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450A - Power suppl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ower suppl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0450A
KR20150040450A KR20130118976A KR20130118976A KR20150040450A KR 20150040450 A KR20150040450 A KR 20150040450A KR 20130118976 A KR20130118976 A KR 20130118976A KR 20130118976 A KR20130118976 A KR 20130118976A KR 20150040450 A KR20150040450 A KR 20150040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output
unit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8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필식
김민석
김태성
신윤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0450A/en
Publication of KR2015004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4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 plasma display panel.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power conversion unit which alternately switches input power applied to the primary side of a first transformer to output predetermined sustain power and address power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first transformer; a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which switches input power applied to the primary side of a second transformer to output predetermined first and second multi-power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second transformer; and a stabilization unit which generates predetermined output power from the secondary side of the first transformer to transmit the output power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power.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ING APPARATUS}POWE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a plasma display panel.

최근 들어,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음극선관(Cathod-Ray Tube;CRT)과 (Liquid Crystal Display;LC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이 대표적이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두께가 얇고 대화면 구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점차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kinds of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Examples of such a display device include a cathode ray tube (CRT),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Particularly,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plasma display panel have been widely used because of their small thickness and large screen configuration.

한편, 액정 표시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달리 자체발광특성이 없기 때문에 별도로 백라이트(backlight)를 사용되고,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로서는 주로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가 이용되는데, 이러한 백라이트는 일단 장치의 크기가 크고 전력소모가 많으며 제조가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경박단소화 및 비용 저감을 추구하고 소비자 성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디스플레이 장치로 주로 사용되나,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한 마찬가지로 보다 더 경박단소화되고 비용이 보다 더 저감되기를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Unlike a plasma display panel, a backlight is separately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ecause it has no self-emission characteristic unlike a plasma display panel, and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is mainly used as a backlight used in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Such a backlight ha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device is large, power consumption is high, and manufacturing cost is high. Accordingly, although plasma display panels are mainly used as display devices in order to pursue light weight shortening and cost reduction and to satisfy consumers' tendencies, such plasma display panels are also required to be thinner and thinner in the same way, to be.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가 필수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 공급 장치는 입력되는 교류(AC) 전원 온/오프시에 복수의 전압, 즉 대기전압(Vstb), 멀티 전압(Vm), 어드레스 전압(Va) 및 서스테인 전압(Vs)을 출력한다.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necessary driving power to the plasma display panel may be employed.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may supply a plurality of voltages, that is, a standby voltage Vstb), a multi-voltage (Vm), an address voltage (Va), and a sustain voltage (Vs).

한편, 멀티 전압 중 고전압 출력단의 부하가 증가하는 경우 크로스 레귤레이션 문제가 발생하는데, 특히 멀티 전압 중 메인 피드백 전압으로 이용되는 저전압 출력단의 부하가 경부하이고, 고전압 출력단의 부하가 중부하인 경우, 고전압 출력단의 전압이 하강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ad of the high-voltage output stage of the multi-voltage increases, the cross-regulation problem occurs. Especially, when the load of the low-voltage output stage used as the main feedback voltage in the multi- The problem of voltage drop occurs.

하기의 선행기술문헌 중 특허문헌 1은 PDP용 SMPS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절연형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PDㅖ 전원 시스템의 전체크기와 부피를 줄이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지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내용은 개시하고 있지 못하다.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MPS circuit for a PDP, which discloses a method for reducing the overall size and volume of a PDP power system using one insulated transformer. However, The contents are not disclosed.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8-000570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05707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스테인 전원과 어드레스 전원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트랜스포머에서 보조권선을 구비하여 고전압 멀티 전원의 전압 레벨을 안정화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stabilizing a voltage level of a high-voltage multi-power source by providing an auxiliary winding in a transformer for generating a sustain power source and an address power source output power source.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제1 트랜스포머의 일차측으로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교번 스위칭 하여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이차측으로 소정의 서스테인 전원 및 어드레스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전원 변환부; 제2 트랜스포머의 일차측으로 인가되는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 하여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이차측으로 소정의 제1, 2 멀티 전원을 출력하는 제2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서 소정의 출력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멀티 전원의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안정화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According to a first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power conversion unit for alternately switching an input power applied to a primary side of a first transformer to output a predetermined sustain power and an address power to a secondary side of the first transformer; A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for switching the input power appli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second transformer to output predetermined first and second multiple power supplies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second transformer; A stabilize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output power from a secondary side of the first transformer and delivering the generated output power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 power source; And a power supply.

