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785A -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785A
KR20150031785A KR20130111399A KR20130111399A KR20150031785A KR 20150031785 A KR20150031785 A KR 20150031785A KR 20130111399 A KR20130111399 A KR 20130111399A KR 20130111399 A KR20130111399 A KR 20130111399A KR 20150031785 A KR20150031785 A KR 2015003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message
application server
service
connec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785A/ko
Publication of KR2015003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6Screening of IP real time communications, e.g. spam over Internet telephony [SPIT]
    • H04L65/1079Screening of IP real time communications, e.g. spam over Internet telephony [SPIT] of unsolicited session attempts, e.g. SP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어 장치(S-CSCF)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장치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서버(AS)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서버(AS)에 장애가 있는 경우, 서비스 제어 장치(S-CSCF)는 사용자 장치가 다른 망을 이용하여 호를 연결하도록 지시하는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는 다른 망, 예컨대, 서킷교환(CS)망으로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망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호 처리 절차를 처리할 수 있어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pparatus for handling Application Server failure in calling network,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애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망에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엔티티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정상적으로 호 연결 절차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초기에 3세대 이동통신망의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개발된 IMS(IP Multimedia Subsystem)는 현재 All IP 기반의 차세대 통신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IP 기반 망에서 IMS 제어를 통한 서비스 제어의 필요성은 서비스 품질, 과금, 서로 다른 서비스의 융합에서 찾을 수 있다.
기존 인터넷의 연결을 통해서도 모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지만, 이는 best-effort 서비스에 국한된다. 그러나 IMS를 통해 세션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함으로써 세션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IMS는 세션에 대한 적절한 과금을 가능하게 한다. 단순히 정액 과금 또는 패킷량에 따른 과금이 아니라 서비스의 종류와 품질, 사용자의 특성, 네트워크 사업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정책에 따른 적절한 과금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IMS는 개방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쉽게 생성할 수 있고, 기존 서비스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사업자와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서비스를 위한 제어와 과금 능력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는 자신의 홈망에서 뿐 아니라 로밍시에도 자신의 모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IMS의 특성이 이동통신을 위해 정의된 IMS가 All IP 기반의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 기본 제어 플랫폼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이유가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9321호, 2012년 04월 25일 공개 (명칭: 회선 교환 망과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망간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그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망에서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AS, Application Server)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정상적으로 호 연결 절차와 함께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를 처리하는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애 처리를 위한 서비스 제어 장치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를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 장치가 다른 망으로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장치의 장애 처리를 위한 방법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있으면, 상기 사용자 장치가 다른 망으로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측의 서비스 제어 장치(S-CSCF, Serving Call State Control Function)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AS, Application Server)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 장치로 하여금 서킷교환(CS, Circuit Switching)망을 통해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서킷교환망에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장비를 통해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AS)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호 처리 절차를 진행할 수 있고, 더불어, 부가서비스도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발생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장치의 장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장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패킷교환(PS, Packet Switching)망이며, 예컨대,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스위칭 장치(200), CSCF(Call State Control Function) 서버,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 600)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AS, Application Server, 700)를 포함한다. 특히, CSCF 서버는 프록시 제어 장치(P-CSCF, Proxy Call State Control Function, 300), 연결 제어 장치(I-CSCF, Interrogating Call State Control Function, 400), 및 서비스 제어 장치(S-CSCF, Serving Call State Control Function, 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CSCF 서버는 프록시 제어 장치(P-CSCF, 300), 연결 제어 장치(I-CSCF, 400), 및 서비스 제어 장치(S-CSCF, 500)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하나의 서버가 될 수 있다. 혹은 프록시 제어 장치(P-CSCF, 300), 연결 제어 장치(I-CSCF, 400), 및 서비스 제어 장치(S-CSCF, 500)는 각각이 구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위칭 장치(20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복수의 프록시 제어 장치(300)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시지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칭 장치(200)는 L4(layer 4, 전송 계층)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스위칭 장치(200) 복수의 프록시 제어 장치(300)에 대한 부하가 분산되도록,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수 많은 메시지들을 분배하는 분배 규칙을 가진다. 