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023A -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023A
KR20150044023A KR20150048012A KR20150048012A KR20150044023A KR 20150044023 A KR20150044023 A KR 20150044023A KR 20150048012 A KR20150048012 A KR 20150048012A KR 20150048012 A KR20150048012 A KR 20150048012A KR 20150044023 A KR20150044023 A KR 20150044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heat exchanger
boil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4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효진
Original Assignee
임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효진 filed Critical 임효진
Priority to KR20150048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4023A/ko
Publication of KR2015004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6Wate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20Cooling by special gases or non-ambient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낮은 압력에서 낮은 온도에서 끓는 원리를 이용하고 배관응축수(33)의 수증기(32) 진행 방해와 증기압 감소를 일으키는 현상을 해소시킴으로 인하여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10-0764408호[발전랭킨사이클을 활용한 변압기 냉각장치]는 저온에서 끓는 냉매 또는 액화가스를 사용하는 발전랭킨사이클의 원리를 적용한 변압기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여 냉매순환에 추가적인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장점은 얻을 수 있으나, 냉매 또는 액화가스는 대체로 잠열이 작고 프레온 냉매로 자연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거나 폭발의 위험이 있는 등 다루는데 많은 주의를 요하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계에서 가장 증발잠열이 큰 부류에 속하며 사용함에 있어서 환경적 측면에서 제약이 없는 물을 사용하되, 물은 1기압하에서는 100℃에서 끓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끓을 수 있도록 배관 내부의 압력을 낮추기 위하여 추기펌프를 상시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물이 끓어 발생한 수증기(32)가 배관내부에서 응축되어 발생하는 배관응축수(33)가 수증기(32)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흐르므로 배관응축수(33)와 수증기(32)가 물리적으로 충돌하여 냉각을 위해 이동하는 수증기(32) 흐름의 진로를 방해하고 수증기(32) 온도를 낮게 만들어 증기압을 약화시켜 수증기(32)의 이동속도를 늦추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특히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 일측의 기체배관(21)과 액체배관(25) 사이를 관통하도록 연결되는 순환배관(41)을 설치하여 수증기(32)와 배관응축수(33)가 충돌하는 현상을 제거하였고 더불어 보일러용열교환기(13) 입상부부터 순환배관(41)까지의 수평구간에서 발생하는 증발표면적증대구간(44)를 이용하여 물의 증발표면적을 증대시켜 냉각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도록 하였다. 물은 증발잠열이 100℃에서 약540kcal/kg이므로 일반적인 프레온 냉매의 증발잠열을 약54kcal/kg임을 감안하면 약 10배의 효과가 증대되므로 냉각성능이 획기적으로 증대됨으로써 이는 냉각장치의 규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고, 환경에도 무해한 물을 냉매로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설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The cooler for transformer using Rankine cycle enlarged cooling performance}
변압기 냉각장치분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변압기 냉각방법은 공냉식, 풍냉식, 송유풍냉식 및 수냉식이 있다. 지금까지의 기술은 변압기에서 발생한 열을 배출하기 위하여 변압기 절연유나 가스를 강제순환시키면서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보일러용열교환기(13) 1차측으로 유입시킨 후 열교환기 2차측에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상호간에 열교환을 하도록 하여 열을 외부로 제거시켰다. 열교환기 2차측 냉매로 물을 사용하면서 물펌프를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기와 냉각탑 사이로 강제순환시키는 방식이 가장 보편적이며 최근에는 물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물 대신 저온에서 비등하는 냉매나 액화가스를 작동유체로 하여 자연순환시키는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 중이다. 등록번호 10-0764408호[발전랭킨사이클을 활용한 변압기 냉각장치]가 여기에 해당한다. 냉매로 물을 사용하고 물펌프로 물을 열교환기와 냉각탑 사이를 강제순환시키면 친환경적이나 물펌프 가동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며 물펌프 고장에 대비하여야 한다. 냉매로 냉동사이클에서 사용하는 저온에서 비등하는 냉매나 액화가스를 사용할 경우 순환에 에너지는 소요되지 않지만 대기중에 유출되면 오존층 파괴나 대기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증발잠열이 작아서 냉각장치 규모가 커진다.
