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614A -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 Google Patents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0614A
KR20150040614A KR20130119353A KR20130119353A KR20150040614A KR 20150040614 A KR20150040614 A KR 20150040614A KR 20130119353 A KR20130119353 A KR 20130119353A KR 20130119353 A KR20130119353 A KR 20130119353A KR 20150040614 A KR20150040614 A KR 20150040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ow
slat
living space
sl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춘욱
김원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지
Priority to KR20130119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0614A/ko
Publication of KR20150040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3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of liquid man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1Grids; Gratings; Slatted flo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랫(Concrete Slat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모돈 콘크리트 슬랫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측면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 있어서,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은 개구부가 구비되어 분뇨가 배출되는 분뇨배출부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생활공간부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은 중심부를 제외한 전방과 후방 단부에 분뇨배출부가 형성되어 중심부에 모돈이 잠을자는 모돈 생활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은 후방에 치우쳐 분뇨배출부가 형성되어 전방에 자돈이 활동하는 자돈 생활공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Concrete slates for sows and piglets}
본 발명은 돈 분만사용 콘크리트 슬랫(Concrete Slat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모돈 콘크리트 슬랫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측면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자돈 콘트리트 슬랫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는 가열수단에 의해 데워진 온매가 내부를 순환하여 바닥이 발열될 수 있도록 보온파이프가 복수의 열로 내장되고,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에는 그 일측면을 따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양측에 설치되는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 내장된 보온파이프를 연결해주는 연결파이프가 설치되어,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모돈과 자돈의 사용하는 부분별로 온도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 분만사용 콘크리트 슬랫에 관한 것입니다.
종래에 돈사에서 사용되는 바닥재로는 바닥면을 한쪽으로 경사진 콘크리트 면으로 하여 배설되는 대량의 분뇨가 모이게 하고, 낮은 쪽으로 수세를 하는 처리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분뇨 처리 시설에 막대한 투자를 하여야 하며 정화수의 방류가 환경 위생상 제한되고 특정한 방류 수로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육 바닥면에 호기성 발효균이 섞인 다량의 톱밥을 깔고, 분뇨를 톱밥에 흡수시킨 다음, 발효균에 의해 분해시켜서 분뇨를 처리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지만, 이 방법은 발효열에 의해 난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절기에는 유리하지만, 호기성균의 활동과 번식을 위해 공기의 공급이 필요하기 때문에 항상 발효상을 뒤섞는 작업이 필요하고, 이 관리가 불충분하면 가축이 톱밥을 밟아 굳혀서 호기성 발효를 방해하므로 혐기성 발효에 의한 암모니아가스 등의 유해 가스가 발생하고, 또한 가축이 불완전 발효의 톱밥을 먹고 병을 얻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분뇨가 잘 빠지며, 발목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슬랫을 돈사의 바닥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콘크리트 슬랫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임신한 모돈이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분만을 하고 포유할 수 있도록 분만틀이 설치된 분만사의 경우 모돈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게 되는데, 모돈의 유두가 쉽게 분뇨의 배설구멍에 끼어 손상받는 일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자돈의 생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물론 상처난 모돈의 유두 부분에 질병이 발생하는 등 양돈장에서 고질적인 문제를 반복적으로 겪고 있다.
