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573A - 릴레이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1 호스트와 제2 호스트를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릴레이 모듈 - Google Patents

릴레이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1 호스트와 제2 호스트를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릴레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573A
KR20150037573A KR20140128343A KR20140128343A KR20150037573A KR 20150037573 A KR20150037573 A KR 20150037573A KR 20140128343 A KR20140128343 A KR 20140128343A KR 20140128343 A KR20140128343 A KR 20140128343A KR 20150037573 A KR20150037573 A KR 20150037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connection
relay module
establishment request
connection establis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8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쑤와즈 르 볼제르
스테판느 구아쉬
루이스 몽딸보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50037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모듈(R)에 관한 것으로, 릴레이 모듈은 제1 호스트에 의해 전송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가로채기 위한 캡처링 모듈(CM); 릴레이 모듈(R)과 제2 호스트(H2) 간의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2 접속 확립 요청을 전송하고, 제2 호스트(H2)로부터 제1 확인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I1); 및
-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context discovery unit)(3)을 포함하고,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은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제1 확인 응답이 동일한 다중 경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확립된 주요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포워드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제1 확인 응답이 상이한 다중 경로 특성들을 나타내는 경우, 제1 호스트(H1)와 릴레이 모듈(R) 간에 확립된 부가적인 보조 접속 및 릴레이 모듈(R)과 제2 호스트(H2) 간에 확립된 초기 보조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릴레이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릴레이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1 호스트와 제2 호스트를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릴레이 모듈{METHOD FOR CONNECTING A FIRST HOST AND A SECOND HOST WITHIN AT LEAST ON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RELAY MODULE, CORRESPONDING RELAY MODU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제1 호스트와 제2 호스트 간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에 관한 것으로,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특히, 릴레이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에 걸쳐 다중-홈 및 다중경로 프로토콜 가능한 호스트(multi-homed and multipath protocol capable host) 및 단일 경로 프로토콜 호스트(single path protocol host)를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 및 릴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이하 기술 및/또는 청구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관련될 수 있는 기술 분야의 다양한 측면을 독자에게 소개하려는 의도이다. 본 논의는 독자에게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의 더 나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서술들은 종래 기술의 인정이 아니라 위와 같은 견지에서 읽어야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최근, 멀티미디어 및 데이터 서비스들은 다양한 통신 경로를 사용한다(예컨대, 위성, 케이블, ADSL, 3G 및 4G, WiFi 등). 그러한 이용가능한 다양한 통신 경로를 활용하기 위하여, 최근의 디바이스들의 대부분은 여러 가지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특히, 랩탑들, 스마트폰들 및 태블릿들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새로운 세대에는 흔히 WiFi, 3G 및 블루투스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은 보통 두 개의 디바이스 간의 접속 각각에 대하여 오직 단일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을 전송 프로토콜로 하여 구현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은 성능, 복원력 또는 가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다중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제공되는 이용가능한 통신 경로 다양성을 활용할 수 없다.
그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 단체는 보통의 TCP 프로토콜의 확장으로서 두 개의 디바이스 간의 다중 경로를 통하여 단일 단-대-단(end-to-end) 접속의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MPTCP(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개발하였다. MPTCP는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해 2013년 1월에 발간된 A.Ford 등의 IETF RFC-6824 "TCP Extensions for Multipath Operation with Multiple Addresses"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테두리 안에서 이하의 사항들이 이해되어야 한다:
- "다중-홈 디바이스 또는 호스트"는, 다중경로 모드에서 (아마도 상이한 유형의)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데이터 패킷들을 교환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각각의 인터페이스가 고유한 통신 어드레스(예컨대, IP 어드레스)를 갖는 디바이스이다. 따라서, 다중-홈 디바이스는 고정식 (아마도 "스마트폰" 유형의) 이동식 전화, 고정식 또는 휴대형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코더,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또는 STB(Set-Top Box)와 같은) 컨텐츠 수신기, 또는 컨텐츠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 "통신경로"는, 두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디바이스 당 하나씩)의 도움으로, 통신 경로가 두 개의 상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통신 어드레스의 쌍에 의해 식별될 수 있도록 (아마도 멀티-홈일 수 있는) 두 개의 통신 디바이스를 접속시키는 경로이다;
- "서브-플로우"는, 큰 MPTCP 접속의 부분을 형성하는, 단일 경로에서 동작하는 TCP 패킷들의 플로우이다. 그러한 서브-플로우는 보통의 TCP 접속과 유사하게 시작되고 종료된다.
