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621A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621A
KR20150054621A KR1020140027383A KR20140027383A KR20150054621A KR 20150054621 A KR20150054621 A KR 20150054621A KR 1020140027383 A KR1020140027383 A KR 1020140027383A KR 20140027383 A KR20140027383 A KR 20140027383A KR 20150054621 A KR20150054621 A KR 20150054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colate
unit
food material
supply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미경
심현옥
오수민
이예나
Original Assignee
정미경
이예나
심현옥
오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경, 이예나, 심현옥, 오수민 filed Critical 정미경
Publication of KR2015005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6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8Apparatus for decorat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23G1/20Apparatus for moulding, cutting, or dispensing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5Products for covering, coating, finish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3Products for covering, coating, finish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B65D35/3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cessing shape using food ingredient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for processing shape using food ingredients for forming an object (shape) of food ingredients (for example, chocolate, whipped cream, butter, and cheese) by analyzing and image processing object information (for example, texts, numbers, figures, and images) input by a user. The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user interface part, a supply part, a transfer part, and a control part.

Description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0001]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0002]

본 발명은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가공 대상물 정보(일례로, 텍스트, 숫자, 도형, 이미지 등)를 분석 및 이미지 처리하여 음식 재료(일례로, 초콜릿, 생크림, 버터, 치즈 등)의 피가공 대상물(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food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food materials (for example, an example of a food material) by analyzing and processing image data of object to be processed (for example, text, numbers, (Shape) of a food material such as chocolate, cream, butter, cheese, and the like.

초콜렛은 카카오 반죽에 우유, 버터, 설탕 및 향료 등을 첨가하여 굳힌 과자의 일종이다. 이러한 초콜릿은 코코아, 버터, 야채 지방, 밀크 지방 및 레시틴 등의 유화제와 함께 소정의 비율으로 혼합한다. 블랙 초콜릿은 설탕, 코코아, 버터, 임의 선택으로 다른 지방, 및 코코아의 덩어리를 혼합한 것에 의해 얻어진다. 밀크 초콜릿은 밀크 지방 및 추가 재료로서 비지방 고체물을 포함한다. 화이트 초콜릿은 코코아 분말을 추가하지 않고, 밀크 지방 및 밀크 과오 지방 고체물, 설탕 및 코코아, 버터 및 야채 지방을 포함한다. 초콜릿 혼합물은 천연 코코아, 버터 대신에 대체 지방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대체 지방은 코코아 버터 상당물(CBE), 코코아 버터 대체물(CBS), 코코아 버터 교환물(CBR)의 3개의 분류를 포함한다. 대체 지방의 이러한 다른 타이프의 상세한 논의를, 예를 들면, Traitler,H. 타의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62(2), 417∼21(1985년)등의 다양한 자료로 볼 수 있다.Chocolate is a type of cookie that is hardened by adding milk, butter, sugar and spices to cacao dough. These chocolates are mixed with emulsifiers such as cocoa, butter, vegetable fat, milk fat and lecithin in a predetermined ratio. Black chocolate is obtained by mixing lumps of sugar, cocoa, butter, optionally other fat, and cocoa. Milk chocolate contains milk fat and non-fat solid water as an additional ingredient. White chocolates do not add cocoa powder, but include milk fat and milk short fat solid water, sugar and cocoa, butter and vegetable fats. Chocolate mixtures can also be made using alternative fats instead of natural cocoa and butter. Such alternative fats include three classes of cocoa butter equivalents (CBE), cocoa butter substitutes (CBS), and cocoa butter exchanges (CBR). A detailed discussion of these different types of alternative fats, for example, Traitler, H. ,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62 (2), 417-21 (1985).

이러한 초콜렛은 간식이나 선물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데, 미각 외에도 시각적인 즐거움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된다.These chocolates are used for snacks and gifts, and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to give visual pleasure in addition to taste.

종래의 초콜릿 및 초콜릿 과자는 판상, 입상 또는 그것의 변형인 것이 보통이다. 입체적인 인형이나 동물 새 등의 형태를 얻고 싶은 때는 액상의 원료를 성형틀에 흘려서 출산하고 본을 뜨는 방법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초콜릿 성형 프로세스로는, 우선 초콜릿 혼합물을 약 45℃로 융해하고, 교반하면서 29∼30℃까지 냉각하여 액상 초콜릿을 생성한다. 이때, 액상 초콜릿은 조성에 따라 작은 지방질이 종결정을 형성하고, 액체 초콜릿의 액체 지방질상 전체에 걸쳐 분산된다. 다음에, 상기 액체 초콜릿은 폴리카보네이트제의 성형틀에 주입한다. 이후, 상기 성형틀은 진동하여 액체 초콜릿 내의 기포를 제거함과 동시에 초콜릿을 성형틀의 전체에 골고루 미치게 한다. 다음에, 상기 성형틀과 초콜릿을 냉각하고, 그 초콜릿을 굳히고, 최후에 고체 성형하게 되는 상기 초콜릿을 상기 성형틀으로부터 꺼낸다.Conventional chocolate and chocolate sweets are usually in the form of plates, granules or variations thereof. When you want to obtain three-dimensional dolls or animal birds, use the method of giving the raw material of the liquid to the mold and giving birth to the pattern. Specifically, in a typical chocolate forming process, the chocolate mixture is first melted at about 45 DEG C and cooled to 29 to 30 DEG C with stirring to produce liquid chocolate. At this time, the liquid chocolate forms a seed crystal with a small lipid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and is dispersed throughout the liquid lipid phase of the liquid chocolate. Next, the liquid chocolate is injected into a polycarbonate mold. Then, the mold is vibrated to remove bubbles in the liquid chocolate, and at the same time, the chocolate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mold. Next, the mold and the chocolate are cooled, the chocolate is hardened, and the chocolate which is finally solid-molded is removed from the mold.

이러한 방법은 기 제작된 성형틀에 의해 단일 형상의 초콜릿 및 초콜릿 과자를 제조함으로써, 다른 형상의 초콜릿 및 초콜릿 과자를 제조하기 위해 별도의 성형틀을 제작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별 맞춤식 형상의 초콜릿 및 초콜릿 과자를 제조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In this method, a single shaped chocolate and chocolate confectionery is prepared by the prepared molds, so that not only a separate forming frame is required to produce different shapes of chocolate and chocolate confectionery, There is a limit to the difficulty of producing chocolate confectionery.

