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97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972A
KR20150041972A KR20130120598A KR20130120598A KR20150041972A KR 20150041972 A KR20150041972 A KR 20150041972A KR 20130120598 A KR20130120598 A KR 20130120598A KR 20130120598 A KR20130120598 A KR 20130120598A KR 20150041972 A KR20150041972 A KR 2015004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viewer
concentration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일
정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1972A/ko
Priority to US14/230,035 priority patent/US20150102996A1/en
Publication of KR2015004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처리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처리 방법에 따르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단계, 외부 환경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절전 효과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구분된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들 중에서, 시청 집중도에 대응되는 레벨의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OWER SAVE PROCESS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환경을 감지하여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며, 고화질 컨텐츠의 보급으로 시청자는 TV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롯하여 스마트 폰, 태블릿 PC등을 이용하여,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고화질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특히, 가정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대형화 및 고화질화되어 가는 추세가 됨에 따라, 전력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전력 소모의 낭비를 줄이고,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화질의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기를 원한다. 이에 따라,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질 모드가 설정 가능한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시청자는 실시간으로 시청하는 영상 컨텐츠의 화질을 변경하는 것은 어렵고 번거로우므로, 별도의 설정이 가능해도 설정 메뉴를 자주 사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청자의 상태 및 시청 환경 등에 따라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컨텐츠의 화질을 설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환경을 이용하여 시청자의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여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처리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절전 효과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구분된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들 중에서, 상기 시청 집중도에 대응되는 레벨의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자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청 집중도는 상기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시청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매칭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시청 집중도 정보 중에서, 상기 시청자의 시청 자세에 대응되는 시청 집중도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시청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까지의 직선으로 연결하는 시청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선 방향 및 시청 방향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시청자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시청자의 시청 집중도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시청 집중도를 가지는 시청자 수를 기준으로 전체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환경은 복수의 항목으로 구분되며,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감지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에 대해 각 항목 별로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각 항목 별 감지 결과를 수정하는 단계 및 수정된 감지 결과를 조합하고, 조합 결과에 따라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항목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시청 거리, 시청 시간 대, 시청자 수, 시청자의 시선 방향, 시청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동작, 고 해상도 모드를 오프(off)하는 동작, 휘도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컨텐츠의 표시 화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턴-오프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 집중도의 레벨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오프 주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고, 절전 효과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구분된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들 중에서, 상기 시청 집중도에 대응되는 레벨의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한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시청 자세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매칭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시청 집중도 정보 중에서, 상기 시청자의 시청 자세에 대응되는 시청 집중도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시청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까지의 직선으로 연결하는 시청 방향을 산출하여 상기 시선 방향 및 시청 방향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시청자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시청자의 시청 집중도를 각각 산출하고,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시청 집중도를 가지는 시청자 수를 기준으로 전체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환경은 복수의 항목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감지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대해 각 항목 별로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각 항목 별 감지 결과를 수정하며, 수정된 감지 결과를 조합하고, 조합 결과에 따라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항목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시청 거리, 시청 시간 대, 시청자 수, 시청자의 시선 방향, 시청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동작, 고 해상도 모드를 오프(off)하는 동작, 휘도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컨텐츠의 표시 화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턴-오프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절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 집중도의 레벨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오프 주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의 시청 집중도에 따라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3 내지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청자를 촬영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촬상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촬영된 시청자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청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시청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 설정된 주기마다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전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를 포함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시청자의 설정에 따라 초고해상도(super resolution) 모드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시청자의 설정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외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온도, 습도, 조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수 및 시청자의 자세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한 외부 환경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절전 효과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구분된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들 중에서, 시청 집중도에 대응되는 레벨의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감지부(120)가 외부 환경을 감지하면, 제어부(130)는 그 결과를 기초로 하여 시청자의 시청 집중도를 판단한다.