제1 다중-홈 디바이스와 제2 다중-홈 디바이스 간의 MPTCP 접속은 주된 통신 경로와 연관된 주요 일반 TCP 접속 및, 주요 일반 TCP 접속에 링크되고 보조 통신 경로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보조 TCP 접속들로 구성된다. 그러한 MPTCP 접속은 양 단에서의 어플리케이션들에게 계속하여 단일 TCP 접속으로서 나타난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MPTCP 프로토콜의 구현을 지원할 수 있는(MPTCP 가능형이라고도 지칭되는) 다중-홈 디바이스는 대개 MPTCP 접속을 개시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접속으로서 할당되는 하나의 고정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경로 다양성으로부터 혜택을 얻기 위하여,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멀티-홈일 필요가 있고, 두 개의 디바이스 모두가 MPTCP 가능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다면 MPTCP접속은 일반 TCP 접속으로 되고 경로 다양성은 사용될 수 없다.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의 도입이 언제나 그렇듯이, 개시는 점진적이며 널리 사용되기 전까지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MPTCP 가능한 디바이스들과 TCP만 가능한 디바이스들은 긴 기간 동안 공존할 것이며, 그러는 동안 다중경로 상태들은 적용되기에 완전히 충족되지는 않을 것이다. 실례로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다중 경로 기회로 이어지는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였다 할지라도, MPTCP를 수행할 수 없는 TCP 비디오 서버는 그것의 서비스를 표준 TCP 접속 및 단일 경로 시나리오로 제한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위에서 언급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릴레이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1 호스트와 제2 호스트를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릴레이 모듈에서:
- 제2 호스트와의 주요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1 호스트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캡처하는 단계;
- 릴레이 모듈과 제2 호스트 간의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2 접속 확립 요청을 제2 호스트에 전송하는 단계;
- 제2 호스트로부터 제1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제1 확인 응답이 동일한 다중 경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확립된 직접적인 주요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포워드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Figure pat00001
초기 보조 접속 확립을 중지하기 위하여 제2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제1 확인 응답을 드랍하고;
Figure pat00002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제2 호스트에 릴리즈하고;
Figure pat00003
직접적인 주요 접속의 확립을 위하여, 앞서 전송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2 호스트에 의해 전송된 제2 확인 응답을 제1 호스트에 포워딩하는 단계;
-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제1 확인 응답이 상이한 다중 경로 특성들을 나타내는 경우,
Figure pat00004
제1 호스트와 릴레이 모듈 간에 확립된 부가적인 보조 접속; 및
Figure pat00005
릴레이 모듈과 제2 호스트 간에 확립된 초기 보조 접속
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릴레이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움으로, 본 방법은 제2 호스트로부터 어떠한 다중 경로 이용가능성들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예컨대 다중-홈 및 다중 경로 프로토콜 가능한 제1 호스트 및 릴레이 모듈 간의 다중 경로 아키텍처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 반대도 성립한다. 본 발명은 제1 호스트 인터페이스들의 성능들이 낮고(낮은 대역폭) (무선 인터페이스들과 같이) 확정적이지 않은 경우에 특히 가치있다. 이 경우, 다중 경로 아키텍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대역폭을 집계함으로써 제1 호스트 측의 더 높은 용량 및 더 나은 신뢰도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수신하면 초기 보조 접속 확립을 다루기 위하여 릴레이 모듈 내에 제1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예비적으로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 상기 제2 접속 확립 요청은 초기 보조 다중 경로 접속의 확립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일례로서, 제1 호스트가 오직 표준 TCP만 가능하고 제2 호스트가 다중-홈과 MPTCP 가능한 경우, 초기 보조 접속은 릴레이 모듈과 제2 호스트 간의 다중 경로일 수 있다.
더욱이,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제1 확인 응답은 릴레이 모듈의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방법은 릴레이 모드가 활성화되었을 때, 릴레이 모듈에서:
- 제1 호스트와 릴레이 모듈 간의 상기 부가적인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프로세싱하는 단계. 예를 들면, 제1 접속 확립 요청이 다중 경로 특성 옵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부가적인 보조 접속은 다중 경로 접속일 수 있음;
- 릴레이 모듈과 제2 호스트 간의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1 확인 응답을 프로세싱하는 단계. 예를 들면, 제1 확인 응답이 다중 경로 특성 옵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초기 보조 접속은 다중 경로 접속임;
- 초기 및 부가적인 보조 접속들 간에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방법은 초기 및 부가적인 보조 접속들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릴레이 모드에 있는 것으로서 및/또는 확립된 주요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포워드 모드에 있는 것으로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에서, 초기 및 부가적인 보조 접속들 간의 링크는 대응관계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접속 확립 요청의 프로세싱은:
- 제1 호스트와의 부가적인 보조 접속을 다루기 위하여 릴레이 모듈 내에 제2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저장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제2 인터페이스를 향해 릴리즈하는 단계;
- 상기 부가적인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1 호스트에 의해 초기에 요청된 주요 접속을 받아들이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확인 응답의 프로세싱은:
- 상기 저장된 제1 확인 응답을 제1 인터페이스를 향해 릴리즈하는 단계;
- 상기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릴레이 모듈에 의해 요청된 초기 보조 접속을 받아들이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내에 배치된 제1 호스트와 제2 호스트를 접속시키기 위한 릴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릴레이 모듈은:
- 제2 호스트와의 주요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1 호스트에 의해 전송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가로채도록 구성된 캡처링 모듈;
- 릴레이 모듈과 제2 호스트 간의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2 접속 확립 요청을 제2 호스트에 전송하고, 제2 호스트로부터 제1 확인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
-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제1 확인 응답이 동일한 다중 경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확립된 직접적인 주요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포워드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제1 확인 응답이 상이한 다중 경로 특성들을 나타내는 경우, 제1 호스트와 릴레이 모듈 간에 확립된 부가적인 보조 접속 및 릴레이 모듈과 제2 호스트 간에 확립된 초기 보조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릴레이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
을 포함하고, 캡처링 모듈은:
- 초기 보조 접속 확립을 중단하기 위하여 제2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제1 확인 응답을 드랍하고;
-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제2 호스트에 릴리즈하고;
- 직접적인 주요 접속의 확립을 위하여, 앞서 전송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2 호스트에 의해 전송된 제2 확인 응답을 제1 호스트에 포워딩하도록 더 구성된다.
게다가, 상기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은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제1 확인 응답을 저장하고, 그들의 다중 경로 특성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릴레이 모듈은:
- 예컨대 식별 테이블의 도움으로, 포워드 모드에서 프로세싱되는 트래픽과 릴레이 모드에서 프로세싱되는 트래픽을 구분하도록 되어있는 트래픽 식별 유닛;
- 릴레이 모드에서, 제1 호스트와 제2 호스트 간의 초기 및 부가적인 보조 접속들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릴레이하기 위한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내에 배치된 제1 호스트와 제2 호스트를 접속시키기 위한 릴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릴레이 모듈은:
- 제2 호스트와의 주요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1 호스트에 의해 전송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가로채고;
- 릴레이 모듈과 제2 호스트 간의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2 호스트에 제2 접속 확립 요청을 전송하고;
- 제2 호스트로부터 제1 확인 응답을 수신하고;
-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제1 확인 응답이 동일한 다중 경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확립된 직접적인 주요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포워드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제1 확인 응답이 상이한 다중 경로 특성들을 나타내는 경우, 제1 호스트와 릴레이 모듈 간에 확립된 부가적인 보조 접속 및 릴레이 모듈과 제2 호스트 간에 확립된 초기 보조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릴레이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 초기 보조 접속 확립을 중단하기 위하여 제2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제1 확인 응답을 드랍하고;
-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제2 호스트에 릴리즈하고;
- 상기 직접적인 주요 접속의 확립을 위하여, 앞서 전송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2 호스트에 의해 전송된 제2 확인 응답을 제1 호스트에 포워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가능하고 및/또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매체에 기록되고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기록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과 범위 면에서 상응하는 특정 측면들이 이하 제시된다. 이러한 측면들은 단지 독자에게 본 발명이 취할 수 있는 특정 형식들의 간단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이 측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측면들을 아우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제한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이하의 실시예 및 실행 예들에 의하여 더 이해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예의 개략도.
