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265A -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265A
KR20150047265A KR1020130127133A KR20130127133A KR20150047265A KR 20150047265 A KR20150047265 A KR 20150047265A KR 1020130127133 A KR1020130127133 A KR 1020130127133A KR 20130127133 A KR20130127133 A KR 20130127133A KR 20150047265 A KR20150047265 A KR 20150047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management
emergency
unit
t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2137B1 (ko
Inventor
지문학
김형택
전황용
김윤중
김인환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1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미국의 FLEX 전략은 하나의 원전부지에 2~3개의 원전이 가동되는 미국의 실정에는 적합하나, 다수호기의 원전이 하나의 원전부지에 밀집되어 있거나 인접하여 설치된 우리나라의 경우는, 극한재해의 예측불능 상태에서 개별 발전소별 비상전력, 비상냉각수 등의 임시설비 이송, 전력부스 연결, 비상냉각수 주입구 체결, 부속설비의 활용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과,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과,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 관리부를 포함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각 호기별 상태정보를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하면서 자동으로 광역재해 여부를 판단하여 광역재해 대비절차에 따른 제어를 하되, 절차에 의거하여 비상인력, 핵심안전변수, 임시 비상전력과 냉각수, 통신체제, 외부지원 인력에 관한 통합지원 관리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System for real-time integrated control against multi-unit extensive damage centered on Top Tier Command & Control Center (TTC) in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하나의 부지에 다수호기 원전이 설치된 국내 원전에서 광역의 극한재해가 발생할 경우 원자로를 안전하게 유지하고 다수호기 원전의 피해를 최대한 완화시키기 위해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를 기반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전 부지에서 광역부지손상 (LOLA; Loss of Large Area)이 발생할 경우 미국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B.5.b 라는 기본전략으로 이는 3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는 화재 또는 폭발을 진압하기 위한 대응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냉각능력을 확보하여 핵연료 손상을 최대한 완화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원자로(노심)의 냉각능력을 확보하고 격납건물(원자로건물)의 압력상승이나 손상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한 완화하는 것이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미국 원전은 FLEX(Flexible and Diverse Coping Strategies)전략이라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즉, 원전부지에 광역재해가 발생할 경우 첫 번째 전략은 기존 설치된 사고대응설비를 사용하여 원전 광역부지의 손상을 완화하기 위한 B.5.b의 목표를 달성한다.
두 번째 전략은 이동형 발전차량, 냉각장치, 및 이와 관련한 부속설비를 미리 발전소마다 배치한 다음 광역재해시 투입하여 B.5.b의 목표를 이룬다. 두 번째 전략에 사용하기 위한 기기 또는 설비의 수량은 N+1, 즉 발전소 호기 숫자에 1개를 추가한 것이다. 세 번째 전략은 발전소 부지 외부에서 이동형 발전차량, 냉각설비, 지원인력의 도움을 받아 원자로, 격납건물, 사용후 연료저장조의 손상을 최대한 완화하는 것이다.
미국의 FLEX 전략은 호기별 독립적인 극한재해를 완화하기 위한 방법이지만, 다수호기가 설치된 국내 원전 실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미국의 경우 원전부지에 대부분 2개 호기가 설치되어 있어(단, Palo Verdi 등 미국의 3개 원전부지에는 3개의 원전이 설치되어 있음) FLEX의 두 번째 전략인 N+1이 의미하는 이동형 발전차량과 냉각장치 및 부속설비의 수량이 많지 않다. 반면, 국내의 경우 미국의 N+1 전략을 적용할 경우 하나의 원전부지에 다수의 이동형 설비와 장치를 배치해야 하며 관리용 건물, 주기적 기능점검, 부품의 교환과 성능유지 등 수급관리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원전부지에 지진, 침수 등의 광역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도로 훼손, 장애물 발생, 침수 등으로 이동경로가 확보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다수의 대형 이동형 장비와 설비가 확보된 경우일지라도 극한재해의 예측불능 조건에서 이들을 효과적으로 이동하여 이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이 다수호기 원전이 설치된 원전부지에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극한재해(자연재해 및 인적테러 포함)가 발생할 경우 대응전략으로 개발된 미국의 FLEX 전략은 하나의 원전부지에 2~3개의 원전이 가동되는 미국의 실정에는 타당하다.
