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286A - 패킷 전송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패킷 전송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286A
KR20150049286A KR1020130129614A KR20130129614A KR20150049286A KR 20150049286 A KR20150049286 A KR 20150049286A KR 1020130129614 A KR1020130129614 A KR 1020130129614A KR 20130129614 A KR20130129614 A KR 20130129614A KR 20150049286 A KR20150049286 A KR 2015004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message
data
header information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518B1 (ko
Inventor
전진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5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전송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서버 장치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패킷 전송 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포맷에 따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하고, 전송할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 장치에서 분석할 수 없도록 텍스트 형태의 헤더 정보를 가변되는 매직 쿠키 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헤더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여 생성된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사업자가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분석 시 패킷을 분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며, 패킷 데이터를 가변 바이너리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 사업자가 데이터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킷 전송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Packet transmiss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 deep packet inspection in the system packet}
본 발명은 패킷 전송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VoIP와 같은 통신 서비스 시 네트워크 사업자들의 패킷 모니터링을 통해 패킷을 분석할 수 없도록 하는 패킷 전송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VoIP는 인터넷망을 통해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로 기존 회선교환 방식의 일반 전화와 달리 인터넷의 근간인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패킷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즉, VoIP는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인터넷 또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 음성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기술과 관련한 솔루션을 지칭하는 말로 대표적인 예로 '인터넷 전화'가 있다. 이러한 인터넷 전화란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음성 전화를 주고받는 것으로 음성과 데이터를 하나의 망으로 전송함으로써 망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인터넷과 연계된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 무선 환경에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VoIP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m-VoIP는 무선 환경에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계층을 이용하여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호가 접속되면 단말간의 통화를 수행한다.
그러나 m-VoIP 통신 서비스에서는 SIP와 같은 표준 시그널링 프로토콜 기반의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가 텍스트 형태로 구성되고, 네트워크 사업자는 표준 시그널링 프로토콜 스펙을 알고 있으므로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패킷을 내용을 분석(DPI: Deep Packet Inspection)을 수행한다. 때문에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은 네트워크 사업자측면에서 망 관리를 강화할 수 있으나, 패킷이 해킹에 노출될 우려가 있으며, 전송되는 패킷의 감청으로 인해 개인 정보의 누출 및 패킷을 악용할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네트워크 사업자는 패킷 분석을 통해 특정 패킷을 필터링하여 차단하므로 원활한 통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52958호, 2012년 05월 29일 등록(명칭: 계층적 패킷 처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서버 장치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패킷 전송 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포맷에 따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하고, 전송할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 장치에서 분석할 수 없도록 텍스트 형태의 헤더 정보를 가변되는 매직 쿠키 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헤더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여 생성된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 장치에서 전송되는 패킷을 파악할 수 없도록 하는 패킷 전송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서버 장치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포맷에 따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하고, 상기 전송할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 장치에서 분석할 수 없도록 텍스트 형태의 상기 헤더 정보를 가변되는 매직 쿠키 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헤더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서버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매직 쿠키 필드의 상기 매직 쿠키 값과 하나 이상의 다른 필드의 정보를 각각 배타적 논리합(XOR)을 통해 연산하여 상기 헤더 정보를 분석할 수 없도록 인코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매직 쿠키 값을 런 타임 시마다 가변된 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필드에 태그(Tag), 데이터 길이(Len) 및 데이터 값(Value)을 갖는 의미 없는 데이터 셋을 포함하여 가변 바이너리 형태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은, m-VoIP 통신 서비스에서의 표준화된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c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메시지는 m-VoIP 통신 서비스에서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메시지는, 매직 쿠키 필드, 버전 필드, 날짜 및 시간 필드, 메시지 길이 필드 및 데이터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상기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필드는, 태그(Tag) 필드, 데이터 길이(Len) 필드 및 데이터 값(Value) 필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셋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시스템은,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포맷에 따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하고, 상기 전송할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 장치에서 분석할 수 없도록 텍스트 형태의 상기 헤더 정보를 가변되는 매직 쿠키 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헤더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착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서버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서버 장치로 수신되는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패킷을 분석하는 상기 패킷 분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은,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의 메시지 포맷에 따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전송할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네트워크 사업자가 분석할 수 없도록 텍스트 형태의 상기 헤더 정보를 가변되는 매직 쿠키 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딩된 헤더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서버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에 의미 없는 데이터를 추가하여 상기 데이터를 가변 바이너리 형태로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의 태그(Tag), 데이터 길이(Len) 및 데이터 값(Value)을 각각 상기 매직 쿠키 값과 배타적 논리합(XOR) 연산을 통해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형태의 