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939A -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939A
KR20150043939A KR20130122966A KR20130122966A KR20150043939A KR 20150043939 A KR20150043939 A KR 20150043939A KR 20130122966 A KR20130122966 A KR 20130122966A KR 20130122966 A KR20130122966 A KR 20130122966A KR 20150043939 A KR20150043939 A KR 2015004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rabbit
ear
head
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2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럽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럽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럽모바일
Priority to KR2013012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3939A/en
Publication of KR2015004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9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which has an overall shape depicting a rabbit wrapped around a mobile phone. The head of the rabbit includes eyes, nose, ears, and mouth. Metal supports are arranged in the ears protruding from the head to maintained the curved shape of the ears and enables the ears to be curved to fit a user′s need. A step (21) is arranged on the periphery of a storage chamber (2) formed on a side surface to surround and fix the edge of the mobile phone. The rabbit-shaped head shape (4) and body (5)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to implement an overall shape of a rabbit. A pair of bendable ears (6) protrudes from the rabbit-shaped head (4). Rabbit legs (7) protrude from ends of the rabbit-shaped head and body (4, 5). The center of the rabbit-shaped head (4) is curved outwardly and the rabbit-shaped head includes the eyes (41), nose (42), and mouth (43). The ears (6) have embedded metal supports (61) to maintain the curved shape and rigidity. A hook (62) protrudes from a side surface of the ears (6) to be fixed the body (5). The hook (62) is forcefully fitted and inserted to a hole (63) formed on the body (5) to be fixed onto the body (5).

Description

휴대폰 보호케이스{Mobile phone protective case}[0002]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0003]

본 발명은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적인 형상을 토끼형태로 구성하고 머리에 눈, 코, 귀, 입을 형성하여 마치 토끼가 휴대폰을 감싸 보호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하고, 또한 머리에 돌출된 귀 내부에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는 금속재의 지지대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이 귀를 절곡하여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사용 목적에 따라 임의대로 절곡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in which the overall shape is formed into a rabbit shape and a head, a nose, an ear, and a mouth are formed to make a rabbit feel wrapped around a cellular 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which can be used as a handle by bending a user with a built-in support for a metallic material that maintains a bent shape inside thereof.

최근의 휴대폰은 PC와 같은 기능과 더불어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휴대폰은 전화 기능이 있는 소형 컴퓨터라 볼 수 있는데,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점,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는 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점, 그리고 같은 운영 체제를 가진 스마트폰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점 등도 기존 피처 폰(feature phone)이 갖지 못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recent years, mobile phones have become more popular with PCs and smart phones that offer advanced functions. These smart phones can be regarded as small computers with telephony functions.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connect directly to the Internet using wireless Internet, they can access various ways using various browsing programs, There is also the advantage that existing feature phones do not have such features as being able to implement an interface suitable for them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and sharing applications between smart phones with the same operating system.

이러한 스마트 휴대폰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이나 또는 사용시 부주의로 떨어뜨릴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다.Such a smart phone uses a protective case to protect it from physical shocks that may occur from outside or inadvertent dropping in use.

종래에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액정 개방형태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2-0012012호 및 액정 개폐형태인 제20-2012-0007646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전자의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단순히 케이스의 수납실에 휴대폰을 수납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었고, 후자의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수첩형태로 만들어져 명함이나 신용카드를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Conventionally, the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has been developed as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12-0012012, which is a liquid crystal opening type, and a liquid crystal opening and closing type, No. 20-2012-0007646. However, the electronic case for protecting the mobile phone is simply used for storing and storing the mobile phone in the case of the case, and the latter case for mobile phone has a function of storing a business card or a credit card.

그러나 종래 휴대폰 보호케이는 양자 모두 외관이 단조로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통화시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케이스 전체를 감싼 상태로 파지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항상 손가락에 강한 힘을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은 넓은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액정이 점차 커지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휴대폰의 면적이 넓어 손이 작은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에는 불편하고, 종종 사용시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었다.
However, since both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protection cords are not only monotonic in appearance but also have no separate hand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trong force is always required to be applied to the fingers because the user must grasp the case while wrapping the entire case with the fingers and the palm. In particular, recent smart phones tend to increase in size in order to provide a wider screen, and accordingly, the area of the mobile phone is so wide that it is inconvenient for young children or young people with hand to hold it with one hand, there was.

