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496A -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496A
KR20150044496A KR20130123407A KR20130123407A KR20150044496A KR 20150044496 A KR20150044496 A KR 20150044496A KR 20130123407 A KR20130123407 A KR 20130123407A KR 20130123407 A KR20130123407 A KR 20130123407A KR 20150044496 A KR20150044496 A KR 20150044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screen
assembly
display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성
박수조
김민주
이상미
이동식
배송희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이동식
배송희
이상미
박수조
김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이동식, 배송희, 이상미, 박수조, 김민주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23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4496A/ko
Publication of KR2015004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화면에 표시된 상품 또는 장소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단계와, 화면에 정보제공 영역을 생성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정보 표시단계와, 화면을 캡쳐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에 오브젝트의 정보를 결합하여 캡쳐 페이지를 생성하는 화면 캡쳐단계, 및 상기 캡쳐 페이지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캡쳐 페이지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ADVERTISING METHOD USING SMART DISPLAY HAVING ICON LOADING PART}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의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TV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IPTV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네트워크 TV 형태로서, 브로드밴드(Broadband) TV, 웹 TV 등의 개념이 제안되었다. 브로드밴드 TV 또는 웹 TV는 종래의 IPTV와는 달리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고,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VOD, 게임, 화상전화 서비스 등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방송 또는 다양한 컨텐츠를 시청함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이나, 음식, 등을 원하는 경우에는 방송 중이나 방송이 종료된 후에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찾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스마트폰 광고 응용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 광고를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과 방법으로 노출시킬 때 광고주가 선택한 전화 번호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클릭 시 선택한 번호로 연결되는 시스템(when smartphone advertising program expose advertise based on user selceted time and method on smartphone, the advertiser selected phone number is displayed, the user clicks the calling button and then it makes calling to the number)(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33304호)
2. 스마트폰 광고 노출 관리 방법 및 스마트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저장매체(Method for managing advertising exposure in smart phone and storage media for applications thereof)(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77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화면에 표시된 상품에 대한 광고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화면에 표시된 상품 또는 장소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단계와, 화면에 정보제공 영역을 생성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정보 표시단계와, 화면을 캡쳐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에 오브젝트의 정보를 결합하여 캡쳐 페이지를 생성하는 화면 캡쳐단계, 및 상기 캡쳐 페이지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캡쳐 페이지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상표와 함께 오브젝트의 명칭을 아이콘으로 생성하여 로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화면에 나타난 복수개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강조상품으로 선정하고 상기 강조상품에 표식을 결합하여 표시하는 표식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장소에 대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1 아이콘 어셈블리와 상품에 관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2 아이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아이콘 어셈블리 형성단계와 상기 제1 아이콘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아이콘 어셈블리를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와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로 분류하는 아이콘 어셈블리 분류단계, 및 아이콘 표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를 상기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보다 먼저 표시하는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 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아이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후행 아이콘 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 표시 단계는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지하는 형상인지 단계와 오브젝트와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 단계, 및 오브젝트가 포함된 프레임에 아이콘을 결합하는 아이콘 결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세 정보 표시단계는 상품선택과 결제정보 입력을 위한 주문입력 인터페이스를 형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캡쳐단계는 캡쳐 페이지를 생성하며, 상기 캡쳐 페이지는 화면 이미지와 선택된 상품의 이미지, 및 상품을 판매하는 웹사이트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시청 도중에 화면에 나타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고 이를 선택한 경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작자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의 오브젝트인 판매자에게 광고에 따른 비용을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콘을 어셈블리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분류의 아이콘들을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101)은 스마트 디스플레이(10), 리모컨(40), 스마트 모바일 기기(50), 방송통신망(60), 및 서버(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디스플레이(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영상 및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고 화면에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며, 스마트 TV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10)는 별도의 셋톱박스(STB)를 구비한 셋톱박스(20)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방송통신망(60)을 통해 영상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셋톱박스(20)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셋톱박스(20) 없이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방송통신망(6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방송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기간망이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Internet)이 될 수도 있다.
