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855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855A
KR20150051855A KR1020140014150A KR20140014150A KR20150051855A KR 20150051855 A KR20150051855 A KR 20150051855A KR 1020140014150 A KR1020140014150 A KR 1020140014150A KR 20140014150 A KR20140014150 A KR 20140014150A KR 20150051855 A KR20150051855 A KR 20150051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flange
cabinet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1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7472B1 (en
Inventor
이도윤
전종수
김정환
고홍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520,986 priority Critical patent/US9598811B2/en
Priority to EP14191168.5A priority patent/EP2876199B1/en
Priority to CN201410636114.5A priority patent/CN104611889B/en
Publication of KR20150051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8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A washing machine comprises: a cabinet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a locking device selectively restricting operation of the door when closing the door. The door can be stably opened and clos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oor, and wash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randomly. Also, a structure of the front of the opening can be improved so that the laundry can conveniently flow in and out.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락킹구조를 개선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improved in a door lock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로서,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washing machine is an apparatus for washing laundry using water and a detergent.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 cabinet, a fixing tank for storing wash water, and a rotating tub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fixing tub.

세탁기는 세탁물의 유출입을 위해 개구가 형성되고, 이는 도어에 의해 개폐가 된다. 이 때, 도어는 개구폐쇄시 임의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In the washing machine, an opening is formed to allow the laundry to flow in and out,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At this time, the door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to prevent any operation when the opening is closed.

그러나 도어의 잠금장치가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면, 이에 대응되는 캐비닛이 돌출구조를 갖게되어, 사용자가 세탁물의 유출입을 위해 몸을 숙이게 되는 경우 돌출구조에 의해 방해되게 되므로,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when the door locking device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door, the corresponding cabinet has a protruding structure, which is hindered by the protruding structure when the user leans to enter and exit the laundr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의 잠금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세탁기 내부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캐비닛의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improved in the structure of a locking device of a doo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shing machine improved in the structure of the cabinet so as to facilitate access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와,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개구플랜지를 갖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시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의 동작을 구속하는 한 쌍의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플랜지는, 상기 개구의 전방에서 상기 한 쌍의 락킹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일측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전방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n opening and an opening flang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A door rotatably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fixing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nd a pair of locking device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oor and selectively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opening flange includes a front flang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locking devices in front of the opening and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door is seated.

상기 개구플랜지는, 상기 개구의 측면에 형성되며,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측방플랜지; 상기 전방플랜지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측방플랜지와 연결되는 후방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플랜지는 상기 측방플랜지와 상기 후방플랜지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opening flange includes a pair of side flanges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opening and facing each other; And a rear flang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flange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side flanges, wherein the front flange is provided so as to have a gentler slope than the lateral flange and the rear flange .

상기 전방플랜지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전방경사면과, 상기 개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후방경사면; 상기 전방경사면과 상기 후방경사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도어의 일측이 안착하도록 형성되는 도어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front flange includes a front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a rear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pening; And a door seating part formed between the front inclined surface and the rear inclined surface and configured to seat one side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상기 측방플랜지와 바닥면사이의 각도를 측방각도라 할때, 상기 전방경사면과 바닥면사이의 각도는 상기 측면각도보다 작은 전방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an angle between the front inclined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s less than the side angle when the angle between the side flange and the bottom surface is a lateral angle.

상기 전방경사면, 상기 후방경사면, 상기 도어안착부는 하나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ront slope, the rear slope, and the door seating part may be formed as one curved surface.

상기 개구플랜지의 상부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flang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ar toward the front.

상기 캐비닛은, 내부에 상기 회전조와 상기 고정조가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와 상기 개구플랜지가 형성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플랜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전방플랜지의 상부까지의 높이를 h1이라 할 때, 상기 h1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측방플랜지의 상부까지의 높이인 h2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abinet includes: a lower frame in which the rotary tub and the fixing tub are disposed; And an upper frame on which the opening and the opening flange ar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wherein the opening flange has a height h1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flange, May be formed to be lower than a height h2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of the side flange.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안착부에 접하면 상기 도어의 측면에서 상기 도어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restricts the door from a side surface of the door when the door contacts the door seating part.

상기 전방플랜지는, 상기 락킹장치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ront flange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locking device.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도어 측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안착돌기; 상기 도어 측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a seating protrusion disposed in the cabinet so as to be seated in a seating groove recessed in a side surface of the door; And a sliding member disposed in the cabinet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a fixing groove recessed in a side surface of the door.

