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934A -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934A
KR20150036934A KR20130115975A KR20130115975A KR20150036934A KR 20150036934 A KR20150036934 A KR 20150036934A KR 20130115975 A KR20130115975 A KR 20130115975A KR 20130115975 A KR20130115975 A KR 20130115975A KR 20150036934 A KR20150036934 A KR 20150036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external device
display devi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9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6723B1 (en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723B1/en
Publication of KR2015003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7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An operating method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dentifying whether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identifying a video output mode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setting an output area of a display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 and displaying an input video which i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 the set output area.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by setting an output region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video output mode of an external apparatus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

최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digital TV services us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have become popular. The digital TV service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that can not be provided by the existing analog broadcasting service.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한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which is one kind of digital TV service, it provides a bidirectionality allowing the user to actively select the type of viewing program, viewing time, and the like. The IPTV service may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Internet search, home shopping, online game, etc. based on the bidirectionality.

또한, 최근에는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 service for displaying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a video display device has appeared.

그러나, 영상 표시 기기는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의 모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입력 받은 영상을 그대로 표시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20)는 외부 기기(10)에서 출력하는 영상을 그대로 표시하므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영역이 좌우로 넓음에도 불구하고, 가운데의 일부 영역에만 실 영상이 표시되고, 의미 없는 블랙 영역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not confirm the mode of the video output of the external device, the input video is displayed as it is. 1, the video display device 20 displays an image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10 as it is, so that even if the area that can be displayed is wide left and r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black areas is increased, which is meaningless.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PBP(Picture By Picture)를 지원하는 영상 표시 기기(20)를 통해 화면을 재구성하여도 연결된 외부 기기의 영상을 화면 비율에 맞추어 표시하지 못하고, 블랙 영역이 계속 표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lso, as shown in FIG. 2, even if the screen is reconfigured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20 supporting PBP (Picture By Picture), the image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can not b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aspect ratio, A problem arises.

본 발명은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상관 없이 블랙 영역이 축소되도록 영상 표시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화면을 조절할 수 있는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n output screen of a display unit of an image display device so that a black region is reduced regardless of a video output mode of an external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 연결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출력 영역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checking a video output mode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Setting an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video output mode of the device, and displaying the input imag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 the set output are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상기 영상 표시 기기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을 입력 받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출력 영상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며, 설정된 출력 영역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n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utput imag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an input imag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an image output mode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s set, an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set in accordance with a confirmed image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and an input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영상 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여 의미 없는 영역인 블랙 영역의 면적이 축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set according to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so that the area of the black area, which is a meaningless area,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의 화면 비율을 최대한 유지하여 최적의 화면 구성이 가능해 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mal screen configuration can be achieved by maintaining the aspect ratio of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변경됨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영상을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영상 표시 기기에 임의의 조작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utomatically recognized that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changed and the video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perform any operation on the video display device.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연결된 외부 기기의 영상을 영상 표시 기기에 그대로 표시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확인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출력 영역이 구분된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예를 보여준다.
1 and 2 show an example of displaying an image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in the related art as it is in an image display devic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video output mode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firming a video output mode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tting an output area of a display unit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image output mode of an external device determ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show an example of displaying an image on a display unit in which an output reg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an image output mode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 표시 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for example, and is equipped with an internet function while being faithful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interface such as touch screen or space remote control. Also, i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by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and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e.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Therefore,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d or delete various applications, for example,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so that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can be performed. More specifically,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be, for example, a network TV, an HBBTV, a smart TV, an LED TV, an OLED TV, or the like, and may be applicable to a smartphone in some cas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3,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control unit 170, a display unit 180 An audio output unit 185, and a power supply unit 190. The broadcast receiver 130 may include a tuner 131, a demodulator 132, and a network interface 133.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데이터 통신, 충전을 위해 영상 표시 기기(100)와 외부 기기 간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provide a connection betwee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for data communication and charging.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to the control unit 170 or the storage unit 1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to another user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via the network connected thereto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 표시 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transmit some content data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nother user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a selected user or selected on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it is possible to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the server.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or the network operator. That is,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receive contents such as a movie, an advertisement, a game, a VOD, a broadcast signal, and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receive update information and an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and can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among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via the network.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programs for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ler 170, and can store image-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It may also store information about the image.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reproduce and provide a content file (a moving image file, a still image file, a music file, a document file, an application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o a user.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may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Ultra Wideband (WB), ZigBee,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and infrared (IR)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process control signals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and the like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transmit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ler 170.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 [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through audio.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 표시 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he control unit 170 accesses the network and displays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desired by the user And can be downloaded into the display device 100.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70 can output the video or audio signal processed through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video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For example, So that a video signal or a voice sig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image and may output the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31 or the exter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The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the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content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the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to be reproduced, and the content may be a broadcast video, an external input video, Files, still images, connected web screens, and document files.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 converts the video signal, the data signal, the OSD signal, the video signal, the data signal, and the like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Signal can be generated.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tually implemented.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constituted by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apparatus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1,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tuner 131 and a demodulator 13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interface 133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40. [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and reproduce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135.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divided into an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et-top box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or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network services, and a content playback device for playing back content in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영상 표시 기기(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not only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but also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the set-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be an audio output unit or an audio output unit.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가 영상 표시 기기(100)에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01). 일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는 이동 단말기 일 수 있고,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기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 및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101). In one embodiment,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may be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smart devic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와 외부 기기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및 모바일리티 디스플레이포트(MyDP: Mobility Display port)중 어느 하나의 규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connected through a standard of either a 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or a mobility display port (MyDP).

