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694A -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에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에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694A
KR20150036694A KR1020157004163A KR20157004163A KR20150036694A KR 20150036694 A KR20150036694 A KR 20150036694A KR 1020157004163 A KR1020157004163 A KR 1020157004163A KR 20157004163 A KR20157004163 A KR 20157004163A KR 20150036694 A KR20150036694 A KR 20150036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object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hysical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835B1 (ko
Inventor
알랭 파스토르
마티유 보베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50036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물리적 객체(4,9,10)와 통신장치(1) 사이에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물리적 객체와 상기 통신장치 둘 모두는, 데이터 처리 유닛, 접촉 통신 인터페이스(6,7) 및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를 포함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물리적 객체와 상기 통신장치 사이에 물리적 연결과 상기 물리적 객체의 접촉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통신장치 사이의 접촉을 확립하는 단계,
- 상기 인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물리적 객체를 통해 통신에 대한 액세스 권한들을 허가하기 위해, 상기 물리적 연결을 통하여 인가 데이터를 상기 물리적 객체와 상기 통신장치에 사이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권한들은, 상기 연결장치가 상기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물리적 객체의 기능을 유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Description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에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A METHOD FOR ESTABLISHING AN AUTHORIZED COMMUNICATION BETWEEN A PHYSICAL OBJECT AND A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의 상호 작용 분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광역 통신 네트워크을 통하여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의 통신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들, 텔레비전들, 광고 판들, 램프들, 가전 제품들과 같은 일상적인 장치들이 될 수 있는 물리적 객체들을 연결하는 소위 사물 간의 웹("Web Of Things")에 명백히 관련된다.
이러한 아키텍처의 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들이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그리고 인터넷을 통하여 물리적 객체들과 상호 작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Smartphone")과 같은 셀폰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매커니즘들은 사물 간의 웹("Web Of Things")에 관한 연구들에서 명백히 설명된다. 예를 들어, D.Guinard 및 V.Trifa에 의한 논문, "Towards the Web of Things:Web Mashup for Embedded Devices" (Mashups에 대한 2nd Workshop 회보, Enterprises Mashups and Lightweight Composition on the Web(MEM'09) 2009)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에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물리적 객체와 상기 통신장치 둘 모두는, 데이터 처리 유닛, 접촉 통신 인터페이스 및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 물리적 객체의 접촉 통신 인터페이스와 통신장치의 접촉 인터페이스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에 물리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 인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물리적 객체를 통해 통신에 대한 액세스 권한들을 허가하기 위해, 상기 물리적 연결을 통하여 인가 데이터를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액세스 권한들은, 통신장치가 물리적 객체의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통신장치의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물리적 객체의 보호된 데이터로의 기록 액세스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아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보호된 데이터는 확장 모듈을 포함하고, 액세스 권한들은 통신장치가 상기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물리적 객체의 확장 모듈에 소프트웨어 모듈을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소프트웨어 모듈은 물리적 객체의 하드웨어 성능들과 관련된 기능을 물리적 객체에 제공하도록 적응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확장 모듈 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프트웨어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는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매칭 소프트웨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물리적 객체의 의미론적 기술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칭 소프트웨어 모듈의 신원확인은 물리적 객체의 의미론적 기술의 기능으로서 이루어진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의미론적 기술은 물리적 객체를 식별하는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고, 매칭 소프트웨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는 장치 식별자를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내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모듈 기술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는 통신장치 내에 포함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장치 식별자는, 일련 번호들, 모델 번호들 및 상표들로 구성된 그룹 내에서 선택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설치된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으로서 물리적 객체의 인터페이스 및 의미론적 기술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정보를 통신장치에서 광역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물리적 객체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정보는 통신 단말기를 인증하기 위해서 인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인가 데이터는 보안 키들을 포함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객체는 가상 객체와 연관되고, 가상 객체는 상기 보호된 데이터와 의미론적 기술을 포함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소유자 데이터를 통신장치에서 물리적 객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유자 데이터는 통신장치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액세스 권한들은 소유자 데이터의 기능으로서 물리적 객체에 의해 허가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에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물리적 객체와 상기 통신장치 둘 모두는, 데이터 처리 유닛, 접촉 통신 인터페이스 및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 물리적 객체의 접촉 통신 인터페이스와 통신장치의 접촉 인터페이스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의 물리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 인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물리적 객체를 통해 통신에 대한 액세스 권한들을 허가하기 위해, 상기 물리적 연결을 통하여 인가 데이터를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액세스 권한들은, 상기 연결 장치가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물리적 객체의 기능을 유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아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객체는 센서를 포함하고 기능은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보고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객체는 작동기를 포함하고 기능은 작동기를 제어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통신장치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및/또는 물리적 객체의 데이터를 보고하기 위해서, 기능을 트리거(trigger) 하도록 적응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물리적 객체의 기능에 해당하는 의미론적 기술을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통신장치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능의 의미론적 기술에 대한 기능으로서 이루어진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의미론적 기술은 접촉 인터페이스들을 통하여 전송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의미론적 기술은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의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인터페이스 요소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실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정보를 통신 장치에서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물리적 객체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고, 정보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기능을 트리거하는 명령어를 인증하기 위해서, 인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인가 데이터는 보안 키들을 포함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객체는 가상 객체와 연관되고, 가상 객체는 의미론적 기술을 포함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소유자 데이터를 통신장치에서 물리적 객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유자 데이터는 통신장치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액세스 권한들은 소유자 데이터의 기능으로서 물리적 객체에 의해 허가된다.