본 발명은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가공 대상물 정보(일례로, 텍스트, 숫자, 도형, 이미지 등)를 분석 및 이미지 처리하여 음식 재료(일례로, 초콜릿, 생크림, 버터, 치즈 등)의 피가공 대상물(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food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food materials (for example, an example of a food material) by analyzing and processing image data of object to be processed (for example, text, numbers, (Shape) of a food material such as chocolate, cream, butter, cheese, and the lik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공 장치는, 피가공 대상물 정보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음식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공급부를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어느 한 축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피가공 대상물 정보에 따라,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켜 상기 공급부를 통해 플레이트에 초콜릿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X축과 Y축 상의 일 지점에 상기 초콜릿을 1차 공급하고, 상기 일 지점에서 상기 Z축 상의 좌표를 변경하여 상기 초콜릿을 적어도 1회 2차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user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workpiece; A supply part for supplying the food material; A transfer unit connecting one end of the supply unit and moving the supply unit along at least one of X axis, Y axis, and Z axi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chocolate to the plate through the supply unit by moving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wherein the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supply the chocolate to the first supply And changing the coordinates on the Z-axis at the one point so as to secondarily supply the chocolate at least once.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가공 대상물 정보(일례로, 텍스트, 숫자, 도형, 이미지 등)를 분석 및 이미지 처리하여 음식 재료(일례로, 초콜릿, 생크림, 버터, 치즈 등)의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nd processes an object (for example, text, numbers, figures, images, and the like) inputted by a user and inputs the processed object information (for example, chocolate, fresh cream, butter, cheese, Is 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콜릿 공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하는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하는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도 4의 냉각실에 대한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foo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lying choco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food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food material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food material for molding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FIG. 7 are schematic views of the cooling chamber of FIG.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foo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공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가공 대상물 정보(일례로, 텍스트, 숫자, 도형, 이미지 등)를 분석 및 이미지 처리하여 초콜릿 성분의 피가공 대상물(170)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 가공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X-Y 이송부(130), 구동부(140), 공급부(150), 플레이트(160)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형상 가공 장치(100)의 실제 이미지를 나타낸다.1,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nd processes the workpiece information (for example, text, numbers, figures, images, etc.) So that the workpiece 170 of the chocolate component can be realized.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 X-Y transfer unit 130, a driving unit 140, a supply unit 150, and a plate 160. Figs. 6 and 7 show actual images of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Fig.

본 발명의 형상 가공 장치(100)는 초콜릿, 캔디류, 과자류, 베이커리 재료(생크림, 치즈, 버터 등)의 음식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나, 초콜릿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초콜릿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초콜릿은 카카오 매스, 코코아파우더, 코코아버터, 식용 유지, 당류를 주원료로 하여, 필요에 따라 유제품, 향료 등을 가하고, 초콜릿 제조의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는 카카오매스, 코코아파우더를 사용하지 않은 화이트 초콜릿, 컬러 초콜릿도 포함한다.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food materials such as chocolate, candy, confectionery, bakery material (fresh cream, cheese, butter, etc.), but it is preferable to process chocolate. Here,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chocolat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t this time, the chocolate can be manufactured by adding dairy products, perfumes and the like to the chocolate as a main raw material, using cacao mass, cocoa powder, cocoa butter, edible oil, and saccharides as its main raw materials. This includes cacao mass, white chocolate without cocoa powder, and color chocolate.

피가공 대상물(170)은 플레이트(160) 상에 직접 성형되거나, 별도의 베이스 부재(일례로, 케익, 과자 등)을 플레이트(160) 상에 올려 놓고 베이스 부재 위에 성형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60)는 피가공 대상물(170)의 성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냉각 기능을 구비하여 피가공 대상물(170)을 급랭할 수 있다. 또한, 형상 가공 장치(100)는 피가공 대상물(170)의 성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냉각실(도면에 미도시)을 외부에 형성하여 피가공 대상물(170)을 급랭시킬 수도 있다. 이는 3차원 피가공 대상물(170)을 성형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The workpiece 170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plate 160 or may be formed on the base member by placing a separate base member (e.g., cake, cookie, etc.) on the plate 160. [ At this time, the plate 160 has a cooling function to shorten the forming time of the workpiece 170, so that the workpiece 170 can be quenched.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also cool the workpiece 170 by forming a cooling chamber (not shown) outside to shorten the time for forming the workpiece 170. This can be used when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workpiece 1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제어부(120)와 연동하며, 형상 가공 장치(100)를 운영하기 위한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형상 가공 장치(100)에 의해 초콜릿 과자로 성형될 피가공 대상물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110 is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120 and provides a user input / output interface environment for operating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so that the shape of the workpiece to be formed by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be input from the user.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형상 가공 장치(100) 내부에 컴퓨터 환경이 내장된 형태로 구현되거나, 형상 가공 장치(100) 외부에 있는 통상의 컴퓨터(PC), 노트북 등과 연동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형상 가공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컴퓨터 환경을 구현하는 경우, 형상 가공 장치(100)를 운영하기 위한 소정의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을 해당 컴퓨터에 탑재하여 피가공 대상물 정보를 생성, 수정 및 편집 가능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외부를 통해 형상 가공 장치(100)를 통해 작업 가능한 상태의 피가공 대상물 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110 may be embodied in a form of a computer environment built in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or in a form of interfacing with an ordinary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outside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 In this case, when the computer environment is implemented inside or outside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ransmits predetermined software or application (that is, program) for operating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to the corresponding computer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an environment capable of generating, modifying, and editing workpiece information, but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input and receive workpiece information in a state in which work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outside .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입력된 피가공 대상물 정보를 분석 및 처리하여 X-Y 이송부(130)를 제어함으로써, 플레이트(160) 상에 초콜릿 성분의 피가공 대상물(170)을 성형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공급부(150) 내부에 저장된 초콜릿을 기 설정된 용량으로 외부로 공급하기 위해, 공급부(150)의 피스톤과 연결된 구동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초콜릿은 구동부(140)에 연결된 피스톤(251)의 상하 이동 운동에 의해, 외부의 플레이트(160) 상으로 공급된다.The control unit 120 analyzes and processes the workpiece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o control the XY transfer unit 130 to mold the workpiece 170 of the chocolate component on the plate 16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piston of the supply unit 150 to supply the chocolate stored in the supply unit 150 to the outside with predetermined capacity. Here, the chocolate is supplied onto the outer plate 160 by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iston 251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140.

제어부(120)는 소정의 이상 발생(일례로, 초콜릿 경화 등)으로 인해 구동부(140)에 연결된 피스톤(251)의 상하 이동 운동이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 통신부(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단문 메시지 등)를 송신할 수 있다.
When the piston 251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40 is difficult to move up and down due to a predetermined abnormality such as chocolate hardening, the control unit 120 may use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E.g., a short message).

