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412A - Apparatus for recessed fire fighting nozzle of helidec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essed fire fighting nozzle of helide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412A
KR20150034412A KR20130114463A KR20130114463A KR20150034412A KR 20150034412 A KR20150034412 A KR 20150034412A KR 20130114463 A KR20130114463 A KR 20130114463A KR 20130114463 A KR20130114463 A KR 20130114463A KR 20150034412 A KR20150034412 A KR 20150034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cake
flange
fire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3915B1 (en
Inventor
박주신
성환삼
정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915B1/en
Publication of KR2015003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9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recessed firefighting nozzle device for a heli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ed firefighting nozzle device for a helideck comprises: a flange uni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a pancake unit having a receiving groov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unit; and a nozzle unit including a body unit having a pipe structure such that a firefighting medium can flow through, and a head unit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unit projected upward to spray the firefighting medium when the firefighting medium is supplied to the body unit, wherein the head unit is located o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lange unit and install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unit.

Description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APPARATUS FOR RECESSED FIRE FIGHTING NOZZLE OF HELIDECK}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본 발명은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ssed fire prevention nozzle device of a helideck.

일반적으로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Offshore plant) 또는 해상에서 오랜 시간을 체류해야 하는 선박들은 인원 이동을 위해서 헬리콥터(Helicopter)를 운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선수 또는 선미에 헬리데크(Helideck)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Generally, offshore plants such as drill ship, 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or vessels that need to stay in the sea for a long time should operate helicopter , Which necessitates the installation of Helideck on the player or stern.

헬리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팬케익부는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beam)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lideck may be comprised of a pancake portion forming a deck floor where the helicopter takes off and landing and a pancak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pancake portion. The pancake part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lank to each other so as to support the helicopter. The pancake support may include H-shaped beams capable of supporting the pancake portion.

예를 들어, 팬케익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플랭크가 다수 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케익 지지부는 플랭크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플랭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알루미늄 H빔과, 알루미늄 H빔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알루미늄 H빔의 하측에 배치되어 알루미늄 H빔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틸 H빔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ncake portion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lank of aluminum material extending in one direction. Further, the pancake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luminum H beams extending lo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anks and disposed below the flanks to support the pancake portion, an aluminum H beam extending lo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luminum H beam, And a plurality of steel H beams disposed below the beam to support the aluminum H beam.

한편, 헬리콥터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이착륙 시 조종사의 의도와는 다르게 불의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헬리콥터가 파도가 치는 해상 조건하에서 운용되는 헬리데크에 이착륙하는 경우에는 사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elicopter is affected by the wind very much, and unlike the pilot 's intention during take - off and landing, unexpected accident can occur. Especially, when the helicopter takes off and land on a heli-deck operated under the sea condition where the waves hit, the risk of accidents increases greatly.

헬리콥터가 헬리데크에 이착륙할 때 사고가 발생되면 헬리콥터 또는 헬리콥터에서 유출된 기름에 의해 헬리데크에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종사의 안전을 확보하고, 폭발이 발생하거나 불이 부유식 구조물 또는 선박으로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신속하게 화재가 진압되어야 한다.If an accident occurs when a helicopter landing or landing on the helideck, the helideck may be fired by oil spilled from the helicopter or helicopter. In this case, the fire should be suppressed as soon a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ilot and to prevent explosions or fire from moving to floating structures or ships.

이를 위해 팬케익부에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스프링클러(sprinkler)가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는 팬케익부의 상부면, 즉 이착륙면을 다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한 후 각각의 구역에 적절한 개수가 배치되는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비말(청수, 해수, 포말 등)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노즐은 비말의 원활한 분사를 위해 팬케익부의 상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sprinklers for suppressing the fire can be installed in the pancake part. The sprinkler can be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part, that is, the take-off and landing surf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then an appropriate number of the sections are arranged in each section, and a nozzle for spraying droplets (clear water, seawater, foam, etc.) can do. At this time, the nozzle is installed in an exposed state on the upper part of the pancake part for smooth injection of droplets.

