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135A - Connecto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o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0135A KR20150040135A KR20130118752A KR20130118752A KR20150040135A KR 20150040135 A KR20150040135 A KR 20150040135A KR 20130118752 A KR20130118752 A KR 20130118752A KR 20130118752 A KR20130118752 A KR 20130118752A KR 20150040135 A KR20150040135 A KR 20150040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battery cells
- plate portion
- protrusion
- battery ce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85 thermal hair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용접 과정 없이 끼움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는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member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connecting memb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member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connecting member.
모바일 기기,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력저장 장치, 무정전 전원 장치 등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power storage devices,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are increasing,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energy sources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Much research is underway.
이차전지는 외장재의 종류에 따라 파우치형, 원통형, 각형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 원통형 전지는 주로 금속 재질의 케이스를 사용하여 다른 형태의 배터리 셀에 비해 안전성이 뛰어나다. 또한, 전극 조립체를 둥글게 말아서 제조하기 때문에,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높을뿐만 아니라, 복수의 단위 셀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력 저장 장치를 구성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pouch type, a cylindrical type, and a prism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terior material. Among them, the cylindrical type battery is mainly made of a metal case, and is superior in safety to other types of battery cells.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is manufactured by rolling, the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is high, and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to easily form a large-capacity power storage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원통형 배터리 셀(110)의 부분 단면도이다.FIG.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ypical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원통형 배터리 셀(110)은 원통형상의 전지 캔(20), 전지 캔(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젤리-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30), 전지 캔(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10), 캡 조립체(10)를 장착하기 위해 전지 캔(20)의 선단에 마련된 비딩부(40) 및 전지를 밀봉하기 위한 클림핑부(50)를 구비한다.1, a
전극 조립체(30)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구조이며, 양극에는 양극 리드(31)가 부착되어 캡 조립체(10)에 접속되어 있고, 음극에는 음극 리드(미도시)가 부착되어 전지 캔(2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The
캡 조립체(10)는 양극 단자를 형성하는 탑 캡(11), 전지 내부의 온도 상승시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PTC 소자(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와 같은 안전 소자(12), 전지 내부의 압력 상승시 전류를 차단하고 및/또는 가스를 배기하는 안전 벤트(13), 특정 부분을 제외하고 안전 벤트(13)를 전류차단부재(15)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제1 가스켓(14), 양극에 연결된 양극 리드(31)가 접속되어 있는 전류차단부재(15)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캡 조립체(10)는 제2 가스켓(16)에 장착된 상태로 전지 캔(20)의 비딩부(40)에 장착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 전극 조립체(30)의 양극은 양극 리드(31), 전류차단부재(15), 안전 벤트(13) 및 안전 소자(12)를 경유하여 탑 캡(11)에 연결되어 통전을 이룬다. The
그러나, 과충전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해 전극 조립체(30) 쪽으로부터 가스가 발생하여 내압이 증가하면, 안전 벤트(13)는 그 형상이 역전되면서 상향 돌출되게 되고, 이때, 안전 벤트(13)가 전류차단부재(15)로부터 분리되어 전류가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충방전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되어 배터리 셀의 안전성이 확보된다.However, if gas is generated from the side of the
이때, 배터리 셀(110)은 용량 및 출력을 증가 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110)이 결합되며, 이때, 다수의 배터리 셀(110)은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capacity and output of the
도 2는 다수의 배터리 셀이 용접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upled by a welding method.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배터리 셀(110)은 니켈 플레이트와 같은 금속 플레이트(60)를 사용하여 스팟 용접(S) 또는 솔더링 공정을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그러나, 스팟 용접 또는 솔더링 공정은 작업자의 숙련된 기술과 노하우를 필요로 하고, 스팟 용접의 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의 관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생산 공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생산 효율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However, the spot welding or soldering process requires the skilled skill and know-how of the operator and the maintenance of the parameters for determining the intensity of the spot welding must be continuously performed, thereby complicating the production process and increasing the cost, It acts as a factor to inhibit.