상기 도어가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 1 축과 나란한 제 2 축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door is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the sliding member slides along a second axis parallel to the first axis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도어의 폐쇄시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의 동작을 구속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도어 측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안착돌기; 상기 도어 측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n opening;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 fixing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 rotatable vessel rotatably provided in the fixed vessel; And a locking device for selectively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wherein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seating protrusion disposed in the cabinet so as to be seated in a seating groove recessed in a side surface of the door; And a sliding member disposed in the cabinet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a fixing groove recessed in a side surface of the door.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시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when the opening is closed.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의 양측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may be arranged in the cabinet, and a pair of the locking devices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door.

상기 도어의 회동에 대한 반경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a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recess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oor is defined as a first direction.

상기 도어의 회동에 대한 반경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sliding member is formed to be longer in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xing groove, whe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a radial direction of the door is defined as a first direction.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안착돌기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slid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seating protrusion.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도어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oor opening / closing sensor disposed in the cabinet so as to correspond to any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door and sensing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상기 도어가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 1 축과 나란한 제 2 축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door is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the sliding member slides along a second axis parallel to the first axis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상기 캐비닛은,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개구의 측방에서 전방으로 상기 개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가 점차 완만하게 형성되는 개구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abinet may include an opening flang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and having an inclined gradually gradual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pening forward of the opening.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와,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개구플랜지를 갖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폐쇄시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의 동작을 구속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플랜지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전면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n opening and an opening flang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 fixing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 rotatable vessel rotatably provided in the fixed vessel; And a locking device provided corresponding to a side surface of the door and selectively 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wherein the opening flange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a front flang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late.

상기 도어는, 그 측면에 형성되며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시에 슬라이딩이동하여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door includes a fixing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formed in a groove shape, wherein the locking device corresponds to the fixing groove, the door slides when the opening is closed, And a sliding memb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도어는, 그 측면에서 인접한 상기 도어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시에 상기 도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door further includes a seating groove recessed from a side surface of the door adjacent to the side of the door, wherein the locking device corresponds to the seating groove, and when the door closes the door, And a seat cushion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upport the seat cushion.

상기 도어가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 1 축과 나란한 제 2 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is slid along a second axis parallel to the first axis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when the door rotates about the first axi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본 발명의 세탁기는 도어의 잠금장치를 개선하여, 도어의 들림현상을 방지하고, 도어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locking device of the door, prevents lifting of the door, and effectively restrains the door.

또한 이와 함께 캐비닛의 구조를 개선하여 세탁기 내부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cabinet is improved to facilitate access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상부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락킹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락킹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도 2에서 A-A'의 단면도.
도 8는 도 2에서 B-B'의 단면도.
1 is a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of a washing machine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upper front view of a doo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8 is a sectional view of B-B 'in Fig.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11)와, 고정조(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12)와, 회전조(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he washing machine 1 includes a cabinet 10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fixing tank 11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00 for storing wash water, A rotatable tub 12 rotatably arranged and a pulsator 50 disposed inside the rotatable tub 12 and generating water flow.

캐비닛(100)의 상부에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120a)가 형성된다. 개구(120a)는 캐비닛(100)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An opening 120a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0 to allow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rotary tub 12. The opening 120a may be opened or closed by a door 4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0. [

캐비닛(100)은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130)은 전면에 마련되는 전면프레임(131), 측면에서 상호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전면프레임(131)과 결합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32), 측면프레임(132)과 연결되며 전면프레임(131)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후면프레임(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10)은 하부프레임(130)의 상부에 마련되고, 개구(120a)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inet 100 may include an upper frame 110 and a lower frame 130. The lower frame 130 includes a front frame 131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 pair of side frames 132 provided to face each other on the side surface and coupled to the front frame 131, And a rear frame 133 provided to face the first frame 131. The upper frame 11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30 and may include an opening 120a.

고정조(11)는 현가장치(15)에 의해 캐비닛(100)에 지지될 수 있다.The fixing tank 11 can be supported by the suspension 15 in the cabinet 100.

고정조(11)의 상부에는 고정조(1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급수관(17)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급수관(17)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된다. 급수관(1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고정조(11)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17)에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A water supply pipe (17)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fixing tank (1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tank (11).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7)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7) is connected to a detergent supply device (16).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7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tank 11 together with the detergent via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6. The water supply pipe (17)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valve (18)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상부프레임(110)에는 보조세제공급장치(104)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제공급장치(104)는 액체세제, 표백제, 섬유유연제등이 저장될 수 있고, 세탁시 회전조(12)의 내부로 유입시켜 세탁을 보조할 수 있다.An auxiliary detergent supply device 104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frame 110. The auxiliary detergent supply device 104 may store a liquid detergent, a bleach, a fabric softener, etc., and may assist the washing by flowing into the rotary tub 12 during washing.