헤더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매직 쿠키 값과 하나 이상의 다른 필드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매직 쿠키 값을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필드의 정보와 각각 배타적 논리합(XOR)을 통해 연산하여 상기 헤더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서 전송할 패킷의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텍스트 형태가 아닌 인코딩된 정보를 포함하여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전송함에 따라 네트워크 사업자가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분석 시 패킷을 분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며, 패킷 데이터를 가변 바이너리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 사업자가 데이터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사업자가 패킷을 분석할 수 없기 때문에 전송되는 패킷이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착신 단말 장치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단말 장치에서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정책으로부터 보다 자유롭게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메시지 포맷으로 구성된 패킷을 분석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패킷 전송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패킷 전송 시스템은 모바일 무선 환경에서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 서비스를 기반으로 패킷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패킷 전송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패킷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 100a, 100b) 및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와, 전송되는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분석(DPI: Deep Packet Inspection)하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 100a, 100b)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무선 환경의 접속망(도시되지 않음) 및 패킷망(도시되지 않음) 등의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접속망을 경유하여 mVoIP 서비스를 위한 패킷망에 접속하여 m-VoIP 서비스를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하는 네트워크 서버 장치(100)와 접속하여 패킷 전송을 실행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이때,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패킷 모니터링에 걸리지 않도록 단말 장치(100)는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100)는 패킷 전송 요청에 따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의 메시지 포맷에 따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해 텍스트 형태로 구성된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가변되는 매직 쿠기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헤더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할 패킷을 생성하여 생성된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이하, SIP라 칭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m-VoIP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호 접속 및 호 종료 등의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즉,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장치(100)는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와 접속하도록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이하, SIP라 칭함)을 이용하여 호 절차를 수행한 후 착신 단말 장치(100b)와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SIP는 인터넷 전화의 호와 같은 멀티미디어 세션을 설정, 수정 종료할 수 있는 응용 계층의 표준화된 시그널링(signaling) 프로토콜로서, 이러한 SIP 기반으로 구성된 메시지는 텍스트 기반의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사업자는 SIP 기반으로 구성된 메시지의 표준화된 시그널링 프로토콜의 스펙을 알고 있으므로 표준 프로토콜을 검사하는 분석기를 통해 패킷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SIP 기반의 텍스트 형태의 헤더 정보를 네트워크 사업자가 알아볼 수 없도록 자체 인코딩을 통해 인코딩하고, 메시지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가변 바이너리 형태로 가변화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에 대한 패킷을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킷 분석 장치(300)는 단말 장치(100)에서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한 패킷의 헤더 정보가 인코딩되어 패킷을 분석할 수 없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와 연결되어 호 처리 및 전달된 패킷을 송수신하는 프록시 서버(도시되지 않음),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주소 정보)를 등록하는 위치 서버(도시되 않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는 SIP 기반의 호 접속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고, 발신 단말 장치(100)의 주소 정보를 등록하고, 패킷을 전송할 수신 단말 장치(100)의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 단말 장치(100)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패킷 전송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패킷 분석 장치(300)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패킷을 생성 및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패킷 처리 모듈(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킷 처리 모듈(111)은 예를 들어, m-VoIP 서비스를 위해 통신 처리부(UDP/TCP), 시그널링 및 미디어 처리부, 시그널링 및 미디어 API, 통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킷 처리 모듈(111)은 패킷 전송 요청에 따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SIP) 기반의 메시지 포맷에 따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사업자 패킷 분석 장치(300)에서 전송할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분석할 수 없도록 즉, DPI를 회피하기 위해 텍스트 형태로 구성된 전송할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가변되는 매직 쿠기 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헤더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할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패킷 처리 모듈(111)은 생성된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서버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 처리 모듈(111)은 m_VoIP 통신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SIP 기반 호 접속을 위한 메시지들을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와 송수신하여 통화 호를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SIP 기반의 호 접속을 위한 메시지들은 헤더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구성되어 패킷 분석 장치(300)에서 표준 SIP 프로토콜 스펙을 통해 그대로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패킷 처리 모듈(111)은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 포맷을 설정하고, 설정된 메시지 포맷에 따라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성된 메시지는 매직 쿠키(Magic Cookie) 필드, 버전(Version) 필드, 날짜(Date) 및 시간(Time) 필드, 메시지 길이(Message Length) 필드 및 데이터(Data)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4바이트(Byte)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데이터 필드는 2바이트(Byte)의 태그(Tag) 필드, 2 바이트(Byte)의 데이터 길이(Len) 필드 및 데이터 길이(Length)의 데이터 값(Value) 필드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셋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패킷 처리 모듈(111)은 메시지 헤더 정보에 포함된 매직 쿠키 정보와 다른 필드의 정보를 각각 배타적 논리합(XOR)을 통해 연산하여 상기 헤더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킷 처리 모듈(111)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매직 쿠키 값을 런 타임에 생성하여 계속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직 쿠키 값은 런 타임 시마다 가변된 값으로 생성되게 된다.
