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327A -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327A
KR20150053327A KR1020130135102A KR20130135102A KR20150053327A KR 20150053327 A KR20150053327 A KR 20150053327A KR 1020130135102 A KR1020130135102 A KR 1020130135102A KR 20130135102 A KR20130135102 A KR 20130135102A KR 20150053327 A KR20150053327 A KR 20150053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ns
bluetooth
microphon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훈
Original Assignee
유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용훈 filed Critical 유용훈
Priority to KR1020130135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327A/ko
Publication of KR2015005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면서도 전력의 원활한 공급과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충전수단을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에 관한 것으로, 전면의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레그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외주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렌즈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심측에 배치되며 콧등에 밀착되어 골진동을 통하여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부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음성통화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BLUETOOTH GLASSES HAVING DETACHABLE LENS}
본 발명은 블루투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면서도 전력의 원활한 공급과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충전수단을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 유선통신이나 적외선통신을 대체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블루투스 프로토콜(Bluetooth Protocol))이 채택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블루투스 프로토콜이란 근거리에서 통신을 위한 기기를 마스터로 하여 마스터의 요청을 수용하는 블루투스 기기들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블루투스의 통신을 위하여 무선 이어폰에 적용하여 근거리에서 휴대폰과 무선 이어폰 간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근래에 출시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음성 또는 데이터의 처리장치는 단거리 통신을 고려하여 미리 블루투스모듈을 내장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고, 최근 출시되는 블루투스 헤드셋은 음성통화와 음악감상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방향으로 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최근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블루투스 헤드셋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블루투스 헤드셋(1)은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와의 쌍방향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하고, 상호간에 컨넥션 관계를 설정하여 통화나 음악감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컨넥션 관게는, 스마트폰의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를 블루투스모듈에서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헤드셋의 블루투스모듈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블루투스 헤드셋이 요청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기술발전에 따라 블루투스모듈과 신호처리계통이 고성능화 및 소형화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헤드셋은 일반적으로 스피커와 마이크를 소정의 하우징에 구비하고, 내부에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 기판과 배터리 등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도시된 종래의 일반적인 블루투스 헤드셋의 경우 귓바퀴에 착용하는 방식의 한계로 인하여 원활한 고정이 어렵고 휴대를 위한 크기 및 무게의 한계로 인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음성통화나 음악감상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소형화하기 위하여서는 배터리의 성능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최근에 출시되는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장치들의 실질적인 사용가능시간은 24시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상 편리성이 극대화되면서도 조작의 확실성이 향상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면의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레그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외주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렌즈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심측에 배치되며 콧등에 밀착되어 골진동을 통하여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부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음성통화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 레그부에 결합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전력의 공급 없이 휴대가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광투과가 가능하며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솔라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자체적인 충전이 가능하고 사용지속시간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바디부에 형성되는 전극에 접촉되는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탈착이 가능하면서도 전기적인 연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 렌즈부는, 양측에서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부는, 렌즈부의 외주측의 일부를 감쌀수 있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단차부의 저면이 걸림되는 단턱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의 확실성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외측의 단차부가 내측의 단차부보나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탈착의 편리성과 고정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상기 마이크부는, 하측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콧등의 진동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측에 형성되고 체결수단이 바디부와 관통되어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부의 고정이 확실하며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크부와 바디부 내부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인 연결의 확실성이 제공된다.
