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024A -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ud image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ud image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024A
KR20150054024A KR1020130135184A KR20130135184A KR20150054024A KR 20150054024 A KR20150054024 A KR 20150054024A KR 1020130135184 A KR1020130135184 A KR 1020130135184A KR 20130135184 A KR20130135184 A KR 20130135184A KR 20150054024 A KR20150054024 A KR 20150054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hud
output
hud image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8693B1 (en
Inventor
오형석
이준묵
양지혁
금병직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693B1/en
Publication of KR2015005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UD image and an apparatus thereof, which are provided to change the output distance of HUD image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from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a vehicle, and to change the output brightness of HUD image according to the changed output distance. The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UD image is provided by comprising the steps of: a control unit sensing an obstacle located within a standard distance in front of a vehicle through a sensor unit; if an obstacle is sensed,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through a sensor unit; and changing the output distance of HUD image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distance from the obstacle.

Description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UD IMAGE AND APPARATUS THEREOF}[0001]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UD IMAGE AND APPARATUS THEREOF [0002]

본 발명은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고 변경되는 출력 거리에 따라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utput of a HUD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a HUD image by changing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based on the distance to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 HUD image, which changes output brightness.

요즘은 전자장치의 발달로 차량의 성능이나 안전에 대한 기능이 발전함과 더불어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장치들도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차량의 HUD(Head Up Display)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devices has developed functions for safety and performance of the vehicle, devic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have been developed. Especially, interest in the HUD (Head Up Display) of a vehicle is increasing.

HUD는 운행 정보가 차량이나 비행기의 전면 유리에 나타나도록 설계된 장치로서, 초기에는 비행기 조종사의 전방 시야를 확보해 주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최근에는 사고 감소를 위해 차량에도 도입되고 있다.HUD is a device designed to appear on the windshield of a vehicle or airplane. It was originally introduced to ensure the front view of an airplane pilot, but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to vehicles to reduce accidents.

차량용 HUD는 내비게이션과 연동하여 경로 변경을 안내하는 화살표 정보, 속도 등을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차량 정보를 윈드실드 글래스(Windshield Glass) 상에 또는 윈드실드 글래스 너머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vehicle HUD can display various kinds of vehicle information such as arrow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change and text information representing speed etc. in cooperation with a navigation on a windshield glass or in augmented reality form on a windshield glass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s line of sight from being dispersed.

즉, 차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운전자는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방향으로 시선을 옮길 필요가 없고, HUD 영상이 출력된 전방을 바라보면서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That is, the driver does not have to move his or her gaze to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provid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order to check the vehicle information, and it is helpful for the safety of the driver because the driver can look while the front of the HUD image is outputted.

또한,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장치들이 차량에 부가되면서 늘어나는 차량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별도의 표시 수단이 필요해짐에 따라서, 이러한 수단들을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요구됨에 따라 HUD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Further, since a separate display means capable of displaying the increasing vehicle information is required as the devic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re added to the vehicle, it is required to secure a space for individually installing these means, The trend is increasing.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9846호(2012.06.11.공개, 발명의 명칭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0059846 (published on Jun. 11, 2012, entitled "Head-Up Display Device").

HUD 영상의 출력은, 프로젝터를 통해서 HUD 영상을 투사하고 투사된 영상이 거울에 의해서 반사됨에 따라서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위치에 HUD 영상이 출력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The output of the HUD image is realized by projecting the HUD image through the projector and outputting the HUD image at a position visible to the driver as the projected image is reflected by the mirror.

종래에는 왜곡없는 HUD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서 차량으로부터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output a distortion-free HUD image, the distance at which the HUD image is output from the vehicle is fixed to be constant.

따라서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 이내로 장애물이 접근한 경우에도 HUD 영상은 기존과 동일한 거리에 출력되었기 때문에, HUD 영상이 장애물과 겹쳐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였다.Therefore, even if the obstacle approaches within the distance of outputting the HUD image, the HUD image is outputted at the same distance as the existing one, so that the HUD image overlaps with the obstacle.

이러한 상황에서 운전자는 HUD 영상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기 힘들기 때문에, 차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 시선을 옮겨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such a situation,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obtain the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HUD image,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iver must move his / her eyes to the device providing the information in order to acquire the vehicle inform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고 변경되는 출력 거리에 따라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hange the output distance of an HUD image based on a distance from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a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UD video and a device theref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센서부를 통해서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 장애물이 감지되면 센서부를 통해서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output of a HUD image, the method comprising: sensing an obstacl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o a front of the vehicle through a sensor unit; Measuring a distance to the obstacle through a sensor unit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And changing an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measured obstacle.

