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471A - Moisture supplying device for dry tissue paper - Google Patents

Moisture supplying device for dry tissue pa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471A
KR20150037471A KR20140028927A KR20140028927A KR20150037471A KR 20150037471 A KR20150037471 A KR 20150037471A KR 20140028927 A KR20140028927 A KR 20140028927A KR 20140028927 A KR20140028927 A KR 20140028927A KR 20150037471 A KR20150037471 A KR 20150037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osed
pump
open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8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4684B1 (en
Inventor
이지연
정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연
정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연, 정지영 filed Critical 이지연
Publication of KR2015003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6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for prehension of the next sheet to be dispensed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isture supply device for dry tissue comprise: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in front thereof; a roller which is placed inside the housing with roll tissue being wound thereon; a rotating roller unit which has roller brackets placed at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for opposite ends of the roller to be attached to the roller brackets to be rotatable; and a moisture supply unit which is placed at the inner upper portion in the housing to supply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isture supplying device for dry tissue is configured to provide wet tissue by manual operation so as to be used where external power is unavailable or unstable, and makes use of dry tissue to provide wet tissue, thereby eliminating contamination of wet tissue arising due to long-term storage. Furthermore, a structure to enable ease provision of normal or disinfectant water is employ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MOISTURE SUPPLYING DEVICE FOR DRY TISSUE PAPER}[0001] MOISTURE SUPPLYING DEVICE FOR DRY TISSUE PAPER [0002]

본 발명은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 타입의 건조 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isture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moisture to a rolled dry tissue.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충분한 수분이 티슈에 함유되어 세척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식당이나 공공장소에서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거나, 유아들의 배변 후 피부를 닦는데 사용되는 등 각종 위생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Generally, a wet tissue is used for various hygienic purposes, such as being used to keep the skin clean in a restaurant or a public place, or to wipe the skin after defecation of the infant, because sufficient water is contained in the tissue to improve the washing performance.

또한, 이와 같은 물티슈는 충분한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제조되어 각종 용기에 수용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으로, 용기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필요시마다 용기의 뚜껑을 열어 물티슈를 뽑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Such a wet tissue is manufactured in a state containing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and is accommodated in various containers and then supplied to a user. A li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open the lid of the container whenever necessary to remove the wet tissue. .

그러나, 이러한 물티슈는 용기의 뚜껑을 열어 물티슈를 하나씩 뽑아 쓰는 과정이 번거롭고, 손에 이물질이 묻어있는 상태에서는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용기에 옮겨 묻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물티슈를 용기에 수용 보관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조금씩 증발하여 물티슈가 건조해지는 문제 및 장기간 보관되는 경우 각종 세균이 용기 내의 물티슈에서 번식하여 위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물티슈가 오히려 세균 감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However, such a wet tissu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troublesome to open the lid of the container and extract the wet tissue one by one, and when the foreign body is in the han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eign body is moved to the container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lid of the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t tissue is evaporated due to evaporation of the water in the process of storing and storing the wet tissue, and when the wet tissue is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various bacteria propagate in the wet tissue and the wet tissue to be used for hygienic purposes may cause bacterial infec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물티슈는 메틸이소티아졸린(methyl-isothiazolin)등과 같은 화학적 방부재를 사용하여 세균 감염을 방지하고 있으나, 화학적 방부재의 경우 알레르기, 세포상해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상 다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ventional wet tissue uses a chemical preservative such as methyl-isothiazolin to prevent bacterial infection, but in the case of a chemical preservative, it may cause allergy and cytotoxicity, Other problems can aris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 10-2012-0078627호에는 낱장으로 구성된 건티슈를 컨베이어로 이송하고, 컨베이어 상에서 수분을 분사하여 공급하는 장치가 발명되었으나, 이러한 발명은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것으로 에너지의 추가적 소비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으며, 외부전원이 안정적이지 않은 차량 등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78627 discloses an apparatus for feeding a dry tissue of a single sheet to a conveyor and spraying water on a conveyor. There was a problem that additional consumption of energy was required,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in a vehicle in which the external power source was not stable.

한국 공개특허 10-2012-007862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8627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which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외부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First, we want to be able to provide wipes without external power supply.

둘째, 롤 타입의 건티슈를 이용하여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Second, we want to provide a wet tissue using roll-type dry tissue.

셋째, 롤 타입의 건티슈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ird,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roll-type dry tissue.

넷째, 롤 타입의 건티슈에 수분이 필요한 경우 보다 용이하게 물을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인 물티슈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Fourth,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ore hygienic wet tissue by allowing the roll type dry tissue to be filled with water more easily than when water is needed.

다섯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크기를 콤펙트하게 구성하여 설치 및 이동을 용아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Fifth, the size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is designed to be compact so that installation and movement can be made simple.

