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451A -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0451A
KR20150040451A KR20130118978A KR20130118978A KR20150040451A KR 20150040451 A KR20150040451 A KR 20150040451A KR 20130118978 A KR20130118978 A KR 20130118978A KR 20130118978 A KR20130118978 A KR 20130118978A KR 20150040451 A KR20150040451 A KR 20150040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apacitor
rectifying
diode
power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상근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0451A/ko
Publication of KR2015004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는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복수의 전원 변환부;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종단에 연결되는 일단을 구비하는 디밍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 각각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 상기 복수의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압의 평균 레벨을 각각 산출하는 복수의 정류부; 및 상기 복수의 정류부에서 산출되는 전압의 평균 레벨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및 상기 디밍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CIRCUIT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에 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기기는 컴팩트한 제작이 가능해 기존 전자 제품으로는 설치가 어려운 장소에도 사용할 수 있고, 조명으로 사용되는 경우 다양한 색상 구현 및 조도 조절이 용이하여 영화 감상, 독서, 회의 등 상황에 적합한 시스템 조명으로써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력소모가 백열등의 1/8 수준으로 수명은 5~10배인 5~10만시간이고, 무수은 광원으로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일본, 호주 등 많은 국가에서 발광 다이오드 조명 사업을 국책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더하여, 최근 들어,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이외에 자동차 계기판에도 평판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는 초박형 텔레비젼, 투명 네비게이션 등 우리 생활에 디스플레이의 활용 폭이 넓어지고 있다. 또한,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은 고해상도와 대화면 등의 멀티미디어 시대 요구를 반영한 신기술의 FPD(Flat Panel Display)시장이 주를 이루고 있고,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의 경우 LCD(Liquid Crystal Display) TV가 급진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가격과 시장성 측면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는 주로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를 이룬다. 이러한 TFT-LCD는 광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광원으로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전력소모 및 수명, 친환경성 등과 같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사용이 증가 추세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는 대화면 TV에 적용되는 경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채널이 필요한데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상 각 채널마다 하나씩의 컨버터가 필요한 실정이다. 다만, 이 경우 다수의 컨버터에 각각의 연결되어 있는 LED 채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수의 디밍 스위치를 구비할 시에 제조 단가가 높아지고 제품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전원 변환부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하나의 디밍 스위치로 구동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복수의 전원 변환부;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종단에 연결되는 일단을 구비하는 디밍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 각각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 상기 복수의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압의 평균 레벨을 각각 산출하는 복수의 정류부; 및 상기 복수의 정류부에서 산출되는 전압의 평균 레벨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및 상기 디밍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 각각은,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전원을 축적 또는 방출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로부터 방출되는 전원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안정화하는 캐패시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터는 상기 입력 전원의 입력단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인덕터 및 상기 다이오드의 접속 노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검출부 각각은 검출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저항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접속 노드 및 접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검출 저항에는 상기 다이오드와 동일한 레벨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류부 각각은 정류 저항 및 정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 저항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접속 노드 및 상기 정류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정류 커패시터의 타단은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류 저항 및 상기 정류 커패시터는 RC 필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기술 적인 측면에 따르면,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복수의 전원 변환부;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종단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일단을 구비하는 디밍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의 평균 레벨을 각각 추정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및 상기 디밍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각각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검출부에서 각각 검출되는 전압의 평균 레벨을 각각 산출하는 복수의 정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 각각은, 스위치, 인덕터,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는 상기 입력 전원의 입력단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인덕터와 상기 다이오드의 접속 노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검출부 각각은 검출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저항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접속 노드 및 접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검출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상기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와 사전에 설정된 범위 안에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저항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디밍 스위치에서 접지로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류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정류부 각각은 정류 저항 및 정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 저항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접속 노드 및 상기 정류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정류 커패시터의 타단은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류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검출 저항의 저항값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전원 변환부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하나의 디밍 스위치로 구동함으로써 부품의 실장 면적을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주요부의 파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는 복수의 전원 변환부(110, 120), 복수의 검출부(210, 220), 하나의 디밍 스위치(DS), 복수의 정류부(310, 32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변환부, 검출부 및 정류부가 각각 2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복수의 전원 변환부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종단에 연결되는 하나의 디밍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추가적인 전원 변환부, 검출부 및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전원 변환부, 검출부 및 정류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전원 변환부, 검출부 및 정류부가 각각 2개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 변환부(110, 120)는 제1 전원 변환부(110) 및 제2 전원 변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 변환부(110)와 제2 전원 변환부(210)는 각각 부스트 컨버터 방식으로 구성되어 제1 입력전원(VS1) 및 제2 입력전원(VS2)의 전압 레벨을 변경한다. 제1 입력전원(VS1)와 제2 입력전원(VS2)는 동일한 전압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전원 변환부(110)는 인덕터 L1, 스위치 SW1, 다이오드 D1 및 커패시터 C1를 포함하며, 제2 전원 변환부(120)는 인덕터 L2, 스위치 SW2, 다이오드 D2, 캐패시터 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 변환부(110)에 있어서, 인덕터 L1는 제1 입력 전원(VS1)이 인가되는 입력단과 스위치 SW1 사이에 위치하여, 스위치 SW1의 스위칭에 따라 전원을 축적 또는 방출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 SW1은 인덕터 L1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다이오드 D1의 애노드는 인덕터 L1과 스위치 SW1의 접속 노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출력단 OUT1에 연결되어 스위치 SW1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인덕터 L1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원의 전달 경로를 제공한다. 커패시터 C1의 일단은 다이오드 D1의 캐소드와 접속되어, 다이오드 D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평활하여 출력단 OUT1로 제1 출력전원을 출력한다. 제1 출력전원은 발광 다이오드 LED 1에 제공되어, 디밍에 이용된다.