헬리데크 상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관제탑 또는 헬리데크 주변의 착륙 관리자의 신호 또는 조작에 의해 다수 개의 스프링클러는 노즐을 통해 동시에 비말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When a fire occurs on the heli-deck, a signal or operation of the landing man- ager near the control tower or heli-deck can cause a plurality of sprinklers to simultaneously spray droplets through the nozzles to extinguish the fire.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스프링클러의 노즐은 팬케익부의 상면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헬리콥터의 착륙 시 헬리콥터의 바퀴 또는 스키드(skid)와 충돌할 수 있다. 헬리콥터의 착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량은 수십톤 이상이므로 스프링클러가 헬리콥터의 바퀴 또는 스키드와 직접 충돌하는 경우, 그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고장을 일으킬 위험이 매우 크다.Since the nozzle of the sprinkl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part, it may collide with the wheel or the skid of the helicopter when the helicopter landing. Since the impact caused by helicopter landing is tens of tons or more, when the sprinkler directly collides with the wheel or skid of the helicopter, there is a great risk of breakage or failure due to the impact.

이에 의해 일부 스프링클러가 파손되거나 고장이 난 경우, 해당 스프링클러가 담당하는 영역에 화재 발생 시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상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some sprinklers are damaged or broken, the fire can not be effectively suppressed when a fire is generated in the area occupied by the sprinkler, which may cause a serious problem in safety.

미국등록특허 US 4,657,086US registered patent US 4,657,08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헬리콥터가 착륙하는 팬케익부 상부면에 함몰된 상태로 설치되고 화재 진압시에만 돌출되도록 하여 평상시 헬리콥터의 바퀴나 스키드와의 충돌 위험이 없으며 이에 따라 손상의 우려가 없는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part where the helicopter landing and are protruded only when the fire is extinguished so that there is no risk of collision with the wheels or skids of the helicopter at normal times, Thereby providing a recessed fire prevention nozzle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팬케익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팬케익부의 상부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홈을 갖는 플랜지유닛; 및 소방매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관 구조를 갖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바디부에 소방매체가 공급되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방매체를 분사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가 상기 플랜지유닛의 수용홈에 위치하여 상기 팬케익부의 상부면보다 낮게 설치되는 노즐유닛을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ncake device including: a flange uni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a pancake portion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recess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portion; And a head unit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projecting upward when the fire-fighting medium is supplied to the body portion, for spraying the fire-fighting medium, wherein the head portion includes: And a nozzle unit disposed in a receiving groove of the flange unit and lower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unit.

여기서 상기 플랜지유닛에는 상기 수용홈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lange unit may have a drain hole for discharg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바디부의 하부는 체결유닛을 매개로 팬케익부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ncake part via a fastening unit.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외경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바디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팬케익부 일측과 상기 너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unit may include a nut portion screwed to an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and a sealing member fitted between the one side of the pancake portion and the nut portion while being fitted to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플랜지유닛의 외곽은 상기 팬케익부를 구성하는 플랭크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부는 체결유닛을 매개로 상기 플랭크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Further, an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unit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flange constituting the pancake part, and a lower part of the body part can b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lange via a fastening unit.

한편, 상기 플랜지유닛의 수용홈과 상기 플랭크의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플랜지유닛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A reinforcing unit for reinforcing the flange un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lange unit and the lower end of the flange.

여기서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플랜지유닛의 수용홈과 상기 플랭크 하단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유닛의 수용홈을 지지하는 중공의 보강부시; 및 상기 플랜지유닛의 수용홈 및 상기 보강부시를 관통하며 상기 플랭크 하단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reinforcing unit includes a hollow reinforcing bush inserted betwee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lange unit and the lower end of the flange and supporting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lange unit; And a fastening means passing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lange unit and the reinforcing bush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flang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헬리데크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팬케익부에 설치되는 소방노즐이 팬케익부 상에 돌출되지 않고 함몰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헬리콥터의 바퀴나 스키드와의 충돌 위험이 없으며, 이에 따라 화재 발생시 소방노즐이 손상되어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없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risk of collision with the wheels or the skid of the helicopter because the fire nozzle installed in the pancake part for suppressing the fire of the helideck has a recessed structure without protruding on the pancake part, Accordingly, the problem that the fire nozzle is damaged when the fire occurs can not effectively suppress the fire can be solv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형 소방노즐장치가 설치된 헬리데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헬리데크의 팬케익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형 소방노즐장치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2의 A-A선을 절단한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5는 헬리데크의 팬케익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형 소방노즐장치가 팝업(Pop-Up)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lideck provided with a recessed fire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recessed fire prevention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pancake portion of a helideck;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by cutting the line AA in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p-up type fire-fighting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pancake part of a helideck;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형 소방노즐장치가 설치된 헬리데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lideck in which a recessed fire-fighting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1을 참조하여 헬리데크에 대하여 설명하면, 헬리데크(100)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부(110)와, 팬케익부(110)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1, a helideck 100 includes a pancake 110 forming a deck floor where a helicopter takes off and land, a pancake 110 supporting a pancake 110, And may include a support 120.