또한, 비육사에서는 돼지의 행동이 자유로워 분뇨가 쉽게 배출되나, 모돈의 행동이 제한된 임신사 및 분만사에서는 분뇨를 배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분만사의 모돈용으로 철재로 된 주물 슬랫을 사용하는 경우, 주물 슬랫은 원가가 비싸고 부식이 쉬우며, 특히 모서리가 날카로워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모돈의 유두가 쉽게 상하는 단점이 있으며,
분만사의 자돈용으로 합성수지로 형성된 PP슬랫을 사용하는 경우, 분만사의 내부에서 모돈과 자돈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적정온도가 서로 상이함으로써, 자돈 슬랫에 별도의 난방시설을 갖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난방시설로는 주로 보온등 또는 PP슬랫의 상부에 별도의 전기보온매트를 설치하는데, 보온등은 모돈에 열 스트레스를 주게되고 자돈에게는 따가운 열기로 등 부위의 피부에 손상을 주는 등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자돈의 생활공간에 전기보온매트를 설치하는 경우 전기보온매트의 내부에 삽입된 전열선이 쉽게 파손되고, 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매트의 파손으로 인해 자돈이 감전되거나 보온효과를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P슬랫 자체의 원가도 높아 농가의 부담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현재 시중에는 PP수온매트와 같은 난방용 바닥재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바닥구조는 구조가 복잡하고 원가가 높으며 쉽게 누수되어 고장이 발생하며 사용할 때에도 배관이 어려워 시공이나 보수에 곤란을 초래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0553호에는 다수의 분뇨 배출공이 구비되고 철근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이 내장되게 콘크리트로 덮어쒸워져 성형되는 축사용 바닥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온수와 냉수가 유입되는 냉난방용 배관파이프가 구조물을 이루도록 갈짓자형으로 내장되게 덮어씌워져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바닥재가 게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사용하고 있는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튼튼한 구조를 가진 육성·비육사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콘크리트 슬랫의 장점을 이용하여, 모돈이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임신사(스톨사) 및 모돈과 자돈이 같이 생활하는 분만사에 모돈에 대한 유두손상을 줄이고, 돈분 처리에 용이하며 모돈자리 및 자돈자리의 부분별 온도관리에 용이한 콘크리트 슬랫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모돈 콘크리트 슬랫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측면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 있어서,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은 개구부가 구비되어 분뇨가 배출되는 분뇨배출부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생활공간부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은 중심부를 제외한 전방과 후방 단부에 분뇨배출부가 형성되어 중심부에 모돈이 잠을자는 모돈 생활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은 후방에 치우쳐 분뇨배출부가 형성되어 전방에 자돈이 활동하는 자돈 생활공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는 가열수단에 의해 데워진 온매가 내부를 순환하여 바닥이 발열될 수 있도록 보온파이프가 복수의 열로 내장되어 자돈 생활공간부를 가열하며,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에는 그 일측면을 따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양측에 설치되는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 내장된 보온파이프를 연결해주는 연결파이프가 설치되어,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모돈과 자돈의 생활공간부에 개별적으로 온도관리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후방에 돈분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돈본배출구에 끼움되는 덮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모돈 생활공간부에 개부구가 형성되지 않아 모돈 유두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모돈이 음수시 흘린 물과 배설한 분뇨를 원활하게 배출하며, 돈사를 청소할 때에는 돈분배출구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모돈 및 자돈콘크리트 슬랫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파이프가 구비되는 모돈 콘크리트 슬랫과, 내부를 순환하여 발열시키는 보온파이프가 구비되는 자돈 콘크리트 슬랫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별도의 온수연결파이프가 필요 없이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내부로 온수가 유입되어 설치가 용이하며, 추가로 구비되는 가열수단에 의해 데워진 온매가 보온파이프와 연결파이프를 순환하여 돈사의 바닥이 발열되는 방법으로 모돈과 자돈의 위치에 따라 콘크리트 슬랫을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효율적인 온도관리가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파이프 및 연결파이프의 노출을 최소화 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 자돈의 생활공간에 집중하여 열을 공급할 수 있게되어 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조립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수평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수평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거푸집 준비단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철근가설단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보온파이프 고정단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보온파이프가 고정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보온파이프가 철근의 상부에 안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9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양생단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마감단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11는 본 발명에 의한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거푸집 준비단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연결파이프 고정단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양생단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마감단계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의 측면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에 있어서,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개구부가 구비되어 분뇨가 배출되는 분뇨배출부(a)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생활공간부(b)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은 중심부를 제외한 전방과 후방 단부에 분뇨배출부(10a)가 형성되어 중심부에 모돈이 잠을자는 모돈 생활공간부(10b)가 구비되며,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후방에 치우쳐 분뇨배출부(20a)가 형성되어 전방에 자돈이 활동하는 자돈 생활공간부(20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1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조립상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수평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수평단면도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인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돈사의 바닥면에는 분뇨의 배출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슬랫(Concrete slat)을 복수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임신사 및 분만사의 경우 모돈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분만틀과 칸막이가 구비되어 자돈의 포유와 생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한다.
