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531A - Chain sprocket device for sludge collector - Google Patents

Chain sprocket device for sludge coll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531A
KR20150053531A KR1020130135591A KR20130135591A KR20150053531A KR 20150053531 A KR20150053531 A KR 20150053531A KR 1020130135591 A KR1020130135591 A KR 1020130135591A KR 20130135591 A KR20130135591 A KR 20130135591A KR 20150053531 A KR20150053531 A KR 20150053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earing block
shaft hole
chain sprock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5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9665B1 (en
Inventor
오진환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3013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665B1/en
Publication of KR2015005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5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6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ring support for a chain sprocket of a sludge collector, which comprises: a bearing support main body having a first shaft hole through which a rotational shaft of a chain sprocket passes, and formed with a pocket in a lower area of the first shaft hole; a bearing block connected to the bearing support main body to be detachable as a lower end thereof is accommodated and arranged in the pocket, and formed with a penetration part in a central area; and an oil-less bearing having a second shaf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haft hole in order for the rotational shaft to be passed, and supported by the bearing block as connected to the penetration part of the bearing block to be detachable.

Description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Chain sprocket device for sludge collector}{Chain sprocket device for sludge collector for sludge collector's chain sprocket}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처럼 벽체에서 축수대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일리스 베어링 등의 부품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침전지의 축수를 유지 관리하기에 편리한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ocket for a chain sprocket of a sludge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a replacement work of an oil-less bearing or the like without completely separating a sprue from a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ringe collector spindle for a chain sprocket which is convenient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running water of sedimentation basin.

하수처리장 또는 정수처리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방향 침전지는 고액분리를 수행하는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Longitudinal sedimentation basin, which is essentially used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or water treatment plants, is a very important process for performing solid-liquid separation.

1차 침전지는 하폐수 내에 존재하는 고형물을 중력을 통하여 제거함으로써 후속되는 2차 처리공정을 보호한다.The primary settler protects the subsequent secondary treatment process by removing gravity present in the wastewater through gravity.

2차 침전지는 2차 처리공정의 유출수를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처리수질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수처리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공정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The second settling basin separates the effluent from the second treatment process into treated water and sludge, and ultimately secures the treated water quality,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

침전지는 중력을 통하여 침전 가능한 고형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침전된 고형물은 침전지 바닥에 쌓인다.The settling paper serves to remove sedimentable solids through gravity, and the precipitated solids accumulate on the bottom of the sedimentation basin.

이때, 침전된 고형물을 신속하게 제거해야만 침전지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슬러지 깊이가 증가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재부상하여 처리수질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ttled solids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only by promptly removing the precipitated solids. If the settled sludge is not removed, the depth of the sludge may increase, causing the water quality to deteriorate by re-float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water.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장방형 침전지(rectangular clarifier)에는 체인 플라이트(chain flight)식 슬러지 수집기가 최근에 가장 많이 이용된다.There are many ways to remove precipitated sludge, but a chain flight type sludge collector is most commonly used for rectangular clarifiers.

이와 같이 하수처리장 또는 정수처리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방형 침전지에는 체인 스프로켓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축수대가 사용된다. 축수대는 침전지 내의 수중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축수대의 구조(혹은 축수 구조)가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20-1999-008873호에 개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tangular sedimentation basin, which is essentially used in a sewage treatment plant or a water treatment plant, is provided with a pivot support as means for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of the chain sprocket. The bearing pads are installed in the water in the sedimentation basin. The structure (or bearing structure) of such a roller bearing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99-008873.

한편, 종래의 축수대는 주철이나 스테인리스 주물(stainless casting)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주철 제품은 하수나 정수 속에서 부식되기 때문에 설치 후 다년간 운전 시 부식으로 인해 보수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스테인리스 주물 제품은 부식에는 강하지만 과다한 중량으로 인해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since the conventional rolling bearing is generally made of cast iron or stainless casting, the cast iron product is corroded in sewage or purified water,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repaired due to corrosion during many years of operation after installation. The product is resistant to corrosion,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due to excessive weight.

