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121A - 방향키 장치 - Google Patents

방향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121A
KR20150043121A KR20130122174A KR20130122174A KR20150043121A KR 20150043121 A KR20150043121 A KR 20150043121A KR 20130122174 A KR20130122174 A KR 20130122174A KR 20130122174 A KR20130122174 A KR 20130122174A KR 20150043121 A KR20150043121 A KR 20150043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key blade
directional
hing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베스타드 스티그
Original Assignee
롤스-로이스 마린 에이에스-루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스-로이스 마린 에이에스-루더스 filed Critical 롤스-로이스 마린 에이에스-루더스
Priority to KR2013012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3121A/ko
Publication of KR2015004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63H25/381Rudders with flaps

Abstract

방향키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 방향키 장치는 방향키 블레이드(10)를 포함하며, 이 방향키 블레이드는 현가될 수 있고 또한 방향키 스톡(32)을 통해 선박의 후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방향키 스톡(32)은 방향키 블레이드(10)에 체결되며 또한 선박의 후단부 안으로 진입해 있으며, 상기 방향키 스톡은 상단부에서 조향 기어(20)에 연결되며,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10)는 후단부에서 수직 배치 플랩(16)을 포함하며, 이 플랩(16)은 각각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상측 부분(16a) 및 하측 부분(16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향키 장치{RUDDER ARRANGEMENT}
본 발명은 현가될 수 있는 방향키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방향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는 방향키 스톡(rudder stock)을 통해 선박의 후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방향키 스톡은 방향키 블레이드에 체결되며 또한 선박의 후단부 안으로 진입해 있으며, 상기 방향키 스톡은 상측 부분에서 조향 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는 후단부에서 수직 배치 플랩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선박의 후단부에 체결되고 플랩을 구비하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설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일 플랩은 포일의 기하학적 구조(방향키 블레이드의 프로파일)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주 이점은, 더 큰 실속각(stalling angle) 때문에 포일 위를 지나는 물 흐름으로부터 더 큰 양력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낮은 방향키 각도에서 더 낮은 항력이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방향키에 있는 플랩은 양호한 조종을 필요로 하는 선박에 주로 사용된다.
분할형 플랩을 사용할 때의 이점은, 이 분할형 플랩은 처음에 베어링 및 플랩의 구조에 큰 힘을 전달함이 없이 방향키의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며 하지만 또한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의 개별적인 제어도 가능하게 해주며 이는 선박 안정성의 제어에 기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분할형 플랩은 또한 방향키 블레이드의 제조와 장착 및 부품들의 운반을 단순하게 해준다.
또한 일 이점으로서, 플랩의 부분들의 콜랩싱(collapsing)은 그것이 다른 기구 전에 고장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따라서 부분들의 파손 후에, 예컨대 이물체와의 충돌/좌초 등의 후에도 상측 플랩은 여전히 작동하게 될 것이다.
또한, 개별적인 플랩 제어가 가능한 것도 이점이 될 것이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정성 제어를 이루는데 있어 전제가 되는데, 하지만 이는 이동(항행 거리)중에 더욱 "추진 효율적인" 경로 보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생각할 수 있으며, 방향키는 0도로 유지될 수 있고 플랩은 각도를 변경하여 경로 보정에 필요한 양력(측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이점들 중의 하나 이상을 주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이점은 운반과 유지 보수가 간단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엇 보다도, 조향 기어를 분리할 필요 없이 프로펠러 축을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두 부분으로 된 대형 방향키 블레이드의 운반이 또한 가능하게 된다.
상당한 비용 절감도 이룰 수 있다. 시스템의 설계 때문에 반경 방향 하중의 감소로 인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유지 보수가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방향키 장치가 제공되는 바, 이 방향키 장치는 현가될 수 있는 방향키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이 방향키 블레이드는 방향키 스톡을 통해 선박의 후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방향키 스톡은 방향키 블레이드에 체결되며 또한 선박의 후단부 안으로 진입해 있으며, 상기 방향키 스톡은 그의 상단부에서 조향 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는 후단부에서 수직 배치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키 장치의 특징으로서, 상기 플랩은 각각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들이 종속 청구항에 나타나 있다.
