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605A - 담배홀더 - Google Patents

담배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605A
KR20150046605A KR20130126046A KR20130126046A KR20150046605A KR 20150046605 A KR20150046605 A KR 20150046605A KR 20130126046 A KR20130126046 A KR 20130126046A KR 20130126046 A KR20130126046 A KR 20130126046A KR 20150046605 A KR20150046605 A KR 20150046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container
coupled
cigarette hold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윤
안효민
김경중
Original Assignee
김선윤
김경중
안효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윤, 김경중, 안효민 filed Critical 김선윤
Priority to KR2013012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6605A/ko
Publication of KR20150046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71Stands for ashtray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21/00Stands for smokers' requi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cigaret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담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담배홀더가 개시된다. 상기 담배홀더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양단에는 각각 담배삽입부 및 용기삽입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는 상기 몸체외면으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들, 상기 지지대들을 감싼 상태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조절부 및 상기 몸체의 용기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조절부가 상기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부가 상기 몸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담배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담배의 외면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담배홀더{Cigarette holder}
본 발명은 담배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등에서 흡연 시 간편하게 거치하고 담뱃재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며 담배꽁초를 간단하게 모아 버릴 수 있는 담배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금역구역이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도 차량 등의 자기만의 공간에서 흡연하는 사람은 많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차량 등에서 흡연을 하는 경우 담뱃불이 붙은 상태의 담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한손으로 담배를 피면서 한손으로 운전을 하여야 하므로 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 등의 좁은 공간에서 담배를 피는 경우 담뱃재가 날려 실내가 지저분해 질 수 있으며 차량의 창문을 열고 밖으로 담배꽁초나 담뱃불똥을 던지는 경우 다른 차량이나 행인에게 담뱃불이 날라가 위험할 수 있으며 본인의 차량으로 담배꽁초나 담뱃불똥이 다시 들어오는 경우가 있어 차량 화재의 위험도 있다. 종래의 담배홀더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31914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등에서 흡연 시 간편하게 거치하고 담뱃재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며 담배꽁초를 간단하게 모아 버릴 수 있는 담배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담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담배홀더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양단에는 각각 담배삽입부 및 용기삽입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는 상기 몸체외면으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들, 상기 지지대들을 감싼 상태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조절부 및 상기 몸체의 용기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조절부가 상기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부가 상기 몸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담배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담배의 외면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담배홀더는 상기 조절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결합되어 조절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담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담배홀더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양단에는 각각 담배삽입부 및 용기삽입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는 상기 몸체외면으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들 및 상기 몸체의 용기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지지대들의 일부가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부가 상기 몸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담배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담배의 외면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부 일단에는 상기 몸체의 담배삽입부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어 상기 담배 외면을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킬 수 있다.
상기 지지대들 각각은 손잡이 기능을 할 수 있는 절연체가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담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담배홀더는, 양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고정되는 외팔보형상으로 구성되고 자유단부가 탄성변형을 통하여 상기 몸체의 중심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들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몸체의 중심 방향으로 복원되어 상기 담배의 외면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홀더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담뱃불이 붙은 상태의 담배를 거치함과 동시에 흡연을 할 수 있고, 담뱃재가 날려 주변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담배를 다 피운 경우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담배를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모을 수 있으며, 재떨이 사용되는 용기는 별도 제작된 용기를 사용하거나 다마신 음료수병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편리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담배홀더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담배홀더에 담배를 거치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담배홀더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담배홀더에 담배를 거치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담배홀더에 담배를 거치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홀더(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담배홀더(1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담배홀더(100)에 담배를 거치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담배홀더(1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담배홀더(100)는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160)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담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몸체(110), 복수의 지지대들(120), 조절부(140) 및 결합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160)는 담배홀더(100)와 결합되도록 전용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음료수 캔이나 병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몸체(11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양단에는 각각 담배삽입부 및 용기삽입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담배삽입부는 담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도 1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몸체(110)의 상단에 개구된 부분이고, 상기 용기삽입부는 용기(160)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으로 도 1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몸체(110)의 하단에 개구된 부분일 수 있다. 몸체(110)는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H1)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기둥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육각기둥 등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지지대(120)들 각각은 몸체(110)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120) 중 몸체(110)의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는 몸체 외면으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담배를 끼우지 않는 경우 지지대들(120)은 몸체(110)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110)를 기준으로 상기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벌어져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절부(140)는 지지대(120)들을 감싼 상태로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140)를 이용하여 상기 담배를 고정시킬 수 있는데, 조절부(140)가 상기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지지대(120)들의 자유단부가 몸체(1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담배삽입부에 삽입된 담배의 외면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즉, 담배를 끼워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불이 붙은 담배의 일단을 몸체(110)의 상기 연통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조절부(140)를 상기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대들(120)이 몸체(110)에 밀착됨으로써 담배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140)가 상기 용기삽입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지지대(120)들은 몸체(11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담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와 같은 상태의 담배홀더(100)에 불이 붙은 담배의 일단을 몸체(110)의 상기 연통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조절부(140)를 상기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3 및 도 4와 같은 상태의 담배홀더(100)에 담배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상태로 흡연을 하고 담배를 다 핀 경우 조절부(140)를 상기 용기삽입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담배는 고정시키는 수단이 없어 용기(160)로 떨어져 재떨이에 수집될 수 있다. 용기(160)에 물을 부어 놓거나 음료수가 남은 상태의 음료수병을 용기(160)로 이용하는 경우 담배는 저절로 소등이 되면서 용기(160)에 수집될 수 있다.
