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813A - 제어 정보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정보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813A
KR20150039813A KR1020157005240A KR20157005240A KR20150039813A KR 20150039813 A KR20150039813 A KR 20150039813A KR 1020157005240 A KR1020157005240 A KR 1020157005240A KR 20157005240 A KR20157005240 A KR 20157005240A KR 20150039813 A KR20150039813 A KR 20150039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hanced
resource
resource block
resource eleme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598B1 (ko
Inventor
전페이 탕
위안졔 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3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고,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하다는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의 확률을 낮춘다.

Description

제어 정보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 정보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무선 통신 기술에서, 성숙한 다운링크 다중화 접속 기술인 O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접속)은 LTE/LTE-A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 널리 적용된다. 이 기술의 한 가지 특징은, 하나의 RB(resource block, 자원 블록)이 복수의 RE(resource element, 자원 요소)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RB를 형성하는 각 RE가 상이한 정보를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이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 링크 데이터가 PDCCH 상에서 송신되는 경우, 하나의 RB 내의 RE는 다음과 같이 할당될 수 있다: PDCCH 채널 내의 정보, 셀 레벨 참조 신호(cell-level reference signal, CRS), 사용자 레벨 참조 신호(user-level reference signal), 및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와 같은, 각종 참조 신호는 도 1a에 도시된 RB 내의 검은색 부분의 RE에 매핑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RB 내의 흰색 부분의 RE는 PDSCH 또는 ePDCCH 같은 제어 채널의 정보, 예를 들면, DCI의 제어 정보를 담당한다. 또한, ePDCCH에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는 기본 자원 유닛(basic resource unit)으로서 eREG을 사용하여 일련의 RB에 매핑되어 있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기지국과 같은 기기에 의해 처리된 정보는 eCCE에 의해 제공된다. 하나 eCCE는 복수의 eREG로 형성되고, 하나의 eCCE를 형성하는 복수의 eREG는 일련의 RB 중의 복수의 RB에서 온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1b에 도시된 RB에서, 미표시(non-marked) 부분은 RB 내의 구성된 eREG에 대응하는 RE이다. 유의할 것은, 도면에서의 숫자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eREG의 번호이며, 예를 들면, eREG 0은 미표시 부분 내의 번호 0인 RE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eREG 0∼7에 대응하는 RE의 수는 각각 16, 12, 15, 14, 12, 13, 12, 및 14이다, 즉, 각 eREG의 크기는 상이하다. 최대의 eREG 크기는 16개 RE이고, 최소의 eREG 크기는 12개 RE이며, 차이는 4개 RE이다. 또한, 복수의 RB 내의 복수의 대응 eREG가 하나의 eCCE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서, RB0 내의 eREG 0과 RB1 내의 eREG 0이 함께 하나의 eCCE를 형성하고; RB0 내의 eREG 1과 RB1 내의 eREG 1이 다른 eCCE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최종적으로 복수의 eCCE가, 예를 들어, 번호 eCCE a0에서 eCCE a7까지의 8개 eCCE가 취득될 수 있다.
그러나,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가 두 개의 인접한 RB, 예를 들어, RB0 및 RB 1로부터 나오면, 송신 프로세스 중에, eCCE를 형성하는 두 개의 eREG의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poor)해질 수 있는 한편, 부족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단말 기기(terminal device)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어, 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고 단말 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어 정보의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 또는 블록 에러율(block error rate)이 비교적 높아져,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예를 들어, 정보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기지국은 정보를 재전송하여야 하므로,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더욱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이 eREG를 인터리빙(interleaving)하거나 RB을 그룹화할 수 있게 하여, 인접하지 않는 RB에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를 구성하여,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의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의 기술적 방안을 채용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 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고,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 eCCE)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는 것은,
인터리버(interleaver)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리버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리버의 행 또는 열의 수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에서 취득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량 또는 상기 수량의 배수이거나,
또는 상기 인터리버의 행 또는 열의 수는 미리 설정된 4, 8, 12, 16, 및 32 중 하나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을 결정하는 단계;
자원 블록을 그룹화(grouping)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mapping)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자원 블록을 그룹화하는 단계는,
가상 자원 블록(DVRB)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자원 블록 번호에 따라, 짝수 타임슬롯(even time slot)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N과 홀수 타임슬롯(odd time slot)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M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짝수 타임슬롯 및 상기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N과 상기 짝수 타임슬롯 및 상기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M을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의 인터리버를 결정하고, 상기 인터리버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상기 자원 블록의 그룹화 상황(grouping situation)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상기 자원 블록의 그룹화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 기기(base station device)를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 기기는,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구성 모듈(configuration module);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고,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터리빙 모듈;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매핑 모듈; 및
상기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 기기는,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구성 모듈;
자원 블록을 그룹화하도록 구성된 자원 블록 그룹화 모듈(resource block grouping module);
제어 정보를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제2 매핑 모듈; 및
상기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위치결정 모듈;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의 인터리버를 결정하고, 상기 인터리버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 및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상기 자원 블록의 그룹화 상황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모듈;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상기 자원 블록의 그룹화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매핑 모듈; 및
상기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서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이 eREG를 인터리빙하거나 RB를 그룹화하여, 인접하지 않는 RB에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를 구성하여,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명백히,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보여줄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의 자원 블록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공되는 자원 블록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자원 블록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공되는 자원 블록 오프셋 프로세스의 구조 변화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의해 제공되는 기지국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a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해 제공되는 기지국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a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기지국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a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기지국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a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기지국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해 제공되는 기지국 기기의 개략 부분 구성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기지국 기기의 개략 부분 구성도이다.
도 12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기지국 기기의 개략 부분 구성도이다.
도 12e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기지국 기기의 개략 부분 구성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의해 제공되는 기지국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의해 제공되는 기지국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일 뿐이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의 이점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에서는 첨부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201: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는 많은 구체적인 표현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2b는 자원 요소의 시간 우선(time priority)의 예를 나타낸다.
즉, RB에는, 총 16개의 RE가 정의되어 있다. 시간 차원 우선의 원칙에 따라, RE는 먼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심볼 시퀀스(symbol sequence)에 따라, 그 다음에 서브캐리어 시퀀스(sub-carrier sequence)에 따라 배열되어, RE0∼15를 얻으며,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참조 신호에 의해 매핑된 RE(검은색 및 흰색의 RE)가 도 2b에서 이미 제거된 후의 0∼15의 위치에 각각 대응한다. 한편, 번호를 부여하는 동안에, 사용자 레벨 참조 신호의 위치는 이미 제거되어 있다. RE0∼15에 각각 대응하는 RE의 수는 6, 5, 5, 8, 7, 6, 7, 8, 8, 6, 8, 8, 7, 5, 6, 및 8이다.
다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2c는 RE의 서브캐리어 우선(sub-carrier priority)의 예를 나타낸다.