상기 플랩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은 상측 및 하측 힌지 각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플랩의 상측 부분의 상측 힌지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에 배치되고 플랩의 상측 부분의 하측 힌지는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중심 축선 위쪽의 영역에 배치되고, 플랩의 하측 부분의 상측 힌지는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상기 중심 축선에 인접하여 또는 그 중심 축선에 배치되며, 플랩의 하측 부분의 하측 힌지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기 하측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는 서로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랩의 하측 부분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에 있는 하측 힌지 및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에 있는 상측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상측 힌지는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중심 축선에 또는 그 중심 축선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플랩의 상측 부분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에 있는 하측 힌지 및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에 있는 상측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 힌지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두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플랩의 하측 부분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에 있는 하측 힌지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에 있는 하측 힌지에 인접한 영역까지 이를 수 있으며, 플랩의 상측 부분은 상기 하측 힌지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에 있는 상측 힌지에 인접한 영역까지 이를 수 있다.
상기 플랩의 하측 부분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에 있는 하측 힌지와 상측 힌지 사이에 배치되는 장착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플랩의 상측 부분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에 있는 하측 힌지와 상측 힌지 사이에 배치되는 장착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플랩의 상측 부분을 위한 장착축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힌지 안으로 진입해 있을 수 있다.
상기 플랩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은 연결편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연결편은 브레이킹 핀으로서 기능하도록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는 플랩의 상측 부분의 장착축 및/또는 플랩의 하측 부분의 장착축에 연결되는 조향 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조향 기구는 조향 스테이(steering stay)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조향 스테이는 조향 기어와 연결되어 있다.
조향 기구는 상기 플랩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의 공동 회전 또는 개별적인 회전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향 기구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에 장착되는 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의 두 부분은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중심 축선 위쪽의 영역에 있는 볼트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제 첨부된 도면의 도움으로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2 및 도 3 은 선박의 후단부에 체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키 장치의 윤곽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방향키 블레이드(10)에 관한 것으로, 이 방향키 블레이드는 선박(더 자세히는 나타나 있지 않음)의 후단부에 체결되는 플랩(16) 및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10)의 앞에 배치되는 프로펠러(미도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랩(16)은 완전형 방향키 블레이드, 분할형 방향키 블레이드 및 2개의 상반된 프로파일 부분을 갖는 분할형 방향키 블레이드(소위 비틀림형 방향키 블레이드라고 함)에 사용될 수 있다. 완전형 방향키 블레이드가 도 1 에 나타나 있고, 도 2 에는 분할형 방향키 블레이드가 나타나 있으며, 도 3 에는 2개의 상반된 프로파일 부분을 갖는 분할형 방향키 블레이드가 나타나 있다.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10)는 처음에는 완전 현가식이며, 도 2 및 3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방향키 블레이드를 함께 형성하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두 부분(12, 14)을 포함한다. 도 1 및 2 에 나타나 있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프로파일 및 형태는 처음에 똑같을 것이다. 방향키 블레이드에는 수직 아치형 노즈부(46)가 설계될 수 있는데, 이 노즈부는 대략 포물형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각 측에서 방향키 블레이드(10)의 최대 프로파일 두께 쪽으로 이를 지나 아치형으로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치 형상이 끝나는 영역에서부터 방향키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형태로 되어 있는 방향키 블레이드(10)의 후방 가장자리(44) 쪽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기 두 부분(12, 14)은,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중심 축선(28) 위쪽의 영역에 있는 볼트 연결부(30) 또는 대안적으로는 다른 형태의 연결부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방향키 블레이드의 두 부분(12, 14)을 연결하는 것 외에도 상기 볼트 연결부(30)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으로부터의 굽힘력과 중량을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전달하는 임무를 갖는다. 방향키 블레이드의 두 부분(12, 14) 사이의 연결부, 즉 볼트 연결부(30)에서,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으로부터 주어지는 인장력의 하중을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전달하는데 기여하는 다수의 파이프 택(pipe tack)을 사용할 수 있다.
방향키 블레이드(10)의 앞에서 상기 노즈부(46)에 코트(26), 벌브 등이 배치될 수 있는데, 그 벌브(26)는 상기 중심 축선(28) 둘레에 중앙에 배치되며 방향키 블레이드를 따라 뒤쪽으로 적어도 어느 거리 만큼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프로펠러의 영향을 받는 물은 방향키 블레이드(10)를 따라 뒤쪽으로 향하는 유리한 유동 경로를 갖게 된다.
