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145A - Automatic necktie having fixing means - Google Patents

Automatic necktie having fixing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145A
KR20150037145A KR20130116456A KR20130116456A KR20150037145A KR 20150037145 A KR20150037145 A KR 20150037145A KR 20130116456 A KR20130116456 A KR 20130116456A KR 20130116456 A KR20130116456 A KR 20130116456A KR 20150037145 A KR20150037145 A KR 20150037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fixing pin
automatic
fixing mean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6826B1 (en
Inventor
홍성권
Original Assignee
홍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권 filed Critical 홍성권
Priority to KR102013011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826B1/en
Publication of KR2015003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0Means for holding the knot, or the like
    • A41D25/12Means for holding the knot, or the like attachable to the collar or stu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necktie having a fixing means, wherein a necktie, without surrounding a neck, is fixed detachably by the fixing means to prevent excessively tightening around a neck to allow for comfort wearing sensation and decrease sensory temperature in hot weather, and the fixing means which is exposed to one side of a collar and can serve as an accessor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necktie having the fixing means comprises: an apron part; a tie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pron part and formed in a shape of a tie, and in which an automatic-lock mechanism is arranged on the back side thereof; a tip part which is plac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pron and is engaged with the automatic-lock mechanism to move upwards and downwards along the tie part depending on locking or unlocking of the automatic-lock mechanism; a connecting b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tip at both sides respectively; and the fixing means which is arranged on the end part of the connecting bands and fixed detachably to both sides of a collar.

Description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AUTOMATIC NECKTIE HAVING FIXING MEAN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necktie having fixing means,

본 발명은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넥타이가 목 둘레를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고정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목 부위가 과도하게 조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편안한 착용감이 제공되고 더운 날씨에 체감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카라 일측에 노출되는 고정수단이 액세서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ie having fix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automatic tie having a fix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ck tie which is detachably fixed by a fixing means rather than surrounding the neckline, To an automatic tie having fixing means which can lower the sensation temperature in hot weather and fix the means exposed to the side of the collar to perform the role of an accessory.

넥타이(necktie)란 양복을 입을 때 와이셔츠 카라 밑으로 둘러 매듭을 지어 앞으로 늘어뜨리거나 나비 모양으로 매듭을 만드는 천을 말하는 것으로 타이라고도 한다. 예전에는 주로 양복을 입는 직장인들이 사용하였지만 최근에는 패션의 소품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A necktie is sometimes called a tie, when a suit is worn by a knot in front of a collar of a dress shirt, or a fabric that makes a knot in the shape of a butterfly. In the old days, it was used mainly by workers wearing suits, but recently, it is used as a fashion accessory by all men and women.

그런데, 넥타이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듭을 만드는 방법이 쉽지 않고, 넥타이를 묶었다 풀었다 하는 과정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자동잠금구를 이용해 소검부를 대검부에서 내렸다 올렸다 하는 방법으로 착용이 가능한 자동 넥타이도 소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3548호(2006.04.03)의 자동 잠금장치가 장착된 넥타이 등이 공지되어 있다.However, for users who are new to ties, it is not easy to make a kno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troublesome to untie and tie the tie. Recently, using the automatic locking mechanism, This automatic tie is also introduced.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is known as a tie equipped with an automatic locking device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3548 (Mar. 04, 2006).