X-Y 이송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X-Y 좌표 평면을 기준으로 X축 및 Y축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X-Y 이송부(13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플레이트(160)의 전체 면적상을 커버하는 범위에서 동작하거나, 플레이트(160)의 테두리에 소정의 여백을 갖는 범위 내에서 제한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The X-Y transfer unit 130 moves along the X-axis and the Y-axis with reference to the X-Y coordinate pla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t this time, the XY transfer unit 130 may operate in a range covering the entire area of the plate 160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or may be limited in a range having a predetermined margin at the edge of the plate 160 .

X-Y 이송부(130)는 2차원 피가공 대상물(170)을 성형하는 경우, X-Y 좌표 평면을 기준으로 이동하나,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하려는 경우 별도의 Z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two-dimensional workpiece 170 is to be formed, the X-Y transfer unit 130 moves based on the X-Y coordinate plane. However, when the three-dimensional workpiece is to be formed, the X-Y transfer unit 130 can move along another Z axi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구동부(140)는 공급부(150)의 피스톤을 상하로 운동시켜 공급부(150) 내의 초콜릿을 플레이트(160) 상에 공급한다. 이러한 구동부(140)는 X-Y 이송부(130)에 장착되어 공급부(150)의 피스톤과 상호 연동한다. 일례로, 구동부(140)는 공급부의 피스톤과 렉기어 체결을 통해 모터의 회전 운동을 피스톤의 상하 운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40 moves the piston of the supplying unit 150 up and down to supply the chocolate in the supplying unit 150 onto the plate 160. The driving unit 140 is mounted on the X-Y transfer unit 130 and interacts with the piston of the supply unit 150.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40 can chang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to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iston through the coupling of the piston and the lever gear of the supply unit.

공급부(150)는 구동부(140)와 함께 X-Y 이송부(130)에 장착되며, 내부에서 구동부(140)에 연결된 피스톤(151)이 상하로 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X-Y 이송부(130)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화이트, 밀크, 블랙 초콜릿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X-Y 이송부(130)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여 공급부(150) 각각에 장착함으로써, 공급부(150) 각각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ly unit 150 is mounted on the X-Y transfer unit 130 together with the drive unit 140 and the piston 151 connected to the drive unit 140 can move up and down. Here, the supply unit 150 may be mounted on the X-Y transfer unit 130 at least one, and may supply white, milk, and black chocolate as needed. At this time, the X-Y transfer unit 130 is vertically rotatable and mounted on each of the supply units 150, so that each of the supply units 150 can be easily replaced.

또한, 공급부(150)는 초콜릿을 플레이트(160) 상에 공급하는 끝단(즉, 플레이트(160)측 방향)에 초콜릿을 정밀하게 공급하기 위한 노즐부(152)를 형성한다. 여기서, 노즐부(152)는 공급부(150)에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나사 결합을 통해 분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supply unit 150 also forms the nozzle unit 152 for precisely feeding the chocolate to the end (that is, the side of the plate 160) at which the chocolate is supplied onto the plate 160. Here, the nozzle unit 15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ly unit 150, or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state through a screw connection.

공급부한편, 공급부(150)는 내부에 액화 상태 및/또는 겔(gel)화 상태의 초콜릿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공급부(150)는, 고체 상태의 초콜릿을 공급받은 후 노즐부(352)로 배출할 때 액상 및/또는 겔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초콜릿이 공급되는 경로 상에는 점도조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Feeding part Meanwhile, the feeding part 150 may contain chocolate in a liquefied state and / or a gel state. The supply unit 150 may be liquid and / or gel-like when it is discharged into the nozzle unit 352 after being supplied with the solid state chocolate. A viscosity adjust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chocolate is supplied.

점도조절장치는, 공급부(150)를 통해 공급되는 초콜릿이 액상 및/또는 겔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액상 및/또는 겔 상의 초콜릿을 공급받은 경우에는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외부에서 고상의 초콜릿을 공급받은 경우에는 액상 및/또는 겔 상으로 초콜릿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The viscosity adjusting device may be a device for causing the chocolate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art 150 to be maintained in a liquid state and / or a gel state.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liquid and / or gelatinous chocolate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state can be maintained. Alternatively, when a solid chocolate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state of the chocolate can be changed in liquid and / or gel form.

점도조절장치는,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도조절장치는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장치의 동작 상태, 초콜릿의 상태 등에 따라 점도조절장치가 동작하거나 동작이 정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액상 및/또는 겔상의 초콜릿의 점도는, 온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노즐부(342)를 통해 프린팅하기에 최적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점도조절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viscosity adjusting device can be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part 320. [ For example, the viscosity regulator may be selectively operated. That is, it means that the viscosity adjusting device can be operated or the operation can be stopp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the state of the chocolate, and the like. The viscosity of the liquid and / or gelatinous chocolate may var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3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iscosity adjusting device to maintain an optimum viscosity for printing through the nozzle unit 342. [

점도조절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부(150) 내부에서 초콜릿의 경화를 방지하고, 피가공 대상물(170)의 가공이 용이한 초콜릿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열(heat)을 가하는 히팅부(153)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부(153)는 공급부(15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히팅부(153)는 노즐부(15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히팅부(153)는 열전소자(thermoelectric module, 펠티어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viscosity regulating device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be a heating unit 153 for applying heat to prevent the curing of chocolate within the supply unit 150 and to maintain the state of chocolate in which the object to be processed 170 is easy to process. At this time, the heating unit 153 may be installed inside and / or outside the supply unit 150. The heating unit 153 may be installed inside and / or outside the nozzle unit 152. Here, the heating unit 153 may be configured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Peltier element).

한편, 히팅부(153)는 공급부(150)의 동심축에 열선 형태로 삽입하여 초콜릿의 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도면에 미도시). 여기서, 열선은 스크류 형태의 나선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도면에 미도시).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unit 153 can be inserted into the concentric shaft of the supply unit 150 in the form of a heat line to prevent the chocolate from hardening (not shown). Here, the hot wire can be rotated in the screw-shaped helical direction (not shown in the drawing).

여기서, 제어부(120)는 온도센서(154)를 통해 공급부(15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초콜릿의 온도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최적의 온도(일례로, 30℃∼40℃ 사이)로 초콜릿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120 senses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chocolate stored in the supply unit 150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54 to maintain the chocolate state at an optimal temperature (for example, between 30 ° C and 40 ° C) .