방향키 스톡(rudder stock; 32)이 조향 기어(20) 또는 방향키 모터에 체결되어 그로부터 연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조향 기어는 선박의 후단부에서 방향키 블레이드(10) 안으로 배치된다. 상기 방향키 스톡(32)은 아래로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 안으로 연장되어 방향키 블레이드의 그 하측 부분(14)에서 체결된다. 이는 방향키 스톡(32)의 단부가 예컨대 연결부에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방향키 스톡(32)의 단부를 둘러싸는 슬리브 연결부(40)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이 슬리브 연결부(40)는 볼트 연결부, 쐐기 연결부, 수축 또는 다른 체결법의 도움으로 방향키 스톡(32)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비틀림형 방향키 블레이드에도 관한 것일 수 있는데,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방향키 블레이드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두 부분(12, 14)을 포함하며, 이들 부분은 서로에 대해 비틀려 있는 2개의 방향키 블레이드 프로파일(22, 24)을 갖는다. 방향키 블레이드의 두 프로파일(22, 24)은 처음에 서로 똑같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포물형의 상기 노즈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즈부는 일측에서 방향키 블레이드(10)의 최대 프로파일 두께 쪽으로 이를 지나 완만한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다른 측에서는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10)의 최대 프로파일 두께 쪽으로 이를 지나 더 뚜렷한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치 형상이 끝나는 영역에서부터 방향키 블레이드 프로파일(22, 24)은,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형태로 되어 있는 방향키 블레이드(10)의 후방 가장자리(44) 쪽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 축선(28)은 상반되게 비틀린 2개의 방향키 블레이드 프로파일(22, 24)을 공지된 방식으로 분할하며,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은 하측 방향키 블레이드 프로파일(24)의 전체 및 상측 방향키 블레이드 프로파일(22)의 일 부분을 포함하고,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은 상측 방향키 블레이드 프로파일(22)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측 방향키 블레이드 프로파일(22)은 하측 방향키 블레이드 프로파일(24) 보다 높고 또한 더 큰 표면을 가지며,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 보다 바람직하게 낮고 또한 더 작은 표면을 갖는다. 그래서, 특히 프로펠러 및 프로펠러 축의 교체가 간단하게 된다.
똑같은 2개의 방향키 블레이드 프로파일을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표준 분할형 방향키 블레이드의 경우에도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및 하측 부분(12, 14) 사이의 크기 관계에 있어 위의 언급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조향 기어의 형상, 내부 리브 등을 갖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구성 및 자연적으로 관련된 다른 기술적 요소에 대해서는, 이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래서 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방향키 블레이드(10)는 이 방향키 블레이드의 후방 가장자리(44)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후방 플랩(16)을 포함한다. 수평은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음을 의미한다. 방향키 블레이드의 후방 가장자리가 경사져 있으면, 상기 플랩도 당연히 그에 따라 경사져 장착될 수 있다. 플랩(16)은 방향키 블레이드(10)와 동일한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랩(16)은 상측 부분(16a)과 하측 부분(16b)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들 상하측 부분은 함께 움직이는데, 하지만 대안적으로는 또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사용되는 방향키 블레이드가 어떤 종류인가에 상관 없이, 플랩(16)의 상측 부분(16a) 및 하측 부분(16b)은 각각의 상측 및 하측 힌지(36a, 36b; 34a, 34b)에 배치된다.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의 상측 힌지(36a)는 방향키 블레이드(10)의 상측 부분에 배치되고,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의 하측 힌지(36b)는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중심 축선(28) 위쪽의 영역에 배치된다. 플랩(16)의 하측 부분(16b)의 상측 힌지(34a)는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중심 축선(28)에 인접하여 또는 그 중심 축선에 배치되며, 플랩(16)의 하측 부분(16b)의 하측 힌지(34b)는 방향키 블레이드(10)의 하측 부분에 배치된다.
완전형 방향키 블레이드의 경우에,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의 하측 힌지(36b)도 중심 축선(28)의 영역에 또는 이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랩(16)의 상측 부분(16a) 및 하측 부분(16b)은 상측 힌지(36a)와 하측 힌지(34b) 사이 중앙에 배치되는 공통 힌지에 장착될 수 있다.