먼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의 측면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에 있어서,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개구부가 구비되어 분뇨가 배출되는 분뇨배출부(a)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생활공간부(b)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은 중심부를 제외한 전방과 후방 단부에 분뇨배출부(10a)가 형성되어 중심부에 모돈이 잠을자는 모돈 생활공간부(10b)가 구비되며,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후방에 치우쳐 분뇨배출부(20a)가 형성되어 전방에 자돈이 활동하는 자돈 생활공간부(20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10,20)은 수직으로 관통하여 분뇨의 배출을 위한 개구부가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돈사의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는 원활한 분뇨의 배출을 위해 상부가 좁고 하부로 점차 넓어지는 구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개구부가 구비되어 분뇨가 배출되는 분뇨배출부(a)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생활공간부(b)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은 중심부를 제외한 전방과 후방 단부에 분뇨배출부(10a)가 형성되어 중심부에 모돈이 잠을자며 포유하는 모돈 생활공간부(10b)가 구비되며,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후방에 치우쳐 분뇨배출부(20a)가 형성되어 전방에 자돈이 활동하는 자돈 생활공간부(20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에는 가열수단에 의해 데워진 온매가 내부를 순환하여 바닥이 발열될 수 있도록 보온파이프(31)가 복수의 열로 내장되어 자돈 생활공간부(20b)를 가열하며,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에는 그 일측면을 따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양측에 설치되는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 내장된 보온파이프를 연결해주는 연결파이프(32)가 설치되어,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모돈과 자돈의 생활공간부(10b,20b)에 개별적으로 온도관리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에는 가열수단에 의해 데워진 온매가 내부를 순환하여 바닥이 발열될 수 있도록 보온파이프(31)가 복수의 열로 내장되어 자돈 생활공간부(20b)를 가열한다.
또한,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은 그 일측면을 따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측면에 설치되는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 내장된 보온파이프(31)를 연결해주는 연결파이프(3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파이프(32)는 모돈 콘크리트 슬랫(20)의 폭보다 길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연결파이프(32)와 대응하는 위치로 측면에서 인입되어 복수열로 설치되며 내부를 순환하고 타측으로 유도되는 보온파이프(31)가 타설되되, 상기 보온파이프(31)는 자돈 생활공간부(20b)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이 복수의 열로 나란하게 구성되되, 보온파이프(31)와 연결파이프(32)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추가로 구비되는 가열수단(미도시)에 의해 데워진 온매가 보온파이프(31)와, 연결파이프(32)를 순환하여 돈사의 바닥이 발열되며, 이 때 동일한 열량을 가진 온매가 연결파이프(31)와 보온파이프(32)를 순환하더라도 각 파이프의 형태와 길이에 따라 각 콘크리트 슬랫(10,20)에 공급되는 열량이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분만틀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 모돈은 낮은 온도로 발열하는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의 상부에서 생활하게 되어 열스트레스가 적게 발생되고, 자돈은 높은 온도로 발열하는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의 자돈 생활공간부(20b)의 상부에서 생활하게 되어 온도가 낮은 바닥재로 인한 설사가 발병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100)은 추가로 구비되는 가열수단에 의해 데워진 온매가 보온파이프(31)와 연결파이프(32)를 순환하여 돈사의 바닥에 설치된 모돈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이 온도차이가 있도록 발열되며, 자돈의 생활공간부(20b)에 집중적으로 가열되는 방법으로 모돈과 자돈의 효율적인 보온이 이루어 짐으로써 온도관리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의 후방에 돈분배출구(11)를 형성하고, 상기 돈본배출구(11)에 끼움되는 덮개부(12)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돈분배출구(11)는 상부에 덮개부(12)가 끼움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돈분배출구(11)가 덮배구(12)로 덮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모돈의 뒷발이나 자돈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돈사를 청소하기 위해 덮개부(12)를 이탈하여 돈분배출구(11)를 개방하면 돈사의 크기가 큰 돈분을 저면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은 돈분배출구(11)를 후방에 형성할 수 있도록,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2개1조로 나란하게 측면이 밀착되어 설치되되, 밀착되는 측면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며 밀착되어 하나의 돈분배출구(1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의 측부에 나란하게 밀착되어 설치되되, 자돈의 수량에 따라 생활공간(20a)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의 좌측 및 우측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모돈 생활공간부(10b)에는 개부구가 형성되지 않아 모돈 유두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 