특히, 히팅부(153)로 최적의 온도(일례로, 30℃∼40℃ 사이)를 유지하여 공급부(150) 또는 노즐부(152) 내부의 초콜릿이 굳어지지 않고 가공하기 좋은 겔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part 153 maintain an optimum temperature (for example, between 30 ° C and 40 ° C) so that the chocolate in the supply part 150 or the nozzle part 152 is maintained in a gel state .

즉, 품질 좋은 피가공 대상물(170)을 형성하기 위해 초콜릿의 점도 유지가 중요하다. 초콜릿의 점도가 낮으면 공급부(150) 외부로 초콜릿이 많이 분출되어 미세한 가공이 어렵다. 또한 초콜릿의 점도가 높으면 공급부(150) 외부로 초콜릿의 분출이 원활하지 않아 간헐적인 미가공 구간이 생긴다. 따라서, 공급부(150) 내부의 초콜릿이 가공하기 좋은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 초콜릿 점도 측정 방법이 필요하다.That i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viscosity of the chocolate in order to form a high quality workpiece 170. If the viscosity of the chocolate is low, a lot of chocolate is ejected to the outside of the feeding unit 150, and fine processing is difficult. Also, if the viscosity of the chocolate is high, the ejection of the chocolate out of the feeding part 150 is not smooth, resulting in an intermittent unprocessed section. Therefore, a method of measuring the viscosity of chocolate is needed to maintain a good viscosity of the chocolate inside the feeder 150.

상기 초콜릿 점도 측정 제1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제어부(120)가 구동부(140)의 부하신호를 계산하여 공급부(150) 내부의 초콜릿 점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어서, 초콜릿 점도 측정 제2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제어부(120)가 피스톤(151)의 이동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여 공급부(150) 내부의 초콜릿 점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초콜릿 점도 측정 제3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공급부(150)의 외부로 초콜릿이 나올 때 속도를 센서로 측정하여 초콜릿 점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calculate the viscosity of chocolate in the supply unit 150 by calculating the load signal of the driving unit 140. Next, the second method of measuring the viscosity of chocolate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ler 120 may measure the viscosity of the chocolate in the supply unit 150 by calculating the moving distance and the speed of the piston 151. In addition, the third method for measuring the viscosity of chocolate will be described. The chocolate viscosity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speed with the sensor when the chocolate comes out of the supply unit 150.

초콜릿 점도가 높으면, 상기 제어부(120)는 히팅부(153)의 온도를 높이여 공급부(150) 내부의 초콜릿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초콜릿 점도가 낮으면, 상기 제어부(120)는 히팅부(153) 가동을 멈추어 초콜릿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냉각부(미도시)를 가공하여 초콜릿 점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If the viscosity of the chocolate is high, the controller 120 can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153 to adjust the viscosity of the chocolate in the supply unit 150. On the contrary, when the chocolate viscosity is low, the controller 120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153 and adjust the viscosity of chocolat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0 may adjust the viscosity of chocolate by processing a cooling unit (not shown).

한편, 제어부(120)는 X-Y 이송부(130)를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X-Y transfer unit 130 as follows.

제어부(120)는 거리 측정 센서(도면에 미도시)(일례로, 초음파, 적외선 센서 등)를 이용하여 피가공 대상물(170)과 노즐부(15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며, 그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피가공 대상물(170)을 제작할 수 있다. 이는 플레이트(160) 상에 별도의 베이스 부재(도면에 미도시)가 올려져 베이스 부재 위에 피가공 대상물(170)을 제작할 때, 노즐부(152)와 피가공 대상물(170) 간에 충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X-Y 이송부(130)는 Z축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제작된다.The control unit 12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piece 170 and the nozzle unit 152 using a distance measuring sensor (not shown) (for example, an ultrasonic wave or an infrared ray sensor) The workpiece 170 can be manufactured while keeping the gap. This prevents the collision between the nozzle unit 152 and the workpiece 170 when the workpiece 170 is formed on the base member by mounting a separate base member (not shown) on the plate 160 It is for this reason. At this time, the X-Y transfer part 130 is made movable in the Z-axis direction.

제어부(120)는 X-Y 이송부(130)의 기 설정된 기준점(X0,Y0), X-Y 이송부(130)의 X축 이동범위(X0∼Xn) 및 Y축 이동 범위(Y0∼Yn)에 기초하여, 플레이트(160) 상에서 X-Y 이송부(130)의 위치값[즉, 좌표값 (X,Y)]을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XY transfer unit 130 based on the preset reference points X0 and Y0 of the XY transfer unit 130, the X axis movement ranges X0 through Xn and the Y axis movement ranges Y0 through Yn of the XY transfer unit 130, (X, Y) of the XY transferring unit 130 on the XY transferring unit 160.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입력된 피가공 대상물 정보를 분석 및 처리하여 플레이트(160) 상의 초콜릿을 공급할 위치값을 확인한 후, 해당 위치값에 따라 X-Y 이송부(130)를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 피가동 대상물을 구현한다. The control unit 120 analyzes and processes the workpiece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o check the position value to supply the chocolate on the plate 160 and then controls the XY transfer unit 130 according to the position value.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implement the object to be mov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제공된 화면 영역에서 피가공 대상물 정보로서 "ㄱ" 입력하면, 제어부(120)는 화면영역(즉, X-Y 좌표평면)에 대응된 피가공 대상물 정보 "ㄱ"의 좌표값을 분석한다.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화면영역에 피가공 대상물 정보 "ㄱ"이 "(1,3), (2,3), (3,3), (3,2), (3,1)"과 같이 대응됨에 따라, 해당 피가공 대상물 정보 "ㄱ"의 좌표값을 "(1,3), (2,3), (3,3), (3,2), (3,1)"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해당 피가공 대상물 정보 "ㄱ"의 좌표값 "(1,3), (2,3), (3,3), (3,2), (3,1)"에 따라 X-Y 이송부(130)를 이동시켜 플레이트(160)상에 초콜릿을 공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as the workpiece information in the screen area provid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he controller 120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workpiece information Analyze the coordinate values of "a". 3, 3, 2, 3, 4, 5) in the screen area of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hat is, (3,3), (3,3), (3,2), and (3,3),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workpiece information " 3,1) ". (3, 2), (3, 2), (3, 1) ", " The XY transfer unit 130 can be moved to supply the chocolate on the plate 160. [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화면영역에 대응된 피가공 대상물 정보의 좌표값을 분석 및 처리한 후, 해당 피가공 대상물 정보의 위치값에 따라 X-Y 이송부(130)를 이동시켜 초콜릿을 공급함으로써, 피가공 대상물(170)을 구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analyzes and processe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workpie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area of the user interface unit 110 and then controls the XY transfer unit 130 according to the position value of the workpiece informati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170 can be realized.