본 발명에서는 물이 저압에서는 저온에서 기화한다는 원리를 적용한다. 압력이 내려가서 0.01기압이 되면 물은 약5℃에서 기화하는 것과 같이 압력을 낮춤으로써 기화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을 하고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물을 냉각시스템 열교환기 2차측 작동유체로 활용한다. 배관내부 압력을 항상 낮게 유지하기 위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또한 물이 끓어 발생한 수증기가 배관내부에서 응축되어 배관응축수(33)가 수증기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흐름으로 인해서 배관응축수(33)와 수증기가 물리적으로 충돌하여 수증기 흐름의 진로를 방해하고 수증기 온도를 낮게 만들어 증기압을 약화시켜 수증기의 이동속도를 늦추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물의 증발표면적을 증대시키는 방안도 강구한다.
물이 낮은 압력에서 낮은 온도에서 끓는 원리를 이용하며 하부에 보일러용열교환기(13)를 설치하고 상부에 응축기(16)를 설치한 후 배관으로 물의 폐순환회로를 구성하고 배관 일측에 추기펌프(24)를 설치하여 물의 폐순환회로 공간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물이 저온에서 끓도록 하여 물의 큰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변압기를 냉각시키고 기체배관(21)과 액체배관(25) 사이에 순환배관(41)을 설치하여 증발표면적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켜 냉각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해결수단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변압기 냉각방법은 공냉식, 풍냉식, 송유풍냉식 및 수냉식이 있다. 열교환기 2차측 냉매로 물을 사용하면서 물펌프를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기와 냉각탑 사이로 강제순환시키는 방식이 가장 보편적이며 최근에는 물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물 대신 저온에서 비등하는 냉매나 액화가스를 작동유체로 하여 자연순환시키는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 중이다. 냉매로 물을 사용하고 물펌프로 물을 열교환기와 냉각탑 사이를 강제순환시키면 친환경적이나 물펌프 가동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며 물펌프 고장에 대비하여야 하며 냉매로 냉동사이클에서 사용하는 저온에서 비등하는 냉매나 액화가스를 사용할 경우 순환에 에너지는 소요되지 않지만 대기중에 유출되면 오존층 파괴나 대기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이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기 물순환로에 물을 냉매로 사용하되 압력을 낮추어 버려야 할 폐열에 의해 물이 낮은 온도에서 비등하도록 하여 물펌프 없이 자연순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의 순환에 추가적인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며, 대기중에 유출되더라도 오존층 파괴나 대기오염을 유발시키지 않아서 친환경적이며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물을 순환냉매로 택함으로써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하였다.
물은 증발잠열이 100℃에서 약540kcal/kg이므로 일반적인 프레온 냉매의 증발잠열을 약54kcal/kg임을 감안하면 냉각성능이 증대됨으로써 냉각장치의 규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물이 끓어 발생한 수증기가 배관내부에서 응축되어 배관응축수(33)가 수증기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흐름으로 인해서 배관응축수(33)와 수증기(32)가 물리적으로 충돌하여 수증기 흐름의 진로를 방해하고 수증기(32) 온도를 낮게 만들어 증기압을 약화시켜 수증기의 이동속도를 늦추는 등의 문제점을 순환배관(41)을 추가로 설치하여 해소시킴으로써 냉각성능을 더욱더 향상시켰다.
도 1은 기존의 발전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 설명도이다.
도 3은 배관응축수가 수증기 진행 및 온도 유지를 방해하는 현상 설명도이다.
도 4는 순환배관 설치에 따른 물, 수증기, 응축수 순환계통 변경 설명도이다.
도 5는 기존의 냉각장치의 기체배관의 수평구간 문제점 상세 설명도이다.
도 6은 배관증발표면과 증대증발표면의 비교 설명도이다.
도 7은 기체배관과 순환배관 연결부위에 연결통을 설치한 사례 설명도이다.
도 8은 연장연결통을 설치한 사례 설명도이다.