스위칭 장치(200)는 이러한 분배 규칙에 따라, 특정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특정 프록시 제어 장치(300)로 전달한다.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는 가입자 등록, 인증, 부가서비스 제공, 라우팅, 각종 호 제어, 주소 처리(address handling) 등 SIP 기반의 세션 제어를 위한 기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록시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장치(100)가 IMS에 접속하는 첫 번째 지점이다.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등록 요청(REGISTER) 메시지가 전송되면, 프록시 제어 장치(300)는 이를 연결 제어 장치(40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록시 제어 장치(300)는 등록 요청 메시지 처리 과정에서 사용자 장치(100)에 할당된 서비스 제어 장치(500)의 주소를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된 서비스 제어 장치(500)에 주소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자, 즉 가입자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홈 가입자 서버(600)에 사용자 장치(100)의 위치를 등록한다. 또한, 연결 제어 장치(400)는 홈 가입자 서버(600)로부터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제어 장치(500)의 주소 리스트를 획득하고,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 장치(100)에 할당되어 실제 등록을 담당할 서비스 제어 장치(500)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연결 제어 장치(400)는 홈 가입자 서버(600)로부터 사용자 장치(100)에 할당된 서비스 제어 장치(500)의 주소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 메시지에 따라 실제 등록을 담당할 서비스 제어 장치(500)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연결 제어 장치(400)로부터 등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홈 가입자 서버(600)에 가입자를 등록하고, 홈 가입자 서버(600)로부터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할 부가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0)가 사용자 장치(100)에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장치(10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700) 간에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또한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홈 가입자 서버(600)로부터 인증 정보, 즉, 인증 벡터(AV, Authentication Vector)를 획득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AV(인증 벡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홈 가입자 서버(600)는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사용자의 프로파일,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CSCF 서버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홈 가입자 서버(600)는 인증 시 필요한 인증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비이며, SIP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어 장치(500)와 통신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의 서비스 예로 발신번호 관련 서비스(CLIP, CLIR 등), 호 대기, 호 보류, push-to-talk, 호 전환, 호 전달, 호 폐쇄 서비스, 악의의 발신 번호, 합법적인 감청, 서비스 안내, 회의 통화 서비스, 음성 사서함, 문자와 음성 변환, 위치 기반 서비스, SMS, MMS, 프레즌스 정보, 인스턴트 메시지 등의 서비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등록 절차에서 사용자 장치(100)가 가입한 부가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홈 가입자 서버(6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면, 저장된 프로파일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700)가 부가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 전달한다. 따라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사용자 장치(100)가 가입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700)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컬러링백톤 서비스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최종 수신할 착신 사용자 장치가 부가서비스로 컬러링백톤 서비스에 가입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컬러링백톤을 저장하고 있는 미디어장치와 발신 사용자 장치간에 세션을 연결시키고, 일반적인 링백톤(ring-back tone) 대신 미디어장치가 컬러링백톤을 송출하도록 하는 일련의 절차를 제어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상황을 상정한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사용자 장치(100)로 다른 망을 이용하여 호 연결을 다시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다른 망, 예컨대, 서킷 교환망을 이용하여 착신 사용자 장치와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킷 교환망은 회선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와, 회선 교환기에 연결된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며, 회선 교환기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특히, 회선 교환기는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 장치(100)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호 처리 절차를 진행할 수 있고, 더불어, 부가서비스도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LNA, Low Noise Amplify)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복수의 대역에 따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3G 대역에 따라 서킷교환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와 VoLTE 대역에 따라 패킷교환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3G 대역 혹은 VoLTE 대역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고,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3G 대역 혹은 VoLTE 대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 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입력부(120)는 전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는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경우, 입력부(12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터치스크린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30)는 사용자 장치(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부(120)의 각 종 키들의 기능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사용자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또한,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 장치(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패킷교환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 또는 서킷교환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ISUP(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 User Part)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SIP 메시지 혹은 ISUP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발신 사용자 장치 자신의 식별 정보와 착신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서비스 제어 장치(500)로 전달될 것이다.