따라서, 외관이 단조롭지 않으면서도, 돌출부가 형성되어 이 돌출부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대로 절곡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보호케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which can form a protruding portion without being monotonous in appearance and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by bending the protruded portion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적인 형상을 토끼형태로 구성하고 머리에 눈, 코, 귀, 입을 형성하여 마치 토끼가 휴대폰을 감싸 보호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하여 단조로움을 회피할 수 있는 휴대폰 보호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 protection case for a mobile phone, which comprises a rabbit shape as a whole and forms an eye, a nose, an ear, And it is possible to avoid the monotony by providing a feeling of prot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머리에 돌출된 귀 내부에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는 금속재의 지지대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이 귀를 절곡하여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사용 목적에 따라 임의대로 절곡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support member for a metallic material that is bent in the shape of an ears protruding from the head and which can be bent and used as a handle by a user, In order to provide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휴대폰 테두리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수납실 둘레에 단턱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토끼의 머리와 몸체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토끼형상을 가지며, 상기 머리에는 절곡가능하게 한 쌍의 귀가 돌출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ep is formed around a housing chamber formed on one side so as to surround and fasten the frame of the mobile phone, and the other side forms a head and a body of a rabbit, And a pair of ears are bendably projected from the head.

상기 토끼형상은 머리와 몸체 단부에는 토끼의 다리가 돌출된다.In the rabbit shape, the legs of the rabbit protrude from the head and the body end.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머리는 사방 중앙부분이 돌출되게 곡면형태로 구성되고, 눈, 코, 입이 성형된다.The head of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urved surface with protruding central portions on all four sides, and eye, nose and mouth are molded.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귀는 강성을 가지면서 절곡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금속재의 지지대가 매립된다.In addition, the ear of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with a support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maintain a bent shape with rigidity.

또한, 상기 귀를 몸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귀 일측면에 후크가 돌출되고, 상기 후크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에 구멍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hook is protrud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ear so that the ear can be fixed to the body, and a hole is formed in the body so that the hook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a detachable manner.

또한, 휴대폰 보호케이스 재질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수납실 바닥면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리브가 돌출된다.
Further,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material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ribs protrude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artment can maintain rigidit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전체적으로 긴 귀가 달리 토끼형상으로 구성되어 마치 토끼가 휴대폰을 감싸 보호하는 형상을 하고 있고, 몸체 양단부에 짧은 다리가 장착되고, 머리에는 눈, 코, 귀, 입이 귀엽게 장착되어 단조로움을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has a shape in which a rabbit is wrapped around a cellular phone and has a short leg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body, and a head, eyes, nose, ear, mouth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avoid monotony.