도 1은 기존의 발전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설명도이다. 절연유 또는 절연가스를 저장하는 변압기(또는 방열판)(10)의 절연유 또는 절연가스는 순환펌프(12)의 작동에 변압기(또는 방열판)(10)와 보일러용열교환기(13) 1차측 사이를 순환관(11)을 통하여 순환하면서 열교환에 의해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에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끓인다. 사용되는 작동유체는 냉동사이클에 사용되는 냉매나 액화가스 등을 사용한다.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에 유입된 작동유체는 1차측에 유입 되어 순환되는 변압기의 절연유 또는 절연가스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끓어 기체가 되며 압력조절밸브(14)에 의해 압력과 비등점이 조절된다. 기화된 작동유체는 압력조절밸브(14)를 통하여 넓은 공간을 가진 팽창기(15)로 유입되어 단열팽창 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터빈 등의 기계장치에 일을 행하고 에너지를 일부 상실하고 응축기(16)로 유입되어 열을 빼앗기고 액체상태로 상태변화를 한다. 액화된 작동유체는 작동유체탱크(17)로 유입되고 작동유체공급펌프(18)에 의해 작동유체량조절밸브(19)를 거쳐 보일러용열교환기(13)에 유입되어 냉각의 한 사이클을 종료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 설명도이다. 변압기(또는 방열판)(10)와 보일러용열교환기(13) 1차측 사이를 순환관(11)으로 폐회로를 형성시키고 순환관(11) 일측에 순환펌프(12)를 설치하여 변압기(또는 방열판)(10)의 절연유 또는 절연가스가 순환하면서 보일러용열교환기(13) 1차측에 열을 제공하도록 하고, 응축기(16)를 보일러용열교환기(13) 보다 상부에 설치하며,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상부 유출구와 응축기(16) 상부 유입구를 기체배관(21)로 연결하고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하부 유입구와 응축기(16) 하부 유출구를 액체배관(25)으로 연결하여 보일러용열교환기(13), 기체배관(21), 응축기(16), 액체배관(25), 다시 보일러용열교환기(13)로 구성되는 물의 순환폐회로를 형성시키고, 상기의 물의 순환폐회로 공간 중에서 수증기 이동통로가 될 기체배관(21)과 응축기(16)를 제외한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을 포함한 공간에 물(액체)(22)을 채우고, 상기의 물의 순환폐회로를 형성하는 배관 일측에 관통되도록 추기탱크(23)를 설치하고 추기탱크 일측에 관통되도록 추기펌프(24)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작동원리는 도3 설명과 함께 설명한다.
도 3은 배관응축수가 수증기 진행 및 온도 유지를 방해하는 현상 설명도이다. 도2에서 구성한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포함하여 다음과 같이 함께 설명한다. 절연유 또는 절연가스를 저장하는 변압기(또는 방열판)(10)의 절연유 또는 절연가스는 순환펌프(12)의 작동에 변압기(또는 방열판)(10)와 보일러용열교환기(13) 1차측 사이를 순환관(11)을 통하여 순환하면서 열교환에 의해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하부 유입구를 통하여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에 유입된 작동유체인 물(액체)(22)을 가열하여 온수(31)를 만든다. 이 상태에서 추기펌프(24)가 가동되면 보일러용열교환기(13), 기체배관(21), 응축기(16), 액체배관(25), 다시 보일러용열교환기(13)로 구성되는 물의 순환폐회로 내부의 압력은 낮아지고 온수(31)는 끓어 수증기(32)가 되며 기체배관(21)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 증기압력이 낮은 응축기(16)로 유입되어 열을 외부로 버리고 다시 액체로 상변화하여 응축기응축수(34)가 되어 증력에 의해 액체배관(25)을 통하여 보일러용열교환기(13) 하부 유입구로 유입되어 냉각 순환의 한 주기를 마친다. 응축기응축수(34)는 중력에 의해 응축기응축수흐름방향(38)을 따라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하부 유입구로 유입된 후 보일러용열교환기(13) 내부에서 열을 흡수하여 다시 온수(31)가 되어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뜨거운 수증기(32)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기체배관(21) 속을 흐르게 되면 기체배관 내부에는 배관응축수(33)가 발생하게 된다. 배관응축수흐름방향(37)은 온수흐름방향(35) 및 수증기흐름방향(36)과 반대방향으로 발생하여 배관응축수(33)는 온수(31) 및 수증기(32)와 충돌하면서 워터헤머(Water hammer) 현상을 유발시킨다. 