MHL은 기존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에서 데이터 통신 및 충전이 추가된 규격으로 스마트 기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영상을 고 해상도를 갖는 영상으로 영상 표시 기기(100)에 출력할 수 있는 규격이다.MHL is a standard to which data communication and charging are added in a conventional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tandard, and is capable of outputting an image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devic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s an image having a high resolution .

MyDP는 마이크로 커넥터를 통해 스마트 모바일 기기와 영상 표시 기기(100) 간의 1080p/60Hz 오디오 및 비디오 (AV) 스트리밍을 지원하며, 동일한 표준 마이크로 커넥터를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AV 스트리밍과 배터리 충전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규격이다.MyDP supports 1080p / 60Hz audio and video (AV) streaming between smart mobile devices and video display devices (100) via microconnectors and can be used to simultaneously run AV streaming and battery charging of mobile devices using the same standard microconnector Is a standard.

영상 표시 기기(10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연결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한다(S103). 일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는 세로 모드 및 가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세로 모드는 제1 출력 모드 또는 수직 모드로 가로 모드는 제2 출력 모드 또는 수평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When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onfirms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S103). In one embodiment,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 vertical mode and a horizontal mode. For convenience, the portrait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output mode or the vertical mode, and the landscape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output mode or a horizontal mode.

세로 모드 및 가로 모드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ortrait mode and the landscape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video output mode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외부 기기(300)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에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외부 기기(300)의 영상 출력 모드가 가로 모드에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300 is in the vertical mode, and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300 is in the horizontal mode.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에서 외부 기기는 스마트 폰 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5 and 6, it is assumed that the external device is a smart phone.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기기(30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영상(400)을 출력한다. 외부 기기(300)는 영상(400)을 세로 모드에서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세로 모드는 외부 기기(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영상(400)의 짧은 변의 길이가 수평선(K)과 평행하고, 영상(400)의 긴 변의 길이가 수평선(K)에 수직이 되도록 영상(400)이 표시된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 the external device 300 outputs the image 400 to the display screen. The external device 300 can operate to output the image 400 in the portrait mode. The vertical mode is a mod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image 400 output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300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line K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image 400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K, 400 may be displayed.

