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862A - 직류 전압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 - Google Patents

직류 전압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862A
KR20150042862A KR1020157007174A KR20157007174A KR20150042862A KR 20150042862 A KR20150042862 A KR 20150042862A KR 1020157007174 A KR1020157007174 A KR 1020157007174A KR 20157007174 A KR20157007174 A KR 20157007174A KR 20150042862 A KR20150042862 A KR 2015004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irect current
wind
network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프레드 비크만
Original Assignee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4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3/38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03D9/25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 F03D9/257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the wind motor being part of a wind fa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connecting networks of the same frequency but supplied from differen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Wind Motors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풍력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풍력 발전 단지에 관한 것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적어도 2개의 풍력 발전 설비 및 생성된 전기 에너지 또는 그것의 일부를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통의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이 경우 각각의 풍력 발전 설비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직류에 의해 공급 장치에 전달하기 위해, 풍력 발전 설비는 직류 전압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 장치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직류 전압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WIND FARM WITH DC VOLTAGE NETWORK}
본 발명은 풍력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하기 위한 풍력 발전 단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풍력 발전 설비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 설비에 의해 풍력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고, 이 경우 생성은 풍력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풍력 발전 단지는 전기 에너지를 접속된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통의 공급점을 갖는다. 발전 단지의 모든 풍력 발전 설비는 이러한 공통의 공급점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한다.
공급은 이 경우 예를 들어, 각각의 풍력 발전 설비가 전력을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맞게 조정된 주파수, 전압 진폭 및 위상을 갖는 교류로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제공된 다수의 풍력 발전 설비의 전류들은 공통의 공급점에서 또는 직전에 중첩되어 함께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본적으로 임의의 풍력 발전 설비들은 하나의 풍력 발전 단지 내로 함께 작동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풍력 발전 설비는 기여 전류를 상응하는 설정에 따라 컨디셔닝하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 제공된 전력 전체의 조정도 필요하다.
그러나 이 경우 각각의 풍력 발전 설비에서 및 공통의 네트워크 공급점에 대한 풍력 발전 설비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내부 발전 단지 네트워크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풍력 발전 단지의 전체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 단점이다.
본 출원에 관한 우선권 주장 출원 시 독일 특허청에 의해 간행물 DE 101 45 346 A1호 및 DE 196 29 906 A1호가 조사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단점들을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이다. 특히 발전 단지 내 전력 손실은 감소하고 풍력 발전 단지의 효율은 증가해야 한다. 적어도 대안적인 해결 방법이 제안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풍력 발전 단지가 제안된다. 이러한 풍력 발전 단지는 풍력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제공되고,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풍력 발전 설비 및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접속된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통의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생성된 또는 생성 가능한 전기 에너지의 일부가 예를 들어 전력 공급 네트워크의 지원을 이유로 및/또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의 운영자의 설정에 따라 제공되는 경우에, 이것의 일부만이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되는 것은 특히 일시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기본적인 설명을 위해 가능한 전력 손실은 무시된다. 따라서 기본 컨셉을 설명하기 위해, 생성된 전력이 평균적으로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될 수도 있는 것도 전제된다. 전력 손실이 중요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전력 손실은 구체적으로 언급된다.
제안된 해결 방법에서 풍력 발전 설비는 직류 전압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직류 전압 네트워크는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라고도 할 수 있다. 풍력 발전 설비는 따라서 전기 에너지 또는 전력을 전달하고, 순간 상태를 고려할 때, 직류로서 직류 전압 네트워크 내로 상기 하나의 직류가 또는 모든 관련 풍력 발전 설비의 상기 직류(들)이 함께 공급 장치에 전달된다. 공급 장치는 풍력 발전 단지의 전체 전력을 받고, 이것을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직류 전압 네트워크 내로 직류의 공급에 관해 언급될 수도 있고, 이 경우 공급 장치는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로부터 전력을 인출한다. 전력 공급 네트워크와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에서 직류 전압 네트워크 내로 공급이라는 표현이 선택된다.