지지대(120) 중 자유단부의 일단에는 몸체(110)의 담배삽입부를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125)가 구비되어 담배의 외면을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를 담배홀더(100)에 삽입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담배의 일단을 몸체(110)의 상기 연통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조절부(140)를 이용하여 지지대(120)들을 몸체(110)에 밀착시킴으로써 절곡부(125)들로 모여서 형성될 홀(H2)에 담배가 압박끼움 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절곡부(125)의 일단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담배를 고정시킬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150)는 몸체(110)의 상기 용기삽입부에 결합되어 용기(160)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50)는 용기(160)의 개구부에 압박끼움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담배홀더(10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전도가 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손잡이 기능을 할 수 있는 절연체(130)가 지지대(12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절연체(130)는 약간의 열을 전달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혀 열을 전달하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손잡이 기능을 위한 절연체(130)는 몸체(110)의 외주면 등 다른 다양한 부분에 결합되어 손잡이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홀더(5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담배홀더(500)에 담배를 거치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담배홀더(500)는 도 1의 담배홀더(100)와 같이 몸체(110), 복수의 지지대들(120), 조절부(140) 및 결합부(150)를 구비하며, 탄성부(5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1의 담배홀더(100)에서 조절부(140)의 움직임을 탄성부(510)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탄성부(510)를 제외한 부분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4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탄성부(510)는 조절부(140)와 결합부(150) 사이에 결합되어 조절부(140)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510)가 결합된 경우 아무런 조작을 하지 않으면 도 6과 같이 조절부(140)가 지지대(120)들이 몸체(110)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조절부(140)를 결합부(15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도 5와 같이 지지대(120)들이 몸체(11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담배를 담배홀더(500)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조절부(140)를 결합부(150)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담배를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두고, 조절부(14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어 자동적으로 담배가 담배홀더(50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형상의 탄성부(510)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절부(140)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형상의 탄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홀더(7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담배홀더(700)에 담배를 거치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담배홀더(700)는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760)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담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몸체(710), 복수의 지지대들(720) 및 결합부(740)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760)는 담배홀더(700)와 결합되도록 전용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음료수 캔이나 병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몸체(710) 및 지지대(720)들은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한 몸체(110) 및 지지대(120)들과 동일하므로 몸체(710) 및 지지대(72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과 관련된 설명으로 대체한다.
결합부(740)는 도 1의 결합부(15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결합부(740)는 몸체(710)의 용기삽입부에 결합되어 용기(760)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부(740)는 용기(760)의 개구부를 통하여 용기(760)의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6의 결합부(150)도 도 7 및 도 8의 결합부(740)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용기(760)의 개구부가 도 1 내지 도 6의 조절부(14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결합부(740) 및 지지대(720)들의 일부가 용기(760)의 개구부에 삽입되면 지지대(720)의 자유단부가 몸체(7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담배삽입구에 삽입된 담배의 외면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740)만 용기(760)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경우 지지대(720)들은 몸체(71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고, 결합부(740) 및 지지대(720)들의 일부가 용기(760)의 개구부에 삽입되면 지지대(720)의 자유단부가 몸체(710)에 밀착될 수 있다. 지지대(720)들의 위치에 따라 담배를 고정하거나 제거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홀더(9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담배홀더(900)는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960)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담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몸체(920), 복수의 지지대들(910) 및 결합부(930)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960)는 담배홀더(900)와 결합되도록 전용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음료수 캔이나 병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몸체(920)는 양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H3)들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920)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기둥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육각기둥 등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지지대(910)들 각각은 몸체(110)의 일단에 고정되는 외팔보형상으로 구성되고 자유단부가 탄성변형을 통하여 몸체(920)의 중심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910)들은 실리콘, 고무, 우레탄 등과 같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930)는 몸체(9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용기(960)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압박끼움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용기(960)의 개구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910)의 움직임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대(910)에 몸체(920)의 바깥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지지대(910)는 탄성변형을 통하여 몸체(920)의 중심방향에서 멀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91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지지대(910)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도 9와 같은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지지대(910)의 자유단부의 일단에는 몸체(920)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915)가 구비되어 담배의 외면을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920)를 벌려서 담배를 위치하도록 하고 가해진 힘을 제거함으로써 홀(H4)에 담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910)들 각각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920)에 형성된 것처럼 관통홀(H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910)들의 위치에 따라 담배를 고정하거나 제거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상기 담배홀더와 상기 용기가 탈부착이 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담배홀더와 상기 용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일 실시예들에 따른 담배홀더(100, 500, 700 또는 900)를 이용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담배를 고정한 상태에서 담배를 피울 수 있으므로 차량 등에서 흡연을 하는 경우 사고위험을 줄이면서 흡연이 가능하도록 하고 담뱃재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 핀 담배꽁초를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담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담배홀더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양단에는 각각 담배삽입부 및 용기삽입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는 상기 몸체외면으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들;
    상기 지지대들을 감싼 상태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조절부; 및
    상기 몸체의 용기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조절부가 상기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부가 상기 몸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담배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담배의 외면을 눌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담배홀더는,
    상기 조절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결합되어 조절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홀더.