여섯째,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Sixth, we want to facilitate internal cleaning.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롤티슈가 권취되는 롤러와, 하우징 내면에 배치되어 롤러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브레킷으로 이루어진 회동롤러부와, 하우징의 내부 중 상부에 배치되어 롤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in its front surface, a roll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wound around the roll tissue, and a roller bracket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rotatably receiving both ends of the roller And a water supply unit disposed at an upper part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supply water to the roll tissue.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상하로 이동되며 회동롤러부에 권취된 롤티슈를 절개하는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ning of the housing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cut-out portion that is moved up and down and cuts the rolled tissue wound around the rotation roller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절개부는 개구부 양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딩레일과, 슬라이딩레일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절개도어와, 슬라이딩레일의 상부에 연접하여 형성된 브레킷과, 일측과 타측이 절개도어와 브레킷 사이에 결합되어 절개도어에 가해진 외력이 소멸되는 경우 절개도어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탄성체와, 절개도어 하면에 배치된 커팅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cision portion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liding rail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a cutting door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and moving up and down, a bracket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rail, A door elastic body coupled between the incision door and the bracket to move the incision door upward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incision door is lost, and a cutting blade disposed on the underside of the incision door.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공급부는 저면에 분사공이 형성된 공급부하우징과, 공급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분사공에 연통된 노즐이 형성된 분지관과, 분지관에 연통된 펌프와, 펌프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와, 하우징 상부에 관통배치되어 펌프에 외력을 전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housing having a spray hole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branch pipe disposed inside the supply unit housing and having a nozzle communicated with the spray hole, a pump communicating with the branch pipe, A water storage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pump, and a button portion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the pump.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펌프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된 제1펌프하우징과,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배치된 제1펌프탄성체와, 상기 펌프탄성체와 유출구 사이에 배치된 피스톤과, 일단에 피스톤이 삽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타단에 분지관과 연통되는 유출공이 형성되어, 제1펌프하우징의 유출구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펌프하우징을 포함하며, 피스톤에는 유입공에 삽입되는 피스톤삽입편이 형성되어 유입공의 내면과 피스톤삽입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mp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pump housing having an inlet formed on one side and an outlet formed on the other side, a first pump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a second pump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pump elastic body and the outlet And a second pump housing formed with an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piston is inserted at one end and an out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ranch pipe at the other end, the second pump housing being movably inserted into an outlet of the first pump housing,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inflow hole and the piston insertion piece.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제1펌프하우징의 유출구에는 제2펌프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실링부재가 배치되며, 제2펌프하우징의 일측 외면에는 제2실링부재가 배치되고, 세1실링부재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 또는 제2펌프하우징의 외면 일측과 맞닿는 제2펌프탄성체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first sealing member is disposed at an outlet of the first pump housing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second pump housing from being disengaged. A second sealing member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pump housing, The first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pump elastic member abutting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or the second pump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버튼부는 상하로 이동하는 제1링크와, 일측이 제1링크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링크와, 일측이 제2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3링크와, 일측에 제3링크의 타측에 배치된 제4링크와, 제4링크의 타측에 제2펌프하우징이 배치되어 제1링크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제2펌프하우징이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utton portion of the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nk moving up and down, a second link having one side rotatably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link, A fourth link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link and a second pump housing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link such that when the first link moves up and down, .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하우징 상면에는 버튼홀이 형성되고, 하우징 상면의 저면에는 버튼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링크가 삽입되는 링크삽입공이 형성된 버튼삽입관(130)이 형성되며, 버튼삽입관의 하부에는 제4링크이 삽입되는 링크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utton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utton insertion tube 130 having a link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 first link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link guide in which a fourth link is inserted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utton insertion tube.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제4링크는 중공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펌프하우징의 유출구와 분지관에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urth link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port of the second pump housing and the branch pipe.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저장탱크는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oisture storage tank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공급부는 회동롤러부 하부에 배치되고, 하우징 내면 중 후면에 이격형성되어,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와 상기 회동롤러부는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롤러에 권취된 롤티슈는 하우징의 후면과 수분공급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우징의 개구부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supply portion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low the rotating roller por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the front open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rotating roller portion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 roll tissue is preferably drawn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water supply portion 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공급부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하우징 내면에 결합된 수분공급부저면패널과, 분사공에 연통되는 분지관과, 분지관 상부에 배치되어 하우징 내면에 결합된 수분공급부상부패널을 포함하며, 분지관에는 펌프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dispenser of the dry tissue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part bottom panel formed with a spray hole and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branch pipe communicated with the spray hole, and a water supply part disposed above the branch pipe, It is preferable that the pump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하우징의 내면 중 양측면에는 한쌍의 측면패널이 형성되고, 수분공급부저면패널의 양측단은 측면패널에 결합되며, 측면패널 중 일 측면패널에는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통되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분지관과 일 측면패널의 타측면에 형성된 연결관 사이에는 제1수분공급관이 결합되며,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관과 펌프 사이에는 제2수분공급관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ide panel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both side ends of the water supply part bottom panel are coupled to the side panel, A first water supply pipe is coupled between the branch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ne side panel, and between the connection pipe formed on one side of the one side panel and the pump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moisture supply pipe is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펌프에는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가 결합되며,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에는 수분저장탱크가 수용되는 탱크수용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ump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water storage tank for supplying water, and a tank storage portion for storing a water storage tank is disposed on one side surface of one side panel.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일 측면패널과 타 측면패널에는 한쌍의 개폐커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한쌍의 개폐커버 중 일 개폐커버에는 제1수분공급관이 관통배치되는 장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air of opening / closing covers ar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panel and the other side panel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opening / closing cover of the pair of opening / closing covers is formed in an elongated hole .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한 쌍의 개폐커버는 일 측면패널과 타 측면패널과 축결합되며, 일 개폐커버와 타 개폐커버의 하부에는 상호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일 개폐커버를 회동시키는 경우, 타 개폐커버가 연동하여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ir of open / close covers of the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xially coupled to the one side panel and the other side panel, and gears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are formed under one opening / closing cover and the other opening / closing c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opening / closing cover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일 개폐커버의 상부에는 타 개폐커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되고, 타 개폐커버에는 돌출편이 안착되는 안착편이 형성되며, 일 캐폐커버에는 돌출편 하부로 이격 배치되는 걸림편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돌출편과, 안착편 및 걸림편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일 개폐커버와 타 개폐커버가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걸림편에는 걸림편을 회전시키는 잠금손잡이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n / close cover of the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iec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open / close cover, a cover piece in which the protruding piece is seated is formed, And the opening / closing cover and the other opening / closing cover are not rotated when the engaging piece to be arranged is rotatably arranged and the protruding piece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iece and the engaging piece, Preferably, the locking knob is engaged.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저장탱크에는 보충수공급관이 연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makeup water supply pip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torage tank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하여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외주전원이 안정적이지 않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건티슈를 이용하여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보관시 발생되는 물티슈의 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wet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wet tissue by a manual operation so that the wet tissue can be used in a space in which the external power is not supplied or the external power is not stabl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of the wet tissue caused by long-term storage.

