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595A -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595A
KR20150043595A KR20130121298A KR20130121298A KR20150043595A KR 20150043595 A KR20150043595 A KR 20150043595A KR 20130121298 A KR20130121298 A KR 20130121298A KR 20130121298 A KR20130121298 A KR 20130121298A KR 20150043595 A KR20150043595 A KR 20150043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laser
ray
pulse
irradi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003B1 (ko
Inventor
정순철
김형식
박종락
민병찬
전재훈
김성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21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0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5/00Irradiation devices
    • G21K5/04Irradiation devices with beam-form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 조사부; 및 상기 엑스레이가 조사될 영역 상에 레이저 빔(Laser beam)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X-RAY PHOTOGRAPHING DEVICE USING LASER BEAM}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엑스레이(X-RAY)가 조사될 영역(촬영 예정 영역) 상에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을 조사하여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촬영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X-ray) 촬영 장치란, 피사체에 X선을 조사하고, 피사체를 투과한 X선의 강도 차이(피사체를 이루는 물질의 밀도, 원자번호 등에 의해 X선의 투과율이 달라짐)를 분석하여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인체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의료 진단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의료 진단 분야에서 이러한 엑스레이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는 경우, 의학적 진단이 필요한 신체 부위를 정확하게 촬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통증이 있는 신체 부위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통증 부위를 정확하게 촬영하는 것이 중요하고, 환자가 이상한 느낌을 느끼거나 불편함을 느끼는 부위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해당 부위들을 정확하게 특정하여 촬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에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촬영 예정 영역에 포함된 부위'가 '실제 촬영을 의도한 부위'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략적인 눈대중으로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방향을 조절하여 목표하는 부위를 촬영하였으며, 이에 따라 실제 촬영을 의도했던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가 촬영되는 상황이 발생 될 수 있었다.
따라서,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촬영 예정 영역'을 사전에 또는 실시간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은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촬영 예정 영역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기계적 촉감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빔(Laser beam)'을 이용하여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촬영 예정 영역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 조사부; 및 상기 엑스레이가 조사될 영역 상에 레이저 빔(Laser beam)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촬영 예정 영역의 중심부 상에 상기 레이저 빔(Laser beam)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복수의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 조사부에 의해 조사되는 복수의 레이저 빔이 촬영 예정 영역 전체에 분산된 상태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펄스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레이저 출력 광의 세기(Power) 또는 펄스 폭(Pulse width)을 조절하여,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상기 펄스 폭을 ms(millisecond) 이하의 스케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인체에 직접 조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0.005 mJ 내지 9.5 mJ의 범위에 속하는 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광-기계적 촉감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제어 모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광-기계적 촉감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제어 모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방법은, (a) 엑스레이가 조사될 영역 상에 레이저 빔(Laser beam)이 조사되는 단계; 및 (b) 촬영을 위한 엑스레이가 조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촬영 예정 영역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엑스레이 촬영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Laser beam)'을 이용하여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촬영 예정 영역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엑스레이 장치를 통해 촬영하고자 했던 부위가 정확하게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종류의 자극을 이용하여 엑스레이 촬영 예정 영역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레이저 빔의 시각적인 자극을 이용하여 촬영 예정 영역을 1차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으며, 2) 레이저 빔이 발생시키는 촉감 자극을 이용하여 촬영 예정 영역을 2차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엑스레이 촬영 장치를 조작하는 '촬영자'와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을 당하는 '피촬영자' 모두에게 촬영 예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의 시각적인 자극을 통해 '촬영자'에게 촬영 예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각적인 자극을 수용하기 어려운 '피촬영자'에게도 광-기계적 촉감 자극을 통해 촬영 예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라는 광학적인 방법을 이용하므로, 엑스레이의 촬영 예정 영역을 매우 빠른 시간에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광-기계적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위 펄스당 에너지가 0.005 mJ 이상의 값으로 조절되고, 펄스 폭이 ms(millisecond) 이하인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인체에 광-기계적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열적 촉감' 또는 '광-화학적 촉감'이 아닌 '광-기계적 촉감'을 제공하므로, '광-열적 촉감' 또는 '광-화학적 촉감'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광-기계적 촉감을 제공하는 경우에, 인체의 피부에는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광-기계적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0.005 mJ 내지 9.5 mJ의 범위에서 조절하여, 인체의 피부에는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광-기계적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가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펄스 레이저 빔의 