온도가 낮은 배관응축수(33)는 온수(31)와 물리적 충돌할 뿐만 아니라 온수(31)의 온도를 낮추어 수증기(32) 발생을 더디게 하며, 또한 응축기(16)로 날아가야 할 수증기(32)의 진행을 물리적 충돌로 방해하고 수증기(32)의 온도를 낮추어 증기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수증기(32)의 진행 속도를 늦추며 수증기(32) 밀도를 감소시켜 냉각에 큰 지장을 유발한다. 특히 배관응축수방해구간(39) 중에서 수직배관 구간은 배관응축수(33)가 중력에 의해 낙하함으로써 발생과 소멸을 계속 반복하여 방해 정도가 약하지만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은 온도가 낮은 배관응축수(33)가 온수(31) 및 수증기(32)와 충돌하면서 계속 누적됨으로써 장시간 그 영향이 증폭되면서 냉각성능을 상당히 방해한다. 수평구간 길이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그 정도가 심하고 결국 수평구간 내부에서 배관응축수(33)와 온수(31)가 힘의 균형이 같아질 경우 수평구간 전체를 배관응축수(33)와 온수(31)가 대립하면서 배관을 막아서 수증기(32) 이동이 전면 통제되어 냉각장치가 기능을 상실하는 것이 실험을 통하여 밝혀졌다. 추기펌프(24)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에 의해 상기의 물의 순환폐회로 공간 내부의 압력을 높이는 요인을 제공하는 기체를 물의 순환폐회로 공간 외부로 배출시켜 계속 낮은 압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순환배관 설치에 따른 물, 수증기, 응축수의 순환계통 변경 설명도이며, 도 5는 기존의 냉각장치의 기체배관의 수평구간 문제점 상세 설명도이고, 도 6은 배관증발표면과 증대증발표면의 비교 설명도이다. 도4 내지 도6을 함께 설명한다. 도4는 도2에서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 일측에서 액체배관(25) 일측으로 관통되도록 순환배관(41)을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배관을 구성하면 뜨거운 수증기(32)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기체배관(21) 속을 흐르게 되면 기체배관 내부에는 배관응축수(33)가 발생하게 되지만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에서 배관응축수(33)는 온수(31)와 충돌한 후 배관응축수(33) 수두는 온수(31) 수두와 혼합되어 혼합수(42)가 되어 순환배관(41)을 통하여 혼합수흐름방향(43)을 따라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하부 유입구로 유입되면서 정상적으로 냉각장치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상부 유출구부터 순환배관(41)까지의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에 온수(31)가 올라 올 수 있고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구간에서는 수증기(32)가 잘 발생하도록 증발표면적이 증대되는 증대증발표면(61)이 만들어 지는 증발표면적증대구간(44)을 형성하게 된다.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이 긴 경우에는 증대증발표면(61)을 획기적으로 크게 할 수가 있어서 냉각성능을 매우 증대시킬 수 있다. 배관증발표면(60)은 배관의 단면적에 불과하지만 증대증발표면(61)은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이 길어질수록 매우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증발표면적증대구간(44)에서는 온수흐름방향(35)과 수증기흐름방향(36)이 일치하므로 수증기(32)가 더 가속되어 응축기(16)로 날아 갈 수 있어서 냉각성능을 매우 높게 한다. 온수(31)와 혼합수(42)의 흐름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상부 유출구부터 순환배관(41)까지의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의 배관을 설치함에 있어서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상부 유출구 쪽은 높게 순환배관(41) 쪽은 낮게 역구배(미도시)가 되도록 배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렇게 하면 중력이 작용하여 온수(31)가 배관응축수(33) 더 강하게 밀어 낼 수 있으므로 냉각성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순환배관(41)이 설치되지 않은 도3의 경우에는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상부 유출구부터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에 배관응축수방해구간(39)이 발생할 경우 수증기와배관응축수접촉면(51)이 길게 형성되고 배관응축수흐름방향(37)과 수증기흐름방향(36)이 반대방향으로 발생하여 냉각성능을 매우 떨어지게 작용을 한다.