구체적으로, 세로 모드는 도 5의 (a)와 같이, 외부 기기(300)가 세로로 배치된 경우, 도 5의 (b)와 같이, 외부 기기(300)가 가로로 배치된 경우에 상관없이 외부 기기(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영상(400)의 짧은 변의 길이가 수평선(K)과 평행하고, 영상(400)의 긴 변의 길이가 수평선(K)에 수직이 되도록 영상(400)이 표시된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vertical mode, as shown in FIG. 5A, when the external devices 300 are arranged vertically, as in FIG. 5B, regardless of whether the external devices 300 are horizontally arranged The image 4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300 so that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image 400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line K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image 400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K. It may be a mode in a displayed state.

외부 기기(300)가 세로로 배치된 경우는 외부 기기(300)의 짧은 변의 길이가 수평선(K)과 평행하고, 외부 기기(300)의 긴 변의 길이가 수평선(K)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경우일 수 있다. 외부 기기(300)가 가로로 배치된 경우는 외부 기기(300)의 짧은 변의 길이가 수평선(K)과 수직을 이루고, 외부 기기(300)의 긴 변의 길이가 수평선(K)과 수평이 되도록 배치된 경우일 수 있다.When the external devices 300 are arranged vertically,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external device 300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line K,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external device 300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K . When the external device 300 is disposed horizontally,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external device 300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K,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external device 300 is aligned with the horizontal line K Lt; / RTI >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기기(30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영상(400)을 출력한다. 외부 기기(300)는 영상(400)을 가로 모드에서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가로 모드는 외부 기기(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영상(400)의 짧은 변의 길이가 수평선(K)과 수직이고, 영상(400)의 긴 변의 길이가 수평선(K)에 수평이 되도록 영상(400)이 표시된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external device 300 outputs the image 400 to the display screen. The external device 300 can operate to output the image 400 in the landscape mode. The horizontal mode is a mod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image 400 output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300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K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image 400 is horizontal 400 may be displayed.

구체적으로, 세로 모드는 도 6의 (a)와 같이, 외부 기기(300)가 가로로 배치된 경우, 도 6의 (b)와 같이, 외부 기기(300)가 세로로 배치된 경우에 상관없이 외부 기기(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영상(400)의 짧은 변의 길이가 수평선(K)과 수직을 이루고, 영상(400)의 긴 변의 길이가 수평선(K)에 수평이 되도록 영상(400)이 표시된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vertical mode, as shown in FIG. 6A, when the external devices 300 are arranged horizontally, regardless of whether the external devices 300 are arranged vertically, as shown in FIG. 6B, The image 400 is display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image 400 output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300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K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image 400 is horizontal to the horizontal line K. [ May be a mode in a displayed state.

다시 도 4를 설명한다.4 will be described again.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인지 가로 모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analyz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to check whether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portrait mode or the landscape mod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firming a video output mode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Particularly,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hecking whether a video output mode of an external device is a vertica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되어 영상 표시 기기(100)로 입력되는 입력 영상(500)을 보여주고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가 출력하는 영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n input image 500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and inpu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shown. That is,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receive an image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FIG.

영상 표시 기기(100)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영상(500)은 실 영상(510) 및 블랙 영상(5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 영상(510)은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실제로 표시되고 있는 영상일 수 있고, 블랙 영상(520)은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시되고 있지 않는 영상으로 검정색의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input image 500 in whic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 real image 510 and a black image 520. The real image 510 may be an image that is actually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f an external device, and the black image 520 may be displayed as a black image by an image that is no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f an external device.

실 영상(510) 및 블랙 영상(520)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The real image 510 and the black image 52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실 영상(510) 및 블랙 영상(520)은 픽셀에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 영상(510)은 픽셀에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 상태의 영상이고, 블랙 영상(510)은 픽셀에 기 설정된 레벨 미만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 상태의 영상일 수 있다.The real image 510 and the black image 520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a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is input to the pixel. Specifically, the real image 510 may be an image in which a video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is input to the pixel, and the black image 510 may be an image in which a video signal of a level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s input to the pixel.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레벨은 그레이 레벨(gray level)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level may be a gray level, but this is only an example.