팬케익부(110)는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팬케익 지지부(120)는 팬케익부(1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빔(121)과 제2빔(1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ncake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anks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helicopter. The pancake support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beam 121 and a second beam 121 to support the pancake unit 110 And may include a second beam 122.

제1빔(121)은 팬케익부(110)의 저부에 연결되는 팬케익부(110)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알루미늄 H빔을 지칭할 수 있다. 제1빔(121)의 상부는 팬케익부(110)의 단위 구성품에 해당하는 플랭크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빔(122)은 제1빔(12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빔(121)의 아래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스틸 H빔을 지칭할 수 있다.The first beam 121 may refer to a plurality of aluminum H beams that support the pancake portion 110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pancake portion 110.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eam 121 may be connected to a flank corresponding to a unit component of the pancake unit 110. The second beam 122 may refer to a plurality of steel H beams that extend long in a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beam 121 and are disposed below the first beam 121.

헬리데크(100)는 선박과 같은 해양 구조물의 선체 또는 데크하우스(deck house)에 설치될 수 있다. 헬리데크(100)가 해양 구조물 또는 선박의 데크하우스에 지지되도록, 데크하우스에 연결된 받침 구조물(예: 수직 또는 경사형 기둥)에 해당하는 데크 지지부(20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팬케익 지지부(120)가 데크 지지부(200) 위에 연결될 수 있다.The helideck 100 may be installed in the hull or deck house of an offshore structure such as a ship. The helix deck 100 may be connected to a deck support 200 corresponding to a backing structure (e.g., a vertical or inclined post) connected to the deckhouse such that the helix 100 is supported on the deckhouse of an offshore structure or vessel, May be connected to the deck support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하, "본 실시예"라 한다)에 따른 함몰형 소방노즐장치(300)는 헬리데크(100)의 상부면을 구성하며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장소를 제공하는 팬케익부(110)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The recessed fire prevention nozzle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an upper surface of the helideck 100 and includes a pancake portion 110).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노즐장치(300)는 팬케익부(1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 영역에 물이나 소화분말 등과 같은 소방매체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노즐장치(300)는 팬케익부(110) 상의 일정 영역을 담당할 수 있도록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e nozzl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ress the fire by spraying a fire-fighting medium such as water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into a fire occurrence area when a fire occurs in the pancake part 110, The fire nozzle device 300 may be spaced a certain distance so as to cover a certain area on the pancake unit 110.

도2는 헬리데크의 팬케익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형 소방노즐장치의 평면도이고, 도3은 도2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of a recessed fire prevention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pancake portion of the helideck,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300)는 크게 플랜지유닛(310)과 노즐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recessed fire prevention nozzle device 300 of the helide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lange unit 310 and a nozzle unit 320.

상기 플랜지유닛(310)의 외곽은 팬케익부(11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볼트나 나사와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을 통해 플랜지유닛(310)이 팬케익부(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unit 3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110 where the flange unit 310 is secured to the pancake 110 through conventional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screws .

또한 플랜지유닛(310)에는 하방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된 수용홈(311)이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수용홈(311)은 플랜지유닛(310)이 팬케익부(110) 상부면에 결합되었을 때 팬케익부(110)의 상부면보다 하방으로 함몰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flange unit 310 may have a receiving recess 311 recess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receiving recess 311 may be formed in the flange unit 310 when the flange unit 31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unit 110 And is recess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portion 110.

또한, 플랜지유닛(310)에는 수용홈(311)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홀(312)이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수용홈(311)이 플랜지유닛(310)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가 오거나 화재 발생시 노즐유닛(320)이 작동하여 소방매체로서 물을 분사하는 경우 물이 상기 수용홈(311)에 고일 수 있다. The flange unit 310 may have a drain hole 312 for discharg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11. The receiving groove 311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flange unit 310 Water can be accumul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1 when the nozzle unit 320 is operated to spray water as a fire-fighting medium when it is raining or a fire occurs.