아울러 건 티슈에 공급되는 물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여 화학적 방부재의 사용 없이 위생적인 물티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anitary wipes can be used without the use of a chemical preservative by employing a structure that can more easily supply the water supplied to the dry tissue.

또한, 롤티슈와 수분공급부를 같은 평면상에 배치하여 크기를 콤펙트하게 줄여 설치 및 이동을 용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부가 전후방으로 개폐되어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ll tissue and the water supply unit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the size can be compactly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and movement can be made easy. Also,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cl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facilitate internal clean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의 상부면이 개방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일부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의 버튼부의 사시도이며,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수분공급장치의 버튼부의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9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개폐커버의 작동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잡금손잡이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shown in Fig.
FIG.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open upper side of the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shown in FIG. 1;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shown 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portion of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b)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button por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shown i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shown in Fig.
Fig. 11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opening / closing cover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shown in Fig. 8. Fig.
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poon handle of the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shown in Fig. 8.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Hereinafter, a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의 상부면이 개방된 정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upply device open;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개구부(11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 내부에서 롤티슈(10)를 권취하여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경우 개구부(110)를 통해 인출시키는 회동롤러부(200)와, 건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300) 및 롤티슈(10)를 절단시키는 절개부(400)로 구성된다.
1, the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to a dry tissu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having an opening 110 formed in its front surface, a roll 100 for winding a roll tissue 10 inside the housing, A water supply unit 300 for supplying water to the dry tissue and an incision unit 400 for cutting the roll tissue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회동롤러부(200), 수분공급부(300)가 설치되는 케이싱으로, 전면에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도 3과 같이 롤티슈(1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면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나 반드시 상부면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ing in which the rotation roller unit 20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are installed and an opening 110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p surface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easy replacement of the roll tissue 10 as shown in FIG. 3, It does not have to be configured.

도 3을 참조하면, 회동롤러부(200)는 롤티슈(10)가 권취되는 롤러(210)와, 하우징(100) 내측면에 배치되어 롤러(21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브레킷(220)으로 구성되며, 롤러브래킷(220)은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롤러브래킷(220)으로 롤러(21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3, the rotation roller unit 200 includes a roller 210 on which the roll tissue 10 is wound, a roller bracket 210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100 and rotatably receiving both ends of the roller 210, And a roller 220. The roller bracket 220 is formed in a U shape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oller 210 can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opened roller bracket 2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브래킷(220)은 도 3과 형상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롤러(21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볼 스프링플런저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210)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roller bracket 2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FIG. 3,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oller bracket 220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in which the roller 210 is rotatably coupled. That is,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ll spring plunger so that the end of the roller 210 can be rotatably inserted.

수분공급부(300)는 롤티슈(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롤러(210)가 회전되어 권취된 롤티슈가 전개되면 전개된 롤티슈 전체에 고르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water supply unit 300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roll tissue 10 and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evenly to the entire developed rolled tissue when the roll tissue 210 is rotated and wound.

절개부(400)는 롤티슈(10)를 절개하는 것으로, 도 4와 같이 개구부(110)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롤티슈(10)를 절개하는 것으로, 개구부(110) 양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딩레일(410), 슬라이딩레일(41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절개도어(420), 슬라이딩레일(410)의 상부에 연접하여 형성된 브레킷(430), 일측과 타측이 절개도어(420)와 브레킷(430) 사이에 결합되어 절개도어(420)에 가해진 외력이 소멸되는 경우 절개도어(42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탄성체(440) 및 절개도어(420) 하면에 배치된 커팅날(421)로 구성된다. The slit 400 cuts the roll tissue 10 and moves up and down in the opening 110 as shown in FIG. 4 to cut the roll tissue 10. The slit 400 slides on the sliding rails 10 A cutting door 420 which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410 and moves up and down, a bracket 430 which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liding rail 410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are provided with a cutting door 420, A door elastic body 440 for moving the cutting door 420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utting door 420 disappears and a cutting blade 421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tting door 420, .

개구부(110) 양측면에는 도 4와 같이 상하로 형성된 슬라이딩레일(410)이 형성되며, 슬라이딩레일(410)에는 하면에 커팅날(421)이 배치된 절개도어(420)가 삽입된다. 따라서 절개도어(420)를 상하로 이동시켜 커팅날(421)이 롤티슈(10)에 맞닿으며, 롤티슈(10)가 절개된다. As shown in FIG. 4, upper and lower sliding rails 4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0 and a cutting door 420 having a cutting blade 421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iding rail 410 is inserted. Therefore, the cutting door 420 is moved up and down so that the cutting edge 421 abuts against the roll tissue 10, and the roll tissue 10 is cut.

이때, 개구부(110)가 형성된 하우징(100) 중 커팅날(42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커팅날(421)이 반복해서 승하강 하는 경우 커팅날(42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상방지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cutting blade 421 from being damaged when the cutting blade 421 is raised and lowered repeated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blade 421 of the housing 100 having the opening 110 formed therein, (422) may be formed.

