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212A - 자세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212A
KR20150056212A KR1020130138912A KR20130138912A KR20150056212A KR 20150056212 A KR20150056212 A KR 20150056212A KR 1020130138912 A KR1020130138912 A KR 1020130138912A KR 20130138912 A KR20130138912 A KR 20130138912A KR 20150056212 A KR20150056212 A KR 20150056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libration
unit
pair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필
Original Assignee
이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필 filed Critical 이정필
Priority to KR102013013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6212A/ko
Publication of KR20150056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교정유닛;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싱유닛;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시 센싱유닛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시그널램프;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센싱유닛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가 불균형할 경우, 센싱유닛에 의해 시그널램프가 무게가 편중된 방향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 신체 무게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세교정장치{An Apparatus for Proofreading a Posture}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균형상태를 감지하여 신체의 일정한 자세를 유도하게 할 수 있는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달과 생활 습관의 변화에 따라 현대인들이 의자에 앉아 보내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으며,이에 따라 의자의 형상이나 기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또한 상당하다 할 것이다. 그럼에도, 통상적인 의자들은 인체의 일부를 받쳐주는 역할만을 할 뿐이고 오히려 인체 특히, 요추를 변형시켜 요통 등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많은 인체 공학적인 구조를 갖는 의자들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나, 이들은 단지 인체의 일부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데 만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의자에 앉아 장시간 동안 근무를 하게 되면 심신의 피로가 누적되어 쉽사리 피곤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심신의 피로를 풀어주지 못하고 계속 누적되는 경우에는 요통을 유발시킴은 물론 심하게는 하나의 병으로 까지 발전시키는 일일 종종 있었다.
이에 따라 의자에 착석시 균형잡힌 올바른 몸 자세를 유지시켜줌으로써 장시간 동안 앉아 있어도 편안함을 느낄수 있는 자세교정기구 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가 지면 또는 의자에 불균형한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 발의 자세를 조정함으로써 신체의 올바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신체의 무게중심이 일방으로 집중되어 신체의 균형이 무너진 경우, 일측에 집중되는 무게를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할 수 있도록 신체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교정유닛;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싱유닛;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시 센싱유닛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시그널램프;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센싱유닛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교정유닛은 그 일부분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교정유닛은, 힌지부를 포함하는 교정몸체; 상기 교정몸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교정몸체에서 상기 가이드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교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 한쌍이 상호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이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교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 한쌍이 서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복원력을 갖도록 탄성지지된다.
상기 교정유닛은 한쌍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0~20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교정유닛과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평면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센싱유닛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내부에 구비되는 압력센서이다.
상기 시그널램프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플레이트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는 4개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사각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정유닛의 교정몸체는 사각형의 공간내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사각형의 공간을 벗어나도록 연장된다.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한쌍의 시그널램프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외력에 의한 변형과 복원이 가능하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개재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신체가 불균형할 경우, 센싱유닛에 의해 시그널램프가 무게가 편중된 방향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 신체 무게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교정유닛이 구비되어 사용자 발의 복사뼈와 귀불이 일직선상에 놓일수 있도록 안내하므로 신경계 및 근골격계 등의 문제점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교정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교정유닛의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세교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의자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교정유닛의 동작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교정유닛의 사용예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의자에 앉아서 신체적인 균형을 유지하면서 독서를 하거나, 업무를 보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 이런 앉은 자세로의 일상 생활로 인해 척추와 다리의 근력에 무리가 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신체의 좌우 균형을 잘 맞출 경우 집중력 향상, 학습 능력, 업무 능력 증진의 큰 이익을 가져 온다.
