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807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807A
KR20150044807A KR20140132639A KR20140132639A KR20150044807A KR 20150044807 A KR20150044807 A KR 20150044807A KR 20140132639 A KR20140132639 A KR 20140132639A KR 20140132639 A KR20140132639 A KR 20140132639A KR 20150044807 A KR20150044807 A KR 20150044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abinet
base
width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295B1 (ko
Inventor
이현수
심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515,887 priority Critical patent/US9474371B2/en
Priority to CN201410553017.XA priority patent/CN104805640B/zh
Publication of KR2015004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에 홀더 삽입부가 형성되는 탑 커버; 및 상기 홀더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탑 커버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홀더 삽입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는 상기 홀더 삽입부를 상기 걸림부에 삽입하고,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홀더 삽입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 {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져도 탑 커버가 캐비닛에 쉽게 분리되지 않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셔뭐?이라 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수류식 세탁물 처리기기와 드럼식 세탁물 처리기기로 구분된다. 수류식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워진 형태에서 세탁조가 회전함으로써 세탁조 내의 세탁수에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서, 세탁물들간 또는 세탁물과 세탁수와의 마찰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다.
드럼식 세탁물 처리기기는 수평으로 누워진 형태의 드럼 내에 세탁물과 세탁수를 투여하고, 드럼이 회전함으로써, 드럼 내에 형성된 리프터에 의해 세탁물이 들어 올려진다. 들어올려진 세탁물은 이후 세탁물이 떨어질 때 발행하는 물리적 충격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다.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탁조 또는 드럼은 세탁을 위해 회전을 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세탁물 처리기기에 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한다. 따라서, 세탁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탑 커버가 캐비닛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져도 탑 커버가 캐비닛에 쉽게 분리되지 않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탑 커버를 캐비닛에 쉽게 조립하여 고정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에 홀더 삽입부가 형성되는 탑 커버; 및 상기 홀더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탑 커버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홀더 삽입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는 상기 홀더 삽입부를 상기 걸림부에 삽입하고,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홀더 삽입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세탁물 처리기기에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져도 탑 커버가 캐비닛에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둘째, 탑 커버를 캐비닛에 쉽게 조립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탑 커버를 캐비닛에 쉽게 조립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커버가 캐비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캐비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 삽입부와 베이스부의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삽입부와 베이스의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커버가 캐비닛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세탁물 처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캐비닛(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탑 커버(150), 탑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채워지는 외조(30), 외조(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내조(40), 탑 커버(15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5), 및 캐비닛(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종 구성품이 설치되는 베이스(7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외조(30)와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40)가 설치된다. 캐비닛(10)은 상부에 홀더(200)가 구비되고, 홀더(200)에 의해 탑 커버(150)가 캐비닛(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캐비닛(10)의 하측에는 베이스(70)가 구비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급수유로(26)를 통해 상측으로부터 급수된 세탁수가 담기도록 상부가 개방된 외조(30)와, 세탁물이 수용되고 외조(30) 내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조(40)가 구비된다. 내조(40)의 바닥에는 펄세이터(45)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내조(40)에는 세탁수가 내조(40)와 외조(30)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보수의 수공이 형성되고, 내조(40) 및/또는 펄세이터(45)의 회전에 의해 내조(40)와 외조(30)내의 세탁수가 유동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수류작용과 펄세이터(45)와 세탁물 사이의 마찰 작용 등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진다.
베이스(70)는 캐비닛(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캐비닛(10)을 지지한다. 베이스(70)에는 펌프(66) 등의 각종 구성품이 설치된다.
탑 커버(150)는 홀더(200)에 의해 캐비닛(10)의 상부에 결합된다. 탑 커버(150)는 내조(40)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중간부분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다. 탑 커버(150)는 일측에 세탁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세탁조건 등을 입력하는 버튼부 등이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18)이 구비된다. 컨트롤 패널(18)은 LCD, LED 및/ 또는 발광다이오드 등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탑 커버(150)는 내측 배면에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박스(16)가 구비된다. 세제박스(16)는 급수유로(26)와 연결되어 세제박스(16)에 저장된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및/또는 표백제 등의 세탁용 첨가제가 급수유로(26)에서 공급되는 물과 함께 외조(30) 및 내조(40)로 유입된다. 또한 탑 커버(150)는 상부에 도어(15)가 결합된다.