거리(A)는 입력 영상(500)의 제1 가로선(501)으로부터 실 영상(510)의 제1 가로선(511)까지의 수직 거리일 수 있다.The distance A may be a vertical distance from the first horizontal line 501 of the input image 500 to the first horizontal line 511 of the real image 510.

거리(B)는 실 영상(510)의 높이 일 수 있다. 거리(B)는 실 영상(510)의 제1 세로선(513) 및 실 영상(510)의 제2 세로선(514)의 길이 일 수 있다.The distance B may be the height of the real image 510. The distance B may be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line 513 of the real image 510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vertical line 514 of the real image 510. [

거리(C)는 입력 영상(500)의 제2 가로선(502)으로부터 실 영상(510)의 제2 가로선(512)까지의 수직 거리일 수 있다.The distance C may be a vertical distance from the second horizontal line 502 of the input image 500 to the second horizontal line 512 of the real image 510. [

거리(D)는 입력 영상(500)의 높이 일 수 있다. 거리(D)는 입력 영상(500)의 제1 세로선(503) 및 입력 영상(500)의 제2 세로선(504)의 길이일 수 있다. The distance D may be the height of the input image 500. The distance D may be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line 503 of the input image 500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vertical line 504 of the input image 500. [

거리(E)는 입력 영상(500)의 제1 세로선(503)으로부터 실 영상(510)의 제1 세로선(513)까지의 수평 거리일 수 있다.The distance E may be a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first vertical line 503 of the input image 500 to the first vertical line 513 of the real image 510. [

거리(F)는 실 영상(510)의 너비일 수 있다. 거리(F)는 실 영상(510)의 제1 가로선(511) 및 실 영상(510)의 제2 가로선(512)의 길이 일 수 있다.The distance F may be the width of the real image 510. The distance F may be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line 511 of the real image 510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horizontal line 512 of the real image 510.

거리(G)는 입력 영상(500)의 제2 세로선(504)으로부터 실 영상(510)의 제2 세로선(514)까지의 수평 거리일 수 있다.The distance G may be a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econd vertical line 504 of the input image 500 to the second vertical line 514 of the real image 510.

거리(H)는 입력 영상(500)의 너비 일 수 있다. 거리(H)는 입력 영상(500)의 제1 가로선(501)의 길이 및 입력 영상(500)의 제2 가로선(502)의 길이 일 수 있다.The distance H may be the width of the input image 500. The distance H may be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line 501 of the input image 500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horizontal line 502 of the input image 500.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표시 기기(100)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기 설정된 레벨을 이용하여 A, B, C, E, F, G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인 픽셀들을 검출하여 A, B, C, E, F, G를 측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measure A, B, C, E, F, and G using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a predetermined level.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70 may detect pixels A, B, C, E, F, and G having a level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of a video signal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표시 기기(100)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D 및 H를 측정할 수 있다.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표시 기기(100)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영상 표시 기기(100)로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ata Enable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D 및 H는 고정된 값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can measure D and H using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a Data Enable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video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In one embodiment, D and H may be fixed values.

제어부(170)는 측정된 거리들(A, B, C, D, E, F, G, H)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인지 가로 모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리(A)가 α보다 작고, 거리(B)가 β보다 크고, 거리(E)가 δ보다 크고, 거리(F)가 ε보다 크고, ζ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an confirm whether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portrait mode or the landscape mode using the measured distances A, B, C, D, E, F, Specifically, when the distance A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 is larger than?, The distance E is larger than?, The distance F is larger than?, And smaller tha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device is in the vertical mode.