시청 집중도는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집중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시청 집중도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판단될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청자를 촬영하여 그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시청 거리, 시청자 수, 시청자의 시선 방향, 시청 자세 등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실내 온도, 주변 온도, 습도, 조도 등을 감지하고, 이에 기초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청 시간, 시청 지역, 컨텐츠 종류 등에 기초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120)가 실내 적정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시청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20)가 실내 적정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어 있지 않으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응시하지 않고 있다고 감지하면,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청 집중도는 1 부터 100 사이의 값을 가지는 숫자로 표현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숫자가 클수록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들 중에서 시청 집중도에 대응되는 레벨의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절전 처리 동작은 하나의 레벨일 수 있으나, 절전 효과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전 효과 상", "절전 효과 중", "절전 효과 하"와 같이 세 개의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절전 효과 하"의 단계에 해당하는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시청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절전 효과 상"의 단계에 해당하는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절전 효과 상"의 단계인 경우, 제어부(130)는 초고화질(super resolution) 모드를 오프(off)하면서 동시에 영상 컨텐츠의 프레임을 10개 프레임 주기로 오프(off)하고, 휘도를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절전 효과 하"의 단계인 경우, 제어부(130)는 오직 영상 컨텐츠의 프레임을 20개 프레임 주기로 오프(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및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시청 집중도 판단 기능, 절전 처리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므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를 포함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영상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방송국 등 다양한 소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시청자의 설정에 따라 초고해상도(super resolution) 모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시청자의 설정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외부 온도, 습도, 시청자 상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 감지부(120)가 촬영부(121), 온도 센서(122) 및 습도 센서(12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환경에는 다양한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지부(120)의 구성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촬영부(121)는 시청자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촬영부(121)는 시청자의 설정에 의해 시청자를 촬영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주기마다 시청자를 촬영할 수 있다.
온도 센서(12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습도 센서(12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122) 및 습도 센서(123)가 감지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집중하여 시청하는 경우에는 보통 사용자가 생활하기 적절한 적정 온도 및 적정 습도를 유지할 것이다. 따라서, 온도 센서(122) 및 습도 센서(123)가 적절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면,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온도 센서(122) 및 습도 센서(123)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온도 센서(122) 및 습도 센서(123)를 포함하지 않아도,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온도 및 습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수신한 온도 및 습도 정보를 기초로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4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저장부(150)는 시청자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150)는 촬영부(121)를 통해 촬영한 시청자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고, 기 촬영된 시청자의 이미지를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고,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각종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실시간으로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하지 않아도,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기 저장된 설정에 따라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고,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출력부(160)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시청자는 시청 집중도에 따라 절전 처리된 영상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시청자를 촬영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부(121)는 시청자를 촬영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촬영부(121)를 통해 촬영한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21)가 시청자의 정면을 촬영한 경우,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21)가 시청자가 고개를 숙이거나 고개를 젖힌 모습을 촬영한 경우, 시청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10)를 향하지 않고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촬상 이미지(610)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나누어 복수의 블럭으로 구분한다. 하나의 블럭(620)은 복수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 블럭에 포함된 픽셀의 특성 값을 검출한 후, 그 특성 값을 주변 블럭과 비교하여 동일한 사물을 구성하는 블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각 블럭 별로 이러한 판단 과정을 수행하여, 각 사물의 에지 부분을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그 에지 부분에 따라 구분되는 각 영역별 컬러, 형상, 크기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역, 안구 영역, 홍채 영역 및 홍채 중심 좌표를 순차적으로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 과정에서는 다양한 알고리즘 및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에 대해 선택적 주의 집중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가령, SM(Saliency Map)모델을 적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출된 얼굴 영역에서 아다부스트(AdaBoos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안구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안구 영역에서 다시 동공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출된 동공의 중심 좌표를 검출한 후, 그 중심 좌표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을 매핑시킨다. 