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701A - Joint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 Google Patents

Joint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701A
KR20150047701A KR1020130127343A KR20130127343A KR20150047701A KR 20150047701 A KR20150047701 A KR 20150047701A KR 1020130127343 A KR1020130127343 A KR 1020130127343A KR 20130127343 A KR20130127343 A KR 20130127343A KR 20150047701 A KR20150047701 A KR 20150047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intermediate connection
pillar
insertion space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0732B1 (en
Inventor
전용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27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732B1/en
Publication of KR20150047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7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7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structure of a modular building. The joint structure of a modular building comprises: unit modules which can be lamin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to b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e a column, a ceiling beam install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column, and a floor beam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 and an intermediate connector inserted into the column of the unit modules, which are vertically laminated, and joining the unit modules.

Description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JOINT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0001] JOINT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0002]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모듈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부의 단위모듈의 접합을 단위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재를 통하여 보다 간이하게 접합할 수 있는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모듈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module joining structure of a modular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unit module joining structure of a modular building capable of joining joints of upper and lower unit modules more easily through joining materials provided between unit modules will be.

모듈러 건축물이란 구조부재, 바닥판, 천장재, 내외부 마감재 및 설비 등을 포함하는 박스형의 단위모듈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하여 적층 설치하는 공법으로 공사기간의 획기적인 단축을 통한 비용감소 및 공장생산을 통한 효과적인 품질관리를 그 목적으로 한다. The modular building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x-shaped unit module including structural members, bottom plates, ceiling materials,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facilities in a factory, and then transporting them to the site for lamination installation. Cost reduction and factory production by dramaticall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effective quality control through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듈러 건축물의 경우에는 단위모듈의 현장 설치 과정에서 인접한 단위모듈 간에 볼트접합을 통해 일체거동을 확보할 수 있고, 상하부 모듈이 볼트접합으로 일체화 됨에 따라, 접합을 위한 별도의 개구부(S)를 두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odular building,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tegral behavior through bolt connection between adjacent unit modules during the field installation process of the unit module, and as the upper and lower modules are integrated with the bolt joi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opening S must be provided.

그리고, 상하부 모듈 체결 이후에 접합부의 마감을 별도로 시공해야 한다. 이럴 경우, 마감재 조인트에서의 단열 및 균열에 대한 저항성능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n, after finishing the upper and lower modules, finishing of joints should be separately don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sistance to heat insulation and cracking in the finish joint is weakened.

또한, 볼트 접합의 경우 접합부에서 휨모멘트를 전달할 수 없는 핀접합(pinned connection) 구조로 바람이나 지진과 같은 횡력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가새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통해 횡력 저항 성능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olt joint, a pinned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a bending moment can not be transmitted at the joint portion has a problem that lateral force resistance performance must be secured through a separate member such as a brace in order to resist lateral forces such as wind or earthquake .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모듈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의 확장은 가능하지만 상하부 단위모듈의 볼트를 현장에서 수공구로 접합하는 공정상의 제약 때문에, 전후방향으로의 확장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 1, although the unit module can be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expand the bol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due to the process limitation of joining the bolts of the upper and lower unit modules with the hand tool in the field ha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모듈 접합구조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requirements or problems generated in the unit module join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modular building.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상부와 하부의 단위모듈을 종래의 볼트접합방식이 아닌 별도의 접합부재를 활용하여 조립접합하는 방식에 의해 간이하게 접합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별도의 접합부 마감시공이 필요없는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모듈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A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unit modules are joined together by a method of assembling and joining by using a separate joining member instead of a conventional bolt joining method,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necessitating a separate joining finish construction To provide a unit module bonding structure for a modular building without a module structure.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종래의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와는 달리,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접합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으로의 확장까지 단위모듈의 확장성이 향상된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모듈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a conventional joining structure of a modular building, a module module joining structure of a modular building improved not only in join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e lateral direction but also in expandabilit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 want to.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단위모듈 간의 일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모듈러 건축물의 구조적인 접합성능을 향상시키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dular building joining structure that improves the structural integrity of a modular building by improving the integrity of the unit modul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적층 가능하고, 수평방향으로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며,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장보와, 상기 기둥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보를 포함하는 단위모듈과,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단위모듈의 상기 기둥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위모듈을 접합하는 중간연결재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including a column, a ceiling beam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lumn, A module structure including a unit module including a floor beam to be installed and an intermediate connector inserted into the column of the unit modul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joining the unit modules.