서버(30)는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소로서 방송 통신망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서버에는 드라마, 오락 프로그램, 영화와 같은 상품 중심 컨텐츠와 여행 프로그램, 맛집 기행 등과 같은 지역 중심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다.
리모컨(40)은 스마트 디스플레이(10)가 TV로 이루어진 경우 스마트 디스플레이(10)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도구이다. 리모컨(40)은 스마트 디스플레이(10) 및 셋톱박스(20)와 적외선 통신을 통신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다.
스마트 모바일 기기(5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으로 이루어지며 스마트 디스플레이(10)와 근거리 통신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다. 스마트 모바일 기기(50)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전자태그(RFID) RF 통신으로 스마트 디스플레이(10)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스마트 모바일 기기(50) 스마트 디스플레이(10)와 동기화되어 동일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 모바일 기기(50)를 터치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에도 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10)는 입력부(11), 출력부(12), 제어기(13), 통신부(17), 및 저장부(18)를 포함한다.
입력부(11)는 리모컨 수신모듈(11a), 모션 인식모듈(11b), 근거리 통신모듈(11c)을 포함한다. 리모컨 수신모듈(11a)은 리모컨(40)과의 적외선 통신을 통해서 명령을 입력 받는데, 리모컨(40)에 설치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리모컨(40)이 회면에 커서를 생성하고, 리모컨(40)의 조작에 따라 화면의 커서가 움직이는 경우, 리모컨 수신모듈(11a)은 커서의 이동에 따라 화면에 나타난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커서의 움직임에 따라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특히 리모컨 수신모듈(11a)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화면에 임임의 폐곡선을 그릴 때, 이를 선택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모션 인식모듈(11b)은 카메라와 모션센서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입력 신호로 받아들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면에 표시된 물체를 가리키거나, 손가락으로 물체를 잡는 모션을 취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경우, 모션 센서가 이를 인지하여 입력 신호로 받아들인다.
근거리 통신모듈(11c)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50)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 디스플레이(10)에 구현된 화면을 스마트 모바일 기기(50)로 전송하거나, 스마트 모바일 기기(50)의 터치 패널에 입력된 신호를 받아 들인다.
출력부(12)는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화상으로 나타낸다. 또한 출력부(12)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동영상을 화상으로 나타내거나 문자 또는 아이콘을 화면에 나타낸다.
제어기(13)는 입력부(11)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정보 또는 영상을 생성, 제어하며 출력부(12)를 통해서 영상 및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기(13)는 아이콘 로딩부(14)와 상세정보 로딩부(15), 및 화면 캡쳐부(16)를 포함한다.
아이콘 로딩부(14)는 화면에 나타난 오브젝트(object)에 대한 아이콘을 로딩한다. 컨텐츠는 상품 또는 장소를 포함하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컨텐츠가 재생될 때, 화면에는 인물뿐만 아니라 상품 또는 장소가 나타난다. 아이콘 로딩부(14)는 아이콘 표시 신호가 입력되면,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콘을 로딩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아이콘은 전송된 컨텐츠에 결합되어 있으며, 아이콘을 표시하라는 아이콘 표시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로딩된다. 아이콘 표시의 대상인 오브젝트는 상품 및 장소가 될 수 있다. 아이콘은 오브젝트와 인접하여 오브젝트의 위 또는 아래, 및 옆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아이콘을 통해서 오브젝트의 명칭을 확인할 수 있다.
아이콘은 컨텐츠의 각 프레임에 코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아이콘 표시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동영상은 1초에 30개의 프레임을 화면에 제공하며, 수 많은 프레임들이 모여서 하나의 동영상을 형성한다. 프레임에 등장하는 인물이 위치하는 장소나 인물이 착용하는 의복이 포함된 경우, 프레임에 장소 및 의복에 대한 아이콘 정보를 코드 형식으로 결합된다. 아이콘 정보의 결합은 동영상이 촬영된 이후에 별도의 작업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텐츠가 전송될 때, 아이콘 정보도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아이콘은 사용자의 아이콘 표시 신호가 입력될 때 화면에 표시된다.