도 2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릴레이 모듈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의 플로우 차트.
도면들에서, 유사한 부호들은 달리 나타나있지 않는 이상,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설명, 청구항들 및 도면들에 개시된 부호들은 독립적으로 제공되거나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특징들은 적절한 경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도 1에서, 표현된 블록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유닛들에 상응할 수 있거나 동일한 물리적 유닛에 포함될 수 있는 기능 유닛들이다. 다시 말해, 그것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의 형태로 개발될 수 있거나, 하나 또는 여러 집적 회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블록들 또는 그것들의 적어도 일부는 고유한 컴포넌트 내에 그룹화될 수 있거나 동일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성들을 구성할 수 있다. 반대로, 일부 블록들은 결국 여러 유닛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표준 TCP 및 다중 경로 프로토콜 MPTCP에 관하여 설명된다. 당연히, 본 발명은 그러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다중 경로 프로토콜들도 물론 고려되고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제1 호스트(H1), 제2 호스트(H2) 및 다중-홈 및 MPTCP 가능한 미들-박스(MB)(예컨대,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호스트들(H1 및 H2)은 TCP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기를 원한다. "호스트"는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 서버 또는 미들-박스를 나타낸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두 개의 호스트(H1 및 H2) 모두는 MPTCP 가능하거나 표준 TCP(즉, 오직 TCP만 가능하고, MPTCP 가능하지 않음) 중 하나일 수 있다.
(홈 네트워크로서) 제1 네트워크(N1)를 통해 미들-박스(MB)에 접속된 호스트(H1)는 (인터넷 네트워크로서) 제2 네트워크(N2)를 통하여 호스트(H2)에 접속하기를 원한다. 제1 네트워크(N1)는 미들-박스(MB)의 도움으로 제2 네트워크(N2)에 접속된다. 분명히, 변형에서는, 접속이 제2 호스트(H2)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모든 호스트 조합을 고려하기 위하여(표준 TCP, MPTCP 가능), 예를 들어 미들-박스(MB)에 배열된 릴레이 모듈(R)이 두 가지 작업 모드: 포워드 모드 및 릴레이 모드를 제안하는 릴레이 메커니즘(RM)을 수행한다(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포워드 모드는 호스트들(H1 및 H2) 둘 다 동일한 다중 경로 능력을 나타낼 때, 즉, 호스트들(H1 및 H2) 둘 다 MPTCP-가능하거나 호스트들(H1, H2) 둘 다 표준 TCP 스택을 포함할 때 활성화된다. 이러한 조건들에서, 릴레이 모듈(R)은 투명한 브릿지로서 역할을 하고, 임의의 성능 저하를 피하기 위해 특정 프로세싱 없이 트래픽을 포워딩한다.
릴레이 모드는 호스트들(H1 및 H2)이 상이한 다중 경로 능력들을 보일 때(하나의 호스트는 MPTCP-가능하고, 다른 하나의 호스트는 오직 표준 TCP만 가능함) 활성화되고, 릴레이 모듈(R)은 릴레이 모드로 스위칭하고 호스트들(H1 및 H2) 간의 트래픽을 릴레이한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MPTCP가 TCP의 확장이기 때문에, MPTCP 접속은 보통의 TCP 접속과 동일한 프로세스, 즉 쓰리-웨이 핸드쉐이크(three-way handshake)(SYN, SYN/ACK, ACK)를 사용하여 개시된다. 그러면, MPTCP 호스트는 이용가능한 경로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원격 호스트에 SYN을 전송함으로써 TCP 접속을 개시하는 호스트이다. 추가적인 경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새로운 TCP 쓰리-웨이 핸드쉐이크가 수행된다.
MPTCP 가능한 호스트들을 다룰 때, MPTCP 접속에 속한 모든 TCP 패킷은 "옵션" 필드에서 TCP 세그먼트의 헤더에 포함된 특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MPTCP 옵션은 30과 동일한 "종류(kind)" 값으로 식별된다(RFC6824, 2013년 1월, 표 1과 비교). 게다가, "서브타입" 필드는 MPTCP 옵션을 더 상세히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SYN, SYN/ACK 및 ACK 패킷들의 컨텍스트에서, 이러한 옵션들은 원격 호스트가 MPTCP를 지원하는지를 체크하도록 설계되었다. 그것들은 또한 호스트들이, 이용가능한 경로들을 따르는 부가적인 서브플로우들의 확립을 확보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교환하도록 허용한다. MPTCP 서브플로우는 IP 주소들의 쌍에 의해 정의되며, 하나는 제1 호스트(H1)(예컨대, 클라이언트)에 속하고, 다른 하나는 제2 호스트(H2)(예컨대, 서버)에 속한다.
MPTCP 접속이 개시되면, 표준 TCP 쓰리-웨이 핸드쉐이크가 MultiPath Capable 옵션, 즉, 0과 동일한 서브타입 값에 의해 식별되는 MP_CAPABLE을 운반하는 SYN, SYN/ACK 및 ACK 패킷들을 갖고서 수행된다. 이 옵션은 그것의 송신기가 다중 경로 TCP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선언한다.