바람직하게, 기둥은 내부기둥과, 상기 내부기둥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기둥과, 상기 외부기둥의 외주면에 용접 접합되는 형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lumn may include an inner column, an outer column provided to surround a part of the inner column, and a steel member weld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column.

바람직하게, 내부기둥의 외주면은 상기 외부기둥의 내주면과 접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외부기둥의 외주면은 상기 형강부재의 내면과 접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외부기둥은 상기 내부기둥의 높이방향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형강부재는, 상기 외부기둥의 둘레방향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illar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joi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is provided so as to be connectabl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tion member, And the form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pilla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바람직하게, 내부기둥과 상기 외부기둥은 각형강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형강부재는 L형강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연결재는 상기 내부기둥과 상기 형강부재의 사이의 삽입공간부에 삽입 가능한 각형강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ner column and the outer column are formed as rectangular steel pipes, the shape steel member is formed of L-shaped steel,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is formed as a rectangular steel pipe insertable into the insertion space portion between the inner column and the steel member .

바람직하게, 기둥은 상기 내부기둥과 상기 형강부재의 사이에 삽입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연결재는 상기 삽입공간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의 상기 단위모듈을 접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lumn has an insertion space portion between the inner pillar and the section member,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portion to join the unit module in the vertic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중간연결재는 상측의 상기 단위모듈의 삽입공간부와, 하측의 상기 단위모듈을 삽입공간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n insertion space portion of the upper unit module and a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insertion space portion.

바람직하게, 중간연결재는 상기 중간연결재가 설치되는 접합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단위모듈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중간연결유닛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연결재가 복수의 중간연결유닛으로 구비될 경우, 복수의 상기 중간연결유닛의 측면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상기 단위모듈의 상기 삽입공간부에 일체형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as a number of intermediate connecting uni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unit modules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junction where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and wh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ng units,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ar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기 중간연결유닛은 각각의 상기 단위모듈의 상기 삽입공간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each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units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each of the unit modules.

바람직하게, 기둥은 상기 천장보와 상기 바닥보의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면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illar can be welded to the ceiling beam and the edge face formed at the end of the bottom beam.

바람직하게, 외부기둥과 상기 중간연결재는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둥과 상기 중간연결재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er pillar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of member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 and the surface of the outer pillar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의 단위모듈을 종래의 볼트접합방식이 아닌 별도의 중간연결재를 활용하여 조립접합하는 방식에 의해 간이하게 접합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별도의 접합부의 마감시공이 필요없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unit modules are joined together by a method of assembling and joining the unit modules using a separat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nstead of the conventional bolt joining method, And there is no need for finishing the separate joining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단위모듈의 상기 기둥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위모듈을 접합하는 중간연결재를 통하여 접합시킴으로써, 단위모듈 간의 일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모듈러 건축물의 구조적인 접합성능을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modules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columns, and the unit modu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 unit modules are joined, So that the bond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접합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으로의 확장까지 가능하도로 구비되어, 추가적인 접합부재를 구비할 필요없이 단위모듈의 확장성을 개선될 수 있고, 소모성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므로, 향후 이동 및 재설치되는 건출물에 적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joining but also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re possible. Thu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xpandability of the unit module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joining members, Since the method does not use a consumable member, it is easy to apply to dry products to be moved and reinstalled in the fu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중간연결재가 설치되는 접합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간연결유닛에 의해, 복수의 상기 단위모듈을 일체로 연결되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접합된 단위모듈의 일체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unit modules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provided at a junction where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is installed,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ensuring the integrity of the unit modul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기둥과 상기 중간연결재는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둥과 상기 중간연결재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인접한 단위모듈의 수평방향 연결이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illar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of member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 and the outer pillar and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은 종래의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모듈의 접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모듈의 접합구조의 상하부 단위모듈의 접합 전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복수의 단위모듈의 상하방향의 접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기둥과 중간연결재의 접합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발명의 기둥과 중간연결재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복수의 단위모듈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접합 과정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junction of a unit module of a conventional modular buildin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upper and lower unit modules of a module structure of a modular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joining.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 bonding process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plurality of unit modules.
FIGS. 4A and 4B are views showing the detail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lumn and the intermediat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o 5D are views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column and an intermediat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showing the joining process of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joining structure 10 of a modular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10)는 단위모듈(100) 및 중간연결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8, the modular building join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nit module 100 and an intermediate connector 200.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1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 가능하고, 수평방향(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결가능한 복수의 단위모듈(10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odular building joining structure 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modules 100 lamin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

