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272A -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272A
KR20150049272A KR1020130129581A KR20130129581A KR20150049272A KR 20150049272 A KR20150049272 A KR 20150049272A KR 1020130129581 A KR1020130129581 A KR 1020130129581A KR 20130129581 A KR20130129581 A KR 20130129581A KR 20150049272 A KR20150049272 A KR 20150049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roller
gate
feed roller
gat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677B1 (ko
Inventor
이승종이승종
이승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3012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6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분리장치는,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피드롤러와 오버랩될 수 있는 게이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롤러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이 가변되도록 상기 게이트롤러는 상기 제2회전축과 편심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Financial device, medium handing apparatus and medium sepa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금융기기는 지폐 또는 수표 등을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다.
종래기술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94614호에는 매체를 처리하기 위한 매체출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매체출입장치는 이송롤러와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며, 이송롤러와 가이드롤러 사이를 매체가 통과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문헌에 개시된 매체출입장치에 의하면, 가이드롤러의 직경이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롤러와 이송롤러의 오버랩 량이 일정하다.
매체의 집적 시, 가이드롤러와 이송롤러의 오버랩 량이 클수록 매체가 이송롤러와 가이드롤러 사이를 통과할 때 매체가 웨이브 형상으로 변형되어 매체의 직진성이 향상된다. 매체의 직진 성이 향상되는 경우, 집적공간으로 진입할 때 매체가 쉽게 휘어지지 않아 매체의 집적 과정에서 잼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반면, 매체의 분리 시 가이드롤러와 이송롤러의 오버랩 량이 큰 경우 분리된 매체가 훼손되거나 분리된 매체가 가이드롤러와 이송롤러를 통과하지 못하고 잼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문헌에 개시된 매체출입장치에 의하면, 가이드롤러의 직경이 일정하기 때문에, 분리 시에 매체의 이송이 원활하지 않거나 매체의 집적 시 매체가 집적공간에 가지런히 집적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드롤러와 게이트 롤러의 오버랩 량이 가변될 수 있는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분리장치는,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피드롤러와 오버랩될 수 있는 게이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롤러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이 가변되도록 상기 게이트롤러는 상기 제2회전축과 편심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분리장치는,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피드롤러와 오버랩될 수 있는 게이트롤러; 및 매체의 분리 시의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이 매체의 집적 시의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 보다 많도록, 상기 제2회전축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고객에 의해 입금되거나 출금을 위한 매체를 처리하기 위한 매체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분리장치는, 매체의 이송을 위한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오버랩될 수 있는 게이트롤러를 포함하고, 매체 분리 시의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은 매체의 집적 시의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과 다르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처리장치는, 매체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매체 입출부;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인입된 매체 또는 인출될 매체를 보관할 수 있는 매체 보관함; 및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인입된 매체 또는 인출될 매체를 임시 집적하는 임시 집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입출부, 상기 매체 보관함 및 상기 임시 집적부 중 하나 이상은 매체의 이송을 위한 매체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분리장치는, 매체의 이송을 위한 피드롤러와 게이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량은 매체의 이송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구조물 없이 매체의 집적과 분리를 수행하는 피드롤러와 게이트롤러를 이용하여 매체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매체의 집적 시, 매체의 웨이브 형상으로의 변형량이 매체의 분리 시 보다 커지게 되므로, 게이트롤러와 피드롤러를 통과한 매체의 직진성이 향상되어 매체의 집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매체의 분리 시, 상기 게이트롤러와 시트롤러의 오버랩 량이 최소인 상태가 유지되므로, 매체의 훼손이 방지되고, 매체의 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매체분리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 및 도 6의 (a)는 매체 분리 시의 매체분리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의 (b) 및 도 6의 (b)는 매체 집적 시의 매체분리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체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매체가 입출을 위한 매체 입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텨(Shutter) 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다수 종류의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통 입출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낱장을 포함하는 번들 단위로 매체가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번들 단위로 