이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제어 장치(500)로부터 경로 변경 지시(380 Alternativ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할 것이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킷교환(CS)망, 예컨대, 3G망으로 호 연결을 수립하도록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필요한 메시지, 예컨대, 호 연결 요청(IAM, Initial Address Message) 메시지를 통신부(110)를 통해 서킷교환망으로 전송한다. 한편, 대안적인 실시예로써, 경로 변경 지시(380 Alternativ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통해 IMS망을 통한 세션 연결이 불가하기 때문에 서킷교환망으로 호 연결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질의 하는 안내문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호 연결을 수락을 감지하면, 통신부(110)를 통해 서킷교환망으로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 전송 후,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고, 착신 사용자 장치가 세션 연결을 수락한다면,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착신 사용자 장치가 전송한 세션 연결 수락(200 OK) 메시지를 수신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세션을 연결하고, 통화를 수행하는 절차를 계속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인터페이스 모듈(510), 저장 모듈(520) 및 제어 모듈(530)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모듈(510)은 프록시 제어 장치(300), 연결 제어 장치(400), 홈 가입자 서버(600) 등과 통신을 위한 것이다. 즉, 인터페이스 모듈(510)은 프록시 제어 장치(300), 연결 제어 장치(400), 홈 가입자 서버(6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프록시 제어 장치(300), 연결 제어 장치(400) 및 홈 가입자 서버(600)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 모듈(520)은 데이터 저장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 모듈(520)은 사용자 장치(100)의 망 등록 절차 시, 홈 가입자 서버(60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인증 벡터, AV) 및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파일은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가입한 부가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파일은 사용자 장치(100)가 등록을 해제할 때까지 저장된다.
제어 모듈(530)은 서비스 제어 장치(5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서비스 제어 장치(5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530)은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500)가 발신망에 위치한 경우, 제어 모듈(530)은 인터페이스 모듈(510)을 통해 발신 사용자 장치가 전송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저장 모듈(52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사용자 장치(100)가 가입한 부가서비스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제어 모듈(530)은 인터페이스 모듈(51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하지만,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제어 모듈(53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대신, 제어 모듈(530)은 인터페이스 모듈(510)을 통해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는 프록시 제어 장치(300)를 경유하여 발신 사용자 장치로 전달될 것이다.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는 SIP에 따르면, 380 Alternative Service 메시지가 될 수 있다.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는 발신 사용자 장치가 다른 망을 이용하여 착신 사용자 장치와 호 연결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발신 사용자 장치는 서킷교환망을 통해 착신 사용자 장치와 호 연결 절차를 진행할 것이며, 서킷교환망으로부터 부가서비스를 제공받을 것이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의 장애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530)은 인터페이스 모듈(510)을 통해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모듈(530)은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장애 발생을 알리는 장애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어떤 메시지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530)은 인터페이스 모듈(510)을 통해 주기적으로 장애 여부를 질의하는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어 모듈(530)은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장애 여부 응답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모듈(510)을 통해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장애 발생을 알리는 장애 발생 알림 메시지를 서비스 제어 장치(5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53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치(101)가 제2 사용자 장치(102)로 세션을 연결하고자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즉, 제1 사용자 장치(101)는 발신측이며, 제2 사용자 장치(102)는 착신측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장치(101)는 S110 단계에서 제2 사용자 장치(102)와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SIP에 따라 INVITE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그 메시지를 최초 전송한 제1 사용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와 그 메시지를 최종으로 수신할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프록시 제어 장치(300)는 S120 단계에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1 사용자 장치(101)에 할당된 서비스 제어 장치(500)로 전송한다.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장치(101)의 등록 시, 홈 가입자 서버(600)에 질의하여, 홈 가입자 서버(600)로부터 제1 사용자 장치(101)의 프로파일을 수신한다. 프로파일은 제1 사용자 장치(101)가 가입한 부가서비스 목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치(101)가 가입한 부가서비스를 알 수 있다. 즉,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장치(101)가 전송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사용자 장치(101)가 가입한 부가서비스를 식별하고, 그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하지만, S1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S14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의 장애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의 장애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의 장애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장애 발생을 확인한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S150 단계에서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는 S150 및 S160 단계에서 프록시 제어 장치(300)를 경유하여 제1 사용자 장치(101)로 전달된다.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는 장애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다른 망을 이용하여 세션 연결(호 연결)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이다. 이러한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는 SIP에 따르면, 380 Alternative Service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는 호가 성공적으로 설립되지 않았지만, 다른 선택 가능한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하는 메시지이다.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 장치(101)는 S170 단계에서 서킷 교환(CS)망을 통해 제2 사용자 장치(102)와 호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 장치(101)는 호 연결을 요청하는 호 연결 요청(IAM)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호 연결 요청 메시지는 서킷 교환망의 회선 교환기에 전달될 것이다. 그러면, 회선 교환기는 서킷 교환망에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동하여, 제1 사용자 장치(101)에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회선 교환기는 제2 사용자 장치(102)로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호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호 처리 절차를 진행할 수 있고, 더불어, 부가서비스도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발생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4의 S140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4와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5a를 참조하면, S1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S210 단계에서 앞서(S120 단계) 프록시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 전송한다.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S215 단계에서 장애 발생을 알리는 장애 발생 알림 메시지를 서비스 제어 장치(5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장애 발생 알림 메시지는 SIP에 따르면, 503 Service Unavailable 메시지 혹은 504 Server Timeout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503 Service Unavailable 메시지는 정상적으로 요청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 전송된다. 또한, 504 Server Timeout 메시지는 과부하 등으로 인해 제한 시간 내에 요청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 전송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의 장애 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5b를 참조하면, S1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장애가 발생한 후,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S220 단계에서 앞서(S120 단계) 프록시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 전송한다.