즉, RB에는, 총 12개의 RE가 정의되어 있다. 서브캐리어 차원 우선의 원칙에 따라, RE는 먼저 서브캐리어 시퀀스에 따라, 그 다음에 OFDM 심볼 시퀀스에 따라 배열되어, RE0∼11를 얻으며, 이는 PDCCH 및 참조 신호에 의해 매핑된 RE(검은색 및 회색의 RE)가 도 2c에서 이미 제거된 후의 0∼11의 위치에 각각 대응한다. 한편, 번호를 부여하는 동안에, 사용자 레벨 참조 신호의 위치는 이미 제거되어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자원 블록은 가상 자원 블록(virtual resource block) 또는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자원 블록은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자원 블록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자원 블록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자원 블록은 자원 블록 쌍이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eREG 번호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eREG의 로컬 번호(local number) 또는 복수의 자원 블록 내의 eREG의 통일된 번호(uniform number)를 포함하고; eREG 번호의 형식은 정수의 형식으로 표현되거나 eREG 내의 RE의 서브캐리어 및 OFDM 심볼 위치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S202: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고,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할 수 있다.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은 각 자원 블록에 재구성되고,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은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은 이웃하지 않는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각 RB는 8개의 eREG을 가지고, ePDCCH 분산 송신(distributed transmission)을 위해 총 4개의 RB가 할당되고, 각 두 개의 eREG가 eCCE를 형성한다. RB 내의 eREG 번호는 0∼7이고, RB 번호는 0∼3이며; 종래기술에서, RB0 내의 0∼7은 각각 RB 1 내의 0∼7과 대응하게 결합된다, 즉, RB0 내의 0은 RB 1 내의 0과 결합되고, RB0 내의 1은 RB 1 내의 1과 결합되어, eCCE0∼7을 취득하며; RB2 내의 0∼7은 각각 RB3 내의 0∼7과 대응하게 결합되어, eCCE8∼15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가 인터리빙되고, RB 시퀀스에 따른 eREG 번호 시퀀스는 0∼31이고, 인터리버의 열의 수는 8의 2배, 즉 16이며, 예를 들어, 열간 치환 패턴(inter-column displacement pattern)은 < 0, 8, 4, 12, 2, 10, 6, 14, 1, 9, 5, 13, 3, 11, 7, 15 >이고, 행의 수는 2이다. eREG 번호는 행 우선순위에 따라 인터리버에 기록되고, 그 후, 열간 치환이 수행된 다음, 열 우선순위에 따라 읽기가 수행되고, 최종적으로 취득된 eREG 번호 시퀀스는 0, 16, 8, 24, 4, 20, 12, 28, 2, 18, 10, 26, 6, 22, 14, 30, 1, 17, 9, 25, 5, 21, 13, 29, 3, 19, 11, 27, 7, 23, 15, 31이고; 시퀀스에 따라, 2개의 eREG가 하나의 eCCE, (0, 16), (8, 24), (4, 20), (12, 28), (2, 18), (10, 26), (6, 22), (14, 30), (1, 17), (9, 25), (5, 21), (13, 29), (3, 19), (11, 27), (7, 23), 및 (15, 31)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RB0 내의 eREG0은 RB2 내의 eREG0과 결합되어 eCCE0을 취득하고; RB1 내의 eREG0은 RB3 내의 eREG0과 결합되어 eCCE1을 취득하고; 등등, RB1 내의 eREG7은 RB3 내의 eREG7과 결합되어 eCCE15를 취득하므로, 각 eCCE에 대응하는 eREG가 위치하는 RB의 위치가 인접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S203: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기존의 기술 수단을 통해 S201∼S203의 방식으로,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를 결정할 수 있다.
S204: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에서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이 eREG를 인터리빙하여, 인접하지 않는 RB에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주로 기지국이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간의 크기 차이를 감소시키는,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제공한다.
S301: 자원 블록(RB) 내의 eREG 번호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S301은 S3011∼S3012의 방법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S3021: 자원 블록 번호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기존의 기술 수단을 통해 메모리로부터 각 자원 블록 번호를 취득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자원 블록 번호는 시스템 대역폭 내의 번호 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향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자원 블록 세트(transmission resource block set) 내의 번호, 또는 ePDCCH 분산 송신 자원 블록 세트 내의 번호일 수 있다.
S3022: 자원 블록 번호 및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eREG 번호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본 실예에서, S3022는 두 가지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구현 방식은 기지국에 의해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실행될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구현 방식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 방식 1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다:
S30121: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의된 템플릿(template)의 수 및 각 템플릿의 번호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템플릿의 수 및 각 템플릿의 번호를 취득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의된 템플릿은 기존의 3GPP 프로토콜 내의 미리 정의된 템플릿일 수 있으며, 기지국은 메모리 내의 미리 정의된 템플릿으로부터 하나 이상을 미리 설정된 템플릿으로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S30122: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Figure pct00001
내의
Figure pct00002
에 대응하는 템플릿 식별자
Figure pct00003
를 취득한다.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004
일 수 있다.
A는 미리 설정된 양의 정수이고, M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이고,
Figure pct00005
는 번호
Figure pct00006
인 자원 블록이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내의 번호
Figure pct00009
인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이다.
S30123: 템플릿 식별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템플릿을 취득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자원 블록 번호 또는 셀 식별자가 특정 값, 예를 들어 0인 경우, 기지국은 메모리로부터 메모리 내의 번호 0인 미리 정의된 템플릿을 추출하여, 후속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템플릿으로 사용할 수 있다.
S30124: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2b는 기지국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기지국에 의해 미리 설정된 템플릿으로서 추출되는 미리 정의된 템플릿을 나타내며, 기지국은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취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b에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는 흰색 부분이다.
S30125: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은 자원 블록 내의 대응하는 자원 요소를 점유해야 하므로, 기지국은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하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2b에서, eREG0∼15 각각은 도 2b에서 대응하는 번호를 가지는 자원 요소를 점유하고, 점유된 자원 요소의 번호는 각각 6, 5, 5, 8, 7, 6, 7, 8, 8, 6, 8, 8, 7, 5, 6, 및 8이다.
구현 방식 2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다:
S30126: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를 취득한다.
S30127: 자원 블록 번호에 따라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자원 블록 번호에 따라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은 정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0
,
Figure pct00011
는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이고, M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이고,
Figure pct00012
는 자원 블록 번호이다.
S30128: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 미리 설정된 템플릿, 및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부분은 RB0 내의 eREG0의 자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이고, 기지국에 의해 취득된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이 1이면, 오른쪽 RB1 내의 eREG0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가 취득될 수 있다. 왼쪽 도면과 비교하면, 오른쪽 도면에서, 서브캐리어에 대해 서브캐리어의 순환 이동(cyclic shift)이 수행된다, 즉 eREG0에 의해 점유된 모든 자원 요소는 한 격자(grid) 위쪽으로 이동된다(고정된 것의 테일(tail)이 이동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이한 자원 블록 번호는 상이한 크기를 갖는 서브캐리어의 순환 이동에 대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B0과 비교하면, eREG0는 RB2에서 두 격자 이동된다. 전술한 방식에 따르면, 각 자원 블록에서 eREG0∼eREG15에 의해 점유된 자원 요소의 위치가 결정된다.
S303: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고,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하는 것은 다수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이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은 먼저 RB의 시퀀스에 따라 RB 내의 eREG에 번호를 부여하여, RB 세트 내의 eREG 번호를 취득할 수 있으며, 이는 eREG의 제2 번호라고 불리고,
Figure pct00013
,
Figure pct00014
로 표기되며;
Figure pct00015
의 시퀀스에 따라
Figure pct00016
개의 eREG가 하나의 eCCE를 형성하게 하고, 총
Figure pct00017
개의 eCCE가 존재한다. eCCE의 번호는
Figure pct00018
로 표기되고, 포함된 eREG 세트의 제2 번호는
Figure pct00019
이고, 사용자 ePDCCH 집성 레벨(aggregation level) 및 eCCE의 번호에 따라, ePDCCH는 송신되기 위해 대응하는 eCCE에 매핑되며, M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이고, NDMS RB의 총 수이고,
Figure pct00020
는 번호
Figure pct00021
인 자원 블록이다.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에서 번호
Figure pct00024
인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이다.