  3.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담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담배홀더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양단에는 각각 담배삽입부 및 용기삽입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담배삽입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는 상기 몸체외면으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들; 및
    상기 몸체의 용기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지지대들의 일부가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부가 상기 몸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담배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담배의 외면을 눌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홀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부 일단에는 상기 몸체의 담배삽입부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어 상기 담배 외면을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홀더.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 각각은,
    손잡이 기능을 할 수 있는 절연체가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홀더.
  6.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담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담배홀더에 있어서,
    양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고정되는 외팔보형상으로 구성되고 자유단부가 탄성변형을 통하여 상기 몸체의 중심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들;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몸체의 중심 방향으로 복원되어 상기 담배의 외면을 눌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자유단부 일단에는 상기 몸체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어 상기 담배 외면을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홀더.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 각각은,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홀더.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은,
    실리콘,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홀더.
KR20130126046A 2013-10-22 2013-10-22 담배홀더 KR20150046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6046A KR20150046605A (ko) 2013-10-22 2013-10-22 담배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6046A KR20150046605A (ko) 2013-10-22 2013-10-22 담배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605A true KR20150046605A (ko) 2015-04-30

Family

ID=5303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6046A KR20150046605A (ko) 2013-10-22 2013-10-22 담배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66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914A (ko) * 2016-04-27 2018-12-19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고정 수단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CN109123810A (zh) * 2018-09-30 2019-01-04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柔性开口可调的烟草容纳套管及烟草加热装置
CN110833212A (zh) * 2018-08-16 2020-02-25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低温烟具
CN109123810B (zh) * 2018-09-30 2024-06-04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柔性开口可调的烟草容纳套管及烟草加热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914A (ko) * 2016-04-27 2018-12-19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고정 수단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US11388929B2 (en) 2016-04-27 2022-07-19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ecuring means
CN110833212A (zh) * 2018-08-16 2020-02-25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低温烟具
CN110833212B (zh) * 2018-08-16 2024-05-17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低温烟具
CN109123810A (zh) * 2018-09-30 2019-01-04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柔性开口可调的烟草容纳套管及烟草加热装置
CN109123810B (zh) * 2018-09-30 2024-06-04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柔性开口可调的烟草容纳套管及烟草加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6605A (ko) 담배홀더
US20160331409A1 (en) Vibrating Comedo Extractor with Light
JP3125037U (ja) 補助便座
US20100051040A1 (en) Odor reducing ashtray
US2697927A (en) Candle holder
KR100791104B1 (ko) 수납부가 구비된 중장비 운전석
KR20150002975U (ko) 담배홀더
US1806782A (en) Article fob receiving cigar or cigabette stubs
US2255428A (en) Ash tray and receptacle
US2422868A (en) Cigarette holder
US1553178A (en) Cigarette holder
US1625038A (en) Receptacle for carrying infants
US2533679A (en) Cigarette crusher and container
US2110773A (en) Tobacco ash receptacle
US3349778A (en) Cigarette ashtray means
CN201911294U (zh) 一种烟灰缸
DE602005018142D1 (de) Eiswaffelhalter
US2523510A (en) Lighter
KR20160043193A (ko) 컵 홀더
US20220275939A1 (en) Candle cup cover
EP4117489B1 (de) Vorrichtung zum beleuchten von trinkflaschen
US2109810A (en) Holder for cigarettes or the like
KR20130005212U (ko) 차량용 재떨이
CN109619679B (zh) 一种具有吸附固定功能的旋风式汽车烟灰盒
JP3091441U (ja) 喫煙用煙草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