방법의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실행되는 경우 상술된 방법들 중 하나를 실행하는 컴퓨터-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또한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기초로 하는 아이디어는 통신 단말기 액세스 권한들을 물리적 접촉을 통하여 물리적 객체에 제공하는 것이고, 액세스 권한들은 통신 단말기에 광역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물리적 객체의 보호된 부분으로의 접근을 허용한다.
본 발명이 기초로 하는 아이디어는 물리적 객체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모니터하기 위해서, 통신장치가, 물리적 객체와의 물리적 접촉에 의한 액세스 권한들을 얻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새로운 기능을 물리적 객체 상에 설치하기 위해서, 통신 장치가 물리적 객체와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액세스 권한들을 얻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아이디어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물리적 객체들 상에서 구현된 일부 서비스들이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거나 모니터하기 위해서, 적합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갖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을 기초로 한다. 예를 들어, 객체의 제조 단계 동안에 기대되지 않는 서비스가, 예를 들어 네트워크로부터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함으로써 물리적 객체 상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양태들은, 사용자들이 통신장치를 통하여 서비스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 및/또는 모니터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물리적 객체에 의하여 외부의 통신장치 상에 제공된 서비스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아이디어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들은 환경을 위해 경제적이고 지속가능한 통신 물리적 객체들을 제공하는 아이디어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들은, 통신 단말기와 물리적 객체 사이에 물리적 접촉을 통하여, 물리적 객체의 제어 기능의 데이터 처리 기능을 자동으로 갱신하는 쉬운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아이디어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은,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명백하고 명료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구현된 시스템의 일반적인 아키텍처의 개략도.
도 2는 물리적 객체의 소프트웨어 부분을 수정하거나 모니터하기 위해서, 통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물리적 객체 상에 새로운 소프트웨어 모듈을 설치하기 위해서 실행된 연속적인 단계들의 예에 대한 개략도.
도 4는, 스마트폰이 물리적 객체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실행된 연속적인 단계들의 예에 대한 개략도.
도 1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고 통신 네트워크(2)에 연결된 통신 단말기(1)를 도시한다. 더 정밀하게, 통신 단말기(1)는, 통신 단말기가 네트워크(2)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기(1)는, 모바일 폰 즉, 스마트폰, 고정된 개인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는 무선 인터페이스 즉, wifi, 3G, LTE 등이 될 수 있거나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2)는 네트워크들의 다른 종류들 예를 들어 인터넷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개인 유선 네트워크, 공공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복합 네트워크이다.
본 명세서에서 램프(9)와 텔레비전 세트(10)인 수개의 물리적 객체들(4)은 또한 통신 네트워크(2)에 연결된다. 그 목적을 위하여, 물리적 객체(4)는 통신 네트워크(2)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램프(4) 내에 직접적으로 임베디드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유닛의 일부이다. 대안적으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는 복수의 물리적 객체들(4)과 통신 네트워크(2)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다른 물리적 객체들(4)은 통신 네트워크(2)에 연결될 수 있다.
물리적 객체들(4)은 다른 성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객체들(4)은 광고판, 텔레비전 세트, 가전 제품, 다른 통신 단말기, 냉장고, 카메라, 미디어 드라이브, 정보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장치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객체들(4)은 사용자의 집 안뿐만 아니라, 공공 환경들 또는 다른 장소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작업장 안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물리적 객체(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물리적 객체의 데이터 처리 유닛을 통하여 복수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서비스는 사물 간의 웹("web of things")을 통해 이용가능한 물리적 객체(4)에 의해 제공된 기능이고, 따라서 통신 단말기(1) 또는 물리적 객체(4)를 이용함으로써 웹을 통하여 사용되거나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9)는, 통신 단말기(1)가 통신 단말기(1)로 부터 원격으로 그리고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램프를 켜거나 끄는 것을 허용하는 스위치-온/스위치-오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대응하는 물리적 객체(4)의 네트워크 안의 하나의 표현 및 인터페이스인 가상 객체를 통하여 통신 단말기(1)에 액세스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가상 객체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연관된 물리적 객체(4)로의 가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물리적 객체(4)의 가상 부분이다.