이에 따라, 동공 중심 좌표가 화면 내에서 어느 지점을 향하는 지를 판단한다. 시선 추적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다양한 문헌에서 공지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시청 자세를 판단하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 및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매칭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시청 집중도 정보 중에서, 상기 시청자의 시청 자세에 대응되는 시청 집중도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촬영부(121)를 통해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시청자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디스플레이된 바와 같은 4개의 시청자 이미지를 저장부(150)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가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촬영부(121)는 기 설정된 주기로 시청자를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촬영된 시청자 이미지를 저장부(150)에 기 저장된 시청자의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촬영된 시청자 이미지가 도 7 내지 도 10의 기 저장된 시청자 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와 유사한 경우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촬영부(121)가 기 설정된 주기로 촬영한 시청자 이미지가 저장부(150)에 기 저장된 시청자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7 내지 도 10의 4개의 기 저장된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와 70% 이상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가 중간인 것으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와도 70%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 집중도가 낮으면, "절전 효과 상"으로 설정된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제어부(130)는 초고화질(super resolution) 모드를 오프(off)하면서 동시에 영상 컨텐츠의 프레임을 10개 프레임 주기로 오프(off)하고, 휘도를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시청 집중도가 높으면, "절전 효과 하"로 설정된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제어부(130)는 오직 영상 컨텐츠의 프레임을 20개 프레임 주기로 오프(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촬영부(121)를 통해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청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고, 시청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까지의 직선으로 연결하는 시청 방향을 산출하여 상기 시선 방향 및 시청 방향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21)는 시청자의 안구를 중심으로 시청자를 촬영하고, 제어부(130)는 촬영된 시청자 이미지를 기초로 시선을 분석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청자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특징은 시청자가 복수인 경우에도 가능하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시청자가 감지되면, 복수의 시청자의 시청 집중도를 각각 산출하고,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시청 집중도를 가지는 시청자 수를 기준으로 전체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촬영부(121)를 통해 촬영한 영상에 복수의 시청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각 시청자에 대해 시청 집중도를 판단한다.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시청자의 이미지를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거나 시선 방향 및 시청 방향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시청 집중도를 1 부터 100 사이의 숫자로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130)는 각 시청자의 시청 집중도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시청 집중도를 가지는 시청자 수를 기준으로 전체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 집중도가 80 이상인 경우가 시청 집중도가 높아서 "절전 효과 하"의 절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이고, 시청 집중도가 60이상 80 미만인 경우가 시청 집중도가 중간으로 "절전 효과 중"의 절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이며, 시청 집중도가 60 미만인 경우를 시청 집중도가 낮아서 "절전 효과 상"의 절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를 살핀다.
제어부(130)가 촬영부(121)를 통해 촬영한 영상에 세 명의 시청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각 시청자의 시청 집중도를 85, 85, 65으로 판단하였다면, 시청 집중도가 80 이상으로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 사람이 과반수가 넘으므로, 전체적으로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130)는 "절전 효과 하"의 절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외부 환경이 복수의 항목으로 구분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감지 결과를 획득하고, 감지 결과에 대해 각 항목별로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각 항목별 감지 결과를 수정하며, 수정된 감지 결과를 조합하고, 조합 결과에 따라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항목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시청 거리, 시청 시간대, 시청자 수, 시청자의 시선 방향, 시청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초기 설정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항목에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청 집중도를 숫자로 환산하고, 시청자의 시청 자세에 가중치 0.5, 시청자 수에 가중치 0.3 그리고 주변 온도에 가중치 0.2를 두는 경우를 살핀다.
기 저장된 네 개의 이미지와 촬영부(121)를 통해 촬영된 시청자 이미지를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이미지와 촬영부(121)를 통해 촬영된 시청자 이미지가 80% 이상 유사한 경우, 시청자의 시청 자세에 의한 시청 집중도를 80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시청자 수가 1명인 경우, 복수의 시청자가 있는 경우보다 시청 집중도가 낮은 경우로 판단하고, 시청자 수에 의한 시청 집중도를 60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온도가 시청자가 쾌적하다고 느끼는 실내 온도 범위인 20도 내지 25도 사이인 것으로 온도 센서(122)를 통해 감지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온도에 의한 시청 집중도를 90으로 볼 수 있다.