슬라이딩레일(410)에 절개도어(420)가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절개도어(42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나, 롤티슈(10)를 절단하기 위하여 절개도어(420)를 승하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절개도어(420)에 탄성체를 설치하여 상부방향으로의 절개도어(420)의 이동을 탄성체의 복원력에 이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incision door 42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410, the incision door 420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user's operation. However, when the incision door 420 is moved up and down to cut the roll tissue 10,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a user installs an elastic body on the incision door 42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incision door 420 in the upward direction can be made to be less than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즉, 도 4와 같이 슬라이딩레일(410)의 상부와 연접하여 브래킷(430)을 형성하고, 브래킷(430)과 절개도어(420)의 하부 사이에 도어탄성체(430)를 배치할 수도 있다.
4, the bracket 430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rail 410, and the door elastic body 4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racket 43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cision door 420.

앞에서 살펴본 도 3 및 수분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부(300)는 저면에 분사공(311)이 형성된 공급부하우징(310)과, 공급부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분사공(311)에 연통된 노즐이 형성된 분지관(320)과, 분지관(320)에 연통된 펌프(330)와, 펌프(330)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340) 및 펌프(330)에 외력을 전달하여 구동시키는 버튼부(350)로 구성된다. 5,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water supply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housing 310 having a spray hole 311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branch pipe 320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branch pipe 310 and having a nozzle communicated with the injection hole 311, a pump 330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320, And a button unit 350 for transmitting and driving an external force to the tank 340 and the pump 330.

공급부하우징(310)은 분지관(320), 펌프(330) 및 버튼부(350)이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00)에 배치된다. 이러한 공급부하우징(310)은 하우징(100)의 상면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펌프(330) 및 분지관(320)의 점검이 용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ly unit housing 310 is disposed in the housing 100 with a branch pipe 320, a pump 330, and a button unit 350 installed. The supply unit housing 3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facilitate the inspection of the pump 330 and the branch pipe 320.

공급부하우징(3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된 트레이 형태로 형성된다. The feeder housing 3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s an opened tray as shown in FIGS. 3 and 5.

이러한 공급부하우징(310)의 저면에는 수분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공(311)이 형성되며, 분사공(311)에는 분지관(320)의 노즐(도면 미도시)이 배치된다. A spray hole 311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upply housing 310 so as to spray water and a nozzle (not shown) of the branch tube 320 is disposed in the spray hole 311.

분지관(320)은 펌프(330)로부터 공급된 수분을 하우징(100)의 내면에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이 일단에 형성된 다기관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지관(320)에는 수분저장탱크(340)에 수용된 물을 이송시키는 펌프(330)가 연통된다. The branch tube 320 is formed as a manifold having nozzles at one end thereof to uniformly spray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33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e branch pipe 320 is connected to a pump 330 for transferr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tank 340.

이때, 수분저장탱크(34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저장된 물의 상태 및 저장 수위를 확인하고, 보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량의 물(예를 들어 300ml 정도의 물을 수분저장탱크(340)에 보충하여 매일 교환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storage tank 3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but it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2 so as to check the state of the stored water and the storage water level, It is possibl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for example, about 300 ml of water can be replenish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40 and exchanged daily for more hygienic use).

버튼부(350)는 펌프(33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버튼부(350)에 힘을 가하는 경우 버튼부(350)는 가해진 힘을 펌프(330)로 전달하여 수분저장탱크(340)에 저장된 물 또는 세정수를 분지관(320)으로 이동시킨다.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button portion 350, the button portion 350 operates the pump 330. The button portion 350 transmits the applied force to the pump 330 to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40 The stored water or washing water is transferred to the branch pipe 3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단면도인 도 6을 참조하여 펌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6, which is a sectional view of a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펌프(33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330)는 제1펌프하우징(331)과, 제2펌프하우징(337)으로 구성되며, 제1펌프하우징(331)에는 수분저장탱크(340)와 연통된 유입구(331)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331b)가 형성되며, 제1펌프하우징(331)에는 제1펌프탄성체(333)가 배치되며, 펌프탄성체(333)와 유출구(331b) 사이에는 제2펌프하우징(337)에 삽입되는 피스톤(335)이 배치된다. The pump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ump housing 331 and a second pump housing 337. The first pump housing 331 and the second pump housing 337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 inlet port 331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torage tank 340 is formed at one side and an outlet port 331b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pump housing 331. A first pump elastic body 333 is disposed in the first pump housing 331, A piston 335 inserted into the second pump housing 337 is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body 333 and the outlet 331b.

이 상태에서 제1펌프하우징(331)의 유출구(331b)에는 일단에 피스톤(335)이 삽입되는 유입공(337a)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분지관(320)과 연통되는 유출공(337b)이 형성된 제2펌프하우징(337)이 삽입된다. The outlet 331b of the first pump housing 331 is provided with an inlet hole 337a through which the piston 335 is inserted at one end and an outlet hole 337b communicated with the branch pipe 320 at the other end The formed second pump housing 337 is inserted.

이때, 피스톤(335)에는 제2펌프하우징(337)의 유입공(337a)에 삽입되는 피스톤삽입편(335a)이 형성되어 피스톤삽입편(335a)이 유입공(337a)에 삽입된 경우, 물이 유입공(337a)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유입공(337a)의 내면과 상기 피스톤삽입편(335a)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When the piston 335a is inserted into the inflow hole 337a of the second pump housing 337 and the piston 335a is inserted into the inflow hole 337a,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inflow hole 337a and the piston insertion piece 335a so as to be able to move through the inflow hole 337a.