또한, 배터리 셀에 직접 스팟 용접 또는 솔더링을 행하는 과정에서 용접부위에 단락이 발생할 수 있고, 배터리 셀과 접속부재 사이에 전기적 또는 열적인 손상이 초래되어 전지의 안전성을 위협하고 제품의 불량률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더욱이, 스팟 용접 또는 솔더링은 제조과정이 복잡하여 설비투자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hort-circuiting may occur on the welded part during spot welding or soldering directly to the battery cell, which may cause electrical or thermal damage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connecting member, thereby threatening the safety of the battery, do. Moreover, spot welding or soldering ha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equipment investment cost is increased.
따라서, 전지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복잡한 작업공정을 요구하는 스팟 용접, 솔더링 등을 통한 접속방식을 대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설비투자비용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replacing a connection method through spot welding or soldering which threatens the stability of a battery and requires a complicated work process, at the same time, a facility investment cost can be reduced and a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to b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셀과 접속부재의 구조를 변경하여, 용접 과정 없이 끼움 방식만으로 배터리 셀과 접속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ng member capable of changing the structure of a battery cell and a connecting member, And to provide the above object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적어도 일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복수의 배터리 셀; 및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돌출부가 각각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each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plate-shaped plate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plate portion, the protrusions being engaged with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의해 결합된 배터리 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t least a part of the plate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and can electrically connect between the battery cells coupled by the protruding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ngaging groove and the protruding portion are formed in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홈은 상기 배터리 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단부보다 상기 배터리 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단부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coupling groove may have a larger inner end located inside the battery cell than an outer end located at the outer side of the battery cell.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와 접촉하는 하측 단부보다 반대 측에 위치하는 상측 단부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rojecting portion may have a larger upper end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ower end contacting with the plate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projec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late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late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의 개수는 상기 배터리 셀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battery cell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셀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battery cell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재는 적어도 일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연결하는 접속부재에 있어서,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돌출부가 각각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each having an engaging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the connecting member comprising: a plate-shaped plate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plate portion And the protrusions ar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a fitting mann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의해 결합된 배터리 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a part of the plate portion and the protrusion portion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battery cells coupled by the protrusion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ngaging groove and the protruding portion are formed in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홈은 상기 배터리 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단부보다 상기 배터리 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단부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coupling groove may have a larger inner end located inside the battery cell than an outer end located at the outer side of the battery cell.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와 접촉하는 하측 단부보다 반대 측에 위치하는 상측 단부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rojecting portion may have a larger upper end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ower end contacting with the plate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projec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late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late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의 개수는 상기 배터리 셀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battery cells.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접속부재를 용접 과정 없이 끼움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작업 공정이 간소화되기 때문에 설비 투자 비용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battery pack including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work process by joining the battery cell and the connecting member in a fitting manner without welding so that the facility investment cost is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끼움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6개의 배터리 셀, 9개의 배터리 셀 등의 표준 코어팩(core pack)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a fitting manner, a standard core pack of six battery cells, nine battery cells, etc. can be easily manufactured.
도 1은 일반적인 원통형 배터리 셀의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다수의 배터리 셀이 용접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과 접속부재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셀과 접속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과 접속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cell.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upled by a welding method.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a battery cell and a connecting memb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battery cell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FIG. 3 are coupled.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cell and a connection memb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som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로 한다.3 to 7, a connecting member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과 접속부재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셀과 접속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과 접속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a battery cell and a connecting memb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battery cell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FIG. 3 are coupled.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cell and a connection memb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00)은 복수의 배터리 셀(110) 및 접속부재(120)를 포함한다.3 to 5, a connecting member and a