도 7은 기체배관과 순환배관 연결부위에 연결통을 설치한 사례 설명도이다. 도7은 도4에서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 일측과 순환배관(41) 연결부위의 공간 확장을 위하여 기체배관(21) 보다 넓은 공간을 가지는 연결통(71)을 추가로 설치하여 연결통(71)의 상부는 별도의 기체배관(21)이 유입 및 유출되도록 관통되게 연결하고 연결통(71)의 하부는 순환배관(41)을 유출되도록 관통되게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연결통(71)은 기체배관(21)보다 큰 공간을 가지도록 제작하여 온수(31), 수증기(32), 배관응축수(33), 혼합수(42)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연장연결통을 설치한 사례 설명도이다. 도8은 도7에서 연결부위 공간 확장 및 혼합수(42)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 순환배관(41)을 제거하고 연결통(71)을 연장하여 연장연결통(81)을 제작하여 연장연결통(81)의 상부는 별도의 기체배관(21)이 유입 및 유출되도록 관통되게 연결하고 연장연결통(81)의 하부는 별도의 액체배관(25)이 유입 및 유출되도록 관통되게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8은 도7의 특징에 추가하여 혼합수(42) 용량이 크므로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에 계속하여 온도가 높은 혼합수(42)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온수(31)를 만들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혼합수(42)를 유출시켜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에 제공하기 위한 액체배관(25)은 온도가 낮은 응축기응축수(34)와 멀리 떨어지도록 연장연결통(81) 높은 위치에 연결시켜 온도가 높은 혼합수(42)가 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10 : 변압기(또는 방열판) 11 : 순환관
12 : 순환펌프 13 : 보일러용열교환기
14 : 압력조절밸브 15 : 팽창기
16 : 응축기 17 : 작동유체탱크
18 : 작동유체공급펌프 19 : 작동유체량조절밸브
21 : 기체배관 22 : 물(액체)
23 : 추기탱크 24 : 추기펌프
25 : 액체배관 31 : 온수
32 : 수증기 33 : 배관응축수
34 : 응축기응축수 35 : 온수흐름방향
36 : 수증기흐름방향 37 : 배관응축수흐름방향
38 : 응축기응축수흐름방향 39 : 배관응축수방해구간
41 : 순환배관 42 : 혼합수
43 : 혼합수흐름방향 44 : 증발표면적증대구간
51 : 수증기와배관응축수접촉면 60 : 배관증발표면
61 : 증대증발표면 71 : 연결통
81 : 연장연결통

Claims (4)

  1. 변압기(또는 방열판)(10)와 보일러용열교환기(13) 1차측 사이를 순환관(11)으로 폐회로를 형성시키고 순환관(11) 일측에 순환펌프(12)를 설치하여 변압기(또는 방열판)(10)의 절연유 또는 절연가스가 순환하면서 보일러용열교환기(13) 1차측에 열을 제공하도록 하고, 응축기(16)를 보일러용열교환기(13) 보다 상부에 설치하며,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상부 유출구와 응축기(16) 상부 유입구를 기체배관(21)로 연결하고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하부 유입구와 응축기(16) 하부 유출구를 액체배관(25)으로 연결하여 보일러용열교환기(13), 기체배관(21), 응축기(16), 액체배관(25), 다시 보일러용열교환기(13)로 구성되는 물의 순환폐회로를 형성시키고, 상기의 물의 순환폐회로 공간 중에서 수증기 이동통로가 될 기체배관(21)과 응축기(16)를 제외한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을 포함한 공간에 물(액체)(22)을 채우고, 상기의 물의 순환폐회로를 형성하는 배관 일측에 관통되도록 추기탱크(23)를 설치하고 추기탱크 일측에 관통되도록 추기펌프(24)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 일측에서 액체배관(25) 일측으로 관통되도록 순환배관(41)을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상부 유출구부터 순환배관(41)까지의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의 배관을 설치함에 있어서 보일러용열교환기(13) 2차측 상부 유출구 쪽은 높게 순환배관(41) 쪽은 낮게 역구배(미도시)가 되도록 배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기체배관(21)의 수평구간 일측과 순환배관(41) 연결부위의 공간 확장을 위하여 기체배관(21) 보다 넓은 공간을 가지는 연결통(71)을 추가로 설치하여 연결통(71)의 상부는 별도의 기체배관(21)이 유입 및 유출되도록 관통되게 연결하고 연결통(71)의 하부는 순환배관(41)을 유출되도록 관통되게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KR20150048012A 2015-04-05 2015-04-05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KR20150044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8012A KR20150044023A (ko) 2015-04-05 2015-04-05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8012A KR20150044023A (ko) 2015-04-05 2015-04-05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023A true KR20150044023A (ko) 2015-04-23