또한, 제1펌프하우징(331)의 유출구(331b)에는 제2펌프하우징(337)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실링부재(339a)가 배치되고, 제2펌프하우징(337)의 일측 외면에는 제2실링부재(339b)가 배치되며, 세1실링부재(339b)에는 일단이 제2실링부재(339b) 또는 제2펌프하우징(337)의 외면 일측과 맞닿는 제2펌프탄성체(339c)가 배치된다. A first sealing member 339a is disposed on the outlet 331b of the first pump housing 331 to prevent the second pump housing 337 from separating from the first pump housing 331. A first seal member 339a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ump housing 337, And a second pump elastic body 339c having one end abutting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339b or the second pump housing 337 is disposed in the three first sealing members 339b .

또한, 도 6과 같이 제1펌프하우징(331)의 내면 일측에는 유입구(331c)를 개폐시키는 볼(331a)가 배치되어 제1펌프하우징(331) 내에서 물이 유입구(331a)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6, a ball 331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331c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ump housing 331 so that water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331a in the first pump housing 331 .

이러한 펌프(330)는 제2펌프하우징(337)이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피스톤(335)은 제1펌프하우징(331) 내의 물을 제2펌프하우징(337)의 유입공(337a)을 통하여 유출공(337b)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When the second pump housing 337 moves in one direction, the pump 335 discharges the water in the first pump housing 331 through the inlet hole 337a of the second pump housing 337 Hole 337b.

제2펌프하우징(337)을 이송시키는 버튼부(3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의 버튼부의 사시도 도 7(a)와 도 7(a)에 도시된 수분공급장치의 버튼부의 작동도인 도 7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하로 이동하는 제1링크(351), 일측이 제1링크(351)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링크(353), 일측이 제2링크(353)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3링크(355), 일측이 제3링크(355)의 타측에 배치된 제4링크(357)로 구성된다. The button portion 350 for transferring the second pump housing 33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por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the first link 351 moves up and down, the second link 353 rotatably dispos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link 351, A third link 355 rotatab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353 and a fourth link 357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link 355.

즉,버튼부(350)는 7과 같이 4개의 링크가 서로 연결된 링크 형태로 구성되어 제1링크(351)의 이동시 각각의 링크(353, 355, 357)가 연결된 링크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button unit 35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four lin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7, so that when the first link 351 is moved, the links 353, 355, do.

이때, 제4링크(357)는 도 5와 같이 링크가이드(133)에 삽입되어 제1링크(351)의 이동시 제4링크(357)가 링크가이드(133)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링크(351)에는 제1링크(351)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버튼(351a)이 결합된다. 5, the fourth link 357 is inserted into the link guide 133 so that the fourth link 357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link guide 133 when the first link 351 is moved, A button 351a is coupled to the first link 351 so as to facilitate manipulation of the first link 351.

이러한 링크가이드(133)는 도 5와 같이 하우징(100) 상면의 저면에 형성된 버튼삽입관(130)에 형성된 것으로, 링크가이드(133)의 방향은 제2펌프하우징(337) 방향으로 형성된다.
5, the link guide 133 is formed in the button insertion tube 13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direction of the link guide 133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ump housing 337.

링크가이드(133)가 형성된 버튼삽입관(130)은 하우징(100) 상면에 형성된 버튼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버튼삽입관(130)은 상하가 연통된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제1링크(351)이 관통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삽입공(131)이 형성되고, 버튼삽입관(130)의 하부에는 앞에서 설명한 링크가이드(133)가 형성된다. The button insertion tube 130 formed with the link guide 13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e 1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e button insertion tube 130 is formed in a vertically communicated manner and has a link insertion hole 131 formed therein for allowing the first link 351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button insertion tube 130 The link guide 133 described above is formed.

본 실시예의 경우, 제4링크(357)의 측면에 판형 돌기가 형성되고, 링크가이드(133)가 이러한 판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실시예에 따라 링크가이드(133)에 제4링크(1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late-shape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ourth link 357, and the plate-like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the link guide 133.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33) can be inserted.

아울러 본 실시예의 제4링크(457)는 중공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펌프하우징(337)의 유출구(331b)와 분지관(320)에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실시예에 따라 제2펌프하우징(337)의 유출구(331b)와 분지관(320)에 별도의 관을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4링크(457)를 중공형 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조립이 간단하며, 전체적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ourth link 457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hollow pipe sha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port 331b of the second pump housing 337 and the branch pipe 320. However, A separate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331b of the pump housing 337 and the branch pipe 320. However, when the fourth link 457 is formed into a hollow tube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ssembly is simple and the size of the overall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인 도 8과,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단면도인 도 9와,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요부 사시도인 도 10과,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개폐커버의 작동도인 도 11 및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잡금손잡이가 도시된 단면도인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8,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which is a sectional view of the illustrated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nd Fig. 10 and Fig. 12,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jig handle of the dry tissue moisture supply device shown in Figs. 11 and 8, which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opening / closing cover of the dry wet tissue supply device shown in Fig.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회동롤러부(200)와 수분공급부(300)는 동일한 평면상에 상하로 배치하여 건티슈 수분공급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and 9, the rotation roller unit 20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on the same plane to provide a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uch that the area of the space can be reduced.

즉, 수분공급부(300)를 회동롤러부(200)에 하부에 배치하고, 수분공급부(300)를 하우징 내면 중 후면에서 이격형성하여, 회동롤러부(200)의 롤러(210)에 권취된 롤티슈(10)가 하우징(100) 내면과 수분공급부(30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water supply unit 300 is disposed below the rotation roller unit 200, the water supply unit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rolls 210 wound around the roller 210 of the rotation roller unit 200 The tissue 10 can be moved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이때, 하우징(100) 내면과 수분공급부(300) 사이의 공간은 하우징(100)의 개구부(110)와 연통시켜, 롤티슈(10)를 개구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is communicated with the opening 110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roll tissue 10 can be drawn out to the opening.