배터리 셀(110)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복수의 배터리 셀(110)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이 배터리 셀(11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 plurality of
일반적으로,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 팩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배터리 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필요가 있으며, 배터리 셀 팩의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단자 접속부위의 저항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정적인 결합방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솔더링 또는 스팟 용접 없이 끼움 방식으로 이루어진 접속부재(120)를 사용하여, 복수의 배터리 셀(110)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다.Generally, in order to form a battery pack having a high output and a large capacity,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or in parallel. In order to uniformly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cell pack, A coupling method is requir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plurality of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셀(110)은 적어도 일면에 결합홈(111)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여기서, 결합홈(111)은 외측 단부(111a)와 내측 단부(111b)를 포함한다. 외측 단부(111a)는 배터리 셀(110)의 외측에 위치하며, 내측 단부(111b)는 배터리 셀(110)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때, 결합홈(111)은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단부(111a)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단부(111b)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ngaging
이는, 결합홈(111)과 접속부재(120)가 결합될 때, 강하게 끼움 결합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결합홈(111)의 형태를 상기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결합홈(111)과 돌출부(122)가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이면 결합홈(111)은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This is so that when the
접속부재(12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0)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부재(120)는 플레이트부(121)와 돌출부(122)를 포함한다.The
접속부재(120)는 이러한 플레이트부(121)와 돌출부(122)의 적어도 일부가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어, 돌출부(122)에 의해 결합된 배터리 셀(110)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플레이트부(121)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부(121)는 배터리 셀(110)과 접촉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셀(110)을 지지한다.The
돌출부(122)는 플레이트부(121)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배터리 셀(110)의 결합홈(111)과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는 부분이다. The
이때, 돌출부(122)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배터리 셀(11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나의 돌출부(122)에 하나의 배터리 셀(110)이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122)는 결합홈(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돌출부(122)가 결합홈(111)과 결합된 후에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돌출부(122)와 결합홈(111)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projecting
도 7을 참조하면, 돌출부(122)는 하측 단부(122a), 상측 단부(122b) 및 연결부(122c)를 포함한다. 7, the
여기서, 하측 단부(122a)는 플레이트부(121)와 접촉하는 부분이고, 상측 단부(122b)는 하측 단부(122a)의 반대측에 위치한 단부로서 플레이트부(121)에서 가장 먼 측의 단부이다. 이때, 상측 단부(122b)는 플레이트부(121)와 접촉하는 하측 단부(122a)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2)와 배터리 셀(110)이 끼움 결합된 후에 쉽게 빠지지 않으며, 고정될 수 있다.The
연결부(122c)은 하측 단부(122a)와 상측 단부(122b)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한다.The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22)는 플레이트부(121)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21)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되면, 복수의 배터리 셀(110)들을 직렬 및 병렬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0)들을 직렬 및 병렬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DVD, 소형 PC 등의 다수의 배터리 셀(110)들을 직렬 및 병렬방식으로 연결한 전지 팩을 사용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rojecting
또한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22)는 플레이트부(121)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형성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21)의 일측면에 둘 이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되면, 복수의 배터리 셀(110)들을 병렬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0)들을 병렬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전지팩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병렬방식의 연결 구조는 전극단자들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향한 상태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 셀들을 그것의 측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하여, 접속부재로 연결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병렬방식의 배터리 셀들을 "뱅크(bank)"로 칭하기도 한다.Also, preferably, the projecting
이때, 도 7에 도시된 돌출부(122)는 사다리꼴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배터리 셀(110)의 결합홈(111)과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면 가능하다.7, the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은 용접 없이 배터리 셀과 접속부재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작업 공정이 단순화 되기 때문에 설비 투자 비용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끼움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6개의 배터리 셀, 9개의 배터리 셀 등의 표준 코어팩의 제작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battery pack including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merit that the battery cell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fitted together without welding so that the work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 facility investment cost is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In addition,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a fitting manner, it is easy to manufacture standard core packs such as six battery cells and nine battery cell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캡조립체 20: 전지 캔
30: 전극 조립체 31: 양극리드
40: 비딩부 50: 클림핑부
60: 금속 플레이트
100: 배터리 팩
110: 배터리 셀 111: 결합홈
120: 접속부재 121: 플레이트부
122: 돌출부10: cap assembly 20: battery can
30: Electrode assembly 31: Positive electrode lead
40: beading portion 50: clamping portion
60: metal plate
100: Battery pack
110: battery cell 111: engaging groove
120: connecting member 121: plate portion
122:
Claims (17)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돌출부가 각각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having engagement groove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plate-like plate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plate portion, the connection member being engaged with the engaging recess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a fitting manner, respectively Battery pack.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의해 결합된 배터리 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plate portion and the protrusion portion ar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s coupled by the protrusion.
상기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groove and the projection
And the battery pack is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is fitted to the battery pack.