다음으로, 부가적인 경로를 설정하기 위하여, 개시된 MPTCP 접속에 서브플로우가 연관지어진다. 그 후 새로운 TCP 쓰리-웨이 핸드쉐이크는 MultiPath Join 옵션, 즉, 1과 동일한 서브타입 값에 의해 식별되는 MP_JOIN을 운반하는 SYN, SYN/ACK 및 ACK 패킷들을 가지고서 수행된다.
도 1 및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호스트들(H1 및 H2) 간의 TCP 트래픽을 관리하기 위하여, 릴레이 모듈(R)은 예컨대 릴레이 모듈(R)의 메모리(MY)(미들-박스(MB)의 메모리에 상응할 수 있음)에 저장된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의 도움으로, 이하의 메커니즘(RM)을 구현한다. 단계(S1)에서, 릴레이 모듈(R)은 트래픽 우회 유닛(traffic diverting unit)(1)의 도움으로, 수신된 식별된 트래픽을 청취 인터페이스(2)로 우회시킨다(또는 캡처한다). 우회된 트래픽은 교환된 모든 SYN 및 SYN/ACK 패킷들 및 릴레이 모드에 있다고 식별된 모든 TCP 패킷들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트래픽 우회 유닛(1)은 패킷 타입에 따라 및/또는 트래픽이 교환되는 접속 모드(릴레이 모드 또는 포워드 모드)에 따라 트래픽을 우회시킨다.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트래픽 우회 유닛(1) 및 청취 인터페이스(2)는 캡처링 모듈(CM)을 정의할 수 있다.
단계(S2)에서, 릴레이 모듈(R)의 청취 인터페이스(2)는 호스트들(H1 및 H2) 중 하나로부터 오는 제1 접속 확립 요청(표준 SYN 패킷 또는 MP_CAPABLE 옵션을 가진 MPTCP SYN 패킷(서브타입=0×0))을 식별하기 위하여 우회된 트래픽을 분석한다. 예를 들면, 호스트(H1)는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호스트(H2)에 전송한다. 제1 호스트(H1)로부터의 그러한 제1 접속 확립 요청이 식별되면, 청취 인터페이스(2)는 그것을 릴레이 모듈(R)의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3)에 포워딩한다.
단계(S3)에서, 제1 호스트(H1)로부터 그러한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수신하면, 릴레이 모듈(R)의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3)은:
- 제2 호스트(H2) IP 주소, 제1 호스트(H1)에 의해 원래 요청된 포트 및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의 다중 경로 특성("SP" 단일 경로 또는 "MP" 다중경로)을 저장하고(단계(S3a));
-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보유하고(단계(S3b));
- 초기 보조 접속을 통하여 제2 호스트(H2)에 접속하기 위하여 제1 인터페이스(I1)(예를 들어, MPTCP 소켓, 또는 통신 모듈이라고도 지칭됨)를 생성한다(단계(S3c)).
단계(S4)에서, 제1 인터페이스(I1)는 릴레이 모듈(R)과 제2 호스트(H2) 간의 초기 다중 경로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2 접속 확립 요청(MP_CAPABLE 옵션을 운반하는 SYN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제2 호스트(H2)로의 새로운 MPTCP 접속을 생성하려고 시도한다.
단계(S5)에서, 제1 확인 응답(SYN/ACK 패킷)이 릴레이 모듈(R)에 의해 수신되고 트래픽 우회 유닛(1) 및 청취 인터페이스(2) 둘 모두에 의해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3)에 포워딩될 때, 상기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3)은 호스트들(H1 및 H2) 둘 모두가 동일한 다중 경로 능력들을 나타내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응답의 다중 경로 특성(SP 또는 MP)을 점검한다.
단계(S6)에서, 릴레이 모듈(R)은, 호스트들(H1 및 H2) 모두가 동일한 다중 경로 능력들을 나타내는 경우(즉, 둘 다 MPTCP 가능하거나 둘 다 TCP 전용인 경우) 포워드 모드를 활성화시키거나, 호스트들(H1 및 H2)이 상이한 다중 경로 능력들을 가진 경우(즉, 하나의 호스트(H1, H2)는 다중 경로 가능하고 다른 호스트(H2, H1)는 표준 TCP 전용인 경우) 릴레이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릴레이 모듈(R)은 접속 확립 단계 동안 구축된 식별 테이블(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됨)에 기초하여 포워드 모드 및 릴레이 모드에서 프로세싱되는 트래픽을 구분할 수 있는 트래픽 식별 유닛(4)을 더 포함한다.
포워드 모드가 활성화되면, 단계(S7)에서, 릴레이 모듈(R)은(예컨대, 캡처링 모듈(CM)의 도움으로):
- 제2 호스트(H2)에 접속된 제1 인터페이스(I1)를 종료하고(이제는 쓸모없는 릴레이 모듈과 제2 호스트(H2) 간의 접속을 재설정하고)(단계(S7a));
- 초기 보조 접속 확립을 중단하기 위하여 제2 호스트(H2)로부터 수신한 제1 확인 응답을 드랍하고(단계(S7b));
- 임의의 마킹 없이, 미들-박스(MB) 패킷 프로세싱의 경로에서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제2 호스트(H2)를 향해 릴리즈하고(단계(S7c));
- 직접적인 주요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2 호스트(H2)로부터 전송된 제2 확인 응답(SYN/ACK 패킷)을 제1 호스트(H1)에 포워딩하고, 제1 호스트(H1)에 의해 전송된 대응하는 확립 확인 응답(ACK 패킷)을 제2 호스트(H2)에 포워딩한다(단계(S7d)).
그 결과, 상기 포워드 모드에서,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상응하는 접속에서 교환된 트래픽은 (예컨대, 라우팅 모듈(5A) 및 마스커레이딩 모듈(masquerading module)(5B)을 통하여) 도 1에서 부호 5로 식별된 미들-박스(MB)의 표준 포워딩 경로를 따른다.