Family

ID=5303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48012A KR20150044023A (ko) 2015-04-05 2015-04-05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40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1217A (zh) * 2019-11-06 2020-03-27 南京玻璃纤维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岩棉制品冶炼电炉用的变压器
KR102375331B1 (ko) * 2021-08-19 2022-03-16 (주)원일종합전기 가스변압기용 냉각시스템
KR20230012659A (ko) * 2020-07-13 2023-01-26 히타치 에너지 스위처랜드 아게 정전기 유도 배열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1217A (zh) * 2019-11-06 2020-03-27 南京玻璃纤维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岩棉制品冶炼电炉用的变压器
KR20230012659A (ko) * 2020-07-13 2023-01-26 히타치 에너지 스위처랜드 아게 정전기 유도 배열체
US11908602B2 (en) 2020-07-13 2024-02-20 Hitachi Energy Ltd Static electric induction arrangement
KR102375331B1 (ko) * 2021-08-19 2022-03-16 (주)원일종합전기 가스변압기용 냉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6284B2 (ja) 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の廃熱回収設備
BR112012011409B1 (pt) Máquina termodinâmica, utilização de uma máquina termodinâmica e processo para a operação de uma máquina termodinâmica
JP6268714B2 (ja) 地熱発電システム
US10161684B2 (en) Air cooling unit
JP2022520595A (ja) エネルギー変換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50044023A (ko) 냉각성능이 증대된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JP2009530844A (ja) 発電サイクルを用いた変圧器の冷却装置
KR20150138661A (ko) 석탄화력 발전소에서 온배수 폐열 회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WO2008143542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transformation d'énergie thermique en électricité, en une chaleur à potentiel plus élevé ou en froid
KR20140033475A (ko) 물의 저온비등 자연순환 산업기계용 냉각시스템
KR100764408B1 (ko) 발전랭킨사이클을 활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KR20110097745A (ko) 응축기가 증발기 하부 또는 측부에 위치하는 저온비등 냉각시스템
CN205789133U (zh) 一种非能动核电站辅助降压系统
CN104075489B (zh) 高温蒸汽热泵机组
KR200426427Y1 (ko) 냉매로 작동되는 써모사이펀 적용 변압기냉각장치
KR20100044738A (ko) 랭킨사이클을 활용한 굴뚝 내부 배기가스 냉각시스템
KR20110073409A (ko) 물의 저온비등 자연순환 냉각시스템
KR101336788B1 (ko) 유기랭킨사이클용 냉각시스템
WO2012148149A2 (ko) 물의 저온비등 자연순환 냉각시스템
KR20150040399A (ko) 지열원 히트펌프냉난방시스템
JP2015031174A (ja) 地熱タービン
KR20120058481A (ko) 물의 저온비등 자연순환 냉각시스템
KR200441997Y1 (ko) 냉매기화열을 이용한 전력구/터널 냉각시스템
KR20160081758A (ko) 증발장치에 의한 고효율 저온 발전시스템
KR20160054652A (ko) 증기분사 진공 냉각장치의 하이브리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