회전조(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3)이 형성된다. 회전조(12)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1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14)가 장착될 수 있다.The rotary tub 12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plurality of dewatering holes 13 are formed on the side thereof. The balancer 14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tub 12 so that the rotary tub 12 can rotate stably during high-speed rotation.

고정조(11)의 하측 외부에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와, 모터(25)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절환장치(26)가 설치된다.A motor 25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rotary tub 12 and the pulsator 50 is provided outside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tank 11 and a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25 is transmitted to the rotary tub 12 and the pulsator A power switching device 26 for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electric motor 50 is provided.

회전조(12)에는 중공형 탈수축(29)이 결합되고, 탈수축(29)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세탁축(27)은 세탁축결합부(28)를 통해 펄세이터(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25)는 동력절환장치(26)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hollow shaft 29 is coupled to the rotary tub 12 and the washing shaft 27 provid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dewatering shaft 29 is coupled to the pulsator 50 through the washing shaft coupling portion 28. [ . The motor 25 can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rotary tub 12 and pulsator 50 in accordance wit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of the power switching device 26. [

동력절환장치(26)는 동력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3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31)와, 로드부(31)와 연결되어 로드부(31)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ower switching device 26 includes an actuator 30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power switching, a rod portion 31 that linearly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30, And a clutch unit 32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lutches 31 and 31.

고정조(12)의 바닥에는 고정조(12)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배수구(20)가 형성되고, 배수구(20)에는 제 1 배수관(21)이 연결된다. 제 1 배수관(21)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밸브(22)의 출구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34)에 연결될 수 있다.A drainage port 2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tank 12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fixing tank 12 and a drainage pipe 21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port 20. The first drain pipe (21)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valve (22) for controlling drainage. The outlet of the drain valve 22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drain pipe 34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to the outsid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상부정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upper front view of a doo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세탁기는 도어(40)의 선택적인 구속을 위해 락킹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4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개구(120a)를 개폐할 수 있는 데, 도어(40)가 개구(120a)를 폐쇄시 락킹장치(70)는 도어(40)의 위치를 조정하고, 이를 구속할 수 있도록 한다.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locking device 70 for selective restraint of the door 40. The door 40 is rotatably provided around the rotary shaft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120a. When the door 40 closes the opening 120a, the locking device 7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door 40 So that they can be restrained.

락킹장치(70)는 캐비닛(100)에서 도어(4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40)의 양측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락킹장치(70)가 캐비닛(100)에 배치되어, 도어(40)의 양측면을 구속함에 따라 도어(40)의 어느 일측이 개구(120a)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개구(120a)를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자세하게는 락킹장치는 캐비닛(100)의 상부프레임(11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ocking device 7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door 40 in the cabinet 1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may be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door 40. The locking device 70 is disposed in the cabinet 100 so as to prevent either side of the door 40 from lifting from the opening 120a as the both sides of the door 40 are restrained and the opening 120a can be stably closed . In detail, the locking device can be disposed in the upper frame 110 of the cabinet 100. [

상부프레임(110)은 그 내측으로 개구(120a)를 형성하는 개구플랜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플랜지(12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어가 개구(120a)를 폐쇄시에 도어를 구속하는 락킹장치는 도어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상부프레임(110)의 내측에 마련되고, 개구플랜지(120)의 전방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10 may include an opening flange 120 forming an opening 120a therethrough. The opening flange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door when the door closes the opening 120a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frame 1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de of the door, and the front of the opening flange 120 can be formed flat.

락킹장치(70)가 도어(40)의 회전축에 대해 타측인 도어(40)의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세탁물의 유출입을 위해 캐비닛(100)의 내부로 몸을 숙이게 되면, 인접한 표면보다 돌출형성되는 락킹장치(70)에 의해 눌리는 등의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When the locking device 7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40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40, when the body is leaned into the cabinet 100 for the inflow / outflow of laundry, It may be inconvenienced by the locking device 70 being press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락킹장치(70)가 도어(40)의 측면을 구속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40)의 전면 즉, 개구플랜지(120)의 전방을 평평하게 함으로서, 세탁물의 유출입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구플랜지(120)의 전방에서 어느 일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개구(120a)를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device 70 improves the structure to restrain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40, thereby flatten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40, that is, the opening flange 12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Further, as a part of the opening flange 120 is not protruded from the front part, the opening 120a can be formed to be wider.

개구플랜지(120)의 전방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40) 전방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구플랜지(120)의 전방의 형상과 도어(40) 전방의 형상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도어(40)의 폐쇄동작시 개구플랜지(120)의 전방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The shape of the front side of the opening flange 120 is not limited, and it is satisfied if it is provided so as to match the shape of the front side of the door 40. The shape of the front of the opening flange 120 and the shape of the front of the door 40 are formed to be flat so as to correspond to the front of the opening flange 120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4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락킹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락킹장치의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락킹장치(70)는 슬라이딩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70 may include a sliding member 72.