한편, 제어부(120)는 동작을 시작할 때, X-Y 이송부(130)의 초기 위치를 기설정된 기준점(즉, 화면영역의 기준점)에 위치하며, 그에 따라, X-Y 이송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기준점에 대응하는 플레이트(160) 상에 위치한다. 만약에, 제어부(120)는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 X-Y 이송부(130)의 최종 좌표값을 저장한 후, 이상 상태가 해소된 이후 기 저장된 최종 좌표값에서 X-Y 이송부(130)의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120 starts to operat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XY transfer unit 130 is located at a preset reference point (i.e., a reference point of the screen area), so that the XY transfer unit 130 And is positioned on the plate 160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oint according to the control. If the controller 120 detects an abnormal state, the control unit 120 stores the final coordinate value of the XY transfer unit 130, resumes the operation of the XY transfer unit 130 at the last coordinate value stored after the abnormal state is eliminated can do.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콜릿 공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lying choco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20)는 X-Y 이송부(130)의 이동에 의해 구성되는 X-Y 좌표평면상의 좌표값(X,Y)을 이용하여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can form the workpiece using the coordinate values (X, Y) on the X-Y coordinate plane constituted by the movement of the X-Y transfer unit 130.

즉, 제어부(120)는 피가공 대상물 정보를 X-Y 좌표평면상의 좌표값(X,Y)에 대응시켜, 피가공 대상물 정보을 구현하기 위한 해당 좌표값(이하 "피가공 대상물 좌표값"이라 함)을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피가공 대상물 좌표값에 대해 기 설정된 '피스톤(151)의 압력값'과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값'을 대응한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20 associates the workpiece information with the coordinate values (X, Y) on the XY coordinate plane to obtain a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workpiece coordinate value") for implementing the workpiece information Check.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corresponds to the 'pressure value of the piston 151' and the movement speed value of the X-Y transfer unit 130, which are preset for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workpiece.

먼저, 제어부(120)는 순차적으로 성형하는 한 쌍의 피가공 대상물 좌표값에서 X 좌표값 또는 Y 좌표값이 상호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에 연속 가공 구간으로 인식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피스톤(151)을 제어하여 피스톤(151)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X-Y 이송부(130)를 제어하여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는 연속 가공 구간에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용량의 초콜릿을 공급하기 위함이다.First, the control unit 120 recognizes a continuous machining interval when the X coordinate values or the Y coordinate valu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pair of coordinate values of the workpiece to be sequentially form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piston 151 to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piston 151 constant, and controls the X-Y transfer unit 130 to maintain the moving speed of the X-Y transfer unit 130 constant. This is to supply a uniform amount of chocolate by keeping the moving speed of the X-Y transfer part 130 constant in the continuous processing section.

한편, 제어부(120)는 순차적으로 성형하는 한 쌍의 피가공 대상물 좌표값에서 X 좌표값 또는 Y 좌표값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경우에 불연속 가공 구간으로 인식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피스톤(151)을 제어하여 피스톤(151)의 압력을 정지하고, 피가공 대상물 좌표값 간의 거리를 측정한 후 X-Y 이송부(130)를 제어하여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X coordinate value or the Y coordinate value is arranged at a distance from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air of workpieces to be sequentially formed, the controller 120 recognizes it as a discontinuous machining sec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piston 151 to stop the pressure of the piston 151,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workpiece, and then control the XY transfer unit 130 to move the XY transfer unit 130 Adjust the speed.

즉, 제어부(120)는 피가공 대상물 좌표값 간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 X-Y 이송부(130)를 제어하여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반면, 제어부(120)는 피가공 대상물 좌표값 간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피스톤(151)을 제어하여 피스톤(151)의 압력을 정지하고, X-Y 이송부(130)를 제어하여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가속한다. 이는 X-Y 이송부(130)를 제1 피가공 대상물 좌표값으로부터 제2 피가공 대상물 좌표값으로 신속하게 이동함으로써 공급부(150)의 노즐부(152)의 잔존 초콜릿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불연속 가공 구간이 노즐부(152)의 잔존 초콜릿으로 연결되어 불연속 가공 구간에 불필요한 초콜릿이 공급되는 노이즈 현상을 방지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X-Y transfer unit 130 to maintain the moving speed of the X-Y transfer unit 130 constan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workpie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piston 151 to stop the pressure of the piston 151 and controls the XY transfer unit 130 to transfer the XY transfer unit 130 to the XY transfer unit 130. [ 130). This is to prevent the noise caused by the remaining chocolate of the nozzle unit 152 of the supply unit 150 by quickly moving the X-Y transfer unit 130 from the first workpiece coordinate value to the second workpiece coordinate value. That is, the discontinuous machining section is connected to the residual chocolate of the nozzle section 152,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chocolate from being supplied to the discontinuous machining section.

반면에, 제어부(120)는 소정의 임계시간 이하로 초콜릿을 공급하지 않고 X-Y 이송부(130)를 이동하는 경우, 초콜릿을 공급하지 않지만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속 구간으로 판단하여 X-Y 이송부(130)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20)는 초콜릿을 공급하면서 X-Y 이송부(130)를 이동하는 경우,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등속 구간으로 판단하여 X-Y 이송부(13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초콜릿 공급 구간에서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용량의 초콜릿을 플레이트(160) 상에 공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ler 120 moves the XY feeder 130 without supplying the chocolate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or less, it does not supply chocolate but keeps the moving speed of the XY feeder 130 constant And controls the XY transfer unit 130. Similarly, when moving the X-Y feeder 130 while supplying chocolate,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X-Y feeder 130 by determining the moving speed of the X-Y feeder 130 as a constant velocity section. In this way, the controller 120 can maintain the moving speed of the X-Y transfer part 130 constant in the chocolate supplying section, thereby supplying the chocolate with uniform capacity onto the plate 160. [

도 2를 참조하면, 피가공 대상물 정보가 "가나"인 경우, 연속 가공 구간은 "ㄱ", "ㅏ", "ㄴ", "ㅏ"에 해당하며, 불연속 가공 구간은 "ㄱ"과 "ㅏ" 사이, "ㄴ"과 "ㅏ" 사이, "가"와 "나" 사이에 해당한다.2, when the workpiece information is "Ghana", the continuous machining section corresponds to "a", "a", "b", "a", and the discontinuous machining section corresponds to "a" and " "Between" b "and" a ", and between" a "and" me ".

