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256A - Probes, DNA chip and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nd method for genotyping HLA alleles specific to rheumatis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obes, DNA chip and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nd method for genotyping HLA alleles specific to rheumatis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256A
KR20150049256A KR1020130129548A KR20130129548A KR20150049256A KR 20150049256 A KR20150049256 A KR 20150049256A KR 1020130129548 A KR1020130129548 A KR 1020130129548A KR 20130129548 A KR20130129548 A KR 20130129548A KR 20150049256 A KR20150049256 A KR 20150049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igonucleotide
nucleotide sequence
hla
seq
drb1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소영
배상철
이혜순
윤영호
홍성현
황승용
김승준
김지훈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법인 이원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법인 이원의료재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2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256A/en
Publication of KR20150049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2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1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tissue or cell typing, e.g. human leukocyte antigen [HLA] prob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imply, rapidly, and accurately analyzing an HLA-DRB1 allelotype while a subtype represented by a four-digit number of a rheumatism-related HLA-DRB1 allelotype is discriminated in a high re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ime taken to analyze a sample is remarkably reduced compared to an existing method, and a large quantity of samples can be inspected in a short time, so that HLA-DRB1 allelotypes can be mass-analyzed in a high resolution. The occurrence of rheumatism-related diseases and dangers can be accurately and effectively diagnosed and predicted in a genetic level. More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HLA-DRB1 allelotype analysis in a Korean group can be performed, and an HLA-DRB1 allelotype pattern related to rheumatism-related diseases of Koreans can be determined. Therefore, the same has a high utilization value in a health and medical manner for treating and preventing rheumatism diseases.

Description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 조성물, DNA 칩 및 키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 {Probes, DNA chip and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nd method for genotyping HLA alleles specific to rheumatism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composition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 DNA chip and kit, and a method for analyzing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e genotypes using the same. rheumatis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 조성물, DNA 칩 및 키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4자리 숫자로 표시되는 아형 수준까지 고해상도로 판별할 수 있는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 조성물, DNA 칩 및 키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composition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 DNA chip and kit, and a method for analyzing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e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DNA chip and kit, and a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e genotyping method using the probe composition, the DNA chip and the kit, for the rheumatism-specific HLA typing.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고해상도로 분석하면서도 대량의 시료에 대해서도 간단하고, 신속 정확하게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 조성물, DNA 칩 및 키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composition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which can analyze HLA-DRB1 allele genotype related to rheumatism in high resolution and can perform HLA-DRB1 allele genotype analysis simply, quickly, DNA chip and kit, and a method for analyzing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ic genotypes using the same.

류머티즘은 근육이나 관절 또는 그 근접 조직에 동통, 운동장애, 경결이 발현하는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이다. 류머티즘 질환은 관절 류머티즘, 신경통을 포함해 악화되면 운동장애를 일으키고 후유증으로 심장판막증을 남기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류머티즘 증상을 몇 번이고 되풀이하는 동안 병상(病狀)은 악화되어 운동 장애, 심장 장애를 가져오게 된다. Rheumatism is an acute or chronic disease that manifests pain, movement disorders, and induration in muscles, joints, or adjacent tissues. Rheumatologic diseases, including joint rheumatism and neuralgia, are exacerbated by movement disorders and often lead to post-eventual cardiac valve disease. During such repeated and repeated rheumatic symptoms, the illness is worsened, resulting in movement disorders and cardiac disorders.

류머티즘에 속하는 질환의 종류는 다양하고 환자의 수도 많으며, 특히 만성관절 류머티즘 환자가 많다. 류머티즘에 걸린 환자의 혈청 속에서는 류머토이드라는 인자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IgG(면역글로불린 G)에 대해 자기 항체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에는 면역이상에 의한 질환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There are many kinds of diseases belonging to rheumatism and many patients, especially chronic rheumatoid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appears in the serum of patients with rheumatism. After the fact that it is known that there is a self-antibody against IgG (immunoglobulin G), it is thought to be caused by immune disorders.

류머티즘 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유병률은 일반적으로 전체 인구의 약 1% 정도로 알려져 있고, 여자가 남자에 비해 2-4배 정도 유병률이 높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prevalence of rheumatoid arthritis, a typical disease of rheumatoid disease, is generally known to be about 1% of the total population, and it is known that the prevalence of women is 2-4 times higher than that of men and increases with age.

류마티스 관절염은 주로 관절을 침범하는 대표적인 전신성 만성 자가면역질환으로 완치가 힘들며 관절의 통증 뿐만 아니라 변형 및 장애를 유발하고 노동력 상실로 인한 간접비용이 더 많아서 사회경제적 비용부담이 매우 큰 질환이다. Rheumatoid arthritis is a typical systemic chronic autoimmune disease involving joints, which is difficult to cure and causes joint pain, deformation and disability as well as indirect costs due to loss of labor force, which is a very socio-economic cost burden.

그러나, 류마티스 관절염은 항CCP 인자나 류마티스 인자 등의 다양한 자가항체 검사를 통해 진단 및 질병 발생 예측을 하지만, 질병 발생 예측률에 대한 정보가 빈약하고 임상양상과 검사실 소견에 의존하여 판단하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증상이 없는 자가항체 양성군의 경우 질병 발생 여부 또는 예측을 하기 어려우며, 자가항체가 없는 관절염의 경우 진단이 늦어져 치료시기를 놓치는 문제가 있는 등 류머티즘 질환의 질병 발생 예측과 예방은 매우 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owever, rheumatoid arthritis is predictive of diagnosis and disease development through various autoantibody tests such as anti - CCP factors or rheumatoid factor. However, there is a limit to make a judgment based on clinical features and laboratory findings.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ether or not a disease occurs in an autoantibody-positive group without symptoms. In the case of arthritis without an autoantibody, diagnosis is delayed and there is a problem in missed treatment period. .

최근에는 매트릭스 리스크 모델(matrix risk model)과 같이 자가항체 (RF 및 ACPA), CRP(C 반응성 단백질), 관절 손상 스코어(Erosion score)의 조합을 이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예후를 예측하여 적절한 맞춤 치료제 선택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다른 면역질환과의 모호함이 존재하고 아직은 소수의 임상정보만을 이용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Recently, a combination of autologous antibodies (RF and ACPA), CRP (C reactive protein), and joint damage score (Erosion score), like the matrix risk model, predicts the prognosis of rheumatoid arthritis, Although efforts are being actively made to present standards, there is ambiguity with other immune diseases, and there is still a limit to using only a small number of clinical information.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직 및 골수 이식수술의 경우 주요 검사항목으로 지정되어 있는 HLA 타이핑이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에서의 진단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HLA 항원에 대한 혈청학적 방법에 기초한 검사방법이 개발되어 있다.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HLA typing, which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test item in tissue and bone marrow transplant surgery, has been shown to have diagnostic potential in autoimmune diseas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and is based on serologic methods for HLA antigens Inspec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HLA(human leukocyte antigen; 사람백혈구항원)의 특징으로는 다형성을 들 수 있는데, 다형성은 특정 펩티드에 대한 면역반응의 개체차이 형성으로 자기면역질환에 대한 감수성의 개체차를 결정하거나, 장기이식에서 거부반응을 유도하므로 이를 검출하는 HLA 타이핑은 매우 중요하다. HLA 대립유전자는 DNA 수준에서 구조가 결정된 것만으로 항구적인 명칭이 붙여져 유전자 자리 다음에 별표 부호를 붙이고 4자리 숫자로 표시하는데, 숫자의 앞의 2자리는 종전의 혈청학적 유형분류에 대응하는 것이고 뒤의 2자리로 이를 아형으로 세분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DRB1* 0405는 종전의 DR4 대립형질에 대응하는 대립유전자 중 제5번째의 아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The characteristics of HLA (human leukocyte antigen) include polymorphism, which is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immune response to a specific peptide, which determines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susceptibility to autoimmune diseases, HLA typing that detects i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nduces the reaction. The HLA allele is a structure that is determined only at the DNA level and is given a permanent name, followed by an asterisk followed by a four-digit number, with the first two digits of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serological typing, Which is subdivided into subtypes. For example, DRB1 * 0405 indicates the fifth subtype of the allele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DR4 allele.

한편, 분자 생물학의 발달로 HLA 항원을 지배하는 대립 유전자의 염기 서열이 자세히 밝혀짐에 따라 염기서열의 차이로써 HLA의 대립 유전자형의 다양성을 확인하는 HLA 유전자 분석이 가능해 졌고, 이를 통해 HLA 타이핑에 의한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에 대한 유전적 수준에서의 진단 및 발병 예측 가능성에 대한 방법론적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As molecular biology advances,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allele that controls the HLA antigen has been elucidated. As a result, HLA gene analysis that verifies the diversity of the allele genotype of HLA has become possible by the difference of the base sequence.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diagnosis and predictability of genetic level of autoimmune diseas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has been suggested.