매체가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의 종류에 따라서,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14)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장 입출부(14) 또는 카드 입출부(15)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라 이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객 정보 획득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RFID 태그 또는 USB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문 등을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금융기기(1)는, 매체처리장치(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1)는, 상기 매체입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1)는, 감별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부(20)는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1)는 매체가 임시로 집적되는 임시 집적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집적부(30)는 고객이 매체를 상기 금융기기(1)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 입출부(13)를 통하여 수납된 매체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임시 집적부(30)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할 매체 보관함(40)으로 이송된다. 또는 상기 임시 집적부(30)는 매체입출부로 인출될 매체를 임시 집적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1),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보관함(40)은, 하나 이상의 지폐 보관함(41, 42, 43)과, 하나 이상의 수표 보관함(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및 수표 보관함(4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른 예로서, 상기 매체 보관함(40)은 지폐 보관함 또는 수표 보관함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매체 보관함(40)에는, 이송된 매체가 인입되기 위한 매체입구와, 내부에 집적된 매체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매체 보관함(40)의 외관을 구성하는 박스(box)의 상단에 상기 매체입구와 매체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보관함(40)의 내부에는 상기 매체 보관함(40)의 외부로부터 이송된 매체를 나란히 집적되도록 하고, 집적된 지폐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매체 보관함(40)의 외부로 이송하는 매체분리수단이 구비될 수 잇다. 즉, 상기 매체 보관함(40)에 저장된 매체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입금된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함(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1)는, 입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1회수함(50)과, 출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2회수함(52)과, 회수 보충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 보충함(60)은 매체를 상기 매체 보관함(40)에 보충하거나, 상기 매체 보관함(40)으로부터 매체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는 출금을 위하여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된 매체를 고객이 미수취한 경우에 미수취 매체가 회수되는 제3회수함(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금융기기를 구성하는 각 모듈(매체 입출부, 감별부, 매체 보관함, 임시 집적부, 회수함 등)은 이송경로(19)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처리장치(11)는, 매체분리장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분리장치(70)는, 상기 매체입출부(13), 상기 임시 집적부(30) 및 상기 매체 보관함(4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체분리장치(70)는 매체를 집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적된 매체를 낱장 씩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매체분리장치(70)는, 피드롤러유닛(100: feed roller unit)과, 게이트롤러유닛(200: gate roller unit)과, 픽업롤러유닛(300: pick-up 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유닛(100)은 상기 게이트롤러유닛(200)과 함께 매체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유닛(100)은, 제1회전축(110)과, 상기 제1회전축(11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피드롤러(120: feed roller)와, 상기 제1회전축(1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축(1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110)의 타단에는 제1기어(13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110)에 다수의 피드롤러(12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피드롤러(12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유닛(300)은 상기 동력원(14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거나, 상기 동력원(140)과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롤러유닛(200)은, 제2회전축(210)과, 상기 제2회전축(21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클러치(212: clutch)와, 상기 제2회전축(21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클러치(216)와, 상기 제2회전축(210)에 결합되는 게이트롤러(220: gate roller)와, 상기 제2회전축(210)에 결합되는 시트롤러(230: sheet 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클러치(212, 216)로는 일 방향 클러치(One way clutch)가 적용될 수 있다. 일 방향 클러치는, 한 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클러치를 의미한다. 일 방향 클러치는, 내부체, 외부체 및 내부체와 외부체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한다. 일 방향 클러치의 구조는 공지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공지의 구조에서 처럼, 본 명세서에서 각 클러치 내부체와 외부체를 가진다.
상기 제1클러치(212)의 외부체에는 제2기어(214)가 결합된다. 상기 제1클러치(212)의 내부체에는 상기 제2회전축(210)이 결합된다. 상기 제2회전축(210)은 상기 제1클러치(212)의 내부체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14)는 상기 제1기어(130)와 맞물린다.