나타나 있는 분할형 방향키 블레이드의 실시 형태에서, 플랩(16)의 하측 부분(16b)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에 있는 하측 힌지(34b) 및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에 있는 상측 힌지(34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측 힌지(34a)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상기 중심 축선(28)에 또는 그 중심 축선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있는 하측 힌지(36b) 및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있는 상측 힌지(36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하측 힌지(36b)는 바람직하게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두 부분(12, 14)이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또는 이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있는 하측 힌지(36b)와 상측 힌지(36a) 사이에 배치되는 장착축(42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을 위한 장착축(42a)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힌지(34c) 안으로 진입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플랩(16)의 하측 부분(16b)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에 있는 하측 힌지(34b)와 상측 힌지(34a) 사이에 배치되는 장착축(42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힌지" 라는 표현은 상기 부분들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어떤 형태의 장착부라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플랩(16)은 방향키 블레이드(10)와 동일한 또는 그 보다 약간 작은 높이까지 이른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플랩(16)의 하측 부분(16b)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에 있는 하측 힌지(34b)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있는 하측 힌지(36b)에 인접한 영역까지 이를 수 있다. 그리고,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은 당연히 방향키 블레이드(10)의 나머지 부분을 맡게 될 것이며, 하측 힌지(36b)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있는 상측 힌지(36a)에 인접한 영역까지 이른다.
플랩(16)의 동시적인 회전을 위해, 그 플랩(16)의 상측 부분(16a)과 하측 부분(16b)은, 이들 부분(16a, 16b) 사이의 동력 전달을 위한 연결편(48)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연결편(48)은 브레이킹 핀으로서 기능하도록 될 수 있다. 브레이킹 핀 기능의 목표는, 예컨대 플랩(16)에 연결되어 있는 조향 기구가 파손되기 전에 상기 연결편(48)이 파손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편(48)은 방향키의 두 부분(12, 14)이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 위에는 조향 기구(38)가 예컨대 플레이트(50)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 조향 기구는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을 위한 장착축(42a)에 연결된다. 상기 조향 기구(38)는 조향 스테이(steering stay; 38b)에 연결되어 있는 아암(38a)을 포함하며, 그 조향 스테이(38b)는 조향 기어(20)와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방향키 블레이드의 조향 기어(20)는, 방향키 블레이드(10)와 동일한 각도 또는 주어진 다른 각도로 플랩(16)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부분(16a, 16b)은 따로 따로 장착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편(48) 때문에 그 부분(16a, 16b)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개량예(미도시)에서, 상기 조향 기구(38)는 또한 플랩(16)의 상측 부분(16a)과 하측 부분(16b)이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랩의 상기 부분(16a, 16b)의 개별적인 회전은 예컨대, 상측 장착축(42a)을 중공으로 만들고 하측 장착축(42b)을 상측 장착축에 통과시켜 조향 기구(38)의 별도의 부분에 연결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향 기구(38)는 추가적인 조향 스테이에 연결되는 별도의 아암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추가적인 조향 스테이는 상기 조향 기어(20)에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 또는 액츄에이터가 예컨대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 및/또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에 장착되며 각각의 스테이 연결을 통해 플랩의 상기 부분(16a, 16b)의 동시적인 또는 개별적인 회전을 위해 배치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 또는 액츄에이터는 조향 기어(20)를 통해 제어될 수 있고 또는 조향 신호를 개별적으로 받을 수 있다.