파라미터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가 촬영 예정 위치를 가이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펄스 레이저 빔에 의한 광-기계적 촉감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피에조 센서(Piezo sensor)의 출력 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피에조 센서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레이저 발생 모듈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와 피에조 센서의 출력 신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레이저 자극에 의한 뇌파 변화와 순수 기계적 자극에 의한 뇌파 변화를 비교 관찰하는 실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은, 도 12에서 살펴본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및 방법'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를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100)는,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 조사부(120), 상기 엑스레이가 조사될 영역 상에 레이저 빔(Laser beam)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110), 피사체를 투과한 X선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130),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 상기 레이저 조사부, 상기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상기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100)는,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피사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상태 감지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부들 역시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100)는, 이상에서 언급한 구성부들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엑스레이 촬영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120)는, 촬영을 위한 엑스레이(X-ray)를 생성하고 피사체에 조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120)는, 진공관 내에 배치된 음극(Cathode)과 양극(Target)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음극에서 방출된 열전자를 고전압을 통해 가속시킨 뒤에 양극에 충돌시켜 엑스레이를 생성하고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엑스레이를 생성하고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120)는, 엑스레이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의 직선 또는 회전 운동을 통해 엑스레이의 방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사 방향의 조절을 통해, 상기 엑스레이 촬영 장치(100)의 촬영 방향 또는 촬영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생성부(130)는, 피사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분석하여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이미지 생성부(130)는, 피사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밀도, 원자번호 등에 의해 엑스레이의 투과율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투과한 엑스레이의 강도 차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을 통해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120) 및 상기 이미지 생성부(130)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100)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부들에 대한 자세한 구성이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120)에 의해 '엑스레이가 조사될 영역(엑스레이를 통해 촬영될 영역)' 상에 레이저 빔(Laser beam)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120)에 의해 엑스레이가 조사되기 전에(촬영 전에), 상기 엑스레이의 조사 예정 영역(촬영 예정 영역) 상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조사 예정 영역을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를 이용하여 엑스레이가 조사될 영역을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엑스레이에 의한 촬영 예정 영역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레이저 빔이 발생시킬 수 있는 2 종류의 자극을 이용하여 촬영 예정 영역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상기 레이저 빔이 발생시킬 수 있는 '시각적인 자극'과 '광-기계적 촉감 자극'을 이용하여 엑스레이의 촬영 예정 영역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피사체가 사람(피촬영자)인 경우, 1) 상기 레이저 빔의 '시각적인 자극'을 이용하여 촬영자 또는 피촬영자에게 촬영 예정 영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2) 상기 '광-기계적 촉감 자극을 이용하여 상기 피촬영자에게 촬영 예정 영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의 광-기계적 촉감을 이용하여 피촬영자에게 촬영 예정 영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피촬영자가 상기 레이저 빔의 '시각적인 자극'을 수용할 수 없는 상태라도 촬영 예정 영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기계적 촉감을 매개로 촬영 예정 영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통증이 있거나 이상한 느낌이 드는 신체 부위가 정확하게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100)상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120)에 결합 되어 함께 운동 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형태를 통해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방향과 상기 엑스레이의 조사 예정 방향이 쉽게 동기화될 수 있고,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가 상기 촬영 예정 영역 상에 상기 레이저 빔을 쉽게 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레이저 발생 모듈(112), 상기 레이저 빔의 세기(Power)를 조절하는 광 필터 모듈(114), 상기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을 조절하는 렌즈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의 구성들 이외에도 상기 레이저 빔을 생성하고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상기의 구성들을 이용하여 레이저 빔을 생성하고 조사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시각적인 자극'뿐 아니라 '광-기계적 촉감 자극'까지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은, 레이저 빔(Pulse laser beam)을 생성하고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레이저 드라이버(Laser driver), 냉각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드라이버는, 레이저 매질(Laser medium), 광 펌핑부(Optical pumping), 광 공진기(Optical resonator) 등의 구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구성하는 광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레이저 드라이버가 광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열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레이저 드라이버 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은, 레이저 빔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루비 레이저, 네오디뮴:야그 레이저(Nd:YAG Laser), 네오디뮴:글라스 레이저(Nd:Glass Laser), 레이저 다이오드(Ga, Al, As), 엑시머(Excimer) 레이저, 색소 레이저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류 이외에도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은, 