각 항목에 의한 시청 집중도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하면, 전체 시청 집중도는 80*0.5 + 60*0.3+ 90*0.2 = 76가 된다. 시청 집중도가 60 이상 80 미만이면 제어부(130)는 "절전 효과 중"의 절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시청자(200)의 시청 자세 및 시청자의 수, 전등(1210)의 온/오프에 따른 조도 및 냉난방 장치(1200)의 온/오프에 따른 실내 온도 등 다양한 항목을 고려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시청 집중도를 판단한 경우,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에 대응되는 레벨의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전 처리를 수행하는 동작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동작, 고 해상도 모드를 오프(off)하는 동작, 휘도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컨텐츠의 표시 화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턴-오프하는 동작 등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주기마다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동작을 통해 절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초기 설정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절전 처리 상"인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 컨텐츠의 10번째 프레임마다 오프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절전 처리 중"인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 컨텐츠의 15번째 프레임마다 오프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절전 처리 하"인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 컨텐츠의 20번째 프레임마다 오프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의 프레임(1310, 1320, 1330)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하나의 영상 프레임(1340)을 오프할 수 있다. 다시 같은 주기로 영상 컨텐츠의 프레임(1350, 1360, 1370)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하나의 영상 프레임(1380)을 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의 레벨에 따라 컨텐츠의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오프 주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주기마다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동안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 해상도(super resolution) 모드를 오프 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시청 집중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고 해상도(super resolution) 모드를 온(on)하고, 시청 집중도가 높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고 해상도(super resolution) 모드를 오프(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초기 설정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어부(130)는 절전 처리에 순서를 정하여 단계적으로 절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에서 시작한 시청 집중도가 80이 되면, 제어부(130)는 고 해상도(super resolution) 모드를 오프(off)하고, 시청 집중도가 70이 되면 10프레임 주기로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off)하고, 시청 집중도가 60이 되면 20프레임 주기로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off)하고, 시청 집중도가 50이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휘도를 낮추고, 시청 집중도가 40이 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표시 화면의 크기를 반으로 줄이고, 시청 집중도가 30이 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상술한 절전 처리의 순서에 대한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S1400),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환경을 감지한다(S1405). 외부 환경은 복수의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시청 거리, 시청 시간대, 시청자 수, 시청자의 시선 방향, 컨텐츠 종류, 시청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환경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한다(S1410). 시청 집중도는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집중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실내 적정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면,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의 종류가 뉴스나 오디오 채널 등과 같이 비디오보다 오디오가 강조되는 컨텐츠인 경우에도, 시청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반대로 영화나 스포츠 컨텐츠 등인 경우에는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절전 효과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구분된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들 중에서, 시청 집중도에 대응되는 레벨의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1415).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동작, 고 해상도 모드를 오프(off)하는 동작, 휘도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컨텐츠의 표시 화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턴-오프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시청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시청 집중도가 10%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고 해상도 모드를 오프(off)하고, 시청 집중도가 20%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10 프레임 주기로 오프하는 등, 순차적으로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청자는 시청 집중도 변화에 따라 일일이 절전 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하지 않아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환경에 따라 즉각적으로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여,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처리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절전 효과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구분된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들 중에서, 상기 시청 집중도에 대응되는 레벨의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절전 처리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200 : 시청자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감지부
130 : 통신부 140 : 저장부
150 : 오디오 출력부
600, 700, 800, 900 : 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
1200 : 냉난방 장치 1210 : 전등
1310 내지 1390 : 이미지의 프레임

Claims (18)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처리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절전 효과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구분된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들 중에서, 상기 시청 집중도에 대응되는 레벨의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절전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자를 촬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시청 집중도는 상기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시청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 및
    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매칭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시청 집중도 정보 중에서, 상기 시청자의 시청 자세에 대응되는 시청 집중도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절전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시청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까지의 직선으로 연결하는 시청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선 방향 및 시청 방향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시청자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시청자의 시청 집중도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시청 집중도를 가지는 시청자 수를 기준으로 전체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절전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은 복수의 항목으로 구분되며,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감지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에 대해 각 항목별로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각 항목별 감지 결과를 수정하는 단계; 및
    수정된 감지 결과를 조합하고, 조합 결과에 따라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절전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항목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시청 거리, 시청 시간대, 시청자 수, 시청자의 시선 방향, 시청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 처리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동작, 고 해상도 모드를 오프(off)하는 동작, 휘도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컨텐츠의 표시 화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턴-오프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 처리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 집중도의 레벨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오프 주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 처리 방법.