그러나 다수호기의 원전이 하나의 원전부지에 밀집되어 있거나 인접하여 설치된 우리나라, 일본, 유럽 등의 경우 FLEX 전략은 아래와 같은 측면에서 적용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다수호기가 설치된 원전부지에 N+1 전략에 따른 임시설비, 장치, 기기 등의 설치는 수급관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또한, 극한재해의 예측불능 상태에서 개별 발전소별 비상전력, 비상냉각수 등의 임시설비 이송, 전력부스 연결, 비상냉각수 주입구 체결, 부속설비의 활용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테러 등 의도적인 재해의 경우 발전소별 지원인력 및 임시대피소의 확보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원전 부지 전체의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또한, 미국의 기본 전략을 사용할 경우 원전 호기별 기술지원실(TSC; Technical Support Center) 또는 후비보호용 기술지원실 (Back-up TSC)의 운영으로 인력, 설비, 절차 등의 개발 등 추가적인 발전소 비상관리 체제 및 운영이 요구된다. 또한 원전 주제어실(MCR; Main Control Room)과 기술지원실(TSC)은 인접한 지역에 설치되므로 광역부지손상(LOLA)이 발생될 경우 동시에 주제어실과 기술지원실의 기능이 동시에 상실(파손, 접근 불가능 등)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8-0007821 (2008.01.2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극한재해가 발생할 경우 원전 부지의 모든 발전소를 통합하여 재해수준을 판단하고 대응하기 위한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 Top Tier Command & Control Center)를 운영하고, 광역재해 발생시 통합관리센터장은 전체 발전소의 재해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지휘명령권을 제공하며, 다수호기가 설치된 원전 부지에서 발생한 광역재해 상황에서 타호기의 이용가능한 임시설비, 장치, 부속설비를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 원전의 주제어실 또는 운전원 기능 상실시 타호기의 운전원, 교육인력, 대기인력 등을 활용한 현장투입 체제를 구축하고, 발전소 부지 외부에서 공급되는 지원설비, 임시장치, 외부지원인력을 발전소 재해 수준에 따라 배분하고 통제하는 시스템 운영하며, 각 발전소의 핵심안전변수를 TTC로 전송하거나 현장인력과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통합재해관리 체제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은,
호기별 상태정보를 상위 제어 또는 관리 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해당 호기의 재해관리를 하기 위한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과,
각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들과 실시간 통신으로 상태정보를 취합하여 모니터링 정보로 제공하고, 각 호기별 상태정보에 의해 미리 설정된 광역재해 진입조건을 판단하여 비상대응 절차에 따른 비상인력, 핵심안전변수, 임시 비상전력과 냉각수, 통신체제, 외부지원 인력에 관한 통합지원 관리를 하는 광역재해완화(EDMG; Extensive Damage Mitigation Guideline) 통합시스템과,
통합관리 모니터링과 관리자의 통합관리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을 통해 각 호기별 재해관리를 제어하는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은,
해당 호기의 비정상운전 절차를 제어하는 비정상운전 절차 (AOP: Abnormal Operating Procedure) 제어부와,
해당 호기의 비상운전 절차를 제어하는 비상운전절차(EOP; Emergency Operating Procedure) 제어부와,
비상운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절차를 제어하는 비상대응절차서(E/P; Emergency Preparedness) 관리부와,
상기 비정상운전절차 제어부와 상기 비상운전절차 제어부로부터 해당 호기의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위 시스템의 광역재해통합관리 제어에 따른 비정상운전 및 비상운전 제어명령과 연계되는 중대사고완화 제어부와,
상기 중대사고완화 제어부의 중대사고완화 지침서(SAMG; Severe Accident Management Guideline)를 관리하는 중대사고 완화지침서 관리부와;
상기 중대사고완화 제어부의 중대사고 완화를 위한 기술지원을 하는 기술지원센터(TSC)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역재해완화(EDMG; Extensive Damage Mitigation Guideline) 통합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정부기관, 규제기관, 관련기관 등등과 실시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통신망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호기 원전이 하나의 부지에 설치되어 운영중인 국내 원전의 광역재해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이러한 전략에 따를 경우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광역재해가 발생할 경우일지라도 아래와 같이 다수호기 원전의 광역손상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역재해 발생시 광역손상완화지침서를 수행하기 위한 진입(entry) 체제가 구축되며,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의 운영으로 다수호기 원전의 설계기준초과사고를 통합관리하고 실시간 재해수준을 통제할 수 있다.
