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720A -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720A
KR20150045720A KR20130125344A KR20130125344A KR20150045720A KR 20150045720 A KR20150045720 A KR 20150045720A KR 20130125344 A KR20130125344 A KR 20130125344A KR 20130125344 A KR20130125344 A KR 20130125344A KR 20150045720 A KR20150045720 A KR 20150045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user
chair
measurement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라테크
김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라테크, 김선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라테크
Priority to KR2013012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720A/ko
Publication of KR2015004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건강검진의자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하고, 이를 건강관리 서버에서 추적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의자에 착석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인이 현재의 건강상태를 빠르게 인지하여 건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APPARATUS FOR MANAGEMENT HEALTH USED CHAIR FOR CHECKING HEALTH}
본 발명은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건강검진의자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하고, 이를 건강관리 서버에서 추적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으로 진료예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생활의 질적 향상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개인생활에 대한 관심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개인 삶을 풍요롭게 영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강이 유지되어야 하는 바, 이러한 건강 유지는 병원에 의하여 달성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병원은 질병의 치료에만 치중하고 있고, 예방 의학은 아직 정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병원이 점점 많아지고 의료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상시적 건강관리체제가 실현되기 어려운 이유는 병원의 방문을 통해서만 건강진단을 받을 수 있어 특별한 질병적 징후가 나타나지 않으면 병원을 찾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현대사회의 발전에 따라 수반되는 사회구성원의 고령화는 상시적 건강관리 체제의 필요성을 더욱 대두시키고 있으며, 핵가족화로 인하여 가정은 더욱 자체적 건강관리 체제를 갖추기 어렵게 되어 사회적 건강관리 체제의 구축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IT 기술과 의료 분야가 결합된 유비쿼터스 환경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헬스케어(mobile healthcare) 분야의 연구 개발이 태동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3129호(2008. 02. 13. 공개, 발명의 명칭 :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건강검진의자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하고, 이를 건강관리 서버에서 추적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으로 진료예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는, 사용자가 착석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제공하는 건강검진의자; 사용자의 측정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건강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버; 및 건강검진의자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건강검진의자로부터 사용자의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건강관리서버로부터 건강관리정보를 수신하여 건강검진의자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측정정보가 건강지표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에 대한 측정정보를 수신받아 처방정보를 생성하여 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진료예약 요청시 진료 스케줄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의료기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검진의자는 착석한 사용자의 혈압, 맥박, 체온, 체중 및 체지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건강상태 측정부;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부; 건강상태 측정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측정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건강관리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기능을 설정하고,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측정정보 및 건강관리정보를 표시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상태 측정부는 건강검진의자의 손잡이에 커프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맥박 및 혈압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혈압 측정부; 손잡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어 체온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체온 측정부; 건강검진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체중 측정부; 및 손잡이에 전극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체지방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강검진의자의 등받이에 장착되는 안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강검진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착석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착석 감지부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자세가 설정시간 이상 틀어진 경우 안마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는 사용자가 건강검진의자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하고, 이를 건강관리 서버에서 추적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의자에 착석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인이 현재의 건강상태를 빠르게 인지하여 건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건강관리정보와 처방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의 진료예약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착석 자세에 따라 장시간 틀어진 상태를 유지할 경우 안마기를 작동시켜 근육을 풀어줄 뿐만 아니라 자세를 교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에 따라 사용되는 건강검진의자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를 나탄내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에 따라 사용되는 건강검진의자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는, 건강검진의자(100), 건강관리 서버(400) 및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건강검진의자(100)는 사용자가 착석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건강검진의자(100)는 건강상태 측정부(10), 근거리 무선통신부(50), 제어부(20) 및 터치패널(30)을 포함한다.
건강상태 측정부(10)는 착석한 사용자의 혈압, 체온, 체중 및 체지방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건강상태 측정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검진의자(100)의 손잡이(102)에 커프(104)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맥박 및 혈압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혈압 측정부(12); 손잡이(102)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어 체온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체온 측정부(14); 건강검진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체중을 시트쿠션(106)에서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체중 측정부(16); 및 양쪽의 손잡이(102)에 전극(110)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체지방 측정부(18);를 포함한다.