한편, 레그부의 저면에 배치되고 스크롤이 가능한 휠 형태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 외부로 전기신호가 입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작동상태를 발광하여 표시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는,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통화나 음악감상을 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면서도 렌즈의 교환이 용이하여 선택에 따라 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다양한 렌즈가 적용될 수 있고, 자연력을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도 휴대시간이 현저하게 상승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휠타입의 스위치가 적용되어 착용상태에서 조작성이 향상되면서도 편리성이 향상되며, 골진동방식의 마이크부가 바디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통화시 음성전달의 정확성과 구조적인 단순성 및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블루투스 헤드셋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에서 바디부와 렌즈부가 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렌즈부가 결합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에서 마이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의 레그부를 도시한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렌즈부(5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부(100)와, 상기 바디부(100)의 양측에 결합되어 귓바퀴와 같은 인체의 부위에 지지될 수 있는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와 레그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렌즈부(500)가 배치되는 부위를 전방측으로, 레그부가 연장되는 측을 후방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바디부(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이어지는 소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하측으로 렌즈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부(500)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독립된 투명재질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탈착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도면과 같이 두 개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부(500)는 바디부(100)에 대해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레그부는 바디부(100)의 양측으로 결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디부(100)의 양단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레그부는 통상 양측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각각 제1레그부(200)와 제2레그부(30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안경의 구조에서 내부에 유무선의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하거나 블루투스모듈과 연결되어 이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음성 통신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부(100)는 마이크부(40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마이크부(400)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콧등 부위에 지지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부(400)는 내부에 진동을 음성신호로 변조하는 부재를 포함하고, 이러한 개념에 따라 마이크부(400)의 형태는 콧등을 중심으로 양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마이크부(400)는 보행 또는 주행시 외부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정확한 음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골전도 마이크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부(400)는 바디부(100)의 내측 즉, 후방측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유지보수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디부(100)는 내부에 마이크부(400)와 연결되는 소정의 도선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도선은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장치 및/또는 외부의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도선은 후술될 바와 같이 제1레그부(200) 및/또는 제2레그부(300)와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측에는 이용자에게 전기적인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소정의 스피커장치(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스피커장치는 레그부에 내장되는 골전도스피커로 이루어지거나, 레그부의 단부측에 배치되어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스피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레그부가 직접 스피커와 결합되지 않고 소정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이어셋을 통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글래스의 블루투스를 통한 통신을 위하여 바디부(100) 또는 레그부 측에는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블루투스모듈은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PC와 같은 외부 장치와 무선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하며 광통신이나 적외선통신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모듈은 경우에 따라 글래스의 외부의 별도의 장치로서 구비될 수도 있고, 글래스에 구비되는 소정의 입출력단자를 통해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 레그부 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에서 배터리부(210)를 구비하고, 이러한 배터리부(210)는 외부 전력에 의하여 충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되는데, 추가적으로 자연력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생산된 전력을 통하여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부(210)가 일측의 제1레그부(200)에 구비되는 경우 타측의 제2레그부(300)에는 통신의 온오프 동작 또는 볼륨의 조절 등의 조작을 위한 스위치부(310)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발광부(320) 또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320)의 경우 제2레그부(300)에 결합되는 LED모듈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점멸 또는 발광 색상에 의하여 다양한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디부(100)와 레그부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생산성과 후술될 바와 같은 탈착시의 변형에 의한 내구성을 고려하여 탄성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의 합성수지재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경우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에서 렌즈부의 탈착을 위한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바디부(100)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두 개의 렌즈부(5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각각 수용부(110)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110)는 마이크부(400)가 결합되는 연장부(130)에 의하여 바디부(100)의 중심측에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의 외곽은 렌즈부(500)의 측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렌즈부(500)의 대략 양측방 및 상방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용부(110)측에 렌즈부(500)가 고정되기 위하여, 바디부(100)는 내주측에 렌즈부(500)의 외주측 전후면을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삽입홈(120)이 구비되며 이용자가 렌즈부(500)를 수용부(110)로 배치하면서 삽입홈(12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바디부(100)는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삽입 및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렌즈부(500)는 외곽이 타원형에 가까운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홈(120)에서의 고정력의 향상을 위하여 외곽의 일부에 단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렌즈부(500)는 측방에 외측단차부(510)와 내측단차부(520)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단차부(510)와 내측단차부(520)는 저면에서 대략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삽입홈(120)의 부위에는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단턱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단차부(510)와 내측단차부(520)는 상호 대칭되는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바디부(100)의 양측의 경우 콧등을 지지하는 부위인 연장부(130)보다 하방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는 여유가 있음을 고려하여 바디부(100)에 배치상태에서 외측단차부(510)가 내측단차부(520)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측의 렌즈부(500)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의 렌즈로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루투스 글래스의 경우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통신을 지원하기 때문에 전력을 방전할 수 있는 배터리부(210)가 구비되는데, 부피와 무게의 제한으로 인하여 전력의 사용시간에 한계가 있고 이는 휴대성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상기 배터리부(210)를 자연력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하는데, 도 3과 관련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 따른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의 렌즈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개념에서는 렌즈부(500)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솔라셀부(533)의 층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부(500)는 측단면상 전면에 배치되고 광투과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레이어(531)와, 후면에 배치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제2레이어(532)와, 상기 제1레이어(531) 및 제2레이어(532)의 사이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통한 발전이 가능한 솔라셀부(533)를 구비한다.
상기 솔라셀부(533)는 소정의 레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소정의 부재들이 격자 형태 또는 라인형태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솔라셀부(533)는 태양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태양광소자를 구비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형태와 재질의 공지의 태양광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글래스의 특성상 시야의 확보를 위하여 광투과성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솔라셀부(533) 또한 광투과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솔라셀부(533)가 광투과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 소정의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내부의 공극을 통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의 광은 관통되고, 소정의 각도를 벗어나는 태양광이 솔라셀부(533)의 소정의 면에 충돌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발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태양광소자의 배열은 반드시 격자형태로 한정되지는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렌즈부(500)를 이루는 레이어들 사이에 솔라셀부(533)가 구비되는 경우 소정의 태양광을 차단 또는 흡수할 수 있어 시력을 보호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솔라셀부(533)는 소정의 도선 또는 투명기판의 레이어(미도시)를 통하여 직렬 또는 병렬로 소자 상호간에 연결되어 외부로 전력이 인출 가능하도록 단자부(540)에 연결된다.