MP_JOIN 옵션을 운반하는 부가적인 접속 확립 요청(서브타입 = 0×1을 가진 SYN 패킷)이 미들-박스(MB)에서 수신되고 서브플로우가 현재 포워드 모드에 있는 MPTCP 세션에 속해있다고 (식별 테이블에 의해) 식별되면, 릴레이 모듈(R)에 배열된 트래픽 식별 유닛(4)은 그 후 (SYN MP_JOIN 패킷에 의해 개시된) 상기 서브플로우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예컨대, 이하 기술될 식별 테이블의 도움으로) 포워드 모드에 있는 것으로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상기 부가적인 접속 확립 요청은 미들-박스 패킷 프로세싱을 따르도록 청취 인터페이스(2)에 의해 릴리즈된다. 그 경우,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릴레이 모듈(R)이 포워드 모드에 있기 때문에, 그것은 우회되지 않고 오직 표준 미들-박스 패킷 프로세싱 경로를 따른다.
단계(S8)에서, 릴레이 모드가 활성화되면, 릴레이 모듈(R)은:
- 제1 인터페이스(I1)에 의해 프로세싱되도록 제1 확인 응답(SYN/ACK 패킷)을 릴리즈하고(단계(S8a));
-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릴레이 모듈(R)에 의해 요청된 초기 보조 접속을 받아들이고(단계(S8b));
- 제1 호스트(H1)와 릴레이 모듈(R) 간의 부가적인 보조 접속을 다루기 위하여 제2 인터페이스(I2)를 생성하고(단계(S8c));
- 상기 저장된 제1 접속 확립 요청(SYN 패킷)을 제2 인터페이스(I2)를 향해 릴리즈하고(단계(S8d));
- 상기 부가적인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1 호스트(H1)에 의해 초기에 요청된 주요 접속을 받아들이고(단계(S8e)) - 달리 말하면, 제2 호스트(H2)와의 교환을 위하여 제1 호스트(H1)에 의해 요청된 주요 접속은 제1 호스트(H1)와 릴레이 모듈(R) 간의 부가적인 보조 접속에 의해 대체됨 -;
- 예컨대, 대응관계 테이블을 사용하여, 제1 인터페이스(I1)와 제2 인터페이스(I2) 간의 링크를 생성한다(단계(S8f)).
릴레이 모듈(R)의 트래픽 식별 유닛(4)은 식별 테이블에 기초하여 초기 및 부가적인 보조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이 릴레이 모드에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는, 트래픽 식별 유닛(4)은 상기 식별 테이블에 기초하여, 포워드 모드에서 프로세싱되는 트래픽과 릴레이 모드에서 프로세싱되는 트래픽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릴레이 모드에서, 릴레이 모듈(R)의 트래픽 식별 유닛(4)에 의해서, 제1 인터페이스(I1)에 의해 관리되는 초기 보조 접속에서 교환되는 트래픽이 릴레이 모드에 있는 것으로 식별된다. 제1 접속 확립 요청은, 제1 호스트의 인터페이스(I1)를 다루기 위하여 상기 제1 접속 요청을 받아들이고 제2 인터페이스(I2)(예컨대, TCP 소켓)를 생성하는 청취 인터페이스(2)까지의 경로를 따르기 위하여 릴리즈된다. 확립된 부가적인 보조 접속에서 교환된 트래픽은 트래픽 식별 유닛(4)에 의해 식별되고, 그 후 트래픽 우회 유닛(1)에 의해, 제1 인터페이스(I1)와 제2 인터페이스(I2) 간의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릴레이 모듈(R)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을 향하여 라우팅된다.
MP_JOIN 옵션(서브타입 = 0×1을 가진 SYN 패킷)을 운반하는 부가적인 접속 확립 요청이 미들-박스(MB)에서 수신되고, (식별 테이블을 이용하여) 서브플로우가 현재 릴레이 모드에 있는 MPTCP 세션에 속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에서, 릴레이 모듈(R)의 트래픽 식별 유닛은 (SYN MP_JOIN 패킷에 의해 개시되는) 상기 서브플로우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릴레이 모드에 있는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가적인 접속 확립 요청이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을 향해 우회되고, TCP 핸드쉐이크가 상응하는 서브플로우를 오픈하기 위하여 완료될 수 있다.
특히, 미들-박스(MB)에 의해 제1 호스트(H1)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그것은 릴레이 모듈(R)의 생성된 제2 인터페이스(I2)를 향해 우회된다. 그 후, 상기 데이터 패킷은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대응관계 테이블의 도움으로, 제2 호스트(H2)에 도달하기 전에, 제2 인터페이스(I2)로부터 제1 인터페이스(I1)로 릴레이된다. 데이터 패킷이 미들-박스(MB)에 의해 제2 호스트(H2)로부터 수신되면, 그것은 릴레이 모듈(R)의 제1 생성된 인터페이스(I1)를 향해 우회된다. 그 후, 상기 데이터 패킷은 제2 호스트(H2)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인터페이스(I1)로부터 제2 인터페이스(I2)로 릴레이된다.
"클로즈 접속(close connection)" 패킷(TCP에 대해서는 FIN 패킷, MPTCP에 대해서는 DATA_FIN 패킷)이 미들-박스(MB)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I1 및 I2)는 릴레이 모듈(R)에 의해 클로즈되고, 대응관계 테이블은 리셋된다.
게다가, 어떤 접속들이 포워딩되어야 하는지 또는 릴레이되어야 하는지를 추적하기 위하여, 릴레이 모듈(R)은 접속이 확립되면 룩업 테이블을 구축한다. 이 식별 테이블(도면들에 나타내지 않음)은 초기에 비어있고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3)에 의해 채워진다. 그 후 데이터 패킷들의 수신 시에, 트래픽 식별 유닛(4)에 의해 참고된다. 그러한 식별 테이블의 예는 아래와 같다.