수분공급부(300)는 분사공(311)이 형성된 수분공급부저면패널(301), 분사공(311)과 연통되는 분지관(320) 및 분지관(320)의 상면에 배치된 수분공급부상부패널(303)으로 구성되며, 분지관(320)에는 펌프가 연통된다.The water supply unit 300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bottom panel 301 having a spray hole 311, a branch pipe 320 communicating with the spray hole 311, and a water supply unit upper panel And the branch pipe 320 is connected to a pump.

이때, 하우징(100)의 내면 중 양측면에 측면패널(101, 103)이 형성되어 수분공급부저면패널(301)의 양측단은 상기 측면패널(101, 103)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분공급부저면패널(301)의 후단면은 하우징 내면 중 후면과 이격하여 형성된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panels 101 and 10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so that both side ends of the water supply part bottom panel 301 are coupled to the side panels 101 and 103. At this time, the rear end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art bottom panel 301 is form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하우징(100)의 내면 중 도 8을 기준으로 우측의 측면패널(103)에는 우측면과 좌측면을 연통시키는 연결관(103b)이 돌출형성되며, 우측의 측면패널(103)의 좌측면으로 돌출형성된 연결관(103b)과 분지관(320) 사이에는 제1수분공급관(334)이 결합되고, 우측의 측면패널(103)의 우측면으로 돌출형성된 연결관(103b)과 펌프(330) 사이에는 제2수분공급관(332)이 결합된다.
A connection pipe 103b for communicating the right side surface and the left side surface is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0 on the right side panel 103 with reference to FIG 8 and protruded from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right side panel 103 A first water supply pipe 334 is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ipe 103b and the branch pipe 320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334 is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ipe 103b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right side panel 103 and the pump 330, The water supply pipe 332 is coupled.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펌프(330)에는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340)가 결합되며, 하우징(100)의 측면패널(101, 103) 중 우측 측면패널(103)의 우측면에는 펌프(330)와 결합되는 수분저장탱크(340)가 배치되어 수분저장탱크(3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건티슈 수분공급장치를 콤펙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8 and 10, a water storage tank 340 for supplying water to the pump 330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right side panel 103 of the side panels 101 and 103 of the housing 100, A water storage tank 340 coupled to the pump 330 may be disposed to accommodate the water storage tank 340 so that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can be configured compactly.

도 8을 참조하면,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내부를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쌍의 상기 측면패널(101, 103)에는 한쌍의 개폐커버(107, 109)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개폐커버(107, 109)에는 커버개폐축(107a, 109a)이 측면패널(101, 103) 방향으로 돌출되고, 측면패널(101, 103)에는 커버개폐축(107a, 109a)이 삽입되는 삽입홀(101a, 103a)이 형성된다. 이때, 한쌍의 개폐커버(107, 109) 중 하나의 개폐커버에는 도 8과 같이 제1수분공급관(334)이 관통배치되는 장홀(107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쌍의 개폐커버(107, 109)의 하부에는 도 11과 같이 상호 치합되는 기어(107c, 109c)가 형성되어 일 개폐커버(109)를 회동시키는 경우, 타 개폐커버(107)가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8, a pair of opening / closing covers 107 and 109 are rotatably coupled to a pair of the side panels 101 and 103 so as to easily clean the inside of the dry tissue water supply device. At this time, the cover opening / closing shafts 107a and 109a are projected toward the side panels 101 and 103 in the opening / closing covers 107 and 109, and the cover opening / closing shafts 107a and 109a are inserted into the side panels 101 and 103 The insertion holes 101a and 103a are 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elongated hole 107d is formed in the opening / closing cover of one of the pair of opening / closing covers 107 and 109, as shown in FIG. 8, in which the first water supplying pipe 334 penetrates. At this time, gears 107c and 109c, which are mutually engaged as shown in FIG. 11, are formed below the pair of opening / closing covers 107 and 109 to rotate the one opening / closing cover 109, It is preferable to be constructed so as to be pivotable.

개폐커버(107, 109) 중 도 8을 기준으로 후면 개폐커버(109)에는 돌출된 돌출편(520)이 형성되고, 전면 개폐커버(107)에는 돌출편(520)이 안착되는 안착편(510)이 형성되어 전면 개폐커버(107)와 후면 개폐커버(109)가 하우징(100)을 폐쇄시키는 경우 돌출편(520)이 안착편(5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otruding protrusions 520 are formed on the rear opening / closing cover 109 with reference to FIG. 8 of the opening / closing covers 107 and 109, and the seating pieces 510 Closing cover 107 and the rear opening / closing cover 109 close the housing 100, the protruding piece 52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iece 510. In this case,

이때, 후면 개폐커버(109)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520) 하부로 이격 배치되는 걸림편(531)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돌출편(520)과, 안착편(510) 및 걸림편(531)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후면 개폐커버(109)와 전면 개폐커버(107)가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편(531)에는 손잡이회전축(109d)가 형성되어 걸림편(531)을 회전시키는 잠금손잡이(530)가 결합되는 바람직하고, 도 8과 같이 개폐도어(107, 109) 중 어느 하나에는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109b)가 형성될 수 있다.
12, a retaining piece 531 spaced below the protruding piece 520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rear opening / closing cover 109 to receive the protruding piece 520, the seating piece 510,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opening / closing cover 109 and the front opening / closing cover 107 are not rotated when the latching piece 531 is dispos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 handle rotation axis 109d is formed in the latching piece 531,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knob 530 for rotating the knob 531 is coupled to the knob 511. As shown in FIG. 8, the knob 109b may be formed on any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07, 109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전면 개폐커버(107)에는 버튼관통구(107b)가 형성되어 절개도어(420)를 승상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 절개도어버튼(420a)이 버튼관통구(107b)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잇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cover 107 is provided with a button through hole 107b so that the incision door button 420a coupled to the incision door 42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