또한, 패킷 처리 모듈(111)은 전송할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필드에 태그(Tag), 데이터 길이(Len) 및 데이터 값(Value)을 갖는 의미 없는 데이터 셋을 추가하고, 데이터를 가변 바이너리 형태로 변경하여 네트워크 사업자가 알아볼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킷 처리 모듈(111)은 태그(Tag), 데이터 길이(Len) 및 데이터 값(Value)의 각 필드와 매직 쿠키 필드를 각각 XOR 하여 인코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킷 처리 모듈(111)은 인코딩된 메시지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되는 패킷을 패킷 분석 장치(300)에서 분석하더라도 첨부된 도 4의 하부 영역(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 정보가 인코딩되어 있어 헤더 정보의 내용을 파악할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통신부(120)는 통신망(10)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패킷 분석 장치(300)에서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분석하는 것을 회피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통화 요청 및 종료를 위한 입력을 받고, 메시지에 포함될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저장부(140)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설정된 메시지 포맷에 대한 정보 및 생성된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출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패킷 전송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패킷 전송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패킷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1102단계에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P 기반의 메시지 포맷을 설정하고, 설정된 메시지 포맷에 따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한다. 이때, 구성된 메시지는 예를 들어 SIP 기반의 표준 시그널링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므로 헤더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1103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해 구성된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형태의 헤더 정보를 가변되는 매직 쿠기 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100)는 메시지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매직 쿠키 값과 하나 이상의 다른 필드의 정보를 각각 배타적 논리합(XOR)을 통해 연산하여 헤더 정보를 인코딩한다.
이때, 1104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전송할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에 의미 없는 데이터를 추가하여 데이터를 가변 바이너리 형태로 구성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의 태그(Tag), 데이터 길이(Len) 및 데이터 값(Value)을 각각 매직 쿠키 값과 배타적 논리합(XOR) 연산을 통해 인코딩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1105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인코딩된 헤더 정보 및 가변 바이너리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한 메시지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 장치(100a)에서 패킷을 전송하면, 패킷 분석 장치(300)는 전송된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분석하는데, 이때, 전송되는 패킷은 메시지가 헤더 정보가 텍스트 형태가 아닌 인코딩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데이터가 가변 바이너리 형태이므로 패킷 분석 장치(300)는 패킷의 내용을 분석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 장치(200)는 패킷 분석 장치(300)의 간섭 없이 즉, DPI에 걸리지 않고 패킷을 착신 단말 장치(100b)로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패킷 전송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 장치에서 전송할 패킷의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텍스트 형태가 아닌 인코딩된 정보를 포함하여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전송함에 따라 네트워크 사업자가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분석 시 패킷을 분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며, 패킷 데이터를 가변 바이너리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 사업자가 데이터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사업자가 패킷을 분석할 수 없기 때문에 전송되는 패킷이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착신 단말 장치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단말 장치에서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정책으로부터 보다 자유롭게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통신망 100: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11: 패킷 처리 모듈 120: 통신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출력부 200: 네트워크 서버 장치
300: 패킷 분석 장치

Claims (14)

  1. 네트워크 서버 장치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포맷에 따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하고, 상기 전송할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 장치에서 분석할 수 없도록 텍스트 형태의 상기 헤더 정보를 가변되는 매직 쿠키 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헤더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서버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매직 쿠키 필드의 상기 매직 쿠키 값과 하나 이상의 다른 필드의 정보를 각각 배타적 논리합(XOR)을 통해 연산하여 상기 헤더 정보를 분석할 수 없도록 인코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매직 쿠키 값을 런 타임 시마다 가변된 값으로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필드에 태그(Tag), 데이터 길이(Len) 및 데이터 값(Value)을 갖는 의미 없는 데이터 셋을 포함하여 가변 바이너리 형태의 데이터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은,
    m-VoIP 통신 서비스에서의 표준화된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col)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메시지는,
    m-VoIP 통신 서비스에서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메시지는,
    매직 쿠키 필드, 버전 필드, 날짜 및 시간 필드, 메시지 길이 필드 및 데이터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상기 헤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필드는,
    태그(Tag) 필드, 데이터 길이(Len) 필드 및 데이터 값(Value) 필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셋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포맷에 따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하고, 상기 전송할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네트워크 사업자의 패킷 분석 장치에서 분석할 수 없도록 텍스트 형태의 상기 헤더 정보를 가변되는 매직 쿠키 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헤더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착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서버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서버 장치로 수신되는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패킷을 분석하는 상기 패킷 분석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시스템.