가상 표현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와 의미론적 기술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는, 연관된 물리적 객체에 의해, 예를들어 다른 물리적 객체(4), 통신 단말기(1) 또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의 사용을 허용한다. 의미론적 기술은 물리적 객체(4)의 거동을 모델링(model)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것을 통신 단말기(1) 또는 다른 물리적 객체들(4)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페이스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가상 객체가 도 3 상에서 숫자 16으로 도시되고, 램프(9)에 연관된 가상 램프(16)이다. 가상 객체는, 물리적 객체 그 자체의 데이터 처리 유닛 안에 저장될 수 있고,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상기 연관된 객체에 연결된 떨어져 있는 서버 안에 저장될 수 있고, 또는 물리적 객체 및 떨어져 있는 서버 안에 분배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객체는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그러나, 물리적 객체(4)가 수행할 수 있는 일부 특정 활동들은,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액세스 제한들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어떠한 통신장치(1)에도 액세스될 수 없다. 이러한 특정 활동들은 예를 들어, 물리적 객체(4)의 데이터 처리 유닛 상에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을 설치하는 단계, 또는 물리적 객체(4)의 기능을 제어 및/또는 모니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활동들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 통신장치(1)는 이것의 연관된 가상 객체 내에 포함된 물리적 객체(4)의 소프트웨어 부분으로의 액세스를 허가받을 필요가 있다.
그 목적을 위해서, 통신 단말기(1)와 물리적 객체(4) 둘 모두는 접촉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접촉 인터페이스들은 통신 단말기(1)에 대해 숫자 7로써 그리고 물리적 객체들(4)에 대해 숫자 6으로써 도 1에 나타난다. 더 정밀하게, 접촉 인터페이스들(6 및 7)은, 인터페이스들(6 및 7)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통하여, 물리적 연결을 물리적 객체와 통신 단말기(1) 사이에 생성하도록 적응된 커넥터들이다. 물리적 객체(4)와 통신 단말기(1)는 이러한 물리적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와 물리적 객체 사이의 이러한 물리적 연결은, EP2216910에 설명되고 데이터 교환을 허용하는 제 1 장치와 제 2 장치의 물리적 데이터포트(dataport) 사이에 확립된 물리적 연결과 유사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와 물리적 객체(4) 사이의 물리적 연결 확립은,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물리적 객체(4)의 소프트웨어 부분으로의 액세스을 통신 단말기(1)에 허가한다. 그러므로, 물리적 연결은, 물리적 객체(4)와 연관된 특정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을 통신 단말기(1)에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통신 단말기(1)는, 물리적 객체(4)와의 한정된 액세스 상호작용들을 수행하기 위한 공인을 얻는다. 이 허가된 액세스는, 심지어 통신 단말기(1)가 물리적 객체(4)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물리적 객체(4)와의 제 1 접촉 이후에 통신 단말기(1)에 연속적으로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액세스는 오직 통신 단말기(1)와 물리적 객체(4) 사이의 접촉 동안에만 허가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가 물리적 객체(4)의 소프트웨어 부분에 액세스하는 연속적인 단계들은 흐름도에 의해 도 2에 도시된다.
제 1 단계(11)에서, 사용자는 이 통신 단말기(1)의 접촉 인터페이스(7)를 물리적 객체(4)의 접촉 인터페이스(6)와 접촉시킨다. 그러므로, 데이터 교환을 허용하는 물리적 연결은 램프(4)의 데이터 처리 유닛과 통신 단말기(1) 사이에 제공된다.
제 2 단계(12)에서, 일단 물리적 연결이 확립되면, 통신 단말기(1)는 물리적 객체(4)의 소프트웨어 부분으로의 액세스 권한들을 얻는다. 이러한 액세스 권한들은, 물리적 연결 덕분에 물리적 객체(4)와 통신 단말기(1)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통하여 제공된다. 더 정밀하게, 보안 키들은 물리적 객체(4)에서 통신 단말기(1)로 및 반대 방향으로 전송된다.