여기서, α 및 β는 영상 표시 기기(100)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통해 측정된 거리(D)를 기준으로 특정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특정 비율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값일 수 있다.Here,? And? Can be set at a specific ratio based on the distance D measured through the video signal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In one embodiment, the specific rate may be a value that may vary depending on user settings.

또한, δ, ε, ζ는 영상 표시 기기(100)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통해 측정된 거리(H)를 기준으로 특정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특정 비율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값일 수 있다.Further,?,?, And? Can be set to a specific ratio based on the distance H measured through the video signal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FIG. In one embodiment, the specific rate may be a value that may vary depending on user settings.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실 영상(510)의 제1 가로선(511)의 길이인 F 및 제1 세로선(513)의 길이인 B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실 영상(510)의 제1 가로선(511)의 길이인 F 및 제1 세로선(513)의 길이인 B를 비교하여 제1 가로선(511)의 길이가 제1 세로선(513)의 길이보다 작다면,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에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실 영상(510)의 제1 가로선(511)의 길이인 F 및 제1 세로선(513)의 길이인 B를 비교하여 제1 가로선(511)의 길이가 제1 세로선(513)의 길이보다 크다면,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가로 모드에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can check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length F of the first horizontal line 511 and the length B of the first vertical line 513 of the real image 510 .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70 compares the length F of the first horizontal line 511 of the real image 510 with the length B of the first vertical line 513 and determines whether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line 511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line 513,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line 511 of the real image 510 and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line 513 can be confirmed as the image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vertical mode And if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line 511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line 513,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horizontal mode.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에 있지 않는 경우,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가로 모드에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하지 않는 경우,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가로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not in the vertical mode, the controller 170 can confirm that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horizontal mode. That is, when the above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controller 170 can determine that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landscape mode.

다시 도 4를 설명한다.4 will be described again.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확인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을 설정한다(S105). 즉,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을 세로 모드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의 영역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고,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을 가로 모드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의 영역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ets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S105). That is, when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vertical mode, the control unit 170 may set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to be divided into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mode, When the video output mode is the horizontal mode,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may be separately set so that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s to the landscape mod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and FIG.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확인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tting an output area of a display unit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image output mode of an external device determ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 8은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 설정 방법의 예를 보여주고, 도 9는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 설정 방법의 예를 보여준다.8 shows an example of an output area setting method of the display unit 180 when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vertical mode, An example of a method of setting an output area of the output unit 180 is shown.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 인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을 제1 출력 영역(181) 및 제2 출력 영역(183)으로 구분하여 각 출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8, when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vertical mode, the controller 170 sets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to the first output area 181 and the second output area 183 Each output area can be set separately.

제1 출력 영역(181)에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서 출력되는 방송 채널의 영상, 디스플레이 포트(DP), HDMI, DVI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고, 제2 출력 영역(183)에는 영상 표시 기기(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An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port DP, HDMI, and DVI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output area 181 and a video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device 181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output area 183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be displayed.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 인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이 외부 기기의 세로 모드에 대응되도록 제2 출력 영역(183)을 설정할 수 있고, 그외의 나머지 영역에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서 출력되는 방송 채널의 영상 등이 출력되도록 제1 출력 영역(181)을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vertical mode, the controller 170 can set the second output area 183 such that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180 corresponds to the vertical mode of the external device, The first output area 181 may be set so that the image of the broadcast channel output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output.

일 실시 예에서 제1 출력 영역(181)의 가로 길이는 제2 출력 영역(183)의 길이보다 클 수 있고, 제1 출력 영역(181)의 세로 길이 및 제2 출력 영역(183)의 세로 길이는 같을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 영역(181)의 면적은 제2 출력 영역(183)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The width of the first output region 181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output region 183 and the length of the first output region 181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output region 183 Can be the same. The area of the first output area 181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output area 183.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가로 모드 인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을 제3 출력 영역(185) 및 제4 출력 영역(187)으로 구분하여 각 출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9, when the image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landscape mod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to correspond to the third output area 185 and the fourth output area 187, And each output area can be set.