S304: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S305: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해결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 유익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 1b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Figure pct00025
라고 가정하면, 자원 블록 및 RE에 대응하는 eREG의 수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ct00026
각 eCCE에 대응하는 RE의 수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27
위의 두 표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최대의 eCCE에 대응하는 RE의 수는 30이고, 최소의 eCCE에 대응하는 RE의 수는 25이고, 최대 RE 차이는 5이며, 종래기술에서, eCCE의 크기는 각각 32, 24, 30, 28, 24, 26, 24, 및 28이다. 최대의 eREG의 크기는 32개 자원 요소이고, 최소의 eREG의 크기는 24개 자원 요소이고, 최대 RE 차이는 8이다.
통신 시스템의 실제 동작 중에, 상이한 eCCE 간의 크기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기지국은 eCCE의 크기에 따라 비교적 복잡한 보상 및 전력 할당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구현 복잡도가 증가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동일한 크기의 제어 정보가 ePDCCH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경우, 매핑된 eCCE의 변화로 인해, 성능은 비교적 큰 변화를 겪는다. 예를 들어, QPSK 변조를 채택함으로써, eCCE a0에 매핑된 32비트 제어 정보의 부호화율(encoding rate)은 0.5이고; eCCE a1에 매핑된 32비트 제어 정보의 부호화율은 0.66이고; eCCE a1에 매핑된 제어 정보의 성능은 비교적 나쁘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에서는, 상이한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간의 크기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기지국이 향상된 제어 요소를 처리하는 경우에, 기지국이 비교적 복잡한 보상 및 전력 할당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 구현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를 완화하여, 기지국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켜,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주로 기지국이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간의 크기 차이를 감소시키는, 다른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제공한다.
S401: 자원 블록(RB) 내의 eREG 번호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01은 S4011∼S4012의 방법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S4021: 셀 식별자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기존의 기술 수단을 통해 셀 식별자를 취득할 수 있다.
S4022: 셀 식별자 및 자원 블록 내의 eREG 번호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S4012는 두 가지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가질 수 있으며, 두 가지 구현 방식은 본 실시예에서 병렬로 존재하고, 두 가지 구현 방식 중 하나는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두 가지 구현 방식은 다음을 포함한다:
구현 방식 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S40121: 모든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 및 각 템플릿의 번호를 취득한다.
S40122: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셀 식별자
Figure pct00028
를 가지는 셀 내의
Figure pct00029
에 대응하는 템플릿 식별자
Figure pct00030
를 취득한다.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031
을 포함할 수 있고, M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이고,
Figure pct00032
는 번호
Figure pct00033
인 자원 블록이다.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내의 번호
Figure pct00036
인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이다.
S40123: 템플릿 식별자를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템플릿을 취득한다.
S40124: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취득한다.
S40125: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며, 자원 블록은 셀 식별자에 대응한다.
S40122∼S40124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S30122∼S30124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구현 방식 2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다:
S40126: 모든 저장된 템플릿의 수 및 각 템플릿의 번호를 취득한다.
S40127: 셀 식별자에 따라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37
이고, M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이고,
Figure pct00038
은 셀 식별자이다.
셀 식별자는 물리 셀 식별자 또는 가상 셀 식별자를 포함한다.
S40128: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 미리 설정된 템플릿, 및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며, 자원 블록은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이다.
S40128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실시예 2의 S30128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S403: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고,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결정한다.
S404: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S405: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실시예 2에 의해 해결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에서는, 상이한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간의 크기 차이를 감소시키므로, 기지국이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처리하는 경우에, 기지국이 비교적 복잡한 보상 및 전력 할당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 구현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를 완화시켜, 기지국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키므로,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주로 기지국이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는 다른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제공한다.
S501: 자원 블록(RB) 내의 eREG 번호를 결정한다.
S502: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인터리빙한다.
본 실시예에서, S502는 S5021∼S5024의 방법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S5021: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 또는 미리 설정된 값을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ePDCCH 분산 송신에 사용되는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 또는 하나의 자원 내의 ePDCCH 분산 송신을 위한 향상된 자원의 수 및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가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ePDCCH 분산 송신에 사용되는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는 16이고, 가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는 1이며, 총 수는 17이다. 전자는 ePDCCH 분산 송신에 사용되고, 후자는 전자 뒤에 채워져 있지만, ePDCCH 분산 송신에 사용되지 않고, 단지 인터리빙 시에 인터리빙된 위치를 점유하여 인터리빙 효과를 변화시키고, 후자는 인터리빙 후에 삭제된다.
또는, 취득된 미리 설정된 값은 4, 8, 12, 16, 및 32 중 하나이다.
S5022: 인터리버를 결정한다.
인터리버의 행 또는 열의 수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 또는 그 수의 배수이거나; 또는 인터리버의 행 또는 열의 수는 미리 설정된 4, 8, 12, 16, 및 32 중 하나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인터리버는 이하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행간(inter-row) 또는 열간(inter-column) 치환 패턴(displacement pattern)은 < 0, 2, 1, 3 > 또는 < 0, 4, 2, 6, 1, 5, 3, 7 > 또는 < 0, 8, 4, 2, 10, 6, 1, 9, 5, 3, 11, 7 > 또는 < 0, 8, 4, 12, 2, 10, 6, 14, 1, 9, 5, 13, 3, 11, 7, 15 > 또는 < 1, 17, 9, 25, 5, 21, 13, 29, 3, 19, 11, 27, 7, 23, 15, 31, 0, 16, 8, 24, 4, 20, 12, 28, 2, 18, 10, 26, 6, 22, 14, 30 >이다.
S5023: 인터리버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인터리버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한다.
S503: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결정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인터리빙하기 전에,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은 일정한 시퀀스에 따라 각 자원 블록 내에 분포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시퀀스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재분포시킬 수 있어, 인터리빙 후의 시퀀스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그룹화를 얻을 수 있고, 여기서 하나의 그룹화는 하나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이다. 따라서,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은 인접하지 않는 자원 블록으로 치환된다.
S504: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S504: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에서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이 eREG를 인터리빙하여, 인접하지 않는 RB에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의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로 기지국이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는, 다른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제공한다.
S601: 자원 블록(RB) 내의 eREG 번호를 결정한다.
S602: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한다.
본 실시예에서, S602는 S6021∼S6023의 방법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S6021: 향상된 자원 요소 번호, 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 및 하나의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의 자원 블록 번호를 취득한다.
S6022: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동일한 제어 채널 요소를 구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번호를 다시 매긴다.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039
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40
는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번호이고,
Figure pct00041
는 자원 블록 번호이고,
Figure pct00042
는 향상된 자원 요소의 새로운 번호이며, M은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이다.
S603: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결정한다.
인터리빙하기 전에,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은 일정한 시퀀스에 따라 각 자원 블록 내에 분포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시퀀스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재분포시킬 수 있어,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의 그룹화를 얻을 수 있고, 여기서 각 그룹은 하나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이다. 따라서,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은 인접하지 않는 자원 블록으로 치환된다.
S604: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S605: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에서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이 eREG를 인터리빙하여, 인접하지 않는 RB에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의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701: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을 결정한다.