추가의 단계(13)에서, 통신 단말기(1)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물리적 객체의 소프트웨어 부분과 상호작용한다. 그 목적을 위하여, 통신 단말기(1)는 물리적 객체(4)로 향한 데이터 내에 보안키를 포함한다. 그것에 의하여, 물리적 객체(4)와 연관된 가상 객체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부분과의 한정된 액세스 상호작용들을 수행하도록 허용된 단말기로서, 통신 단말기(1)를 인증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통신 단말기(1)는 물리적 객체(4)의 소프트웨어 부분에 액세스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보호된 소프트웨어 부분에서 물리적 객체의 서비스들과 기능에 연관된 데이터를 추가, 수정, 또는 판독할 수 있다.
도 2에 설명된 단계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특정 예가 도 3을 참조하여 지금 설명될 것이다
도 3에서, 한 통신 단말기(1)는 램프(9)와 연결된 것처럼 통신 네트워크(2)에 연결된 디스코 마이크(15)이다. 디스코 마이크(15)은 사운드 비트의 기능으로서 주변 물리적 객체(4)에게 지시를 내리기 위해 주위 소리를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는 사운드 처리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는 이 도면상에 가상 램프(16)로서 표시된 가상 표현을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가상 램프는 램프에 의해 제공된 기능들의 사용을 허용하는 API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램프는 초기의 스위치-온/스위치-오프 기능(17)을 포함한다.
그러나, 램프(9)와 상호 작용하여 램프가 사운드 비트의 기능으로서 거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리고 특히 램프가 디스코 마이크(15)에 의해 감지된 사운드 비트의 기능으로서 점멸(blink)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램프(9) 상에 새로운 기능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 목적을 위하여, 제 1 단계에서, 사용자는 디스코 마이크(15)를 손에 넣고 이것의 접촉 인터페이스(7)를 램프(9)의 접촉 인터페이스(6)와 접촉하게 한다. 그러므로, 디스코 마이크(15)는 물리적 접촉을 통하여 램프(9)와 물리적 연결을 확립한다. 이러한 물리적 연결은 램프(9)와 디스코 마이크(15) 사이의 제 1 안전한 상호작용을 보장한다.
화살표(19)에 의해 나타난 단계에서, 디스코 마이크과 가상 램프는 보안 키들을 교환한다. 이러한 교환 동안에 수신된 보안 키를 가지고, 디스코 마이크(15)은 가상 램프(16)의 확장 모듈로의 액세스를 허가받는다. 이러한 확장 모듈(7)은, 새로운 기능을 램프(9)에게 제공할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수신할 수 있고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저장장치와 연관된다. 게다가, 확장 모듈 안에 저장될 때, 소프트웨어 모듈은 램프(9)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디스코 마이크(15)에 액세스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안 키를 가지고, 디스코 마이크(15)는 디스코 마이크가 새로운 소프트웨어 모듈을 가상 램프(9) 상에 설치하도록 허용하는 수정 권한을 허가받는다.
램프(9) 내에서 구현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특정 예가 점멸 서비스(18)이다. 이 점멸 서비스(18)는 램프(9)가 온("on") 및 오프("off")의 특정 순서에서 점멸하게 한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모듈은 램프(15)의 확장 모듈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요구에 따라서 점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램프(9)가 이것의 하드웨어와 관련된 새로운 능력들이나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램프(9)가 사운드 비트의 기능으로서 거동하게 하기 위해서, 디스코 마이크(15)는 점멸 서비스(18)를 가상 램프(16)의 확장 모듈 안에 설치한다. 이러한 단계는 화살표(20)에 의해 도시된다. 그 목적을 위하여, 디스코 마이크(15)는 가상램프(16)로부터 물리적 램프(9)의 의미론적 기술을 검색한다. 의미론적 기술은 특히 램프(9)의 모델과 같은 램프(9)의 식별자, 또는 이것의 일련 번호를 포함하는 XML 언어 내의 기술이다. 게다가, 의미론적 기술은 속성, 상태, 하드웨어 성능들, 제공된 서비스들, 소유자 정보, 객체의 타입 및 램프(9)의 지리적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미론적 기술은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또는 물리적 연결을 통하여, 가상 램프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화살표(2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코 마이크(15)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하는 외부의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22)에 액세스한다. 이러한 단계(12)에서, 디스코 마이크는, 램프(4)의 의미론적 기술 내에서 검색된 램프(9)의 일련 번호와 모델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22) 내에서 호환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검색한다.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22)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액세스되며, 램프(9)의 제조자 또는 제3자들에 속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다. 일 변형에서,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는 디스코 마이크(15)안에 포함된 데이터 저장장치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적절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또한 램프의 하드웨어 기술을 이용하여 검색될 수 있거나, 심지어 램프의 기능들에 대한 기술을 이용하여 검색될 수 있다.