먼저, 좌판(100)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체중을 떠받쳐준다. 좌판(100)은 사용자의 체중을 보다 더 넒고 고르게 분산시켜 신체의 피로함을 줄일 수 있게 설계되며,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우레탄 등의 플라스틱, 목제, 철재, FRP 등을 이용하여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좌판(100)은 착석시 쾌적함을 주면서 신체의 피로함을 줄일 수 있는 섬유 등의 재질을 성형폼에 덧씌워 제작할 수 있다. 좌판 지지수단(200)은 좌판(100) 하부의 모서리단에 부착되며, 적어도 복수개의 좌판 지지수단(200)이 좌판(100) 하부에 부착되는 것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의자 구조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는 경우 체중은 의자의 좌판(100)을 통해 좌판 지지수단(200)에 분배되나 그 무게가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중추신경계 및 근 골격계에 이상이 있을 때 건강인보다 좌우의 하중분배에서 불균형은 더욱 심하게 일어나는데, 체중이 중심선에서 좌우, 앞뒤로 얼마나 벗어났나를 측정하여 자세 균형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거나 이를 교정하는 기기를 자세균형 측정 시스템 또는 자세교정장치라 하며 재활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레이트(300,400); 상기 플레이트(300,400) 상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교정유닛; 상기 플레이트(300,4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300,40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싱유닛(340); 상기 플레이트(300,400)에 구비되어 상시 센싱유닛(340)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시그널램프(330); 및 상기 플레이트(300,400)에서 상기 센싱유닛(340)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체결부(31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300,400)는 일정한 평면과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레이트(300,400)의 평면에는 교정유닛(320) 등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체결부(310)는 좌판 지지수단(200)이 플레이트(300,400)에 결합되기 위한 매개체가 된다.
체결부(31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교정유닛(320)과 상기 플레이트(300,40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300,400)의 평면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310)는 4개가 구비되며 플레이트(300,400)의 일측 공간에 사각형의 모서리를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10)은 일측에 상기 플레이트(300,400)의 일측 방향에 구비된 제1,2체결부(311,312) 및 상기 플레이트(300,400)의 타측 방향에 구비된 제3,4체결부(313,3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310)는 4개가 상기 플레이트(300,400) 상에서 사각형의 공간(S)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교정유닛(320)의 교정몸체(321)는 사각형의 공간(S)내에 위치되며 가이드부(325)는 적어도 일부가 사각형의 공간을 벗어나도록 연장된다.
이는 상기 플레이트(300,400) 상에 의자가 배치될 경우, 사용자의 발이 상기 체결부(310)가 형성하는 공간의 경계에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의 발과 이를 가이드하는 교정유닛(320)은 그 일부가 상기 사각형의 공간(S)을 벗어나도록 구비되어야만 원활히 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300,400)는 제1플레이트(300)와 제2플레이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300)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외력에 의한 변형과 복원이 가능하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300)와 제2플레이트(400) 사이에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00,400)가 외력에 의한 변형 또는 복원이 일어나거나 플레이트(300,400)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은 압력 집중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고 압력 변화가 센싱유닛(340)에 원활히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센싱유닛(340)은 상기 플레이트(300,400)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310)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한쌍의 시그널램프(330)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그널램프(330)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1시그널램프(331)와 제2시그널램프(3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센싱유닛(340)에서 일부 센싱유닛(340)에 전달되는 압력이 다른 센싱유닛(340)에 전달되는 압력보다 큰 경우, 센싱유닛(340)에서는 압력이 큰 센싱유닛(340)의 방향으로 구비된 시그널램프(330)에 전류를 공급하여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체의 불균형이 어떠한 형태로 유지되는지 시그널램프(330)의 동작으로 파악하여 신체의 균형을 개선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교정유닛(320)은 그 일부분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교정유닛(320)은, 힌지부(C)를 포함하는 교정몸체(321); 상기 교정몸체(321)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325); 및 상기 교정몸체(321)에서 상기 가이드부(325)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3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부(325)는 한쌍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교정유닛(320)은 상기 가이드부(325) 한쌍이 상호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325)의 선단이 상기 플레이트(300,400)의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25)와 상기 지지부(323) 사이에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게 되는데, 양 발은 그 외측 가장자리가 상호 평행할때, 신체의 균형을 이루는데 도움을 주게되고, 중추신경계 및 근 골격계의 이상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때, 양발의 복사뼈와 귀불은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교정유닛(320)은 상기 가이드부(325) 한쌍이 서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복원력을 갖도록 탄성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의 포지션이 신체의 균형을 잘 잡도록 유지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교정유닛(320)은 한쌍이 상기 힌지부(C)를 중심으로 기준면(L)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a)만큼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한 각도는(a) 0~20도 범위내에서 설계조건에 따라 선정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발이 교정유닛(320)에 배치될 때 발과 교정유닛(320)의 정렬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교정유닛(320)에 발을 넣게 되면, 양 발이 벌어진 상태로 교정유닛(320)을 맞닿게 되는데 이때 교정유닛(320)은 회전되어 발이 교정유닛(320)의 측면에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교정유닛(320)은 복원력에 의해 양발의 외측 가장자리가 서로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복원되게 된다.
상기 센싱유닛(340)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체결부(310)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레이트(300,400) 내부에 구비되는 압력센서이다. 실시예에서 센싱유닛(340)은 상기 체결부(310)에 대응되어 4개의 압력센서로 구비된다. 그러나 센싱유닛(340)은 일부가 상기 체결부(310)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나머지는 상기 체결부(310)에서 이격되어 상기 플레이트(300,4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시그널램프(33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플레이트(300,400)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시그널램프(330)는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상기 플레이트(300,4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쪽에 편중되었는지를 알려주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불균형할 경우, 센싱유닛(340)에 의해 시그널램프(330)가 무게가 편중된 방향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 신체 무게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교정유닛(320)이 구비되어 사용자 발의 복사뼈와 귀불이 일직선상에 놓일수 있도록 안내하므로 신경계 및 근골격계 등의 문제점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300: 제1플레이트 310: 체결부
320: 교정유닛 321: 교정몸체
323: 지지부 325: 가이드부
330: 시그널램프 340: 센싱유닛
400: 제2플레이트