하지만, 매듭을 지어 착용하는 넥타이나, 자동 넥타이의 경우 착용자의 목 둘레에 둘러 싸지게 됨으로써 목 부위가 과도하게 조이게 됨은 물론 더운 날씨에 체감온도가 올라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타이 자체로서는 패션에 포인트가 될만한 특징부가 없어 타이 핀과 같은 별도의 액세서리를 착용해야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necktie worn with a knot or an automatic necktie, the knot is wrapped around the neckline of the wearer, so that the neck is excessively tightened, and the sensation temperature rises in hot weather. In addition, there was a lack of features to be a point of fashion in Thailand itself, and there was a need to wear a separate accessory such as a tie pi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넥타이가 목 둘레를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고정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목 부위가 과도하게 조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편안한 착용감이 제공되고 더운 날씨에 체감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카라 일측에 노출되는 고정수단이 액세서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neck portion from being excessively tightened by fixing the necktie by being detachably fixed by the fixing means rather than by surrounding the neckline,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feeling of comfort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of bodily sensation in hot weathe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tie provided with fixing means for allowing the fixing means exposed on one side to perform the role of an accessory.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검부와, 상기 대검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매듭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배면에는 자동잠금구가 구비되는 매듭부와, 상기 대검부의 후면에 위치되고 상기 자동잠금구에 맞물려 상기 자동잠금구의 잠금 및 풀림 여부에 따라 상기 매듭부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소검부와, 상기 소검부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는 양측의 연결띠와, 상기 연결띠의 단부에 구비되고 착용자의 양측 카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가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lso achieved by a sewing machine comprising a sewing part, a knot par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ewing part and formed in a knot shape and having an automatic locking part on the back side, A knocking portion which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knot portion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automatic locking hole is locked and unlocked; a connection b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knockout portion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knockout portion; Wherein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fastening means that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fastening mea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고정수단은 액세서리 형태로 가공 처리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described above is processed in the form of an accessory.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고정수단은 카라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클립타입, 카라에 관통 고정되는 뱃지타입, 카라에 집어지는 집게타입, 조임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핀타입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described above is one selected from a clip type slidingly coupled to the collar, a badge type fixed through the collar, a grip type gripped by the collar, and a pin type fixed by the tightening screw.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고정수단 중 카라에 집어지는 집게타입의 양측 집게 내측에는 상호 인력이 발휘되는 자성체가 내장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ic body on which mutual attraction is exerted is built in the inside of the clamping type double clamps of the clamping mea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고정수단 중 조임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핀타입은, 카라에 끼워질 수 있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측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타단 측에는 내부를 향해 절곡 형성된 지지철판이 구비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조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철판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철판에 의한 카라의 지지력이 제어되게 하는 조임나사와, 상기 고정핀의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절곡 된 상태로 상기 고정핀의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조임나사 및 지지철판에 의해 일측이 가압 지지된 카라의 타측에 선택적으로 밀착 지지되되 지지 된 상기 카라가 밀려나지 않도록 카라와 면접되는 측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 탄성철판과, 상기 관통구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철판이 카라에 밀착되거나 분리되게 하되, 일측은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탄성철판의 타측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핀의 일면에 밀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고정핀에 밀착된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전, 후방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의 회동시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이동되고 상기 지지대의 고정시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전방으로 수평이동되는 레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 type fixed by the tightening screw among the fixing mean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U-shape so as to be fitted in the collar, a through hole is formed in one end side, A fixing screw which is rotatably screw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in and presses the supporting iron plate according to a tightening direction so as to control a supporting force of the collar by the supporting iron plate; The fixing pin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and is selectively supported by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roller supported by the pressing screw and the supporting iron plate so that the supporting roller is pressed against the fixing roller, An elastic stee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d therefrom, and an elastic steel plate provided rotatably in the through-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of the fixing pin,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And a lever horizontally movably mounted on the other side and horizontally moved rearward from the fixing pin when the support is rotated, and horizontally moved forward from the fixing pin when the support is fix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는 넥타이가 목 둘레를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고정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목 부위가 과도하게 조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편안한 착용감이 제공되고 더운 날씨에 체감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카라 일측에 노출되는 고정수단이 액세서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tie having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neck portion from being excessively tightened by detachably fixing the necktie by the fixing means instead of surrounding the neckline It provides a comfortable fit,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sensation in hot weather, and has the advantage that the fixing means exposed to the side of the collar can serve as an accesso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의 작동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의 부분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tie having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rational view of an automatic tie with fastening mean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9 are partial use views of an automatic tie having fix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3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의 부분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tie having fix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operational view of an automatic tie having fix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9 show partial use state diagrams of an automatic tie having fix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1)는 대검부(10)와, 상기 대검부(10)의 상단에 연결되고 매듭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배면에는 자동잠금구(미도시)가 구비되는 매듭부(20)와, 상기 대검부(10)의 후면에 위치되고 상기 자동잠금구(미도시)에 맞물려 상기 자동잠금구(미도시)의 잠금 및 풀림 여부에 따라 상기 매듭부(20)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소검부(30)와, 상기 소검부(30)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는 양측의 연결띠(40)와, 상기 연결띠(40)의 단부에 구비되고 착용자의 양측 카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50)이 포함된다.
The automatic tie 1 provided with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arge portion 10 and a top portion of the large portion to be knotted, A knot portion 2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large-sized detection portion 10 and provided with a knot portion 20, A sidewall 30 which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knot 20 and connection straps 40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upper ends of the sidewall 30 and an end of the connection strip 40, And fixing means 50 detachab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wearer's collar.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automatic tie 1 having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nection rel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G.