PCR 방법의 도입으로 HLA의 DNA 타이핑 분야는 급진적으로 발전하였고 HLA 항원의 거의 모든 다형성이 DNA 수준에서 밝혀지고 있으나, HLA 유전자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PCR 방법, 파이로시퀀싱, 직접적인 염기서열 결정법 등은 HLA-A, -B, -Cw, -DRB1을 동시에 타이핑 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며 특히 대량의 검체를 분석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미세한 크기의 슬라이드글라스나 실리콘 등의 기판 위에 아주 적은 양의 DNA를 고밀도로 붙일 수 있고, 동시에 많은 수를 검색할 수 있는 DNA 칩 기술을 통해 유전자 발현분석, 유전자 진단, 유전자의 돌연변이 검색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는데, HLA 타이핑에도 이러한 DNA 칩 기술이 사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The introduction of the PCR method has led to radical development of the DNA typing field of HLA, and almost all the polymorphisms of the HLA antigen have been revealed at the DNA level. However, the conventional PCR method used for analyzing the HLA gene, pyrosequencing, Have required a great deal of time and labor to simultaneously type HLA-A, -B, -Cw, and -DRB1, and are inadequate for analyzing a large number of specimens. Therefore, in recent years, a DNA chip technology capable of attaching a very small amount of DNA onto a substrate of a microscopic size such as a slide glass or a silicon wafer at a high density and simultaneously detecting a large number of DNA chips can be used for gene expression analysis, gene diagnosis, And so on. However, such DNA chip technology is also used for HLA typing, which can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1002호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HLA 타이핑 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DNA 칩의 원리를 이용하여 HLA-A, -B, -Cw, -DRB1을 하나의 슬라이드 위에서 동시에 분석하는 저해상도(low resolution) DNA 칩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1002호는 하나의 알데히드 글라스 슬라이드 위에 HLA-A, -B, -Cw, -DRB1 각각의 구역의 해당 프로브를 집적시키고, 비대칭 PCR 법을 사용하여 증폭시킨 HLA 유전자와 교잡반응을 시켜서, 반응이 나타난 프로브의 결과를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HLA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1002호의 HLA 타이핑 DNA 칩이 우수한 기술임에도 다른 우수한 기술과 마찬가지로 끊임없는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1002호에서는 HLA 대립유전자형을 2자리 숫자 단위로만 판별할 수 있는 저해상도 DNA 칩만을 개시하고 있고 다양한 아형이 존재하는 HLA 대립유전자형을 고해상도로 판별할 수 없어 질병 진단 및 예측과 같은 분야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In this regar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81002, HLA-A, -B, -Cw, and -DRB1 are synthesized using the principle of a DNA chip that can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HLA typing method described above. Discloses a low resolution DNA chip that analyzes simultaneously on one slid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81002 discloses a method for synthesizing HLA-A, -B, -Cw, and -DRB1 corresponding probes on one aldehyde glass slide and amplifying the HLA gene amplified using the asymmetric PCR method The hybridization reac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of the probe in which the reaction was indicated were analyzed for HLA allele genotypes using a program. However, even though the HLA typing DNA chip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81002 is a superior technology, it can be continuously improved like other superior technologies. Namel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81002 discloses only a low-resolution DNA chip capable of discriminating the HLA allele genotype only in two-digit units, and can not discriminate the HLA allele genotype having various subtypes at high resolution, And prediction.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는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4자리 숫자로 표시되는 아형 수준까지 고해상도로 판별하면서도 간단하고, 신속 정확하게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류마티즘 관련 질환의 발병 여부 및 위험도를 유전학적 수준에서 정확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HLA-DRB1 allele genotype related to rheumatism is discriminated at a high resolution up to the subtype represented by 4 digits, and the HLA-DRB1 allele genotype analysis is performed simply, quickly,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hat can accurately and effectively diagnose and predict disease status and risk at the genetic level.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1002호 (2006. 05. 1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581002 (2006. 05. 17)

본 발명은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4자리 숫자로 표시되는 아형 수준까지 고해상도로 판별할 수 있는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 조성물, DNA 칩 및 키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composition, a DNA chip and a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capable of discriminating rheumatoid related HLA-DRB1 allele at high resolution up to the subtype represented by 4-digit number, and a rheumatic specific HLA-DRB1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lelic genotyping metho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고해상도로 분석하면서도 간단하고, 신속 정확하게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 조성물, DNA 칩 및 키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composition, DNA chip and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which can perform simple, rapid and accurate analysis of HLA-DRB1 allele genotype while analyzing allele genotype of rheumatoid related HLA-DRB1 allele genotype And to provide a method for analyzing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ic genotypes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에 비해 시료를 분석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 다량의 시료를 짧은 시간 내에 검사할 수 있어 대량으로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고해상도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류마티즘 관련 질환의 발병 여부 및 위험도를 유전학적 수준에서 정확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reduce the time for analyzing a samp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d can test a large amount of samples in a short time,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large-scale HLA-DRB1 allele genotype analysis with high resolution, And to provide a technique for accurately and effectively diagnosing and predicting the onset and risk of a disease at a genetic level.

추가로, 본 발명은 한국인 집단에서의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한국인의 류머티즘 질환과 관련되는 HLA-DRB1 대립유전자형 패턴을 결정할 수 있어 류머티즘 질환 치료 및 예방이라는 보건의료적 차원에서 활용가치가 높은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erforming HLA-DRB1 allelic genotyping in a Korean population, thereby determining the HLA-DRB1 allele pattern associated with rheumatic diseases in Koreans, The goal is to provide technology that is highly utilized in the dimension.

본 발명은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4자리 숫자로 표시되는 아형 수준까지 고해상도로 판별하면서도 간단하고, 신속 정확하게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수많은 연구와 노력을 통하여 한국인에서 발견되는 류머티즘 발생 예측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형 및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을 분석하여 고해상도 HLA 타이핑용 DNA 칩을 위한 컨텐츠를 선별하였고, 또한 이에 기초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류머티즘 관련 8개의 HLA-DRB1 대립유전자(*0101, *0401, *0404, *0405, *0408, *0410, *0901, *1001)를 선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rapid, and accurate method for performing HLA-DRB1 allele genotype analysis while distinguishing rheumatoid related HLA-DRB1 alleles at a high resolution up to a four-digit subtype level. The present inventors analyzed the HLA-DRB1 allele genotype and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associated with rheumatoid development prediction found in Koreans through a variety of researches and efforts, and selected contents for a DNA chip for high resolution HLA typing, As a result of intensive research based on this research, eight HLA-DRB1 alleles (* 0101, * 0401, * 0404, * 0405, * 0408, * 0410, * 0901, * 1001) related to rheumatism were selected.

류머티즘 관련 8개의 HLA-DRB1 대립유전자(*0101, *0401, *0404, *0405, *0408, *0410, *0901, *1001)는 인종, 개인별로 변이가 많기 때문에 이들 대립유전자 각각을 타겟팅하는 프로브를 설계할 경우 특이도와 민감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일정 컷오프 값 이상의 프로브 검출 민감도를 얻기 위해 상기 8개의 HLA-DRB1 대립유전자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프로브를 제작하는 경우 이들 각각의 프로브는 HLA 대립형질의 개인별 다양성으로 인해 원래 목적으로 하는 HLA-DRB1 대립유전자 외에도 다른 HLA-DRB1 대립유전자에도 결합하여 위양성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Because each of the eight HLA-DRB1 alleles associated with rheumatism (* 0101, * 0401, * 0404, * 0405, * 0408, * 0410, * 0901, * 100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ecificity and the sensitivity can not be satisfied at the same time when the probe is designed. That is, when individual probes are prepared for each of the eight HLA-DRB1 alleles to obtain a probe detection sensitivity higher than a predetermined cutoff value, each of these probes is subjected to the HLA-DRB1 antagonism due to the individual diversity of the HLA allele In addition to the gene, it also binds to other HLA-DRB1 alleles, generating a false-positive signal.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류머티즘 관련 8개의 HLA-DRB1 대립유전자(*0101, *0401, *0404, *0405, *0408, *0410, *0901, *1001)를 타이핑하기에 적합한 최적의 프로브들의 조합 세트를 구성하였고, 이들 프로브 조합으로부터의 신호 패턴에 따라 HLA-DRB1의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ation set of optimal probes suitable for typing the eight HLA-DRB1 alleles (* 0101, * 0401, * 0404, * 0405, * 0408, * 0410, * 0901, * 1001) And analyzed the allele genotype of HLA-DRB1 according to the signal pattern from these probe combinations.