또한, 건강검진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착석 감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착석 감지부(60)는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여 장시간 비틀어지게 앉아있을 경우 자세교정을 수행하기 위해 측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강검진의자(100)에 착석한 경우 손잡이(102)에 구비된 커프(104)로 팔을 고정할 경우 맥박 및 혈압을 측정하고, 손잡이(102)와 접촉된 팔을 통해 체온을 측정하며, 양쪽 손잡이(102)에 구비된 전극(110)을 양손으로 잡을 경우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착석한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또한, 사용자의 앉은 자세도 측정하게 된다.
또한, 건강검진의자(100)의 등받이(108)에는 안마기(40)가 장착될 수 있다. 안마기(40)는 사용자의 선택으로 작동되거나, 자세교정을 위해 사용자의 자세를 바로 잡도록 작동하고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작동된다.
근거리 무선통신부(50)는 블루투스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블루투스(Bluetooth)는 핸드폰, PDA, 노트북과 같은 이동가능한 장치들 간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복잡한 전선 없이도 저가격으로 구현하기 위한 표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제품을 총칭하여 일컫는다. 블루투스는 2.4G ISM Band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소출력으로 1Mbps의 속도로 10m까지 전송할 수 있으며, 중간에 장애물이 있어도 통신이 가능하며 전력 소모량 또한 적은 특징이 있다.
제어부(20)는 건강상태 측정부(1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측정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부(50)를 통해 송신하고, 근거리 무선통신부(50)를 통해 수신된 건강관리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착석 감지부(60)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자세가 설정시간 이상 틀어진 경우 안마기(40)를 작동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자세를 바로 잡도록 할 수 있고, 비틀어진 자세로 인해 뭉친 근육을 풀어줄 수 있다.
터치패널(30)은 손잡이(102) 앞단에 회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제어부(20)의 기능을 설정하고, 안마기(40) 및 건강검진을 위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하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측정정보 및 건강관리정보를 표시한다.
건강관리 서버(400)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사용자의 측정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건강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또한, 측정정보에 대해 건강지표와 비교하여 상한 값을 초과하거나 하한 값 미만인 경우 의료기관 서버(500)로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처방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된 처방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건강관리 서버(400)는 건강 측정/처방 정보 DB(Database)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측정정보의 전송된 날짜 및 의료기관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혈압, 맥박, 체온 등과 같은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진료하는 해당 전문의가 근무하는 치료 기관의 명칭정보, 해당 전문의가 소속되어 있는 전공 의료 분야, 해당 전문의의 성명 정보, 측정정보를 토대로 전문의의 진료 내용을 나타내는 진료 내용 정보, 약 또는 약물의 지급이 필요할 경우 생성되는 처방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건강검진의자(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건강검진의자(100)로부터 사용자의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건강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 건강관리 서버(400)로부터 건강관리정보를 수신하여 건강검진의자(100)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도 건강검진의자(100)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인 블루투스가 구비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의료기관 서버(500)는 건강관리 서버(400)로부터 측정정보가 건강지표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에 대한 측정정보를 수신받아 처방정보를 생성하여 건강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 진료예약 요청시 진료 스케줄을 설정하여 제공한다.
의료기관 서버(500)는 건강관리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측정정보를 수신받아 진료를 수행할 수 있는 의사를 배정하고, 해당 의사로부터 측정정보를 통해 작성된 처방정보를 건강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건강검진의자(100)에 착석되면, 주기적으로 측정되거나, 터치패널(30)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혈압, 맥박, 체온, 체중 및 체지방이 측정되고, 측정된 측정정보는 근거리 무선통신부(5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또한, 측정된 측정정보는 터치패널(30)을 통해 표시된다.
이때 주기적으로 건강상태를 측정할 경우 해당 주기는 터치패널(30)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수신된 측정정보를 건강관리 서버(400)로 전송된다.
건강관리 서버(400)는 수신된 측정정보에 대해 건강지표와 비교하여 상한 값을 초과하거나 하한 값 미만인 경우 의료기관 서버(500)로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처방정보를 요청한다.