아이콘은 상품의 상표와 상품의 명칭을 포함하는 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 오브젝트 선택 신호가 발생된다.
아이콘 로딩부(14)는 장소에 대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1 아이콘 어셈블리와 상품에 관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2 아이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아이콘 어셈블리 생성모듈(14a)과 제1 아이콘 어셈블리와 제2 아이콘 어셈블리를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와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로 분류하는 아이콘 어셈블리 분류모듈(14b)을 포함한다.
아이콘 어셈블리 생성모듈(14a)은 프레임에 나타난 오브젝트를 상품과 장소로 구분하고, 상품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제1 아이콘 어셈블리로 형성하고 장소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제2 아이콘 어셈블리로 형성한다.
그리고 아이콘 어셈블리 분류모듈(14b)은 어느 아이콘 어셈블리를 먼저 보여줄 것인지 선택하는데, 아이콘 어셈블리들을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와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로 분류한다.
아이콘 어셈블리 분류모듈(14b)은 컨텐츠의 종류를 인식하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아이콘 어셈블리를 분류한다. 지역 특산물을 소개하는 컨텐츠나,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인 경우에는 장소에 관한 제1 아이콘 어셈블리를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 선택한다. 한편, 컨텐츠가 드라마 또는 광고인 경우에는 제2 아이콘 어셈블리를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로 선택한다.
아이콘 로딩부(14)는 아이콘 표시 신호가 입력되면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를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보다 먼저 화면에 표시하고, 아이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를 화면에 표시한다. 아이콘 표시 신호는 입력부(11)를 통해서 입력되는데, 입력부(11)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화면에 임의의 폐곡선이 형성될 때, 이를 아이콘 표시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 변경 신호는 리모컨에 설치된 버튼을 통해서 입력 받을 수 있다.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에도 장소와 상품이 함께 표시되나. 사용자는 화면에 나타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컨텐츠가 드라마인 경우, 사용자는 배우가 착용하는 의상이나 가방 등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화면에 장소와 상품에 대한 모든 아이콘을 표시하면 화면이 복잡해지고 사용자가 아이콘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들을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유용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아이콘 로딩부(14)는 화면에 나타난 복수개의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품을 강조상품으로 선정하고 상품에 표식을 형성할 수 있다. 강조상품은 복수 개의 상품들 중에서 광고자가 비용을 많이 지불한 상품일 수 있으며, 할인 이벤트 오브젝트인 상품이 될 수 있다. 표식은 상품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강조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이콘 옆에 표시되는 반짝이는 별모양 등의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정보 로딩부(15)는 오브젝트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에 정보제공 영역을 생성하여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오브젝트 선택 신호는 화면에 나타난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클릭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커서가 폐곡선을 그리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오브젝트 선택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세정보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 통신망을 이용해서 스마트 디스플레이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전송된 컨텐츠에 미리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세정보 로딩부(15)는 정보제공 영역에 상품의 이미지와 가격, 색상, 크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세정보 로딩부(15)는 상품의 수량을 선택하고, 결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주문입력 인터페이스를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화면 캡쳐부(16)는 캡쳐된 화면 이미지에 상품의 상세정보를 결합하여 저장한다. 화면 캡쳐부(16)는 선택된 프레임을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뿐만 아니라 상세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 형태로 함께 저장하여 캡쳐 페이지를 생성시킨다. 캡쳐 페이지는 HTML, XML, SGML, DHTML 등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정보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캡쳐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 캡쳐부(16)는 화면에 나타난 프레임을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고, 이에 상세정보를 이미지에 결합하여 캡쳐 페이지를 생성한다. 상세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이미지와 상품을 판매하는 웹사이트 주소, 상품의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는 캡쳐 페이지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거나,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기기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는 오브젝트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외부의 서버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신한다.