이러한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일실예의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 조성물은,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를 포함한다.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the probe composition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ligonucleotide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nd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sequence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n oligonucleotide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nd at least one prob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9,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bas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Gt; prob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DNA 칩은,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를 포함한다.The DNA chip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nd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n oligonucleotide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an oligonucleotide,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nd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nd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Q ID NO: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and an oligonucleotide complementary to such oligonucleotide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9,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wherein the oligonucleotide has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nd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nd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DNA 칩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유리 슬라이드와 같은 동일 기판 상에 마이크로어레이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DNA 칩 제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브가 마이크로어레이된 DNA 칩에는 프로브와의 혼성화 및 검출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특정한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위치 마커(position marker)를 추가적으로 고정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 DNA chip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may be microarrayed on the same substrate such as a glass sl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strate is a glass substrate or a plastic substrate generally used for producing DNA chips.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DNA chip in which the probe is microarrayed is additionally fixed with a position marker indicated by a specific nucleotide sequence so as to enhance the accuracy of hybridization and detection with the prob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PCR 증폭키트는, 서열번호 11 내지 14의 정방향 프라이머들과, 서열번호 15의 역방향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DNA 중합효소, dNTPs, PCR 완충용액 및 PCR 증폭산물의 표지물질을 포함한다.The PCR amplification kit specifically amplifying the rheumatoid-related HLA-DRB1 allel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rward primers of SEQ ID NOs: 11 to 14, the primer set of the reverse primer of SEQ ID NO: 15, the DNA polymerase, dNTPs, PCR buffer solutions, and labeled substances of PCR amplification produc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은, 시료 DNA를 PCR을 수행하여 증폭하는 단계와, 상기 PCR 증폭 산물을 전술한 바와 같은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DNA 칩 상에 집적된 프로브들에 혼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혼성화 여부에 따라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analyzing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ic genoty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mplifying a sample DNA by performing PCR and amplifying the PCR amplification product on a DNA chip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 And analyzing the HLA-DRB1 allele according to the hybridization status.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은,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4자리 숫자로 표시되는 아형 수준까지 판별할 수 있다. The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e genotyping method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riminate the rheumatoid related HLA-DRB1 allele to the four-digit subtyp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에 있어서, 상기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는 단계는, 형광표지된 PCR 증폭 산물을 상기 프로브들에 대해 혼성화시킨 후 측정된 형광세기가 컷오프값 이상을 나타내는 프로브에 대해서는 "1"의 값을 할당하고 형광세기가 컷오프값 미만을 나타내는 프로브에 대해서는 "0"의 값을 할당하는 단계와, 이러한 할당된 값에 기초하여 전체 프로브 조합 세트에 대해 "1"과 "0"으로 이루어진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와 같이 생성된 각 바이너리 코드를 분석대상이 되는 HLA-DRB1의 대립유전자와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method for analyzing alleles of HLA-DRB1 alle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nalyzing the HLA-DRB1 allelic genotype includes hybridizing fluorescence-labeled PCR amplification products to the probes, Assigning a value of "1" for a probe representing a cutoff value or more and assigning a value of "0" for a probe for which a fluorescence intensity is less than a cutoff value, Generating a binary code composed of "1" and "0 " with respect to the HLA-DRB1 gene; and matching each generated binary code with an allele of HLA-DRB1 to be analyz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에 있어서, 2배체 상에 존재하는 대립유전자 1과 대립유전자 2 각각의 바이너리 코드의 조합을 생성하고, 이러한 바이너리 코드의 조합으로부터 HLA-DRB1 대립유전자형이 동형접합체(homozygote)인지 또는 이형접합체(heterozygote)인지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method for analyzing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ic genotype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ation of binary codes of allele 1 and allele 2 present on diploids is generated, and a combination of these binary codes is used to generate HLA- Characterized by analyzing whether the DRB1 allelic genotype is homozygote or heterozygote.

또한, 본 발명은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할 수 있는 검사 키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st kit capable of analyzing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할 수 있는 검사 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 DNA 칩과,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특이적으로 증폭하기 위한 서열번호 11 내지 14의 정방향 프라이머들과 서열번호 15의 역방향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와, 상기 DNA 칩과 혼성화되는 증폭된 유전자 산물을 검출하기 위한 표지수단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test kit capable of analyzing the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e geno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NA chip defined as described above, and a DNA chip defined as SEQ ID NO: 11 for specifically amplifying a rheumatism-related HLA-DRB1 allele A primer set consisting of forward primers of SEQ ID NO: 14 and reverse primer of SEQ ID NO: 15, and labeling means for detecting amplified gene products hybridized with the DNA chip.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표지물질은 특정 형광물질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형광 검출기로서 확인이 가능한 다양한 형광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효소학적 발색반응 및 동위원소 표지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지물질은 Cy5, Cy3, 비오틴-결합물질, EDANS (5-(2'-아미노에틸)아미노-1-나프탈렌 황산), 테트라메틸로다민(TMR), 테트라메틸로다민 이소시아네이트 (TMRITC), x-로다민 또는 텍사스 레드 등일 수 있으며, 형광물질인 Cy3 또는 Cy5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형광물질, 방사성 물질 또는 발광성 물질 등 다양한 표지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beling substanc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luorescent substance, and various fluorescent substances which can be confirmed as a fluorescence detector can be used, and an enzymatic coloring reaction and isotope labeling are also possible. For example, the labeling substance may be Cy5, Cy3, a biotin-binding substance, EDANS (5- (2'-aminoethyl) amino-1-naphthalene sulfate), tetramethylrhodamine (TMR), tetramethylrhodamine isocyanate ), x-rhodamine, or Texas red, and is preferably Cy3 or Cy5 which is a fluorescent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labeling materials such as various fluorescent materials, radioactive materials, and luminescent material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본 발명에 따르면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4자리 숫자로 표시되는 아형 수준까지 고해상도로 판별할 수 있으며,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고해상도로 분석하면서도 간단하고, 신속 정확하게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the rheumatoid-related HLA-DRB1 allele at high resolution up to the four-digit subtype level, and to analyze the rheumatoid related HLA-DRB1 allele with high resolution, Analysis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방법에 비해 시료를 분석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 다량의 시료를 짧은 시간 내에 검사할 수 있어 대량으로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고해상도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류마티즘 관련 질환의 발병 여부 및 위험도를 유전학적 수준에서 정확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amount of samples can be inspected in a short time while greatly shortening the time for analyzing a sampl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large-scale HLA-DRB1 allele genotype analysis with high resolution, It has the advantage of accurately and effectively diagnosing and predicting the onset and risk of the disease at the genetic level.

추가로, 본 발명은 한국인 집단에서의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한국인의 류머티즘 질환과 관련되는 HLA-DRB1 대립유전자형 패턴을 결정할 수 있어 류머티즘 질환 치료 및 예방이라는 보건의료적 차원에서 활용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erforming HLA-DRB1 allelic genotyping in a Korean population, thereby determining the HLA-DRB1 allele pattern associated with rheumatic diseases in Koreans, It can be said that the value of utilization is high.

도 1은 본 발명의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01, *04 타입)에 대해 선택적으로 PCR 증폭을 수행한 후 얻어진 증폭 산물을 전기영동한 사진이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 증폭을 수행하면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01 및 *04의 2자리(2 digit) 타입으로 1차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09, *10 타입)를 선택적으로 PCR 증폭을 수행한 후 얻어진 증폭 산물을 전기영동한 사진이다.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 증폭을 수행하면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09 및 *10의 2자리(2 digit) 타입으로 1차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와 함께 다른 HLA-DRB1 대립유전자(*03, *07, *08, *11, *12, *13, *14, *15, *16)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 증폭을 수행한 후 얻어진 증폭산물을 전기영동한 사진이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프라이머 세트들을 이용하여 PCR 증폭을 수행하면 각각의 프라이머 세트에 대한 시료 유전자의 증폭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증폭된 시료 유전자의 HLA-DRB1 대립유전자가 동형접합체인지 이형접합체인지를 저해상도(2자리 타입)로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들이 집적된 마이크로어레이 DNA 칩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류머티즘 관련 8개의 HLA-DRB1 대립유전자(*0101, *0401, *0404, *0405, *0408, *0410, *0901, *1001)를 갖는 다양한 샘플에 대한 PCR 증폭산물을 본 발명의 마이크로어레이 DNA 칩에 혼성화시킨 후 확인한 DNA 칩의 형광이미지 사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amplification product obtained by performing PCR amplification selectively on the rheumatoid related HLA-DRB1 allele (* 01, * 04 type) using the specific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PCR amplification using the specific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rheumatism-related HLA-DRB1 alleles as primary two-digit types of * 01 and * 04 .
FIG. 2 is a photograph of an amplification product obtained by performing PCR amplification of rheumatoid related HLA-DRB1 allele (* 09, * 10 type) selectively using the specific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lectrophoresis. As shown in FIG. 2, PCR amplification using the specific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rheumatoid-related HLA-DRB1 allele primarily in two digits of * 09 and * 10 .
Figure 3 shows a primer set for amplifying other HLA-DRB1 alleles (* 03, * 07, * 08, * 11, * 12, * 13, * 14, * 15, * 16) together with the specific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PCR amplific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PCR product and electrophoresis of the obtained amplification product. As shown in FIG. 3, when the PCR amplif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primer set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sample gene is amplified for each primer set, and whether the HLA-DRB1 allele of the amplified sample gene is homozygous This type change can be confirmed as low-resolution (two-digit type).
FIG. 4 shows a layout of a microarray DNA chip on which probes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ted.
5 shows the PCR amplification products of various samples having eight rheumatoid related HLA-DRB1 alleles (* 0101, * 0401, * 0404, * 0405, * 0408, * 0410, * 0901, * 1001) It is a fluorescence image photograph of DNA chip confirmed after hybridization to microarray DNA chip.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들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exampl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references c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실시예 1: 프라이머의 제작Example 1: Preparation of primer