특히, 종래의 축수대는 구조상 분해 조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체인 스프로켓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오일리스 베어링을 비롯한 부품의 교체 시 벽체에서 축수대 전체를 분리한 다음에 오일리스 베어링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한 축수대의 구조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Particularly, since the conventional bearing plate can not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in the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oil bearing when the parts including the oilless bearing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chain sprocket are replaced. It is not easy to 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tructure of the axis bar considering these issues.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20-1999-008873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ublication No. 20-1999-008873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처럼 벽체에서 축수대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일리스 베어링 등의 부품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침전지의 축수를 유지관리하기에 편리한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udge collector chain sprocket which is convenient for maintenance of the running water of the sedimentation basin, And to provide a pivot bearing.

상기 목적은, 체인 스프로켓의 회전축이 통과되는 제1 축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축홀의 하부 영역으로 포켓(pocket)이 형성되는 축수대 본체; 하단부가 상기 포켓에 수용 배치되면서 상기 축수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 영역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베어링 블록; 및 상기 회전축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1 축홀과 연통되는 제2 축홀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 블록의 관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블록에 지지되는 오일리스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can be accomplished by providing a spindle main body having a first shaft hole through which a rotational shaft of a chain sprocket passes and in which a pocket is formed as a lower region of the first shaft hole; A bearing block having a lower end portion accommodated in the pocke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earing body main body and having a through portion formed in a central region thereof; And a second shaf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haft hole to allow the rotation shaft to pass therethrough, the oilless bearing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bearing block and supported by the bearing block. And a chain sprocket for a chain sprocket.

상기 축수대 본체는, 상기 제1 축홀의 양 사이드 영역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한 쌍의 측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aft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side plates protruding from both side regions of the first shaft hole to prevent the rotation shaft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축수대 본체는, 상기 포켓이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측판에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 블록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형 하부커버; 및 상기 제1 축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정형 하부커버의 반대편 상부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 고정형 하부커버의 포켓에 수용 배치되는 상기 베어링 블록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착탈형 상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bearing body is fixed to the pair of side plates in a lower region of the pair of side plates so that the pockets are formed to support a lower end of the bearing block;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bearing block,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side plates at an upper region opposite to the fixed bottom cover with respect to the first shaft hole, the lower end of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of the fixed bottom cover, And a removable top cover.

상기 고정형 하부커버와 상기 착탈형 상부커버의 선단부는 상대편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l end of the fixed bottom cover and the removable top cover may be bent toward the opposite side.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블록에 체결되어 상기 베어링 블록 상에서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이 회전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회전 저지용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rotation blocking member coupled to the oilless bearing and the bearing block to prevent rotation of the oilless bearing on the bearing block.

상기 베어링 블록은 비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The bearing block may be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처럼 벽체에서 축수대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일리스 베어링 등의 부품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침전지의 축수를 유지관리하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the replacement work of parts such as the oil-less bearing without completely separating the bearing block from the wall as in the past, and consequently, it is convenient to maintain the bearing water of the depos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가 적용되는 슬러지 수집기의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structural view of a sludge collector to which a sprocket for a chain sprocke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chain for a chain sprocket of the sludge collector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가 적용되는 슬러지 수집기의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view of a sludge collector to which a sprocket for a chain sprocke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110)가 적용되는 슬러지 수집기(100)는 핀틀 체인 어셈블리(101, PINTLE CHAIN ASS'Y)에 의해 다수의 플라이트 어셈블리(102, FLIGHT ASS'Y)가 회전되면서 슬러지를 수집하는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this drawing, a sludge collector 100 to which a bearing spool 110 for a chain spr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nstructed by a pintle chain assembly 101 (PINTLE CHAIN ASS'Y) 102, FLIGHT ASS'Y) is rotated to collect the sludge.

슬러지 수집기(100)의 일측에는 핀틀 체인 어셈블리(101)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브 유닛 어셈블리(103, DRIVE UNIT ASS'Y)가 배치된다.A drive unit assembly (103, DRIVE UNIT ASS'Y) for driving the pintle chain assembly (101)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ludge collector (100).