적절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찾기 위해서, 디스코 마이크에 의해 요구되는 서비스와 시장에서 이용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술 사이의 연계성이 찾아져야만 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의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대응하는 의미적 가치와 필요한 서비스들의 의미론적 가치가 중요한 의미론적 상호관계를 제공할 때, 필요한 서비스와 소프트웨어 모듈 사이의 연계성이 찾아진다.
의미론적 가치들은 필요한 서비스의 식별자 또는 상호 보완적인 키워드들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계성은 직접 서비스의 식별자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상호 보완적인 키워드들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연계성은,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의 식별자 또는 제공된 서비스와 관련된 키워드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계성은, 필요한 서비스와 제공된 서비스들이 동일한 키워드 또는 식별자를 제공할 때 찾아진다.
그러나, 다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고 의미론적 가치가 다른 것 보다 더 일반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한 서비스들이 "디스플레이 화상("display picture") 의미론적 가치를 가질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사진"("disply photograph") 의미론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연계성들은 그 다음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대응하는 필요한 서비스와 관련시키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연계성이 또한 두 개의 의미론적 가치들이 동의어들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더 미세한 연계성을 만들도록 요구된다. 그 목적을 위하여, 통신 단말기(1)의 계산 수단은 존재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존재론은 웹 상에서 액세스될 수 있고 또는 국부적일 수 있다. 존재론은, 새로운 서비스들, 새로운 발전들 및 새로운 장치들을 통합하기 위해서, 발전할 수 있다. 존재론의 사용은 유사한 개념들을 관련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반짝이다"의 키워드는 "점멸"의 키워드와 관련될 수 있다.
램프(9)는 다른 기준들에 따라서 액세스 권한들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디스코 마이크(15)는 물리적 연결을 통하여 디스코 마이크의 소유자를 가리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램프(9)는 예를 들어 램프(9)의 의미론적 기술내에 표시될 수 있는 램프(9)의 소유자와 디스코 마이크(15) 소유자 사이의 사회학상의 근접을 그에 맞게 결정한다. 이들 소유자들 사이의 사회학적인 근접에 따라서, 액세스 권한들은 대체로, 다소 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9)의 소유자가 디스코 마이크(15)의 소유자와 동일한 경우, 디스코 마이크는 램프의 소프트웨어 파트로의 완전한 액세스를 얻을 수 있다. 소유자들이 다른 경우, 액세스는 오직 램프(9) 기능의 제어 및 모니터로 한정될 수 있고, 그러므로 디스코 마이크는 램프 상에 소프트웨어 모듈을 설치할 수 없다.
호환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검색한 후에, 디스코 마이크(15)는 화살표(23)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램프(9) 상에 소프트웨어 모듈의 설치를 유발한다. 새로운 소프트웨어 모듈의 설치는 통신 네트워크(2)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설치 단계(13) 동안에, 소프트웨어 모듈은 램프(9)의 소프트웨어 부분 내에 저장되고, 새로운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램프(9)의 새로운 의미론적 기술이 생성되고, 또한 가능하게 그래픽의 인터페이스(위젯) 및 새로 설치된 기능에 관한 새로운 접근 정책들이 생성된다.
소프트웨어 모듈이 설치될 때, 디스코 마이크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램프(9)의 새로운 기능 점멸(18)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코 마이크(15)는 친구 집의 아기방과 같은 다른 장소로 이동될 수 있고, 여기서 이 장소 안에서 음향 환경을 모니터하여, 램프(9)가 그에 맞게 점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게다가, 사용자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그리고 특히 웹을 통하여 새로 설치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15)는 오직 램프(9)와의 제 1 연결을 필요로 하고 그러므로 이후, 소프트웨어 모듈의 설치상의 어떠한 영향도 없이, 램프로부터 떠날 수 있다. 게다가, 마이크(15)는 오직 액세스 권한들을 얻기 위해 짧은 시간 연결을 필요로 하고, 이후 설치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수행된다.
대안의 일 실시예에서, 램프(9)와의 제 1 연결을 통하여 얻어진 액세스 권한들은, 디스코 마이크와 램프(9)사이의 물리적 근접의 기능으로서 유지되거나 또는 없어진다. 예를 들어, 액세스 권한들은 램프(9) 주위에 한정된 지리적 영역에서 유지된다. 디스코 마이크(15)가 램프(9)로부터 너무 멀리 배치된다면, 액세스 권한들은 없어진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현과 가상 램프(16)의 추가 수정들은 오직 디스코 마이크(15)가 램프(9)와 접촉할 때만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유효한 인가 데이터는, 램프와 디스코 마이크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사용자가 디스코 마이크(15)와 램프(9)사이의 접촉을 끊는다면, 디스코 마이크(15) 내에 저장된 인가 데이터는 시대에 뒤지게 될 것이고, 그러므로, 디스코 마이크(15)는 램프(9)의 소프트웨어 부분으로의 액세스 권한들을 갖지 않는다.