상기 단자부(540)는 렌즈부(500)의 측부의 일부에 형성되어 후술될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소정의 전극과 연결됨으로써 배터리부(210) 또는 전기장치들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도 5는 상기된 솔라셀부를 구비하는 렌즈부가 바디부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부(500)는 바디부(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홈(12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이러한 삽입시 바디부(100) 및/또는 렌즈부(500)의 탄성변형과 복원의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렌즈부(500)와 바디부(100)의 체결력의 향상을 위하여 단턱부(121)와 단차부를 통하여 결합이 가능한데,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바디부(100)의 삽입홈(120)의 일부에는 단자부(540)와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전극(참조번호 미표시)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부(540)와 전극은 선택된 부위 또는 개수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전기적인 연결관계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비교적 두께를 확보할 수 있는 바디부(100)의 중심측 즉, 연장부(130)가 형성되는 측에 인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상기된 바디부의 연장부와 마이크부측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콧등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거나 돌출되는 연장부(130)를 구비할 수 있고, 마이크부(400)는 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부(400)가 바디부(100)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경우를 고려해볼 수 있는데, 인체에의 배치상태와 전기적인 부품의 수용 관계 및 유지보수성을 위하여 바디부(100)와 마이크부(400)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이크부(400)는 하단측에 콧등에 대응되는 부위에 진동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마이크부재를 구비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ㅅ'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부(400)는 인체와의 밀착을 고려하여 최소한 인체와 접촉되는 부위는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부(400)는 양갈래의 가지측 단부에서 후방측을 지향하여 입력부(420)가 형성되고, 이러한 입력부(420)는 골진동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바디부(100) 내부에 형성된 도선을 통하여 전기신호로서 송출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입력부(420)는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는 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이크부(400)는 바디부(100)와 탈착 가능하도록 별도의 부재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정확한 위치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체결부(410)를 통하여 체결수단(411)이 관통하여 바디부(1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410)에 대응되는 바디부(100)측에는 소정의 체결홀(미도시)가 구비되어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411)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부(400)는 전기적인 신호가 바디부(100)로 연통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마이크부(400)와 바디부(100)의 사이에는 전기적인 접촉이 요구된다. 따라서, 마이크부(400)측에 마이크부단자(미도시)와 바디부(100)측에 바디부단자(미도시)가 구비되어 탈착시에 전기적인 연결과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적인 연결의 확실성을 고려하여 상기 체결부(410)에서 소정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체결수단(411)이 도전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마이크부(400)와 바디부(100)를 관통하여 배치되면서 상호간에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수단(4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중심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형상과 배치관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마이크부(400)와 바디부(100)의 정확한 위치의 고정을 위하여 바디부(100)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융기부(131)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융기부(131)는 마이크부(400) 외면의 일부가 밀착되어 정확한 위치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융기부(131)는 선택에 따라 다양한 위치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마이크부(400)의 상단측이 밀착될 수 있도록 'ㅅ'자 내지는 역전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융기부(131)는 마이크부(400)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경우에 따라 전방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의 레그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상기한 예와 같이 제1레그부(200)에는 배터리부(210)가 구비되고, 제2레그부(300)에는 통신장치의 조작을 위한 소정의 부재들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치상태는 상호 치환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의 부재가 공유될 수 있으며 반드시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2레그부(300)를 설명하면, 이러한 제2레그부(300)는 대략 안면의 측부와 귓바퀴측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후방측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레그부(300)의 저면측에는 통신 작동을 위한 스위치부(3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310)는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경우에 따라 헬멧 또는 모자와 함께 착용될 수도 있으므로 조작간의 간섭이나 오작동의 방지를 고려하여 저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부(310)는 통신의 온오프 동작, 볼륨의 조절, 재생목록의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바디부(100) 내부의 도선과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부(400) 및 배터리부(210)와 전기적인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310)는 전후방으로 스크롤(scroll)되는 휠(wheel)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레그부(300)의 내부에 수용되고 하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부(310)의 외주면에는 손가락과의 마찰력을 고려하여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310)는 스크롤 동작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작동되어 소정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측에는 손가락이 걸림될 수 있는 버튼부(31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부(311)는 스크롤 동작을 원활하게 하도록 