슬라이딩부재(72)는 도어(40)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도어(40)가 개구(120a)를 폐쇄시 도어(40)를 구속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어(40)의 측면에는 홈형상의 고정홈(44)이 마련되고, 슬라이딩부재(72)가 고정홈(44)에 삽입되어 도어(40)를 구속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sliding member 72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40 so that the door 40 can restrain the door 40 when the door 120 is closed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More specifically, a groove-shaped fixing groove 44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door 40, and the sliding member 7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44 to restrain the door 40.

슬라이딩부재(72)는 도어(4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도어(40)를 구속할 수 있다. 도어(40)의 양측면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딩부재(72) 한쌍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며, 이후 설명하는 도어개폐감지센서(76)와 슬라이딩부재(72)가 각각 배치되어도 무방하다.The sliding member 72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door 40 so as to restrain the door 40. A pair of sliding members 72 may be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oor 40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76 and the sliding member 72 described later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슬라이딩부재(7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하면이 측면보다 넓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40)의 개구(120a)폐쇄시 도어(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sliding member 72 is not limited, bu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liding member 72 may be wider than the side surfac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40 when the opening 120a of the door 40 is closed.

다시 말하면, 도어의 회동에 대한 반경방향에 대응되는 도어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이라고 할 때, 슬라이딩부재(72)는 제 1 방향(W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어 고정홈(44)도 제 1 방향(W1)으로 길게 형성된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72)가 도어(40)의 길이방향인 제 1 방향(W1)으로 형성됨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도어(40)를 구속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door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the sliding member 72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first direction W1. The fixing grooves 44 may also be formed in a groove shape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W1. Since the sliding member 72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W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40, the door 40 can be more firmly fixed.

도어(40)의 개폐에 따른 회전축을 제 1 축(X1)이라고 할 때, 슬라이딩부재(72)는 제 1 축(X1)과 나란한 제 2 축(X2)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어(40)를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72)가 도어(40)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제 2 축(X2)의 축방향이동을 하게 됨에 따라 도어(40)를 견고하게 구속할 수 있게 된다. The sliding member 72 is slid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axis X2 parallel to the first axis X1 to define a door (not shown) 40). The door 40 can be firmly restrained as the sliding member 72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X2 on at least one side of the door 40. [

락킹장치(70)는 안착돌기(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70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rotrusion 74. [

안착돌기(74)는 도어(40)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도어(40)가 개구(120a)를 폐쇄시 도어(40)의 위치를 조정하며, 도어(4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도어(40)의 측면에는 인접한 도어(40)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42)이 마련되고, 안착돌기(74)가 안착홈(42)에 안착되어 도어(4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The seating protrusion 74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40 so that the door 4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door 40 when the opening 120a is closed and the door 40 is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So that it can be guided. More specifically,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40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42 that is concave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adjacent door 40, and the seating projection 74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42, As shown in FIG.

안착돌기(74)는 그 형상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둥근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도어(40)의 폐쇄시 안착돌기(74)에 도어(40)가 걸려 폐쇄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안착홈(42)과 안착돌기(74)가 원활하게 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shape of the seating protrusion 74 is not limi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protrusion 74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unded surface. When the door 40 is closed, the door 40 is engaged with the seating protrusion 74, So that the seating groove 42 and the seating projection 74 can be smoothly contacted with each other.

안착돌기(74)는 도어(40)의 양측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도어(40)가 개구(120a)를 폐쇄하는 동작시 도어(40)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ting protrusions 74 ar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oor 40 so that the door 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when the door 40 closes the opening 120a.

위에서 설명한 슬라이딩부재(72)는 안착돌기(74)상에 마련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liding member 72 may be provided on the mount projection 74. [

자세하게는 안착돌기(74)상에는 슬라이딩부재(72)가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레일(75)을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딩부재(72)는 슬라이딩레일(7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sliding member 72 can be moved along the sliding rail 75 so that the sliding member 72 can move.