도어(15)는 탑 커버(150)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탑 커버(150)와 힌지 결합된다. 도어(15)는 중간부분에 내조(40)의 세탁과정을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명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투명부재는 중앙부가 약간 솟아오른 볼록한 형상을 가져 도어(15) 하부면에 묻은 세탁수 등이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조(3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지지부재(17)에 의해 탑 커버(150)에 매달리고, 지지부재(17)의 일단에는 댐퍼(19)가 구비되어, 세탁물 처리기기(1)의 작동 중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켜 외조(30) 및 내조(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외조(30)의 상측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개구된 외조커버(20)가 구비되고, 내조(40)가 일정 속도이상으로 회전할 시, 원심력에 의해 외조(30)와 내조(40)사이를 따라 상승한 세탁수가 외조커버(20)의 저면을 따라 안내되어 내조(40) 내로 재급수됨으로써 순환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외조(30)의 하측에는 내조(40) 및/또는 펄세이터(45)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0)가 구비되고, 모터(50)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은 회전축(51)을 통해 내조(40) 및/또는 펄세이터(45)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는 내조(40) 및 펄세이터(45)가 회전축(51)과 직접 체결되어 모터(50)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는 직접구동방식으로 작동되나, 이와는 다르게 밸트나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모터(50)의 회전력을 내조(40) 및/또는 펄세이터(45)로 전달하는 간접구동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모터(50)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내조(40) 및 펄세이터(45)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가 구비되고, 클러치는 동축 상에 정렬된 내조(40) 및 펄세이터(45)를 회전축(51)과 선택적으로 접촉시킨다. 클러치의 적절한 조작을 통해 내조(40)만이 회전되거나, 펄세이터(45)만이 회전되거나, 내조(40) 및 펄세이터(45)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세탁물 처리기기(1)의 작동 중에는, 내조(40) 및/또는 펄세이터(4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 작용에 의해 세탁수가 외조(30) 외부로 비산된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때, 내조(40) 및/또는 펄세이터(45)의 회전방향에 따라 세탁수가 비산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커버가 캐비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캐비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 삽입부와 베이스부의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삽입부와 베이스의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에 홀더 삽입부(160)가 형성되는 탑 커버(150); 및 상기 홀더 삽입부(160)에 삽입되어 상기 탑 커버(150)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시키는 홀더(20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20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210); 및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210)에 삽입된 상기 홀더 삽입부(160)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150)는 상기 홀더 삽입부(160)를 상기 걸림부(240)에 삽입하고,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홀더 삽입부(160)를 상기 베이스부(210)에 삽입한다.
홀더(200)는 캐비닛(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정확히는 캐비닛(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홀더(200)는 탑 커버(150)의 양측에 형성된 홀더 삽입부(160)에 삽입되어 탑 커버(150)를 캐비닛(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홀더(200)는 세탁물 처리기기(1)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200)는 베이스부(210)와 걸림부(240)를 포함하며, 베이스부(210)와 걸림부(24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홀더(200)는 홀더(200)를 캐비닛(10)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300)가 관통하는 관통홀(260)이 형성된다. 관통홀(260)은 체결부재(300)가 후술할 후크부(250)에 간섭되지 않도록 후크부(250)와 이격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홀(260)은 홀더(200)의 전방에 형성되고, 후크부(250)는 홀더(200)의 후방에 구비되어 홀더(200)를 캐비닛(10)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베이스부(210)는 홀더(200)의 하측부분을 이루고, 캐비닛(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베이스부(210)는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탑 커버(150)와 캐비닛(10)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베이스부(210)는 전방부(220)의 폭이 후방부(230)의 폭보다 보다 좁게 형성된다. 또한 전방부(220)는 상측에 배치된 걸림부(240)의 폭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부(210)에 삽입된 홀더 삽입부(160)는 세탁물 처리기기(1)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도 상측으로의 베이스부(210)의 이탈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10)의 전방부(220)와 후방부(230)는 서로 연결되며,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베이스부(210)의 전방부(220)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측에 배치된 걸림부(240)의 하부와 연결된다. 