제3 출력 영역(185)에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서 출력되는 방송 채널의 영상, 디스플레이 포트(DP), HDMI, DVI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고, 제4 출력 영역(187)에는 영상 표시 기기(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An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port DP, HDMI, and DVI can be displayed in the third output area 185, and the image output from the fourth output area 187 can be displayed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be displayed.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가로 모드 인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이 외부 기기의 가로 모드에 대응되도록 제4 출력 영역(187)을 설정할 수 있고, 그외의 나머지 영역에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서 출력되는 방송 채널의 영상 등이 출력되도록 제3 출력 영역(185)을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landscape mode, the controller 170 can set the fourth output area 187 such that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180 corresponds to the landscape mode of the external device, The third output area 185 may be set so that the image of the broadcast channel output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output.

일 실시 예에서 제3 출력 영역(185)의 가로 길이는 제4 출력 영역(187)의 길이와 같을 수 있고, 제3 출력 영역(185)의 세로 길이 및 제4 출력 영역(187)의 세로 길이는 같을 수 있다. 또한, 제3 출력 영역(185)의 면적은 제4 출력 영역(187)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The width of the third output region 185 may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fourth output region 187 and the length of the third output region 185 and the length of the fourth output region 187 Can be the same. The area of the third output area 185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ourth output area 187. [

다시 도 4를 설명한다.4 will be described again.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 설정이 완료된 후, 외부 기기가 출력하고 있는 출력 영상을 캡쳐하고(S107), 캡쳐된 외부 기기의 출력 영상을 설정된 출력 영역에 표시한다(S109). 즉,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을 확인된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캡쳐하여 캡쳐한 영상을 설정된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ptures an output image output by the external device after the output area setting of the display unit 180 is completed in step S107 and outputs the output image of the captured external device to the set output (S109). That is, the control unit 170 can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the externa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confirmed image output mode, and display the captured image in the output area of the set display unit 18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1. FIG.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출력 영역이 구분된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예를 보여준다.10 and 11 show an example of displaying an image on a display unit in which an output reg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an image output mode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 10은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각 출력 영역에 표시된 영상의 예를 보여주고, 도 11은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각 출력 영역에 표시된 영상의 예를 보여준다.In particular, FIG. 10 show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in each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when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vertical mode, FIG. 11 shows an example of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And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ed in each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is shown.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이므로, 디스플레이부(180)는 세로 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비율을 재 구성하여 제1 출력 영역(181)에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서 출력된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출력 영역(183)에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since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vertical mode, the display unit 180 reconstructs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unit 180 according to the vertical mode,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image of a broadcasting channel output from the device 100 and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n the second output area 183.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가로 모드이므로, 디스플레이부(180)는 가로 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비율을 재 구성하여 제3 출력 영역(185)에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서 출력된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4 출력 영역(187)에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11, since the image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landscape mode, the display unit 180 reconstructs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unit 180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mode, The image of the broadcast channel output from the device 100 can be displayed and the image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can be displayed in the fourth output area 187. [

다시 도 4를 설명한다.4 will be described again.

그 후,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연결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11). 즉,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었는지 또는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onfirms whether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s changed (S111). That is, the controller 170 can confirm whether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has been changed from the portrait mode to the landscape mode or the landscape mode to the portrait mode.

제어부(170)는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대한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단계 S103으로 돌아가 영상 출력 모드의 확인 과정을 거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may go back to step S103 to check whether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changed or not by checking the video output mode.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계 S107로 돌아간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not chang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7.