연속형 레이저(CW laser, Continuous wave laser)가 아닌 펄스 레이저(Pulse laser)를 이용하여 펄스 레이저 빔(Pulse laser beam)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자극이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광-화학적 효과 또는 광-열적 효과가 발생하여 인체에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효과들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광-기계적 촉감을 얻기 위해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은,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파라미터의 조절 동작을 통해 광-기계적 촉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노출시간과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특정 범위로 조절하면, 펄스 레이저 빔에 의한 탄성 효과(Laser-induced Elastic Effect)가 유발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기초로 광-기계적 촉감이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의 조절은, 펄스 레이저 빔을 구성하는 광신호의 세기(Power, J/s)를 조절하는 동작을 통해 달성되거나,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펄스 폭(Pulse width)을 조절하는 동작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광신호 세기(Power, J/s), 펄스 폭(Pulse width), 펄스 반복율(Repetition rate)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은, 수십 ms(millisecond) 이하의 펄스 폭(Pulse width) 조건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펄스 폭이 큰 경우에는 레이저 자극의 충분한 노출시간이 확보되어 광-화학적 효과 또는 광-열적 효과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십 ms(millisecond) 이하의 펄스 폭(Pulse width) 조건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여 광-화학적 효과 및 광-열적 효과가 최소화된 광-기계적 촉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은,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0.005 mJ 이상의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이러한 조건에서 인체의 피부 조직에 광-기계적 촉감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은, 인체의 피부 조직에 직접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9.5 mJ 이하의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9.5 mJ를 초과하는 조건에서는 광-기계적 촉감의 정도가 인체의 피부 조직에 손상을 가할 수 있을 정도로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체의 피부 조직에 광-기계적 촉감을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경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9.5 mJ 이하의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은,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여 광-기계적 촉감의 강도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은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서, 광-기계적 촉감의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광 필터 모듈(114)은,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구성하는 광신호의 세기(Power, J/s)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러한 세기 조절을 통해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이 출력하는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2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광 필터 모듈(114)은, 광신호의 세기를 감쇄시키는 감쇄(Attenuator)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광신호의 세기(Power, J/s)를 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 필터 모듈(114)은, 펄스 폭이 동일한 상태에서 광신호의 세기를 감쇄시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 필터 모듈(114)은,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 자체가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 자체가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에 필수적으로 장착되어서,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렌즈 모듈(116)은,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렌즈 모듈(116)은,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집속하기 위한 광집속부(예컨대, 볼록렌즈부 등) 및 상기 펄스레이저 빔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확산부(예컨대, 오목 렌즈부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집속부와 상기 광확산부의 선택적인 동작을 통해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의 구체적인 예시를 살펴볼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예시 모두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가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120)와 일체로 형성되었으며, 엑스레이가 조사될 영역(엑스레이 조사 예정 영역)의 중심부에 펄스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형태로 형성되었다.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엑스레이의 촬영 예정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2 종류의 자극을 이용하여 촬영 예정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1) 펄스 레이저 빔 자체의 시각적인 자극을 바탕으로 '촬영자'에게 촬영 예정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으며, 2) 펄스 레이저 빔이 발생시키는 광-기계적 촉감 자극을 바탕으로 '피촬영자'에게 촬영 예정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도 4와 같이 '피촬영자'가 레이저 빔의 시각적인 자극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촬영 예정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도 5와 같이 '피촬영자'가 인지하는 광-기계적 촉감 자극을 바탕으로 촬영 위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엑스레이의 조사 예정 영역(촬영 예정 영역) 상의 다양한 위치에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지만,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조사 예정 영역의 중심부 상에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 빔의 위치가 상기 조사 예정 영역의 중심부와 매칭된다면, 촬영자 또는 피촬영자가 상기 레이저 빔의 위치를 바탕으로 촬영 예정 영역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복수의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엑스레이 촬영 장치(100)는 복수의 레이저 조사부(110)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레이저 조사부(110)가 조사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촬영 예정 위치를 가이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은 촬영 예정 영역 전체에 분산된 상태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이 촬영 예정 영역 전체에 분산된 상태로 조사되는 예시를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는, 촬영 예정 영역 전체가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의 시각 자극 또는 촉감 자극'을 통해 가이드 될 수 있으므로, 촬영자 또는 피촬영자가 촬영 예정 영역을 매우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엑스레이 