단위모듈(100)은 상하로 복수 개가 적층되거나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결되어 상기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모듈(100)은 기둥(110)과 바닥보(130)와 청장보(120)로 구성되며,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되어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조립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unit modules 100 may be stacked vertically or a plurality of units may be connected horizontally to form the modular structure. The unit module 100 includes a column 110, a floor beam 130, and a ceiling beam 120. The unit module 100 is pre-manufactured at a factory and assembled in a vertical direction, a left-right direction and a back-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모듈(100)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기둥(110)과, 상기 기둥(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청장보(120)와, 상기 기둥(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보(13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unit module 100 includes a column 110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columnar beam 120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lumn 110, And may include a floor beam 130 to be installed.

또한, 중간연결재(2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단위모듈(100)의 사이에 설치되어 단위모듈(100)을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접합시키는 부재이다.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is a member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unit modules 100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joins the unit modules 10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the horizontal directions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연결재(200)는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단위모듈(100)의 기둥(11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단위모듈(100)을 접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200 can be joined to the unit module 100, which is inserted into the column 110 of the unit module 1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have.

도 4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은 단위모듈(100)의 높이방향의 공간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내부기둥(111), 외부기둥(113), 형강부재(115) 및 삽입공간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4A to 5C, the column 110 is a member for forming a spac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unit module 100 and includes an inner column 111, an outer column 113, a steel member 115, And may include an insertion space 117.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은 내부기둥(111)과, 상기 내부기둥(111)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기둥(113)과, 상기 외부기둥(113)의 외주면에 용접 접합되는 형강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기둥(113)은 내부기둥(111)에 삽입되어 용접 접합될 수 있다.5A to 5C, the column 110 includes an inner pillar 111, an outer pillar 113 enclosing a part of the inner pillar 111, and an outer pillar 113 And a steel member 115 wel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member 115. The outer pillar 113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pillar 111 and welded.

내부기둥(111)와 형강부재(115)는 기둥(110)의 높이방향 전체에 형성될 수 있고, 외부기둥(113)은 내부기둥(111)의 높이방향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ner pillars 111 and the steel members 115 may be formed in the entir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s 110 and the outer pillars 113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a part of the height of the inner pillars 111 have.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기둥(111)의 외주면은 상기 외부기둥(113)의 내주면과 접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외부기둥(113)의 외주면은 상기 형강부재(115)의 내면과 접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column 111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join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column 113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column 113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tion 115, .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둥(113)은 상기 내부기둥(111)의 높이방향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형강부재(115)는, 상기 외부기둥(113)의 둘레방향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4A, the external pillar 113 may surround the part of the internal pillar 111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external shape of the external pillar 113,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바람직하게, 내부기둥(111)과 상기 외부기둥(113)은 각형강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형강부재(115)는 L형강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연결재(200)는 상기 내부기둥(111)과 상기 형강부재(115)의 사이의 삽입공간부(117)에 삽입 가능한 각형강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ner pillar 111 and the outer pillar 113 are formed as rectangular steel pipes, the shaped steel member 115 is formed as an L-shaped steel, Shaped steel pi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7 between the steel members 115. [