따라서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접속된 풍력 발전 설비들은 적절한 전압을 갖는 직류만을 상기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 내로 도입하는 것이 제안된다. 발전 단지 및 다수의 풍력 발전 설비들에 대해 하나의 공급 장치가 공급을 담당할 수 있다. 이는 주파수, 전압 진폭 및 위상과 관련해서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맞게 조정된 교류를 생성하기만 하면 된다. 전력 공급 네트워크의 갑작스럽게 변경된 요구를 포함해서 요구들이 발생해도 상기 공급 장치만이 구현되면 된다. 네트워크 상태의 검출도 상기 하나의 공급 장치에 의해서 실시되면 되고, 또는 상기 공급 장치만이 해당하는 검출된 값을 자연적으로 고려하기만 하면 된다. 이때 공급 장치는 공급점에 직접 또는 공급점 근처에 및 전력 공급 네트워크 근처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된 상기 측정값들의 직접적인 적용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공급 장치와 전력 공급 네트워크 사이에 전압 손실이 나타나지 않거나 경미하게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로써 공급점에 대한 관련 풍력 발전 설비의 전압 손실도 공급시 더 이상 고려되지 않아도 된다. 공급 장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류 신호의 전압을 전력 공급 네트워크의 전압에 맞게 조정하기만 하면 된다. 발전 단지 내의 풍력 발전 설비와 전력 공급 네트워크 사이에 비해 상기 공급 장치와 전력 공급 네트워크 사이의 간격이 더 작음으로 인해 전압 진폭도 경우에 따라서 전력 공급 네트워크의 요구에 맞게 더 양호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풍력 발전 설비에서 지금까지 필요로 하는 주파수 인버터도 절약될 수 있다. 이제는 하나의 공급 장치만을 필요로 한다. 상기 하나의 공급 장치는 풍력 발전 단지의 전체 전력을 처리해야 하고 따라서 상응하게 더 크게 설계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때로는 더 높은 효율, 즉 더 낮은 상대적 전력 손실로 작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직류 전압 네트워크의 직류 전압은 1 내지 50 kV, 특히 5 내지 10 kV인 것이 제안된다. 이는 바이폴라 토폴러지(bipolar topology)에서 2개의 라인 사이의 전압과 관련된다.
이로써 풍력 발전 설비는 적절하게 높은 전압, 즉 평균 전압을 갖는 전력을 풍력 발전 단지의 직류 전압 네트워크 내로 공급한다. 풍력 발전 단지의 직류 전압 네트워크 내의 이러한 적절하게 높은 전압에 의해 전송 손실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공통의 공급 장치에 정해진 진폭을 갖는 전압이 제공되고, 이로 인해 경우에 따라서 풍력 발전 단지의 전력 네트워크 내의 전압의 승압을 위한 변압기가 절약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장치는 중전압 인버터로 작동될 수 있고, 또는 공통의 공급 장치는 중전압 인버터일 수 있고, 상기 중전압 인버터는 더 높은 전압으로 인해 그렇게 많은 이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중전압 변압기를 불필요하게 만들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풍력 발전 단지의 적어도 하나의 풍력 발전 설비, 특히 모든 풍력 발전 설비들은 발전기, 정류기 및 승압 컨버터를 포함한다. 발전기는 풍력 발전 설비의 공기 역학적 로터에 접속되고, 이로 인해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생성할 수 있고, 발전기는 상기 전력을 교류로서 제공한다. 교류는 정류기에 의해 제 1 직류 전압을 갖는 제 1 직류로 정류된다. 제 1 직류 전압을 갖는 상기 제 1 직류는 승압 컨버터에 의해 제 2 직류 전압을 갖는 제 2 직류로 승압되고, 제 2 직류 전압은 이로써 제 1 직류 전압보다 높다. 제 2 직류 전압은 바람직하게 풍력 발전 단지의 직류 전압 네트워크 내로 도입된다. 승압 컨버터는 이로써 한편으로는 제 1 직류 전압을 즉 직류 전압 네트워크 내에 제공된 전압 진폭으로 높이는데 이용된다. 동시에 승압 컨버터는, 가급적 일정한 제 2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기능을 충족할 수 있다. 제 1 직류 전압은 예를 들어 풍속 변화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고, 예컨대 풍속이 약할 때 풍속이 강할 때보다, 특히 정격 풍속일 때보다 더 낮은 값을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정류기는 발전기 근처에, 특히 풍력 발전 설비의 나셀 내에 배치되고, 생성된 제 1 직류는 풍력 발전 설비의 타워 또는 그와 같은 것을 통해 승압 컨버터가 배치된 풍력 발전 설비의 타워 베이스 또는 그와 같은 것을 향해 아래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나셀로부터 타워 베이스 또는 그와 같은 것을 향해 전력의 전달을 위해 직류 전압 전송부가 이용될 수 있다. 