S702: 자원 블록을 그룹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자원 블록을 직접 그룹화하여,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가 위치하는 자원 블록은 인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CCE0을 형성하는 eREG0들은 각각 RB0, RB1, 및 RB2 내에 있고, 시스템에서의 RB의 원래 배열 시퀀스는 RB0-RB1-RB2-RB3-RB4-RB5이고, 기지국이 RB0, RB1, 및 RB2를 다시 그룹화하여 RB의 배열 시퀀스를 RB0-RB3-RB1-RB4-RB2-RB5로 변경하여, RB0, RB1, 및 RB2가 인접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S703: 제어 정보를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한다.
S703에서, 선택적인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번호
Figure pct00043
인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번호
Figure pct00044
인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번호가
Figure pct00045
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46
는,
Figure pct00047
; 또는
Figure pct00048
; 또는
Figure pct00049
; 또는
Figure pct00050
을 포함하고;
Figure pct00051
은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에 따라 결정된 값이고,
Figure pct00052
은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2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053
은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1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054
는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가중 인자이고,
Figure pct00055
또는
Figure pct00056
또는 미리 정의된 양의 정수 값 또는 고층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양의 정수 값이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57
는 0∼15이고,
Figure pct00058
는 0∼3이고,
Figure pct00059
는 0∼15,
Figure pct00060
은 16이고,
Figure pct00061
는 1이고,
Figure pct00062
는 1이다.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과 등가이다.
Figure pct00065
에 따라, 아래의 표 6에서 eCCE에 대응하는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eREG가 취득될 수 있다.
Figure pct00066
예를 들어,
Figure pct00067
는 0∼7이고,
Figure pct00068
는 0∼3이고,
Figure pct00069
는 0∼15,
Figure pct00070
은 16이고,
Figure pct00071
는 0 또는 8이고; eCCE는 8개의 eREG을 포함하고, 즉 각 자원 블록은 eCCE에 대응하는 두 개의 eREG을 가지고,
Figure pct00072
에 따라, 아래의 표 7에서 eCCE에 대응하는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eREG가 취득될 수 있다.
Figure pct00073
전술한 방식에서, 다른 공식 및 파라미터 값에 따라 취득된 결과를 취득할 수 있으며, 자세한 것은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서, 그룹화된 자원블록 내의 eCCE에 대응하는 eREG가 공식으로 형태로 표현되는 것은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eCCE에 대응하는 eREG가 표의 형태로 표현되는 것과 등가이다.
전술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그룹화된 자원 블록에서 번호가 상이한 하나 이상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가 결정되고, 제어 정보는 하나 이상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된다.
S704: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에서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이 eREG를 인터리빙하여, 인접하지 않는 RB에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의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801: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을 결정한다.
S802: 자원 블록을 그룹화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표 3은 분포형의 가상 자원 블록(Virtual resource blocks of distributed type, DVRB)의 할당의 예를 보여준다. DVRB0은 짝수 타임슬롯의 PRB0(Physical Resource Block, 물리 계층 자원 블록)과 홀수 타임슬롯의 PRB18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DVRB0은 비교적 양호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VRB2는 짝수 타임슬롯의 PRB18과 홀수 타임슬롯의 PRB0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DVRB0와 DVRB2는 쌍을 이루는 DVRB의 그룹이고, 서브프레임의 PRB0 및 PRB18을 점유한다.
Figure pct00074
본 실시예에서, S802는 두 가지 구체적인 구현 방법을 가질 수 있다.
구현 방법 1: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802는 S8021∼S8023의 방법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S8021: 가상 자원 블록(DVRB) 번호를 결정한다.
S8022: 가상 자원 블록 번호에 따라, 짝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N과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M을 결정한다.
S8023: 짝수 타임슬롯 및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N과, 짝수 타임슬롯 및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M을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화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은 ePDCCH 분산 송신을 위해 DVRB 세트를 할당할 수 있다. DVRB 세트는 적어도 두 개의 DVRB를 포함하고, DVRB는 ePDCCH 분산 송신 또는 ePDCCH 분산 송신 및 ePDCCH 집중 송신을 지원하는 데 사용된다.
ePDCCH 분산 송신을 지원하는 DVRB 세트가 N개 DVRB를 포함하고, N은 짝수인것으로 가정한다.
하나의 DVRB는
Figure pct00075
개의 eREG를 포함하고, 번호는
Figure pct00076
이고, 둘 이상의 eREG은 상이한 DVRB에 있다.
DVRB 방식으로 ePDCCH 분산 송신을 위해 자원이 할당되고, 짝수 타임슬롯의 DVRB 번호는 또한 홀수 타임슬롯에서도 사용된다, 즉, 할당된 DVRB 번호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하나의 PRB 번호에 대응하고, 하나의 eCCE는 적어도 쌍을 이루는 DVRB의 그룹 내의 둘 이상의 eREG을 포함하고, 이 두 개의 eREG은 각각 대응하는 DVRB에 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eCCE는 적어도 DVRB 0 및 2 내의 하나 이상의 eREG를 각각 포함하거나, 하나의 eCCE는 적어도 DVRB 1 및 3 내의 하나 이상의 eREG을 각각 포함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eCCE 0 내의 포함된 eREG가 속하는 DVRB의 번호는 DVRB 0과 DVRB 2이다, 즉, eCCE 0을 형성하는 eREG가 위치하는 PRB의 번호는 0과 18이다. PRB 0과 PRB 15는 인접하지 않고 17개 PRB만큼 간격을 두고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은 동일한 방식으로 PRB를 그룹화하여, 각 그룹 내의 PRB가 인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간격은 17이다. 따라서,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한 향상된 자원 요소가 위치하는 자원 블록은 인접하지 않아,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한 향상된 자원 요소는 비교적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크다.
Figure pct00077
구현 방법 2: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802는 S8024∼S8025의 방법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S8024: 기지국 내의 고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을 취득하고, 고층 시그널링에 따라 둘 이상의 자원 블록 그룹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고층 시그널링을 취득하고, 고층 시그널링에 따라 둘 이상의 인접하지 않는 자원 블록의 그룹을 구성할 수 있어,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가 위치하는 자원 블록이 인접하지 않아,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는 비교적 큰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자원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시그널링 내의 ePDCCH 분산 송신 자원 구성 필드를 통해 수행되고, 표 5에 나타낸 예에는, 네 그룹의 자원 블록이 구성되어 있고, 각 자원 블록은 각각 두 개의 인접하지 않는 물리 자원 블록에 대응한다.
Figure pct00078
S8025: 둘 이상의 자원 블록 그룹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한다.
S803: 제어 정보를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한다.
S804: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에서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이 RB를 그룹화하여, 인접하지 않는 RB에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의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주로 단말 기기가 자원 블록을 그룹화하는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제공한다.
S901: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UE)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S902: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의 인터리버를 결정하고, 인터리버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인터리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S903: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단말 기기가, 인터리버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상하는 둘 이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한 다음,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은 다양하므로, 여러 종류를 가지고,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S904: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에서는,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이 인접하지 않는 RB에 구성되므로, 단말 기기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처리할 때,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의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1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주로 단말 기기가 자원 블록을 그룹화하는 다른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제공한다.