또한 미국의 N+1 전략을 대신하여 발전소 호기를 기준한 P+1 전략에 따른 임시설비, 장치, 부속설비의 확보로 광역재해 발생시 통제, 인력, 장비, 통신, 대응전략 등에 대한 집중과 선택으로 광역재해 관리가 가능하며,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의 설치위치, 운영체제, 지휘명령권, 거주성에 대한 국내표준 지침이 마련될 수 있다.
광역재해 조건에서 발전소 호기별 위해 수준에 따라 재해관리 대응수준과 등급 (1,2,3단계)을 적용하여 관리하고, 외부지원인력, 장비, 설비 등을 재해 정도에 따라 배분 통제가 가능하며, 임시 비상전력, 임시 냉각원, 비상지원인력의 종합적인 통제가 가능하고, 방재 및 비상대응조직과의 정보공유 및 기술지원을 통한 종합정보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계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계통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호기별 비상운전 및 광역 재해에 대한 비상대응 절차와 중대사고완화 절차를 제어하고 각 호기별 실시간 상태를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위 시스템의 광역재해완화 통합 제어에 의거하여 호기별 재해관리를 하는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100)과;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100)들과 광역재해시에도 통신망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무선 다중 통신망으로 연결구성하고, 실시간 통신으로 재해 발생시 각 호기별 상태정보를 취합하여 모니터링 정보로 제공하며, 각 호기별 상태정보에 의해 미리 설정된 광역재해 비상대응 절차에 의거하여 비상인력, 핵심안전변수, 임시 비상전력과, 냉각수, 통신체제, 외부지원 인력에 관한 통합지원 관리를 하는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과;
상기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에 의해 취합된 각 호기별 상태정보에 의거하여 광역재해통합관리 모니터링과 관리자의 통합관리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을 통해 각 호기별 재해관리를 통합제어하는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 관리부(300) 및
방사능 대책을 세워 상기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 관리부(300)로 광역재해 방사능 대책에 따른 제어를 하는 비상대책본부(EOF) 관리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100)은,
해당 호기의 주제어실(MCR) 메인콘트롤러(10)의 비정상 운전 정보를 수신받아 비정상운전 절차서(AOP)에 의거하여 해당 호기의 비정상운전을 제어하는 비정상운전 제어부(110)와;
해당 호기의 주제어실(MCR) 메인콘트롤러(10)의 비상 운전상태 여부를 수신받아 해당 호기의 비상운전을 제어하는 비상운전 절차(EOP) 제어부(120)와;
상기 비상운전 절차 제어부(120)의 비상운전에 대해 미리 설정된 비상운전 절차를 제어하는 비상대응 절차서(E/P) 관리부(130)와;
상기 비정상운전 절차 제어부(110)와 상기 비상운전 절차 제어부(120)로부터 해당 호기의 비정상 운전 및 비상운전 상태에 의거하여 중대사고완화 지침에 따른 제어를 하는 중대사고 완화제어부(140)와,
상기 중대사고완화 제어부(140)의 중대사고완화 제어에 대한 기술지원을 관리하는 기술지원센터(TSC) 관리부(150)와;
상기 중대사고완화 제어부(140)의 중대사고완화 지침서(SAMG)를 관리하는 중대사고완화지침서 관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EDMG)(2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비상대책반, 정부기관, 규제기관, 관련기관 등등과 실시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통신망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호기별 재해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호기의 주제어실(MCR) 메인콘트롤러(10)로부터 비정상운전 또는 비상운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비정상운전인 경우, 미리 정해진 비정상 운전 절차서(AOP)에 의거하여 비정상운전절차 제어부(110)가 비정상운전 절차를 제어하고, 비상운전인 경우, 비상대응 절차서(E/P)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비상운전 절차 제어부(120)가 상기 주제어실 메인콘트롤러(10)의 비상운전절차 제어를 하게 된다.