핀틀 체인 어셈블리(101)를 따라 리턴 트랙 어셈블리(104, RETURN TRACK ASS'Y)가 다수 배치되며, 일측의 리턴 트랙 어셈블리(104)에는 테이크-업 샤프트 어셈블리(106, TAKE-UP SHAFT ASS'Y)가 마련되어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A plurality of return track assemblies 104 (RETURN TRACK ASS'Y) are arranged along the pintle chain assembly 101 and a take-up shaft assembly 106 (TAKE-UP SHAFT ASS'Y) To control the tension of the chain.

그리고 슬러지 수집기(100)의 상부 일측에는 슬러지를 걷어내면서 수집하는 헬리컬 스컴 스키머(105, HELICAL SCUM SKIMMER)가 마련된다.A helical scum skimmer (105), which collects sludge while collecting sludge,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ludge collector (100).

도 1의 슬러지 수집기(1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수처리장 또는 정수처리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방향 침전지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슬러지 수집기(100)에는 핀틀 체인 어셈블리(101)를 이루는 체인 스프로켓의 회전축(S, 도 3 참조)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110)가 설치된다.The sludge collector 100 of FIG. 1 is applied to a long direction sedimentation basin, which is essentially used in a sewage treatment plant or a water treatment plant, as described above. The sludge collector 100 includes a chain sprocket 101 constituting a pintle chain assembly 101, As a mean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S, see Fig. 3) of the sludge collecting device.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110)는 슬러지 수집기(100) 내의 수중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체인 스프로켓의 회전축(S, 도 3 참조)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chain sprocket bearing bar 110 rotatably supports the rotary shaft S (see FIG. 3) of the chain sprocket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underwater wall in the sludge collector 100.

한편, 종래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미도시)는 구조상 분해 조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체인 스프로켓의 회전축(S)에 연결되는 오일리스 베어링을 비롯한 부품의 교체 시 벽체에서 축수대 전체를 분리한 다음에 오일리스 베어링(140, 도 2 내지 도 4 참조) 등의 부품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ventional chain sprocket bearing (not shown) can not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in structure, when replacing parts including the oil-less bearing connected to the rotational axis S of the chain sprocket, The oil-less bearing 140 (see Figs. 2 to 4) must be replaced,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parts.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110)가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벽체로부터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110) 전체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오일리스 베어링(140, 도 2 내지 도 4 참조) 등의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침전지의 축수를 유지 관리하기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chain sprocket bearing bar 110 is constructed so as to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even if the whole of the chain sprocket bearing bar 110 for a chain sprocket is not separated from the wall, 4) can be replaced. Therefore, there is a convenient advantage to maintain the running water of the sedimentation basin.

이하, 본 실시예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110)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알아본다.Hereinafter, the chain sprocket bearing rack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chain sprocket for a chain sprocket of the sludge collector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110)는 종전처럼 벽체에서 축수대(110)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일리스 베어링(140) 등의 부품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축수대 본체(120), 베어링 블록(130), 그리고 오일리스 베어링(1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chain sprocket bearing for a chain sprocket 110 can easily perform the replacement work of the oil-less bearing 140 and the like without completely separating the bearing block 110 from the wall as in the past And includes a bearing body 120, a bearing block 130, and an oil-less bearing 140.

우선, 축수대 본체(120)는 도 1의 슬러지 수집기(100) 내의 벽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축수대 본체(120)의 판면에는 다수의 장공(120a)이 형성된다. 장공(120a)은 축수대 본체(120)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다.First, the pivot body 120 is fixed to the wall in the sludge collector 100 of Fig.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slots 120a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aft main body 120. The long holes 120a are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axis body 120.

축수대 본체(120)의 중앙 영역에는 체인 스프로켓의 회전축(S)이 통과되는 제1 축홀(121)이 형성된다. 제1 축홀(121)은 회전축(S)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A first shaft hole 121 through which the rotation axis S of the chain sprocket passes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axis body 120. The first shaft hole 12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axis S.

축수대 본체(120)에는 한 쌍의 측판(122), 고정형 하부커버(123), 그리고 착탈형 상부커버(124)가 마련된다.A pair of side plates (122), a fixed bottom cover (123), and a removable top cover (124) are provided on the shaft main body (120).