상기 안정화부는,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이차측에 구비되는 보조 권선; 및 상기 보조 권선에 유기되는 전원을 상기 제1 멀티 전원의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bilizer may include: an auxiliary winding provided on a secondary side of the first transformer; And a power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power from the auxiliary winding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 power supply; . ≪ / RTI >

상기 안정화부는, 상기 보조 권선에 유기되는 전원을 안정 및 평활하여, 상기 전원 전달부로 제공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Wherein the stabilizing unit further comprises an output unit for stabilizing and smooth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auxiliary winding and providing the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전원 전달부는, 상기 보조권선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상기 제1 멀티 전원의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diode including an anode connected to the auxiliary winding and a cathod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 power source.

상기 안정화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레벨은 상기 제1 멀티 전원의 전압 레벨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supply output from the stabilization unit may be set equal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multi power supply.

상기 제1 멀티 전원의 전압 레벨은 상기 제2 멀티 전원의 전압 레벨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multi power supply may be set to be higher than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multi power supply.

상기 제2 전원 변환부는, 상기 제2 멀티 전원의 전압 레벨을 피드백하여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할 수 있다.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may switch the input power by feeding back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multi power.

상기 전원 공급부는, 교류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는 정류 평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rectifying and smoothing unit for rectifying and smoothing the AC power; As shown in FIG.

상기 정류 평활부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역률 보정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공급하는 역률 보정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power factor correcting part for correcting a power factor of the direct current power source from the rectifying and smoothing part and supplying the corrected power factor to the switching part;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따르면, 서스테인 전원과 어드레스 전원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트랜스포머에서 보조권선을 구비하여 고전압 멀티 전원의 전압 레벨을 안정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level of the high voltage multi-power supply can be stabilized by providing the auxiliary winding in the transformer for generating the sustain power and the address power output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일 실시 형태는 제1 전원 변환부(100), 제2 전원 변환부(200) 및 안정화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정류 평활부(400) 및 역률 보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one embodiment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power conversion unit 100, a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200, and a stabilization unit 300, 400 and a power factor correction unit 500. [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서스테인 전원, 어드레스 전원 및 다수의 멀티 전원을 생성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generate a sustain power, an address power, and a plurality of multi power sources and supply the power to the plasma display panel.

정류 평활부(400)는 교류 전원(AC)을 정류 및 평활하여 역률 보정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교류 전원(AC)는 상용 라인 입력 전원으로서 90 내지 270Vrms의 레벨을 가질 수 잇다. The rectifying and smoothing unit 400 can rectify and smooth the AC power source AC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power factor correcting unit 500. The AC power source (AC) may have a level of 90 to 270 Vrms as a commercial line input power source.

역률 보정부(500)는 정류 평활부(400)로부터의 직류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간의 위상차를 조정하여 역률을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정류 평활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은 셋 업(set-up) 또는 부스트 업(boost-up)되어 약 370~400V의 직류 전원을 출력하고, 역률 보정부(500)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제1 전원 변환부(100) 및 제2 전원 변환부(200)로 전달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필요한 다양한 전원 들이 생성된다.
The power factor correcting unit 500 can correct the power factor by adjusting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and the current of the direct current power source from the rectifying and smoothing unit 400. [ At this tim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rectifying and smoothing unit 400 is set-up or boosted up to output DC power of about 370 to 400 V,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factor correcting unit 500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ower conversion unit 100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200 to generate various power supplies required for the plasma display panel.