본 발명은 상기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한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프로젝터를 통해서 HUD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및 거울을 통해서 상기 투사된 HUD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출력 거리로 상기 HUD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HUD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HUD 영상을 왜곡하여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projecting a HUD image through a projector after the control unit changes an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And changing the path of the projected HUD image through a mirror and outputting the HUD image with the changed output distance. In the projecting of the HUD imag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tance to the measured obstacle The HUD image is distorted and projected correspondingly.

본 발명의 상기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프로젝터와 거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changing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mirror.

본 발명은 상기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한 이후에, 상기 변경된 출력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changing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based on the changed output distance after changing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본 발명의 상기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차량 외부의 밝기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changing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reflect the brightness of the outside of the vehicle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 to change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UD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는 HUD(Head Up Display) 영상 출력부;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도록 상기 HUD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 HUD im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HUD (Head Up Display) image output unit;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obstacl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measuring a distance to the obstac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UD video output unit to change an output distance of the HUD video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s a result of detection by the sensor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는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검출 센서; 및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an obstacl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distance sensor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obstacle.

본 발명에서 상기 HUD 영상 출력부는 조명, HUD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HUD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거울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터 또는 상기 거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UD image output unit may include a projector for projecting illumination, a HUD image, and a mirror for changing a path of the HUD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wherein the controlle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or the mirror, The output distance of the light source is changed.

본 발명에서 상기 HUD 영상 출력부는 조명, HUD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HUD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거울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HUD 영상을 왜곡하여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UD image output unit may include a projector for projecting illumination, a HUD image, and a mirror for changing a path of a HUD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rresponds to a distance from the obstacle measur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And controls the projector to project the HUD image in a distorted mann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HUD 영상의 변경된 출력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하도록 상기 HUD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UD video output unit to change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video based on the changed output distance of the HUD video.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출력되는 HUD 영상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전방의 장애물과 HUD 영상의 겹침으로 인한 운전자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distance of the HUD image output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locat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er from being confused by the overlap of the obstacle ahead and the HUD image.

또한, 본 발명은 HUD 영상의 출력 거리에 따라서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by adjusting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according to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또한, 본 발명은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HUD 영상의 왜곡을 반영하여 HUD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왜곡없는 HU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a distortion-free HUD image by projecting the HUD image reflecting the distortion of the HUD image that may occur a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is chan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UD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HUD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HUD 영상 출력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왜곡된 HUD 영상과 왜곡없는 HUD 영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a HU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UD image output unit for changing an output position of a HU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distorted HUD image and a distortion-free HUD image.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a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a HU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a HU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UD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a HU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HUD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HUD 영상 출력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UD image output unit for changing an output position of a HU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왜곡된 HUD 영상과 왜곡없는 HUD 영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distorted HUD image and a distortion-free HUD imag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HUD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는 센서부(10), 제어부(20) 및 HUD 영상 출력부(30)를 포함한다.1 to 3,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UD image includes a sensor unit 10, a control unit 20, and a HUD image output unit 30.

센서부(10)는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검출 센서(12)와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14)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10 detects an obstacl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0 detects an obstacl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And a distance sensor 14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12 and the obstacle.

이 때, 기준거리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차량으로부터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를 의미하고 차량의 설정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distance means a distance to which the HUD image is output from the vehicle, which is set in advance, and has a different value depending on the setting of the vehicle.

즉, 본 실시예에서는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HUD 영상이 장애물에 겹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를 위해서 센서부(10)를 통해 장애물 감지 및 거리 측정을 수행한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within the distance of outputting the HUD image, the distance of outputting the HUD image is changed to prevent the overlapping of the HUD image with the obstacle, Perform distance measurements.

본 실시예에서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검출 센서(12)와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14)를 구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장애물 감지 및 거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detection sensor 12 for detecting the obstacle and the distance sensor 14 for measuring the distance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obstacle detec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through one sensor Do.

예를 들어, 레이더나 초음파 센서를 통해서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한 장애물 감지와 거리 측정이 모두 가능하며, 기재하지 않은 다양한 장치를 통해서 장애물 감지 또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both radar and ultrasonic sensors can detect both obstacles and distance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can detect obstacles or measure distances to obstacles through various devices not described.