촬영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다양한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입력 키보드, 터치 패드,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다양한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감지부는, 엑스레이 촬영 대상인 피사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태 감지부는, 피사체가 사람인 경우에 피촬영자가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엄밀히 말하면, 촬영 예정 영역에 위치하는 신체가 의복을 착용하고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140)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상태 감지부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과 이미지 분석 모듈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이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이 피사체의 색상 또는 표면 형상을 분석하여 의복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이상에서 살펴본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120), 상기 이미지 생성부(130),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상태 감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수단과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수단은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일 수 있으나,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나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수단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이거나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전자기적 저장 소자이거나 연산 수단 내부의 메모리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가 포함하는 상기 레이저 발생 모듈(112) 및 상기 광 필터 모듈(114)의 동작을 제어하여, 펄스 폭이 ms(millisecond)이하인 상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기계적 촉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가 발생시키는 '광-기계적 촉감의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광-기계적 촉감을 증가시키거나,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광-기계적 촉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이 피촬영자의 인체의 피부에 직접 조사되는 경우(촬영 예정 영역에 위치한 신체가 의복을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0.005 mJ 내지 9.5 mJ의 범위에 속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이러한 범위로 조절하여야 인체의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광-기계적 촉감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상태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이 인체의 피부에 직접 조사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피사체가 인체의 피부 조직이라는 입력 정보를 전달받거나, 상기 상태 감지부로부터 피사체가 인체의 피부 조직이라는 이미지 분석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이 인체의 피부에 직접 조사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방법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방법은, 엑스레이가 조사될 영역 상에 레이저 빔(Laser beam)이 조사되는 단계(a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빔은, 펄스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엑스레이 촬영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후에, 촬영을 위한 엑스레이가 조사되는 단계(b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방법은,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엑스레이 촬영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히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엑스레이 촬영 장치(100)와 관련하여 상술한 특징들은 상기 엑스레이 촬영 방법에도 당연히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실험예 1]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부(110)가 조사하는 '펄스 레이저 빔'에 의해, '광-기계적 촉감'이 유발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검증해본다.
도 7은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에 의해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광-기계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기 실험 시스템에는, 펄스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110), 콜라겐 필름, 피에조 센서, 3축 위치 미세 조정 장치, 컴퓨터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는,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펄스 레이저 빔을 생성하고 조사하는 구성이다.
본 실험에서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가 조사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일 실시예로서, 532 nm의 파장(Wavelength), 5ns의 펄스 폭(Pulse width), 10 Hz의 펄스 반복률(Repetition rate), 0.48mm의 빔 직경(콜라겐 필름에 조사되는 직경)을 가지는 펄스 레이저 빔이 사용되었다.
상기 콜라겐 필름은, 임상 치료용 대체피부(Ficilitates epidermal healing & substitue) 용도로 사용되는 타입 I 콜라겐 필름(Neskin®-F, Medira, 300㎛ 내지 500㎛의 두께)으로서, 인체의 피부 조직을 모델링한 구성이다. 생체 조직의 90% 이상이 타입 I 콜라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콜라겐 필름을 이용하여 생체 피부 조직에서 발생 될 효과를 간접적으로 실험할 수 있다.
다만, 인체의 피부 두께(표피)는 개인별, 성별, 인종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1차적으로 5장의 콜라겐 필름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고, 2차적으로 10장의 콜라겐 필름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개인별, 성별, 인종별에 따라 인체의 피부 두께가 콜라겐 필름 5장 내지 10장의 범위에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 1을 참조하면, 5장의 콜라겐 필름과 10장의 콜라겐 필름의 무게와 두께를 확인할 수 있다.
콜라겐 필름의 개수 무게[g] 두께[mm]
5장 0.12 0.15
10장 0.23 0.31
한편, 상기 콜라겐 필름은 상기 피에조 센서에 부착된 형태로 사용되었다.
상기 피에조 센서(Piezo sensor)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기계적인 자극을 전기적인 출력신호로 표현하는 소자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콜라겐 필름에서 유발되는 기계적인 변화를 관측하였다.
한편, 본 실험에서는 표면이 코팅된 피에조 센서(LFT1-028K, Measurement specialties)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상기 콜라겐 필름의 부착 시 센서 표면이 받을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3축 위치 미세 조정 장치는, 상기 피에조 센서의 위치를 미세하게 컨트롤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상기 피에조 센서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며, 분석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이상에서 살핀 실험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1) 단위 펄스당 에너지가 0.05 mJ인 펄스 레이저 빔을 5장으로 구성된 콜라겐 필름에 조사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2) 펄스 레이저 빔은 10 Hz의 빈도로 조사되었으며, 0.05[s] 직전, 0.15[s] 직전, 0.25[s] 직전, 0.35[s] 직전 등의 순간에 조사되었다.