제1 전원 변환부(110)와 마찬가지로 제2 전원 변환부(210)에 있어서, 인덕터 L2는 제1 입력 전원(VS2)이 인가되는 입력단과 스위치 SW2 사이에 위치하여, 스위치 SW2의 스위칭에 따라 전원을 축적 또는 방출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 SW2은 인덕터 L2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다이오드 D2의 애노드는 인덕터 L2과 스위치 SW2의 접속 노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출력단 OUT2에 연결되어 스위치 SW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인덕터 L2로부터 방출되는 전원의 전달 경로를 제공한다. 커패시터 C2의 일단은 다이오드 D2의 캐소드와 접속되어, 다이오드 D2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평활하여 출력단 OUT2로 제2 출력전원을 출력한다. 제2 출력전원은 발광 다이오드 LED2에 제공되어, 디밍에 이용된다.
도 2에서 발광 다이오드가 1개가 전원 변환부(110, 120) 각각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뿐만 아니라,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로 접속된 발광 다이오드 채널이 전원 변환부(110, 120) 각각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광 다이오드 LED1, LED2의 종단에는 디밍 스위치(DS)가 공통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LED1, LED2는 각각 출력단 OUT1, OUT2에 애노드가 연결되는데, 각각의 캐소드는 서로 접속되고, 캐소드 간의 접속 노드에는 디밍 스위치(DS)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디밍 스위치(DS)의 타단은 커패시터 C1, C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검출부(210)는 커패시터 C1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데, 제1 검출부(210)는 저항 RS1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 RS1는 매우 낮은 저항값으로 설정되어 다이오드 D1에 흐르는 전류, 즉 출력단 OUT1으로 흐르는 전류와 기 설정된 범위에서 동일한 레벨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이 전류는 저항 RS1의 저항값에 따라 전압으로 검출되고, 검출된 전압은 정류부(310)에 의해 평균화된다.
정류부(310)는 저항 RX1와 커패시터 CX1를 포함하는데, 저항 RX1는 저항 RS1과 연결되고, 커패시터 CX1는 저항 RX1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저항 RS1에서 검출되는 전압은 저항 RX1과 커패시터 CX1에 의해 평균화되어 제어부(400)에 제공된다. 저항 RX1의 저항 값은 저항 RS1의 저항값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검출부(220)는 커패시터 C2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데, 제2 검출부(220)는 저항 RS2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 RS2는 매우 낮은 저항값으로 설정되어 다이오드 D2에 흐르는 전류, 즉 출력단 OUT1으로 흐르는 전류와 기 설정된 범위에서 동일한 레벨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이 전류는 저항 RS2의 저항 값에 따라 전압으로 검출되고, 검출된 전압은 정류부(320)에 의해 평균화된다.