따라서, 플랜지유닛(310)의 수용홈(311)에 유입된 물은 상기 드레인홀(312)을 통해 수용홈(311)에 잔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11 of the flange unit 3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remaining in the receiving groove 311 through the drain hole 312.

한편, 상기 노즐유닛(320)은 바디부(321)와 헤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nozzle unit 320 may include a body part 321 and a head part 322.

바디부(321)는 노즐유닛(320)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요소로서, 바디부(321)는 내부에 물이나 소화분말과 같은 소방매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속이 비어 있는 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body part 321 is an element form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nozzle unit 320. The body part 321 may have a pipe structure hollow inside so that a fire-fighting medium such as water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can move inside.

바디부(321)의 끝단은 소방매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소방매체 공급라인과 접속될 수 있는바, 소방매체 공급라인을 통해 소방매체를 공급받는 것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에 속하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도시를 생략한다.Since the end of the body part 321 can be connected to the fire-fighting medium supply line to receive the fire-fighting medium, the fire-fighting medium is supplied through the fire-fighting medium supply line, And the illustration of the drawings are omitted.

또한 상기 헤드부(322)는 바디부(321)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바디부(321)에 소방매체가 공급되면 상방으로 돌출되어 소방매체를 분사함으로써 팬케익부(110)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When the fire body is supplied to the body part 321, the head part 322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fire medium can be sprayed to suppress the fire generated in the pancake part 110 have.

소방매체가 공급될 때 헤드부(322)가 바디부(321) 상부로 돌출되는 팝업(Pop-Up) 작용은 공급되는 소방매체의 압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돌출될 수도 있고 별도의 팝업수단을 통해서 돌출될 수도 있는바, 이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며, 이에 대한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기술에 속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A pop-up operation in which the head part 322 protrudes above the body part 321 when the fire-fighting medium is supplied may be naturally protruded by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fire-fighting medium or may be protruded through a separate pop- And thi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ractitioner,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cause it belongs to a publicly known technology in general.

여기서, 상기 노즐유닛(320)은 소방매체로서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클러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바 스프링클러가 아닌 다른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Here, the nozzle unit 320 may be embodied as a sprinkler for spraying water as a fire-fighting medium, but i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than bar springs, which are merely illustrativ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노즐유닛(3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22)가 플랜지유닛(310)의 수용홈(311)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바디부(321)는 팬케익부(110)를 구성하는 플랭크(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nozzle unit 320 which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arranged such that the head part 322 is positioned in the receiving groove 311 of the flange unit 310 as shown in FIG. 32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lank 111 constituting the pancake portion 110.

노즐유닛(320)의 헤드부(322)가 플랜지유닛(310)의 수용홈(311)에 배치되면 헤드부(322)가 팝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팬케익부(110)의 상부면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헬리콥터 착륙시 헬리콥터의 바퀴나 스키드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head portion 322 of the nozzle unit 320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311 of the flange unit 310, the head portion 322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portion 110, Since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the wheels or skids of city helicopters, damage due to collisions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노즐유닛(3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바디부(321)의 하부는 별도의 체결유닛(330)을 매개로 팬케익부(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321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ncake part 110 via a separate fastening unit 330 to stably support the nozzle unit 320. [

이때 상기 체결유닛(330)은 너트부(331)와 실링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너트부(33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321)의 외경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unit 330 may include a nut 331 and a sealing member 332. The nut 331 is screw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321 as shown in FIG. .

또한 실링부재(332)는 바디부(321)에 끼워지면서 팬케익부(110) 일측과 너트부(331)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바디부(321)가 너트부(331) 또는 팬케익부(110)와 간섭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스틸 재질인 너트부(331)가 알루미늄 재질인 팬케익부(11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332 is disposed between the one side of the pancake 110 and the nut 33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body 321. The body 321 may be a nut 331 or a pancake 110, So that it is prevented that the nut portion 331 made of a steel material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ancake portion 110 made of aluminum and galvanic corrosi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참고로, 두 이종 재료(금속)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전위차가 존재하게 되고 따라서 이들 사이에 전자의 이동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귀전위를 가진 금속의 부식 속도는 감소되고 활성전위를 가진 금속의 부식속도는 촉진된다. 여기서 전자는 음극이 되고 후자는 양극이 되는데 이러한 형태의 부식을 갈바닉 부식 또는 이종금속접촉 부식이라고 한다.For reference, when two dissimilar materials (metal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potential difference exists, and thus, electrons can move between them. So the rate of erosion of metal with ear potential is reduced and the rate of erosion of metal with active potential is promoted. Here, the former becomes the cathode and the latter becomes the anode. This type of corrosion is called galvanic corrosion or dissimilar metal contact corrosion.