이때, 제어부(120)는 연속 가공 구간인 "ㄱ", "ㅏ", "ㄴ", "ㅏ"를 성형할 때, 피스톤(151)을 제어하여 피스톤(151)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X-Y 이송부(130)를 제어하여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piston 151 to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piston 151 constant when forming the continuous machining sections "a", "a", "b", " The XY transferring unit 130 is controlled to maintain the moving speed of the XY transferring unit 130 constant.

또한, 제어부(120)는 불연속 가공 구간인 "ㄱ"과 "ㅏ" 사이, "ㄴ"과 "ㅏ" 사이를 성형할 때, 피가공 대상물 좌표값이 임계값 이하로 판단하여 연속 가공 구간과 동일하게 처리한다.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coordinate value of the workpiece to be processed is between the "a" and the "a" and the "b" and the "a" .

반면에, 제어부(120)는 불연속 가공 구간인 "가"와 "나" 사이를 성형할 때, 피가공 대상물 좌표값이 임계값 이상으로 판단하여 피스톤(151)을 제어하여 피스톤(151)의 압력을 정지하고, X-Y 이송부(130)를 제어하여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가속한다.On the other hand, when forming between the discontinuous machining sections " a "and" b ", the control section 120 determines that the coordinate value of the workpie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and controls the piston 151, And controls the XY transfer unit 130 to accelerate the movement speed of the XY transfer unit 130. [

이와 다르게, 제어부(120)는 모든 불연속 가공 구간인 경우에, 임계값을 재설정하여 피스톤(151)을 제어하여 피스톤(151)의 압력을 정지하고, X-Y 이송부(130)를 제어하여 X-Y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가속할 수도 있다. 이는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piston 151 to stop the pressure of the piston 151 and controls the XY transfer unit 130 to transfer the XY transfer unit 130 May be accelerated. Which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형상 가공 장치(100)는 노즐부(152)의 잔존 초콜릿을 세정하는 클리닝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클리닝부는 브러쉬(brush)를 이용하여 노즐부(152)를 세정하는 방식 또는 노즐부(152)를 소정 크기의 수조에 담겨 물로 세정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leaning section (not shown) for cleaning the residual chocolate of the nozzle section 152. At this time, the cleaning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method of cleaning the nozzle unit 152 using a brush, or a method of cleaning the nozzle unit 152 with water in a water tank of a predetermined siz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food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형상 가공 장치(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1), 제어부(321), 구동부(341), 공급부(351), 플레이트(361)를 포함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어 생략하기로 한다.3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311, a control unit 321, a driving unit 341, a supply unit 351, and a plate 36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rawings 1 will be omitted.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X-Y 이송부는 고정부(331a)와 X-Y 이송부(331b)를 상호 분리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3의 형상 가공 장치(300a)는 공급부(350a)를 고정부(331a)에 고정하고, 공급부(350a)의 하부에 X-Y 이송부(331b)를 위치시켜 가공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X-Y 이송부(331b)는 상부면에 플레이트(361)를 위치한다. 피가공 대상물(371)은 X-Y 이송부(331b)의 X축 또는 Y축 이동에 따라 성형된다.
Here, the XY transfer unit shown in FIG. 3 can be realized by separating the fixing unit 331a and the XY transfer unit 331b from each other. 3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ly part 350a is fixed to the fixing part 331a and the XY transfer part 331b is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supply part 350a. At this time, the plate 361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XY transfer part 331b. The workpiece 371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X-axis or Y-axis movement of the XY transfer section 331b.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하는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food material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형상 가공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1), 제어부(421), 통신부(431), X-Y-Z 이송부(441a), 고정부(441b) 구동부(451), 공급부(461), 플레이트(471)를 포함한다.4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411, a control unit 421, a communication unit 431, an XYZ transfer unit 441a, a fixing unit 441b driving unit 451, a supplying unit 461, And includes a plate 471.

이러한 구성 요소는 도 1에 대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se components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FIG. 1,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에 도시된 형상 가공 장치(400)는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형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The shape machining apparatus 400 shown in Fig. 4 operates as follows to form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X-Y-Z 이송부(441a)는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하기 위해, X축, Y축, Z축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때, X-Y-Z 이송부(441a) 및 고정부(441b)는 도 3과 같이 X축, Y축, Z축 각각의 이동을 분리시켜 형성할 수 있다.The X-Y-Z transfer section 441a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X axis, the Y axis, and the Z axis to form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At this time, the X-Y-Z transfer unit 441a and the fixing unit 441b can be formed by separating the movements of the X axis, the Y axis, and the Z axi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또한, 냉각부가 대상물에 분사된 초콜릿을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실(480)이 초콜릿을 급랭시키는 냉각 환경을 구축하여 초콜릿 공급에 의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실(480)은 X-Y-Z 이송부(441a), 공급부(461), 플레이트(471) 등을 내부에 배치시킨다. In addition, the cooling portion can cool the chocolate sprayed on the object. For example, a cooling environment in which the cooling chamber 480 quenches the chocolate can be provided to prevent the chocolate from flowing down by the supply of chocolate. The cooling chamber 480 disposes the X-Y-Z transfer portion 441a, the supply portion 461, the plate 471, and the like therein.

냉각부는, 1차 초콜릿 공급과 2차 초콜릿 공급 사이에 동작할 수 있다. 즉, 1차로 공급된 초콜릿을 경화(硬化)시킨 후 그 위에 초콜릿을 적어도 1회 2차 공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을 통하여, 초콜릿이 Z축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The cooling section may operate between the primary chocolate supply and the secondary chocolate supply. That is, it means that the chocolate supplied first can be hardened (cured) and then the chocolate can be supplied at least once. Through the repetition of such operations, the chocolate can be stacked in the Z-axis direc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하는 형상 가공 장치(400)는, Z축을 따라 X-Y 좌표 평면상에 초콜릿을 공급하여 적층함으로써 3차원 입체 구조를 갖는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형상 가공 장치(400)는 Z축에 대해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의 단면(즉, X-Y 평면)을 Z축을 따라 초콜릿을 적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400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is configured to supply a chocolate on an XY coordinate plane along the Z axis and to laminate the object, thereby form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having a three- . That is, the shape processing device 400 can form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by ultimately laminating chocolate along the Z-axis to the end face (that is, the X-Y plane) of the three-dimensional workpiece with respect to the Z axis.