도 2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은 상기 내부기둥(111)과 상기 형강부재(115)의 사이에 삽입공간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연결재(200)는 상기 삽입공간부(117)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의 상기 단위모듈(100)을 접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4B, the column 110 may include an insertion space 117 between the inner column 111 and the steel member 115.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7 to connect the unit modul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둥(113)은 내부기둥(111)의 높이방향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기둥(113)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내부기둥(111)과 각형강관의 사이에는 삽입공간부(117)가 형성될 수 있고, 삽입공간부(117)는 외부기둥(113)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outer pillars 113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pillars 111 in the height direction. Accordingly, the insertion space 117 can be formed between the inner pillar 111 and the prismatic steel pipe which are not surrounded by the outer pillar 113, And may be installed symmetrically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은 상기 청장보(120)와 상기 바닥보(130)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면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4A, the column 110 may be welded to an edge surface formed by the ends of the tub 120 and the bottom 130. As shown in FIG.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둥(113)과 상기 중간연결재(200)는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둥(113)과 상기 중간연결재(200)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단위모듈(100)을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결시 접합부에 이격된 공간없이 모듈러 건축물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접한 단위모듈(100)의 수평방향 연결이 용이해질 수 있다.
6 and 7, the external column 113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20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 and the surfaces of the external column 113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200 are the sam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whe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1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back-and-forth direction, the modular building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a space separated from the joining portion. Accordingly, horizontal connection of adjacent unit modules 100 can be facilitated.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연결재(2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단위모듈(100)의 상기 기둥(11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위모듈(100)을 접합하는 부재로서, 중간연결재(200)는 단위모듈(100)을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8,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200 is a member inserted into the column 110 of the unit module 100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join the unit module 100 , And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can join the unit module 100 in the up-down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back-and-forth direction.

볼트접합방식이 아닌 중간연결재(200)를 활용하여 조립접합하는 방식에 의해 간이하게 접합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별도의 접합부의 마감시공이 필요없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joining by the assembling and joining method using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200 rather than the bolt joining method, shortening the working time in the field, and avoiding the finishing work of the separate joining portion,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연결재(200)는 상측의 상기 단위모듈(100)의 삽입공간부(117)와, 하측의 상기 단위모듈(100)의 삽입공간부(117)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6 to 8,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portion 117 of the upper unit module 100 and the insertion space portion 117 of the lower unit module 100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이때, 중간연결재(200)의 일측 단부는 상측의 상기 단위모듈(100)의 상기 외부기둥(113)의 단부에 접하고, 상기 중간연결재(200)의 타측 단부는 하측의 상기 단위모듈(100)의 상기 외부기둥(113)의 단부에 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One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contacts the end of the external column 113 of the unit module 100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contacts the end of the unit module 100 on the lower side. And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external post 113.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연결재(200)는 상기 중간연결재(200)가 설치되는 접합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단위모듈(100)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중간연결유닛(210)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연결재(200)가 복수의 중간연결유닛(210)으로 구비될 경우, 복수의 상기 중간연결유닛(210)의 측면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상기 단위모듈(100)의 상기 삽입공간부(117)에 일체형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6 to 8, the intermediate coupling member 200 includes a number of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20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unit modules 100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junction where the intermediate coupling member 200 is installed 21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200 is provided as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210, 1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7 of the body 100.

도 6에는 하측에 4개의 단위모듈(100)이 2×2 형태로 배치되고, 상측에 4개의 단위모듈(100)이 2×2 형태로 배치된 상태이다.In FIG. 6, four unit modules 100 are arranged in a 2x2 form on the lower side and four unit modules 100 are arranged in a 2x2 form on the upper sid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배치된 단위모듈(100)에 중간연결재(200)의 하측이 삽입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된 단위모듈(100)에 중간연결재(200)의 상측이 삽입되어,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단위모듈(100)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lower 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is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unit module 100, and the lower 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unit module 100, 200 can be easily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1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도 6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간연결재(200)에 의해서, 4개의 단위모듈(100)이 수평방향(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는바, 이때 필요한 중간연결유닛(210)은 4개이다.The four unit modules 100 can b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disposed at the center of FIG. 6, and four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210 are required at this time.