상기 제2클러치(216)의 내부체는 상기 제2회전축(210)과 결합된다. 반면, 상기 제2클러치(216)의 외부체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위치가 고정된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클러치(216)의 외부체는 움직일 수 없다.
외부체가 프레임에 고정된 제2클러치(216) 및 피드롤러유닛(100)과 제2기어(130)에 의해서 연결된 제1클러치(212)에 의해서 상기 제2회전축(210)은 도 4를 기준으로 일 예로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4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는 제2회전축(210)이 회전하지 못하고, 시계 방향으로는 상기 제2회전축(210)이 상기 제1클러치(212) 및 제2클러치(216)의 내부체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기어(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기어(214) 및 상기 제1클러치(212)의 외부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나, 상기 제1클러치(212)의 내부체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축(210)도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피드롤러(120)와 상기 게이트롤러(220)는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매체가 상기 피드롤러(120)와 상기 게이트롤러(22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게이트롤러(220)와 상기 피드롤러(120)는 일부가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게이트롤러(220)와 상기 피드롤러(120)가 오버랩된다는 것은,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게이트롤러(220)의 일부가 상기 피드롤러(120)와 중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게이트롤러(220)의 일부가 상기 피드롤러(120)와 오버랩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롤러(220)와 상기 피드롤러(120) 사이를 통과하는 매체의 일부가 웨이브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게이트롤러(2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피드롤러(120)와 상기 게이트롤러(220)의 오버랩 량이 가변되도록 상기 게이트 롤러(220)는 상기 제2회전축(210)과 편심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게이트롤러(22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210)의 회전 중심이 상기 상기 게이트 롤러(220)의 회전 중심과 편심을 이루도록 상기 상기 게이트 롤러(220)가 상기 제2회전축(2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게이트롤러(220)는 비원형(일 예로 일부는 원형이고 다른 일부는 타원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축(210)과 편심을 이루도록 상기 제2회전축(2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게이트롤러(220)가 제2회전축(210)과 편심을 이루므로, 상기 게이트롤러(2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롤러(220)와 상기 피드롤러(120)의 오버랩 량이 가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게이트롤러(2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롤러(220)와 상기 피드롤러(120)의 오버랩 량은 증가, 감소, 증가를 반복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롤러(220)는, 상기 제2회전축(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반경을 가지는 제1부분(221)과, 상기 제1반경 보다 큰 제2반경을 가지는 제2부분(2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부분(221)은 반경이 일정한 부분(게이트롤러가 원형인 경우에는 제1부분의 반경이 가변될 수 있음)이고, 상기 제2부분(222)은 상기 제1부분(221)의 반경 보다 크되, 반경이 동일하거나 가변되는 부분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제1부분(221)은 상기 제2회전축(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게이트롤러(220)의 반경이 가장 작은 부분인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게이트롤러(2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롤러(220)의 제1부분(221)이 상기 피드롤러(120)와 오버랩된 후에 제2부분(222)이 상기 피드롤러(120)와 오버랩되며, 다시 상기 게이트롤러(220)의 제1부분(221)이 상기 피드롤러(120)와 오버랩됨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롤러(2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롤러(220)와 상기 피드롤러(120)의 오버랩 량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시트롤러(230)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232)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상기 시트롤러(230)가 다수의 접촉부(232)를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다수의 접촉부(232)는 상기 시트롤러(257)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접촉부(232)는 상기 시트롤러(230)의 외주면 중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대략 90도 범위 내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매체의 분리 시에는 상기 다수의 접촉부(232)와 상기 매체(M)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접촉부(232)는 도 4와 같이 이송로(191)에서 회피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접촉부(232)는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게이트롤러(220)의 제2부분(2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접촉부(232)는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제2회전축(21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롤러(220)의 제2부분(222)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롤러(230)는 생략 가능하다.