  10.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고, 절전 효과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구분된 복수의 절전 처리 동작들 중에서, 상기 시청 집중도에 대응되는 레벨의 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한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시청 자세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매칭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시청 집중도 정보 중에서, 상기 시청자의 시청 자세에 대응되는 시청 집중도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자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시청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까지의 직선으로 연결하는 시청 방향을 산출하여 상기 시선 방향 및 시청 방향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시청자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시청자의 시청 집중도를 각각 산출하고,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시청 집중도를 가지는 시청자 수를 기준으로 전체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은 복수의 항목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감지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대해 각 항목별로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각 항목별 감지 결과를 수정하며, 수정된 감지 결과를 조합하고, 조합 결과에 따라 상기 시청 집중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항목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시청 거리, 시청 시간대, 시청자 수, 시청자의 시선 방향, 시청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동작, 고 해상도 모드를 오프(off)하는 동작, 휘도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컨텐츠의 표시 화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턴-오프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절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 집중도의 레벨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이미지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오프 주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20598A 2013-10-10 2013-10-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 KR20150041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598A KR20150041972A (ko) 2013-10-10 2013-10-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
US14/230,035 US20150102996A1 (en) 2013-10-10 2014-03-31 Display apparatus and power-saving proces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598A KR20150041972A (ko) 2013-10-10 2013-10-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972A true KR20150041972A (ko) 2015-04-20

Family

ID=5280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0598A KR20150041972A (ko) 2013-10-10 2013-10-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02996A1 (ko)
KR (1) KR201500419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949A (ko) * 2015-04-30 2016-11-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세교정 헤드셋 시스템
KR20200083153A (ko) * 2018-12-28 2020-07-08 바이두 유에스에이 엘엘씨 시각 기반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비활성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21772A (ko) * 2020-03-31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1450A (zh) * 2015-05-07 2016-12-0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休眠窗与唤醒窗的呈现方法、系统与电子设备
US11010601B2 (en) 2017-02-14 2021-05-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lligent assistant device communicating non-verbal cues
US11100384B2 (en) 2017-02-14 2021-08-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lligent device user interactions
US10467509B2 (en) * 2017-02-14 2019-1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ationally-efficient human-identifying smart assistant computer
CN110213663A (zh) * 2019-05-22 2019-09-06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音视频播放方法、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798798A1 (en) * 2019-09-26 2021-03-31 Aptiv Technologie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energy and/or resource management of a human-machine interface
CN115268718B (zh) * 2022-09-23 2023-02-03 深圳市心流科技有限公司 用于专注力训练的图像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42359B (zh) * 2009-09-16 2014-06-2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以及投影裝置及其控制方法
US20130057573A1 (en) * 2011-09-02 2013-03-07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Smart Display with Dynamic Face-Based User Preference Settings
US20150153572A1 (en) * 2011-10-05 2015-06-04 Google Inc. Adjustment of Location of Superimposed Image
US9152227B2 (en) * 2012-10-10 2015-10-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949A (ko) * 2015-04-30 2016-11-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세교정 헤드셋 시스템
KR20200083153A (ko) * 2018-12-28 2020-07-08 바이두 유에스에이 엘엘씨 시각 기반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비활성화 방법 및 시스템
US11029741B2 (en) 2018-12-28 2021-06-08 Baidu Usa Llc Deactivating a display of a smart display device based on a vision-based mechanism
KR20210121772A (ko) * 2020-03-31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2996A1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19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절전 처리 방법
EP26641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ing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JP6401785B2 (ja) 液晶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4902795B2 (ja)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5225647B (zh) 亮度调整方法及装置
US20160094824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P2840800A1 (en) Content-based audio/video adjustment
US1017676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288894B2 (en) Image optimization during facial recognition
US8570403B2 (en) Face image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implemented by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495004B2 (en) Display device adjustment by control device
KR20090063679A (ko) 포인팅 기능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20170374335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lor temperature adjusting method
US94326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16070541A1 (zh) 投影仪自适应调整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US20150334298A1 (en) Dynamic adjustment device for recording resolution and dynamic adjustment method and terminal
CN109257483B (zh) 一种显示屏开合角度的调节方法及多屏终端
US20160269634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working mode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US20210092472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102351496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205940B1 (en) Determining calibration settings for displaying content on a monitor
US20190373167A1 (en) Spotlight detection for improved image quality
US956325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2566738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5002540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