저장부(18) 캡쳐 신호가 입력되면 프레임을 이미지 형태로 저장소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송한 캡쳐 페이지와 전송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화면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된 상품 또는 장소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단계(S101)와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에 정보제공 영역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상세정보 표시단계(S102)와 동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오브젝트의 상세정보를 결합하여 저장하는 화면 캡쳐단계(S103), 및 화면 캡쳐단계에서 생성된 캡쳐 페이지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캡쳐 페이지 전송단계(S104)를 포함한다.
아이콘 표시단계(S101)는 오브젝트의 상표와 함께 오브젝트의 명칭을 아이콘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데, 화면에 상표를 노출시킴으로써 사업자로부터 아이콘 노출에 대한 광고비용을 받을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표시단계(S101)는 아이콘 표시 신호가 입력되면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콘을 로딩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아이콘은 오브젝트와 오버레이 되거나 오브젝트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아이콘 표시 신호는 리모컨 또는 모션 등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모컨을 이용하여 화면에 폐곡선을 그리면 이를 아이콘 표시 신호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아이콘 표시단계(S101)는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지하는 형상인지 단계와 오브젝트와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 단계, 및 오브젝트가 포함된 프레임에 아이콘을 결합하는 아이콘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형상인지 단계는 프레임에 나타나는 오브젝트의 형상을 분석하여 이를 특정한다. 형상인지 단계는 오브젝트가 어떠한 상품 또는 장소인지 이미지를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를 특정한다. 형상인지 단계는 오브젝트가 가방의 경우, 가방의 이미지를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어느 제조회사의 어떤 모델인지 식별한다.
아이콘 생성 단계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아이콘을 생성한다. 아이콘 결합 단계는 각각의 프레임에 아이콘을 결합시키되, 오브젝트와 인접한 부분에 아이콘을 위치시킨다.
아이콘 표시단계(S101)는 화면에 나타난 복수개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강조상품으로 선정하고 상기 강조상품에 표식을 결합하여 표시하는 표식 결합단계를 포함한다. 표식은 오브젝트의 테두리를 따라 이어져 형성된 강조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이콘 표시단계(S101)는 장소에 대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1 아이콘 어셈블리와 상품에 관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2 아이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아이콘 어셈블리 형성단계와 제1 아이콘 어셈블리와 제2 아이콘 어셈블리를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와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로 분류하는 아이콘 어셈블리 분류단계, 및 아이콘 표시 신호가 입력되면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를 표시하는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아이콘 어셈블리 형성단계는 프레임에 나타난 오브젝트를 상품과 장소로 구분하고, 상품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제1 아이콘 어셈블리로 형성하고 장소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제2 아이콘 어셈블리로 형성한다.
아이콘 어셈블리 분류단계는 어느 아이콘 어셈블리를 먼저 보여줄 것인지 선택하는데, 아이콘 어셈블리들을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와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로 분류한다. 또한, 아이콘 어셈블리 분류단계는 컨텐츠의 종류를 인식하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아이콘 어셈블리를 분류한다.
아이콘 표시단계(S101)는 아이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후행 아이콘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아이콘 표시단계(S101)에서 아이콘 표시 신호가 입력되면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를 화면에 표시하고, 아이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정보 표시단계(S102)는 오브젝트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에 정보제공 영역을 생성하여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오브젝트 선택 신호는 화면에 나타난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클릭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나타난 커서가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폐곡선 그리도록 움직임으로써 오브젝트 선택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세정보는 통신망을 이용해서 스마트 디스플레이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전송된 데이터를 정보제공영역에 표시한다. 또한 상세정보는 컨텐츠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세정보 표시단계(S102)는 정보제공 영역에 상품의 이미지와 가격, 색상, 크기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세정보 표시단계(S102)에서는 상품의 수량을 선택하고, 결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주문입력 인터페이스를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화면 캡쳐단계(S103)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상품의 상세정보를 결합하여 저장한다. 화면 캡쳐단계(S103)는 화면에 나타난 프레임을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뿐만 아니라 상세정보를 캡쳐된 이미지에 결합하여 캡쳐 페이지를 생성시킨다.