Claims (15)

  1. 현가될 수 있는 방향키 블레이드(10)를 포함하는 방향키 장치로서,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는 방향키 스톡(rudder stock; 32)을 통해 선박의 후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방향키 스톡(32)은 방향키 블레이드(10)에 체결되며 또한 선박의 후단부 안으로 진입해 있으며, 상기 방향키 스톡은 상단부에서 조향 기어(20)에 연결되며,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10)는 후단부에서 수직 배치 플랩(16)을 포함하며, 이 플랩(16)은 각각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상측 부분(16a) 및 하측 부분(16b)을 포함하는 방향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6)의 상측 부분(16a)과 하측 부분(16b)은 상측 및 하측 힌지(36a, 36b; 34a, 34b)에 각각 배치되며,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을 위한 상측 힌지(36a)는 방향키 블레이드(10)의 상측 부분에 배치되고,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을 위한 하측 힌지(36b)는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중심 축선(28) 위쪽의 영역에 배치되고, 플랩(16)의 하측 부분(16b)의 상측 힌지(34a)는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상기 중심 축선(28)에 인접하여 또는 그 중심 축선에 배치되며, 플랩(16)의 하측 부분(16b)의 하측 힌지(34b)는 방향키 블레이드(10)의 하측 부분에 배치되는 방향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10)는 서로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과 하측 부분(14)을 포함하는 방향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6)의 하측 부분(16b)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에 있는 하측 힌지(34b) 및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에 있는 상측 힌지(34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측 힌지(34a)는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중심 축선(28)에 또는 그 중심 축선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방향키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있는 하측 힌지(36b) 및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있는 상측 힌지(36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측 힌지(36b)는 방향키 블레이드의 두 부분(12, 14)이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방향키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6)의 하측 부분(16b)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에 있는 하측 힌지(34b)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있는 하측 힌지(36b)에 인접한 영역까지 이르며,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은 상기 하측 힌지(36b)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있는 상측 힌지(36a)에 인접한 영역까지 이르는 방향키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6)의 하측 부분(16b)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에 있는 하측 힌지(34b)와 상측 힌지(34a) 사이에 배치되는 장착축(42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방향키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상측 부분(12)에 있는 하측 힌지(36b)와 상측 힌지(36a) 사이에 배치되는 장착축(42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방향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을 위한 장착축(42a)은 방향키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14)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힌지(34c) 안으로 진입해 있는 방향키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6)의 상측 부분(16a)과 하측 부분(16b)은 연결편(48)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방향키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48)은 브레이킹 핀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는 방향키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10)는 플랩(16)의 상측 부분(16a)의 장착축(42a) 및/또는 플랩(16)의 하측 부분(16b)의 장착축(42b)에 연결되는 조향 기구(38)를 포함하며, 이 조향 기구(38)는 조향 스테이(steering stay; 38b)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38a)을 포함하며, 그 조향 스테이(38b)는 조향 기어(20)에 연결되어 있는 방향키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기구(38)는 상기 플랩(16)의 상측 부분(16a)과 하측 부분(16b)의 공동 회전 또는 개별적인 회전을 위해 배치되는 방향키 장치.
  14. 제 3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기구(38)는 방향키 블레이드(10)의 상측 부분에 장착되는 플레이트(50)에 배치되는 방향키 장치.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 블레이드의 두 부분(12, 14)은 프로펠러의 축과 일치하는 중심 축선(28) 위쪽의 영역에 있는 볼트 연결부(30)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방향키 장치.
KR20130122174A 2013-10-14 2013-10-14 방향키 장치 KR20150043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174A KR20150043121A (ko) 2013-10-14 2013-10-14 방향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174A KR20150043121A (ko) 2013-10-14 2013-10-14 방향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121A true KR20150043121A (ko) 2015-04-22

Family

ID=5303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2174A KR20150043121A (ko) 2013-10-14 2013-10-14 방향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31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4517B1 (en) Rudder
CN106314761B (zh) 一种应用于小型复合式直升机的全动机翼机构
CN202593838U (zh) 船舶水动力前置导轮节能装置
EP2674633B1 (en) Increased capacity spherical lined bearings
US9463856B2 (en) Ship of contrarotating propeller propulsion type
GB2524824A (en) An aircraft wing with a wing tip device and a strut
EP3219979A1 (en) Bolted joint for rotor blade segments
CN103298691A (zh) 用于船舶的可收缩推进器单元
EP2512913A1 (en) Hydrofoil arrangement
CN103569356A (zh) 翼形尾梁
CN106081042B (zh) 带有襟翼的转动导管舵
KR20150043121A (ko) 방향키 장치
US20140166804A1 (en) Aircraft stabilization systems and methods of modifying an aircraft with the same
EP2457830B1 (en) Blade to rotor hub joint
EP3129279A2 (en) Vessel
CN107985567A (zh) 一种基于有人机无人化改装的前轮转向操纵机构
JP201515521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および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2042947B1 (ko) 선박용 키, 조타 방법 및 선박
CN102625763A (zh) 舵装置
CN102596711A (zh) 舵和具有这种舵的船型体
CN107364567A (zh) 一种小型直升机尾桨操纵系统
KR20150127189A (ko) 방향타
NO336378B1 (no) Roranordning
CN208358736U (zh) 一种船用螺旋桨安装工装
KR100495257B1 (ko) 선박 방향타의 보조타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