S1001: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UE)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S1002: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자원 블록의 그룹화 상황을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자원 블록의 그룹화 상황을 취득하는 방식은 여러 종류가 있고,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S1003: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자원 블록의 그룹화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단말 기기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자원 블록의 그룹화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은 여러 종류가 있고, 구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S1004: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예 1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구성 모듈(111);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고,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터리빙 모듈(112);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매핑 모듈(113); 및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1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장치에서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인터리빙 모듈이 eREG를 인터리빙하도록 구성되어, 인접하지 않는 RB에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 기기를 제공하며, 제1 구성 모듈(121), 인터리빙 모듈(122), 제1 매핑 모듈(123), 및 제1 송신 모듈(124)을 포함한다.
제1 구성 모듈(121)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2a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 모듈(121)은,
자원 블록 번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식별 서브모듈(1211); 및
자원 블록 번호 및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위치결정 서브모듈(12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결정 서브모듈(1212)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Figure pct00079
내의
Figure pct00080
에 대응하는 템플릿 식별자
Figure pct00081
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템플릿 식별자 분석 유닛(12121) -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082
을 포함하고, A는 미리 설정된 양의 정수이고, M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이고,
Figure pct00083
는 번호
Figure pct00084
인 자원 블록이고;
Figure pct00085
Figure pct00086
내의 번호
Figure pct00087
인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임 -;
템플릿 식별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템플릿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템플릿 추출 유닛(12122);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템플릿 분석 유닛(12123); 및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구성 유닛(12124)을 포함한다.
이와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결정 서브모듈(1212)은,
자원 블록 번호에 따라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분석 유닛(12125); 및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 미리 설정된 템플릿, 및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오프셋 유닛(12126)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도 12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 모듈(121)은,
셀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식별 서브모듈(1213); 및
셀 식별자 및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위치결정 서브모듈(1214)을 포함하고, 자원 블록은 셀 식별자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결정 서브모듈(1214)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셀 식별자
Figure pct00088
를 가지는 셀 내의
Figure pct00089
의 템플릿 식별자
Figure pct00090
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템플릿 식별자 분석 유닛(12141) -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091
을 포함하고, M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이고,
Figure pct00092
는 번호
Figure pct00093
인 자원 블록이고;
Figure pct00094
Figure pct00095
내의 번호
Figure pct00096
인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임 -;
템플릿 식별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템플릿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템플릿 추출 유닛(12142);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템플릿 분석 유닛(12143); 및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구성 유닛(12144)을 포함하고, 자원 블록은 셀 식별자에 대응한다.
이에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결정 서브모듈(1214)은,
셀 식별자에 따라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분석 유닛(12145); 및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오프셋 유닛(12146)을 포함하고, 자원 블록은 셀 식별자에 대응한다.
인터리빙 모듈(122)은,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고,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사용하여,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2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리빙 모듈(122)은 제1 통계 수집 서브모듈(1221), 인터리빙 전처리 서브모듈(1222), 인터리빙 서브모듈(1223), 및 제1 그룹화 서브모듈(1224)을 포함한다.
제1 통계 수집 서브모듈(1221)은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 또는 미리 설정된 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통계 수집 서브모듈(1221)은,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ePDCCH 분산 송신을 위한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를 취득하거나; 또는 ePDCCH 분산 송신을 위한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 및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가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를 취득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인터리빙 전처리 서브모듈(1222)은 인터리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인터리버의 행 또는 열의 수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 또는 그 수의 배수이거나; 또는 인터리버의 행 또는 열의 수는 미리 설정된 4, 8, 12, 16, 및 32 중 하나이다.
인터리빙 전처리 서브모듈(1222)은,
행간 또는 열간 치환 패턴을 < 0, 2, 1, 3 > 또는 < 0, 4, 2, 6, 1, 5, 3, 7 > 또는 < 0, 8, 4, 2, 10, 6, 1, 9, 5, 3, 11, 7 > 또는 < 0, 8, 4, 12, 2, 10, 6, 14, 1, 9, 5, 13, 3, 11, 7, 15 > 또는 < 1, 17, 9, 25, 5, 21, 13, 29, 3, 19, 11, 27, 7, 23, 15, 31, 0, 16, 8, 24, 4, 20, 12, 28, 2, 18, 10, 26, 6, 22, 14, 30 >으로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인터리빙 서브모듈(1223)은 인터리버에 따라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여,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그룹화 서브모듈(1224)은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그룹화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a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리빙 모듈(122)은,
향상된 자원요소 번호,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 및 하나의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의 자원 블록 번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번호 추출 서브모듈(1225); 및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동일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제어 요소 내의 각각의 향상된 자원 요소에 번호를 다시 부여하도록 구성된 번호 재부여 서브모듈(1226) -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097
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98
는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번호이고,
Figure pct00099
는 자원 블록 번호이고,
Figure pct00100
는 향상된 자원 요소의 새로운 번호이며, M은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임 -;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새로운 번호의 시퀀스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그룹화하도록 구성된 제2 그룹화 서브모듈(1227)을 포함하고, 각 그룹은 하나의 eCCE이다.
제1 매핑 모듈(123)은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1 송신 모듈(124)은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장치에서는, 인터리빙 모듈이 eREG를 인터리빙하도록 구성되어, 인접하지 않는 RB에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다른 측면에서는, 제1 구성 모듈이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간의 크기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기지국이 향상된 제어 요소를 처리할 때, 기지국이 비교적 복잡한 보상 및 전력 할당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 구현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를 완화하고, 기지국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키므로,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 기기를 제공하며, 제2 구성 모듈(131), 자원 블록 그룹화 모듈(132), 제2 매핑 모듈(133), 및 제2 송신 모듈(134)을 포함한다.
제2 구성 모듈(131)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자원 블록 그룹화 모듈(132)은 자원 블록을 그룹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블록 그룹화 모듈(132)은,
가상 자원 블록(DVRB) 번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번호 추출 서브모듈(1321);
가상 자원 블록 번호에 따라, 짝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N과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M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번호 분석 서브모듈(1322); 및
짝수 타임슬롯 및 홀수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N과 짝수 타임슬롯 및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M을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화하도록 구성된 제3 그룹화 서브모듈(1323)을 포함한다.
이에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블록 그룹화 모듈(132)은,
기지국 내의 고층 시그널링을 취득하고, 고층 시그널링에 따라 둘 이상의 자원 블록의 그룹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고층 시그널링 취득 서브모듈(1324); 및
둘 이상의 자원 블록의 그룹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도록 구성된 제4 그룹화 서브모듈(1325)을 포함한다.
제2 매핑 모듈(133)은 제어 정보를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송신 모듈(134)은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장치에서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자원 블록 그룹화 모듈이 RB를 그룹화하도록 구성되어, 인접하지 않는 RB에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결정 모듈(141), 제1 결정 모듈(142), 및 제1 수신 모듈(143)을 포함한다.
제1 위치 결정 모듈(141)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UE)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1 결정 모듈(142)은,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의 인터리버를 결정하고, 인터리버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고;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인터리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으며;
단말 기기가, 인터리버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대응하는 둘 이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고,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은 여러 종류 있으므로,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제1 수신 모듈(143)은,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와 결합되며,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은 인접하지 않는 RB에 구성되므로,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정 모듈(151), 제3 결정 모듈(153), 제2 매핑 모듈(153), 및 제2 수신 모듈(154)을 포함한다.
제2 결정 모듈(151)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UE)가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3 결정 모듈(152)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자원 블록의 그룹화 상황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UE)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자원 블록의 그룹화 상황을 취득하는 방식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2 매핑 모듈(153)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자원 블록의 그룹화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UE)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자원 블록의 그룹화 및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구체적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2 수신 모듈(154)은,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장치에서는,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가 인접하지 않는 RB에 구성되므로,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정보 송신 발명을 제공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701: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을 결정한다.