제어부(20)는 검출 센서(12)를 통해서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한 장애물이 감지되면 거리 센서(14)를 통해서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도록 HUD(Head Up Display) 영상 출력부(3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0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through the distance sensor 14 when an obstacl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is detected in fro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12 and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obstacle And controls the HUD (Head Up Display) video output unit 30 so as to change the output distanc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차량 전방으로부터 고정된 거리에 HU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장애물과 겹치지 않도록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한다.In this way,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to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20 outputs the HUD image so that it does not overlap with the obstacle, instead of outputting the HUD image at a fixed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Change it.

즉, 차량으로부터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 이내에 보행자나 또 다른 차량과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면 HUD 영상이 장애물에 표시되어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 센서(14)를 통해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한다.In other words, if there is an obstacle such as a pedestrian or another vehicle within the distance of outputting the HUD image from the vehicle, the HUD image is displayed on the obstacle, which may confuse the driver. And change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또한, 제어부(20)는 거리 센서(14)를 통해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다르게 변경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measur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14.

구체적으로, 장애물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HUD 영상이 운전자와 가까운 위치에 출력되도록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상대적으로 더 짧게 변경한다.Specifically,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is changed so that the closer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is, the closer the HUD image is to the drive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 겹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HU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is changed correspondingly to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so that the HUD image can be outputted so that the obstacle does not overlap with the obstacle in front of the vehicl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HUD 영상 출력부(30)의 프로젝터(32) 또는 거울(34)의 위치를 조절한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32 or the mirror 34 of the HUD video output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change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video.

도 2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로젝터(32)에서 투사된 영상의 경로가 거울(34)에서 변경되어 출력되는데, 프로젝터(32) 또는 거울(34)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2, the path of the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32 is changed in the mirror 34, and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is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32 or the mirror 34. [ .

특히, 본 실시예에서 거울(34)은 평면 거울(Plane Mirror)(34a)과 비구면거울(Aspherical Mirror)(34b)을 포함하고, 프로젝터(32)에서 투사된 영상의 경로가 평면 거울(34a)에 의해서 변경되고, 경로가 변경된 영상은 비구면 거울(34b)에서 다시 반사되어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된다.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the mirror 34 includes a plane mirror 34a and an aspherical mirror 34b, and the path of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32 is a plane mirror 34a, And the image whose path is changed is reflected again by the aspherical mirror 34b and outputted so that it can be seen by the driver.

HUD 영상의 출력 거리(D)는, 아래와 같은 식을 통해 연산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32) 또는 거울(34)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Since the output distance D of the HUD image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32 or the mirror 34. [

D = (d1 + d2)×비구면 거울(34b)의 배율 + d3D = (d1 + d2) x magnification of aspherical mirror 34b + d3

(이 때, d1은 프로젝터(32)와 평면 거울(34a) 사이의 거리, d2는 평면 거울(34a)과 비구면 거울(34b) 사이의 거리, d3은 비구면 거울(34b)과 윈드실드 글래스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Where d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32 and the plane mirror 34a, d2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lanar mirror 34a and the aspherical mirror 34b, d3 is the distance between the aspherical mirror 34b and the windshield glass Distance)

즉, 프로젝터(32) 또는 거울(34)의 위치가 변경되면 전술한 식의 d1, d2 또는 d3가 변경되기 때문에, 프로젝터(32) 또는 거울(34)의 위치 변경으로 서로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32 or the mirror 34 is changed, d1, d2, or d3 of the above-described equation is changed. Thu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32 or the mirror 34, The output distance of the image can be changed.

다만, 본 실시예에서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공지 또는 기타 공지되지 않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서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However, the method of changing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so that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can be changed through various known or unknown techniques.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거리 센서(14)를 통해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HUD 영상을 왜곡하여 투사하도록 프로젝터(32)를 제어한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projector 32 to project the HUD image in a distorted manner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measur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14.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32)와 거울(34)은 HUD 영상이 차량 전방의 고정된 거리에 출력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32) 또는 거울(34)의 위치를 변경하고 기존의 HUD 영상을 투사하면 출력되는 HUD 영상에는 왜곡이 발생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jector 32 and the mirror 34 are mounted at positions where the HUD image can be outputted at a fixed distanc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32 or the mirror 34 can be changed And the existing HUD image is projected, the output HUD image is distorted.