기능할 수 있음은 물론 누름동작시 중심을 정확하게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레그부(300)의 측면에는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발광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는 전화의 수신, 음성작동, 메뉴의 선택, 배터리의 충방전 등의 다양한 상태를 다양한 색상 또는 점멸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레그부(300)의 일부에는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입출력부(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출력부는 AUX단자, 마이크로USB, USB 등의 다양한 규격에 따른 입출력포트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부(330)는 외부에 배치되는 블루투스모듈이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기기와 연결될 수 있고, 별도로 구비되는 이어셋과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입출력부(330)는 외부의 전력과 연결되어 배터리부(210)를 충전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부(210), 버튼부(311), 발광부(320) 및 입출력부(330)는 레그부의 선택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바디부(100)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는,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통화나 음악감상을 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면서도 렌즈의 교환이 용이하여 선택에 따라 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다양한 렌즈가 적용될 수 있고, 자연력을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도 휴대시간이 현저하게 상승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휠타입의 스위치가 적용되어 착용상태에서 조작성이 향상되면서도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골진동방식의 마이크부가 바디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통화시 음성전달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구조적인 단순성과 유지보수성의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바디부 110...수용부
120...삽입홈 121...단턱부
130...연장부 131...융기부
200...제1레그부 210...배터리부
300...제2레그부 310...스위치부
311...버튼부 320...발광부
330...입출력부 400...마이크부
410...체결부 411...체결수단
500...렌즈부 510...외측단차부
520...내측단차부 531...제1레이어
532...제2레이어 533...솔라셀부
540...단자부

Claims (9)

  1. 전면의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레그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외주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렌즈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심측에 배치되며 콧등에 밀착되어 골진동을 통하여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에 결합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광투과가 가능하며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솔라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바디부에 형성되는 전극에 접촉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양측에서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부는, 렌즈부의 외주측의 일부를 감쌀수 있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단차부의 저면이 걸림되는 단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외측의 단차부가 내측의 단차부보나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는, 하측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콧등의 진동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측에 형성되고 체결수단이 바디부와 관통되어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크부와 바디부 내부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의 저면에 배치되고 스크롤이 가능한 휠 형태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
    외부로 전기신호가 입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작동상태를 발광하여 표시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KR1020130135102A 2013-11-08 2013-11-08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KR20150053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02A KR20150053327A (ko) 2013-11-08 2013-11-08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02A KR20150053327A (ko) 2013-11-08 2013-11-08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327A true KR20150053327A (ko) 2015-05-18

Family

ID=5338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102A KR20150053327A (ko) 2013-11-08 2013-11-08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33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5137A1 (ko) * 2015-12-16 2017-06-22 알투기어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
CN107561732A (zh) * 2017-09-30 2018-01-09 王锦林 一种蓝牙耳机装配式眼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5137A1 (ko) * 2015-12-16 2017-06-22 알투기어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
CN107561732A (zh) * 2017-09-30 2018-01-09 王锦林 一种蓝牙耳机装配式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5421A1 (en) Wireless earphone set
JP3221202U (ja) モジュール化したワイヤレスイヤホン
CN109756811A (zh) 用于无线耳机的线控盒及无线耳机
CN107895854B (zh) 光通信接口
WO2012141380A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액세서리
CN109819366A (zh) 用于无线耳机的线控盒及无线耳机
KR20150053327A (ko) 탈착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글래스
CN204010690U (zh) 适用于穿戴式智能设备的微型语音装置
CN205407893U (zh) 带大容量电池蓝牙音箱手机
CN207504608U (zh) 一种用于蓝牙耳机的充电装置及蓝牙耳机
CN211293789U (zh) 一种可穿戴翻译设备及翻译系统
CN210840009U (zh) 带移动充电功能的入耳式触摸无线蓝牙耳机充电座
CN110417950A (zh) 一种移动终端
CN209545835U (zh) 可更换电池并可进行有线和无线切换的蓝牙耳机
KR20190001662U (ko) 포터블 장치
CN210629595U (zh) 一种电子设备保护壳
CN210112245U (zh) 蓝牙耳机
CN210129942U (zh) 耳机套件
CN206790707U (zh) 一种带有移动电源盒的助听器
CN206517578U (zh) 具安全警示功能的运动蓝牙耳机
CN208337826U (zh) 一种小型蓝牙拍照耳机
CN216357221U (zh) 一种可防水蓝牙耳机外壳
CN202799049U (zh) 一种蓝牙耳机
CN210120649U (zh) 一种耳饰耳机
CN210839026U (zh) 带移动充电功能的无线触摸蓝牙耳机充电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