S702: 자원 블록을 그룹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자원 블록을 직접 그룹화하여,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가 위치하는 자원 블록이 인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eCCE0을 형성하는 eREG0은 각각 RB0, RB1, 및 RB2 에 있고, 시스템에서의 RB의 원래 배열 시퀀스는 RB0-RB1-RB2-RB3-RB4-RB5이고, 기지국은 RB0, RB1, 및 RB2를 다시 그룹화하여 RB의 배열 시퀀스를 RB0-RB3-RB1-RB4-RB2-RB5로 변경하여, RB0, RB1, 및 RB2가 인접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S703: 제어 정보를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한다.
S703에서, 선택적인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번호
Figure pct00101
인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번호
Figure pct00102
인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번호가
Figure pct00103
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Figure pct00104
는,
Figure pct00105
; 또는
Figure pct00106
; 또는
Figure pct00107
; 또는
Figure pct00108
; 또는
Figure pct00109
; 또는
Figure pct00110
; 또는
Figure pct00111
을 포함하고;
Figure pct00112
은 제1 파라미터 값에 따라 결정된 값이고, 제1 파라미터 값은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 또는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113
은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2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114
은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1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115
는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가중 인자이고,
Figure pct00116
또는
Figure pct00117
또는
Figure pct00118
는 미리 정의된 양의 정수 값 또는 고층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양의 정수 값, 예를 들어 0과
Figure pct00119
사이의 임의의 미리 정의된 양의 정수 값이다.
또한 예를 들어,
Figure pct00120
는 0∼15이고,
Figure pct00121
는 0∼3이고,
Figure pct00122
는 0∼15,
Figure pct00123
은 16이고,
Figure pct00124
은 0이다, 즉 하나의 eCCE는 4개의 eREG를 포함한다.
Figure pct00125
에 따라, 아래의 표 8 내의 eCCE에 대응하는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eREG가 취득될 수 있다.
Figure pct00126
전술한 방식에서는, 다른 공식 및 파라미터 값에 따라 취득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자세한 것은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그룹화된 자원블록 내의 eCCE에 대응하는 eREG가 공식의 형태로 표현되어 있는 것은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eCCE에 대응하는 eREG가 표의 형태로 표현되어 있는 것과 등가이다.
전술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번호가 상이한 하나 이상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가 결정되고, 제어 정보는 하나 이상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된다.
S704: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에서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이 eREG를 그룹화하여, 인접하지 않는 RB에 동일한 eCCE를 형성하는 eREG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부족한 문제를 완화하고, 단말 기기의 정보 손실의 확률을 낮추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는 점진적인 방식으로 기재되어 있고; 실시예의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 참조할 수 있으며; 각 실시예에서의 중점 설명은 다른 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특히, 기기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매우 간략하게 설명한다. 관련 부분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당업자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방법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상기 저장 매체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쉽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41)

  1.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고,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자원 블록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블록 번호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Figure pct00127
    는 번호
    Figure pct00128
    인 자원 블록이고;
    Figure pct00129
    Figure pct00130
    내의 번호
    Figure pct00131
    인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이며;
    상기 자원 블록 번호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Figure pct00132
    내의
    Figure pct00133
    에 대응하는 템플릿 식별자
    Figure pct00134
    를 취득하는 단계 -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135
    을 포함하고, A는 미리 설정된 양의 정수이고, M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임 -;
    상기 템플릿 식별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템플릿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 번호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원 블록 번호에 따라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 미리 설정된 템플릿,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셀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셀 식별자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포함하고, 상기 자원 블록은 상기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Figure pct00136
    는 번호
    Figure pct00137
    인 자원 블록이고;
    Figure pct00138
    Figure pct00139
    내의 번호
    Figure pct00140
    인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이며;
    상기 셀 식별자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셀 식별자
    Figure pct00141
    를 가지는 셀 내의
    Figure pct00142
    의 템플릿 식별자
    Figure pct00143
    를 취득하는 단계 -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144
    을 포함하고, M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임 -;
    상기 템플릿 식별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템플릿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원 블록은 상기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셀 식별자에 따라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 미리 설정된 템플릿,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원 블록은 상기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는 것은,
    인터리버(interleaver)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리버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리버의 행 또는 열의 수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에서 취득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량 또는 상기 수량의 배수이거나; 또는 상기 인터리버의 행 또는 열의 수는 미리 설정된 4, 8, 12, 16, 및 32 중 하나인, 제어 정보 송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를 취득하는 것은,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ePDCCH 분산 송신(distributed transmission)을 위한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를 취득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ePDCCH 분산 송신을 위한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 및 가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버를 결정하는 단계는,
    행간(inter-row) 또는 열간(inter-column) 치환 패턴(displacement pattern)을 < 0, 2, 1, 3 > 또는 < 0, 4, 2, 6, 1, 5, 3, 7 > 또는 < 0, 8, 4, 2, 10, 6, 1, 9, 5, 3, 11, 7 > 또는 < 0, 8, 4, 12, 2, 10, 6, 14, 1, 9, 5, 13, 3, 11, 7, 15 > 또는 < 1, 17, 9, 25, 5, 21, 13, 29, 3, 19, 11, 27, 7, 23, 15, 31, 0, 16, 8, 24, 4, 20, 12, 28, 2, 18, 10, 26, 6, 22, 14, 30 >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145
    를 포함하고,
    Figure pct00146
    는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번호이고,
    Figure pct00147
    는 상기 자원 블록 번호이고,
    Figure pct00148
    는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의 새로운 번호이며, M은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인,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2.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을 결정하는 단계;
    자원 블록을 그룹화하는 단계;
    제어 정보를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을 그룹화하는 단계는,
    가상 자원 블록(DVRB)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자원 블록 번호에 따라, 짝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N과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M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짝수 타임슬롯 및 상기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N과 상기 짝수 타임슬롯 및 상기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M을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을 그룹화하는 단계는,
    기지국 내의 고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을 취득하고, 상기 고층 시그널링에 따라 둘 이상의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둘 이상의 자원 블록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는,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를, 하나 이상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번호, 자원 블록 번호,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번호, 자원 블록 번호,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번호
    Figure pct00149
    인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내의 번호
    Figure pct00150
    인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번호가
    Figure pct00151
    인 것을 포함하고,
    Figure pct00152
    는,
    Figure pct00153
    ; 또는
    Figure pct00154
    ; 또는
    Figure pct00155
    ; 또는
    Figure pct00156
    을 포함하고;
    Figure pct00157
    은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에 따라 결정된 값이고,
    Figure pct00158
    은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1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159
    은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2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160
    는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가중 인자이고,
    Figure pct00161
    또는
    Figure pct00162
    또는
    Figure pct00163
    는 0과
    Figure pct00164
    사이의 임의의 미리 정의된 양의 정수 값 또는 고층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양의 정수 값인,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번호, 상기 자원 블록 번호,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오프셋 값, 및 제1 파라미터 값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값은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자원 블록의 수, 또는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번호
    Figure pct00165
    인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내의 번호
    Figure pct00166
    인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번호가
    Figure pct00167
    인 것을 포함하고,
    Figure pct00168
    는,
    Figure pct00169
    ; 또는
    Figure pct00170
    ; 또는
    Figure pct00171
    을 포함하고;
    Figure pct00172
    은 제1 파라미터 값에 따라 결정된 값이고,
    Figure pct00173
    은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1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174
    은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2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175
    는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가중 인자이고,
    Figure pct00176
    또는
    Figure pct00177
    또는
    Figure pct00178
    는 0과
    Figure pct00179
    사이의 임의의 미리 정의된 양의 정수 값 또는 고층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양의 정수 값인, 제어 정보 송신 방법.