제1 전원 변환부(100)는 스위칭부(110), 변압부(120), 제1 출력부(130), 제2 출력부(140) 및 제1 제어부(16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110)는 역률 보정부(500)로부터 직류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 전원단과 접지 사이에 스택된 적어도 둘의 스위치 M1 및 M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스위치 M1 및 M2는 교번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원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power conversion unit 100 may include a switching unit 110, a transforming unit 120, a first output unit 130, a second output unit 140, and a first control unit 160. The switching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two switches M1 and M2 stacked between an input power source and a ground to which DC power is input from the power factor correcting unit 500. The switches M1 and M2 ar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 convers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변압부(120)는 공진 탱크(LT)와 제1 트랜스포머(T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진 탱크(LT)는 인덕터 Lr - 인덕터 Lm - 커패시터 Cr(LLC)에 의해 공진 동작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중 하나의 인덕터 Lm 은 제1 트랜스포머(T1)의 자화 인덕터 일수 있다. 제1 트랜스포머(T1)은 일차 권선(Np1) 및 이차 권선(Ns1, Ns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차 권선(Np1)과 이차 권선(Ns1, Ns2)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즉, 일차 권선(Np1)과 이차 권선(Ns1, Ns2)의 그라운드의 전기적인 성질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transformer 120 may include a resonant tank LT and a first transformer T1 and the resonant tank LT may provide a resonant operation by an inductor Lr-inductor Lm-capacitor Cr (LLC) , And one of the inductors Lm may be a magnetization inductor of the first transformer T1. The first transformer T1 may include a primary winding Np1 and secondary windings Ns1 and Ns2 and the primary winding Np1 and the secondary windings Ns1 and Ns2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That is,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ground of the primary winding Np1 and the secondary windings Ns1 and Ns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일차 권선(Np1)과 이차 권선(Ns1, Ns2)는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며, 이차 권선(Ns1, Ns2)은 상기 권선비에 따라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The primary winding Np1 and the secondary windings Ns1 and Ns2 form a predetermined winding ratio and the secondary windings Ns1 and Ns2 can vary the voltage level according to the winding ratio to output power.

제1 출력부(130)는 이차 권선(Ns1)으로부터의 제1 전원을 정류 및 안정화시켜 출력할 수 있으며, 소정의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제1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서스테인 전원(Ps)일 수 있다. The first output unit 130 can rectify and stabilize the first power from the secondary winding Ns1 and output it, and can supply it to a predetermined load. At this time, the power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unit 130 may be the sustain power Ps.

제2 출력부(140)도 제1 출력부(130)와 유사하게 이차 권선(Ns2) 에서 각각 생성되는 제2 전원을 각각 정류 및 안정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2 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제2 전원은 어드레스 전원(Pa)일 수 있다.
The second output unit 140 may also rectify and stabilize the second power source generated in the secondary winding Ns2 similarly to the first output unit 13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econd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second output unit 140 may be the address power source Pa.

제1 제어부(160)는 제1 출력부(130)의 전원을 피드백 받아 스위칭부(110)의 스위칭 주파수 및 듀티를 제어하여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의 전원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칭부(110)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제1 전원의 전원 레벨을 제어할 수 있고, 스위칭부(110)의 스위칭 듀티를 제어하여 제2 전원의 전원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ler 160 controls the switching frequency and the duty of the switching unit 110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first output unit 130 to control the power levels of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More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level of the first power supply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frequency of the switching unit 110, and the power supply level of the second power supply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duty of the switching unit 110.

전원 공급 장치에서 다중 출력시 하나의 제어 회로 및 스위칭 회로를 통해 스위칭 주파수로 제1 전원의 전원 레벨을 제어하고, 스위칭 듀티로 제2 전원의 전원 레벨을 제어하는 기술 내용은 당해 분양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 내용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level of the first power supply at the switching frequency through one control circuit and the switching circuit in the case of multipl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level of the second power supply with the switching duty is disclosed in the well-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전원 변환부(200)는 스위치 M3, 제2 변압부(210), 제4 출력부(220), 제5 출력부(230) 및 제2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변압부(210)는 제2 트랜스포머(T2)를 포함하고, 제2 트랜스포머(T1)는 일차 권선(Np2) 및 이차 권선(Ns4, Ns5)로 구성된다. 제2 트랜스포머(T2)의 일차 권선(Np2)으로 유기되는 전원은 스위치 M3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이차 권선(Ns4, Ns5)로 전달되고, 전달되는 전원은 일차 권선(Np2)와 이차 권선(Ns4, Ns5)의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에 따라 전압 레벨이 변경되어 출력된다. 이 때, 일차 권선(Np2) 및 이차 권선(Ns4, Ns5)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200 may include a switch M3, a second transform unit 210, a fourth output unit 220, a fifth output unit 230, and a second control unit 240. The second transformer 210 includes a second transformer T2 and the second transformer T1 is composed of a primary winding Np2 and secondary windings Ns4 and Ns5. The power source induced by the primary winding Np2 of the second transformer T2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windings Ns4 and Ns5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M3 and the transmitted power is supplied to the primary winding Np2 and the secondary windings Ns4, The voltage leve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t winding ratio of the inverter Ns5. At this time, the primary winding Np2 and the secondary windings Ns4 and Ns5 can be electrically insulated.