도 3을 참조하면, HUD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P1과 같이 영상의 모든 포인트가 정렬되어 나타나는데 반해서, HUD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면 P2와 같이 영상의 좌우측 포인트가 정상 위치를 이탈하여 나타난다.Referring to FIG. 3, when distortion does not occur in the HUD image, all points of the image are aligned and displayed as P1, whereas when the HUD image is distorted, the left and right points of the image are shifted from the normal position .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를 변경하는 정도에 기초하여, HUD 영상이 왜곡되는 위치를 정상 위치와 대응되는 행렬 형태로 룩업테이블(Look Up Table)에 저장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where the HUD image is distorted is stored in a lookup table in the form of a matrix corresponding to the normal position, based on the degree of changing the distance of outputting the HUD image.

그리고 프로젝터(32)를 통해서 HUD 영상을 투사할 때, 룩업테이블의 행렬에 대한 역행렬을 이용하여 HUD 영상을 왜곡하여 투사함으로써, 실제 출력되는 HUD 영상이 왜곡되지 않고 표시되도록 한다.When the HUD image is projected through the projector 32, the HUD image is distorted and projected using an inverse matrix of the matrix of the lookup table so that the actually outputted HUD image is displayed without distortion.

HUD 영상 출력부(30)는 HUD 영상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HUD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명(31),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32) 및 프로젝터(32)로부터 투사된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거울(34)을 포함한다.The HUD video output unit 30 is configured to output the HUD video and includes an illumination 31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HUD video, a projector 32 for projecting the video image, and a projector 32 for changing the path of the video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32 And a mirror (34).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거울(34)은 평면 거울(34a)과 비구면 거울(34b)을 포함하는데, 평면 거울(34a)은 프로젝터(32)에서 투사된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하고, 비구면 거울(34b)은 윈드실드 글래스의 굴곡을 반영하여 경로가 변경된 영상을 반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irror 34 includes a planar mirror 34a and an aspherical mirror 34b. The planar mirror 34a serves to change the path of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32, (34b) reflects the image whose path is changed by reflecting the curvature of the windshield glass.

즉, 윈드실드 글래스는 완전 평면이 아닌 굴곡진 형태로 구성되어 통과하는 영상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구면 거울(34b)은 윈드실드 글래스의 굴곡을 반영하여 영상을 반사한다.That is, since the windshield glass is formed in a curved shape instead of a complete plane, the aspherical mirror 34b reflects the image of the windshield glass to reflect the image because the distortion may occur in the passing image.

그리고 HUD 영상 출력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프로젝터(32) 또는 거울(34)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출력되는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여 출력한다.The HUD video output unit 30 change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video output to the driv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32 or the mirror 3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as described above .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변경된 HUD 영상의 출력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based on the output distance of the changed HUD imag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항상 일정한 밝기로 HU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에 따라 HUD 영상 출력부(30)의 조명(31)을 제어하여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In this embodiment, instead of outputting the HUD image at a constant brightness, the brightness of the output of the HUD image is changed by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31 of the HUD image output unit 30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outputting the HUD image,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즉, HUD 영상의 출력 거리가 운전자와 가까워짐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밝기로 HUD 영상이 출력되면 운전자는 눈부심을 느끼게 되어 시인성이 악화되므로, 제어부(20)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한다.That is, if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is close to the driver but the HUD image is output with the same brightness, the driver feels glare and the visibility deteriorates. Therefore, the controller 20 calculate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차량 외부의 밝기를 추가로 반영하여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0 may change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by further reflecting the brightness outside the vehicle.

즉, 차량 외부가 밝을수록 HUD 영상도 밝게 출력해야 운전자가 해당 영상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차량 외부의 밝기를 추가로 반영할 수 있다.That is, as the outside of the vehicle is bright, the HUD image is also brightly output so that it is easy for the driver to confirm the image, so that the brightness outside the vehicle can be further reflected.

그리고 이를 위해서 센서부(10)는 추가로 차량 외부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For this purpose, the sensor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brightness of the outside of the vehic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a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a HU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20)는 검출 센서(12)를 통해서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한다(S10).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 unit 20 detects an obstacl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12 in operation S10.

이 때, 기준거리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차량으로부터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를 의미하고 차량의 설정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distance means a distance to which the HUD image is output from the vehicle, which is set in advance, and has a different value depending on the setting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HUD 영상이 장애물에 겹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를 위해서 검출 센서(12)를 통해서 장애물을 감지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within a distance of outputting the HUD image, the distance that the HUD image is outputted is changed to prevent the overlapping of the HUD image with the obstacle, Detection.