동시에 풍력 발전 단지의 직류 전압 네트워크에 제공된 레벨의 높은 중전압은 항상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풍력 발전 단지의 풍력 발전 설비들 중 적어도 하나의 풍력 발전 설비, 바람직하게는 모든 풍력 발전 설비는 각각 교류 또는 상기 교류 생성을 위해 동기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동기 발전기는 확실하게 교류를 생성하여 정류기에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동기 발전기는 링발전기로서 형성되고, 즉 외부 1/3에만 또는 더 외부에 전자기 작동 소자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동기 발전기는 많은 수의 극, 예를 들어 48, 72, 96 또는 144개의 극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발전기의 구동자가 직접 공기 역학적 로터에 의해, 즉 중간 접속된 기어장치 없이 구동된 후에, 정류기에 공급되는 교류를 직접 생성하는 기어리스형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동기 발전기에 6개의 위상, 즉 2쌍의 3개의 위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6상 교류는 더 간단하게 더 낮은 고조파로 정류될 수 있고, 또는 더 작은 필터로 충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풍력 발전 설비들은 회전 속도 가변적으로 구현되고, 따라서 공기 역학적 로터의 회전 속도는 계속해서 각각의 탁월풍 풍속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공급 장치는 직류 전압 네트워크에 접속된 인버터를 포함하고 또는 공급 장치는 인버터이다. 상기 인버터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을 위한 교류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이 경우 중전압 인버터가 사용된다.
공급 장치와 전력 공급 네트워크 사이에 공급 장치에 의해 생성된 교류 전압을 높이기 위해 변압기가 제공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중전압 인버터의 사용시 이 경우 중전압 변압기는 생략될 수 있다. 접속된 전력 공급 네트워크 및 중간의 토폴로지에 따라, 이 경우 고전압 변압기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중전압 인버터가 중전압을 갖는, 특히 5 내지 10 kV의 전압을 갖는 교류를 생성하는 경우에 및/또는 50 kV에 이르는 가능한 한 높은 중전압을 생성하는 중전압 변압기가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고전압 변압기가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범위 제 7 항에 따른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따라서 풍력 발전 설비의 발전기에 의해 교류가 생성되고, 인버터에 의해 제 1 직류 전압을 갖는 제 1 직류로 정류된다. 상기 제 1 직류 전압의 진폭은 변동될 수 있다. 제 1 직류 전압을 갖는 상기 제 1 직류는 승압 컨버터에 의해 제 2 직류 전압을 갖는 제 2 직류로 승압된다. 이러한 제 2 직류 전압의 진폭은 특히 제 1 직류 전압보다 높고,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 즉 풍력 발전 단지 내의 공통의 직류 전압 네트워크 내의 전압에 맞게 조정된다.
제 2 직류 전압을 갖는 상기 제 2 직류는 상응하게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 내로 도입된다. 상기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도입된 에너지는 발전 단지 인버터라고도 할 수 있는 공통의 인버터에 제공되고, 상기 인버터는 직류로서 제공된 상기 에너지를 역변환하고, 교류로서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교류의 생성, 상기 교류를 제 1 직류로 정류, 제 1 직류를 제 2 직류로 승압 및 제 2 직류를 다수의 풍력 발전 설비로부터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 내로 도입이 실시된다. 제 1 직류, 제 1 직류 전압 및 제 2 직류란 이 경우 계통적 용어로서 파악될 수 있고, 제 1 직류, 제 1 직류 전압 및 제 2 직류의 진폭들은 풍력 발전 설비마다 상이할 수 있다. 동일한 풍력 발전 설비의 사용 시에도 값들은 예를 들어 탁월풍 및/또는 풍력 발전 단지 내의 해당 풍력 발전 설비의 위치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다. 제 2 직류 전압은 그러나 모든 풍력 발전 설비에서 제 1 근사시 항상 동일해야 하고,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 내의 직류 전압에 상응해야 한다.
본 발명의 세부사항은 실시예를 참고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풍력 발전 단지에서 이용될 풍력 발전 설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풍력 발전 단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타워(102)와 나셀(104)을 구비한 풍력 발전 설비(100)를 도시한다. 나셀(104)에 3개의 로터 블레이드(108)와 스피너(110)를 가진 공기 역학적 로터(106)가 배치된다. 로터(106)는 풍력에 의해 작동시 회전 운동하고, 이로 인해 나셀(104) 내의 발전기를 구동한다.
