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637A -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637A
KR20150043637A KR20130121934A KR20130121934A KR20150043637A KR 20150043637 A KR20150043637 A KR 20150043637A KR 20130121934 A KR20130121934 A KR 20130121934A KR 20130121934 A KR20130121934 A KR 20130121934A KR 20150043637 A KR20150043637 A KR 20150043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cy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wireless termina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양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Priority to KR20130121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3637A/ko
Priority to US14/503,155 priority patent/US20150106513A1/en
Publication of KR2015004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은,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수신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부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on of Policy for the Network Traffic Reduction of Area Overload}
본 발명은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무선단말장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과부하 지역의 망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개인의 단말 사용 패턴은 음성통화에서 데이터 통신위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도면 1의 모바일(무선) 데이터 트래픽 지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향후 10~15년간 약 26배의 모바일 트래픽 증가가 예상되며, 2010년 개인이 하루에 사용하는 모바일 데이터량은 15MB수준이었으나, 2020년에 1GB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트래픽 증가는 이동통신사의 수익성 및 서비스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서비스 사업자인 이동통신사의 장비증설을 수반하며, 이에 따른 수익악화가 불가피한 실정이며,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 또한 데이터 통신 속도 지연에 따른 서비스 불만족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들은 투자부담 감소와 서비스 품질보장을 위해 네트워크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과제에 봉착했으며 현재의 솔루션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예측가능성과 실시간 통제가 보장되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도면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 네트워크 혼잡의 주요 요인으로는 크게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이용에 따른 혼잡과, 경기장, 지하철 등 한정된 지역에 수 많은 무선단말장치가 몰리는 경우에 따른 혼잡과,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른 혼잡을 들 수 있다.
특히, 경기장, 지하철 등 한정된 지역에 수 많은 무선단말장치가 몰리는 경우, 해당 지역에 네트워크 이용율 급중에 따라 데이터 통신이 지연되면,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은 데이터 통신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접속을 수초 단위로 연속적으로 시행하면서 네트워크 망 부하를 더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결론적으로, 네트워크 혼잡에 따른 이동통신 사업자의 막대한 비용소모와 무선단말정치 사용자들의 서비스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 도래한 것이나,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가 포함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 상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상기 과부하 발생 지역을 이탈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과부하 발생 지역의 과부하가 해제된 시점에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하나 이상 더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함으로써, 과부하 지역에서의 네트워크 이용을 원활하게 제어 및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증설비용 절감 및 서비스 품질 개선을 제고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정체 해소를 통한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환경 개선과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은,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수신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부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가 포함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확인부는,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더 수신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더 확인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 상에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확인부가 더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것과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은, 정책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통해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정책서버에서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가 포함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 상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상기 과부하 발생 지역을 이탈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과부하 발생 지역의 과부하가 해제된 시점에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하나 이상 더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은,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것과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정책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해도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접속 시도 자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과부하 지역에 밀집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의 과도한 네트워크 접속 시도 자체를 차단함에 따라, 과부하 해소 및 무선단말장치 단에서 네트워크의 최적화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를 통해 타이머 상에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가 이루어짐에 따라, 일일이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를 사용자 무선단말장치로 전송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네트워크 이용의 최적화를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증설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네트워크 이용의 최적화를 통해 데이터 통신지연 등에 따른 무선단말장치 사용자의 불만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무선단말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모바일(무선) 데이터 트래픽 지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혼잡의 주요 요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과부하 지역에서의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 운영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과부하 해제 지역에서의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정책 운영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정책서버(1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이 통신서버(200) 및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와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은, 실시방법 및 통신망 연결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책서버(100)는 통신서버(200)와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서버(200)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의 핵심 구성인 정책서버(100)는,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네트워크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130)를 통해 네트워크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가 포함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정책이 해제되도록 설정한 타이머를 의미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정책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책서버(100)는,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더 수신한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더 확인하되,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 상에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체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과부하 지역 위치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통신서버(200)는, 무선단말장치(3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 데이터 통신 중계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의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과 확인결과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무선단말장치(3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서버(200)는 상기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무선단말장치(300)에 대한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결과,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된 경우,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된 무선단말장치(3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장치(3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며, 정책 에이젼트를 구비하여, 정책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정책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가 포함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근거로 하여,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고,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차단을 해제함에 따라, 무선단말장치(300)내 구비된 복수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또는 백그라운드 호 접속 등)을 자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장치(300)는 과부하 지역 위치에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저장영역에 미리 저장하고, 과부하 지역에 위치에 따라 상기 정책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를 실행할 때,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저장영역에 기 저장된 네트워크 이용 허용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시키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장치(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사용자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서버(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 상의 정책서버(100)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일 뿐, 본 발명은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책서버(100)는, 저장부(120)와, 저장매체(130)와, 통신부(140)와, 확인부(150)와, 처리부(160)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책서버(100)는 실시예 설명을 위해 도면 상에는 단일 서버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각각의 수단이나 구성부가 각각 하나 이상의 서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120)는,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에 각각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130) 상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20)는,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 외, 상기 통신서버(200)와 사용자 무선단말장치(300)로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매체(130) 내지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는, 무선단말장치(300) 고유번호와 무선단말장치(300) 가입자(또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는 각각의 에이전트 고유 아이디나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저장매체(130)는,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에 각각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130)는 정책서버(100)가 아닌 제3의 서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서버(2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통신부(140)는,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통신서버(200)와 사용자 무선단말장치(300)로 각종 정보나 데이터의 송수신 역할을 더 수행한다.
예를들면,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과부하 지역에 위치와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확인부(150)는,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통신부(140)가 수신한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인부(150)는, 상기 통신부(140)가 통신망 상의 통신서버(200)로부터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수신한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더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처리부(160)는, 상기 확인부(150)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가 포함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정책이 해제되도록 설정한 타이머를 의미하며,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정책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160)는, 과부하 지역에 위치와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과,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 상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가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책서버(100)에 구비된 각각의 구성부의 기능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셋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과부하 지역에서의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 운영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정책서버(100)는 저장부(120)를 통해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와 상기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300)에 각각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130) 상에 저장한다(S510).
이후, 정책서버(100)는 처리부(150)를 통해 과부하 지역에 위치와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무선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여, 정책 에이전트가 과부하 지역에 위치와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저장영역에 저장하도록 한다(S520).
상기 (S510)과정과 (S520)과정은 그 순서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버(200)는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과부하 발생에 따른 통신장애가 발생하는 지역을 확인한 후(S530),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들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540).
(S540)과정에서 상기 통신서버(200)는, 기지국 및/또는 교환국과 연결된 무선단말장치(300)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통신서버(200)는 (S540)과정에서 확인된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한다(S550).
정책서버(100)는 상기 통신서버(200)로부터 통신부(140)를 통해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560).
이후, 정책서버(100)의 확인부(150)는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통신부(140)가 수신한 과부하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570).
이후, 정책서버(100)는 처리부(160)를 통해 상기 확인부(150)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가 포함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한다(S58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과부하 해제 지역에서의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정책 운영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버(200)는 과부하 발생 해제 지역을 확인한 후(S610), 과부하 발생 해제 지역에 위치하거나, 과부하 발생 지역 자체를 이탈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620).
이후, 통신서버(200)는 (S620)과정에서 확인된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된 무선단말장치(3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정책서버(100)로 전송한다(S630).
상기 정책서버(100)는 상기 통신서버(200)로부터 통신부(140)를 통해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640).
이후, 정책서버(100)의 확인부(150)는 상기 저장매체(130)를 통해 상기 통신부(140)가 수신한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300)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고(S650), 정책서버(100)는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을 확인한다(S660).
(S660)과정을 통한 확인결과,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S670), 정책서버(100)는 처리부(160)를 통해 상기 확인부(150)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한다(S660).
여기서, 상기 (S650)과정과 (S660)과정은 그 순서를 바꾸어도 무방하며, (S660)과정의 확인결과, 이미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S650)과정과 (S680)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100 : 정책서버 200 : 통신서버
300 : 무선단말장치 400 : 애플리케이션 서버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저장매체 140 : 통신부
150 : 확인부 160 : 처리부