개구부가 구비된 분뇨배출구(10a)가 형성되어 모돈이 음수시 흘린 물과 배설한 분뇨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돈사를 청소할 때에는 돈분배출구(11)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모돈 및 자돈콘크리트 슬랫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거푸집 준비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철근가설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보온파이프 고정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보온파이프가 고정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보온파이프가 철근의 상부에 안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9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양생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돈 콘크리트 슬랫의 마감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의 제조방법(200)은 다수개의 철판을 결합하여 상부가 개방된 거푸집 구조물(1)을 만들어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되, 상기 거푸집의 바닥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배가 형성된 복수개의 형틀(2)을 내장한 상태로 거푸집 형태를 이루도록 준비하는 거푸집 준비단계(210);
상기 거푸집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부에 안착홈(5)이 형성된 고정편(4)이 복수로 구비되고, 고정편의 상부에 복수열로 배치되는 철근(6)을 안착하여 고정하는 철근가설단계(220);
상기 거푸집의 일측면에서 인입되어 타측으로 유도되는 보온파이프(31)를 고정하는 지그(3)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와 거푸집 구조물의 내부에 구비된 철근의 상부에서 철근과 나란하게 복수열로 배치되는 보온파이프(31)를 고정하는 보온파이프 고정단계(230);
자갈과 모래가 혼합된 골재에 시멘트와 물을 배합한 후 타설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단계(240);
상기 거푸집 구조물(1)과 고정편(4)을 탈형시키고 외형을 다듬는 마감단계(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편(4)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모서리에 안착홈(5)이 형성되머 거푸집 구조물(1)의 바닥면에서 수직하여 돌출되며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근(6)은 거푸집 구조물(1)의 바닥면에서 수직하여 돌출되는 고정편(4) 내측에 형성된 안착홈(5)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푸집 구조물(1)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형틀(2)의 위치를 고려하여 겹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온파이프(31)은 거푸집 구조물의 측면에서 인입되어 타측으로 유도되며 상기 철근(6)의 상부에서 철근과 함께 철사 등을 이용한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온파이프(31)는 형틀이 설치되어 개부구가 형성되는 분뇨배출부(20a)를 제외한 자돈 생활공간부(20b)에 집중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푸집 탈형단계(250)에 있어서 고정편(4)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거푸집 구조물(1)의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편(4)이 거푸집 구조물(1)의 바닥면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고정편(4)을 끼워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거푸집 구조물(1)를 제거한 후에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의 저면으로 고정편(4)의 끝단이 돌출되어 상기 끝단을 파지하여 고정편(4)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의 제조방법(300)은 아래와 같다.
도11는 본 발명에 의한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거푸집 준비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연결파이프 고정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양생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마감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다수 개의 철판을 결합하여 상부가 개방된 거푸집 구조물을 만들어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되, 상기 거푸집 구조물의 바닥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배가 형성된 복수개의 형틀(2)을 내장한 상태로 거푸집 형태를 이루도록 준비하는 거푸집 준비단계(310);
상기 거푸집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연결파이프(32)를 고정하는 지그(3)를 고정하는 연결파이프 고정단계(320);
자갈과 모래가 혼합된 골재에 시멘트와 물을 배합한 후 타설하여 양생하는 양생단계(330);
콘크리트의 양생 후 거푸집 구조물을 탈형시키고 외형을 다듬는 마감단계(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 형성된 보온파이프(31)의 단부에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에 형성된 연결파이프(32)를 연결하면서, 자돈 콘크리트 슬랫과 모돈 콘크리트 슬랫을 맞대어 결합하는 설치단계(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의 측면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에 있어서,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개구부가 구비되어 분뇨가 배출되는 분뇨배출부(a)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생활공간부(b)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은 중심부를 제외한 전방과 후방 단부에 분뇨배출부(10a)가 형성되어 중심부에 모돈이 잠을 자는 모돈 생활공간부(10b)가 구비되며,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후방에 치우쳐 분뇨배출부(20a)가 형성되어 전방에 자돈이 활동하는 자돈 생활공간부(20b)가 