도 2는 예시적으로 2개의 풍력 발전 설비(2)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1)를 도시하고, 상기 풍력 발전 설비들 중 하나의 풍력 발전 설비는 더 상세히 제공되고, 편의상 다른 풍력 발전 설비는 도시되지 않았고, 경우에 따라서 생략할 수도 있다. 2개의 풍력 발전 설비(2)는 각각 직류 전압 라인(4) 및 직류 전압 버스바(6)를 통해 공통의 인버터(8)에 접속된다. 공통의 인버터(8)는 버스바(6)의 직류 또는 직류 전압으로부터 출력부(10)에서 교류 전압을 갖는 교류를 생성하고, 상기 교류를 중전압 변압기로서 구현된 변압기(12)를 통해 전력 공급 네트워크(14) 내로 공급한다.
실시예에 따른 기본적인 조작 및 필요한 부재들은 더 상세히 도시된 풍력 발전 설비(2)에 의해 설명된다. 풍력 발전 설비(2)는 공기 역학적 로터(16)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풍력으로 회전되고, 이때 동기 발전기(18)의 구동자를 회전시키므로, 동기 발전기(18)는 교류를 생성하여 정류기(20)에 제공한다. 정류기(20)는 풍력 발전 설비(2)의 나셀(22) 내에 배치되고, 거기에서 제 1 직류 전압을 갖는 제 1 직류를 생성한다. 제 1 직류 전압을 갖는 제 1 직류는 직류 접속 라인(24)에 의해 나셀(22)로부터 타워(26)를 지나 타워 베이스(28)에 전달된다. 직류 접속 라인(24)은 따라서 직류 타워 라인이라고도 할 수 있다.
타워 베이스(28)에서 직류 접속 라인(24)은 승압 컨버터(30)에 접속된다. 승압 컨버터(30)는 제 1 교류 전압을 갖는 제 1 직류를 제 2 직류 전압을 갖는 제 2 직류로 변환한다. 제 2 직류 전압을 갖는 상기 제 2 직류는 승압 컨버터(30)의 출력부(32)에 출력되고, 직류 전압 라인(4)을 통해 버스바(6)에 전달된다.
직류 접속 라인(24) 또는 직류 타워 라인(24) 및 정류기(20)의 출력부에서 발생하는 제 1 직류의 제 1 직류 전압은 대략 5 kV이다. 직류 전압 라인(4)에 또는 버스바(6)에 대한 직류 전압 접속부(4)에 인가하는 직류 전압은 바람직하게 5 내지 10 kV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버스바(6) 및 공통의 인버터(8)의 입력부에도 상기 값이 인가한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공통의 인버터(8)는 5 내지 10 kV의 직류 전압의 변환을 위해 설계된다. 실질적으로 공급 장치인 공통의 인버터(8)는 따라서 중전압 인버터로서 설계된다.
도시된 토폴로지에 의해 각각의 풍력 발전 설비(2)에서 인버터가 절약될 수 있다. 사용된 공통의 인버터(8)는 특히 도 2에서도 제안된 중전압 인버터의 사용시 더 작은 전압을 갖는 다수의 개별 인버터에서 가능한 것보다 높은 효율로 작동될 수 있다. 도 2는 모두 2개의 풍력 발전 설비(2)를 도시하고, 따라서 풍력 발전 단지(1) 내에 다수의 풍력 발전 설비(2)가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풍력 발전 단지는 2개 이상의 풍력 발전 설비(2)를 포함하고, 특히 50개 이상의 풍력 발전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 설비들은 모두 직류 전압 라인(4)을 통해 버스바(6)에 접속된다. 직류 전압 라인(4) 전체는 이로써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4)라고 할 수 있거나 간단히 발전 단지 내 직류 전압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4)는 이로써 개별 풍력 발전 설비 사이의 직접적인 접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버스바(6)에 의한 간접적인 접속이 제공될 수 있다.