일례로, 형상 가공 장치(400)가 눈사람 형상의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형상 가공 장치(400)는 t-1 시간에 반지름 r+2 크기의 원을 성형하고, t 시간에 반지름 r 크기의 원을 성형하고, t+1 시간에 반지름 r+2 크기의 원을 성형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형상 가공 장치는 t-1 시간에 X-Y-Z 이송부를 Z=1에 위치시킨 후, X-Y 평면에 반지름 r+2 크기의 원을 성형한다. 이후, 형상 가공 장치(400)는 t 시간에 X-Y-Z 이송부를 Z=2에 위치시킨 후, X-Y 평면에 반지름 r 크기의 원을 성형한다. 또한, 형상 가공 장치(400)는 t+1 시간에 X-Y-Z 이송부를 Z=3에 위치시킨 후, X-Y 평면에 반지름 r+2 크기의 원을 성형한다. For example, a case where the shape processing device 400 forms a snowman-like three-dimensional workpiece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400 forms a circle having a radius r + 2 at time t-1, forms a circle having a radius r at time t, forms a circle having a radius r + 2 at time t + The case of molding is assumed. At this time, after the X-Y-Z transfer unit is positioned at Z = 1 at time t-1, a circle having a radius r + 2 size is formed on the X-Y plane. After that, the shape processing device 400 positions the X-Y-Z transfer portion at Z = 2 at time t, and then forms a circle having a radius r size in the X-Y plane. Further,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400 positions the X-Y-Z transfer portion at Z = 3 at time t + 1, and forms a circle having a radius r + 2 size in the X-Y plane.

이와 같이, 형상 가공 장치(400)는 t 시간에 X-Y-Z 이송부(441a)를 Z축을 고정하여 X-Y 평면에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의 X-Y 단면을 성형하여 적층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3차원 입체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형상 가공 장치(400)는 X-Y-Z 이송부(441a)의 이동범위를 정교하게 조정함으로써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형상 가공 장치(400)는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의 내부가 초콜릿으로 채워지는 경우 또는 비어 있는 경우를 선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400 can form a three-dimensional solid body having a desired shape by forming the XY s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on the XY plane by fixing the X axis of the XYZ transfer section 441a at time t. Here, the shape machining apparatus 400 can improve the accuracy of the three-dimensional workpiece by finely adjusting the moving range of the XYZ transfer section 441a. Further, the shape processing device 400 can be selected when the insid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cessed is filled with chocolate or when it is empty.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하는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ape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food material for molding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마찬가지로, 도 5의 형상 가공 장치(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1), 제어부(521), 통신부(531), X-Y-Z 이송부(541a), 고정부(541b) 구동부(551), 공급부(561), 플레이트(571)를 포함한다.5,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500 of FIG. 5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511, a control unit 521, a communication unit 531, an XYZ transfer unit 541a, a fixing unit 541b driving unit 551, 561, and a plate 571.

도 5에 도시된 형상 가공 장치(500)는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형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500 shown in Fig. 5 operates as follows to form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X-Y-Z 이송부(541a)는 3차원 피가공 대상물을 성형하기 위해, X축, Y축, Z축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때, X-Y-Z 이송부(541a) 및 고정부(541b)는 도 3과 같이 X축, Y축, Z축 각각의 이동을 분리시켜 형성할 수 있다.The X-Y-Z feeder 541a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to form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At this time, the X-Y-Z transporting unit 541a and the fixing unit 541b can be formed by separating movement of each of the X-axis, Y-axis, and Z-axis as shown in FIG.

또한, 냉각 가스 공급부(580)은 초콜릿이 공급되는 일부 영역에 대해 초콜릿을 냉각시켜 초콜릿 공급에 의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 가스 공급부(580)는 공급부(561)를 통해 공급되는 부분에 대해서 냉각 가스가 공급된다.In addition, the cooling gas supply unit 580 can cool the chocolate to a part of the area where the chocolate is supplied, and prevent the chocolate from flowing down by the supply of the chocolate. The cooling gas supply unit 580 is supplied with cooling gas to a portion to be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561.

이처럼, 형상 가공 장치(400)는 초콜릿을 급랭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형상 가공 장치(400)에 의해 초콜릿이 적층될 때, 초콜릿이 흘러내리는 경우를 방지하여 초콜릿이 피가공 대상물의 형상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uch, it is desirable that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400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hocolate can be quenched. This is to prevent the chocolate from flowing down when the chocolate is stacked by the shape processing device 400 so that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can be normally maintained.

이를 위해, 형상 가공 장치(400)는 초콜릿을 성형하는 구성요소를 냉각실 내부에 위치시켜 피가공 대상물의 전체 영역의 냉각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도 4 참조), 또는 초콜릿 공급 부위에 냉각 가스를 집중 공급하여 피가공 대상물의 일부 영역의 냉각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도 5 참조)를 구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hape processing apparatus 400 is configured to position the component for forming the chocolate inside the cooling chamber to maintain the cooling state of the entire region of the workpiece (see FIG. 4)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case where the cooling state of a partial area of the workpiece is maintained (refer to Fig. 5).

도 6 및 도 7은 상기 도 4의 냉각실에 대한 구성도이다.FIG. 6 and FIG. 7 are schematic views of the cooling chamber of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냉각실(480)은 플레이트(471)의 이동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형상 가공 장치(400)에 의해 성형된 피가공 대상물을 입출입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oling chamber 480 of Fig. 4 can easily move the plate 471, and can input and output the workpiece formed by the shape processing device 400. Fig.

이를 위해, 냉각실(480)은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X-Z 평면의 냉각실 개폐부(481)를 X축에 대해 90도 회전 가동하여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471)는 슬라이드 방식 또는 레일 방식으로 냉각실(480)의 내부와 외부를 이동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oling chamber 480 can open and close the cooling chamber opening / closing part 481 of the X-Z plane, which is easy to access by the user, by rotating the cooling chamber opening / closing part 481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X axis. Here, the plate 471 can move inside and outside the cooling chamber 480 in a sliding manner or a rail manner.