여기서 대검부(10)는 셔츠 중앙에 위치되어 넥타이의 주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무늬와 패턴으로 디자인된다. 이와 같은 대검부(10)는 그 길이와 폭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재질 또한 실크, 울, 니트, 면 등 종래기술에 따른 직물재 중 선택된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Here, the great-looking part 1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hirt and plays a main function of the tie, and is designed in various patterns and patterns. The length and width of the great-sense inspecting unit 10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a selected one of the materials of the prior art such as silk, wool, knit, cotton, etc. may be used.

전술한 대검부(10)의 상단에는 매듭부(20)가 연결 구비되는데, 이 매듭부(20)는 셔츠의 양측 카라 내측에 위치되어 전통적인 넥타이의 매듭법에 의해 매어진 타이와 동일한 효과를 연출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매듭부(20)는 전술한 대검부(10)와 동일한 무늬와 패턴으로 디자인되는 직물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배면에는 자동잠금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때 전술한 자동잠금구(미도시)는 추후에 설명될 소검부(30)가 맞물려 이동되는 것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넥타이에서 사용되는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A knot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bove-described large-sized knot portion 10, which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s of the shirt so as to produce the same effect as a tie attached by a conventional tie knotting method It plays a role. It is preferable that the knot portion 20 is a fabric material designed in the same pattern and pattern as the above-described large-sized detection portion 10, and an automatic locking hol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thereof. The automatic locking mechanism (not shown)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at used in the automatic ti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which the suture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is engaged and moved so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fication of the description .

한편, 전술한 대검부(10)의 후면에는 소검부(30)가 위치되는데, 이 소검부(30)는 전술한 자동잠금구(미도시)에 맞물려 잠금 및 풀림 여부에 따라 상기 매듭부(20)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전술한 대검부(10) 및 매듭부(20)를 셔츠 카라 측으로 가깝게 밀착시키거나 멀리 떨어뜨리게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검부(30)는 전술한 대검부(10) 및 매답부와 동일한 무늬 및 패턴으로 디자인되는 직물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한 당겨 졌을 때, 대검부(10)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소검부(30)에는 전술한 자동잠금구(미도시)에 맞물리는 레일(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레일(31)이 자동잠금구(미도시)에 맞물려 이동되는 것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넥타이에서 사용되는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on the rear side of the large-sized detection unit 10, the small-sized detection unit 30 is located. The small-sized detection unit 30 is engaged with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locking mechanism (not shown) Down direction so as to control the above-described large-size detection portion 10 and the knot portion 20 so as to come close to or close to the shirt collar side. It is preferable that such a sifting section 30 is a fabric material which is designed in the same pattern and pattern as the above-described large-sized suture section 10 and the receiving section. When the suture section 30 is pulled out to the maximum extent, do. A rail 31 engaging with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locking mechanism (not show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inspection unit 30. Such a rail 31 is engaged with the automatic locking mechanism (not shown) The same as that used in the automatic tie according to the technique,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fication of the description.

그리고 전술한 소검부(30)의 상단에는 양측으로 연결띠(40)가 각각 연결되는데, 이 연결띠(40)는 전술한 대검부(10), 매듭부(20) 및 소검부(30)로 이루어진 넥타이를 셔츠 측에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띠(40)는 소검부(30)가 하측으로 당겨져 이동될 때 자동잠금구(미도시) 아래쪽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대검부(10) 및 매듭부(20)가 셔츠 카라를 향해 넥타이의 형태로 조여지도록 하고, 반대로 상측으로 밀어 올려져 이동될 때 자동잠금구(미도시) 윗쪽으로 이동되면서 대검부(10) 및 매듭부(20)가 셔츠 카라로부터 멀어지면서 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띠(40)의 이동관계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넥타이와 달리 양측이 끊어져 카라에 직접 연결된다는 점만 다를 뿐,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넥타이에서 사용되는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necting strip 4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ifting unit 30. The connecting strip 40 is connected to the sifting unit 10, the knot 20 and the sifting unit 30 And to connect the necktie to the shirt side. When the sidewall portion 30 is pulled downward and moved together with the automatic locking means (not shown), the connecting strip 40 and the knot portion 20 are moved toward the shirt collar toward the bottom of the tie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size detection portion 10 and the knot portion 20 are loosened away from the shirt collar while the upper portion is moved upward and is moved upwardly of the automatic locking hole (not shown). The moving relation of the connecting strip 40 is the same as that used in the automatic tie according to the prior art, except that the connecting tie 4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llar at both sides thereof, unlike the automatic ti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will be omitted for simpl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