화면 캡쳐단계(S103)는 상세정보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캡쳐 신호가 입력되면 캡쳐 페이지를 생성한다. 캡쳐 페이지는 화면 이미지와 선택된 상품의 이미지, 및 상품을 판매하는 웹사이트 주소를 포함한다.
캡쳐 페이지 전송단계(S104)는 캡쳐 페이지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거나, 통신망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로 전송한다.
도 4e는 생성된 캡쳐 페이지가 모바일 기기로 전송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스마트 디스플레이 11: 입력부
11a: 리모컨 수신모듈 11b: 모션 인식모듈
11c: 근거리 통신모듈 12: 출력부
13: 제어기 14: 아이콘 로딩부
14a: 아이콘 어셈블리 생성모듈 14b: 아이콘 어셈블리 분류모듈
15: 상세정보 로딩부 16: 화면 캡쳐부
17: 통신부 18: 저장부
20: 셋톱박스 30: 서버
40: 리모컨 50: 스마트 모바일 기기
60: 방송통신망

Claims (8)

  1. 화면에 표시된 상품 또는 장소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단계;
    화면에 정보제공 영역을 생성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정보 표시단계;
    화면을 캡쳐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에 오브젝트의 정보를 결합하여 캡쳐 페이지를 생성하는 화면 캡쳐단계; 및
    상기 캡쳐 페이지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캡쳐 페이지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상표와 함께 오브젝트의 명칭을 아이콘으로 생성하여 로딩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화면에 나타난 복수개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강조상품으로 선정하고 상기 강조상품에 표식을 결합하여 표시하는 표식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장소에 대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1 아이콘 어셈블리와 상품에 관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2 아이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아이콘 어셈블리 형성단계와 상기 제1 아이콘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아이콘 어셈블리를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와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로 분류하는 아이콘 어셈블리 분류단계, 및 아이콘 표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를 상기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보다 먼저 표시하는 선행 아이콘 어셈블리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아이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후행 아이콘 어셈블리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후행 아이콘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 단계는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지하는 형상인지 단계와 오브젝트와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 단계, 및 오브젝트가 포함된 프레임에 아이콘을 결합하는 아이콘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단계는 상품선택과 결제정보 입력을 위한 주문입력 인터페이스를 형성하여 표시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캡쳐단계는 캡쳐 페이지를 생성하며, 상기 캡쳐 페이지는 화면 이미지와 선택된 상품의 이미지, 및 상품을 판매하는 웹사이트 주소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30123407A 2013-10-16 2013-10-16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50044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407A KR20150044496A (ko) 2013-10-16 2013-10-16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407A KR20150044496A (ko) 2013-10-16 2013-10-16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496A true KR20150044496A (ko) 2015-04-27

Family

ID=5303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407A KR20150044496A (ko) 2013-10-16 2013-10-16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44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035B1 (ko)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66231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36267B1 (ko) 화면 분할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06657B1 (ko) 탐색바 로딩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453824B1 (ko) 탐색바 로딩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19032B1 (ko) 서치 커서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150044496A (ko)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566227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519027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664004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판매점 정보 제공 방법
KR101566230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50044520A (ko) 배경 인식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150044507A (ko) 인물상품 검색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150120899A (ko) 화면 분할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519022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66222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50068347A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769460B1 (ko) 아이콘 어셈블리 로딩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상품 광고 방법
KR101519041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536251B1 (ko) 공간정보 로딩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611991B1 (ko) 후광영역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536254B1 (ko) 공간정보 로딩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664093B1 (ko) 후광영역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50044508A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519034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