중대사고완화 제어부(140)는, 중대사고완화 지침서(SAMG) 관리부(160)의 제어에 의거하여 중대사고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호기의 중대사고 완화 제어를 하게된다.
이때,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은, 각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각 호기의 운전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광역재해인지 일부 호기의 비정상, 비상 운전 또는 중대사고인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광역재해완화를 위한 통합 관리를 하게 된다.
만약,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에서 하나 이상 다수 호기에서 비상 또는 비정상 운전이 요청되면, 비상 및 비정상 운전의 원인 정보에 따라 광역재해완화 지침과 제어부의 동작(발효) 여부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판단하고, 해당 상태에 따른 제어명령을 각 호기로 전송한다. 중대사고완화 제어부(140)는, 중대사고완화 지침서(SAMG) 관리부(160)의 절차제어와 기술지원센터(TSC) 관리부(150)의 기술지원 정보에 의거하여 비상운전 및 비정상운전 절차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다수호기 원전에 극한재해가 발생한 경우 전체 발전소 재해상황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부지 기준 광역재해완화 통합 시스템(Site EDMG) 및 발전소 기준 광역재해 통합대비 체제(Plant-Specific EDMG)로 운영하게 된다. 원전의 광역재해는 테러 등 사람에 의한 의도적 재해와 지진, 침수, 쓰나미 등 자연재해를 통합할 수 있는 입력모드를 운영한다. 즉,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의 진입조건을 인적재난 또는 자연재해를 모두 포괄하는 조건으로 구성하여 비상운전 비정상 운전에 대해 광역재해완화 통합 제어를 하게 된다.
각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100)은, 각 발전소의 상태를 나타내는 핵심안전변수 및 주요 운전변수를 실시간으로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광역재해완화 통합 시스템(200)에서 각 호기의 상태를 파악하여 광역재해 완화를 위한 통합제어를 한다.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 관리부(100)는, 상기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에 의해 제공되는 각 호기별 상태정보를 모니터링 하면서 다수호기 원전의 재해 수준을 평가하여 설비, 장비, 인력 배분의 기술지원과 정보관리를 통제하도록 제어하게된다. 또한 비상대책본부(EOP) 관리부(310)는 원전의 사고발생에 따른 방사능 대책에 대한 제어를 위한 것으로서, 비상대책본부(EOP)와 광역재해 통합관리센터(TTC)가 통합적으로 광역재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여 해당되는 광역재해완화 관리를 제어하게 된다.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은,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에서 TTC 센터장이 통제하며 발전소 기준 광역재해 완화 통합관리(Plant-Specific EDMG) 시스템(200)의 실시간 정보제공을 받는다.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 관리부(300)의 제어를 받은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은, 비상인력, 핵심안전변수, 임시 비상전력과 냉각수, 통신체제, 외부지원 인력 등을 통합 관리하고 통제한다. 또한 방사선 비상계획 관련기관, 정부기관, 규제기관, 기타 관련조직과의 기술지원 및 정보공유 채널을 운영한다.
본 발명은 극한재해 대처를 위한 임시설비의 수량은 P+1 전략, 즉 재해에 당면한 원전의 숫자에 1개를 추가한 전략을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에 반영하여 광역재해가 발생한 원전 호기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한편,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에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 관리부(300),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이 설치되며, 위치는 내진, 침수의 영향이 없는 별도 독립건물에 설치하며, 각 호기별 핵심안전 변수의 입출입이 가능한 하드웨어(Hardware), 무선통신망 또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망을 운영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호기 원전이 하나의 부지에 설치되어 운영중인 국내 원전의 광역재해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이러한 전략에 따를 경우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광역재해가 발생할 경우일지라도 아래와 같이 다수호기 원전의 광역손상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역재해 발생시 광역손상완화지침의 진입(entry) 체제가 구축되므로,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의 운영으로 다수호기 원전의 설계기준초과사고를 통합관리하고 실시간 재해수준을 통제할 수 있다. 또한 P+1 전략에 따른 임시설비, 장치, 부속설비의 확보로 집중과 선택에 따른 광역재해 관리가 가능하며,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의 설치위치, 운영체제, 지휘명령권, 거주성에 대한 국내표준 지침이 마련될 수 있다.