3) 이러한 실험 과정에서 출력되는 피에조 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였다.
도 8은 이러한 실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사된 레이저 빔의 펄스 반복율과 대응되는 10 Hz의 빈도로 피에조 센서의 출력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피에조 센서에서 출력신호가 생성되는 시점도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이 조사된 시점(0.05[s] 직전, 0.15[s] 직전, 0.25[s] 직전, 0.35[s] 등)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이 광-기계적 자극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살핀 실험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도 진행하였다.
1) 먼저,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를 이용하여 5장으로 구성된 콜라겐 필름에 펄스 레이저 빔을 조사하면서, 피에조 센서의 출력신호를 관찰하였다. 특히,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가 조사하는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2) 다음으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를 이용하여 10장으로 구성된 콜라겐 필름에 펄스 레이저를 조사하면서, 피에조 센서의 출력신호를 관찰하였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가 조사하는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한편, 본 실험에서는 ms(millisecond) 이하의 범위를 만족하는 5ns의 펄스 폭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므로, 펄스 레이저 빔을 구성하는 광신호의 세기(Power, J/s)를 변화시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변화시켰다.
또한, 상기 피에조 센서가 출력하는 신호는, 도 9와 같이 i) 전처리 필터링, ii) 저주파 성분 제거, iii) 최대값 검출 등의 과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즉, 상기 피에조 센서의 출력 신호는, 전처리 필터링을 하여 1차적으로 노이즈를 제거하고, 2차적으로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며, 신호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과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또한, 검출된 최대값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결과를 표현하였다.
도 10 및 도 11은 이러한 실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단위 펄스당 에너지의 변화에 따른 피에조 센서의 출력 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단위 펄스당 에너지로 설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세로축은 피에조 센서의 출력신호를 단위 두께로 나눈 신호(단위 두께당 센서 출력신호)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도 11은 도 10의 그래프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확대한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1) 5장으로 구성된 콜라겐 필름에 대해서는, 0.00398 mJ 이상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가 가해지는 경우에 광-기계적 자극이 유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2) 10장으로 구성된 콜라겐 필름에 대해서는, 0.005 mJ 이상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가 가해지는 경우에 광-기계적 자극이 유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5장 내지 10장의 범위 내에서 구성되는 콜라겐 필름에 광-기계적 자극을 유발시키기 위한 역치 에너지가 0.00398 mJ 내지 0.005 mJ 범위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일반적인 사람들의 피부 두께는 콜라겐 필름 5장 내지 10장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적어도 0.005 mJ 이상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갖는 펄스 레이저 빔을 인체에 가한다면, 개인별 피부 두께의 차이에 관계없이 광-기계적 촉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상한을 약 9.5 mJ로 설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9.5 mJ 이상으로 설정한 실험에서 콜라겐 필름이 손상되는 현상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체의 피부에 조사되는 경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는 9.5 mJ 이하의 범위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경우, 광-기계적 촉감의 강도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이하,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부(110)가 조사하는 '펄스 레이저 빔'에 의해, '광-기계적 촉감'이 유발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검증해본다.
'펄스 레이저 빔'에 의해 '광-기계적 촉감'이 유발되는 것을 검증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1) 먼저, 상기 레이저 조사부(110)가 조사하는 펄스 레이저 빔을 오른쪽 손에 조사하면서 EEG(Electro EncephaloGraphy) 장치를 이용하여 뇌파 변화를 관찰하였다. (도 12 A - 실험군)
2) 또한, 막대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오른쪽 손에 기계적 자극 가하면서 EEG 장치를 이용하여 뇌파 변화를 관찰하였다. (도 12 B - 대조군)
실험에는 532 nm의 파장(Wavelength), 5ns의 펄스 폭(Pulse width), 1.9 mJ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 0.48mm의 빔 직경(Diameter)의 파라미터를 가지는 펄스 레이저 빔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펄스 레이저 빔과 동일한 직경(Diameter)를 가지를 막대를 사용하여 기계적 자극을 가하였다. 또한, 상기 EEG 장치를 이용한 뇌파의 관찰은, 뇌의 전체 영역 중 체 감각 피질 영역인 C3 영역 및 C4 영역에서 이루어졌다.