따라서, 도 6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간연결재(200)는 4개의 중간연결유닛(210)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연결유닛(210)의 중심부방향의 측면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단위모듈(100)과 하측의 단위모듈(100)의 삽입공간부(117)에 4개의 중간연결유닛(210)으로 구성된 중간연결재(200)가 일체형으로 삽입되어 상측의 단위모듈(100)과 하측의 단위모듈(100)을 접합할 수 있다.6 is provided with four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210. In the state where the 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210 in the center direction is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 intermediate connector 200 composed of four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210 i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7 of the upper unit module 100 and the lower unit module 100, The module 100 and the lower unit module 100 can be joined.

이때, 각각의 상기 중간연결유닛(210)은 각각의 상측과 하측의 단위모듈(100)의 상기 삽입공간부(117)에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21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7 of the upper and lower unit modules 100, respectively.

도 6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중간연결재(200)는 1개의 중간연결유닛(210)으로 구비되고, 모서리에 배치되는 중간연결재(200)는 단위모듈(100)의 상하방향으로만 접합시키고 있다.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200 disposed at each corner of FIG. 6 is provided as one intermediate connecting unit 210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200 disposed at the corner is join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nit module 100.

도 6의 각 변에 배치되는 중간연결재(200)는 2개의 중간연결유닛(210)으로 구비되고, 각변에 배치되는 중간연결재(200)는 인접하는 2개의 단위모듈(100)의 수평방향의 접합과, 상하방향의 접합을 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disposed at each side of FIG. 6 is provided with two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210, and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disposed at each side is connected to the adjacent two unit modules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시공오차의 흡수를 위해 삽입공간부(117)의 크기는 상기 중간연결재(200)의 크기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삽입공간부(117)와 중간연결재(2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시공오차는 흡수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ize of the insertion space 117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200 for absorbing the installation error, and the insertion space 117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200 The construction error can be absorbed.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100: 단위모듈 110: 기둥
111: 내부기둥 113: 외부기둥
115: 형강부재 117: 삽입공간부
120: 천장보 130: 바닥보
200: 중간연결재 210: 중간연결유닛
S: 개구부
10: Joining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s
100: Unit module 110: Column
111: inner pillar 113: outer pillar
115: section steel member 117:
120: Ceiling beam 130: Floor beam
200: intermediate connector 210: intermediate connector
S: opening

Claims (10)