한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팬케익부(110)는 다수개의 플랭크(111)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는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유닛(310)은 팬케익부(110)를 구성하는 플랭크(11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321)의 하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체결유닛(330)을 매개로 플랭크(11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lange unit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lanks 111, which are connected to the flanks 110 of the pancake unit 1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2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11 through the fastening unit 330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상기 노즐유닛(320)은 플랜지유닛(310)을 매개로 플랭크(111) 상단에 지지되고, 체결유닛(330)을 매개로 플랭크(111) 하단에 지지될 수 있다.The nozzle unit 320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flange 111 via the flange unit 310 and can be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11 via the fastening unit 330. [

한편,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몰형 소방노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4, a recess-type fire-fighting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4는 도2의 A-A선을 절단한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by cutting the line A-A in Fig.

도4를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유닛(310)과 플랭크(111)의 하단 사이에는 플랜지유닛(310)을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유닛(400)이 마련될 수 있다.4, a separate reinforcing unit 400 for reinforcing the flange unit 3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lange unit 310 and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11. [

플랜지유닛(310)은 그 가장자리가 플랭크(111)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고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홈(311)에는 노즐유닛(320)의 헤드부(322)가 지지되므로 상기 수용홈(311) 또는 헤드부(322)에 어떠한 외력이 가해지면 수용홈(311)이 찌그러지거나 하부로 처지는 등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Since the flange unit 31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lank 111 and the head portion 322 of the nozzle unit 320 is suppor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1 which is downwardly recessed,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ead portion 322, the receiving groove 311 may be distorted or deformed such as sagging downward.

따라서, 상기 수용홈(311)의 하부를 보강하여 노즐유닛(320)을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수용홈(311) 또는 노즐유닛(320)의 헤드부(322)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수용홈(311)이 변형되지 않고 그 외력을 플랭크(111)의 하단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보강유닛(40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ead portion 322 of the receiving groove 311 or the nozzle unit 320 while the nozzle unit 320 is more stably supported by reinforc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311,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ement unit 400 is provided so that the groove 311 is not deformed and the external force can be dispers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flank 111. [

상기 보강유닛(400)은 보강부시(410)와 체결수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unit 400 may include a reinforcing bush 410 and fastening means 420.

보강부시(410)는 플랜지유닛(310)과 플랭크(111) 하단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플랜지유닛(3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강유닛(400)은 속이 비어 있는 중공의 파이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reinforcing bush 410 is inserted between the flange unit 310 and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11 to support the flange unit 310 and the reinforcing unit 400 may have a hollow hollow pipe structure .

보강부시(410)가 플랜지유닛(310)과 플랭크(111) 하단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만으로도 상기 플랜지유닛(310)의 수용홈(311)은 보강되는 효과가 있으나 상기 보강부시(4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420)이 마련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ush 410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flange unit 310 and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11 so that the receiving groove 311 of the flange unit 310 is reinforced, The fastening means 42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tably supported.

상기 체결수단(420)은 플랜지유닛(310)의 수용홈(311) 및 보강부시(410)를 관통하며 상기 플랭크(111) 하단에 체결될 수 있는바, 체결수단(420)은 보강부시(410)를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보강부시(410)를 고정할 수 있는 너트로 구현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ans 420 may pass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311 and the reinforcing bush 410 of the flange unit 310 and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flank 111. The fastening means 420 may be coupled to the reinforcing bush 410 And a nut that is fastened to the bolt and can fix the reinforcing bush 410. [0033] As shown in FIG.

여기서 보강유닛(400)은 노즐유닛(3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At least two reinforcement units 400 may be install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ith the nozzle unit 320 interposed therebetween.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콥터가 착륙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함몰형 소방노즐장치 위에 헬리콥터의 바퀴(W)가 놓이더라도 노즐유닛(320)이 함몰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헬리콥터 바퀴(W)와 직접적으로 간섭되지 않는바, 노즐유닛(320)의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4, even if the helicopter's wheel W is placed on the submerged type fire-fighting nozz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zzle unit 320 has a recessed structure, The damage of the nozzle unit 320 can be prevented.