  20.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의 인터리버를 결정하고, 상기 인터리버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21.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상기 자원 블록의 그룹화 상황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상기 자원 블록의 그룹화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상기 자원 블록의 그룹화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번호, 자원 블록 번호,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번호, 자원 블록 번호,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 기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상기 자원 블록의 그룹화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번호
    Figure pct00180
    인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내의 번호
    Figure pct00181
    인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번호가
    Figure pct00182
    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Figure pct00183
    는,
    Figure pct00184
    ; 또는
    Figure pct00185
    ; 또는
    Figure pct00186
    ; 또는
    Figure pct00187
    을 포함하고;
    Figure pct00188
    은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에 따라 결정된 값이고,
    Figure pct00189
    은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2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190
    은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1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191
    는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가중 인자이고,
    Figure pct00192
    또는
    Figure pct00193
    또는
    Figure pct00194
    는 0과
    Figure pct00195
    사이의 임의의 미리 정의된 양의 정수 값 또는 고층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양의 정수 값인, 제어 정보 송신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번호, 자원 블록 번호,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번호, 상기 자원 블록 번호,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오프셋 값, 및 제1 파라미터 값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값은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자원 블록의 수, 또는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를 포함하는, 기지국 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번호, 상기 자원 블록 번호,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오프셋 값, 및 제1 파라미터 값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번호
    Figure pct00196
    인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내의 번호
    Figure pct00197
    인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번호가
    Figure pct00198
    인 것을 포함하고,
    Figure pct00199
    는,
    Figure pct00200
    ; 또는
    Figure pct00201
    ; 또는
    Figure pct00202
    을 포함하고;
    Figure pct00203
    은 제1 파라미터 값에 따라 결정된 값이고,
    Figure pct00204
    은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1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205
    은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제2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206
    는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의 가중 인자이고,
    Figure pct00207
    또는
    Figure pct00208
    또는
    Figure pct00209
    는 0과
    Figure pct00210
    사이의 임의의 미리 정의된 양의 정수 값 또는 고층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양의 정수 값인, 기지국 기기.
  26.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구성 모듈;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고,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터리빙 모듈;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매핑 모듈; 및
    상기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기지국 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모듈은,
    자원 블록 번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식별 서브모듈; 및
    상기 자원 블록 번호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위치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기지국 기기.
  28. 제26항에 있어서,
    Figure pct00211
    는 번호
    Figure pct00212
    인 자원 블록이고;
    Figure pct00213
    Figure pct00214
    내의 번호
    Figure pct00215
    인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이며;
    상기 제1 위치결정 서브모듈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Figure pct00216
    내의
    Figure pct00217
    에 대응하는 템플릿 식별자
    Figure pct00218
    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템플릿 식별자 분석 유닛 -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219
    을 포함하고, A는 미리 설정된 양의 정수이고, M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임 -;
    상기 템플릿 식별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템플릿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템플릿 추출 유닛;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템플릿 분석 유닛; 및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구성 유닛을 포함하는, 기지국 기기.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결정 서브모듈은,
    상기 자원 블록 번호에 따라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분석 유닛; 및
    상기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 미리 설정된 템플릿,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오프셋 유닛을 포함하는, 기지국 기기.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모듈은,
    셀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식별 서브모듈; 및
    상기 셀 식별자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위치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원 블록은 상기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지국 기기.
  31. 제30항에 있어서,
    Figure pct00220
    는 번호
    Figure pct00221
    인 자원 블록이고;
    Figure pct00222
    Figure pct00223
    내의 번호
    Figure pct00224
    인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이며;
    상기 제2 위치결정 서브모듈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셀 식별자
    Figure pct00225
    를 가지는 셀 내의
    Figure pct00226
    의 템플릿 식별자
    Figure pct00227
    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템플릿 식별자 분석 유닛 -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228
    을 포함하고, M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의 수임 -;
    상기 템플릿 식별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템플릿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템플릿 추출 유닛;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템플릿 분석 유닛; 및
    상기 미리 설정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구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원 블록은 상기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지국 기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결정 서브모듈은,
    상기 셀 식별자에 따라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분석 유닛; 및
    상기 서브캐리어 오프셋 값, 미리 설정된 템플릿, 및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구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원 블록은 상기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지국 기기.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 모듈은,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 또는 미리 설정된 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통계 수집 서브모듈;
    인터리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터리빙 전처리 서브모듈 - 상기 인터리버의 행 또는 열의 수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에서 취득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수량 또는 상기 수량의 배수이거나; 또는 상기 인터리버의 행 또는 열의 수는 미리 설정된 값임 -;
    상기 인터리버에 따라 상기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를 인터리빙하여, 상기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인터리빙 서브모듈; 및
    상기 둘 이상의 인터리빙된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의 그룹화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CCE)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그룹화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기지국 기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계 수집 서브모듈은,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ePDCCH 분산 송신을 위한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를 취득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ePDCCH 분산 송신을 위한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 및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가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를 취득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기기.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 전처리 서브모듈은,
    행간 또는 열간 치환 패턴을 < 0, 2, 1, 3 > 또는 < 0, 4, 2, 6, 1, 5, 3, 7 > 또는 < 0, 8, 4, 2, 10, 6, 1, 9, 5, 3, 11, 7 > 또는 < 0, 8, 4, 12, 2, 10, 6, 14, 1, 9, 5, 13, 3, 11, 7, 15 > 또는 < 1, 17, 9, 25, 5, 21, 13, 29, 3, 19, 11, 27, 7, 23, 15, 31, 0, 16, 8, 24, 4, 20, 12, 28, 2, 18, 10, 26, 6, 22, 14, 30 >으로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기기.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 모듈은,
    향상된 자원요소 번호,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 및 하나의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자원 요소의 자원 블록 번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번호 추출 서브모듈; 및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동일한 제어 채널 요소를 형성하는 향상된 제어 요소 내의 각각의 향상된 제어 요소에 번호를 다시 부여하도록 구성된 번호 재부여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Figure pct00229
    를 포함하고,
    Figure pct00230
    는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번호이고,
    Figure pct00231
    는 상기 자원 블록 번호이고,
    Figure pct00232
    는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의 새로운 번호이며, M은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의 수인, 기지국 기기.
  37.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구성 모듈;
    자원 블록을 그룹화하도록 구성된 자원 블록 그룹화 모듈;
    제어 정보를 상기 그룹화된 자원 블록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제2 매핑 모듈; 및
    상기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기지국 기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 그룹화 모듈은,
    가상 자원 블록(DVRB) 번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번호 추출 서브모듈;
    상기 가상 자원 블록 번호에 따라, 짝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N과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M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번호 분석 서브모듈; 및
    상기 짝수 타임슬롯 및 상기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N과 상기 짝수 타임슬롯 및 상기 홀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물리 자원 블록 번호 M을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화하도록 구성된 제3 그룹화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기지국 기기.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 그룹화 모듈은,
    기지국 내의 고층 시그널링을 취득하고, 상기 고층 시그널링에 따라 둘 이상의 자원 블록 그룹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고층 시그널링 취득 서브모듈; 및
    상기 둘 이상의 자원 블록 그룹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도록 구성된 제4 그룹화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기지국 기기.