도 7에 도시된 냉각실(480)은 플레이트(471)를 X-Y 평면의 냉각실 개폐부(481) 상에 배치시켜 Z축에 대해 회전 가동하여 내외부에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실(480)은 Z축에 대한 회전을 통해 플레이트(471)이 냉각실(480)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밀폐되고, 플레이트(471)이 냉각실(48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개방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The cooling chamber 480 shown in Fig. 7 can be moved inside and outside by rotating the plate 471 relative to the Z axis by placing the plate 471 on the cooling chamber opening / closing portion 481 in the XY plane. The cooling chamber 48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late 471 is clos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oling chamber 480 through the rotation about the Z axis and the plate 471 is opened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ling chamber 480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즉, 본원발명의 초코렛 가공 장치는 초코렛 대신에 생크림, 물엿, 반죽된 밀가루 등 점성을 가진 다양한 재료를 대체하여 이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본원발명의 균등범위에 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at is, in place of chocolate, the chocol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materials having viscosity such as fresh cream, syrup, kneaded flour and the like, and this case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 제어부
130 : 이송부 140 : 구동부
150 : 공급부 151 : 피스톤
152 : 노즐부 153 : 히팅부
154 : 온도센서 160 : 플레이트
170 : 피가공 대상물
110: user interface unit 120: control unit
130: feeder 140:
150: supply part 151: piston
152: nozzle unit 153:
154: temperature sensor 160: plate
170: Workpiece to be processed

Claims (7)

피가공 대상물 정보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음식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공급부를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어느 한 축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피가공 대상물 정보에 따라,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켜 상기 공급부를 통해 플레이트에 초콜릿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X축과 Y축 상의 일 지점에 상기 초콜릿을 1차 공급하고,
상기 일 지점에서 상기 Z축 상의 좌표를 변경하여 상기 초콜릿을 적어도 1회 2차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
A user interface unit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A supply part for supplying the food material;
A transfer unit connecting one end of the supply unit and moving the supply unit along at least one of X axis, Y axis, and Z axis; And
And a controller for moving the conveying unit to control the supply of chocolate to the plate through the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The transfer unit
The chocolate is firstly supplied to one point on the X axis and the Y axis,
And changing the coordinates on the Z-axis at the one point so that the chocolate is fed at least once at least on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음식 재료를 급냉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공급된 음식 재료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냉각부를 사용하여 경화(硬化)시킨 후 상기 상기 2차 공급하는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section for quenching the food material supplied by the supply section,
Wherein,
Wherein the food material to be supplied at the first time is cured (hardened) by using the cooling part, and then the food material to be supplied at the second time is used.
피가공 대상물 정보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음식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공급부를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어느 한 축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피가공 대상물 정보에 따라,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켜 상기 공급부를 통해 플레이트에 음식 재료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급부의 타단에 장착하여, 음식 재료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노즐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
A user interface unit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A supply part for supplying the food material;
A transfer unit connecting one end of the supply unit and moving the supply unit along at least one of X axis, Y axis, and Z axis;
A control unit for moving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food material to the plate through the supply unit; And
A nozzle plate for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the food material,
Wherein the shape processing device is configured to use the food materi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를 Z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공급부를 통해 음식 재료를을 공급하여 X-Y 평면에 대해 피가공 대상물의 단면을 성형 및 적층하는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food material is fed through the feed part to form and laminate the end face of the workpiece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음식 재료를 급냉시키기 위한 냉각실을 더 포함하는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nd a cooling chamber for rapidly cooling the food material supplied by the supply unit.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음식 재료를 급냉시키기 위한 냉각 가스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nd a cooling gas supply unit for rapidly cooling the food material supplied by the suppl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재료는, 초콜릿, 캔디류, 과자류, 생크림, 치즈, 버터 중 어느 하나의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od material is any one of chocolate, candy, confectionery, fresh cream, cheese, and butter.
KR1020140027383A 2013-11-12 2014-03-0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KR2015005462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774 2013-11-12
KR1020130136774 2013-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621A true KR20150054621A (en) 2015-05-20

Family

ID=5339071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364A KR20150054619A (en) 2013-11-12 2014-03-0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KR1020140027370A KR20150054620A (en) 2013-11-12 2014-03-0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KR1020140027383A KR20150054621A (en) 2013-11-12 2014-03-0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KR1020140027346A KR20150054617A (en) 2013-11-12 2014-03-0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chocolatefood material
KR1020140027356A KR20150054618A (en) 2013-11-12 2014-03-0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364A KR20150054619A (en) 2013-11-12 2014-03-0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KR1020140027370A KR20150054620A (en) 2013-11-12 2014-03-0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346A KR20150054617A (en) 2013-11-12 2014-03-0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chocolatefood material
KR1020140027356A KR20150054618A (en) 2013-11-12 2014-03-07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15005461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9930A1 (en) * 2017-03-03 2018-09-07 주식회사 단미푸드 Cube-type frozen cheese foo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028669B1 (en) * 2017-06-27 2019-10-07 주식회사 티엘비즈 3D printing apparatus for processing complex material
KR102212274B1 (en) 2018-12-05 2021-02-05 주식회사 티엘비즈 Intelligent 3D food pri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619A (en) 2015-05-20
KR20150054618A (en) 2015-05-20
KR20150054620A (en) 2015-05-20
KR20150054617A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A review on 3D printing for customized food fabrication
KR2015005462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ape using food material
JP7015317B2 (en) Self-optimizing adaptive industrial chocolate produc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s
Sun et al. 3D food printing: Perspectives
US92952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erated confectionery masses
CN100352359C (en) Film forming
TWI510195B (en) Cnc food processing machine for squeezing and decorating foods
US11006636B2 (en) Food dough extrusion machine
MXPA06009983A (en) A device for moulding food substances.
Va et al. A brief review on 3D printing of chocolate
JP3404241B2 (en) Automatic spraying equipment for oily confectionery raw materials
EP3576551B1 (en) Print head for printing a food product layer-by-layer and a system comprising a print head
US6843168B2 (en) Apparatus for pressing edible articles
TWI592096B (en) Ice product forming equipment
US20130004622A1 (en) Deposited hard shell and soft chewy center candy and method of making
CN104703480A (en) Long-life bakery produc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U2018265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n edible food composition
AU20182651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n edible food composition
Harasym 3D Printers for Food Printing–Advantages and Drawbacks of Market Ready Technical Solutions
RU2779317C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ation of edible food composition
ITMI20001237A1 (en) PROCEDURE AND DEVICE TO OPTIMIZE THE CONDUCT OF PROCESS, AS WELL AS PROCESS SURVEILLANCE IN A PLANT TO PRODUCE CHOCOLATES
RU198110U1 (en) Chocolate bar maker
Deepa et al. 3-D PRINTING IN FOOD PRODUCT DEVELOPMENT
Musthofa et al. Effect of Temperature Setting on 3d Printer Machine for Chocolate Printing
CA31383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n aerated food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