한편, 상기 매체분리장치(70)는 매체의 분리 시 매체를 상기 픽업롤러유닛(300)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매체분리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 및 도 6의 (a)는 매체 분리 시의 매체분리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의 (b) 및 도 6의 (b)는 매체 집적 시의 매체분리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 및 도 6의 (a)를 참조하면, 매체(M)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롤러유닛(300) 및 상기 피드롤러(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면, 제2회전축(210), 상기 게이트롤러(220), 및 상기 시트롤러(230)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 매체의 분리 시에는, 매체의 훼손을 방지하거나 매체의 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게이트롤러(220)와 피드롤러(120)의 오버랩 량이 최소인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매체의 분리 시에는 상기 게이트롤러(220)의 제1부분(221)이 상기 피드롤러(120)와 오버랩된 상태에서 상기 게이트롤러(220)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상기 픽업롤러유닛(300) 및 상기 피드롤러(120)에 의해서 상기 매체(5)는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피드롤러(120)와 상기 게이트롤러(220) 사이를 지나게 된다. 이 때, 상기 게이트롤러(220)는 정지해 있으므로, 상기 매체(M)와 상기 게이트롤러(220)의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픽업롤러유닛(300)에 의해서 분리된 매체가 한장 씩 이송될 수 있다.
반면, 도 5의 (b)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매체(M)를 집적하기 위하여, 상기 피드롤러(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210), 상기 게이트롤러(220) 및 상기 시트롤러(2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매체(M)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상기 피드롤러(120)와 상기 게이트롤러(220)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롤러(2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 롤러(220)와 상기 피드롤러(120)의 오버랩량은 가변된다.
매체의 집적 시, 게이트롤러가 한 바퀴 회전될 때를 기준으로, 일부 구간에서의 피드롤러와 게이트 롤러의 오버랩 량은 매체의 분리 시의 피드롤러와 게이트 롤러의 오버랩 량과 동일하고, 나머지 구간에서의 피드롤러와 게이트 롤러의 오버랩 량은 매체의 분리 시의 피드롤러와 게이트 롤러의 오버랩 량보다 많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매체의 집적 시, 매체의 웨이브 형상으로의 변형량이 매체의 분리 시 보다 커지게 되므로, 게이트롤러와 피드롤러를 통과한 매체의 직진성이 향상되어 매체의 집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매체의 분리 시, 상기 게이트롤러와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이 최소인 상태가 유지되므로, 매체의 훼손이 방지되고, 매체의 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체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체분리장치는, 피드롤러유닛(500)과, 게이트롤러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유닛(500)은, 제1회전축(510)과, 상기 제1회전축(510)에 설치되는 피드롤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롤러유닛(600)은, 제2회전축(610)과, 상기 제2회전축(510)에 설치되는 게이트롤러(620)와, 제2회전축(610)에 설치되는 시트롤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분리장치는, 상기 제1회전축(510)과 상기 제2회전축(610) 간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상기 제2회전축(6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40)는 상기 제2회전축(610)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이거나 모터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640)의 동력이 상기 제2회전축(610)에 직접 전달되거나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매체의 분리 시, 상기 구동부(640)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전축(510)과 제2회전축(610) 간의 거리는 L1일 수 있다. 매체의 분리 시에 상기 게이트롤러(620)는 상기 피드롤러(52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매체의 집적 시, 상기 구동부(640)는 온되어 상기 제1회전축(510)과 제2회전축(610) 간의 거리인 L2가 L1 보다 작도록(즉, 제1회전축(510)이 제2회전축(610)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2회전축(610)이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게이트롤러(620)와 상기 피드롤러(520)의 오버랩량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회전축(610)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게이트롤러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구동부(640)가 모터인 경우 매체의 분리 시 상기 모터는 일 방향 회전되어 상기 제1회전축(510)과 제2회전축(610) 간의 거리가 L1이 되도록 상기 제2회전축(6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매체의 집적 시 상기 모터가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회전축(510)과 제2회전축(610) 간의 거리가 L2가 되도록 상기 제2회전축(6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0: 피드롤러 220: 게이트롤러

Claims (10)

  1.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피드롤러와 오버랩될 수 있는 게이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롤러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이 가변되도록 상기 게이트롤러는 상기 제2회전축과 편심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매체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롤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 중심이 상기 상기 게이트 롤러의 회전 중심과 편심을 이루도록 상기 제2회전축이 상기 게이트 롤러와 결합되는 매체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롤러는,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제1반경을 가지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반경 보다 큰 제2반경을 가지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매체분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매체의 분리 시, 상기 게이트롤러의 제1부분이 상기 피드롤러와 오버랩된 상태에서 상기 게이트롤러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매체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시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롤러는, 일정 간격 이격되며 매체와 접촉할 수 있는 다수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매체의 분리 시, 상기 다수의 접촉부는 상기 게이트롤러의 제2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매체분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매체의 집적 시, 상기 게이트롤러가 회전되어, 상기 게이트롤러의 제1부분과 피드롤러의 오버랩 및 상기 게이트롤러의 제2부분과 피드롤러의 오버랩을 반복하는 매체분리장치.