장애가 발생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어떤 메시지도 전송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기 설정된 시간(T) 내에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부터 어떠한 메시지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T)을 카운트하고, 기 설정된 시간(T)이 경과한 S225 단계 이전까지 어떠한 메시지도 수신하지 못한다면,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SIP에 따르면, SIP 메시지들은 요청 및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핸드쉐이킹(handshaking) 방식으로 메시지를 교환한다. 예컨대,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세션 연결 수락(200 OK)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또한, SIP 메시지들은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는 별개로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ACK)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즉,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이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확인(ACK) 메시지를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전송한 엔티티에게 전송하여야 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확인(ACK)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와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5c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주기적으로 장애 여부를 질의하는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 전송하고, 그 응답 여부에 따라 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S230 단계에서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 후,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의 전송 주기(F)에 따라 S240 단계에서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장애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S235 단계에서 장애 여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때, 정상 동작하고 있음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S1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하였다면,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장애 여부 응답 메시지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시킨 후, S245 단계에서 그 장애 여부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제어 장치(5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장애 여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의 장애 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와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5d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와 같이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주기적으로 장애 여부를 질의하는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 전송하고, 그 응답 여부에 따라 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S250 단계에서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 후,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의 전송 주기(F)에 따라 S260 단계에서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250 단계에서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장애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S255 단계에서 장애 여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때, 정상 동작하고 있음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S1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하였고, 그 장애로 인해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어떠한 메시지도 전송할 수 없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때,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S260 단계에서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 후, 다시 한 주기(F) 동안 기다린 후, 다시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해야 한다. 하지만,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S260 단계에서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 후, 다음 주기(F)가 도래하기 전, 어떠한 메시지도 수신하지 못한다면,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S260 단계에서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로부터 한 주기(F) 후인 S265 단계 전까지 어떠한 메시지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4와 제5 실시예에 따른 도 5e를 참조하면, S1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S270 단계에서 장애 발생을 알리는 장애 발생 알림 메시지를 서비스 제어 장치(5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어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0)가 자체적으로 생성한 장애 발생을 알리는 장애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의 장애 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장치의 장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530)은 S31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510)을 통해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신한다.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최초 전송한 제1 사용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와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최종 수신할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530)은 S320 단계에서 제1 사용자 장치(101)가 부가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 모듈(530)은 제1 사용자 장치(101)가 발신망에 위치 등록하는 과정에서 홈 가입자 서버(600)로부터 인터페이스 모듈(510)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의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파일은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가입한 부가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파일은 사용자 장치(100)가 그 등록을 해제할 때까지 저장 모듈(520)에 저장된다. 따라서, 제어 모듈(530)은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프로파일의 부가서비스 목록으로부터 제1 사용자 장치(101)가 부가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20 단계의 확인 결과, 제1 사용자 장치(101)가 어떠한 부가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 모듈(530)은 S33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510)을 통해 연결 제어 장치(400)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러면, 연결 제어 장치(400)는 홈 가입자 서버(600)에 문의하여,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에 수납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매개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연결 제어 장치(400)는 제2 사용자 장치(102)가 위치 등록한 착신망으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다.