한편, 전술한 연결띠(40)의 단부에는 고정수단(50)이 구비되는데, 이 고정수단(50)은 전술한 연결띠(40)를 셔츠 카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50)은 도 4 및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라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클립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뱃지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집게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핀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클립타입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라의 하측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라의 측면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고정수단(50) 중 카라에 집어지는 집게타입의 양측 집게 내측에는 상호 인력이 발휘되는 자성체(59)가 내장되어 카라에 대한 집게의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strip 40, a fixing means 50 is provided, which fixes the connecting strip 40 to the shirt collar side in a detachable manner . The fixing means 50 may be a clip type slidingly coupled to the collar as shown in FIGS. 4 and 5, or may be formed as a badge type as shown in FIG. 6, And may be formed as a pin typ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clip type may b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llar as shown in FIG. 4, or may be fixed to the side of the collar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side the clamping type clamps of the fixing means 50, clamping force of the clamping force against the curler can be increased by incorporating a magnetic body 59 on which mutual attraction is exerted.

그리고 전술한 고정수단 중 조임나사(54)에 의해 고정되는 핀타입은, 카라에 끼워질 수 있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측에는 관통구(52)가 형성되며 타단 측에는 내부를 향해 절곡 형성된 지지철판(53)이 구비되는 고정핀(51)과, 상기 고정핀(51)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조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철판(53)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철판(53)에 의한 카라의 지지력이 제어되게 하는 조임나사(54)와, 상기 고정핀(51)의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절곡 된 상태로 상기 고정핀(51)의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조임나사(54) 및 지지철판(53)에 의해 일측이 가압 지지된 카라의 타측에 선택적으로 밀착 지지되되 지지 된 상기 카라가 밀려나지 않도록 카라와 면접되는 측에는 다수의 돌기(56)가 돌출 형성된 탄성철판(55)과, 상기 관통구(52)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철판(55)이 카라에 밀착되거나 분리되게 하되, 일측은 상기 관통구(52)를 통해 상기 탄성철판(55)의 타측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핀(51)의 일면에 밀착되는 지지대(57)와, 상기 고정핀(51)에 밀착된 상기 지지대(57)의 타측에 전, 후방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57)의 회동시 상기 고정핀(51)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이동되고 상기 지지대(57)의 고정시 상기 고정핀(51)으로부터 전방으로 수평이동되는 레버(58)가 포함된다.The pin type fixed by the tightening screw 54 among the fixing mean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U shape so as to be fitted in the collar, a through hole 52 is formed in one end side, and a support iron plate 52, A fixing pin 51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53 and a fixing pin 51 which is rotatably screw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in 51 and which presses the supporting iron plate 53 along the tightening direction, A fixing screw 54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51 so as to be elastically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fixing pin 51 and fixed to the fixing screw 51, 53, an elastic steel plate 55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56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collar which is pressed against and supported by the other side of the collar, (52) The elastic steel plate 55 is suppo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steel plate 55 through the through hole 52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51 A support pin 57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upport pin 57 and a support pin 57 which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in 57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in 51, And a lever 58 horizontally moved rearward from the fixing pin 51 and horizontally moved forward from the fixing pin 51 when the support 57 is fixed.

도 9를 참고하면, 전술한 고정핀(51) 내부에 위치된 카라는 그 일면이 지지철판(53)에 지지되고 타면은 탄성철판(55)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된다. 즉, 레버(58)에 의해 지지대(57)가 고정핀(51)으로부터 분리되게 회동되면 지지대(57)에 의해서 카라 측으로 가압되었던 탄성철판(55)이 카라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지철판(53) 및 탄성철판(55) 사이에 위치되었던 카라가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9, one side of the collar positioned inside the fixing pin 51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steel plate 53, and the other side is selectively supported by the elastic steel plate 55. That is, when the support 57 is rotated by the lever 58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pin 51, the elastic steel plate 55 which has been pressed toward the collar side by the support 57 is mo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ollar side, 53 and the elastic steel plate 55 can escape.