슬라이딩부재(72)가 안착돌기(74)상에 마련되는 것에 대응하여, 고정홈(44)은 안착홈(42)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정홈(44)은 인접한 안착홈(42)보다 도어(4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72)가 안착돌기(74)상에 마련됨에 따라 도어(40)의 위치가 조정이 된 후에 이를 구속할 수 있어서, 개구(120a)폐쇄에 보다 효율적이며, 도어(40)의 흔들림으로 인한 오차 발생을 줄여 슬라이딩부재(72)가 고정홈(44)으로의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fixing groove 44 may be provided on the seating groove 42 so that the sliding member 72 is provided on the seating projection 74. [ That is, the fixing grooves 44 may b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door 40 than the adjacent seating grooves 42. The position of the door 40 can be restrained after the position of the door 40 is adjusted so that the sliding member 72 is provided on the seating protrusion 74 so that it is more efficient in closing the opening 120a, The insertion of the sliding member 72 into the fixing groove 44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어의 회동에 대한 반경방향에 대응되는 도어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이라고 할 때, 안착돌기(74)는 제 1 방향(W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어 안착홈(42)도 제 1 방향(W1)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door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the seating projections 74 may be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W1. The seating groove 42 may also be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W1.

안착돌기(74)가 도어(40)의 길이방향인 제 1 방향(W1)으로 형성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도어(40)가 안착할 수 있게 된다.The seating protrusion 74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W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40 so that the door 40 can be stably installed.

락킹장치(70)는 도어개폐감지센서(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70 may further include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76.

도어개폐감지센서(76)는 도어(40)가 개구(120a)를 폐쇄시에, 폐쇄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아 개구(120a)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76 is a sensor that detects when the door 120 is kept in an open state because the closing opera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when the door 120 closes the opening 120a.

슬라이딩부재(72)는 도어(40)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는 데, 다른 일측면에 도어개폐감지센서(76)가 배치될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7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either side of the door 40,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76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즉, 도어(40)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캐비닛(100)에는 슬라이딩부재(72)가, 도어(40)의 타측면에 대응되는 캐비닛(100)에는 도어개폐감지센서(76)가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72)가 도어(40)의 양측면에 대응되도록 캐비닛(100)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도어개폐감지센서(76)가 배치됨으로서, 도어(40)의 개구(120a) 폐쇄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함으로서, 알람 및 세탁기 동작을 중단시키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 sliding member 72 is disposed in the cabinet 10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door 40, and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76 is disposed in the cabinet 10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door 40 have. The sliding member 72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abinet 100 so as to correspon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oor 40. However, since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120a of the door 40 is performed by disposing the door opening / If not, it is detected and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so that alarm and washing machine operation can be stopped.

도 7은 도 2에서 A-A'의 단면도, 도 8는 도 2에서 B-B'의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상부프레임(110)은 하부프레임(130)의 상부에 마련되고, 개구(120a)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1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130 and may be provided to include the opening 120a.

상부프레임(110)은 그 내측에 개구(120a)를 형성하며, 개구(120a)를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마련되는 개구플랜지(120)를 포함한다.The upper frame 110 defines an opening 120a therein and includes an opening flange 120 that is inclined toward the opening 120a.

개구플랜지(120)는 개구(120a)를 중심으로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플랜지(122), 개구(120a)를 중심으로 측면에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측방플랜지(124), 개구(120a)를 중심으로 후방에 마련되며 전방플랜지(122)의 타측에 마련되고 한 쌍의 측방플랜지(124)와 연결되는 후방플랜지(126)를 포함한다.The opening flange 120 includes a front flange 122 provided in front of the opening 120a, a pair of side flanges 124 form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120a and facing each other, And a rear flange 126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flange 122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side flanges 124.

전방플랜지(122), 측방플랜지(124), 후방플랜지(126)는 개구(120a)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A front flange 122, a side flange 124, and a rear flange 126 are formed to surround the opening 120a.

전방플랜지(1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사용자가 세탁물의 유출입에 있어서 편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flange 12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of the washing machine can conveniently use the laundry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laundry.

즉, 도어(40)를 구속하는 락킹장치(70)는 도어(40)의 측면을 구속하도록 상부프레임(110)의 측방에 배치되고, 세탁기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102)는 상부프레임(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개구(120a)전방에 마련되는 전방플랜지(122)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락킹장치(70)는 도어(40)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상부프레임(110)의 양측방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전방플랜지(122)는 한 쌍의 락킹장치(70)의 사이에 마련되어, 도어(40)의 일측이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locking device 70 for restricting the door 4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pper frame 110 so as to restrain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40, and the button portion 102 for inputting control signals to the washing machine, The structure of the front flange 122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opening 120a can be simplified. A pair of locking devices 7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11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door 40. A front flange 12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locking devices 70, So that one side of the door 40 is seated.