Claims (7)

  1.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수신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부가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가 포함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이용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지정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시키는 정책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과부하 발생 지역 이탈 또는 해제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확인부는,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더 수신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더 확인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 상에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확인부가 더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것과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시스템.
  5. 정책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통해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설치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정책서버에서 상기 확인한 정책 에이전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가 포함된 네트워크 이용 차단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이용 차단 해제 타이머 상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상기 과부하 발생 지역을 이탈한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와 과부하 발생 지역의 과부하가 해제된 시점에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 식별정보를 하나 이상 더 수신하는 경우, 정책서버에서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네트워크 이용 차단해제 정책정보가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과부하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것과 무관하게 네트워크 이용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상기 정책 에이전트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7. 제 5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121934A 2013-10-14 2013-10-14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50043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934A KR20150043637A (ko) 2013-10-14 2013-10-14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US14/503,155 US20150106513A1 (en) 2013-10-14 2014-09-30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network traffic reduction policy in overloaded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934A KR20150043637A (ko) 2013-10-14 2013-10-14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637A true KR20150043637A (ko) 2015-04-23

Family

ID=5303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934A KR20150043637A (ko) 2013-10-14 2013-10-14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36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1906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general bas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base station status control method
US104052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ell site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130051348A1 (en)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EP21511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irecting mobile communications
US9008607B2 (en) Incident aware service operations for wireless infrastructure
KR20110057905A (ko)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비스 가능한 가능한 소형 기지국 및 그 운영 방법
EP2819451B1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ontrol apparatus, network optimization methods, and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US99307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ignaling connection between network and terminal
KR20150043637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EP404476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KR20150043638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KR20130140270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KR101131841B1 (ko) 적응적 로밍 임계치 매개변수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0267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1010021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번호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130140273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50043639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KR20130120287A (ko) 데이터 한도 초과 무선단말장치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50055669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KR20130140277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KR20130140268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102296080B1 (ko) 5g sa 코어망 장애 발생 시의 서비스 복구 방법
KR20130140274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40275A (ko)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KR20130120291A (ko)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그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