유사하게, 새로운 소프트웨어 모듈의 설치는 마이크와 램프 사이의 물리적 접촉의 존재에 한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설치는 심지어 마이크가 제 1 접촉 후에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인가될 수 있다.
도 4는 상술된 램프(9)상에 점멸 기능(18)의 설치 이후의 단계들을 설명한다.
터치-스크린을 제공하는 스마트폰(24)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24)을 사용함으로써 램프(9)를 제어하는 것을 원한다. 그러나, 스마트폰(24)은 처음에 램프(9)의 데이터 처리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마트폰(24)은 램프(9)를 제어하기 위해서 액세스 권한들을 얻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액세스 권한들은 오직 램프(9)와 스마트폰(24)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제공된다.
램프(4)는, 램프의 활성 또는 소등을 허용하는 온/오프 기능(17) 및 램프를 활성화시 점멸하도록 만드는 점멸 기능(18)과 같은 몇몇의 기능들을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이들 기능들(17 및 18)을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 스마트폰(24)은, 램프(9)의 접촉 인터페이스와의 물리적 접촉을 통하여, 램프에 의해 제공된 기능들로의 액세스를 허가받을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제 1 단계(25)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24)과 램프(4)를 접촉시키고, 이는 링크(26)에 의해 도 3에서 관찰될 수 있듯이 보다 정확하게, 스마트폰의 물리적 인터페이스와 램프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접촉시킨다. 이후, 스마트폰(24)은 물리적 연결을 통하여 액세스 권한들을 램프(9)로부터 얻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액세스 권한들을 사용함으로써, 스마트폰은 스위치-온/스위치-오프 기능(17) 및 점멸 기능(18)을 사용하도록 허용된다. 상술된 방법과 유사하게, 허가된 권한은, 스마트폰(24)과 램프(9) 사이에서 교환된 비밀키들로부터 비롯한다. 추가 단계(25)에서, 스마트폰(24)은 그 다음에, 램프(9)를 제어 및 모니터하는 인가된 장치로서 스마트폰(24)을 인증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가상 램프(16)로 전송할 때 비밀 키들을 사용한다.
비밀 키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은 기능(17 또는 18)의 상태를 수정하고 읽을 수 있고 또는 기능들(17 또는 18)을 실행하기 위해서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폰(24)은 또한 램프의 전력 소비을 가리키는 전력 소비 서비스를 모니터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또한 램프(9)의 데이터 처리 유닛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므로, 램프(9)는 전력 소비 서비스에 의해 결정된 전력 소비 값을 반영하는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안 키들을 사용하여, 스마트폰(24)은 전력 소비 파라미터로의 액세스를 갖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스마트폰은 또한 그들을 모니터하기 위해 물리적 객체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데이터로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데이터는 그것을 사용했던 원격 장치들의 식별자들과 연관된 원격 장치에 의해 램프(9)의 사용에 대한 이력을 표시하는 사용 이력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물리적 객체(4)의 접촉 인터페이스(6)와 접촉된 원격 장치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링크 이력이다.
스마트폰(24) 내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설치하는 방법이 지금 설명된다.
처음으로, 스마트폰(24)은, 램프(9)의 기능들(17 및 18)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마트폰은 이제, 보안 키들의 수신 이후에, 단계(27)에서 적절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것이다.
화살표(28)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물리적 연결을 통해 제공된 액세스 권한 이외에, 스마트폰은 물리적 연결(26)을 통하여 또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램프(9)의 의미론적 기술을 검색한다. 검색된 의미론적 기술은 그들의 거동을 나타내는 기능들의 의미론적 기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의미론적 기술은 스위치-온/스위치-오프 기능이 불 항목(Boolean entry)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점멸 기능은 각각 이 특정 점멸 주파수에 연관된 복수의 미리정의된 가치 사이에서 선택된 가치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능의 의미론적 기술에 기초하여, 스마트폰은 이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어(XUL) 기술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XUL 기술은 온-오프 기능(17)이 버튼 그래픽 표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점멸 기능은 리스트-박스 그래픽 표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 단계(27)에서, 스마트폰은 버튼, 리스트박스, 또는 바퀴 작동기 또는 다른 논리적 표현들과 같은 적절한 인터페이스 가공물들(30)을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29)로 부터 얻는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의해 도달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스마트폰(24)에서 통합될 수 있다.