정류부(320)는 저항 RX2와 커패시터 CX2를 포함하는데, 저항 RX2는 저항 RS2과 연결되고, 커패시터 CX2는 저항 RX2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검출 저항 RS2에서 검출되는 전압은 저항 RX2과 커패시터 CX2에 의해 평균화되어 제어부(400)에 제공된다. 저항 RX2의 저항 값은 저항 RS2의 저항값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정류부(310, 320)에서 제공되는 전압에 따라 스위치 SW1, SW2 및 디밍 스위치 DS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LED1, LED2에 흐르는 전류는 각각 다이오드 D1, D2에 흐르는 전류와 평균값이 동일한데, 다이오드 D1, D2에 흐르는 전류와 기 설정된 범위에서 동일한 레벨의 전류가 흐르는 저항 RS1, RS2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LED1, LED2에 흐르는 평균 레벨의 전류를 추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주요부의 파형도이다. 저항 RS1와 RS2에는 도시된 IRS와 같은 파형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는 저항 RS1와 RS2에 의해 VRS와 같은 전압 파형으로 검출된다. 검출된 전압 VRS는 정류부(310, 320)에 의해 평균화되어 Vg와 같은 레벨의 전압 신호로 변경되고, 이를 이용하여 제어부(400)는 스위치 SW1, SW2 및 디밍 스위치 DS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와 달리, 4개의 전원 변환부(110, 120, 130, 140), 검출부(210, 220, 230, 240), 정류부(310, 320, 330, 340)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명은 복수의 전원 변환부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종단에 연결되는 하나의 디밍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부품 수를 감소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3의 제어부(410, 420)는, 도 2의 제어부(400)와 달리, 두 개로 분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도 2의 제어부(400)와 같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제1 전원 변환부
120: 제2 전원 변환부
210: 제1 검출부
220: 제2 검출부
310: 제1 정류부
320: 제2 정류부
400: 제어부

Claims (16)

  1.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복수의 전원 변환부;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종단에 연결되는 일단을 구비하는 디밍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 각각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
    상기 복수의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압의 평균 레벨을 각각 산출하는 복수의 정류부; 및
    상기 복수의 정류부에서 산출되는 전압의 평균 레벨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및 상기 디밍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 각각은,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전원을 축적 또는 방출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로부터 방출되는 전원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안정화하는 캐패시터;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상기 입력 전원의 입력단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인덕터 및 상기 다이오드의 접속 노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출부 각각은 검출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저항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접속 노드 및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저항에는 상기 다이오드와 동일한 레벨의 전류가 흐르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류부 각각은 정류 저항 및 정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 저항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접속 노드 및 상기 정류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정류 커패시터의 타단은 접지와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저항 및 상기 정류 커패시터는 RC 필터로서 동작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8.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복수의 전원 변환부;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종단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일단을 구비하는 디밍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의 평균 레벨을 각각 추정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및 상기 디밍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각각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출부에서 각각 검출되는 전압의 평균 레벨을 각각 산출하는 복수의 정류부; 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부 각각은,
    스위치, 인덕터,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는 상기 입력 전원의 입력단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인덕터와 상기 다이오드의 접속 노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출부 각각은 검출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저항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접속 노드 및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상기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와 사전에 설정된 범위 안에서 동일한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저항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디밍 스위치에서 접지로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류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정류부 각각은 정류 저항 및 정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 저항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디밍 스위치의 접속 노드 및 상기 정류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정류 커패시터의 타단은 접지와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검출 저항의 저항값 보다 큰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KR20130118978A 2013-10-07 2013-10-07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KR20150040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978A KR20150040451A (ko) 2013-10-07 2013-10-07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978A KR20150040451A (ko) 2013-10-07 2013-10-07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451A true KR20150040451A (ko) 2015-04-15

Family

ID=5303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8978A KR20150040451A (ko) 2013-10-07 2013-10-07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04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370B2 (en) Power supply for light emitting diodes (LEDs)
CN101533607B (zh) 发光二极管的驱动电路以及发光二极管的驱动方法
US20110084618A1 (en) Led driving circuit having a large operational range in voltage
CN103672538B (zh) 背光调节电路及电子装置
US8911111B2 (en) LED backlight system and display device
WO2015018021A1 (zh) Led背光源及液晶显示器
US20110292090A1 (en) Display apparatus
US9380673B2 (en) LED back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000677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KR20130063863A (ko) Led 어레이 오픈여부 감지회로 및 이를 이용한 led 구동장치
US20130162154A1 (en) Driv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US9148928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KR20150040451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KR101397786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US9204506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US9888536B2 (en) Circuit of light-emitting elements
US7999489B2 (en) Circuit for driving light sources using balanced feedback signal
CN103177695B (zh) 具有电路保护模块的显示装置及其保护方法
JP2012124581A (ja) Ledドライバ回路、および、ledドライバシステム
KR101397778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20120032806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US9024531B2 (en) Apparatus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KR20140081127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20150030052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1462735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