한 쌍의 측판(122)과 고정형 하부커버(123)가 축수대 본체(120)에 일체로 마련되는 구조물인 반면 착탈형 상부커버(124)는 해당 위치에 착탈 결합될 수 있다.While the pair of side plates 122 and the fixed bottom cover 123 are integrally provided in the pivot body 120, the removable top cover 124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한 쌍의 측판(122)은 제1 축홀(121)의 양 사이드 영역에서 축수대 본체(12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회전축(S)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한 쌍의 측판(122)은 좌우의 추력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한 쌍의 측판(122)은 제1 보강 브래킷(122a)에 의해 축수대 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pair of side plates 122 protrude forward from the axis body 120 in both side regions of the first shaft hole 121 and serve to prevent the rotation axis S from coming off. That is, the pair of side plates 122 is a structure for preventing lateral thrust. The pair of side plates 122 can be coupled to the pivot body 120 by the first reinforcing bracket 122a.

고정형 하부커버(123)는 한 쌍의 측판(122)의 하부 영역에서 한 쌍의 측판(122)에 고정되어 베어링 블록(13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xed bottom cover 123 is fixed to the pair of side plates 122 in the lower region of the pair of side plates 122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bearing block 130.

고정형 하부커버(123)는 제1 축홀(121)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포켓(pocket, 123a)이 형성한다.The fixed bottom cover 123 is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first shaft hole 121 to form a pocket 123a.

고정형 하부커버(123)에 의해 형성되는 포켓(123a)은 베어링 블록(130)의 하단부가 수용되어 자리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평판으로 된 고정형 하부커버(123)의 위에 형성되는 포켓(123a)은 베어링 블록(130)을 받쳐 주는 역할을 한다.The pocket 123a formed by the fixed bottom cover 123 can form a place where the lower end of the bearing block 130 is received and seated. That is, the pockets 123a formed on the fixed bottom cover 123 made of a flat plate serve to support the bearing block 130.

고정형 하부커버(123) 역시, 제2 보강 브래킷(123b)에 의해 축수대 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xed bottom cover 123 can also be coupled to the pivot body 120 by the second reinforcing bracket 123b.

이때, 고정형 하부커버(123)의 선단부(123c)는 착탈형 상부커버(124) 측을 향해 절곡됨으로서 포켓(123a) 내에서 베어링 블록(13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istal end portion 123c of the fixed bottom cover 123 is bent toward the removable top cover 124, thereby helping the bearing block 130 to be stably supported in the pocket 123a.

착탈형 상부커버(124)는 제1 축홀(121)을 기준으로 하여 고정형 하부커버(123)의 반대편 상부 영역에서 한 쌍의 측판(1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detachable top cover 12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side plates 122 in the upper region opposite to the fixed bottom cover 123 with respect to the first shaft hole 121.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한 쌍의 측판(122)과 고정형 하부커버(123)가 축수대 본체(120)에 일체로 마련되는 구조물인 반면 착탈형 상부커버(124)는 해당 위치에서 한 쌍의 측판(122)에 결합되면서 고정형 하부커버(123)의 포켓(123a)에 수용 배치되는 베어링 블록(130)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air of side plates 122 and the fixed bottom cover 123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vot body 120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detachable top cover 124 is provided with a pair of side plates 122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And serves to fix the upper end of the bearing block 130 accommodated in the pocket 123a of the fixed bottom cover 123. [

한 쌍의 측판(122)에 착탈형 상부커버(12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씩의 볼트(B)와 너트(N)가 마련된다.A pair of bolts B and a nut N are provided so that the detachable upper cover 124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side plates 122. [

한 쌍씩의 볼트(B)와 너트(N)는 착탈형 상부커버(124)의 양 날개부(124a)에 형성되는 통공(124b)과 한 쌍의 측판(122)에 형성되는 통공(122b)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측판(122)의 상부에서 착탈형 상부커버(12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e pair of bolts B and the nut N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4b formed in the wing portions 124a of the detachable upper cover 124 and the through hole 122b formed in the pair of side plates 122, So that the detachable upper cover 124 can be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ide plates 122.