상하방향으로 적층 가능하고, 수평방향으로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며,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장보와, 상기 기둥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보를 포함하는 단위모듈; 및,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단위모듈의 상기 기둥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위모듈을 접합하는 중간연결재;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And can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orizontally connectable,
A unit module including a column, a ceiling beam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and a bottom beam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And
And an intermediate connector inserted in the column of the unit modul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join the unit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내부기둥과, 상기 내부기둥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기둥과, 상기 외부기둥의 외주면에 용접 접합되는 형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 outer pillar provided to surround an inner pillar and a part of the inner pillar; and a steel member weld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기둥의 외주면은 상기 외부기둥의 내주면과 접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외부기둥의 외주면은 상기 형강부재의 내면과 접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외부기둥은 상기 내부기둥의 높이방향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형강부재는 상기 외부기둥의 둘레방향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illar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join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The outer pillar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a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pillar,
And wherein the steel frame member is provid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pilla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기둥과 상기 외부기둥은 각형강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형강부재는 L형강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연결재는 상기 내부기둥과 상기 형강부재의 사이의 삽입공간부에 삽입 가능한 각형강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ner column and the outer column are formed as rectangular steel pipes, the steel pipe members are formed as L-shaped steel,
Where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comprises a rectangular steel pipe that can be inserted into an insertion space portion between the inner pillar and the steel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내부기둥과 상기 형강부재의 사이에 삽입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연결재는 상기 삽입공간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의 상기 단위모듈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lumn has an insertion space portion between the inner column and the steel member,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portion to connect the unit modu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재는 상측의 상기 단위모듈의 상기 삽입공간부와, 하측의 상기 단위모듈의 상기 삽입공간부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pace portion of the upper unit module and the insertion space portion of the lower unit modu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재는,
상기 중간연결재가 설치되는 접합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단위모듈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중간연결유닛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연결재가 복수의 중간연결유닛으로 구비될 경우, 복수의 상기 중간연결유닛의 측면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상기 단위모듈의 상기 삽입공간부에 일체형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And a number of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unit modules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junction where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is installed,
Whe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is provided as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on units ar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Joining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s.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중간연결유닛은 각각의 상기 단위모듈의 상기 삽입공간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each intermediate connec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each of the unit modu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천장보와 상기 바닥보의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면에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eiling beam and the bottom beam are welded to an edge surfac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bottom bea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둥과 상기 중간연결재는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둥과 상기 중간연결재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er pillar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are formed of members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and the surface of the outer pillar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ar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KR1020130127343A 2013-10-24 2013-10-24 Joint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KR1015207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343A KR101520732B1 (en) 2013-10-24 2013-10-24 Joint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343A KR101520732B1 (en) 2013-10-24 2013-10-24 Joint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01A true KR20150047701A (en) 2015-05-06
KR101520732B1 KR101520732B1 (en) 2015-05-20

Family

ID=5338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343A KR101520732B1 (en) 2013-10-24 2013-10-24 Joint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73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5356A (en) * 2018-11-30 2019-03-22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Vertical levels connecting node for link block frame
CN110792174A (en) * 2019-10-23 2020-02-14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Transverse mortise and tenon joint type connecting node of modular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933B1 (en) 2019-09-27 2020-04-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ecast Concrete Modualr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224796B1 (en) 2019-09-27 2021-03-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ecast Concrete Modualr Structure
KR102305016B1 (en) 2019-12-23 2021-09-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 Assembly Cone for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075Y1 (en) * 2005-11-09 2006-01-23 금강공업 주식회사 framework unit
KR101278983B1 (en) * 2012-02-16 2013-07-15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Modular unit and modular construction using the same
JP6157807B2 (en) * 2012-05-28 2017-07-05 株式会社Caコーポ Unit structure connection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5356A (en) * 2018-11-30 2019-03-22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Vertical levels connecting node for link block frame
CN110792174A (en) * 2019-10-23 2020-02-14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Transverse mortise and tenon joint type connecting node of modular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732B1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732B1 (en) Joint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KR101676411B1 (en) Junction structure of pillars and beams for the modular unit structure
KR101425941B1 (en) Modular structure
KR20130139627A (en) Steel plate shear wall structure using block assembly
KR101978320B1 (en) Connecting device of modular building
KR101798704B1 (en) Modular Structure having Load Transfer Bracke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29939B1 (en) Modular structures using modular unit having load tranfer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10084465A (en) Connecting structure, unit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nit building
KR20130036486A (en) A joint structure of modules of modular building
JPH07180228A (en) Building unit connecting tool
JP5362310B2 (en) Unit building
JP2017043905A (en) Fireproof column and bearing wall comprising the same
JP2007197936A (en) Wall unit, aseismatic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15040381A (en) Building
KR101409796B1 (en) Unit modular house connection structure using bent column for unit modular house
JP2012144862A (en) Structure
JP2012144863A (en) Structure
KR20150138986A (en) Modular structure
JP4853422B2 (en) Gate frame with connection of composite beams and wooden columns
KR20160075965A (en) Joint structure of modular system using the bracket, Construction method and Modular system thereby
KR100963586B1 (en) Attachment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ular Unit
JP6265735B2 (en) Consolidated building
JP5091624B2 (en) Reinforced structure
JP2013011132A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JP5053137B2 (en) Unit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