식별 테이블
소스 주소: 포트 소스 토큰 수신지 주소: 포트 수신지 토큰 동작 모드
(포워드/릴레이)
192.168.1.100:5002 74.125.26.94:80 릴레이
192.168.1.100:6234
192.168.1.100:6434
S_ tok1 130.104.230.45:80
130.104.230.46:80
D_ tok1 포워드
소스 및 수신지 주소 및 포트 열들은 확립된 접속의 신속한 룩업 및 각각의 수신된 패킷에 대한 적절한 프로세싱의 선택을 허용한다. 보통의 TCP 접속들에 대해서는, 소스 및 수신지 토큰들은 존재하지 않고 빈 칸으로 남겨진다. MPTCP 접속들에 대해서는, 소스 토큰은 (SYN/ACK 패킷에서 수신지 호스트에 의해 전송된) 수신지의 키의 해시이고, 수신지 토큰은 (SYN 패킷에서 소스 호스트에 의해 전송된) 소스의 키의 해시이다. 이러한 토큰들의 쌍은 양단에서 MPTCP 접속을 고유하게 식별한다. 이러한 토큰들은 차후의 서브플로우들의 확립을 위해 MPTCP 프로토콜에 의해 재사용되고, 상응하는 MPTCP 마스터 플로우의 룩업을 허용한다. 릴레이의 관점에서, 각각의 서브플로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어떤 서브플로우들이 어떤 마스터 플로우에 속하는지 추적하는 것이 필요하다.
릴레이가 새로운 서브플로우들의 추가를 추적하기 위하여, 두 가지 구분되는 상황이 우선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 새로운 소스 주소의 추가: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소스(예컨대, 제1 호스트(H1))가 기존 MPTCP 세션에 인터페이스를 추가하기로 결정하면, 그것은 수신지에서 MPTCP 세션을 식별하는 토큰(예를 들면, "S_tok1")과 함께 MP_JOIN 옵션을 운반하는 MPTCP SYN 패킷을, 그것의 IP 주소에 의해 식별된 수신지 호스트(예컨대, 제2 호스트(H2))를 향해 발행한다. 그 패킷을 보면, 릴레이 모듈(R)은 그 MPTCP 세션에 대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검색하기 위하여 S_tok1과 수신지 주소의 쌍을 룩 업하고, 최종적으로 식별 테이블에 행을 추가하여 상응하는 토큰들 및 동작 모드(릴레이 모드, 포워드 모드)와 함께 추가적인 소스 주소를 기록한다;
- 새로운 수신지 주소의 추가: 릴레이 모듈(R)은 두 단계 프로세스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첫째로, 릴레이 모듈(R)은 데이터 패킷에 옵션들로서 첨부된 ADD_ADDR 메시지들을 추적하고, 수신지 호스트가 추가적인 IP 주소의 가용성을 나타내도록 허용한다. 그러한 메시지들을 수신하면, 그것은 연관된 MPTCP 세션과 함께 주소를 식별 테이블에 기록한다. 둘째로, MP_JOIN 옵션과 함께 MPTCP SYN 패킷의 수신 시에, 만약 수신지 주소가 이전에 기록된(추가된) 주소와 일치하고 소스 토큰이 알려진 토큰(예컨대, S_tok1)과 일치하면, 릴레이 모듈(R)은 서브플로우를 MPTCP 세션에 속한 것으로서 식별하고, 연관된 소스 및 수신지 포트들을 기록한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서, 본 발명은 MPTCP 스택을 통합하는 리눅스 개인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라우터인 미들-박스(MB)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제1 호스트(예컨대, 클라이언트) 및 제2 호스트(예컨대, 서버)는 MPTCP 또는 표준 TCP 스택을 통합하는 리눅스 개인용 컴퓨터들에서 실행된다. 라우터는, 한편으로는 라우터가 최대 두 개의 100M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PC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최대 두 개의 100M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서버 PC에 접속된다.
부가적으로, 위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릴레이 모듈(R)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미들-박스(MB)에 통합된다. 명백히, 대안에서는, 릴레이 모듈이 직접적으로 또는 미들-박스를 통하여 제1 및 제2 호스트에 접속된 독립적인 하드웨어 모듈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원리들의 측면들은 본 명세서에서 단일 호스트 또는 임의의 종류의 수단에 의해 함께 접속된 여러 호스트들에 구현된, 모두 일반적으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으로서 지칭될 수 있는, 완전한 하드웨어 구현, 완전한 소프트웨어 구현(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함),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측면들을 조합한 구현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원리들의 측면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설명, 청구항들 및 도면들에 개시된 참조 부호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특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청구항들에 나타나는 참조 부호들은 오직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항들의 범위에 제한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되었고, 수많은 변경들 및 실시예들이 통상의 기술자의 능력 내에서, 독창적인 재능의 발현없이도 가능하다는 점이 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임의의 요소(예컨대, 트래픽 우회 유닛(1), 청취 인터페이스(2),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3),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I1, I2), 트래픽 식별 유닛(4),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등)는, 예컨대, a) 회로 요소들(예컨대, 그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b)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그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방식을 망라하도록 의도된다. 그러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원리들은, 다양한 인용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성들이 청구항들이 필요로 하는 방식으로 함께 조합되고 합쳐졌다는 사실에 있다. 따라서 그러한 기능성들을 제공하는 임의의 수단들은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는 수단들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15)

  1. 릴레이 모듈(R)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N1, N2) 내에서 제1 호스트(H1)와 제2 호스트(H2)를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릴레이 모듈(R)에서:
    - 상기 제2 호스트(H2)와의 주요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호스트(H1)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캡처하는 단계(S1, S2);
    - 상기 릴레이 모듈(R)과 상기 제2 호스트(H2) 간의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2 접속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호스트(H2)에 전송하는 단계(S4);
    - 상기 제2 호스트(H2)로부터 제1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S5);
    -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상기 제1 확인 응답이 동일한 다중 경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확립된 직접적인 주요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포워드 모드를 활성화시키고(S6),
    Figure pat00006
    상기 초기 보조 접속 확립을 중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호스트(H2)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확인 응답을 드랍하고(S7b);
    Figure pat00007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호스트(H2)에 릴리즈하고(S7c);
    Figure pat00008
    상기 직접적인 주요 접속의 상기 확립을 위하여, 앞서 전송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2 호스트(H2)에 의해 전송된 제2 확인 응답을 상기 제1 호스트(H1)에 포워딩하는 단계(S7d);