풍력 발전 단지(1) 및/또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14)의 설계에 따라 중전압 변압기(12)는 생략될 수 있다. 풍력 발전 설비(2)에 의해 생성된 전체 전력은 가능한 한 높은 전압을 갖는 직류 전압 네트워크(4)에 제공된 후에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공통의 인버터(8)에 의해 전력 공급 네트워크(14) 내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발전 단지(1)의 효율의 증가는 특히 손실 감소에 의해 가능해진다. 또한 추후의 가능한 네트워크 요구가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요구는 예를 들어, 발전 단지가 매우 결정론적으로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의 특정한 상태에 반응해야 하는 것 또는 상기 풍력 발전 단지가 특히 결정론적으로 명확하게 사전 설정되어 전력 공급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의 요구에 대응해야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요구들은 매우 갑작스럽게 해당 신호에 의해 주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공통의 인버터(8)를 사용함으로써 풍력 발전 단지(1)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의해 대형 전류 생성기로서 인지되는 풍력 발전소와 관련해서 이용될 수 있다. 발전 단지(1) 내의 풍력 발전 설비들의 가능한 차이점들은 전력 공급 네트워크(14)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반드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고, 또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14)에 의해 인지될 수 없다. 이는 특히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의 변경된 상태에 대한 및/또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14)에 의해 변경된 요구에 대응시 상이한 시간 거동을 포함한다.
이로써 특히, 풍력 발전 단지의 전체 발전 단지 배선에 직류 전압 기술 및 중전압 범위, 특히 5 내지 10 kV의 전압 범위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풍력 발전 설비는 인버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2에 버스바(6)를 가진 인버터(8)로서 도시된 네트워크 전송 스테이션으로 에너지 전송은 직류 전압에 의해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전송 스테이션에서 중전압 인버터는 따라서 교류 전압 네트워크, 즉 전력 공급 네트워크(14) 내로 공급을 위해 이용된다. 상기 중전압 인버터는 모든 네트워크 요구, 즉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의한 요구 및 임의의 무효 전력 요구, 즉 공급될 무효 전력분에 대한 요구도 충족한다.
이로써 풍력 발전소를 가능한 한 저렴하게 그리고 가능한 한 높은 효율로 구성하기 위한 목적에도 이용되는 해결 방법이 제안된다.
1 : 풍력 발전 단지 2 : 풍력 발전 설비
4 : 직류 전압 라인, 직류 전압 네트워크
6 : 버스바 8 : 인버터, 공급 장치
12 : 변압기 14 : 전력 공급 네트워크
16 : 로터 18 : 동기 발전기
20 : 정류기 22 : 나셀
24 : 직류 접속 라인 26 : 타워
28 : 타워 베이스 30 : 승압 컨버터
100 : 풍력 발전 설비 102 : 타워
104 : 나셀 108 : 로터 블레이드
106 : 로터 110 : 스피너

Claims (8)

  1. 풍력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풍력 발전 단지(1)로서,
    -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풍력 발전 설비(2)와,
    - 생성된 전기 에너지 또는 그것의 일부를 전력 공급 네트워크(14)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통의 공급 장치(8)를 포함하고,
    각각의 풍력 발전 설비(2)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직류에 의해 공통의 공급 장치(8)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풍력 발전 설비(2)는 직류 전압 네트워크(4)를 통해 상기 공급 장치(8)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압 네트워크(4)는, 1 내지 50 kV, 특히 5 내지 10kV의 직류 전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 설비들(2)은 각각
    -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발전기(18)와,
    - 생성된 교류를 제 1 직류 전압을 갖는 제 1 직류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기(20)와,
    - 제 1 직류 전압을 갖는 제 1 직류를 제 1 직류 전압보다 높은 제 2 직류 전압을 갖는 제 2 직류로 승압하기 위한 승압 컨버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 단지(1)의 상기 풍력 발전 설비들(2) 중 적어도 하나의 풍력 발전 설비, 바람직하게는 모든 풍력 발전 설비들(2)은 각각 교류 또는 상기 교류의 생성을 위해 동기 발전기(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8)는 상기 전력 공급 네트워크(14) 내로 공급을 위한 교류의 생성을 위해 상기 직류 전압 네트워크(4)에 접속된 인버터(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8)와 상기 전력 공급 네트워크(14) 사이에 상기 공급 장치(8)에 의해 생성된 교류 전압을 높이기 위해 변압기(1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7. 다수의 풍력 발전 설비(2)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1)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전력 공급 네트워크(14) 내로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풍력 발전 설비(2)의 발전기(18)에 의해 교류를 생성하는 단계와,
    (b) 교류를 제 1 직류 전압을 갖는 제 1 직류로 정류하는 단계와,
    (c) 제 1 직류 전압을 갖는 제 1 직류를 제 2 직류 전압을 갖는 제 2 직류로 승압하는 단계와,
    (d) 전력 공급 네트워크(14) 내로 공급을 위한 발전 단지 인버터(8)에 제공하기 위해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4) 내로 제 2 직류를 도입하는 단계와,
    (e) 직류 전압 발전 단지 네트워크(4) 내에 제공된 전기 에너지를 발전 단지 인버터(8)에 의해 상기 전력 공급 네트워크(14)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1)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전력 공급 네트워크(14) 내로 공급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단계 a 내지 d는 풍력 발전 단지(1)의 다수의 풍력 발전 설비(2)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1)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전력 공급 네트워크(14) 내로 공급하기 위한 방법.