제4 출력부(220)는 이차권선(Ns4)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제4 전원을 출력하고, 제5 출력부(230)는 이차권선(Ns5)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출력 제5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40)는 제5 출력부(230) 로부터 출력되는 제5 전원을 피드백 받아 스위치 M3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The fourth output unit 220 rectifies and smooth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secondary winding Ns4 to output the fourth power, and the fifth output unit 230 rectifies and smoothes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secondary winding Ns5, So that the output fifth power can be outputted. The second controller 240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M3 by feeding back the fifth power from the fifth output unit 230.

이 때, 제4 출력부(220)에서 출력되는 전원 Pm1의 전압 레벨이 제5 출력부(230)에서 출력되는 전원 Pm2의 전압 레벨 보다 높다고 가정할 때, 제4 출력부(220)의 출력단의 부하 상태가 중부하 상태이고, 나아가 제5 출력부(230)의 출력단의 부하 상태가 경부하 상태인 경우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제5 출력부(230)에서 출력되는 전원 Pm1의 전압 레벨이 목표 전압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이로써 평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오프될 수 있으며, 제2 트랜스포머(T2)이 과열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suming that 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Pm1 outputted from the fourth output unit 220 is higher than 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Pm2 outputted from the fifth output unit 230, the output level of the output unit 220 of the fourth output unit 220 There is a problem that cross regulation occurs when the load state is a heavy load state and further when the load stat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fth output unit 230 is a light load state. That is, 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source Pm1 output from the fifth output unit 230 falls below the target voltage level. This may cause the flat panel plasma display to be turned off and the second transformer T2 to overheat .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정화부(300)를 구비하여, 제1 트랜스포머(T2)의 2차측에 보조권선을 구비하여 제3 전원을 생성하고, 이를 제4 출력부(210)에 전달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abilizing unit 300, and a third power source is provided with a secondary winding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first transformer T2, and the third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fourth output unit 210 .

구체적으로, 안정화부(300)는 이차 권선(Ns3), 제3 출력부(310) 및 전원 전달부(320)를 구비하여, 제3 전원을 생성하고, 이를 제4 출력부(210)로 전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권선(Ns3)는 일차 권선(Np1)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일차 권선(Np1)으로 유기되는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출력하고, 제3 출력부(310)는 이차 권선(Ns3)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 및 안정화하여 제3 전원을 생성한다. 제3 전원은 전원 전달부(320)를 통하여 제4 출력부(210)로 전달된다. 이 때, 전원 전달부(300)는 애노드가 제3 출력부(3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4 출력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abilization unit 300 includes a secondary winding Ns3, a third output unit 310, and a power supply unit 320 to generate a third power source and deliver it to the fourth output unit 210 do. More specifically, the secondary winding Ns3 forms a predetermined winding ratio with the primary winding Np1 to vary 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source induced in the primary winding Np1, and the third output unit 310 And rectifies and stabilizes the power output from the secondary winding Ns3 to generate the third power source. The thir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ourth output unit 210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320. The power supply unit 300 may include a diode having an anod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output unit 310 and a cathod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output unit 210.

이 경우, 제3 전원의 전압 레벨은 제4 전원 Pm1의 목표 전압 레벨과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목표 전압 레벨에서부터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량만큼 높게 설정될 수 있는데, 이로써 제4 전원이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한 경우에도 제4 전원을 전압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oltage level of the third power source may be set equal to the target voltage level of the fourth power source Pm1, or may be set as high as the voltage drop amount of the diode from the target voltage level. Thus, even when the fourth power source cross- The voltage level of the fourth power supply can be kept constant.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I will say.