착탈형 상부커버(124)의 중앙 영역에도 보강을 위한 제3 보강 브래킷(124c)이 마련된다. 그리고 착탈형 상부커버(124)의 선단부(124d)는 고정형 하부커버(123) 측을 향해 절곡됨으로서 고정형 하부커버(123)와 함께 베어링 블록(13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A third reinforcing bracket 124c for reinforcement is also provid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removable top cover 124. [ The front end portion 124d of the removable top cover 124 is bent toward the fixed bottom cover 123 to help the bearing block 130 to be stably supported together with the fixed bottom cover 123. [

다음으로, 베어링 블록(130)은 그 하단부가 포켓(123a)에 수용 배치되면서 축수대 본체(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각 블록 형상의 구조물이다.Next, the bearing block 130 is a rectangular block-shaped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earing block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ivot body 120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pockets 123a.

베어링 블록(130)의 중앙 영역에는 오일리스 베어링(140)이 결합되기 위한 관통부(131)가 형성된다.A through hole 131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bearing block 130 to receive the oil-less bearing 140.

종래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베어링 블록(130)은 비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즉 베어링 블록(130)은 유지보수를 위해 중량이 가벼운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나일론 등의 비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이로 인해 중량이 가벼워짐에 따라 유지관리 시 간단히 적은 인원으로 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Unlike the prior art, the bearing block 130 in this embodiment is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That is, the bearing block 130 is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such as high-density polyethylene or nylon which is light in weight for maintenance, and as a result, the bearing block 130 can provide an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treated with a small number of personnel .

또한 베어링 블록(130)이 부식이 없는 비금속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에도 부식으로 인한 결합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bearing block 130 is applied as a non-corrosive non-metal, a coupling phenomenon due to corrosion does not occur even in long-term use.

만약, 장기간 사용 시 오일리스 베어링(140)의 교체시기가 넘어 오일리스 베어링(140)에 계속 마모가 진행되더라도 비금속인 베어링 블록(130) 부분이 오일리스 베어링(140)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게 되는 바 회전축(S)의 마모 및 손상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Even if wear of the oil-less bearing 140 is continued beyond the replacement period of the oil-less bearing 140 during long-term use, the portion of the bearing block 130, which is a non-metal, may replace the function of the oi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otation axis S is not abraded or damaged.

마지막으로, 오일리스 베어링(140)은 회전축(S)의 마찰계수를 낮춰 소요동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즉 오일리스 베어링(140)은 회전축(S)의 마모, 손상, 마찰 계수를 낮게 하여 운전 동력을 절감시키는 역할을 한다.Lastly, the oilless bearing 140 reduces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rotary shaft S, thereby reducing the required power. That is, the oil-less bearing 140 lowers the abrasion, damage, and friction coefficient of the rotary shaft S, thereby reducing the driving power.

이러한 오일리스 베어링(140)은 베어링 블록(130)의 관통부(1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블록(130)에 지지된다. 오일리스 베어링(140)의 중앙 영역에는 회전축(S)이 통과되도록 제1 축홀(121)과 연통되는 제2 축홀(141)이 형성된다.The oilless bearing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enetration portion 131 of the bearing block 130 and is supported by the bearing block 130. A second shaft hole 14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haft hole 121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oilless bearing 140 so that the rotational shaft S can pass therethrough.

이때, 베어링 블록(130) 상에서 오일리스 베어링(140)이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 저지용 체결부재(150)가 더 마련된다. 다시 말해, 회전 저지용 체결부재(150)는 오일리스 베어링(140)과 베어링 블록(130)에 체결되어 베어링 블록(130) 상에서 오일리스 베어링(140)이 회전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blocking member 150 is further provided on the bearing block 130 so that the oilless bearing 140 is not rotated. In other words, the rotation-stopping coupling member 150 is engaged with the oilless bearing 140 and the bearing block 130 to prevent rotation of the oilless bearing 140 on the bearing block 130.