또한, 본 발명은 귀 내부에 금속재의 지지대가 매립되어 사용자가 귀를 구부리면 지지대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 귀를 절곡하여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사용 목적 형태로 절곡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etal support is embedded in the ear and the user bends the ear, the support is kept bent. Therefore, the ear can be bent and used as a handl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the proper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사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다른 사시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머리를 보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몸체를 보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수납실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귀를 절곡하여 후크를 보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귀에 형성된 후크가 구멍에 삽입된 것을 보인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귀 내부에 지지대가 매립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후크가 구멍에 삽입되어 귀가 몸체가 밀착 고정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귀를 절곡하여 손잡이로 사용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귀를 절곡하여 손잡이로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귀를 이용하여 휴대폰 보호케이스를 세워 거치하는 것을 보인 측면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따른 귀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실제 통화하는 것을 보인 사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head of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hotograph of a storage compartment of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a hook by bending an 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the hook formed in the ea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hole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bars embedded in the 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a hole,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the 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nd used as a handle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erection of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using the 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ctual conversation using the 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kno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1)는, 휴대폰 테두리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이 일측면에 형성된 수납실(2)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실(2) 둘레에는 휴대폰이 빠지지 않도록 단턱(21)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실(2) 바닥면에는 수납실(2) 형상의 유지하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리브(22)가 돌출된다. 상기 리브(22)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격자형태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torage room 2 formed on one side as shown in FIG. 5 so as to enclose the mobile phone frame. A step (21) is formed around the storage chamber (2) so that the cellular phone does not come off. A rib (22)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chamber (2) so as to have rigidity to hold the shape of the housing chamber (2). The ribs 22 are formed in a lattice shap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상기 수납실(2)은 외부에서 수납실(2)에 보관된 휴대폰과 연결된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로가 관통된다. 상기 통로는 휴대폰을 충전시키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케이블 삽입공(31),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는 이어폰케이블 삽입공(32), 안테나를 인출할 수 있는 안테나 인출공(33), 및 휴대폰에 장착된 필기구를 인출 및 삽입할 수 있는 필기구 인출공(34) 등이 관통된다. 또한 상기 수납실(2)은 카메라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카메라 촬영공(35) 및 송화음이 전달되고 수화음을 들을 수 있도록 음성공(36)이 관통된다. 이 외에도 휴대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더 많은 통로가 관통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assageways penetrate the storage room 2 so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2 can be connected to a cellular phone stored in the storage room 2 from the outside. The passageway includes a power cable insertion hole 31 to which a power cable for charging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an earphone cable insertion hole 32 to which the earphone can be connected, an antenna extraction hole 33 to which the antenna can be drawn, And a writing implement take-out hole 34 through which a written writing implement can be drawn and inserted. Also, in the storage room 2, a camera photographing hole 35 and a sound succeeding part 36 are provided so as to ensure the view of the camera, and a sound succession is transmitted so that the synthesized sound can be heard. In addition, more passageways can penetrate as needed to enable the functionality of the phone.

상기 수납실(2)의 배면에 해당하는 타측면은 토끼의 머리(4)와 몸체(5)를 나타내는 모양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토끼형상을 가지며, 상기 머리(4)에는 절곡가능하게 한 쌍의 귀(6)가 돌출된다. 상기 토끼형상은 머리(4)와 몸체(5) 단부에 다리(7)가 돌출되어 토끼가 마치 앞뒤 다리(7)를 펼친 귀여운 형상을 갖는다.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back 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2 is formed into a shape representing the head 4 and the body 5 of the rabbit and has a rabbit shape as a whole. (6) protrudes. The rabbit shape has a cute shape in which the legs (7) protrude from the ends of the head (4) and the body (5) so that the rabbit has the front and back legs (7) spread.

상기 토끼의 머리(4)는 사방 중앙부분이 돌출되게 곡면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곡면상에 눈(41), 코(42), 입(43)이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휴대폰 보호케이스(1) 재질이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므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1)는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머리(4)의 색상은 연분홍색, 몸체(5)는 보라색을 사용하였다. 머리(4)에 장착된 눈(41), 코(42), 입(43)은 검정색으로 표현하여 사용자 및 타인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머리(4)와 몸체(5)는 다양한 색상으로 표할 수 있다.
The head 4 of the rabb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four sides and the eye 41, the nose 42 and the mouth 43 may be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ly attached on the curved surface. Preferably, since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it is preferably integrally molded. The cellular phone protection cas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ressed in various colors. In this embodiment, the color of the head 4 is pink and the color of the body 5 is purple. The eyes 41, the nose 42 and the mouth 43 mounted on the head 4 are expressed in black so that they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others. Of course, the head 4 and the body 5 can be represented in various colors.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1)는 전체적으로 토끼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토끼의 상징인 귀(6)를 크게 부각시켜 다양한 용도로 사용토록 하였다. Since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abbit shape as a whole, the ear 6, which is a symbol of the rabbit, is greatly emphasized and used for various purposes.

상기 귀(6)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머리(4)의 하부에 장착되어 몸체(5)의 방향으로 연장되게 처리하였다. 상기 귀(6)는 강성을 가지면서 절곡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금속재의 지지대(61)가 매립되게 하였다. The ear 6 wa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head 4 and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5 as shown in the figure. The ear 6 has a metal support 61 embedded therein so that the ear 6 can maintain a rigid and folded shape.

상기 지지대(61)는 금속재 철사와 같이 절곡하면 그를 감싸는 연질의 합성수지의 탄성을 이기면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대(61)는 귀(6)의 두께를 감안하여 얇은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61, when folded like a metal wire, maintains a bent state while being resilient to soft synthetic resin surrounding it, so that it can be bent and us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ase 61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ear 6.