반대로 지지철판(53) 및 탄성철판(55) 사이에 위치된 카라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레버(58)에 의해 지지대(57)가 고정핀(51)과 밀착되게 회동되면 지지대(57)가 탄성철판(55)을 지지하여 들어올림으로써 탄성철판(55)이 카라 측에 밀착된다. 따라서 지지철판(53) 및 탄성철판(55) 사이에서 카라가 고정되며, 탄성철판(55)에 돌출 형성된 돌기(56)에 의해 카라가 밀려나지 않게 된다. 이때 조임나사(54)의 회동방향에 따라 조임력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in order to fix the collar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iron plate 53 and the elastic steel plate 55, when the support 57 is rotated by the lever 58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pin 51, 55 are supported and lifted, whereby the elastic steel plate 5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llar side. Therefore, the collar is fixed between the supporting steel plate 53 and the elastic steel plate 55, and the protrusion 56 protruding from the elastic steel plate 55 prevents the collar from being pushed. At this time, the tightening force can b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tightening screw (5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클립, 뱃지, 집게, 핀 중 선택된 하나로 고정수단(50)을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벨크로 테이프, 스냅단추, 단추 등 종래기술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고정수단(50)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selected one of the clips, the badge, the nippers and the pin, the fastening means 50 may also include one of the detachable fastening means 50 according to the prior art, such as a velcro tape, a snap button, May be selectively used.

또한 전술한 고정수단(50)은 액세서리 형태로 가공 처리될 수도 있는데, 즉 다양한 종류의 인조보석이나 천연보석이 장식될 수도 있고, 사업체의 로고가 새겨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이니셜이 새겨질 수도 있어 액세서리로서의 다양한 효과가 발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fixing means 50 may be processed into an accessory shape, that is, various types of artificial or natural jewelry may be decorated, a business logo may be engraved, and the user's initials may be engraved. Various effects may be exhibited.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not limited.

1 :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 10 : 대검부
20 : 매듭부 30 : 소검부
31 : 레일 40 : 연결띠
50 : 고정수단 51 : 고정핀
52 : 관통구 53 : 지지철판
54 : 조임나사 55 : 탄성철판
56 : 돌기 57 : 지지대
58 : 레버 59 : 자성체
1: Automatic tie with fixing means 10:
20: knotted portion 30:
31: rail 40: connecting strip
50: fixing means 51: fixing pin
52: through hole 53: support iron plate
54: pressure screw 55: elastic steel plate
56: projection 57: support
58: lever 59: magnetic body

Claims (5)