광역재해 조건에서 발전소 호기별 위해 수준에 따라 재해관리 등급 (1,2,3단계)을 적용하여 관리하고, 외부지원인력, 장비, 설비 등을 재해정도에 따라 배분 통제가 가능하며, 임시 비상전력, 임시 냉각원, 비상지원인력의 종합적인 통제가 가능하고, 방재 및 비상대응조직과의 정보공유 및 기술지원을 통한 종합정보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10 : 주제어실(MCR) 메인콘트롤러 100 : 호기별 재해관리 시스템
110 : 비정상운전 절차(AOP) 제어부 120 : 비상운전 절차(EOP) 제어부
130 : 비상대응 절차서(E/P) 관리부 140 : 중대사고완화 제어부
150 : 기술지원센터(TSC) 관리부 160 : 중대사고완화지침서(SAMG) 관리부
200 : 광역재해완화 통합 시스템(EDMG)
300 : 광역재해 통합 관리센터(TTC) 관리부
310 : 비상대책본부(EOF) 관리부

Claims (4)

  1. 각 호기별 비상운전 및 광역 재해에 대한 비상대응 절차와 중대사고완화 절차를 제어하고 각 호기별 실시간 상태를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위 시스템의 광역재해완화 통합 제어에 의거하여 호기별 재해관리를 하는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100)과;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100)들과 광역재해시에도 통신망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무선 다중 통신망으로 연결구성하고, 실시간 통신으로 재해 발생시 각 호기별 상태정보를 취합하여 모니터링 정보로 제공하며, 각 호기별 상태정보에 의해 미리 설정된 광역재해 비상대응 절차에 의거하여 비상인력, 핵심안전변수, 임시 비상전력과, 냉각수, 통신체제, 외부지원 인력에 관한 통합지원 관리를 하는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과;
    상기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에 의해 취합된 각 호기별 상태정보에 의거하여 광역재해통합관리 모니터링과 관리자의 통합관리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을 통해 각 호기별 재해관리를 통합제어하는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 관리부(300) 및
    방사능 대책을 세워 상기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 관리부(300)로 광역재해 방사능 대책에 따른 제어를 하는 비상대책본부(EOF) 관리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별 재해관리시스템(100)은,
    해당 호기의 주제어실(MCR) 메인콘트롤러(10)의 비정상 운전 정보를 수신받아 비정상운전 절차서(AOP)에 의거하여 해당 호기의 비정상운전을 제어하는 비정상운전 제어부(110)와;
    해당 호기의 주제어실(MCR) 메인콘트롤러(10)의 비상 운전상태 여부를 수신받아 해당 호기의 비상운전을 제어하는 비상운전 절차(EOP) 제어부(120)와;
    상기 비상운전 절차 제어부(120)의 비상운전에 대해 미리 설정된 비상운전 절차를 제어하는 비상대응 절차서(E/P) 관리부(130)와;
    상기 비정상운전 절차 제어부(110)와 상기 비상운전 절차 제어부(120)로부터 해당 호기의 비정상 운전 및 비상운전 상태에 의거하여 중대사고완화 지침에 따른 제어를 하는 중대사고 완화제어부(140)와,
    상기 중대사고완화 제어부(140)의 중대사고완화 제어에 대한 기술지원을 관리하는 기술지원센터(TSC) 관리부(150)와;
    상기 중대사고완화 제어부(140)의 중대사고완화 지침서(SAMG)를 관리하는 중대사고완화지침서 관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EDMG)(200)은,
    유무선 또는 인공위성 통신망을 통해 정부기관, 규제기관, 관련기관과 실시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통신망에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 관리부(300), 광역재해완화 통합시스템(200)이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에 설치되며,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는 내진, 침수의 영향이 없는 별도 독립건물에 설치하며, 각 호기별 핵심안전 변수의 입출입이 가능한 하드웨어(Hardware) 또는 무선통신망이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TTC)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30127133A 2013-10-24 2013-10-24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KR101572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133A KR101572137B1 (ko) 2013-10-24 2013-10-24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133A KR101572137B1 (ko) 2013-10-24 2013-10-24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265A true KR20150047265A (ko) 2015-05-04
KR101572137B1 KR101572137B1 (ko) 2015-11-26

Family

ID=5338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133A KR101572137B1 (ko) 2013-10-24 2013-10-24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334B1 (ko) * 2015-11-04 2017-01-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주제어실의 상주 불능을 고려한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관리 방법