또한, 상기 귀(6)는 휴대폰 보호케이스(1) 보관시 또는 사용시 장애요소가 될 경우에는 몸체(5)에 강제로 밀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귀(6)를 몸체(5)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귀(6) 일측면에 후크(62)가 돌출되고, 상기 후크(62)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5)에 구멍(63)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63)은 후크(62)의 외경보다 좁게 하여 후크(62)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임의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ear 6 can be firmly fixed to the body 5 when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 is stored or becomes an obstacle in use. That is, a hook 62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ear 6 to fix the ear 6 to the body 5, and the hook 62 is inserted into the body 5 5 are formed with holes 63.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e 63 is made narrow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ook 62 so that the hook 62 is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arbitrarily.

따라서, 상기 귀(6)를 몸체(5)에 부착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귀(6)를 펼친 상태에서 배면에 돌출된 후크(62)를 몸체(5)의 구멍(63)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하게 되면, 후크(62)가 구멍(63)을 벌리면서 삽입된 후 구멍(63)은 그와 동시에 복원되어 후크(62)를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attach the ear 6 to the body 5, the user can attach the hook 62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ear 6 to the hole 63 of the body 5 After the hook 62 is inserted with the hole 63 being opened, the hole 63 is restored at the same time and fixed so that the hook 62 is not pulled out.

한편, 귀(6)를 펼쳐 여러 가지 형태로 절곡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귀(6)를 강제로 잡아당기면 된다. 이때 후크(62)가 구멍(63)을 벌리면서 간단히 빠져나오게 되고 구멍(63)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ar 6 is unfolded and bent in various forms, the user can forcibly pull the ear 6. At this time, the hook 62 is easily released while opening the hole 63, and the hole 63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다음은 본 발명의 귀(6)를 절곡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Next, it is explained that the ear 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nd used in various forms.

도 1 내지 도 4는 귀(6)를 바르게 펼쳐서 몸체(5)에 근접되게 하거나 밀착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는 양측 귀(6)가 길게 형성되었으나 몸체(5)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시 장애요소가 되지 않으면서 귀(6)가 장착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1 to 4 show that the ear 6 is properly spread and brought close to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5. In this case, both the ears 6 are formed to be long, but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5, which means that the ear 6 is attached without being a hindrance in handling.

도 6은 귀(6)의 끝 부분을 절곡하여 배면에 후크(62)가 돌출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후크(62)의 하부 몸체(5)에는 후크(62)를 수용하는 구멍(63)이 관통되어 있다. 6 shows that the hook 62 is protrud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ear 6 by bending the end portion of the ear 6. The lower body 5 of the hook 62 has a hole 63 through which the hook 62 is received.

도 7은 본 발명의 귀(6)에 형성된 후크(62)가 몸체(5)에 관통된 구멍(63)에 관통된 것을 보인 수납실(2)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the housing chamber 2 showing that the hook 62 formed in the ear 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ssed through the hole 63 penetrating the body 5. Fig.

도 8은 본 발명의 귀(6)가 머리(4)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몸체(5)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귀(6)에 형성된 후크(62)가 몸체(5)에 형성된 구멍(63)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귀(6)가 몸체(5)에 고정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8 shows a state in which the ear 6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obliquely from the head 4 and is separated from the body 5 and Fig. 9 shows the hook 62 formed in the ear 6 of the present invention, 5 in a state in which the ear 6 is fixed to the body 5 by inserting it into the hole 63 formed in the body 5 as shown in Fig.