HLA-DRB1 유전자형 분석을 위해 지금까지 알려진 HLA-DRB1 유전자 상동성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위해 서열정보는 IMGT/HLA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였으며, HLA-DRB1 유전자 중 엑손2(exon2) 염기서열 상동성 결과를 분석하여 *01 부터 *16 까지의 대립형질 유전자들 중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01, *04, *09, *10 타입)만을 선택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정방향 프라이머를 선정하여 설계하였다. In order to analyze HLA-DRB1 genotypes, HLA-DRB1 gene homology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is purpose, the sequence information was referenced to the IMGT / HLA database and the exon 2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of the HLA-DRB1 gene (* 01, * 04, * 09, * 10 types) of the allele genes related to rheumatism among the alleles of the genes * 01 to * 16 were selected and designed as forward primers capable of selectively amplifying only the HLA- DRB1 allele .

또한, 역방향 프라이머는 모든 HLA-DRB1 대립형질 유전자에 보존적인 서열을 선정하여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류머티즘과 관련된 대립형질 유전자만을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다른 대립형질 유전자 증폭산물에 의한 모호성을 배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verse primer was designed by selecting conserved sequences for all HLA-DRB1 alleles. Such a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amplify allelic genes associated with rheumatism to eliminate ambiguity due to other allelic gene amplification products.

후술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한다. 이들 프라이머는 한국의 바이오니아社(대전광역시 소재)에 의뢰하여 합성하였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the following primers are used. These primers were synthesized by asking Bioni Company of Korea (Daejeon Metropolitan City).

HLA-DRB1 대립유전자(*01, *04, *09, *10 타입)를 위한 PCR 증폭용 프라이머Primers for PCR amplification for the HLA-DRB1 allele (* 01, * 04, * 09, * 10 type)

정방향 프라이머Forward primer

DE2F-01(*01, 코돈 no.7~14): 5'-TTCTTGTGGCAGCTTAAGTTTGA-3'(서열번호 11)DE2F-01 (* 01, codon no. 7 to 14): 5'-TTCTTGTGGCAGCTTAAGTTTGA-3 '(SEQ ID NO: 11)

DE2F-04(*04, 코돈 no.6~13): 5'-CGTTTCTTGGAGCAGGTTAAACAT-3'(서열번호 12)DE2F-04 (* 04, codon no. 6 to 13): 5'-CGTTTCTTGGAGCAGGTTAAACAT-3 '(SEQ ID NO: 12)

DE2F-09(*09, 코돈 no.6~13): 5'-CGTTTCTTGAAGCAGGATAAGTTT-3'(서열번호 13)DE2F-09 (* 09, codon no. 6 to 13): 5'-CGTTTCTTGAAGCAGGATAAGTTT-3 '(SEQ ID NO: 13)

DE2F-10(*10, 코돈 no.6~13): 5'-CGTTTCTTGGAGGAGGTTAAGTTT-3'(서열번호 14)
DE2F-10 (* 10, codon no. 6 to 13): 5'-CGTTTCTTGGAGGAGGTTAAGTTT-3 '(SEQ ID NO: 14)

역방향 프라이머Reverse primer

DE2R-2(컨센서스, 코돈 no.95~89): 5'-CTCGCCGCTGCACYGTGAA-3'(서열번호 15)
DE2R-2 (consensus, codon no. 95 to 89): 5'-CTCGCCGCTGCACYGTGAA-3 '(SEQ ID NO: 15)

또한, 대칭 또는 비대칭 중합효소 연쇄반응 (PCR)에 사용하는 서열번호 11 내지 서열번호 14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5의 역방향 프라이머는 혼성화 (hybridization) 반응을 시킨 이후에 형광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말단에 로다민, cy3, 또는 cy5를 부착시켜서 제작하거나 비오틴(biotin)을 부착시켰으며, 비오틴을 부착시킨 경우에는 혼성화 반응 이후에 스트렙타비딘-사이아닌 (Streptavidin-Cyanine)과 결합하도록 하여 사용하였다. 바람직한 예는 cy3를 프라이머 말단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forward primer of SEQ ID NO: 11 to SEQ ID NO: 14 and the reverse primer of SEQ ID NO: 15 used for the symmetric or asymmetr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re subjected to a hybridization reaction, (Cytochrome c), cy3, or cy5, or biotin attached thereto. When biotin was attached thereto, it was used to bind to streptavidin-cyanine after the hybridization reaction. A preferred example is to attach cy3 to the primer end.

실시예 2: 류머티즘 환자군 및 정상군의 DNA 시료에 대한 PCR 증폭반응의 수행Example 2: Performing PCR amplification reactions on DNA samples of rheumatoid patient group and normal group

다년간 지속적으로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DNA 시료를 축적하고 임상정보를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대규모 임상 코호트(류머티즘 환자 약 1,900명, 정상인 1,130명)를 구축한 한양대학교 류마티스병원으로부터 DNA 시료를제공받았다. 또한, PCR 증폭을 위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혈액 샘플로부터 독일 퀴아젠사 (QIAGEN)의 DNeasy blood & tissue kit를 사용하여 DNA를 직접 추출할 수 있다.DN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Hanyang University Rheumatology Hospital, which constructed a large-scale clinical cohort (1,900 rheumatic patients and 1,130 normal patients) by accumulating DNA samples from Korea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systematically databaseing clinical information for many years. DNA can also be directly extracted from blood samples from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using the DNeasy blood & tissue kit from QIAGEN for PCR amplification.

그리고,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만을 선택적으로 증폭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CR 증폭을 수행하였다. 증폭을 위한 조성물로는 제이에스 바이오테크의 2X Hot-Taq Master Mix (chemical mediated Hot-start)(PCR 버퍼, dNTP, DNA 중합효소 등을 포함)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정방향 프라이머는 최종 농도 250 nM, 역방향 프라이머는 최종 농도 500 nM가 되도록 첨가하였으며, DNA 주형은 50ng 첨가하였다. In order to selectively amplify only the rheumatoid related HLA-DRB1 allele, PCR ampl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primers prepared in Example 1 above. As a composition for amplification, a 2X Hot-Taq Master Mix (including PCR buffer, dNTP, and DNA polymerase) of JEES Biotech was used, and each forward primer had a final concentration of 250 nM , The reverse primer was added to a final concentration of 500 nM, and 50 ng of DNA template was added.