Claims (13)

  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교정유닛;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싱유닛;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시 센싱유닛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시그널램프;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센싱유닛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교정유닛은 그 일부분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세교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유닛은,
    힌지부를 포함하는 교정몸체;
    상기 교정몸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교정몸체에서 상기 가이드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 한쌍이 상호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이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세교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 한쌍이 서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복원력을 갖도록 탄성지지되는 자세교정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유닛은 한쌍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0~20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세교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교정유닛과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평면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자세교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유닛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내부에 구비되는 압력센서인 자세교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램프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플레이트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자세교정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4개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사각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정유닛의 교정몸체는 사각형의 공간내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사각형의 공간을 벗어나도록 연장되는 자세교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한쌍의 시그널램프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자세교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외력에 의한 변형과 복원이 가능하능하도록 구비되는 자세교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자세교정장치.

KR1020130138912A 2013-11-15 2013-11-15 자세교정장치 KR20150056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912A KR20150056212A (ko) 2013-11-15 2013-11-15 자세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912A KR20150056212A (ko) 2013-11-15 2013-11-15 자세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212A true KR20150056212A (ko) 2015-05-26

Family

ID=5339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912A KR20150056212A (ko) 2013-11-15 2013-11-15 자세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62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0600A (zh) * 2015-03-16 2015-06-10 杭州瑞德设计股份有限公司 人体远距离识别监测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0600A (zh) * 2015-03-16 2015-06-10 杭州瑞德设计股份有限公司 人体远距离识别监测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303B2 (en) Customizable chair with multipoint adjustment
JP5608369B2 (ja) バランスの取れた二足姿勢を検出するための動的姿勢器具
US8864230B2 (en) Ergometric chair apparatus
US9254042B2 (en) Backrest member including an adjustable platform for use with a chair
KR20110137681A (ko) 인체공학적 체형 보정기구
CN107495705A (zh) 一种多功能坐姿矫正二联垫
WO2019064321A1 (en) PERSONALIZED PELVIC SUPPORT FOR CORRECTING AN ASSISTED POSITION
Lee et al. Analysis of body imbalance in various writing sitting postures using sitting pressure measurement
KR100992102B1 (ko) 자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31519B1 (ko) 척추 질환의 예방을 위한 좌석 장치
JP2022552399A (ja) ヒトの骨盤の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装置
KR20150056212A (ko) 자세교정장치
KR101527933B1 (ko) 환자 맞춤형 자세 교정 의자
KR20160069699A (ko) 바른 자세 유지용 의자
KR20180126709A (ko) 척추 상태 측정용 등받이 및 척추 교정 스트레칭 기구
US20200085665A1 (en) Sport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cervical vertebrae
KR102472959B1 (ko) 자세교정용 의자
Gagnon et al. Adaptation of a seated postural control measure for adult wheelchair users
KR101070103B1 (ko) 자세교정 의자
US10507360B2 (en) Posture correction and weight balance apparatus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Samuelsson et al. The effect of shaped wheelchair cushion and lumbar supports on under-seat pressure, comfort, and pelvic rotation
KR20170029145A (ko)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KR20200017894A (ko) 척추 맞춤형 의자
Hyeong et al. Development of Tilting Chair for Maintaining Working Position at Reclined Pos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