100: 제1 전원 변환부
110: 스위칭부
120: 변압부
130: 제1 출력부
140: 제2 출력부
150: 제1 제어부
200: 제2 전원 변환부
210: 제4 출력부
220: 제5 출력부
230: 제2 제어부
300: 안정화부
310: 제3 출력부
320: 전원 전달부
400: 정류 평활부
500: 역률 보정부
100: first power source conversion section
110:
120: Transformer
130: first output section
140: second output section
150:
200: second power source conversion section
210: fourth output section
220: fifth output section
230: second control section
300: Stabilization unit
310: third output section
320: Power supply unit
400: rectifying and smoothing part
500: power factor correction unit

Claims (9)

제1 트랜스포머의 일차측으로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교번 스위칭 하여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이차측으로 소정의 서스테인 전원 및 어드레스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전원 변환부;
제2 트랜스포머의 일차측으로 인가되는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 하여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이차측으로 소정의 제1, 2 멀티 전원을 출력하는 제2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서 소정의 출력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멀티 전원의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안정화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A first power converter for alternately switching an input power source appli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first transformer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sustain power and address power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first transformer;
A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for switching the input power appli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second transformer to output predetermined first and second multiple power supplies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second transformer; And
A stabilize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output power from a secondary side of the first transformer and delivering the generated output power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 power source;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부는,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이차측에 구비되는 보조 권선; 및
상기 보조 권선에 유기되는 전원을 상기 제1 멀티 전원의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 auxiliary winding provided on a secondary side of the first transforme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transmitting power from the auxiliary power source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 power source; ≪ / RTI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부는,
상기 보조 권선에 유기되는 전원을 안정 및 평활하여, 상기 전원 전달부로 제공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 output unit for stabilizing and smoothing power supplied to the auxiliary winding and providing the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달부는,
상기 보조권선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상기 제1 멀티 전원의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claim 2,
A diode connected to the auxiliary winding and an anode connected to an output of the first multi-supp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레벨은 상기 제1 멀티 전원의 전압 레벨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전원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supply output from the stabilization unit is set equal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multi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 전원의 전압 레벨은 상기 제2 멀티 전원의 전압 레벨보다 높은 전원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multi power supply is higher than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multi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변환부는,
상기 제2 멀티 전원의 전압 레벨을 피드백하여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 공급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comprises:
And for switching the input power by feeding back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multi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교류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는 정류 평활부; 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A rectifying and smoothing unit for rectifying and smoothing the AC power;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평활부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역률 보정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공급하는 역률 보정부; 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power factor correcting part for correcting a power factor of the direct current power source from the rectifying and smoothing part and supplying the corrected power factor to the switch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KR20130118976A 2013-10-07 2013-10-07 Power supplying apparatus KR201500404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976A KR20150040450A (en) 2013-10-07 2013-10-07 Power suppl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976A KR20150040450A (en) 2013-10-07 2013-10-07 Power supply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450A true KR20150040450A (en) 2015-04-15

Family

ID=5303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8976A KR20150040450A (en) 2013-10-07 2013-10-07 Power suppl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04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1515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EP2306786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comprising the same
US9547351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20110012936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52542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gas discharge lamps
US9066395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circuit thereof
US939152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9425699B2 (en) Multi-output power supply apparatus enhancing a power imbalance between multiple outputs
US20100156307A1 (en) Power supply for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666829B1 (en) Switch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output power supply
JP201424085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20150040450A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US9001102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multi-output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701509B1 (en) two-step output controlled inductor-inductor-capacitor resonant converter
KR101339575B1 (en) Multi output power supplying apparatus
US20160006361A1 (en) Multi-output power supply apparatus and output circuit thereof
KR20120060532A (en) Apparatus for adjusting winding of DC/DC converter and DC/DC converter with multi-output using thereof
KR20080024321A (en) Power supply apparatus, plasma display and method for generating stand-by voltage including the same
US20100253243A1 (en) Lamp driving circuit
KR20140081389A (en) Light emitting diode diriving circuit
KR20150003051A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thereof
KR20150038936A (en) Power supply apparatus
KR100658627B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power supply thereof
JP2012205339A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20100025273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