WO2018044042A1 (ko) * 2016-08-29 2018-03-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다수호기 통합 감시를 위한 대형통합감시화면의 구현 방법과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467B1 (ko) * 2016-01-14 2017-12-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다수의 지역 발전소들의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KR102174971B1 (ko) * 2018-09-27 2020-11-05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발전소의 공통원인고장 모델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1427B1 (ko) 2019-07-03 2019-08-16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국가 방사능 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
KR20210123814A (ko) 2020-04-06 2021-10-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eof 운영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5729A (ja) * 2003-03-28 2004-10-21 Toshiba Corp 防災対応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334B1 (ko) * 2015-11-04 2017-01-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주제어실의 상주 불능을 고려한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관리 방법
WO2018044042A1 (ko) * 2016-08-29 2018-03-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다수호기 통합 감시를 위한 대형통합감시화면의 구현 방법과 그 시스템
CN109690693A (zh) * 2016-08-29 2019-04-26 韩国水力原子力株式会社 使大型集成监控屏幕集成监控多个反应堆的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137B1 (ko)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137B1 (ko) 원전 광역재해통합관리센터를 중심한 다수호기 광역재해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EP2815854A2 (en) Tele-operated robotic post-Fukushima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pliance enhancement tool
EP2728584B1 (en) Safety facility of nuclear power plant
REC Standard review plan
US9524804B2 (en) Control room for nuclear power plant
Muhlheim et al. Design Strategies and Evaluation for Sharing Systems at Multi-Unit Plants Phase I
KR101565547B1 (ko) 원자력발전소 극한재해사고 대응방법
Caro Enhancements to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in Spain
Harter Beyond Design Bases Event Response: FLEX
Vayssier Accident management under extreme events
VAYSSIER Accident management under extreme events
Harter Extensive damage mitigation guidelines (EDMG)
Miller Preparing for the Extended Loss of AC Power (ELAP) Event in the USA
Niedzwiedz et al. Safety reassessment of German research reactors in the light of the accident at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current status of the improvements focused on emergency preparedness
Zhang et al. Study on Technical Scheme and Frame of Extreme Hazards Mitigation Guideline for CPR1000 NPP
Guohan Safety enhancement of npps in China after Fukushima accident
Doumont Panel case study: Post Fukushima safety evaluations and upgrades in the nuclear power plants. Case study from GDF SUEZ: Implementation of the European stress tests program in the nuclear fleet of GDF SUEZ in Belgium
Liu et al. Use of Pre-operational Seismic Walkdowns in CANDU 6 Nuclear Power Plant
Lee et al.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extensive damage mitigation guidelines in Korea
Swiss EU stress test: Swiss national report. ENSI review of the operators' reports
CN110534222A (zh) 一种核电机组完全卸料后的核安全控制方法
Laverge EDF national emergency organization
Shutikov Lessons Learned from the Accident at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nd Technical Aspects of Russian NPPs Resistance Enhancement
Jeong et al. Preliminary Study on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Operator Support in Severe Accident
Matsunaka Seismic PRA for Kashiwazaki-Kariwa NPS Unit 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