상기 전방부(2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걸림부(240)의 하부와 연결되는 부분을 이하 연결부(222)라 칭한다. 연결부(222)는 전방부(22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연결부(222)의 상하의 높이는 홀더 삽입부(16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할 홀더 삽입부(160)의 제1삽입부(161)를 걸림부(240)에 삽입된 후, 탑 커버(15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2삽입부(162)가 연결부(222)에 삽입된다. 탑 커버(150)를 홀더 삽입부(160)가 베이스부(210)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만큼 이동시키면, 중력에 의해 홀더 삽입부(160)가 베이스부(210)에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부(210)의 전방부(220)는 후술할 제2돌출돌기(162a)가 삽입되는 제2홈(221)이 형성되며, 베이스부(210)의 후방부(230)는 후술할 제1돌출돌기(161a)가 삽입되는 제1홈(232)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210)는 홀더 삽입부(16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홀더 삽입부(160)가 베이스부(210)에 삽입되면, 탑 커버가 전후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베이스부(210)의 후방부(230)는 베이스부(210)의 전방부(220)와 연결된다. 후방부(230)는 전방부(220)의 폭보다 넓게 폭이 형성되고, 걸림부(240)의 폭과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부(230)의 폭은 후술할 홀더 삽입부(160)의 제1삽입부(161)의 폭에 대응되거나 좁게 형성되어, 후방부(230)가 제1삽입부(16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210)의 후방부(230)에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31)가 형성될 수 있고, 제1홈(232)은 돌출부(23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홀더 삽입부(160)의 제1돌출돌기(161a) 및 제2돌출돌기(162a)와 베이스부(210)의 제1홈(232) 및 제2홈(221)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부(210)는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된 후크부(250)가 구비된다. 후크부(250)는 후술할 캐비닛(10)의 상부에 형성된 후크홀(미도시)에 삽입된다. 따라서, 홀더(200)는 후크부(250)와 체결부재(300)에 의해 캐비닛(1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크부(250)는 관통홀(260)과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240)는 베이스부(210)의 전방부(220) 상측에 배치되어, 하부에 전방부(220)의 연결부(222)와 연결된다. 걸림부(240)의 폭은 전방부(220)의 폭과 후술할 제2삽입부(16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부(210)에 삽입된 홀더 삽입부(16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240)의 폭은 제1삽입부(161)의 폭에 대응되거나 좁게 형성되어 제1삽입부(161)가 걸림부(240)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240)는 베이스부(210)에 삽입된 홀더 삽입부(16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턱(241)이 구비된다. 또한, 걸림부(240)는 제1삽입부(161)가 걸림부(240)에 삽입될 때에 제1돌출돌기(161a)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안내홈(242)이 후방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삽입부(161)가 걸림부(240)에 삽입될 때, 제1돌출돌기(161a)가 걸림부(240)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홀더 삽입부는 제1돌출돌기(161a)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걸림부(240)에도 안내홈(24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걸림부(240)의 상부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홀더 삽입부(160)의 제1삽입부(161)가 약간 어긋난 위치에서 걸림부(240)에 삽입될 경우라도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탑 커버(150)는 양측에 홀더(200)가 삽입되는 홀더 삽입부(160)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 삽입부(160)은 베이스부(21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홀더 삽입부(160)은 걸림부(240) 및 베이스부(210)의 후방부(230)의 폭보다 넓게 폭이 형성되는 제1삽입부(161)와 제1삽입부(161)와 연결되고 베이스부(210)의 전방부(220)의 폭보다 넓게 폭이 형성되는 제2삽입부(162)를 포함한다. 단, 제2삽입부(162)는 걸림부(240)의 폭보다 좁게 폭이 형성된다.
제1삽입부(161)는 후방부(230)의 제1홈(232)에 삽입되는 제1돌출돌기(161a)가 형성되고, 제2삽입부(162)는 전방부(220)의 제2홈(221)에 삽입되는 제2돌출돌기(162a)가 형성된다. 따라서, 홀더 삽입부(160)가 베이스부(210)에 삽입될 때, 제1돌출돌기(161a)는 제1홈(232)에 삽입되고, 제2돌출돌기(162a)는 제2홈(221)에 삽입된다. 따라서, 탑 커버(150)와 캐비닛(10)과의 결합력은 더욱 더 증대된다.
체결부재(300)는 홀더(200)에 형성된 관통홀(260)을 관통하여 홀더(200)를 캐비닛(10) 상부에 고정시킨다. 체결부재(300)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의 탑 커버(150)가 캐비닛(10)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커버가 캐비닛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커버(150)를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하고, 탑 커버(150)의 홀더 삽입부(160)가 홀더(2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탑 커버(150)를 배치한다.