상기 결합홈은
상기 배터리 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단부보다 상기 배터리 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단부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groove
And an inner end located inside the battery cell is formed larger than an outer end located at an outer side of the battery cell.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와 접촉하는 하측 단부보다 반대 측에 위치하는 상측 단부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And an upper end located on an opposite side to a lower end contacting with the plate portion.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 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ate portion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e portion.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상기 돌출부의 개수는
상기 배터리 셀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of protrusions
Wherein the number of the battery cells is equal to the number of the battery cells.
상기 배터리 셀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cell
Wherein the battery pack has a cylindrical shape.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돌출부가 각각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plate portion, wherein the protrusions engage with the engaging groov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respectively.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의해 결합된 배터리 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11. The method of claim 10,
At least a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and the protrusion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battery cells coupled by the protrusion.
상기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upling groove and the projection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re fitted together.
상기 결합홈은
상기 배터리 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단부보다 상기 배터리 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단부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upling groove
Wherein an inner end of the battery cell located inside the battery cell is formed larger than an outer end of the battery cell located outside the battery cell.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와 접촉하는 하측 단부보다 반대 측에 위치하는 상측 단부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trusion
And an upper end por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a lower end portion contacting the plate portion is formed to be larger.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 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trusion
And at least two connection member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e portion.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trusion
And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respectively.
상기 돌출부의 개수는
상기 배터리 셀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number of protrusions
The number of the battery cells being equal to the number of the battery cel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752A KR101814106B1 (en) | 2013-10-04 | 2013-10-04 | Connecto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752A KR101814106B1 (en) | 2013-10-04 | 2013-10-04 | Connecto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0135A true KR20150040135A (en) | 2015-04-14 |
KR101814106B1 KR101814106B1 (en) | 2018-01-02 |
Family
ID=5303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8752A KR101814106B1 (en) | 2013-10-04 | 2013-10-04 | Connecto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410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9650A (en) | 2018-01-23 | 2019-07-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of cylindrical type batter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
US11605857B2 (en) | 2017-03-22 | 2023-03-14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pack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96470A1 (en) | 2002-05-07 | 2003-11-20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Electrochemical cell stack assembly |
US8795877B2 (en) | 2007-05-31 | 2014-08-05 | Lg Chem, Ltd. |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of assembling type and secondary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
US8287313B2 (en) | 2007-07-16 | 2012-10-16 | Lg Chem, Ltd. |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
JP2012252924A (en) | 2011-06-03 | 2012-12-20 | Primearth Ev Energy Co Ltd |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pack |
-
2013
- 2013-10-04 KR KR1020130118752A patent/KR101814106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05857B2 (en) | 2017-03-22 | 2023-03-14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pack |
KR20190089650A (en) | 2018-01-23 | 2019-07-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of cylindrical type batter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4106B1 (en) | 2018-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5199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EP2254176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1165503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EP2779269B1 (en) | Battery cell having a novel structure | |
US20150037664A1 (en) | Battery cell of irregular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 |
KR100599795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2672543B1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 |
KR101590979B1 (en) | Battery Cell Having Asymmetric and Indentated Structure | |
JP2006040902A (en) |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 |
KR101526457B1 (en) | Electrode Having Round Corner | |
JP4713393B2 (en)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
US20150171389A1 (en) | Battery pack | |
KR102654935B1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 |
EP2602841A1 (en) | Battery | |
US20210005936A1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
US9608240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20160041247A (en) | Battery Cell Comprising Battery Case of Shape Corresponding to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 |
JP7513752B2 (en) | BATTERY,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 Patent application | |
KR20150069905A (en) | Battery Pack | |
KR101814106B1 (en) | Connecto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20170110821A (en) | Battery Cell Comprising Cylindrical Can Having Screw-typed Fastening Portion | |
KR102265846B1 (en) | Battery Pack Compris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Plate | |
US20220407192A1 (en) | Battery cell, manufacturing method, manufacturing system, battery and electrical device | |
CN115051120B (en) | Battery cell,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thereof, battery and electric equipment | |
KR20150072236A (en) | A Pouch Packaging Structure Having Sealed Terrace Area and a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