또한, PCR 증폭 온도조건은 95℃에서 10분간 변성 후, "95℃ 15초, 60℃ 30초, 72℃ 30초"를 38회 반복하고 나서 전기영동 실험을 수행하기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The PCR amplification temperature conditions were 95 ° C for 15 seconds, 60 ° C for 30 seconds, and 72 ° C for 30 seconds after denaturation at 95 ° C for 10 minutes, and then kept at 4 ° C until the electrophoresis experiment wa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조건 하에서 PCR 증폭반응이 끝난 후, PCR 증폭산물 3㎕에 젤 로딩 버퍼(0.2% orange G, 0.25% xylene cyanol FF, 60% glycerol) 2㎕를 넣고 1㎍/㎖ 에티듐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가 함유된 1.5% 아가로스젤에서 전기영동한 후 UV 트랜스일루미네이터 (UV transilluminator)가 부착된 이미지 애널라이저(Image analyzer)(HITACHI, 일본)에서 PCR 증폭산물의 밴드를 확인하였다.2 μl of gel loading buffer (0.2% orange G, 0.25% xylene cyanol FF, 60% glycerol) was added to 3 μl of the PCR amplification product under the above conditions and 1 μg / ml of ethidium bromide and the band of the PCR amplification product was confirmed in an image analyzer (HITACHI, Japan) equipped with a UV transilluminator after electrophoresis on a 1.5% agarose gel containing a bromid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류머티즘과 관련된 각각의 HLA-DRB1 대립유전자 *01, *04, *09, *10 타입을 선택적으로 증폭할 수 있었으며, 다른 대립형질 유전자과의 교차반응은 일어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 증폭을 수행하면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01, *04, *09 및 *10의 2자리(2 digit) 타입으로 1차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using the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possible to selectively amplify each type of HLA-DRB1 allele * 01, * 04, * 09, * 10 related to rheumatism, It was confirmed that cross-reactivity with the allelic gene did not occur. From these results, PCR amplification using the specific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revealed that the HLA-DRB1 allele associated with rheumatism was primarily detected as a two-digit type of * 01, * 04, * 09 and * 10 It can be seen that

한편,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와 함께 다른 HLA-DRB1 대립유전자(*03, *07, *08, *11, *12, *13, *14, *15, *16)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비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PCR 증폭을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다. 추가로 사용된 비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로는 하기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한다. 하기의 비특이적 프라이머들은 모두 정방향 프라이머로서 역방향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5의 역방향 프라이머를 공통으로 사용한다. 이들 프라이머는 한국의 바이오니아社(대전광역시 소재)에 의뢰하여 합성하였다.
On the other hand, amplification of other HLA-DRB1 alleles (* 03, * 07, * 08, * 11, * 12, * 13, * 14, * 15, * 16) with the specific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Example 1 (Non-specific primer set) was used to perform additional PCR amplification under the condition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primers are used as the non-specific primer sets used additionally. The following non-specific primers are all forward primers and the reverse primers of SEQ ID NO: 15 are commonly used. These primers were synthesized by asking Bioni Company of Korea (Daejeon Metropolitan City).

HLA-DRB1 대립유전자(*03, *07, *08, *11, *12, *13, *14, *15, *16)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A primer set for amplification of the HLA-DRB1 allele (* 03, * 07, * 08, * 11, * 12, * 13, * 14, * 15, * 16)

DE2F-03,11,13,14: 5'-CGTTTCTTGGAGTACTCTACGTC-3' (서열번호 16)DE2F-03,11,13,14: 5'-CGTTTCTTGGAGTACTCTACGTC-3 '(SEQ ID NO: 16)

DE2F-07: 5'-TTTCCTGTGGCAGGGTAAGTATA-3' (서열번호 17)DE2F-07: 5'-TTTCCTGTGGCAGGGTAAGTATA-3 '(SEQ ID NO: 17)

DE2F-08,12: 5'-TTTCTTGGAGTACTCTACGGG-3' (서열번호 18)DE2F-08,12: 5'-TTTCTTGGAGTACTCTACGGG-3 '(SEQ ID NO: 18)

DE2F-15,16: 5'-CTGTGGCAGCCTAAGAGG-3' (서열번호 19)
DE2F-15,16: 5'-CTGTGGCAGCCTAAGAGG-3 '(SEQ ID NO: 19)

다양한 HLA-DRB1 유전자형을 갖는 시료 유전자에 대해 상기 2종류의 프라이머 세트들을 이용하여 각각 PCR 증폭을 수행하였고, 증폭 방법 및 증폭 조건은 서열번호 11 내지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세트만을 이용하여 수행한 PCR 증폭 반응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2종류 프라이머 세트 각각의 증폭산물에 대해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PCR amplification was performed on the sample genes having various HLA-DRB1 genotypes using the above two types of primer sets, and the amplification method and amplification conditions were PCR amplification performed using only the primer set of SEQ ID NOS: 11 to 15 Reaction wa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reaction. The resulting amplification product of each of the two types of primer sets was subjected to electrophoresis.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2종류의 프라이머 세트들을 이용하여 PCR 증폭을 수행하여 각각의 프라이머 세트에 대한 시료 유전자의 증폭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 존재여부를 2자리의 저해상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증폭된 시료 유전자의 HLA-DRB1 대립유전자가 동형접합체인지 이형접합체인지를 저해상도(2자리 타입)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3, PCR ampl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above-mentioned two types of primer sets to confirm whether the sample gene was amplified for each of the primer sets. Thu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LA-DRB1 allele related to rheumatism It was possible to distinguish it by low resolution of two digits. In addition, the HLA-DRB1 allele of the amplified sample gene could be confirmed as homozygous mutation and heterozygous mutation as low-resolution (two-position type).

즉, 도 3의 전기영동 결과에서는 *04 타입에 속하는 4자리의 아형들의 대립유전자들은 본 발명의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한 경우 증폭 산물이 진한 밴드로서 왼쪽 레인에서 확인되는 반면, 비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한 경우에는 대부분 오른쪽 레인에서 밴드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영동 결과로부터는 해당 시료의 HLA-DRB1 대립유전자형은 *04 타입의 동형접합체(저해상도 결과임)로 1차적으로 판정할 수 있었다.In other words, in the result of the electrophoresis of FIG. 3, when the PCR reac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specific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eles of the four-digit subtypes belonging to the type * 04 were identified in the left lane as a dark band , And no band was observed in the right lane when the PCR reaction was performed using a non-specific primer set. Therefore, from this electrophoresis result, the HLA-DRB1 allele of the sample was firstly judged to be homozygous * 04 type (low resolution result).

한편, *0408/*0701의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갖는 시료에 대해서는 왼쪽 레인 뿐만아니라 오른쪽 레인에서도 밴드가 진하게 관찰되었고, *0408/*1202의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갖는 시료에 대해서는 왼쪽 레인에서는 진한 밴드가 오른쪽 레인에서는 약한 밴드가 관찰되어, 상기 시료 각각의 HLA-DRB1 대립유전자형은은 *04/*07 타입 및 *04/*12 타입의 이형접합체(저해상도 결과임)로 1차적으로 판정할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for the samples having the HLA-DRB1 allele genotype of * 0408 / * 0701, bands were observed not only in the left lane but also in the right lane, and for the samples having the HLA-DRB1 allele of * 0408 / A weak band was observed in the right lane and the HLA-DRB1 alleles of each of the samples were firstly judged to be heterozygotes of the types * 04 / * 07 and * 04 / * 12 (low resolution results) I could.

실시예 3: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의 제작Example 3: Preparation of a probe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본 실시예에서는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라이머들을 IMGT/HLA 데이터 베이스 상동성 분석에 기초하여 설계 제작하였다. 혼성화 반응을 위한 프로브의 서열정보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본 발명의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들은 양성대조군 프로브 1개, *01, *09, *10 타입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브가 각 1개, *04 타입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브가 6개로 구성된다.In this Example, primers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were designed and manufactured based on homology analysis of IMGT / HLA databas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probe for the hybridization reac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Probes for HLA typing specific to the rheumat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one positive control probe, one probe for identifying types * 01, * 09, and * 10, and six probes for identifying type * 04 do.

이들 프로브들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 합성방법에 따라 제작하거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합성 전문기관(예를 들어, 한국의 바이오니아社(대전광역시 소재))에 의뢰하여 제작하였는데, 알데히드가 코팅된 기판 위에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공유결합시키기 위하여 모든 프로브의 5' 말단에 아미노 링크를 부착하였으며, 혼성화 반응 시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집적되어 있는 프로브 간의 공간적인 방해를 최소화시키도록 9개의 올리고(dT)를 부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프로브들을 완성하였다.
These probes were prepared according to a method for synthesizing oligonucleotide probes generally known in the art or were commissioned by an institute specialized in oligonucleotide synthesis (for example, Bioni Company, Daejeon, Korea). On the substrate coated with aldehyde Amino link was attached to the 5 'end of all probes to covalently bind the oligonucleotides. Nine oligo (dT) was added to minimize spatial interference between the probes integrated on the slide glass during the hybridization reaction. The probes used in the examples were completed.

표 1: 류머티즘 관련 HLA-DRB1 유전자형 분석을 위한 프로브 염기서열Table 1: Probe sequences for analyzing HLA-DRB1 genotypes related to rheumatism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후술하는 혼성화 반응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류머티즘 환자군 및 정상군의 시료 DNA에 대한 PCR 증폭산물과 상기 표 1의 프로브들 각각과의 혼성화 여부에 따라 각 프로브 별로 "0" 또는 "1"의 이진값을 부여하여 바이너리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이로부터 류머티즘 관련 HLA-DRB1의 대립유전자형을 특이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0 "or" 1 "for each probe, depending on whether the PCR amplification product of the sample DNA of the rheumatic patient group and the normal group and the probes of Table 1 are hybridized,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hybridization reaction example Binary codes can be generated by assigning a binary value, and thereby it is possible to specifically discriminate alleles of HLA-DRB1 related to rheumatism.