  7.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피드롤러와 오버랩될 수 있는 게이트롤러; 및
    매체의 분리 시의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이 매체의 집적 시의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 보다 많도록, 상기 제2회전축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매체분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매체의 분리 시에만 상기 제2회전축을 이동시키는 매체분리장치.
  9.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고객에 의해 입금되거나 출금을 위한 매체를 처리하기 위한 매체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분리장치는, 매체의 이송을 위한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오버랩될 수 있는 게이트롤러를 포함하고,
    매체 분리 시의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은 매체의 집적 시의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 량과 다른 금융기기.
  10. 매체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매체 입출부;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인입된 매체 또는 인출될 매체를 보관할 수 있는 매체 보관함; 및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인입된 매체 또는 인출될 매체를 임시 집적하는 임시 집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입출부, 상기 매체 보관함 및 상기 임시 집적부 중 하나 이상은 매체의 이송을 위한 매체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분리장치는, 매체의 이송을 위한 피드롤러와 게이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의 오버랩량은 매체의 이송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매체처리장치.
KR1020130129581A 2013-10-29 2013-10-29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 KR10152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581A KR101529677B1 (ko) 2013-10-29 2013-10-29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581A KR101529677B1 (ko) 2013-10-29 2013-10-29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272A true KR20150049272A (ko) 2015-05-08
KR101529677B1 KR101529677B1 (ko) 2015-06-17

Family

ID=5338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581A KR101529677B1 (ko) 2013-10-29 2013-10-29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581A (ko) 2015-08-10 2017-02-2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선단 정렬부재를 구비한 픽업롤러 및 이를 이용한 매체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2812B2 (ja) * 2001-09-26 2008-04-09 旭精工株式会社 紙葉類の一枚送り出し装置
JP2006327797A (ja) * 2005-05-30 2006-12-07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分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581A (ko) 2015-08-10 2017-02-2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선단 정렬부재를 구비한 픽업롤러 및 이를 이용한 매체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677B1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131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761483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EP3101632B1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KR101636129B1 (ko)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KR101362607B1 (ko) 매체 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529677B1 (ko)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
KR101762509B1 (ko)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KR101459825B1 (ko) 매체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KR101732825B1 (ko) 금융기기 및 매체집적장치
KR101627027B1 (ko)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148060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600164B1 (ko)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집적장치
KR101793333B1 (ko) 매체 감지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781686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1738819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761011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83449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919310B1 (ko) 매체 분리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559250B1 (ko) 매체의 스큐보정장치 및 금융기기
KR101618960B1 (ko)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176147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815385B1 (ko) 매체집적장치,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965858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932190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2004729B1 (ko)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