    -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상기 제1 확인 응답이 상이한 다중 경로 특성들을 나타내는 경우,
    Figure pat00009
    상기 제1 호스트(H1)와 상기 릴레이 모듈(R) 간에 확립된 부가적인 보조 접속; 및
    Figure pat00010
    상기 릴레이 모듈(R)과 상기 제2 호스트(H2) 간에 확립된 초기 보조 접속
    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릴레이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의 수신 시, 상기 초기 보조 접속 확립을 다루기 위하여 상기 릴레이 모듈(R) 내에 제1 인터페이스(I1)를 생성하는 단계를 예비적으로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확립은 초기 보조 다중경로 접속의 확립을 요청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상기 제1 확인 응답은 상기 릴레이 모듈(R)의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context discovery unit)에 저장되는(S5),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모드가 활성화될 때, 상기 릴레이 모듈(R)에서:
    - 상기 제1 호스트(H1)와 상기 릴레이 모듈(R) 간의 상기 부가적인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프로세싱하는 단계;
    - 상기 릴레이 모듈(R)과 상기 제2 호스트(H2) 간의 상기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확인 응답을 프로세싱하는 단계;
    - 상기 초기 보조 접속 및 상기 부가적인 보조 접속 간의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S8f)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보조 접속 및 상기 부가적인 보조 접속들 간의 상기 링크는 대응관계 테이블을 사용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의 프로세싱은:
    - 상기 제1 호스트(H1)와의 상기 부가적인 보조 접속을 다루기 위하여 상기 릴레이 모듈(R) 내에 제2 인터페이스(I2)를 생성하는 단계(S8c);
    - 저장된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인터페이스(I2)를 향해 릴리즈하는 단계(S8d);
    - 상기 부가적인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호스트(H1)에 의해 초기에 요청된 상기 주요 접속을 받아들이는 단계(S8e)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인 응답의 프로세싱은:
    - 저장된 상기 제1 확인 응답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I1)를 향해 릴리즈하는 단계(S8a);
    - 상기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기 릴레이 모듈(R)에 의해 요청된 상기 초기 보조 접속을 받아들이는 단계(S8b)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N1, N2) 내에 배치된, 제1 호스트(H1)와 제2 호스트(H2)를 접속시키기 위한 릴레이 모듈로서,
    - 상기 제2 호스트(H2)와의 주요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호스트(H1)에 의해 전송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가로채도록 구성된 캡처링 모듈(CM);
    - 상기 릴레이 모듈(R)과 상기 제2 호스트(H2) 간의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2 접속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호스트(H2)에 전송하고, 상기 제2 호스트(H2)로부터 제1 확인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I1);
    -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상기 제1 확인 응답이 동일한 다중 경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확립된 주요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포워드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상기 제1 확인 응답이 상이한 다중 경로 특성들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호스트(H1)와 상기 릴레이 모듈(R) 간에 확립된 부가적인 보조 접속 및 상기 릴레이 모듈(R)과 상기 제2 호스트(H2) 간에 확립된 상기 초기 보조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릴레이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3)
    을 포함하고, 상기 캡처링 모듈(CM)은:
    - 상기 초기 보조 접속 확립을 중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호스트(H2)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확인 응답을 드랍하고;
    -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호스트(H2)에 릴리즈하고;
    - 상기 직접적인 주요 접속의 확립을 위하여, 앞서 전송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2 호스트(H2)에 의해 전송된 제2 확인 응답을 상기 제1 호스트(H1)에 포워딩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디스커버리 유닛(3)은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상기 제1 확인 응답을 저장하고, 그것들의 다중경로 특성들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릴레이 모듈.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드 모드에서 프로세싱되는 트래픽과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프로세싱되는 트래픽을 구별하도록 되어있는 트래픽 식별 유닛(4)을 더 포함하는, 릴레이 모듈.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호스트(H1, H2) 간의 상기 초기 보조 접속 및 상기 부가적인 보조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릴레이하기 위한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는 릴레이 모듈.
  13.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N1, N2) 내에 배치된, 제1 호스트(H1)와 제2 호스트(H2)를 접속시키기 위한 릴레이 모듈로서,
    - 상기 제2 호스트(H2)와의 주요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호스트(H1)에 의해 전송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가로채고;
    - 상기 릴레이 모듈(R)과 상기 제2 호스트(H2) 간의 초기 보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호스트(H2)에 제2 접속 확립 요청을 전송하고;
    - 상기 제2 호스트(H2)로부터 제1 확인 응답을 수신하고;
    -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상기 제1 확인 응답이 동일한 다중 경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확립된 직접적인 주요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포워드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 및 상기 제1 확인 응답이 상이한 다중 경로 특성들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호스트(H1)와 상기 릴레이 모듈(R) 간에 확립된 부가적인 보조 접속, 및 상기 릴레이 모듈(R)과 상기 제2 호스트(H2) 간에 확립된 상기 초기 보조 접속에 의해 운반되는 트래픽을 다루기 위하여 릴레이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 상기 초기 보조 접속 확립을 중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호스트(H2)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확인 응답을 드랍하고;
    - 상기 제1 접속 확립 요청을 상기 제2 호스트(H2)에 릴리즈하고;
    - 상기 직접적인 주요 접속의 확립을 위하여, 앞서 전송된 제1 접속 확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2 호스트(H2)에 의해 전송된 제2 확인 응답을 상기 제1 호스트(H1)에 포워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모듈.
