구비되는 분쇄 커터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분쇄 커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분쇄 톱니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투입구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분쇄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
상기 탈수기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탈수기에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하는 교반기; 및
상기 교반기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키는 미생물을 투입하는 미생물 주입수단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 housing having an upper portion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food waste is injected and a lower portion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pulverized food waste is discharged;
And a grinding cutt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triangular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grinding cutter portion by rotating the grinding cutter portion to grind the food garbage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housing, A crusher;
A dehydrato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for removing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ground by the crusher;
A stirr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hydrator and stirring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s from which moisture is removed from the dehydrator; And
And a microorganism injecting means for injecting microorganisms for decomposing food garbage into the inside of the stirr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1분쇄 톱니가 원판형상의 제1몸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커터와, 원판형상으로 상기 제1몸체의 원주보다 작은 원주를 가지는 제2몸체의 외주면에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2분쇄 톱니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커터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커터와, 상기 제1커터와 상기 제2커터를 고정하는 제1장착축을 포함하는 제1분쇄 커터부와;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3분쇄 톱니가 원판형상의 제3몸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3커터와, 원판형상으로 상기 제3몸체의 원주보다 작은 원주를 가지는 제4몸체의 외주면에 삼각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4분쇄 톱니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커터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4커터와, 상기 제3커터와 상기 제4커터를 고정하는 제2장착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쇄 커터부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분쇄 커터부와;
상기 제1장착축과 상기 제2장착축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1장착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1장착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분쇄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above-
A plurality of first grinders each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ody in the form of a disk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second cutters each hav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second body having a circular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A plurality of second cutter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nd having a triangular shape on the first cutter and provided between the first cutters and a first mounting shaft for fixing the first cutter and the second cutter A first grinding cutter portion;
A plurality of third grinders each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arranged in the form of a disk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dy at regular intervals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ourth body having a circular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body, And a second mounting shaft for fixing the third cutter and the fourth cutter, wherein the fourth cutter includes a plurality of fourth crushing teeth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 second grinding cutter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grinding cutter part;
A frame suppor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and the second mounting shaft from below;
And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shaft and rotating the first mounting shaf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분쇄 톱니 사이의 제1커터, 제2분쇄 톱니 사이의 제2커터, 제3분쇄 톱니 사이의 제3커터 및 제4분쇄 톱니 사이의 제4커터의 외주면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라운드진 반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분쇄 톱니, 제2분쇄 톱니, 제3분쇄 톱니 및 상기 제4분쇄 톱니와 상기 반원형상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utter between the respective first crush teeth, the second cutter between the second crush teeth, the third cutter between the third crush teeth, and the fourth cutter between the fourth crush teeth, Having a semicircular shape,
Wherein the first crushing teeth, the second crushing teeth, the third crushing teeth, the fourth crushing teeth and the semicircular shape have the same siz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 커터부의 상기 제1분쇄 톱니와 상기 제2분쇄 커터부의 상기 제4분쇄 톱니 및 상기 제1분쇄 커터부의 제2분쇄 톱니와 상기 제2분쇄 커터부의 제3분쇄 톱니는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rushing teeth of the first crushing cutter portion and the fourth crushing teeth of the second crushing cutter portion and the second crushing teeth of the first crushing cutter portion and the third crushing teeth of the second crushing cutter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Food waste disposal device characteriz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탈수기는,
원통형상의 몸체를 가지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단 하부 둘레면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시키는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내부 탈수통과,
원통형상으로 상기 내부 탈수통의 일단을 외측에서 감싸고, 일단에는 상기 내부 탈수통이 삽입되는 개방부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내부 탈수통에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외부 탈수통과,
상기 내부 탈수통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내부 탈수통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dehydrator comprises:
And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charging part for charging pulverized food wast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housing, and a low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 discharg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pulverized food waste The inner dewatering passage in which the discharge holes are formed,
The inner dewatering contain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inner dewatering container is inserted, and at the other end, an outer dewatering device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food garbage from which the moisture is removed in the inner dewatering container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Pass,
And a slide member that slides inside the inner dewatering tub and discharges the food wastes introduced into the inner dewatering tub to the outle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탈수기는 상기 개방부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ehydrator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and is inclined so that the outlet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부 탈수통에는 상기 내부 탈수통에서 제거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rain hole is formed in the outer dewatering tank to discharge moisture removed from the inner dewatering tank to the outside.
KR1020130138997A 2013-11-15 2013-11-15 Pulverizer and disposal equipment for food waste matters by using the same KR201500562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997A KR20150056249A (en) 2013-11-15 2013-11-15 Pulverizer and disposal equipment for food waste matters b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997A KR20150056249A (en) 2013-11-15 2013-11-15 Pulverizer and disposal equipment for food waste matters by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249A true KR20150056249A (en) 2015-05-26

Family

ID=5339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997A KR20150056249A (en) 2013-11-15 2013-11-15 Pulverizer and disposal equipment for food waste matters b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624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15A1 (en) * 2016-01-08 2017-07-13 선보공업주식회사 Device for treating ballast water by using ozone and ultraviolet (uv) irradi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15A1 (en) * 2016-01-08 2017-07-13 선보공업주식회사 Device for treating ballast water by using ozone and ultraviolet (uv) irradi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670B1 (en) Household food handler
JP4959820B2 (en) Transfer unit equipped with a rotor an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00004590A (en) Canister for receiving food waste
JPH03245855A (en) Garbage pulverizing apparatus
KR102244898B1 (en) Apparatus for Reducing Food Wastes
KR101667958B1 (en) Device for crushing and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 having the same
KR101410362B1 (en) Apparatus for grinding food waste
KR101967687B1 (en) Food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Crushing and Agitating Food Through Rotation of Inside Cylinderical Member
KR20150033003A (en) food waste treatment equipment
KR20150056249A (en) Pulverizer and disposal equipment for food waste matters by using the same
KR200425462Y1 (en) Screw Conveyor of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KR20070082135A (en) Apparatus for garbage processing
KR100874146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1554701B1 (en) Disposer
KR101652706B1 (en) Food disposer comprising assembly cutter
KR101676645B1 (en) Food disposer comprising multiple crushing blades and anvil between crushing blades
KR20100041612A (en) Transfer and pulverizing furnace of garbage disposing apparatus
KR101581259B1 (en) Apparatus removing and dry of adulterated thing using microwave
KR101555946B1 (en) Crusher for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200245093Y1 (en) A Garbage disposer
KR20230041420A (en) Grinding and stirring means for food waste disposer
KR101020458B1 (en) Treatment apparatus of food waste
KR20230041419A (en) Means for crushing food waste disposers
KR100650132B1 (en) Apparatus for proceeding garbage with smasher
KR101807831B1 (en) adulteration 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