한편, 외부 기기와 영상 표시 기기(100)간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하지 않고, 영상 표시 기기(100)가 출력하는 영상만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terminate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does not distinguish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device 180 and displays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be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영상 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여 의미 없는 영역인 블랙 영역의 면적이 축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set according to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so that the area of the black area, which is a meaningless area,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의 화면 비율을 최대한 유지하여 최적의 화면 구성이 가능해 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mal screen configuration can be achieved by maintaining the aspect ratio of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변경됨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영상을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영상 표시 기기에 임의의 조작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utomatically recognized that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changed and the video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perform any operation on the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readable by a processor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Claims (20)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 연결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출력 영역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Confirming whether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Confirming a video output mode of a connected external devic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Setting an output area of a display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video output mode of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 And
And displaying the input imag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 the set output area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모드는
상기 외부 기기의 화면에 출력된 영상의 짧은 변의 길이가 수평선과 평행하고, 긴 변의 길이가 수평선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모드인 제1 출력 모드 및
상기 외부 기기의 화면에 출력된 영상의 짧은 변의 길이가 수평선과 수직을 이루고, 긴 변의 길이가 수평선과 평행이 되도록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모드인 제2 출력 모드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deo output mode
A first output mode which is a mode i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such that a length of a short side of an image output to a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is parallel to a horizontal line and a length of a long side is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line,
And a second output mode i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line.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은 실 영상 및 블랙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 및 상기 실 영상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각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put image includes a real image and a black image,
The step of confirming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Measuring a length and a length of the input image and a length and a width of the real image;
And checking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measured lengths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 영상 및 상기 블랙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픽셀에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영상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real image and the black image
A video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is input to a pixel of the display unit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레벨은 그레이 레벨(gray level)이고,
상기 실 영상은 상기 픽셀에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 상태의 영상이고, 상기 블랙 영상은 픽셀에 기 설정된 레벨 미만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 상태의 영상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determined level is a gray level,
The real image is an image in which a video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is input to the pixel, and the black image is a video image in which a video signal of a level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s input to the pixel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측정된 각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의 가로선으로부터 상기 실 영상의 가로선 까지의 수직 거리가 α보다 작고, 상기 실 영상의 세로 길이가 β보다 크고, 상기 입력 영상의 세로 길이로부터 상기 실 영상의 세로선까지의 수평 거리가 δ보다 크고, 상기 실 영상의 가로 길이가 ε보다 크고, ζ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세로 모드에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α 및 β는 상기 입력 영상의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특정 비율을 갖도록 설정되며,
상기 δ, ε, ζ는 상기 입력 영상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특정 비율을 갖도록 설정된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confirming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measured lengths
Wherein a vertical distance from a horizontal line of the input image to a horizontal line of the real image is smaller than a, a vertical length of the real image is larger than?, And a horizontal distance from a vertical length of the input image to a vertical line of the real image is I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real image is larger than? And smaller than?
Confirming that the video output mode is in the portrait mode,
The alpha and beta are set to have a specific ratio based o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input image,
[Delta], [epsilon], and [zeta] are set to have a specific ratio based 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input image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제1 출력 영역 및 제2 출력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 영역에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출력 영역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etting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Dividing and setting an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into a first output area and a second output area,
Displaying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in the first output area and displaying an input imag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 the second output area,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입력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출력 영역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캡쳐된 입력 영상을 상기 설정된 출력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capturing an input imag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step of displaying the input imag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 the set output area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nput image in the set output area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checking whether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has been changed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Resetting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hanged video output mode when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changed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을 입력 받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출력 영상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며, 설정된 출력 영역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A video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receiving an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utput imag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an input imag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o as to set an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 unit
Video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모드는
상기 외부 기기의 화면에 출력된 영상의 짧은 변의 길이가 수평선과 평행하고, 긴 변의 길이가 수평선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모드인 제1 출력 모드 및
상기 외부 기기의 화면에 출력된 영상의 짧은 변의 길이가 수평선과 수직을 이루고, 긴 변의 길이가 수평선과 평행이 되도록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모드인 제2 출력 모드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video output mode