전방플랜지(122)는 락킹장치(70)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40)의 동작을 구속하는 락킹장치(70)가 기존에는 도어(40)의 전방에 대응되도록 개구(120a)의 전방에 마련되어, 개구(120a) 전방의 높이가 높아졌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락킹장치(70)를 도어(40)의 측면에 배치시킴으로서 전방플랜지(122)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락킹장치(70)가 도어(40)의 측면을 구속하게 함으로서, 전방플랜지(122)는 락킹장치(70)가 개구(120a)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락킹장치(70)보다 낮게 배치되어 도어(40) 일측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ront flange 122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locking device 70. [ The locking device 70 for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4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opening 120a so as to correspond to the front of the door 40 so that the height of the front of the opening 120a is increased. The height of the front flange 122 can be reduced by disposing the locking device 70 on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40. [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locking device 70 restrains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40 so that the locking device 7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opening 120a,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door 40 is seated.

전방플랜지(122)는 개구(120a)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락킹장치(70)와 버튼부(102)가 전방플랜지(122)에 배치되지 않고, 상부프레임(110)의 측부와 후방에 마련됨에 따라 전방플랜지(122)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어,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front flange 122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opening 120a and may be formed as a convex curved surface in an upward direction. That is, since the locking device 70 and the button portion 102 are not disposed on the front flange 122 but are provided on the side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frame 110,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flange 122 can be simplified, It can be formed into a smooth curved surface.

전방플랜지(122)는 측방플랜지(124)와 후방플랜지(126)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방플랜지(122)가 완만한 경사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몸을 굽혀 회전조(12) 내부의 세탁물을 유출입하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다.The front flange 122 may be provided so as to have a gentle slope than the side flange 124 and the rear flange 126. [ As the front flange 122 has a gentle inclination, the user can bend the body and make it easier for the laundry in the rotary tub 12 to flow in and out.

전방플랜지(122)는 세탁기의 전방을 향하는 전방경사면(122a), 개구(120a)를 향하는 후방경사면(122b), 전방경사면(122a)과 후방경사면(122b) 사이에 형성되어 도어(40)의 폐쇄시 도어(40)의 일측이 접하도록 마련되는 도어안착부(122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안착부(122c)에 도어(40)의 일측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방경사면(122a)이나 후방경사면(122b)에 안착될수도 있다.The front flange 122 is formed between the front inclined surface 122a facing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rear inclined surface 122b facing the opening 120a and between the front inclined surface 122a and the rear inclined surface 122b, And a door seating part 122c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 40 to be in contact therewith.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door 40 is seated on the door seating portion 122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ated on the front inclined surface 122a or the rear inclined surface 122b.

전방경사면(122a)과 후방경사면(122b)과 도어안착부(122c)는 하나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플랜지(122)가 전후방향으로 하나의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몸을 굽혀 회전조(12) 내부로 접근할 때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The front slanted surface 122a, the rear slanted surface 122b, and the door seating portion 122c may be formed as a single curved surface. Since the front flange 122 is formed as a single curved surfa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user's bending and approaching the inside of the rotary tub 12.

측방플랜지(124)와 바닥면(G) 사이의 각도를 측방각도(SA)라 하고, 후방플랜지(126)와 바닥면(G) 사이의 각도를 후방각도(RA)라 할 때, 전방경사면(122a)과 바닥면(G) 사이의 각도는 측방각도(SA) 또는 후방각도(RA)보다 완만한 전방각도(FA)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각도(FA)는 측방각도(SA) 또는 후방각도(RA)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개구플랜지(120)는 개구(120a)의 측방이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개구(120a)의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가 점차 완만하게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n an angle between the side flange 124 and the bottom surface G is referred to as a side angle SA and an angle between the rear flange 126 and the bottom surface G is defined as a rear angle RA, The angle between the bottom surface 122a and the bottom surface G may be formed with a frontal angle FA that is gentler than the lateral angle SA or the rear angle RA. That is, the front angle FA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ide angle SA or the rear angle RA. In other words, the opening flange 12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inclination gradually becomes gent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pening 120a from the side of the opening 120a or from the rear to the front.

도어안착부(122c)는 전방플랜지(122)에서 전방경사면(122a)과 후방경사면(122b)이 맞닿는 부분에 배치된다. 도어안착부(122c)는 도어(40)의 회동하는 부분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40)가 개구(120a)를 폐쇄하여 도어안착부(122c)에 도어(40)의 일측이 안착되면 락킹장치(70)는 도어(40)의 측면에서 도어(40)를 구속하도록 마련된다.The door seating portion 122c is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front inclined surface 122a and the rear inclined surface 122b abut on the front flange 122. [ The door seating portion 122c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ortion of the door 40, and the other side is seated. When the door 40 closes the opening 120a and one side of the door 40 is seated in the door seating portion 122c, the locking device 70 is provided to restrain the door 40 from the side of the door 40 .

도어(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패드(128)가 마련되어 도어(40)의 개폐시 소음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least one seating pad 128 is provided on the door 40 to prevent noise or shock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door 40 is opened or closed.