회전 저지용 체결부재(150)는 통상의 볼트일 수 있는데, 회전 저지용 체결부재(150)가 체결되기 위해 오일리스 베어링(140)의 플랜지(140a)에는 반달형의 홈부(140b)가 형성되고 베어링 블록(130)에는 체결공(130a)이 형성된다.The rotation stopping fastening member 150 may be a normal bolt and the flange 140a of the oilless bearing 140 is formed with a half-moon shaped groove portion 140b for fastening the rotation stopping fastening member 150, In the block 130, a fastening hole 130a is form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11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using the chain sprocket bearing table 110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우선, 회전축(S)에 오일리스 베어링(140)을 끼우고 오일리스 베어링(140)을 베어링 블록(13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는 회전 저지용 체결부재(150)를 체결하여 오일리스 베어링(140)의 회전을 저지시킨다.First, the oil-less bearing 140 is fitted to the rotary shaft S and the oil-less bearing 140 is coupled to the bearing block 130. Then, the rotation-stopping fastening member 150 is fasten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oil-less bearing 140.

다음, 베어링 블록(130)의 하단부를 축수대 본체(120)의 포켓(123a)에 수용 배치한 후, 착탈형 상부커버(124)를 한 쌍의 측판(122)에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축(S)의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다.Next, the lower end of the bearing block 130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123a of the pivot body 120, and then the removable upper cover 124 is engaged with the pair of side plates 122, The work can be completed easily.

이후, 오일리스 베어링(140) 등의 부품을 교체하려면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110)를 벽체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역순으로 하여 오일리스 베어링(140) 등의 부품을 교체하면 된다.In order to replace components such as the oil-less bearing 140, components such as the oil-free bearing 140 may be replaced in the above-described reverse order without completely separating the bearing spool 110 for the chain sprocket from the wall.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처럼 벽체에서 축수대(110)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일리스 베어링(140) 등의 부품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침전지의 축수를 유지관리하기에 편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the replacement work of parts such as the oilless bearing 140 without completely separating the bearing 110 from the wall as in the pa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is convenient for maintena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0 :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 120 : 축수대 본체
121 : 제1 축홀 122 : 측판
123 : 고정형 하부커버 123a : 포켓
124 : 착탈형 상부커버 130 : 베어링 블록
131 : 관통부 140 : 오일리스 베어링
141 : 제2 축홀 150 : 회전 저지용 체결부재
110: Spindle head for chain sprocket 120: Spindle head body
121: first shaft hole 122: side plate
123: Fixed bottom cover 123a: Pocket
124: detachable upper cover 130: bearing block
131: penetrating part 140: oilless bearing
141: second shaft hole 150: rotation stopping fastening member

Claims (6)

체인 스프로켓의 회전축이 통과되는 제1 축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축홀의 하부 영역으로 포켓(pocket)이 형성되는 축수대 본체;
하단부가 상기 포켓에 수용 배치되면서 상기 축수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 영역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베어링 블록; 및
상기 회전축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1 축홀과 연통되는 제2 축홀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 블록의 관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블록에 지지되는 오일리스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
A main shaft body having a first shaft hole through which a rotational shaft of a chain sprocket passes, and a pocket being formed in a lower region of the first shaft hole;
A bearing block having a lower end portion accommodated in the pocke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earing body main body and having a through portion formed in a central region thereof; And
And a second shaf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haft hole to allow the rotation shaft to pass therethrough, and an oilless bearing removably coupled to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bearing block and supported by the bearing block. Spindle for chain spro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수대 본체는,
상기 제1 축홀의 양 사이드 영역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한 쌍의 측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ide plates protruding from both side regions of the first shaft hole to prevent the rotation axis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수대 본체는,
상기 포켓이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측판에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 블록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형 하부커버; 및
상기 제1 축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정형 하부커버의 반대편 상부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 고정형 하부커버의 포켓에 수용 배치되는 상기 베어링 블록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착탈형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bove-
A fixed bottom cover fixed to the pair of side plates in a lower region of the pair of side plates so as to form the pockets to support a lower end of the bearing block; And
And a lower end portion of which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pair of side plates in an upper region opposite to the fixed bottom cover with respect to the first shaft hole, The syringe collecto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op co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하부커버와 상기 착탈형 상부커버의 선단부는 상대편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ed bottom cover and the front end of the detachable top cover are bent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ch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블록에 체결되어 상기 베어링 블록 상에서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이 회전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회전 저지용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il-less bearing and a rotation blocking member coupled to the bearing block to prevent rotation of the oil-less bearing on the bearing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블록은 비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스프로켓용 축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aring block is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KR1020130135591A 2013-11-08 2013-11-08 Chain sprocket device for sludge collector KR1015896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591A KR101589665B1 (en) 2013-11-08 2013-11-08 Chain sprocket device for sludge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591A KR101589665B1 (en) 2013-11-08 2013-11-08 Chain sprocket device for sludge coll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531A true KR20150053531A (en) 2015-05-18
KR101589665B1 KR101589665B1 (en) 2016-01-28