즉, 류머티즘 특이적인 8개의 HLA-DRB1 대립유전자(*0101, *0401, *0404, *0405, *0408, *0410, *0901, *1001)는 인종, 개인별로 변이가 많기 때문에 이들 대립유전자 각각을 타겟팅하는 프로브를 설계할 경우 특이도와 민감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는 기술적 한계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류머티즘 관련 8개의 HLA-DRB1 대립유전자(*0101, *0401, *0404, *0405, *0408, *0410, *0901, *1001)를 타이핑하기에 적합한 최적의 프로브들의 조합 세트를 구성하였고, 이들 프로브 조합으로부터의 신호 패턴에 따라 HLA-DRB1의 대립유전자형을 특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re are many mutations in the race and individual, the eight alleles of HLA-DRB1 alleles (* 0101, * 0401, * 0404, * 0405, * 0408, * 0410, * 0901, * 1001) (* 0101, * 0401, * 0404, * 0405, * 0408, * 0405, * 0408, and * * 0410, * 0901, * 1001), and the allele genotype of HLA-DRB1 can be specif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signal pattern from these probe combinations.

구체적으로, 타겟이 되는 증폭 유전자(형광표지됨)를 상기 프로브들에 대해 혼성화시킨 후 측정된 형광세기가 일정한 컷오프값 이상이면 해당 프로브에 대해 "1"의 값을 할당하고 컷오프값 미만이면 "0"의 값을 할당한다. 이러한 할당된 값에 기초하여 전체 프로브 조합 세트에 대해 "1"과 "0"으로 이루어진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를 생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생성된 각 바이너리 코드를 분석대상이 되는 HLA-DRB1의 대립유전자와 매칭시키면 HLA-DRB1 대립유전자 판별이 용이하게 될 뿐만아니라 대량으로 시료를 분석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HLA-DRB1 대립유전자형 패턴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Specifically, when a target amplification gene (fluorescently labeled) is hybridized to the probes, a value of "1" is assigned to the probe when the measured fluorescence intensity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constant cutoff value, and "0"" Based on these assigned values, a binary code consisting of "1" and "0" can be generated for the entire probe combination set, and each binary code thus generated can be used as a conflict between the HLA- Matching with the gene not only facilitates the identification of the HLA-DRB1 allele, but also enables analysis of the HLA-DRB1 allele pattern using a computer program when analyzing a large number of samples.

실시예 4: 마이크로어레이 칩의 제작Example 4: Fabrication of microarray chip

마이크로어레이된 DNA 칩의 제작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Fabrication of the microarrayed DNA chip is performed using method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먼저, 알데히드 작용기가 처리되어 있는 글라스 위에 실시예 3의 각각의 프로브 염기서열을 가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5'-말단에 아미노 링크를 수식한 다음, 혼성화 반응 시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집적되어 있는 프로브 간의 공간적인 방해를 최소화시키도록 9개의 올리고(dT)를 부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프로브들을 완성하였다. First, an aminolink was modified at the 5'-end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probe base sequence of Example 3 on a glass having an aldehyde functional group, and then the spatial interference between the probes integrated on the slide glass during the hybridization reaction 9 < / RTI > oligos (dT) were added to minimize probes to complete the probes used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제작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들이 고정된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제작하기 위하여, CSS-100 시릴화된 슬라이드[Silylated Slide, 셀 어소시에이트사(Cel Associate), 미국] 상에 50μM의 농도로 아미노 링크가 수식되어 있는 프로브와 동일한 양의 3X SSC 용액을 혼합하여 집적하였고, 이를 12시간 이상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다음 슬라이드를 0.1% SDS로 5분 동안 1회 세척하였고, 증류수로 5분 동안 2회 세척하였다. 상기 제작된 칩을 소디움 보로하이드리드 용액 (0.625g NaBH4, 168.75ml ddH2O, 18.75ml PBS, 100% EtOH 62.5ml)과 5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증류수로 5분 동안 2회 세척하였고 800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In order to prepare the microarray chip in which the oligonucleotide probes were immobilized, the amino link was immobilized on a CSS-100 silylated slide (Cel Associate, USA) at a concentration of 50 μM. The same amount of 3X SSC solution as that of the probe was mixed and collect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or mor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slides were washed once with 0.1% SDS for 5 minutes and twice with distilled water for 5 minutes. The prepared chip was reacted with sodium borohydride solution (0.625 g NaBH 4 , 168.75 ml ddH 2 O, 18.75 ml PBS, 62.5 ml of 100% EtOH) for 5 minutes, then washed twice with distilled water for 5 minutes, ≪ / RTI > for 5 minutes.

제작된 마이크로어레이 칩은 4개의 서브-어레이로 구분하고, 혼성화 실험에 있어서 준비된 마이크로어레이 칩이 독립적으로 반응을 진행할 수 있도록 CoverWell 관류 체임버(perfusion chamber)(Grace-Bio Labs, 미국)로 커버하였다. 상기 표 1의 류머티즘 관련 HLA-DRB1 유전자형 분석을 위한 프로브들(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10)이 집적되어 최종적으로 제작된 마이크로어레이 칩의 구성(레이아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e prepared microarray chip was divided into four sub-arrays. The microarray chip prepared in the hybridization experiment was covered with a CoverWell perfusion chamber (Grace-Bio Labs, USA) so that the microarray chip could react independently. The layout (layout) of the microarray chip in which the probes (SEQ ID NO: 1 to SEQ ID NO: 10) for analyzing the rheumatoid-related HLA-DRB1 genotype in Table 1 are integrated is shown in FIG.

실시예 5: 혼성화 반응Example 5: Hybridization reaction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증폭되고 표지물질(예를 들어, cy3)이 결합된 PCR 증폭산물을 혼성화 용액(3X SSC, 0.3% Sarcosyl)과 1:9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혼성화 용액을 도 4의 마이크로어레이 칩에 반응시켰다.PCR amplification products amplified in accordance with Example 1 and Example 2 and bound to a labeling substance (for example, cy3) were mixed at a ratio of 1: 9 with a hybridization solution (3X SSC, 0.3% Sarcosyl). The thus prepared hybridization solution was reacted with the microarray chip of FIG.

즉, 상기와 같이 준비된 혼성화 용액을 실시예 4에서 제작한 도 4의 마이크로어레이 칩이 포함된 체임버에 도포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1X SSC, 0.1% SDS 용액에서 5분 동안 1차 세척하였고 다시 1X SSC 용액에서 5분 동안 세척하였다. 이후 추가로 0.1X SSC 용액에서 5분 동안 세척하였다. 세척된 슬라이드는 원심분리기에서 800rpm의 속도로 5분 동안 건조시켰다.That is, the hybridization solu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as applied to a chamber containing the microarray chip of FIG. 4 prepared in Example 4 and reacted at 60 ° C for 1 hour. Then, the cells were firstly washed in 1X SSC, 0.1% SDS solution for 5 minutes and again in 1X SSC solution for 5 minutes. Thereafter, it was further washed in a 0.1X SSC solution for 5 minutes. The washed slide was dried in a centrifuge at a speed of 800 rpm for 5 minutes.

도 4의 마이크로어레이 칩에 대한 혼성화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응이 완료된 마이크로어레이 칩의 혼성화 신호(형광 신호)는 GenePix 4000B (미국 액손 인스트루먼트사 (Axon Instrument))를 이용하여 스캔하여 형광 이미지를 저장한 후 각각의 프로브의 양성과 음성을 형광값으로 판단하였다. 형광 강도 데이터는 GenePix Pro 4.1 소프트웨어(Axon instrument, USA)를 사용하여 분석되었고, 국지적인 배경값은 각 스팟의 평균값에서 감산되었다. In order to confirm the hybridization result of the microarray chip of FIG. 4, the hybridization signal (fluorescence signal) of the microarray chip that has been reacted is scanned using GenePix 4000B (Axon Instrument, USA)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of each probe were judged to be fluorescence values. Fluorescence intensity data was analyzed using GenePix Pro 4.1 software (Axon instrument, USA) and local background values were subtracted from the mean of each spot.