도 10은 본 발명의 귀(6)를 절곡하여 오목하게 절곡된 내부에 손잡이를 수용하여 휴대폰 보호케이스(1)를 손에 걸어 도 12, 도 14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Fig. 10 shows that the earphone 6 is folded in the recess 6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arphone is received in the recessed inner portion so that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 can be used as shown in Figs. 12 and 14.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귀(6)를 경사지게 바르게 펴서 휴대폰 보호케이스(1)를 경사지게 지지토록 하여 귀(6)가 받침대 기능을 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Fig. 13 also shows that the ear 6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as a pedestal by tilting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 obliquely and straightly.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1)는 전체적으로 긴 귀(6)가 달리 토끼형상으로 구성되어 마치 토끼가 휴대폰을 감싸 보호하는 형상을 하고 있고, 머리(4)에 눈(41), 코(42), 귀(6), 입이 귀엽게 장착되어 단조로움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귀(6) 내부에 금속재의 지지대(61)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귀(6)를 구부리면 지지대(61)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 귀(6)를 절곡하여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사용 목적 형태로 절곡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이다.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ng ears 6 are differently shaped like rabbits so that the rabbit covers and protects the mobile phone, The nose 42, the ear 6 and the mouth are adhered to the ear 6 so as to avoid monotony and the metal support base 61 is mounted inside the ear 6 so that when the user bends the ear 6, 61 are folded. Therefore, the ear 6 can be folded and used as a handle, so that it can be bent into various forms of us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1 : 휴대폰 보호케이스 2 : 수납실
4 : 머리 5 : 몸체
6 : 귀 7 : 다리
61 : 지지대 62 : 후크
63 : 구멍
1: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2: Storage compartment
4: Head 5: Body
6: Ear 7: Leg
61: Support base 62: Hook
63: hole

Claims (6)

휴대폰 테두리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수납실(2) 둘레에 단턱(21)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토끼의 머리(4)와 몸체(5)를 나타내는 모양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토끼형상을 가지며, 상기 머리(4)에는 절곡가능하게 한 쌍의 귀(6)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A step 21 is formed around the housing chamber 2 formed on one side so as to enclose the frame of the mobile phon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to a shape representing the head 4 and the body 5 of the rabbit, , And a pair of ears (6) protruding from the head (4) so as to be fold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끼형상은 머리(4)와 몸체(5) 단부에는 토끼의 다리(7)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4] The rabb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bbit shape protrudes from the head (4) and the end of the body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4)는 사방 중앙부분이 돌출되게 곡면형태로 구성되고, 눈(41), 코(42), 입(43)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The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4)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protrude from the four central portions, and the eye (41), the nose (42), and the mouth (43) are mold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귀(6)는 강성을 가지면서 절곡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금속재의 지지대(61)가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The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ar (6) is embedded with a metal support (61) so that the ear (6) can maintain a rigid and bent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귀(6)를 몸체(5)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귀(6) 일측면에 후크(62)가 돌출되고, 상기 후크(62)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5)에 구멍(6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A hook (6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ok (62) is projected on one side of the ear (6) to secure the ear (6) to the body (5) Wherein a hole (63) is formed in the body (5).
청구항 1에 있어서, 휴대폰 보호케이스 재질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수납실(2) 바닥면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리브(22)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The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material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room (2) is protruded with ribs (22) to maintain rigidity.
KR20130122966A 2013-10-15 2013-10-15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KR201500439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966A KR20150043939A (en) 2013-10-15 2013-10-15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966A KR20150043939A (en) 2013-10-15 2013-10-15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939A true KR20150043939A (en) 2015-04-23

Family

ID=5303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2966A KR20150043939A (en) 2013-10-15 2013-10-15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393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285B1 (en) Connecting device opening and shutting front cov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se thereof
KR200465995Y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55692Y1 (en) Cellular phone case combined with battery cover
KR20120003703U (en) A case for cell phone with dual structure
KR20130007175U (en) Holder ring for mobile phone
KR101280783B1 (en) Holder ring for mobile phone
KR200462821Y1 (en) Protectio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4972697B2 (en) Electronic equipment
KR101622775B1 (en) Easy earphone fixed mobile phone case
KR20150004606U (en) Case of cellular phone
JP3175864U (en) Cover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150043939A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KR200455103Y1 (en) Combi case for cell phone
US9247035B1 (en) Twisted case
KR200468689Y1 (en) Mobile phone case
KR101370928B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KR101357323B1 (en) Case with winding portion
KR101612672B1 (en) Earphone combined smart phone case
KR200476384Y1 (en) Separable Smart-phone Case
KR101459713B1 (en) Protecting case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N210351287U (en) Mobile phone casing
KR200474706Y1 (en) Separating Smart-phone case
KR200474953Y1 (en) Accessories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of mobile terminal
KR200472993Y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74074Y1 (en) The accessory to arrangement an ear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