스마트폰(24)은 이후 인터페이스 가공물들과 XUL 기술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이것을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그때,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하여 램프(9)에게 지시를 내리기 위하여 터치-스크린과 상호 작용할 수 있고, 지시는 스마트폰(24)을 인증하기 위하여 보안키들과 함께 전송된다. 더 정밀하게, 지시들은 램프(16)의 가상 표현에 보내어지고, 대응하는 API는 이후 사용자의 지시들에 따라서, 램프의 데이터 처리 유닛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명령을 생성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XUL 인터페이스로부터 반드시 생성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인터페이스 기술들의 다른 종류들은 예를 들어,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ㅇ어(HTML) 사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게다라, 인터페이스 가공물들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서 그래픽적일 수 있고 또는 실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을 위해 실체적일 수 있다. 이러한 실체적인 인터페이스가 촉각 배열이나 모양 표시가 될 수 있다. 실체적인 인터페이스들은 예를들어, Ivan Poupyrevet, 등에 의한 "Actuation and Tangible User Interfaces:the Vaucanson Duck, Robots, and Shape Displays"에 설명된다. 실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는 모양 표시의 대응하는 작동기들을 작동함으로써 모양 디스플레이의 모양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들과 유사하게, 물리적 객체의 기능들을 제어하거나 감시하도록 제공된 액세스 권한들은 오직 물리적 객체(4)와의 접촉 동안에만 제공될 수 있고, 또는 객체와의 제 1 접촉 이후의 기간 동안에 제공될 수 있다.
물리적 인터페이스는 커넥터 또는 연결표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 범위는 설명된 본 명세서의 기본 교시 내에 올바르게 포함되고, 당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변형 및 대안적 구성을 구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동사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의 사용과 이것의 활용은 청구항에 기재된 요소 또는 단계 이외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단수의 요소나 단수의 단계는 이러한 복수의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의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의 동일한 아이템은 수개의 수단을 표현할 수 있다.
청구항들 내에서, 괄호 안의 임의의 참조 부호는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4)

  1. 물리적 객체(4,9,10)와 통신 장치(1,15,24) 사이에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물리적 객체와 상기 통신장치 둘 모두는, 데이터 처리 유닛, 접촉 통신 인터페이스(6,7) 및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를 포함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물리적 객체의 접촉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통신장치의 접촉 인터페이스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물리적 객체와 상기 통신장치 사이에 물리적 연결(11)을 확립하는 단계,
    - 상기 인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물리적 객체를 통해 통신에 대한 액세스 권한들을 허가하기 위해, 상기 물리적 연결을 통하여 인가 데이터를 상기 물리적 객체와 상기 통신장치 사이에서 전송하는 단계(12)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권한들은, 상기 연결장치가 상기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물리적 객체의 기능을 유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객체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보고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객체는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은 상기 작동기를 제어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통신 장치 상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물리적 객체의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및/또는 물리적 객체의 데이터를 보고하기 위해서 상기 기능을 유발하도록 적응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물리적 객체(4,9,10)의 기능에 대응하는 의미론적 기술을 상기 통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신 장치 상에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능의 의미론적 기술의 기능으로서 행해지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론적 기술은 상기 접촉 인터페이스들(6,7)을 통하여 전송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론적 기술은, 상기 물리적 객체(4,9,10)의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5) 및 상기 통신장치(1,15,24)를 통하여 전송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인터페이스 요소 데이터베이스(29) 상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실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물리적 객체로 향한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광역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를 통하여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통신 단말기 및 상기 기능을 유발하는 지시를 인증하기 위하여 상기 인가 데이터의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 데이터는 보안 키들을 포함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객체(4,9,10)는 가상 객체(16)에 연관되고, 상기 가상 객체는 의미론적 기술을 포함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소유자 데이터를 상기 통신장치에서 상기 물리적 객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유자 데이터는 상기 통신장치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액세스 권한들은 상기 소유자 데이터의 기능으로서 상기 물리적 객체에 의해 허가되는,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14.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실행되는 경우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다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7004163A 2012-08-20 2013-07-11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에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KR101625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81097.2A EP2701357B1 (en) 2012-08-20 2012-08-20 A method for establishing an authorized communication between a physical object and a communication device
EP12181097.2 2012-08-20
PCT/EP2013/064703 WO2014029556A1 (en) 2012-08-20 2013-07-11 A method for establishing an authorized communication between a physical object and a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694A true KR20150036694A (ko) 2015-04-07
KR101625835B1 KR101625835B1 (ko) 2016-06-13

Family

ID=4678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163A KR101625835B1 (ko) 2012-08-20 2013-07-11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에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222618A1 (ko)