형광 데이터 분석과 관련하여, 마이크로어레이 칩 실험분석의 과정에서 우선 UCLA DNA 패널과 1차 제공된 시료 DNA를 이용하여 각 프로브의 컷오프 값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음성/양성을 판정하였다. 각각의 HLA-DRB1 대립유전자에 따른 음성/양성 패턴은 기존에 알려진 HLA-DRB1 대립유전자의 염기서열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음성의 경우 0을, 양성의 경우 1과 같이 2진수로 표기하여 음성/양성 판정을 진행하였다. 결과의 판정은 예상되는 양성/음성 표를 작성하여 마이크로어레이 칩의 혼성화 실험 결과와 일치되는 HLA-DRB1 대립유전자형 패턴을 매칭하여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In the course of fluorescence data analysis, the cut-off value of each probe was set using the UCLA DNA panel and the sample DNA provided first in the course of the microarray chip experiment analysis, and the negative / positive was determined based on this. The negative / positive patterns according to each HLA-DRB1 allele were confirmed to be consistent with the known sequence of HLA-DRB1 allele, and 0 for negative and 1 for positive / Positive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confirmed by matching the HLA-DRB1 allele pattern matching with the hybridization experiment result of the microarray chip by preparing the expected positive / negative table.

이와 같은 기초 실험결과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타겟이 되는 증폭 유전자(형광표지됨)를 상기 프로브들에 대해 혼성화시킨 후 측정된 형광세기가 일정한 컷오프값 이상이면 해당 프로브에 대해 "1"의 값을 할당하고 컷오프값 미만이면 "0"의 값을 할당하였고, 이러한 할당된 값에 기초하여 전체 프로브 조합 세트에 대해 "1"과 "0"으로 이루어진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를 생성하였다(하기 표 2 참조).
On the basis of this basic experimental result, in this embodiment, when the amplified gene (fluorescence-labeled) to be a target is hybridized to the probes, if the fluorescence intensity measur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constant cutoff value, A value of "0" is assigned if the value is less than the cutoff value, and a binary code consisting of "1" and "0 & See Table 2).

표 2: 마이크로어레이 칩 결과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와 HLA-DRB1 대립유전자의 대응 관계표Table 2: Correspondence table of binary code and HLA-DRB1 allele according to microarray chip result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된 각 바이너리 코드를 분석대상이 되는 HLA-DRB1의 대립유전자와 매칭시키면 HLA-DRB1 대립유전자 판별이 용이하게 될 뿐만아니라 대량으로 시료를 분석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HLA-DRB1 대립유전자형 패턴 분석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As shown in Table 2, when the generated binary codes are matched with the allele of HLA-DRB1 to be analyzed, it is easy to identify HLA-DRB1 alleles. 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samples are analyzed, HLA-DRB1 allele genotype pattern analysis is possible.

뿐만아니라, HLA-DRB1의 대립유전자형 분석에 있어 2배체 상에 존재하는 대립유전자 1과 대립유전자 2는 이들 각각에 대해 생성된 각 바이너리 코드의 조합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동형접합체(homozygote)인지 또는 이형접합체(heterozygote)인지의 분석도 바이너리 코드의 조합으로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llele genotype analysis of HLA-DRB1, allele 1 and allele 2 present on the diploid phase can be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the respective binary codes generated for each of them, so that homozygotes or heterozygotes Analysis of the heterozygote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combination of binary codes.

이와 관련하여, 도 5에는 류머티즘 관련 8개의 HLA-DRB1 대립유전자(*0101, *0401, *0404, *0405, *0408, *0410, *0901, *1001)를 갖는 다양한 샘플에 대한 PCR 증폭산물을 본 발명의 마이크로어레이 DNA 칩에 혼성화시킨 후 확인한 DNA 칩의 형광이미지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In this regard, FIG. 5 shows the results of PCR amplification of various samples having eight HLA-DRB1 alleles (* 0101, * 0401, * 0404, * 0405, * 0408, * 0410, * 0901, * 100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ybridized to the microarray DNA 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firmed.

이를 살펴보면 HLA-DRB1 대립유전자형에 따른 도 5의 DNA 칩의 형광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표 2의 바이너리코드 데이터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4자리 숫자로 표시되는 아형 수준까지 고해상도로 판별할 수 있으며,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고해상도로 분석하면서도 간단하고, 신속 정확하게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5 shows that the fluorescence image data of the DNA chip of FIG. 5 according to the HLA-DRB1 allele genotype and the binary code data of Table 2 correspond to each other. Th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etecting rheumatoid related HLA- DRB1 allele genotype in rheumatism-related HLA-DRB1 allele genotypes can be easily and quickly and accurately analyzed while high-resolution analysis is possible.

예를 들어, HLA-DRB1 *0404/*0408 헤테로 타입의 경우 바이너리 코드가 1001010100/1001100000의 이형접합체 코드로서 표시될 수 있는데, 각각의 0 및 1의 값에 해당되는 형광 스팟의 유무에 따른 형광 패턴과 도 5의 마이크로어레이 칩 상의 형광 패턴(하단 첫번째 형광 패턴)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HLA-DRB1 * 0404 / * 0408 heterotypes, the binary code may be represented as a heterozygote code of 1001010100/1001100000. The fluorescenc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luorescent spot corresponding to the values 0 and 1 And the fluorescence pattern on the microarray chip of FIG. 5 (the first fluorescence pattern at the lower end) coincide with each other.

또한, HLA-DRB1 *0101/*0410 헤테로 타입의 경우 바이너리 코드가 1101100100/1010010100의 이형접합체 코드로서 표시될 수 있는데, 각각의 0 및 1의 값에 해당되는 형광 스팟의 유무에 따른 형광 패턴과 도 5의 마이크로어레이 칩 상의 형광 패턴(하단 두번째 형광 패턴)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HLA-DRB1 * 0101 / * 0410 heterotypes, the binary code can be displayed as a heterozygote code of 1101100100/1010010100. The fluorescence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fluorescent spots corresponding to the values of 0 and 1 And the fluorescent pattern on the microarray chip of 5 (the second lower fluorescent pattern) coincided with each other.

뿐만아니라, HLA-DRB1 *0401/*0901 헤테로 타입의 경우 바이너리 코드가 1001100100/1000101010의 이형접합체 코드로서 표시될 수 있는데, 각각의 0 및 1의 값에 해당되는 형광 스팟의 유무에 따른 형광 패턴과 도 5의 마이크로어레이 칩 상의 형광 패턴(하단 세번째 형광 패턴)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HLA-DRB1 * 0401 / * 0901 heterotypes, a binary code can be represented as a heterozygote code of 1001100100/1000101010. The fluorescenc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fluorescent spots corresponding to the values 0 and 1 It was confirmed that the fluorescence pattern on the microarray chip of FIG. 5 (third lower fluorescence pattern) coinci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 조성물은 종래의 방법에 비해 시료를 분석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 다량의 시료를 짧은 시간 내에 검사할 수 있어 대량으로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고해상도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류마티즘 관련 질환의 발병 여부 및 위험도를 유전학적 수준에서 정확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be composition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specting a large amount of sample in a short time while greatly shortening the time for analyzing the sampl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possible to perform allelic genotyping analysis at high resolu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effectively diagnose and predict the onset and risk of rheumatism-related diseases at a genetic level.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contempl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ONE REFERENCE LABORATORY <120> Probes, DNA chip and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nd method for genotyping HLA alleles specific to rheumatism using the same <130> PN130625 <160> 19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PC <400> 1 gacagcgacg tgggggag 18 <210> 2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01-1a <400> 2 ttgctggaaa gatgcatcta taaccaa 27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04-1a <400> 3 gcggcctagc gccgagtac 19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04-1-1a <400> 4 gcggcctgat gccgagtac 19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04-1-2b <400> 5 ggcggcctga cgctgagtac 20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E2-04-1-3b <400> 6 aactacgggg ttgtggaga 19 <210> 7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E2-04-1-5a <400> 7 gggccgaggt ggaca 15 <210> 8 <211> 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E2-04-1-6 <400> 8 ggccgcggtg gaca 14 <210> 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09-2b <400> 9 cggtatctgc acagaggcat ctat 24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10-1 <400> 10 ctggaaagac gcgtccataa ccaa 24 <210> 1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1 <400> 11 ttcttgtggc agcttaagtt tga 23 <210> 1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4 <400> 12 cgtttcttgg agcaggttaa acat 24 <210> 1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9 <400> 13 cgtttcttga agcaggataa gttt 24 <210> 1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10 <400> 14 cgtttcttgg aggaggttaa gttt 24 <210> 1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DE2R-2 <400> 15 ctcgccgctg cacygtgaa 19 <210> 1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3,11,13,14 <400> 16 cgtttcttgg agtactctac gtc 23 <210> 1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7 <400> 17 tttcctgtgg cagggtaagt ata 23 <210> 1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8,12 <400> 18 tttcttggag tactctacgg g 21 <210> 19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15,16 <400> 19 ctgtggcagc ctaagagg 18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ONE REFERENCE LABORATORY <120> Probes, DNA chip and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nd method for genotyping HLA alleles specific to rheumatism          using the same <130> PN130625 <160> 19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PC <400> 1 gacagcgacg tgggggag 18 <210> 2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01-1a <400> 2 ttgctggaaa gatgcatcta taaccaa 27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04-1a <400> 3 gcggcctagc gccgagtac 19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04-1-1a <400> 4 gcggcctgat gccgagtac 19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04-1-2b <400> 5 ggcggcctga cgctgagtac 20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E2-04-1-3b <400> 6 aactacgggg ttgtggaga 19 <210> 7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E2-04-1-5a <400> 7 gggccgaggt ggaca 15 <210> 8 <211> 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E2-04-1-6 <400> 8 ggccgcggtg gaca 14 <210> 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09-2b <400> 9 cggtatctgc acagaggcat ctat 24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DRB1-10-1 <400> 10 ctggaaagac gcgtccataa ccaa 24 <210> 1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1 <400> 11 ttcttgtggc agcttaagtt tga 23 <210> 1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4 <400> 12 cgtttcttgg agcaggttaa acat 24 <210> 1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9 <400> 13 cgtttcttga agcaggataa gttt 24 <210> 1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10 <400> 14 cgtttcttgg aggaggttaa gttt 24 <210> 1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DE2R-2 <400> 15 ctcgccgctg cacygtgaa 19 <210> 1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3,11,13,14 <400> 16 cgtttcttgg agtactctac gtc 23 <210> 1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7 <400> 17 tttcctgtgg cagggtaagt ata 23 <210> 1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08,12 <400> 18 tttcttggag tactctacgg g 21 <210> 19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DE2F-15,16 <400> 19 ctgtggcagc ctaagagg 18