개구플랜지(120)의 상부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플랜지(122)가 측방플랜지(124)나 후방플랜지(126)보다 바닥면(G)으로부터 높이가 낮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세탁기 내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flange 1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at is, the front flange 122 is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G than the side flange 124 or the rear flange 126,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즉, 상부프레임(110)의 바닥면(G)을 기준으로 전방플랜지(122)의 상부까지의 높이를 h1이라 할 때, h1은 바닥면(G)으로부터 측방플랜지(124) 중 임의의 지점에서의 상부까지의 높이인 h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G)은 상부프레임(110)의 하부에서 h1과 h2의 기준이 되는 가상의 면을 의미한다. h1의 높이는 한정되지 않으며, 기존에는 전방플랜지(122)에 도어(40)의 동작을 구속하는 락킹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그 높이가 높아져야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락킹장치(70)를 도어(40)의 측면에 배치하여 전방플랜지(122)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h1이 26mm가 되도록 형성되나, 그 이하가 되어도 무방하다.That is, when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G of the upper frame 11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flange 122 is h1, h1 is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G to any one of the side flanges 124 H2 ", which is the height of the upper portion. The bottom surface G refers to a hypothetical surface that serves as a reference for h1 and h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110. [ the height of h1 is not limited and the height of the front flange 122 should be increased by providing a locking device for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4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front flange 122 can be reduc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1 is formed to be 26 mm, but it may be less.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 : 세탁기 11 : 고정조
12 : 회전조 40 : 도어
42 : 안착홈 44 : 고정홈
70 : 락킹장치 72 : 슬라이딩부재
74 : 안착돌기 75 : 슬라이딩레일
76 : 도어개폐감지장치
100 : 캐비닛 110 : 상부프레임
120 : 개구플랜지 120a : 개구
122 : 전방플랜지 124 : 측방플랜지
126 : 후방플랜지 130 : 하부프레임
131 : 전면프레임 132 : 측면프레임
133 : 후면프레임
X1 : 제 1 축 X2 : 제 2 축
W1 : 제 1 방향
1: Washing machine 11: Fixing tank
12: Rotor 40: Door
42: seat groove 44: fixing groove
70: locking device 72: sliding member
74: seat projection 75: sliding rail
76: Door opening / closing sensor
100: cabinet 110: upper frame
120: opening flange 120a: opening
122: front flange 124: side flange
126: rear flange 130: lower frame
131: front frame 132: side frame
133: Rear frame
X1: 1st axis X2: 2nd axis
W1: First direction

Claims (24)