이어서 제어부(20)는 전술한 판단(S10) 결과 장애물이 감지되면, 거리 센서(20)를 통해서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한다(S20).Then,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10), the controller 20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through the distance sensor 20 (S20).

그리고 제어부(20)는 측정된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한다(S30).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measured obstacle (S30).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거리 센서(14)를 통해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다르게 변경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correspondingly to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measur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14.

즉, 제어부(20)는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HUD 영상이 운전자와 가까운 위치에 출력되도록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상대적으로 더 짧게 변경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20 relatively shorten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so that the closer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is, the closer the HUD image is to the driver.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전술한 단계(S30)에서 변경된 HUD 영상의 출력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한다(S40).Also,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based on the output distance of the changed HUD imag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30 (S40).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항상 일정한 밝기로 HU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에 따라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rather than outputting the HUD image at a constant brightness, the brightness of the output of the HUD imag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t which the HUD image is outputted,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상대적으로 더 어둡게 변경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to be darker as the distance from which the HUD image is output is relatively short.

다음으로 제어부(20)는 HUD 영상 출력부(30)의 프로젝터(32)를 제어하여,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HUD 영상을 왜곡하여 투사한다(S50).Next,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projector 32 of the HUD video output unit 30 to distort the HUD video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to the measured obstacle (S50).

즉, 프로젝터(32)와 거울(34)의 위치는 HUD 영상이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떨어진 고정된 위치에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32) 또는 거울(34)의 위치를 변경하고 기존의 HUD 영상을 투사하면 출력되는 HUD 영상에는 왜곡이 발생한다.In other words, since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32 and the mirror 34 is set so that the HUD image is output at a fixed position away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by a reference distance,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32 or the mirror 34 can be changed, When HUD video is projected, distorted HUD video is outpu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HUD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를 변경하는 정도에 기초하여 HUD 영상이 왜곡되는 위치를 정상 위치와 대응되는 행렬 형태로 룩업테이블(Look Up Table)에 저장하고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where the HUD image is distorted is stored in a lookup table in the form of a matrix corresponding to the normal position based on the degree of changing the distance of outputting the HUD image.

그리고 프로젝터(32)를 통해서 HUD 영상을 투사할 때, 룩업테이블의 행렬에 대한 역행렬을 이용하여 HUD 영상을 왜곡하여 투사함으로써, 실제 출력되는 HUD 영상이 왜곡되지 않고 표시되도록 한다.When the HUD image is projected through the projector 32, the HUD image is distorted and projected using an inverse matrix of the matrix of the lookup table so that the actually outputted HUD image is displayed without distortion.

다음으로 제어부(20)는 거울(34)을 통해서, 왜곡하여 투사된 HUD 영상의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변경된 출력 위치 및 출력 밝기로 HUD 영상을 출력한다(S60).Next, 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path of the projected HUD image through the mirror 34, thereby outputting the HUD image at the changed output position and output brightness (S6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출력되는 HUD 영상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전방의 장애물과 HUD 영상의 겹침으로 인한 운전자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changing the distance of the HUD image output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er from being confused by overlapping of the obstacle ahead and the HUD image.

또한, 본 실시예는 HUD 영상의 출력 거리에 따라서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by adjusting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according to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또한, 본 실시예는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HUD 영상의 왜곡을 반영하여 HUD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왜곡없는 HU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output a distortion-free HUD image by projecting the HUD image reflecting the distortion of the HUD image that may occur a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is chang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센서부
12: 검출 센서
14: 거리 센서
20: 제어부
30: HUD 영상 출력부
31: 조명
32: 프로젝터
34: 거울
34a: 평면 거울
34b: 비구면 거울
10: Sensor unit
12: Detection sensor
14: Distance sensor
20:
30: HUD video output unit
31: Lighting
32: Projector
34: Mirror
34a: Flat mirror
34b: Aspherical mirror

Claims (10)