A first output mode which is a mode i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such that a length of a short side of an image output to a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is parallel to a horizontal line and a length of a long side is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line,
And a second output mode i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line.
Video display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은 실 영상 및 블랙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 및 상기 실 영상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하는
영상 표기 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put image includes a real image and a black image,
The control unit
The length and width of the input image and the length and width of the real image are measured and the image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checked using the measured length
Imaging equipme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 영상 및 상기 블랙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픽셀에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영상인
영상 표시 기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al image and the black image
A video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is input to a pixel of the display unit
Video display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레벨은 그레이 레벨(gray level)이고,
상기 실 영상은 상기 픽셀에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 상태의 영상이고, 상기 블랙 영상은 픽셀에 기 설정된 레벨 미만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 상태의 영상인
영상 표시 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edetermined level is a gray level,
The real image is an image in which a video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is input to the pixel, and the black image is a video image in which a video signal of a level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s input to the pixel
Video display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의 가로선으로부터 상기 실 영상의 가로선 까지의 수직 거리가 α보다 작고, 상기 실 영상의 세로 길이가 β보다 크고, 상기 입력 영상의 세로 길이로부터 상기 실 영상의 세로선까지의 수평 거리가 δ보다 크고, 상기 실 영상의 가로 길이가 ε보다 크고, ζ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영상 출력 모드를 세로 모드에 있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α 및 β는 상기 입력 영상의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특정 비율을 갖도록 설정되며,
상기 δ, ε, ζ는 상기 입력 영상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특정 비율을 갖도록 설정된
영상 표시 기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 unit
Wherein a vertical distance from a horizontal line of the input image to a horizontal line of the real image is smaller than a, a vertical length of the real image is larger than?, And a horizontal distance from a vertical length of the input image to a vertical line of the real image is And whe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real image is larger than? And smaller tha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output mode is in the portrait mode,
The alpha and beta are set to have a specific ratio based o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input image,
[Delta], [epsilon], and [zeta] are set to have a specific ratio based 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input image
Video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제1 출력 영역 및 제2 출력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상기 제1 출력 영역에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출력 영역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output area and a second output area,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output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in the first output area and an input imag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 the second output area,
Video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입력 영상을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입력 영상을 상기 설정된 출력 영역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Capturing an input imag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nput image in the set output area
Video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영상 표시 기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has been changed
Video display de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의 영상 출력 모드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영상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재 설정하는
영상 표시 기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trol unit
When the video output mode of the external device is changed,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unit is reset according to the changed video output mode
Video display device.
KR1020130115975A 2013-09-30 2013-09-30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467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75A KR102146723B1 (en) 2013-09-30 2013-09-30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75A KR102146723B1 (en) 2013-09-30 2013-09-30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34A true KR20150036934A (en) 2015-04-08
KR102146723B1 KR102146723B1 (en) 2020-08-21

Family

ID=5303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975A KR102146723B1 (en) 2013-09-30 2013-09-30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72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319A (en) * 2011-11-15 201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by using tv and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319A (en) * 2011-11-15 201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by using tv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723B1 (en)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609B1 (en) Content share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78806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tents using the same
US87827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user interface objects in accordance with a variable scaling factor
US2013017420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play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45283B2 (en) Display device
KR1013964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ltra High-Definition image from settop box to a sub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KR20030038824A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video display through a wireless projector
KR20160115264A (en) Displaying apparatus, server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210073280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303958B2 (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of the same
KR1021526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related in mirroring picture
JP2014082722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of electronic device
EP285441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179815A1 (en) Electronic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66914A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to device, and the device
CN109640136B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elevision,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medium
KR20100053300A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for providing broadcast supplement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US10104330B2 (en) Multimedia content minimization on mute command
KR102146723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4233874A (en) Display device and enlargement display method
TWI571119B (en) Method and system of displaying and controlling, breakaway judging apparatus and video/audio processing apparatus
US20090013346A1 (en) Method for restricting viewing access to broadcast program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6061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service using external device and digital tv
CN104980784A (en)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sor thereof
KR20200035567A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a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