대검부;
상기 대검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매듭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배면에는 자동잠금구가 구비되는 매듭부;
상기 대검부의 후면에 위치되고 상기 자동잠금구에 맞물려 상기 자동잠금구의 잠금 및 풀림 여부에 따라 상기 매듭부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소검부;
상기 소검부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는 양측의 연결띠; 및
상기 연결띠의 단부에 구비되고 착용자의 양측 카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
Great Seal Department;
A knot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large detection portion and formed in a knot shape and having an automatic locking opening at the back;
A sub-detection unit loc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large-size detection unit and being mov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long the knot according to whether the automatic locking unit is locked and unlocked by being engaged with the automatic locking unit;
Connection straps on both side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b-inspection unit; And
And fixing means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strip and detachab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collar of the wear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액세서리 형태로 가공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fastening means is machined in the form of an accessory.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카라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클립타입, 카라에 관통 고정되는 뱃지타입, 카라에 집어지는 집게타입, 조임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핀타입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said fastening means is one of a clip type slidingly coupled to the collar, a badge type fastened through the collar, a grip type gripped by a collar, and a pin type fastened by a fastening screw.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중 카라에 집어지는 집게타입의 양측 집게 내측에는 상호 인력이 발휘되는 자성체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a magnetic body on which mutual attraction is exerted is built in the inside of the clamping type clamps on both sides of the clamping means of the clamping mean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중 조임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핀타입은,
카라에 끼워질 수 있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측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타단 측에는 내부를 향해 절곡 형성된 지지철판이 구비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조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철판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철판에 의한 카라의 지지력이 제어되게 하는 조임나사;
상기 고정핀의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절곡 된 상태로 상기 고정핀의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조임나사 및 지지철판에 의해 일측이 가압 지지된 카라의 타측에 선택적으로 밀착 지지되되 지지 된 상기 카라가 밀려나지 않도록 카라와 면접되는 측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 탄성철판;
상기 관통구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철판이 카라에 밀착되거나 분리되게 하되, 일측은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탄성철판의 타측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핀의 일면에 밀착되는 지지대; 및
상기 고정핀에 밀착된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전, 후방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의 회동시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이동되고 상기 지지대의 고정시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전방으로 수평이동되는 레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
The pin type fastener according to claim 3,
A fixing pin formed in a U-shape so as to be fitted to the collar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one end and a supporting iron plate bent at the other end toward the inside;
A fastening screw which is rotatably screw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in and presses the supporting iron plate according to a tightening direction to control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ollar by the supporting iron plate;
The fixing pin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fixing pin and is selectively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collar pressed on one side by the fixing screw and the supporting iron plate, An elastic steel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truded on the side where it is contacted with the collar;
The elastic plat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elastic steel plat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collar depending on whether the elastic plate is pivoted or not and one side is suppo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steel plate through the through hole, support fixture; And
And a lever which is horizontally movably moun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fram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pin and horizontally moved rearward from the fixing pin when the support frame is rotated and horizontally moved forward from the fixing pin when the support frame is fixed, Wherein the fastening means comprises a fastening means.
KR1020130116456A 2013-09-30 2013-09-30 Automatic necktie having fixing means KR101586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456A KR101586826B1 (en) 2013-09-30 2013-09-30 Automatic necktie having fix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456A KR101586826B1 (en) 2013-09-30 2013-09-30 Automatic necktie having fixing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45A true KR20150037145A (en) 2015-04-08
KR101586826B1 KR101586826B1 (en) 2016-01-19

Family

ID=5303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456A KR101586826B1 (en) 2013-09-30 2013-09-30 Automatic necktie having fixing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82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062U (en) * 1993-11-23 1995-06-15 양덕윤 Attachable tie
KR980006289U (en) * 1996-07-19 1998-04-30 권영철 Removable tie
KR200182014Y1 (en) * 1999-12-02 2000-05-15 신호철 A detachable necktie
KR20130081693A (en) * 2013-07-01 2013-07-17 양혜지 Tie attach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062U (en) * 1993-11-23 1995-06-15 양덕윤 Attachable tie
KR980006289U (en) * 1996-07-19 1998-04-30 권영철 Removable tie
KR200182014Y1 (en) * 1999-12-02 2000-05-15 신호철 A detachable necktie
KR20130081693A (en) * 2013-07-01 2013-07-17 양혜지 Tie attach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826B1 (en)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07339A (en) Shirt having suspenders function
US5560045A (en) Multi-purpose apparatus braces/suspenders and methods of their use
KR101335507B1 (en) A Belt for the Utilization of the Pelvis
KR101586826B1 (en) Automatic necktie having fixing means
KR101561100B1 (en) Tightening device for clothes
KR101589032B1 (en) Easyon-and-offrunningshirt
CN201518763U (en) Tying-free type convenient tie
KR200479778Y1 (en) One-piece
KR100645337B1 (en) Neck tie
KR20130006613U (en) Hood type clothes
JP3178189U (en) Renovation kimono
JP3219717U (en)
JP3152122U (en) Accessories blitch tie
KR20090079811A (en) Cover for solid finishing device for garments
JP6798837B2 (en) pants
KR200348543Y1 (en) Wearing tool of necktie
KR200458951Y1 (en) bolo tie
JP3186522U (en) Collar decoration
JP3098708U (en) Wet suits such as surfing
KR960002972Y1 (en) Buckle
KR101587647B1 (en) Removable tie fixing
KR200240356Y1 (en) Scarf
JP3202497U (en) Dressing accessories that fix the position of the coat of clothing.
JP2007224469A (en) Easy necktie requiring only single action, and holder
KR200181989Y1 (en) Neckt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