제어부가 센서부를 통해서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
장애물이 감지되면 센서부를 통해서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Sensing an obstacl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fro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sensor unit;
Measuring a distance to the obstacle through a sensor unit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And
Changing an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measured obstacle
And outputting the HUD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한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프로젝터를 통해서 HUD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및
거울을 통해서 상기 투사된 HUD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출력 거리로 상기 HUD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HUD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HUD 영상을 왜곡하여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ojecting the HUD image through the projector after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And
Further comprising changing a path of the projected HUD image through a mirror and outputting the HUD image with the changed output distance. In the projecting of the HUD image, the control unit may correspond to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obstacle Wherein the HUD image is distorted and proj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프로젝터 또는 거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or the mirror in the step of changing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한 이후에, 상기 변경된 출력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changing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based on the changed output distance after changing the output distance of the HUD imag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차량 외부의 밝기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ler changes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by further reflecting the brightness outside the vehicle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 in the step of changing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image.
HUD(Head Up Display) 영상 출력부;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도록 상기 HUD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
HUD (Head Up Display) video output unit;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obstacl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measuring a distance to the obstacle; And
And controlling the HUD video output unit to change an output distance of the HUD video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s a result of detection by the sensor unit
And outputting the HUD imag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차량 전방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검출 센서; 및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nsor unit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bstacl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dist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UD imag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HUD 영상 출력부는 조명, HUD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HUD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거울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터 또는 상기 거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HUD 영상의 출력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HUD video output unit includes a projector for projecting illumination, a HUD image, and a mirror for changing a path of the HUD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wherein the controlle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projector or the mirror, To the output of the HUD imag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HUD 영상 출력부는 조명, HUD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HUD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거울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HUD 영상을 왜곡하여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HUD video output unit includes a projector for projecting an illumination, a HUD video, and a mirror for changing a path of the HUD video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UD video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measur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And the projector is controlled to be distorted and project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HUD 영상의 변경된 출력 거리에 기초하여 HUD 영상의 출력 밝기를 변경하도록 상기 HUD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UD video output unit to change the output brightness of the HUD video based on the changed output distance of the HUD video.
KR1020130135184A 2013-11-08 2013-11-08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ud image and apparatus thereof KR101628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84A KR101628693B1 (en) 2013-11-08 2013-11-08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ud image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84A KR101628693B1 (en) 2013-11-08 2013-11-08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ud image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024A true KR20150054024A (en) 2015-05-20
KR101628693B1 KR101628693B1 (en) 2016-06-10

Family

ID=5339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184A KR101628693B1 (en) 2013-11-08 2013-11-08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ud image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6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3106A1 (en) * 2015-08-03 2017-02-09 엘지이노텍(주)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
JP2021026131A (en) * 2019-08-06 2021-02-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Alarm system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5035B2 (en) 2017-10-17 2019-10-0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creen reduction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5908A (en) * 2007-11-02 2009-05-28 Fujinon Corp Mirror optical system and headup display
JP2009132221A (en) * 2007-11-29 2009-06-18 Nippon Seiki Co Ltd Head-up display device
KR20120062521A (en) *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isplay system for vehicle
KR20130059650A (en) * 2011-11-29 2013-06-07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Focus control device for contents of head up display and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5908A (en) * 2007-11-02 2009-05-28 Fujinon Corp Mirror optical system and headup display
JP2009132221A (en) * 2007-11-29 2009-06-18 Nippon Seiki Co Ltd Head-up display device
KR20120062521A (en) *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isplay system for vehicle
KR20130059650A (en) * 2011-11-29 2013-06-07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Focus control device for contents of head up display and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3106A1 (en) * 2015-08-03 2017-02-09 엘지이노텍(주)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
US10996321B2 (en) 2015-08-03 2021-05-04 Lg Innotek Co., Lt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
US11899135B2 (en) 2015-08-03 2024-02-13 Lg Innotek Co., Lt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
JP2021026131A (en) * 2019-08-06 2021-02-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Alarm system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693B1 (en)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80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head-up display (HUD) information
RU2675719C1 (en) Vehicle displaying device and method
US105102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a vehicle
EP3312658B1 (en) Virtual image presentation system and virtual image presentation method
US10261316B2 (en) Head-up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6413207B2 (en) Vehicle display device
US10732412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20140333647A1 (en) Head-up display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10092B1 (en) Curve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US11009781B2 (en) Display system,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nd movable object
US20190004313A1 (en) Vehicular head-up display system
US20200096776A1 (en) Adjustment device, display system, and adjustment method
JP6520426B2 (en) Head-up display device
US10913355B2 (en) Head-up display
US10935839B2 (en) Display device
KR10162869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ud image and apparatus thereof
US20210001723A1 (en) Line-of-sight guidance device
JP6023421B2 (en) Vehicle display system
KR20160116139A (en) Head up display device of a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EP3590752B1 (en) Head-up display device and onboard display system
KR20170008430A (en) Head up display
GB2536882A (en) Head up display adjustment
JP7062038B2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54023A (en)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sition of hud image and apparatus thereof
KR10162868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ead up display image and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