의료기관 서버(500)는 진료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의사가 작성한 처방정보를 건강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처방정보는 건강관리 서버(400)에 저장될 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건강검진의자(100)의 터치패널(30)에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건강관리정보나 처방정보를 확인한 후 진료예약을 요청할 경우 의료기관 서버(500)는 진료 스케줄을 설정하여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건강검진의자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하고, 이를 건강관리 서버에서 추적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의자에 착석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인이 현재의 건강상태를 빠르게 인지하여 건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건강상태 측정부 12 : 혈압 측정부
14 : 체온 측정부 16 : 체중 측정부
18 : 체지방 측정부 20 : 제어부
30 : 터치패널 40 : 안마기
50 : 근거리 무선통신부 60 : 착석감지부
100 : 건강검진의자 102 : 손잡이
104 : 커프 106 : 시트쿠션
108 : 등받이 110 : 전극
200 : 이동통신 단말기 300 : 이동통신망
400 : 건강관리 서버 500 : 의료기관 서버

Claims (5)

  1. 사용자가 착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제공하는 건강검진의자;
    상기 사용자의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건강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버; 및
    상기 건강검진의자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건강검진의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건강검진의자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측정정보가 건강지표를 벗어난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받아 처방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진료예약 요청시 진료 스케줄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의료기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의자는
    착석한 상기 사용자의 혈압, 맥박, 체온, 체중 및 체지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건강상태 측정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건강상태 측정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측정정보 및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표시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상태 측정부는
    상기 건강검진의자의 손잡이에 커프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 및 혈압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혈압 측정부;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어 체온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체온 측정부;
    상기 건강검진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체중 측정부; 및
    상기 손잡이에 전극이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체지방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의자에 착석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착석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석 감지부를 통해 감지한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설정시간 이상 틀어진 경우 안마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KR20130125344A 2013-10-21 2013-10-21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KR20150045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344A KR20150045720A (ko) 2013-10-21 2013-10-21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344A KR20150045720A (ko) 2013-10-21 2013-10-21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720A true KR20150045720A (ko) 2015-04-29

Family

ID=5303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344A KR20150045720A (ko) 2013-10-21 2013-10-21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57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0911A (zh) * 2015-12-25 2016-04-20 深圳市太赫兹科技创新研究院 基于线性调频的多人人体安检设备及方法
KR20220100216A (ko) * 2021-01-08 2022-07-15 조유경 사용자 맞춤 학습 플랜 진단을 위한 스마트방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0911A (zh) * 2015-12-25 2016-04-20 深圳市太赫兹科技创新研究院 基于线性调频的多人人体安检设备及方法
KR20220100216A (ko) * 2021-01-08 2022-07-15 조유경 사용자 맞춤 학습 플랜 진단을 위한 스마트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768B1 (ko)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60246943A1 (en) Patient care system reporting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
KR20190012115A (ko) 마사지기 시스템 및 이것에 이용되는 마사지기 및 웨어러블 측정기기
RU94832U1 (ru) Телемедицинский комплекс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состояния здоровья человека
CN102811242B (zh) 一种移动健康监控和服务网络系统
KR20140003820A (ko) 의자에서 획득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CN103263251A (zh) 带求救功能的医疗仪器
KR20150045720A (ko) 건강검진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
KR20180105800A (ko)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57194A (ko)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CN203280375U (zh) 带求救功能的医疗仪器
KR101893022B1 (ko) 대기가 불필요한 맞춤형 프리미엄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10069356A (ko) 고령친화형 헬스케어서비스 시스템
CN104665777A (zh) 一种人体体温实时监测系统
KR100919838B1 (ko) 건강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KR101530644B1 (ko) 차량용 건강 검진 의자
KR20120070432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 검진 방법 및 건강 검진을 위한 건강 측정 게이트웨이 및 휴대용 단말기
CN109559833A (zh) 一种远程诊疗系统和方法
KR101148424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470263B1 (ko)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KR20190041333A (ko) 핵자기공명 분석에 근거한 생체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20060037130A (ko) 다기능 의자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7787A (ko) 유비쿼터스 기반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 중계장치
KR20160000985A (ko) Oda 대상 국가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Sousa et al. Aal@ home: A new home care wireless biosignal monitoring tool for ambient assisted l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