구비되고,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에는 가열수단에 의해 데워진 온매가 내부를 순환하여 바닥이 발열될 수 있도록 보온파이프(31)가 복수의 열로 내장되어 자돈 생활공간부(20b)를 가열하며,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에는 그 일측면을 따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양측에 설치되는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 내장된 보온파이프를 연결해주는 연결파이프(32)가 설치되어,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모돈과 자돈의 생활공간부(10b,20b)에 개별적으로 온도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100)에 관한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100: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a: 분뇨배출부 b: 생활공간부
10: 모돈 콘크리트 슬랫 11: 돈분배출구
12: 덮개부 20: 자돈 콘크리트 슬랫
31: 보온파이프 32: 연결파이프
1: 거푸집 구조물 2: 형틀
3: 지그 4: 고정편
5: 안착홈 6: 철근
200: 자돈 콘크리트 슬랫 제조방법
210: 거푸집 준비단계
220: 철근가설단계
230: 보온파이프 고정단계
240: 양생단계
250: 마감단계
300: 모돈 콘크리트 슬랫 제조방법
310: 거푸집 준비단계
320: 연결파이프 고정단계
330: 양생단계
340: 거푸집 탈형단계
350: 마감단계

Claims (3)

  1.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의 측면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에 있어서,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과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개구부가 구비되어 분뇨가 배출되는 분뇨배출부(a)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생활공간부(b)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은 중심부를 제외한 전방과 후방 단부에 분뇨배출부(10a)가 형성되어 중심부에 모돈이 잠을 자는 모돈 생활공간부(10b)가 구비되며,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은 후방에 치우쳐 분뇨배출부(20a)가 형성되어 전방에 자돈이 활동하는 자돈 생활공간부(20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돈 콘크리트 슬랫(20)에는 가열수단에 의해 데워진 온매가 내부를 순환하여 바닥이 발열될 수 있도록 보온파이프(31)가 복수의 열로 내장되어 자돈 생활공간부(20b)를 가열하며,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에는 그 일측면을 따라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의 양측에 설치되는 자돈 콘크리트 슬랫에 내장된 보온파이프를 연결해주는 연결파이프(32)가 설치되어,
    상기 모돈의 생활공간부(10b)와 자돈의 생활공간부(20b)에 개별적으로 온도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돈 콘크리트 슬랫(10)의 후방에 돈분배출구(11)를 형성하고, 상기 돈본배출구(11)에 끼움되는 덮개부(12)를 추가로 구비하여, 돈사를 청소할 때에만 상기 덮개부(12)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KR20130119353A 2013-10-07 2013-10-07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KR20150040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353A KR20150040614A (ko) 2013-10-07 2013-10-07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353A KR20150040614A (ko) 2013-10-07 2013-10-07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614A true KR20150040614A (ko) 2015-04-15

Family

ID=5303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353A KR20150040614A (ko) 2013-10-07 2013-10-07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06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322B1 (ko) * 2016-06-21 2016-12-23 황수성 콘슬라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돈사용 콘슬라트
KR102335429B1 (ko) * 2021-05-21 2021-12-03 황수성 평철을 사용한 콘슬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322B1 (ko) * 2016-06-21 2016-12-23 황수성 콘슬라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돈사용 콘슬라트
KR102335429B1 (ko) * 2021-05-21 2021-12-03 황수성 평철을 사용한 콘슬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0614A (ko) 모돈 및 자돈 콘크리트 슬랫
KR200472071Y1 (ko) 미래형 우사
KR102183236B1 (ko) 돈 분만사용 콘크리트 슬랫
CN113016627A (zh) 一种多层楼房养猪系统
CN204860488U (zh) 塑料大棚肉猪肥育舍
CN206227280U (zh) 一种牛床
CN206576018U (zh) 一种新型母猪配怀舍
KR101319583B1 (ko) 돈 분만사용 콘크리트 슬랫 및 그 제조방법
CN206118715U (zh) 一种奶牛幼崽养殖大棚
CN215223767U (zh) 一种多层养猪楼舍
US4254737A (en) Slotted floor section with built-in means adapted for heating weaned pigs in nursery
KR200220553Y1 (ko) 축사용 바닥재
CN201938176U (zh) 一种双列式分娩猪舍
RU174935U1 (ru)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репродукторный свинарник
CN205993324U (zh) 漏排一体化养殖圈
CN208972257U (zh) 一种楼房式动物房
CN201752206U (zh) 设有水厕所的猪圈、猪舍设施及猪舍
CN206821591U (zh) 节能减耗的种猪舍
CN207589751U (zh) 一种仔猪保温活动平台
CN101743910A (zh) 舍饲散养猪舍
CN201286278Y (zh) 母猪分娩网床
CN217428906U (zh) 一种具有恒温通风功能的猪仔育殖舍
CN210808686U (zh) 一种提高香猪受孕率的饲养房
CN108782270A (zh) 一种楼房式动物房
CN204377635U (zh) 一种适用于猪舍的存水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