Family

ID=5339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591A KR101589665B1 (en) 2013-11-08 2013-11-08 Chain sprocket device for sludge coll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66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468B1 (en) * 2015-05-28 2016-12-13 장은진 Sludge collecting system
KR102177441B1 (en) * 2020-02-28 2020-11-11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Non-metal Sludge Collector with Automatic Control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206A (en) 2022-04-01 2023-10-11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Sludge collector driving system of settling tank and water treatment facility hav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942A (en) * 1992-01-16 1993-08-06 Fuji Electric Co Ltd Rotor support bearing for straight-flow type water turbine
JPH07269563A (en) * 1994-02-18 1995-10-17 Xerox Corp Bearing with composite flange having feature of prevention of revolution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with said bearing
KR19990046464A (en) 1999-03-16 1999-07-05 이장호 Agent for treating environmental pollutants utilizing cas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KR20000021217U (en) * 1999-05-24 2000-12-26 윤종용 Monitor stand having application switch
KR200414684Y1 (en) * 2006-02-14 2006-04-21 김명호 A bearing hous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942A (en) * 1992-01-16 1993-08-06 Fuji Electric Co Ltd Rotor support bearing for straight-flow type water turbine
JPH07269563A (en) * 1994-02-18 1995-10-17 Xerox Corp Bearing with composite flange having feature of prevention of revolution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with said bearing
KR19990046464A (en) 1999-03-16 1999-07-05 이장호 Agent for treating environmental pollutants utilizing cas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KR20000021217U (en) * 1999-05-24 2000-12-26 윤종용 Monitor stand having application switch
KR200414684Y1 (en) * 2006-02-14 2006-04-21 김명호 A bearing hous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468B1 (en) * 2015-05-28 2016-12-13 장은진 Sludge collecting system
KR102177441B1 (en) * 2020-02-28 2020-11-11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Non-metal Sludge Collector with Automatic Control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665B1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38307A (en) Sewage treatment apparatus also used as square water purifying apparatus
KR101589665B1 (en) Chain sprocket device for sludge collector
CN101547725A (en) Dirty liquid treating apparatus
US7824549B2 (en) High efficiency grit removal system
US7395935B2 (en) Filtering device
JP7023705B2 (en) Sludge scraper
WO2017110219A1 (en) Filtration device
JP5727075B1 (en) Return flight side guide shoe and chain flight type sludge scraper equipped with the return route side guide shoe
JP6970504B2 (en) Chain and sludge scraper
KR20080038742A (en) The sludge collector of a circular settling pond
US3018893A (en) Mechanical trash rake
CN208933028U (en) A kind of flotation tank Slag Scraping Device
JP6984811B2 (en) Settling basin equipment
US5481789A (en) Method for removing a gear or bearing in circular clarifiers and thickeners
JP2015029979A (en) Sludge scraper
KR102052913B1 (en) Sludge collector
KR101467199B1 (en) Sludge collector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with cleaning means for loop chain
US8225943B2 (en) Circular clarifier cleaning system
KR20040038936A (en) High-speed settling pond using slope plate
JP7302983B2 (en) Scum scraper and sedimentation tank equipment
JP2017024010A (en) Sludge scraping-up device
KR101966770B1 (en) Nonmetal conveyor chain and chain pin with steel tube therefor, and sludge collector
KR100837784B1 (en) Scum skimmer of water treatment system
JP6273344B1 (en) Sludge scraping device
JP2010149021A (en) Magnetic sepa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