또한,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저장탱크(340)에는 수분을 수시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보충수공급관(342)이 연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as shown in FIGS. 8 and 10, it is preferable that a makeup water supply pipe 342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torage tank 340 so that water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40 at any time.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롤티슈 100 : 하우징
110 : 개구부 120 : 버튼홀
130 : 버튼삽입관 131 : 링크삽입공
133 : 링크가이드 140 : 차단벽
200 : 회동롤러부 210 : 롤러
220 : 롤러브래킷
300 : 수분공급부 310 : 공급부하우징
311 : 분사공 320 : 분지관
330 : 펌프 331 : 제1펌프하우징
331a : 유입구 331b : 유출구
333 : 펌프탄성체 335 : 피스톤
337 : 제2펌프하우징 337a : 유입공
337b : 유출공 340 : 수분저장탱크
350 : 버튼부 351 : 제1링크
353 : 제2링크 355 : 제3링크
357 : 제4링크
400 : 절개부 410 : 슬라이딩레일
420 : 절개도어 421 : 커팅날
430 : 브레킷 440 : 도어탄성체
10: roll tissue 100: housing
110: opening 120: button hole
130: Button insertion tube 131: Link insertion hole
133: link guide 140: blocking wall
200: rotation roller unit 210: roller
220: Roller bracket
300: water supply part 310: supply part housing
311: Sprinter 320: Branch branch
330: pump 331: first pump housing
331a: Inlet port 331b: Outlet port
333: pump elastic body 335: piston
337: second pump housing 337a: inflow hole
337b: Outflow hole 340: Water storage tank
350: button portion 351: first link
353: second link 355: third link
357: fourth link
400: incision section 410: sliding rail
420: incision door 421: cutting blade
430: Bracket 440: Door elastic body