  40.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위치결정 모듈;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의 인터리버를 결정하고, 상기 인터리버에 따라,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 및
    상기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
  41. 자원 블록(RB) 내의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eREG)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 번호에 따라,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상기 자원 블록의 그룹화 상황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모듈;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상기 자원 블록의 그룹화 및 상기 향상된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매핑 모듈; 및
    상기 자원 블록 그룹 내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의 위치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
KR1020157005240A 2012-08-02 2012-09-27 제어 정보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20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2/079607 WO2014019208A1 (zh) 2012-08-02 2012-08-02 传输控制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CNPCT/CN2012/079607 2012-08-02
PCT/CN2012/081510 WO2014019276A1 (zh) 2012-08-02 2012-09-17 传输控制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CNPCT/CN2012/081510 2012-09-17
PCT/CN2012/082147 WO2014019283A1 (zh) 2012-08-02 2012-09-27 传输控制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813A true KR20150039813A (ko) 2015-04-13
KR101720598B1 KR101720598B1 (ko) 2017-04-10

Family

ID=5002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240A KR101720598B1 (ko) 2012-08-02 2012-09-27 제어 정보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9654263B2 (ko)
EP (1) EP2871796B1 (ko)
KR (1) KR101720598B1 (ko)
CN (2) CN107181711A (ko)
CA (1) CA2880651C (ko)
WO (3) WO2014019208A1 (ko)
ZA (1) ZA20150092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684A1 (ko) * 2017-04-28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1878A (zh) * 2014-07-25 2016-01-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单元映射方法及装置
CN106921478A (zh) * 2015-12-28 2017-07-04 夏普株式会社 窄带物联网物理下行信道的复用方法、基站和用户设备
WO2017132955A1 (zh) 2016-02-04 2017-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传输方法及基站与终端
CN108282308B (zh) * 2017-01-06 2022-10-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参考信号的处理方法及装置、设备
CN108809572B (zh) * 2017-05-04 2023-12-0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08809581B (zh) * 2017-05-05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资源分配方法、数据发送方法及装置
CN115567974A (zh) * 2017-08-11 2023-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的发送方法及设备
EP4207651A1 (en) 2017-09-15 2023-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751A (ko) * 2010-06-17 201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R-pdcch 전송 및 수신 방법과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232B1 (ko) 2007-09-24 2014-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CN101159470B (zh) 2007-11-02 2012-09-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令指示信道到物理资源的映射方法
CN101212416B (zh) 2007-12-25 2011-11-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理信道的映射方法
KR100913099B1 (ko) * 2008-01-07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형 가상자원블록 스케쥴링 방법
CN101252422B (zh) 2008-03-20 2013-06-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物理混合重传指示信道的分配方法
CN101594215B (zh) 2008-05-26 2013-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道单元数量确定方法及装置、控制信道管理方法
CN101895988B (zh) * 2009-05-22 2013-06-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信道资源的分配方法及装置
US8583128B2 (en) 2009-07-13 2013-11-12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mapping physical control channels
CN101702644B (zh) * 2009-11-02 2014-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理混合重传指示信道的传输方法和装置
CN102082600A (zh) * 2009-12-01 2011-06-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链路下行控制信息配置方法及传输基站、中继站与方法
WO2011132946A2 (ko) * 2010-04-22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릴레이 노드 간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20106465A1 (en) 2010-04-30 2012-05-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ownlink control in heterogeneous networks
KR20120024355A (ko) * 2010-08-11 2012-03-14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R?pdcch의 reg 크기 축소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CN102420685B (zh) * 2011-11-07 2014-08-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控制信息的方法及装置
CN102395206B (zh) 2011-11-08 2015-07-1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CN102611524B (zh) 2011-12-19 2015-02-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信息的方法、系统及设备
CN102573094B (zh) 2012-01-17 2015-04-0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dci的方法及装置
US9179456B2 (en) * 2012-02-07 2015-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ownlink control channels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RU2659802C1 (ru) * 2012-03-19 2018-07-04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Агрегирование ресурсов в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х управляющих каналах
US9497756B2 (en) * 2012-03-25 2016-11-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ase station radio resource management
CN102612094A (zh) 2012-04-01 2012-07-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信令资源单元确定方法、基站及用户设备
KR102098055B1 (ko) 2012-04-30 2020-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30301562A1 (en) * 2012-05-09 2013-11-14 Mediatek, Inc. Methods for Resource Multiplexing of Distributed and Localized transmission i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WO2014003293A1 (ko) 2012-06-25 201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829987B2 (ja) 2012-07-23 2015-12-09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WO2014017822A2 (ko) * 2012-07-24 201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019181A1 (zh) 2012-08-01 2014-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信道传输方法及装置
WO2014019202A1 (zh) 2012-08-02 2014-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增强型物理下行控制信道传输方法及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751A (ko) * 2010-06-17 201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R-pdcch 전송 및 수신 방법과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catel-Lucent Shanghai Bell, Alcatel-Lucent; R1-122499; Multiplexing of Localized and Distributed ePDCCH in Same PRBs; 21st - 25th May 2012 *
Ericsson, ST-Ericsson; R1-121023; Details of multiplexing of DCI messages; 26th-30th March 2012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684A1 (ko) * 2017-04-28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125416A (ko) * 2017-04-28 2018-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55573B2 (en) 2017-04-28 2019-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US10912073B2 (en) 2017-04-28 2021-0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CN113890705A (zh) * 2017-04-28 2022-01-04 Lg 电子株式会社 接收下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和装置
US11246128B2 (en) 2017-04-28 2022-0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US11564219B2 (en) 2017-04-28 2023-0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US11910403B2 (en) 2017-04-28 2024-0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CN113890705B (zh) * 2017-04-28 2024-04-23 Lg电子株式会社 接收下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70715B (zh) 2017-04-26
EP2871796B1 (en) 2021-06-02
WO2014019283A1 (zh) 2014-02-06
US10264570B2 (en) 2019-04-16
CN107181711A (zh) 2017-09-19
EP2871796A1 (en) 2015-05-13
US10764883B2 (en) 2020-09-01
WO2014019208A1 (zh) 2014-02-06
ZA201500924B (en) 2021-09-29
CN103270715A (zh) 2013-08-28
US9654263B2 (en) 2017-05-16
CA2880651A1 (en) 2014-02-06
WO2014019276A1 (zh) 2014-02-06
US10785762B2 (en) 2020-09-22
KR101720598B1 (ko) 2017-04-10
US20190174467A1 (en) 2019-06-06
US20170223682A1 (en) 2017-08-03
CA2880651C (en) 2019-05-14
EP2871796A4 (en) 2015-07-08
US20190159184A1 (en) 2019-05-23
US20150146669A1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598B1 (ko) 제어 정보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2420685B (zh) 一种传输控制信息的方法及装置
US10623156B2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channel,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EP2843986B1 (en) Method and device for e-pdcch transmission and blind detection
CN110383920B (zh) 基站、终端以及通信方法
KR20150097637A (ko) 복조 기준 신호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복조 기준 신호를 매핑하기 위한 방법,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의 장치
US9445404B2 (e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CN108199816B (zh) 控制信道的传输、接收方法、基站和用户设备
WO2017028071A1 (zh) 下行控制信息的接收、发送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