개구와,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개구플랜지를 갖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시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의 동작을 구속하는 한 쌍의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플랜지는,
상기 개구의 전방에서 상기 한 쌍의 락킹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일측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전방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 cabinet having an opening and an opening flang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A door rotatably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fixing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nd a rotating vessel rotatably provided in the fixed vessel,
And a pair of locking devices provided corresponding to side surfaces of the door and selectively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The opening flange
And a front flang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locking devices in front of the opening and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door is se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플랜지는,
상기 개구의 측면에 형성되며,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측방플랜지;
상기 전방플랜지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측방플랜지와 연결되는 후방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플랜지는 상기 측방플랜지와 상기 후방플랜지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flange
A pair of side flanges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opening and facing each other;
And a rear flang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flange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side flanges,
Wherein the front flange is provided so as to have a gentler slope than the side flange and the rear flan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랜지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전방경사면과, 상기 개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후방경사면;
상기 전방경사면과 상기 후방경사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도어의 일측이 안착하도록 형성되는 도어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flange
A front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a rear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pening;
And a door seating part formed between the front inclined surface and the rear inclined surface and configured to seat one side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플랜지와 바닥면사이의 각도를 측방각도라 할때, 상기 전방경사면과 바닥면사이의 각도는 상기 측면각도보다 작은 전방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front inclined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s a front angle smaller than the side angle when an angle between the side flange and the bottom surface is a lateral ang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경사면, 상기 후방경사면, 상기 도어안착부는 하나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ont inclined surface, the rear inclined surface, and the door seating portion are formed as one curved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플랜지의 상부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flange
And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ar toward the fro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내부에 상기 회전조와 상기 고정조가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와 상기 개구플랜지가 형성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플랜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전방플랜지의 상부까지의 높이를 h1이라 할 때, 상기 h1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측방플랜지의 상부까지의 높이인 h2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abinet,
A lower frame in which the rotary tub and the fixing tub are disposed;
And an upper frame on which the opening and the opening flange ar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The opening flange
Wherein a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flange is h1, and the h1 is formed to be lower than a height h2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flang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안착부에 접하면 상기 도어의 측면에서 상기 도어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And when the door is in contact with the door seating portion, the door is restrict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랜지는,
상기 락킹장치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flange
Wherein the locking device is disposed lower than the lock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도어 측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안착돌기;
상기 도어 측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A seating protrusion disposed in the cabinet so as to be seated in a seating recess recessed in a side surface of the door;
And a sliding member disposed in the cabinet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a fixing groove recessed in a side surface of the doo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 1 축과 나란한 제 2 축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door is pivoted about the first axi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Wherein the sliding member slides along a second axis parallel to the first axis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개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도어의 폐쇄시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의 동작을 구속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도어 측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안착돌기;
상기 도어 측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 cabinet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 fixing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 rotatable vessel rotatably provided in the fixed vessel;
And a locking device for selectively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A seating protrusion disposed in the cabinet so as to be seated in a seating recess recessed in a side surface of the door;
And a sliding member disposed in the cabinet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a fixing groove recessed in a side surface of the doo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시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liding member includes:
And the doo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when the opening is clos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의 양측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Wherein the pair of doors are disposed in the cabinet, and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oo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동에 대한 반경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door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Wherein the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to be long in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reces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동에 대한 반경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door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Wherein the sliding member is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xing groov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안착돌기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liding member includes:
Wherein the washing machine is provided on the sea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도어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door opening / closing sensor disposed in the cabinet so as to correspond to on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door, and detecting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 1 축과 나란한 제 2 축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door is pivoted about the first axi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Wherein the sliding member slides along a second axis parallel to the first axis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개구의 측방에서 전방으로 상기 개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가 점차 완만하게 형성되는 개구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cabinet,
And an opening flang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he opening flange being gradually slop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pening from the side of the opening forwardly.
개구와,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개구플랜지를 갖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폐쇄시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의 동작을 구속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플랜지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전면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 cabinet having an opening and an opening flang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 fixing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 rotatable vessel rotatably provided in the fixed vessel;
And a locking device provided corresponding to a side surface of the door and selectively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The opening flange
And a front flange formed to correspond to a front surface of the door, the front flange being curved in a front-back direction.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그 측면에 형성되며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시에 슬라이딩이동하여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door
And a fixing groove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formed in a groove shape,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And a slid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the sliding member being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when the door is close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그 측면에서 인접한 상기 도어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시에 상기 도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door
And a seating groove formed concave from a side surface of the door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recess, the seating protrusion being adapted to allow the door to be seated when the door is close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 1 축과 나란한 제 2 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n the door is pivoted about the first axi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Wherein the sliding member slides along a second axis parallel to the first axis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KR1020140014150A 2013-11-05 2014-02-07 Washing Machine KR102207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20,986 US9598811B2 (en) 2013-11-05 2014-10-22 Washing machine
EP14191168.5A EP2876199B1 (en) 2013-11-05 2014-10-30 Washing machine
CN201410636114.5A CN104611889B (en) 2013-11-05 2014-11-05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3729 2013-11-05
KR1020130133729 2013-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855A true KR20150051855A (en) 2015-05-13
KR102207472B1 KR102207472B1 (en) 2021-01-26

Family

ID=5338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150A KR102207472B1 (en) 2013-11-05 2014-02-07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47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927B1 (en) * 1999-03-31 2001-09-04 Maytag Corporation Washing machine assembly
US7150480B2 (en) * 2003-03-17 2006-12-19 Maytag Corporation Appliance lid lock and method for us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927B1 (en) * 1999-03-31 2001-09-04 Maytag Corporation Washing machine assembly
US7150480B2 (en) * 2003-03-17 2006-12-19 Maytag Corporation Appliance lid lock and method for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472B1 (en)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857B1 (en) Washing Machine
KR102377563B1 (en) Washing Machine and Water Supply Device
US8893531B2 (en) Washing machine
EP2876199B1 (en) Washing machine
US20110174021A1 (en) Washing machine
CN101348993B (en) Washing machine
WO2005111296A1 (en) Drum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KR102368505B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KR20100117972A (en) Rotating washing machine of built-in type
KR20150051855A (en) Washing Machine
KR100826206B1 (en) drum type washer
KR10241184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10004750A (en) Apparatus for supplying liquid deterg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71890B1 (en) Washing machine
KR102350183B1 (en) Washing Machine
KR20150136291A (en) Washing Machine
KR20150053066A (en) Washing machine having the detergent feeding device
KR20150137663A (en) Washing Machine
KR102363550B1 (en) Washing machine
JP2020074984A (en) Vertical type washing machine
KR20120127865A (en) Drum washing machine
KR20070107266A (en) Washing machine
KR20150059508A (en) Washing machine
KR20110121092A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