Claims (16)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롤티슈가 권취되는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브레킷으로 이루어진 회동롤러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롤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회동롤러부에 권취된 롤티슈를 절개하는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A housing having a front opening formed therein;
A rotation roller disposed on the housing and having a roller on which the roll tissue is wound, and a roller bracket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both ends of the roller rotatably mounted; And
And a water supply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to supply water to the roll tissue,
And a cut-out portion which is vertically moved in the open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cuts the rolled tissue wound around the rotating roll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개구부 양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딩레일과,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절개도어와,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상부에 연접하여 형성된 브레킷과,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절개도어와 브레킷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도어에 가해진 외력이 소멸되는 경우 상기 절개도어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탄성체와,
상기 절개도어 하면에 배치된 커팅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t-
A sliding rail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An incision door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and moving up and down,
A bracket formed to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rail,
A door elastic body which is coupled between the cut-off door and the bracket so as to move the cut-out door upward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ut-out door is lost,
And a cutting blad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ision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저면에 분사공이 형성된 공급부하우징과,
상기 공급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공에 연통된 노즐이 형성된 분지관과, 상기 분지관에 연통된 펌프와, 상기 펌프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와, 상기 하우징 상부에 관통배치되어 상기 펌프에 외력을 전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unit
A feeder housing having a spray hole formed in its bottom surface,
A branch pipe provided in the supply housing and formed with a nozzle communicated with the spray hole; a pump communicated with the branch pipe; a water storage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pump; And a button portion for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to the pum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된 제1펌프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배치된 제1펌프탄성체와, 상기 제1펌프탄성체와 유출구 사이에 배치된 피스톤과, 일단에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분지관과 연통되는 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펌프하우징의 유출구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펌프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유입공에 삽입되는 피스톤삽입편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의 내면과 상기 피스톤삽입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ump
A first pump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a pist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pump elastic body and the outlet port; a pist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piston, And a second pump housing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with an out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ranch pipe and being movably inserted into an outlet of the first pump housing,
Wherein the piston is formed with a piston insertion piece to be inserted into the inflow hole,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inflow hole and the piston insertion pie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펌프하우징의 유출구에는 상기 제2펌프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실링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2펌프하우징의 일측 외면에는 제2실링부재가 배치되고,
세1실링부재에는 일단이 상기 제2실링부재 또는 상기 제2펌프하우징의 외면 일측과 맞닿는 제2펌프탄성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sealing member is disposed at an outlet of the first pump housing to prevent the second pump housing from separating from the first pump housing, a second sealing member is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econd pump housing,
Wherein the first sea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econd pump elastic body having one end thereof abutting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or the second pump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하로 이동하는 제1링크;
일측이 상기 제1링크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링크;
일측이 상기 제2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3링크;
일측이 상기 제3링크의 타측에 배치된 제4링크;
상기 제4링크의 타측에 상기 제2펌프하우징이 배치되어 상기 제1링크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펌프하우징이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utton portion
A first link moving up and down;
A second link having one side rotatably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link;
A third link having one side rotatab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A fourth link having one sid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link;
Wherein the second pump housing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link so that the second pump housing moves the piston when the first link moves up and dow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면에는 버튼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상면의 저면에는 상기 버튼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링크가 삽입되는 링크삽입공이 형성된 버튼삽입관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삽입관의 하부에는 상기 제4링크이 삽입되는 링크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button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 button insertion tube having a link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first link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e,
And a link guide to which the fourth link is inserte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tton insertion tube.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링크는 중공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펌프하우징의 유출구와 상기 분지관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fourth link is formed in a hollow pipe shape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port of the second pump housing and the branch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회동롤러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면 중 후면에 이격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와 상기 회동롤러부는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롤러에 권취된 롤티슈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과 수분공급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우징의 개구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unit
Wherein the housing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ivoting roller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inner surface so that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nd the pivoting roller portion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Wherein the rolled tissue wrapped around the rollers is drawn in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through a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water supply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면에 결합된 수분공급부저면패널과, 상기 분사공에 연통되는 분지관과, 상기 분지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면에 결합된 수분공급부상부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분지관에는 펌프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ter supply part includes a water supply part bottom panel formed with a spray hole and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branch pipe communicated with the spray hole, and a water supply part upper panel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pipe, ,
And a pump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양측면에는 한쌍의 측면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공급부저면패널의 양측단은 상기 측면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측면패널 중 일 측면패널에는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통되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분지관과 일 측면패널의 타측면에 연통하여 형성된 연결관 사이에는 제1수분공급관이 결합되며,
상기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펌프 사이에는 제2수분공급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pair of side panel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both side ends of the water supply part bottom panel are coupled to the side panel,
Wherein one of the side panels has a conne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one side panel,
A first moisture supply pipe is coupled between the branch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ne side panel,
And a second moisture supply pipe is coupled between the pump and the connection pipe formed on one side of the one side pane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는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가 결합되며,
상기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에는 상기 수분저장탱크가 수용되는 탱크수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ump is connected to a water storage tank for supplying water,
Wherein one side of the one side panel is provided with a tank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water storage tank is accommodated.
제11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측면패널에는 한쌍의 개폐커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한쌍의 개폐커버 중 일 개폐커버에는 상기 제1수분공급관이 관통배치되는 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 pair of opening / closing cover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side panels,
Wherein one opening / closing cover of the pair of open / close covers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moisture supply pipe is disposed.
제1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일 측면패널과 타 측면패널과 축결합되며,
상기 일 개폐커버와 타 개폐커버의 하부에는 상호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일 개폐커버를 회동시키는 경우, 타 개폐커버가 연동하여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 pair of the opening / closing covers are axially coupled to the one side panel and the other side panel,
Wherein a gear engaged with one of the one opening / closing cover and the other opening / closing cover is formed so that when the one opening / closing cover is rotated, the other opening / closing cover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 개폐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타 개폐커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타 개폐커버에는 상기 돌출편이 안착되는 안착편이 형성되며,
상기 일 캐폐커버에는 상기 돌출편 하부로 이격 배치되는 걸림편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돌출편과, 안착편 및 걸림편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일 개폐커버와 타 개폐커버가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걸림편에는 상기 걸림편을 회전시키는 잠금손잡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 protruding piec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opening / closing cover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ne opening / closing cover,
Wherein the other opening / closing cover is provided with a seat piece on which the projecting piece is seated,
Wherein one of the one or more protruding pieces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one of the upper and lower protruding pieces so that the one opening / closing cover and the other opening / closing cover are not rotated when the protruding piece, In addition,
And a locking knob for rotating the latching piece is coupled to the latching pie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저장탱크에는 보충수공급관이 연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replenishing water supply pipe is formed in the water storage tank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plenishing water supply pipe.

KR1020140028927A 2013-09-30 2014-03-12 Moisture supplying device for dry tissue paper KR1015746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520 2013-09-30
KR1020130116520 201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471A true KR20150037471A (en) 2015-04-08
KR101574684B1 KR101574684B1 (en) 2015-12-04

Family

ID=5303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927A KR101574684B1 (en) 2013-09-30 2014-03-12 Moisture supplying device for dry tissue pa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6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060A1 (en) * 2019-03-22 2020-10-01 주식회사 클린존 Coin tissue ca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455A (en) * 2005-02-16 2006-08-31 Sanwa Shiko Kk Wet towel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060A1 (en) * 2019-03-22 2020-10-01 주식회사 클린존 Coin tissue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684B1 (en)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4065B1 (en) Humidifying device for paper and humidified toilet paper distributor
KR100697346B1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tissue
US10294643B2 (en)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JP2015202396A (en) Wet tissue feeding device
US20100066226A1 (en) Built-In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Water and Drinks Dispenser
KR20150070253A (en) Cleaning device for door handles and push plates
US8322568B2 (en) Sheet product dispenser
US10201255B2 (en) Apparatus for toilet paper spritzer
ES2920889T3 (en) Device for dispensing fluids, such as water and the like
KR101574684B1 (en) Moisture supplying device for dry tissue paper
US6270275B1 (en) Sponge storage and disinfecting device
CN108086432B (en) Concealed sanitary toilet
KR20050022356A (en) Apparatus for providing wet towel
KR101538226B1 (en) Moisture supplying device for dry tissue paper
KR101321907B1 (en) An air freshener spray device for bathroom
KR101852480B1 (en) Folder type toilet
CN214911458U (en) Medical heating box and medical first-aid box
KR101983246B1 (en) Wet Tissue Assembly of Roll Type
KR102016873B1 (en) Multi-Tissue Feeder Device
RU2725497C1 (en) Device for automatic washing and disinfection of toilet seat
WO202012561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GB2500282A (en) Toilet roll dispenser having a sanitising spray for the toilet roll sheets
KR20150129556A (en) Wet tissue manufacturing device
KR20140143553A (en) Apparatus for personal hygiene
JPH06269374A (en) Dispenser for disposable sterilized tow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