KR1020157007174A 2012-08-30 2013-08-23 직류 전압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 KR20150042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5422.1 2012-08-30
DE102012215422.1A DE102012215422A1 (de) 2012-08-30 2012-08-30 Windpark
PCT/EP2013/067590 WO2014033073A1 (de) 2012-08-30 2013-08-23 Windpark mit gleichspannungsne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862A true KR20150042862A (ko) 2015-04-21

Family

ID=4908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174A KR20150042862A (ko) 2012-08-30 2013-08-23 직류 전압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50226185A1 (ko)
EP (1) EP2890890A1 (ko)
JP (1) JP2015532697A (ko)
KR (1) KR20150042862A (ko)
CN (1) CN104603456A (ko)
AR (1) AR092391A1 (ko)
AU (1) AU2013307405B2 (ko)
BR (1) BR112015003374A2 (ko)
CA (1) CA2881998A1 (ko)
CL (1) CL2015000409A1 (ko)
DE (1) DE102012215422A1 (ko)
IN (1) IN2015DN01225A (ko)
MX (1) MX357020B (ko)
NZ (1) NZ705010A (ko)
RU (1) RU2627230C1 (ko)
TW (1) TWI524004B (ko)
WO (1) WO2014033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9052A1 (de) * 2014-09-22 2016-03-24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elektrischen Wechselstroms
JP6470645B2 (ja) * 2015-06-26 2019-0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および風力発電システム
US9945359B2 (en) * 2015-08-13 2018-04-17 Abb Schweiz Ag DC output wind turbine with power dissipation
DE102015116596A1 (de) * 2015-09-30 2017-03-30 Wobben Properties Gmbh Windparkflugbefeuerungssystem sowie Windpark damit und Verfahren zur Befeuerung eines Windparks
DE102016101469A1 (de) * 2016-01-27 2017-07-27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Einspeisen elektrischer Leistung in ein elektrisches Versorgungsnetz
DE102016103254A1 (de) 2016-02-24 2017-08-24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äquivalenten Windgeschwindigkeit
DE102016108394A1 (de) * 2016-05-06 2017-11-09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r Kompensation von einzuspeisenden Strömen eines Windparks
CN106089585A (zh) * 2016-06-08 2016-11-09 内蒙古久和能源装备有限公司 自馈电式风力发电机组
CN109451778A (zh) * 2016-07-08 2019-03-08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力变换装置以及风力发电系统
DE102017106436A1 (de) * 2017-03-24 2018-09-27 Wobben Properties Gmbh Windpark mit mehreren Windenergieanlagen
DE102017116375A1 (de) * 2017-07-20 2019-01-24 Aerodyn Consulting Singapore Pte Ltd Offshore-Windpark mit Hochspannungs-Gleichstrom-Seekabel
DE102018100084A1 (de) * 2018-01-03 2019-07-04 Wobben Properties Gmbh Windenergieanlage zum Einspeisen elektrischer Leistung mittels Vollumrichter
US10451044B1 (en) * 2018-04-03 2019-10-22 Pasquale Lentini Wind turbine array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0906C2 (de) * 1996-05-24 2000-02-10 Siemens Ag Windenergiepark
BR9917306A (pt) * 1999-05-28 2002-02-19 Abb Ab Instalação de energia eólica
SE518121C2 (sv) * 1999-12-23 2002-08-27 Abb Ab Elkraftsystem baserat på förnyelsebara energikällor
DE10145346A1 (de) * 2001-09-14 2003-04-03 Abb Research Ltd Windparkanlage
DE10145347A1 (de) * 2001-09-14 2003-04-03 Abb Research Ltd Windparkanlage
CA2608034C (en) * 2005-05-13 2015-03-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Wind farm power control system
EP1908163A1 (en) * 2005-07-01 2008-04-09 Vestas Wind Systems A/S A variable rotor speed wind turbine, wind park, method of transmitting electric power and method of servicing or inspecting a variable rotor speed wind turbine
US20090200808A1 (en) * 2006-02-25 2009-08-13 Parmley Sr Daniel W Pole-mountable wind turbine support system
JP5124114B2 (ja) * 2006-08-28 2013-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蓄電機能を有する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GB2449427B (en) * 2007-05-19 2012-09-26 Converteam Technology Ltd Control methods for the synchronisation and phase shift of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strategy of power converters
US8213199B2 (en) * 2007-11-30 2012-07-03 Alencon Acquisition Co., Llc. Multiphase grid synchronized regulated current source inverter systems
ITTO20080324A1 (it) * 2008-04-30 2009-11-01 Trevi Energy S P A Convertitore modulare della potenza elettrica prodotta da generatori eolici e centrale eolica impiegante lo stesso.