도5는 헬리데크의 팬케익부(110)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형 노즐유닛(320)(320)장치가 팝업(Pop-Up)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ssed nozzle units 320 and 3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pancake unit 110 of the helideck are popped up.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함몰형 소방노즐장치(300)가 작동(팝업)되는 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tate in which the recessed fire-fighting nozzl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es (pops up)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헬리데크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발생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발생된 지점이 파악될 수 있다. 화재 발생 지점이 파악되면, 해당 지점에 근접한 소방노즐장치(300)에 신호가 전달되고, 해당 신호를 받은 소방노즐장치(300)는 소방매체 공급라인으로부터 소방매체를 공급받게 된다.If a fire occurs in the heli-deck, the location of the fire can be identifi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When a fire point is detected,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e nozzle device 300 near the point, and the fire nozzle device 300 receiving the signal receives the fire medium from the fire medium supply line.

소방매체가 노즐유닛(320)의 바디부(321)에 공급되면 소방매체의 공급압력에 의해서 헤드부(322)가 상방으로 팝업될 수도 있고, 별도로 설치된 팝업수단을 통해 헤드부(322)가 상방으로 팝업될 수도 있다. When the fire-fighting medium is supplied to the body part 321 of the nozzle unit 320, the head part 322 may be popped up by the supply pressure of the fire-fighting medium, and the head part 322 may be moved upward Lt; / RTI >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22)가 상방으로 팝업되면 팬케익부(110)의 상부면보다 헤드부(322)가 더 높게 돌출될 수 있으며, 헤드부(322)가 돌출된 상태에서 헤드부(322)에 형성된 분사공(322a)을 통해 물 또는 소화분말과 같은 소방매체가 분사될 수 있다.5, when the head portion 322 is popped up, the head portion 322 may protrude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portion 110. In a state where the head portion 322 protrudes, A fire-fighting medium such as water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may be sprayed through the spray holes 322a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322.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Elements can be substituted and changed, which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10 : 팬케익부 111 : 플랭크
300 : 소방노즐장치
310 : 플랜지유닛 311 : 수용홈
312 : 드레인홀 320 : 노즐유닛
321 : 바디부 322 : 헤드부
330 : 체결유닛 331 : 너트부
332 : 실링부재 400 : 보강유닛
410 : 보강부시 420 : 체결수단
110: pancake part 111: flank
300: Fire nozzle device
310: flange unit 311: receiving groove
312: drain hole 320: nozzle unit
321: Body part 322: Head part
330: fastening unit 331: nut part
332: sealing member 400: reinforcing unit
410: reinforcing bush 420: fastening means

Claims (7)

팬케익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팬케익부의 상부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홈을 갖는 플랜지유닛; 및
소방매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관 구조를 갖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바디부에 소방매체가 공급되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방매체를 분사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가 상기 플랜지유닛의 수용홈에 위치하여 상기 팬케익부의 상부면보다 낮게 설치되는 노즐유닛;
을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
A flange uni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portion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recess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portion; And
And a head part protruding upward when the fire-fighting medium is supplied to the body part and spraying the fire-fighting medium, wherein the head part comprises: a body part having a tubular structure so that the fire- A nozzle unit located in a receiving groove of the flange unit and installed lower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pancake unit;
Wherein the helix of the heli-deck is formed of a me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유닛에는 상기 수용홈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홀이 형성된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nge unit is provided with a drain hole for discharg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하부는 체결유닛을 매개로 팬케익부 일측에 결합되는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ncake part via a fasten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외경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 및
상기 바디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팬케익부 일측과 상기 너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
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astening unit includes:
A nut portion screwed to an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And
A sealing member fitted between the one side of the pancake part and the nut part while being fitted to the body part;
Wherein the helix of the heli-deck is formed by a plurality of hol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유닛의 외곽은 상기 팬케익부를 구성하는 플랭크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부는 체결유닛을 매개로 상기 플랭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unit is coupl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a flank constituting the pancak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coupled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flange via a fastening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유닛의 수용홈과 상기 플랭크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플랜지유닛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유닛이 마련된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reinforcing unit for reinforcing the flange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lange unit and the lower end of the flan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플랜지유닛의 수용홈과 상기 플랭크 하단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유닛의 수용홈을 지지하는 중공의 보강부시; 및
상기 플랜지유닛의 수용홈 및 상기 보강부시를 관통하며 상기 플랭크 하단에 체결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inforcing unit comprises:
A hollow reinforcing bush inserted betwee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lange unit and the lower end of the flange and supporting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lange unit; And
Fastening means passing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lange unit and the reinforcing bush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flange;
Wherein the helix of the heli-deck is formed of a metal.
KR1020130114463A 2013-09-26 2013-09-26 Apparatus for recessed fire fighting nozzle of helideck KR1015239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463A KR101523915B1 (en) 2013-09-26 2013-09-26 Apparatus for recessed fire fighting nozzle of helid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463A KR101523915B1 (en) 2013-09-26 2013-09-26 Apparatus for recessed fire fighting nozzle of helide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412A true KR20150034412A (en) 2015-04-03
KR101523915B1 KR101523915B1 (en) 2015-06-01