도 13 내지 도 14은 이러한 실험의 결과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험군(펄스 레이저 빔을 가한 상태에서의 뇌파 반응 관찰)과 대조군(막대를 이용한 기계적 자극을 가한 상태에서의 뇌파 반응 관찰)의 뇌파 반응은, 동일한 뇌파의 주파수 영역에서 뇌파의 평균 크기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록,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가한 실험에서는 뇌파 반응이 일정 시간 지연(Delay) 되기는 하였지만, 상기 '펄스 레이저 빔'에 의해서도 체 감각 피질 영역(C3, C4)이 활성화되는 현상 자체는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이 가해질 때의 뇌파 반응 그래프의 형태도, 반응이 지연되는 영역을 제외하고는 '막대 자극(순수 기계적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와 유사하게 관찰(동일한 뇌파의 주파수 영역에서 뇌파의 평균 크기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을 통해, 상기 '펄스 레이저 빔'에 의해 '광-기계적 촉감'이 유발되는 것을 검증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레이저 조사부 112 : 레이저 발생 모듈
114 : 광 필터 모듈 116 : 렌즈 모듈
120 : 엑스레이 조사부 130 : 이미지 생성부
140 : 제어부

Claims (10)

  1. 엑스레이(X-ray) 촬영 장치에 있어서,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 조사부; 및
    상기 엑스레이가 조사될 영역 상에 레이저 빔(Laser beam)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촬영 예정 영역의 중심부 상에 상기 레이저 빔(Laser beam)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 조사부에 의해 조사되는 복수의 레이저 빔은, 촬영 예정 영역 전체에 분산된 상태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펄스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레이저 출력 광의 세기(Power) 또는 펄스 폭(Pulse width)을 조절하여,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펄스 폭을 ms(millisecond) 이하의 스케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인체에 직접 조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0.005 mJ 내지 9.5 mJ의 범위에 속하는 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광-기계적 촉감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제어 모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광-기계적 촉감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제어 모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10. 엑스레이(X-ray) 촬영 방법에 있어서,
    (a) 엑스레이가 조사될 영역 상에 레이저 빔(Laser beam)이 조사되는 단계; 및
    (b) 촬영을 위한 엑스레이가 조사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방법.
KR1020130121298A 2013-10-11 2013-10-11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KR101554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298A KR101554003B1 (ko) 2013-10-11 2013-10-11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298A KR101554003B1 (ko) 2013-10-11 2013-10-11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595A true KR20150043595A (ko) 2015-04-23
KR101554003B1 KR101554003B1 (ko) 2015-09-17

Family

ID=5303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298A KR101554003B1 (ko) 2013-10-11 2013-10-11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17367A (zh) * 2024-02-07 2024-03-19 赛诺威盛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用于站立位计算机断层扫描的辅助摆位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2506B (zh) 2010-11-09 2015-05-13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激光引导医疗设备自动定位系统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17367A (zh) * 2024-02-07 2024-03-19 赛诺威盛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用于站立位计算机断层扫描的辅助摆位系统及方法
CN117717367B (zh) * 2024-02-07 2024-05-14 赛诺威盛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用于站立位计算机断层扫描的辅助摆位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003B1 (ko)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528B1 (ko)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내시경 장치
RU246050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разрушающей или минимально разрушающей световой обработки глаза
JP2014166577A (ja) 放射線装置及び放射線最小化方法
AU2022211843A1 (en) Direct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KR101340358B1 (ko) 광-기계적 효과를 일으키는 레이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A2888708C (en) Apparatus, interface unit, suction ring and method to monitor corneal tissue
KR101707654B1 (ko) 레이저 시술시스템
KR20160117712A (ko) 하전입자 생성용 일체형 타겟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의료기구의 구동방법
WO2015023056A1 (ko) 레이저를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WO2009056099A3 (de) Vorrichtung zur schonenden lasertherapie der retina
CN106455941A (zh) 在碎石术期间定位碎片
KR20130133969A (ko) 영상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시술영역 및 조사강도가 조절되는 레이저 시술장치
JP2013128661A (ja) ステレオx線撮影装置、ステレオx線撮影方法
JP3685956B2 (ja) 眼球照射線の制御装置
US10575987B2 (en) Ophthalmic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9387883A (zh) 监控方法和监控系统
KR101554003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KR20160122581A (ko) 안정성이 향상된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 방법
KR101147850B1 (ko) 촉감 자극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0861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treatment using a series of pulsed lasers
KR101345310B1 (ko) 운송 장치의 상태 정보를 안내하는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483428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수술용 로봇 장치
US20170100285A1 (en) Photocoagulation with closed-loop control
KR101340361B1 (ko) 광-기계적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590117B1 (ko) 눈의 수술적 치료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