DE102008022617A1 (de) * 2008-05-07 2009-11-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Windenergiepark mit einer Vielzahl von Windenergieanlagen
GB0819561D0 (en) * 2008-10-27 2008-12-03 Rolls Royce Plc A distributed electrical generation system
US8212408B2 (en) * 2008-12-24 2012-07-03 Alencon Acquisition Co., Llc. Collection of electric power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vi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systems with conversion and supply to an alternating current transmission network
US9422922B2 (en) * 2009-08-28 2016-08-23 Robert Sant'Anselmo Systems, methods, and devices including modular, fixed and transportable structures incorporating solar and wind generation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JP5585288B2 (ja) * 2010-08-10 2014-09-10 株式会社明電舎 風力発電システム及び風力発電システムの発電出力スケジュール制御方法
EP2528184B1 (en) * 2011-05-25 2014-09-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C-transmission link
US20120326516A1 (en) * 2011-06-27 2012-12-27 Bloom Energy Corporation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Isolated and Non-Isolated Buses
JP2013087703A (ja) * 2011-10-19 2013-05-13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048694B2 (en) * 2012-02-01 2015-06-02 Abb Research Ltd DC connection scheme for windfarm with internal MVDC collection grid
US9300132B2 (en) * 2012-02-02 2016-03-29 Abb Research Ltd Medium voltage DC collection system
WO2013185772A2 (en) * 2012-06-12 2013-12-19 Vestas Wind Systems A/S Wind-power-plant control upon low-voltage grid faults
US9337657B2 (en) * 2012-11-28 2016-05-10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unit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3073A1 (de) 2014-03-06
EP2890890A1 (de) 2015-07-08
CL2015000409A1 (es) 2015-06-12
TWI524004B (zh) 2016-03-01
DE102012215422A1 (de) 2014-03-06
BR112015003374A2 (pt) 2017-07-04
AU2013307405A1 (en) 2015-03-05
AU2013307405B2 (en) 2016-10-13
JP2015532697A (ja) 2015-11-12
MX2015002259A (es) 2015-07-06
RU2627230C1 (ru) 2017-08-04
AR092391A1 (es) 2015-04-22
NZ705010A (en) 2016-06-24
US20150226185A1 (en) 2015-08-13
MX357020B (es) 2018-06-25
CA2881998A1 (en) 2014-03-06
CN104603456A (zh) 2015-05-06
IN2015DN01225A (ko) 2015-06-26
TW201418574A (zh)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2862A (ko) 직류 전압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
EP2492501B1 (en) Wind turbine
US936623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electric energy production facility during a disconnection to a utility grid
CA2409514C (en) Method for operating a wind power station and wind power station
EP3213383B1 (en) Wind-turbine converter control for modular string converters
US9525284B2 (en) Medium voltage DC collection system with power electronics
US957754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electric power generator to an HVDC transmission system
EP3241270B1 (en) Dc-link reference voltage determination for wind turbine converter systems
US20120139246A1 (en) Asynchronous generator system and wind turbine having an asynchronous generator system
JP5787870B2 (ja) 風力発電施設及びその運転方法
EP3151356A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off-shore natural resource platforms
JP2015509698A (ja) 電気ユニットの使用方法
CA3074576C (en) Method for supplying wind energy plant components with energy and energy supply device and wind energy plant using the same
JP6772118B2 (ja) 分散電源システムの制御装置、分散電源システム、分散電源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分散電源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EP2911288A1 (en) Separately excited synchronous machine with excitation supplied from dc-link of stator inverter
CN113950785A (zh) 两用转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