Family

ID=5303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463A KR101523915B1 (en) 2013-09-26 2013-09-26 Apparatus for recessed fire fighting nozzle of helide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91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3427A (en) * 2018-10-25 2019-03-01 徐成 Cascade fire hydrant
KR20210063966A (en) * 2019-11-25 2021-06-02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Helideck plank for easy installation of DIFFS nozz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024B1 (en) 2018-11-26 2020-07-28 주식회사 나브텍 Fire fighting nozzle for heli-deck
KR102193927B1 (en) 2019-01-30 2020-12-23 주식회사 나브텍 Rotational fire fighting nozzle for heli-de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754A (en) * 1989-08-14 1990-08-28 Odd Solheim Fire extinguishing plant for three extinguishing agents
NO176509C (en) * 1993-01-29 1995-04-19 Magnus Birkeland Water supply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system on helicopter deck
JP2596045Y2 (en) * 1993-03-11 1999-06-0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Pop-up sprinkler sediment removal equipment
US8499847B2 (en) * 2008-12-22 2013-08-06 Aluminium Offshore Pte. Ltd. Landing pad with a built-in fire suppress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3427A (en) * 2018-10-25 2019-03-01 徐成 Cascade fire hydrant
CN109403427B (en) * 2018-10-25 2020-05-26 井冈山市玉捷消防科技有限公司 Cascade fire hydrant
KR20210063966A (en) * 2019-11-25 2021-06-02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Helideck plank for easy installation of DIFFS nozz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915B1 (en)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915B1 (en) Apparatus for recessed fire fighting nozzle of helideck
JP5883292B2 (en) Ship or floating structure operating in water covered by 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2815178C (en) Focused stream, aerated foam projecting nozzle including fixed wand system and method as well as possibly portable center pointing nozzle
CA2574482A1 (en) Discharge of fire extinguishing agent
KR101516282B1 (en) Fire fighting device for helideck
KR20190131700A (en) Fender
KR101533759B1 (en) Fire nozzle for heli-deck
KR101523914B1 (en) Firefighting device for helide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76784B1 (en) Fire fighting device for helideck
JP2951304B2 (en) Unmanned fire boat
KR101725363B1 (en) Fire enhanced Aluminum Helieck applied Metal mesh insert-Explosafe
KR102354506B1 (en) Helideck plank for easy installation of DIFFS nozzle
EP1427484B1 (en) Fire extinguis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193927B1 (en) Rotational fire fighting nozzle for heli-deck
KR102138024B1 (en) Fire fighting nozzle for heli-deck
KR20150026018A (en) Supporting apparatus for landing of helicopter on heli-deck
KR101624578B1 (en) Outer storage tank structure of internal floating roof/fixing roof type
KR20150030998A (en) Helideck having fire fighting device
KR200466639Y1 (en) Device for surge prevention of fire water
GB1568509A (en) Double hull utility vessel
KR101516283B1 (en) Firefighting device for helide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2058752A (en) Aqueous foamy solution spraying head
KR101635057B1 (en) Coo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thermal deformation of helideck
CN103979074A (en) Water stop device of pipeline of ship
AU2002324082A1 (en) Fire extinguish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