  10.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의 메시지 포맷에 따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전송할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네트워크 사업자가 분석할 수 없도록 텍스트 형태의 상기 헤더 정보를 가변되는 매직 쿠키 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딩된 헤더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서버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에 의미 없는 데이터를 추가하여 상기 데이터를 가변 바이너리 형태로 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의 태그(Tag), 데이터 길이(Len) 및 데이터 값(Value)을 각각 상기 매직 쿠키 값과 배타적 논리합(XOR) 연산을 통해 인코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형태의 헤더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매직 쿠키 값과 하나 이상의 다른 필드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매직 쿠키 값을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필드의 정보와 각각 배타적 논리합(XOR)을 통해 연산하여 상기 헤더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재된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29614A 2013-10-29 2013-10-29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5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14A KR102155518B1 (ko) 2013-10-29 2013-10-29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14A KR102155518B1 (ko) 2013-10-29 2013-10-29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286A true KR20150049286A (ko) 2015-05-08
KR102155518B1 KR102155518B1 (ko) 2020-09-21

Family

ID=5338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614A KR102155518B1 (ko) 2013-10-29 2013-10-29 패킷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5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196A (ko) * 2003-11-07 2005-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이오아이피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화 도청 방지 장치
KR20080100918A (ko) * 2007-05-15 2008-11-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 기반 음성 서비스에서 비정상 패킷을 탐지하는 방법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20100104136A (ko) * 2009-03-16 2010-09-29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Ims 네트워크에서 ip 통화 도청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152958B1 (ko) 2008-12-19 2012-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계층적 패킷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196A (ko) * 2003-11-07 2005-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이오아이피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화 도청 방지 장치
KR20080100918A (ko) * 2007-05-15 2008-11-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 기반 음성 서비스에서 비정상 패킷을 탐지하는 방법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152958B1 (ko) 2008-12-19 2012-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계층적 패킷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00104136A (ko) * 2009-03-16 2010-09-29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Ims 네트워크에서 ip 통화 도청방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518B1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06610A1 (en) Virtual web real-time communications (webrtc) gateways, and rela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KR20190091545A (ko)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버
CN105009547B (zh) 用于处理访问请求的方法和网页浏览器
US10034057B2 (en) Message processing method, device, gateway, STB and IPTV
US201600501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Network-Enabled Devices
CN102904959A (zh) 网络加速方法和网关
EP3131303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intelligent terminal to television terminal
CN105429958A (zh) 一种基于Android开发的企业应用平台系统
CN111930709B (zh) 数据存储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07332857B (zh) 一种网络数据传输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Cabarcos et al. SuSSo: seamless and ubiquitous single sign-on for cloud service continuity across devices
CN105451071A (zh) 一种视频流的处理方法、装置和系统
WO2022267635A1 (zh) 用于数据交互的方法和装置
CN109873735A (zh) H5页面的性能测试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06549989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其系统、用户终端、应用服务器
CN104244084A (zh) 一种控制音频文件播放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5898396A (zh) 第三方视频推送方法和系统
CN110413354B (zh) 一种实现与第三方平台交互的方法、设备以及存储介质
CN109889468A (zh) 网络数据的传输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040613A (zh) 一种报文传输方法及系统
CN108512889B (zh) 一种基于http的应用响应推送方法及代理服务器
CN112015383A (zh) 一种登录方法和装置
CN103856552B (zh) 用于互动直播的方法和设备
CN107529711A (zh) 流媒体的显示方法及装置
WO2011130962A1 (zh) 远程处理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