  14.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가능하고 및/또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매체에 기록되고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5.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기록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40128343A 2013-09-30 2014-09-25 릴레이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1 호스트와 제2 호스트를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릴레이 모듈 KR201500375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306349.5 2013-09-30
EP20130306349 EP2854357A1 (en) 2013-09-30 2013-09-30 Method for connecting a first host and a second host within at least on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relay module, corresponding relay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573A true KR20150037573A (ko) 2015-04-08

Family

ID=4947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8343A KR20150037573A (ko) 2013-09-30 2014-09-25 릴레이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1 호스트와 제2 호스트를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릴레이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95502A1 (ko)
EP (2) EP2854357A1 (ko)
JP (1) JP2015070616A (ko)
KR (1) KR20150037573A (ko)
CN (1) CN104518939A (ko)
BR (1) BR10201402399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1269B1 (en) 2009-11-06 2020-07-21 F5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 for returning requests with javascript for clients before passing a request to a server
WO2015136582A1 (ja) * 2014-03-13 2015-09-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機器特定システム、情報機器特定方法、情報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281367A1 (en) * 2014-03-26 2015-10-01 Akamai Technologies, Inc. Multipath tcp techniques for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WO2016066210A1 (en) * 2014-10-30 2016-05-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ling of backup pa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69109B1 (en) * 2015-03-12 2019-0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multipath traffic aggregation
US10602560B2 (en) 2015-06-26 2020-03-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rs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multi 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onnection is to be initiated
WO2017007705A1 (en) 2015-07-06 2017-01-12 Shape Security, Inc. Asymmetrical challenges for web security
US10476992B1 (en) * 2015-07-06 2019-11-12 F5 Networks, Inc. Methods for providing MPTCP proxy options and devices thereof
CN105656875A (zh) * 2015-10-21 2016-06-08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mptcp的主流连接建立方法及装置
WO2017101043A1 (zh) * 2015-12-16 2017-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EP3379864B1 (en) * 2015-12-30 2020-11-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link and terminal device
EP3276891B1 (en) * 2016-07-29 2019-02-27 Deutsche Telekom AG Technique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wo network entities via different network flows
JP6724641B2 (ja) 2016-08-03 2020-07-15 富士通株式会社 管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割当方法
JP6908914B2 (ja) * 2017-02-24 2021-07-28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165190A1 (en) 2017-03-07 2018-09-13 Akamai Technologies, Inc. Cooperative multipath
EP3729785B8 (en) * 2017-12-22 2022-08-10 Nokia Technologies OY Designs of an mptcp-aware load balancer and load balancer using the designs
WO2019166697A1 (en) * 2018-03-01 2019-09-06 Nokia Technologies Oy Conversion between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s
CN111064704B (zh) * 2019-11-19 2021-02-09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基于mptcp启动窗口自适应的数据传输方法、装置和介质
WO2022038771A1 (ja) * 2020-08-21 2022-02-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中継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2641B2 (en) * 2009-04-30 2011-10-04 Blue Coat Systems, Inc. Assymmetric traffic flow detection
US9723083B2 (en) * 2009-12-14 2017-08-0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th communication
US9455897B2 (en) * 2010-04-06 2016-09-27 Qualcomm Incorporated Cooperative bandwidth aggregation using multipath transport
US20120144062A1 (en) * 2010-06-04 2012-06-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PTCP And Mobile IP Interworking
US8400923B2 (en) * 2010-10-15 2013-03-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proxy
US8547835B2 (en) * 2010-10-21 2013-10-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ling IP flows to bypass a packet data network gateway using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onnections
EP2495927B1 (en) * 2011-03-02 2014-10-08 Alcatel Lucent Concep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data packet association and for forwarding a data packet
US20120331160A1 (en) * 2011-06-22 2012-12-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proxy service
US8817797B2 (en) * 2012-01-31 2014-08-26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th protocol packet relay
US8824480B2 (en) * 2012-01-31 2014-09-02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nd-host based mobility, multi-homing and multipath protocols
JP6301358B2 (ja) * 2012-12-14 2018-03-2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マルチパス伝送制御プロトコル信号伝達の処理
US9888042B2 (en) * 2013-05-21 2018-02-06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onnection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95502A1 (en) 2015-04-02
EP2854360B1 (en) 2016-04-06
JP2015070616A (ja) 2015-04-13
EP2854360A1 (en) 2015-04-01
EP2854357A1 (en) 2015-04-01
BR102014023992A2 (pt) 2016-04-26
CN104518939A (zh)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7573A (ko) 릴레이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1 호스트와 제2 호스트를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릴레이 모듈
EP2763362A1 (en) A method for connecting a multi-homed and MPTCP capable client with a regular TCP server
US85092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st node awareness for multiple NAT64 environments
KR101842316B1 (ko) Nfc 피어 투 피어 통신 환경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60133343A1 (en) Multi homing transport protocol on a multi-processor arrangement
US20160182368A1 (en) Multi-nonce enabled interest packet design for named-data networking
KR20140070426A (ko) 다중 경로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및 멀티 홈 장비
CN102739569B (zh) 一种用于卫星通信中的网关及其tcp性能增强的方法
CN108390821B (zh) 一种openflow交换机实现双活的方法及系统
KR20140116900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 간의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tdls)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들 및 장치들
US10742768B2 (en) Relaying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IP address of client to server using encapsulation protocol
CN103731758B (zh) 一种视频流传输方法和装置
TW201729568A (zh) 網路系統及建立資料連線的方法
CN107147619B (zh) 基于多源、多径协同传输控制协议的数据传输方法
CN103379182A (zh) 数据传输方法和客户端
WO2016042764A1 (ja) 接続方法、接続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88408B1 (ko) 복수의 컴퓨팅 디바이스들로의 일대다 데이터 송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800632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Application Accessing NAS
US20130166761A1 (en) Dialog Establishment Over A Peer-To-Peer Architecture
AU20142313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liable messaging between application sessions across volatile networking conditions
TWI636701B (zh) 在傳輸控制協議下穩定建立兩裝置端間網路連線的方法與系統
US2023028369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7527730A (zh) 远程通信系统、远程通信方法及装置
CN117377129A (zh) 网络共享方法及装置、芯片、电子设备、存储介质
CN117061417A (zh) 网络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