EP (1) EP2701357B1 (ko)
JP (1) JP6546088B2 (ko)
KR (1) KR101625835B1 (ko)
CN (1) CN104521217B (ko)
WO (1) WO2014029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2273A (zh) * 2013-10-25 2019-09-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对用户进行认证的方法及终端
US20180004393A1 (en) * 2016-07-01 2018-01-04 Autodesk, Inc. Three dimensional visual programming interface for a network of devices
US10972306B2 (en) 2016-11-23 2021-04-06 Carrier Corporation Building management system having event reporting
JP6760186B2 (ja) 2017-04-05 2020-09-2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DE102019204077B4 (de) * 2019-03-25 2022-11-17 Vega Grieshaber Kg Berechtigungsvergabe an Feldgerä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0759A1 (en) * 2009-07-09 2011-01-13 Apple Inc. Providing a customized interface for an application stor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6374A2 (en) * 1999-11-01 2001-05-02 Citicorp Development Cen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cous and unattended installation of software on a self-service financial transaction terminal
CN1610282A (zh) * 2003-10-21 2005-04-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网络视讯远程控制系统及方法
US20070247422A1 (en) * 2006-03-30 2007-10-25 Xuuk, Inc.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EP2073183A1 (en) * 2007-12-21 2009-06-24 Alcatel Lucent Remote control system and a related mobile user terminal
US8045552B2 (en) * 2008-01-03 2011-10-25 Sony Corporation Wired exchange of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system
US8169414B2 (en) * 2008-07-12 2012-05-01 Lim Seung E Control of electronic games via finger angle using a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touch user interface
US20100034386A1 (en) * 2008-08-06 2010-02-11 Daintree Networks, Pty. Ltd. Device manager repository
EP2216910B1 (en) 2009-02-04 2014-10-08 Alcatel Lucent Method and equipment for configuring radio communications
US20100278345A1 (en) * 2009-05-04 2010-11-04 Thomas Matthieu Alsin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based pairing of mobile devices
CN101729993B (zh) * 2010-01-05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准入方法、设备和系统
JP2011242386A (ja) * 2010-04-23 2011-12-01 Immersion Corp 接触センサと触覚アクチュエータとの透明複合圧電材結合体
WO2011149558A2 (en) * 2010-05-28 2011-12-01 Abelow Daniel H Reality alternate
US8913102B2 (en) * 2010-06-30 2014-12-16 Alcatel Lucent Teleconferencing method and device
CN103180802B (zh) * 2010-11-09 2018-11-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触觉反馈的用户接口
US9032493B2 (en) * 2011-03-31 2015-05-12 Intel Corporation Connecting mobile devices, internet-connected vehicles, and cloud services
US8761050B2 (en) * 2011-10-04 2014-06-24 Advanergy, Inc. Network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US9720555B2 (en) * 2011-12-23 2017-08-01 Gary SORDEN Location-based services
US9130929B2 (en) * 2013-03-15 2015-09-08 Ao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imaging to authenticate online us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0759A1 (en) * 2009-07-09 2011-01-13 Apple Inc. Providing a customized interface for an application st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46088B2 (ja) 2019-07-17
CN104521217A (zh) 2015-04-15
WO2014029556A1 (en) 2014-02-27
JP2015530038A (ja) 2015-10-08
US20150222618A1 (en) 2015-08-06
EP2701357A1 (en) 2014-02-26
KR101625835B1 (ko) 2016-06-13
CN104521217B (zh) 2019-08-30
EP2701357B1 (en)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3800B (zh) 用于附件通信的方法、附件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JP6487072B2 (ja) 異常動作するアドレス指定可能デバイスとの通信を終了させるセキュリティコントローラを含む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KR101625835B1 (ko) 물리적 객체와 통신장치 사이에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KR10225225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8519761A (ja) アドレス指定可能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ha)デバイスのユーザ選択可能リストに基づく所望シーン実現を含むha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JP2018525889A (ja) デバイス署名ペアリングを含む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CN105847067A (zh) Zigbee设备的升级方法和装置
KR101876183B1 (ko) IoT 기반의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
KR101878710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홈 관리 시스템
CN106797333B (zh) 基于用户日常习惯修改自动环境行为
EP2972932A1 (en) Cloud based virtual mobile device
EP4262146A1 (en) Iot device and method for onboarding iot device to server
KR20220143798A (ko) 외부 장치 액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2021152921A (ja) コンテキストアウェア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20150036696A (ko) 물리적 객체와 기록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통신장치 사이에 인가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CN106411662A (zh) 配置电子设备场景的方法及装置
US11262711B2 (en) Home automation (HA) system including virtual assistant audible notification based upon learned device operational pattern and related methods
Ding et al. Design of an iot-based efficient security scheme in home wireless system
JP2021174254A (ja) 命令を生成するシステム、方法および非一時的な記録媒体
JP2015087950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当該通信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ネットワー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