홀더 삽입부(160)의 제1삽입부(161)를 걸림부(240)에 상측에 배치한 후, 걸림부(240)를 제1삽입부(161)에 삽입시킨다. 이때, 제1삽입부(161)에 형성된 제1돌출돌기(161a)는 걸림부(240)에 형성된 안내홈(242)에 삽입되기에 제1삽입부(161)는 간섭 없이 걸림부(24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삽입부(161)가 걸림부(240)에 삽입된 탑 커버(15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면, 연결부가 제2삽입부(162)로 삽입되면서 탑 커버(150)는 후방으로 된다. 탑 커버(150)가 후방으로 이동된 후, 베이스부(210)에 대응되게 형성된 홀더 삽입부(160)가 베이스부(210)의 상측에 배치되면, 중력에 의해 베이스부(210)가 홀더 삽입부(160)에 삽입된다. 홀더 삽입부(160)가 베이스부(210)에 삽입될 경우, 홀더 삽입부(160)의 제1돌출돌기(161a)와 제2돌출돌기(162a)가 제1홈(232)과 제2홈(221)에 삽입된다. 따라서, 홀더 삽입부(160)가 베이스부(210)에 삽입이 되면, 세탁물 처리기기(1)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홀더 삽입부(160)가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걸림부(2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기에 탑 커버(150)가 캐비닛(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탑 커버(150)를 캐비닛(10)에 결합하는 방법에는 걸림부(240)를 탑 커버(150)의 제1삽입부(161)에 삽입하는 제1삽입단계와, 제1삽입부(161)에 걸림부(240)가 삽입된 후, 탑 커버(150)를 후방으로 이동하여 베이스부(210)를 홀더 삽입부(160)에 삽입하는 제2삽입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탑 커버(150)는 계단식으로 홀더(200)에 결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세탁물 처리기기 10: 캐비닛
150: 탑 커버 160: 홀더 삽입부
161: 제1삽입부 161a: 제1돌출돌기
162: 제2삽입부 162a: 제2돌출돌기
200: 홀더 210: 베이스
220: 전방부 221: 제2홈
222: 연결부 230: 후방부
231: 돌출부 232: 제1홈
240: 걸림부 241: 걸림턱
242: 안내홈 250: 후크부
260: 관통홀 300: 체결부재

Claims (12)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에 홀더 삽입부가 형성되는 탑 커버; 및
    상기 홀더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탑 커버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홀더 삽입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는,
    상기 홀더 삽입부를 상기 걸림부에 삽입하고,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홀더 삽입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전방부의 폭이 후방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폭이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후방부의 폭이 상기 걸림부의 폭과 동일한 세탁물 처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삽입부는,
    상기 걸림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부의 폭보다 넓게 폭이 형성되는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부의 폭보다 넓게 폭이 형성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부는 상기 제2돌출돌기가 삽입되는 제2홈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부는 상기 제1돌출돌기가 삽입되는 제1홈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돌기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부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삽입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은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후크홀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홀더를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40132639A 2013-10-17 2014-10-01 세탁물 처리기기 KR10222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15,887 US9474371B2 (en) 2013-10-17 2014-10-16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410553017.XA CN104805640B (zh) 2013-10-17 2014-10-17 洗涤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92046P 2013-10-17 2013-10-17
US61/892,046 2013-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807A true KR20150044807A (ko) 2015-04-27
KR102229295B1 KR102229295B1 (ko) 2021-03-17

Family

ID=5303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639A KR102229295B1 (ko) 2013-10-17 2014-10-01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74371B2 (ko)
KR (1) KR102229295B1 (ko)
CN (1) CN1048056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389A (ko) * 2017-02-28 2018-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638A (ko) * 2001-08-08 2003-02-1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틸팅형 드럼세탁기의 톱플레이트 고정 구조
KR20050081454A (ko) *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 설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7609A (en) * 1965-12-23 1967-10-17 Wolverine Toy Company Cabinet structure
US5738462A (en) * 1996-11-04 1998-04-14 Hon Industries Inc. Locking clip system for securing panels together
US6572206B2 (en) * 2001-09-24 2003-06-03 American Trim, Llc Multiple position control panel
US7621156B2 (en) * 2002-09-13 2009-11-24 Lg Electronics Inc. Cabinet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KR100935699B1 (ko) * 2002-11-29 2010-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강성보강구조
KR101065677B1 (ko) * 2003-11-28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1155000B1 (ko) * 2009-02-02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IT1399435B1 (it) * 2010-04-13 2013-04-19 Gatto S P A Anta per mobili con pannello amovibile - intercambiabile.
US8215729B2 (en) * 2010-04-13 2012-07-10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cabinet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638A (ko) * 2001-08-08 2003-02-1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틸팅형 드럼세탁기의 톱플레이트 고정 구조
KR20050081454A (ko) *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 설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30338A1 (en) 2015-05-14
KR102229295B1 (ko) 2021-03-17
CN104805640B (zh) 2017-05-03
US9474371B2 (en) 2016-10-25
CN104805640A (zh)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2205B2 (en) Washing machine
US9279205B2 (en) Washing machine
EP1424429A1 (en) Washing machine with special cabinet construction
KR102471461B1 (ko) 세탁기
KR102147819B1 (ko)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834879B2 (en) Washing machine
KR102627713B1 (ko) 세탁기
KR20150118230A (ko) 세탁기
KR20180074489A (ko) 세탁기
AU2016310964B2 (en) Washing machine
KR20060039185A (ko) 세탁기의 도어
US20120216580A1 (en) Washing machine
KR102620364B1 (ko) 세탁기
KR102448494B1 (ko) 세탁기
KR10222929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190203397A1 (en) Washing machine
KR102557404B1 (ko) 세탁기
US20180179687A1 (en) Washing machine
KR20040024248A (ko)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조립구조
KR20050114333A (ko) 세탁기 콘솔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20070014459A (ko)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