Claims (9)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 조성물에 있어서,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프로브 조성물.
In a probe composition for HLA typing specific for rheumatism,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9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10. A probe composition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comprising an oligonucleotide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DNA 칩에 있어서,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DNA 칩.
In a DNA chip for HLA typing specific for rheumatism,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9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10. A DNA chip for typing specific for rheumatism comprising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oligonucleot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들은 동일 기판 상에 마이크로어레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DNA 칩.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bes are microarrayed on the same substrate. &Lt; RTI ID = 0.0 &gt; 11. &lt; / RTI &gt;
서열번호 11 내지 14의 정방향 프라이머들과 서열번호 15의 역방향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DNA 중합효소, dNTPs, PCR 완충용액 및 PCR 증폭산물의 표지물질을 포함하는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PCR 증폭키트.DRB1 allele comprising a primer set consisting of the forward primers of SEQ ID NOs: 11 to 14 and the reverse primer of SEQ ID NO: 15, the DNA polymerase, the dNTPs, the PCR buffer solution and the PCR amplification product-specific HLA-DRB1 allele . &Lt; / RTI &gt; 시료 DNA를 PCR을 수행하여 증폭하는 단계와,
상기 PCR 증폭 산물을 청구항 제2항에 정의된 류머티즘에 특이적인 HLA 타이핑을 위한 DNA 칩 상에 집적된 프로브들에 혼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혼성화 여부에 따라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
Amplifying the sample DNA by performing PCR,
Hybridizing said PCR amplification product to probes integrated on a DNA chip for HLA typing specific to the rheumatism defined in claim 2;
And analyzing the HLA-DRB1 allele according to the hybridization statu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는 단계에 있어서,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4자리 숫자로 표시되는 아형 수준까지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analysis of the HLA-DRB1 allele genotype, the rheumatoid-related HLA-DRB1 allele is discriminated to a subtype of 4-digit number.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는 단계는,
형광표지된 PCR 증폭 산물을 상기 프로브들에 대해 혼성화시킨 후 측정된 형광세기가 컷오프값 이상을 나타내는 프로브에 대해서는 "1"의 값을 할당하고 형광세기가 컷오프값 미만을 나타내는 프로브에 대해서는 "0"의 값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값에 기초하여 전체 프로브 조합 세트에 대해 "1"과 "0"으로 이루어진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각 바이너리 코드를 분석대상이 되는 HLA-DRB1의 대립유전자와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step of analyzing the HLA-DRB1 allelotype comprises:
0 "for a probe that assigns a value of" 1 " for a probe whose fluorescence intensity measured above the cutoff value is greater than the cutoff value after hybridization of the fluorescently labeled PCR amplification product to the probes and which exhibits fluorescence intensity below the cutoff value, Assigning a value of &lt; RTI ID = 0.0 &gt;
Generating a binary code "1" and "0" for the entire probe combination set based on the assigned value;
And comparing each of the generated binary codes with an allele of HLA-DRB1 to be analyzed, thereby analyzing the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e genotype.
제7항에 있어서,
2배체 상에 존재하는 대립유전자 1과 대립유전자 2 각각의 바이너리 코드의 조합을 생성하고, 이러한 바이너리 코드의 조합으로부터 HLA-DRB1 대립유전자형이 동형접합체(homozygote)인지 또는 이형접합체(heterozygote)인지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 분석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 combination of binary codes of allele 1 and allele 2 present on diploid is generated and the HLA-DRB1 allelic genotype is analyzed as a homozygote or a heterozygote from a combination of these binary codes Wherein the HLA-DRB1 allel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LA-DRB1 and HLA-DRB1 alleles.
청구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정의된 DNA 칩과,
류머티즘 관련 HLA-DRB1 대립유전자를 특이적으로 증폭하기 위한 서열번호 11 내지 14의 정방향 프라이머들과 서열번호 15의 역방향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와,
상기 DNA 칩과 혼성화되는 증폭된 유전자 산물을 검출하기 위한 표지수단을 포함하는 류머티즘 특이적인 HLA-DRB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할 수 있는 검사 키트.
A DNA chip defined in claim 2 or 3,
A primer set consisting of the forward primers of SEQ ID NOS: 11 to 14 and the reverse primer of SEQ ID NO: 15 for specifically amplifying the rheumatoid related HLA-DRB1 allele,
And a labeling means for detecting an amplified gene product hybridized with the DNA chip, wherein the HLA-DRB1 allele genotype is capable of analyzing rheumatism-specific HLA-DRB1 allele.
KR1020130129548A 2013-10-29 2013-10-29 Probes, DNA chip and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nd method for genotyping HLA alleles specific to rheumatism using the same KR201500492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548A KR20150049256A (en) 2013-10-29 2013-10-29 Probes, DNA chip and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nd method for genotyping HLA alleles specific to rheumatis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548A KR20150049256A (en) 2013-10-29 2013-10-29 Probes, DNA chip and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nd method for genotyping HLA alleles specific to rheumatis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256A true KR20150049256A (en) 2015-05-08

Family

ID=5338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548A KR20150049256A (en) 2013-10-29 2013-10-29 Probes, DNA chip and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nd method for genotyping HLA alleles specific to rheumatis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925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9254B2 (en) Oligonucleotide array for tissue typing
CN107475371B (en) Method for discovering pharmacogenomic biomarkers
CN101878315A (en) Diagnosis kit and chip for bladder cancer using bladder cancer specific methylation marker gene
US807607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gnosis and therapy of liver cancer
JP2009528060A (en) Group HLA typing and its use
CN102834525B (en) Use the method for PCR and the HLA somatotype of crude blood
US20100086918A1 (en) Methods for High Sensitivity Detection of Genetic Polymorphisms
CN109633156B (en) Application of biomarker in evaluating oral squamous carcinoma risk degree
CN101838702A (en) Detection method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with high throughout
US20090143245A1 (en) Microarrays for genotyping and methods of use
KR101610134B1 (en) High sensitive kit for detecting avian influenza viruses, probes and genetic chip therefor, and method for detecting avian influenza viruses using the same
CN107630085B (en) Application of molecular marker in male osteoporosis
US20090117561A1 (en) Differential expression gene profiles and applications in molecular staging of human gastric cancer
Moutereau et al. An improved electronic microarray‐based diagnostic assay for identification of MEFV mutations
KR101206028B1 (en) Method for diagnosing a breast cancer using a breast cancer specific polymorphic sequence, polynucleotide specific to a breast cancer and microarray immobilized with the polynucleotide
CN101457254B (en) Gene chip and kit for liver cancer prognosis
CN102212621A (en) Detection kit and detection method for hepatitis B virus genotyping
CN109439760B (en) Application of ARRDC2 in evaluating development proces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WO2021039777A1 (en) Method for examining rheumatoid arthritis
Haddock et al. Low-resolution typing of HLA-DQA1 using DNA microarray
KR20160043419A (en) Errγ as the biomaker to liver cancer and use thereof
KR20150049256A (en) Probes, DNA chip and kit for HLA typing specific to rheumatism, and method for genotyping HLA alleles specific to rheumatism using the same
Zhang et al. Oligonucleotide microarray for HLA‐DRB1 genotyping: preparation and clinical evaluation
Jain Personalized clinical laboratory diagnostics
CN109022592A (en) SNP marker and its application for four kinds of common strain rats identif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