S320 단계의 확인 결과, 제1 사용자 장치(101)가 부가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제어 모듈(530)은 S340 단계로 진행한다. S340 단계에서 제어 모듈(530)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장애 발생의 판단 방법은 앞서 도 5a 내지 도 5e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S340 단계의 판단 결과,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제어 모듈(530)은 S350 단계로 진행한다. S350 단계에서 제어 모듈(530)은 인터페이스 모듈(510)을 통해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는 프록시 제어 장치(300)를 경유하여 제1 사용자 장치(101)로 전달될 것이다.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는 SIP에 따르면, 380 Alternative Service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는 제1 사용자 장치(101)로 하여금 다른 망, 즉, 서킷 교환망을 통해 호 연결 절차를 새로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치(101)는 서킷 교환망을 통해 제2 사용자 장치(102)와 호 연결 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서킷 교환망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반면, S340 단계의 판단 결과,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어 모듈(530)은 S360 단계로 진행한다. S360 단계에서 제어 모듈(530)은 프록시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가입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장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부가서비스에 가입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도 4의 제1 사용자 장치(101)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장치(101)의 제어부(150)는 S410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발신측으로 제1 사용자 장치(101) 자신의 식별 정보와 착신측으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1 사용자 장치(101)가 부가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면,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전달되어야 한다. 하지만,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서비스 제어 장치(500)로부터 경로 변경 지시(380 Alternativ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할 것이다.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0)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고, 착신 사용자 장치가 세션 연결을 수락한 경우, 착신 사용자 장치가 전송한 세션 연결 수락(200 OK) 메시지를 수신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S420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가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인지 혹은 세션 연결 수락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S420 단계에서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50)는 S430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서킷 교환(CS)망으로 호 연결을 수립하도록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대안적인 실시예로써,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통해 네트워크 장애로 인해 세션 연결이 불가하기 때문에 서킷 교환망으로 호 연결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질의 하는 안내문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호 연결을 수락한 경우에,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S420 단계에서 세션 연결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50)는 S440 단계에서 세션 연결 절차를 계속하여 세션을 연결하고, 해당하는 부가서비스가 있는 경우, 부가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장치(102)와 통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 처리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어 장치(S-CSCF)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장치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서버(AS)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있는 경우, 서비스 제어 장치(S-CSCF)는 사용자 장치가 다른 망을 이용하여 호를 연결하도록 지시하는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는 다른 망, 예컨대, 서킷교환(CS)망으로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그리고 서킷교환망으로부터 부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망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부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호 연결 절차를 진행할 수 있어,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사용자 장치(UE)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200: 스위칭 장치(L4 스위치) 300: 프록시 제어 장치(P-CSCF)
400: 연결 제어 장치(I-CSCF) 500: 서비스 제어 장치(S-CSCF)
510: 인터페이스 모듈 520: 저장 모듈
530: 제어 모듈 600: 홈 가입자 서버(HSS)
700: 어플리케이션 서버(AS)

Claims (7)

  1.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를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 장치가 다른 망을 통해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처리를 위한 서비스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서킷교환망을 통해 착신 사용자 장치와 호 연결 절차를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처리를 위한 서비스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고, 전송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장애 발생을 알리는 장애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어떤 메시지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처리를 위한 서비스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주기적으로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장애 여부를 질의하는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고, 전송된 장애 여부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장애 여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다음 주기가 도래하기 전 어떤 메시지도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처리를 위한 서비스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자체적으로 생성한 장애 발생을 알리는 장애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처리를 위한 서비스 제어 장치.
  6. 사용자 장치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장애가 있으면, 상기 사용자 장치가 다른 망으로 호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경로 변경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의 장애 처리를 위한 방법.
  7. 제6항에 따른 장애 처리를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111399A 2013-09-16 2013-09-16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31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399A KR20150031785A (ko) 2013-09-16 2013-09-16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399A KR20150031785A (ko) 2013-09-16 2013-09-16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785A true KR20150031785A (ko) 2015-03-25

Family

ID=5302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399A KR20150031785A (ko) 2013-09-16 2013-09-16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17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176B1 (ko) 사용자 엔티티들의 세트를 향한 통신들을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
US20060274701A1 (en) Means and method for notification
US7623522B2 (en) Method for requesting domain transfer and terminal and server thereof
US8831648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out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from a 2G network to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based network
CN101573996A (zh) 允许通过ussd消息经由cs接入进行ims服务的会话控制的方法和设备
EP3172880B1 (en) Method of and communications handl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ssion establishment in a multimedia communications network.
US952153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10200831B2 (en) Managing communications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KR10215034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8512022A (ja) メッセージングゲートウェイに関する改善
US20090310758A1 (en) Call routing
US11411899B2 (en) Routing parent and child device calls through a parent telephony application server
US201403249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mmunication
US20130151720A1 (en) Network entity and method for manag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communications towards a user entity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051023B1 (ko) 복수 pcrf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2953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호 변경 요청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49587B1 (ko) 착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31785A (ko) 발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9986392B1 (en) Deliver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s via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KR102049586B1 (ko) 착신망의 호 처리 기능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45210A (ko) 세션 처리 기능 장애 시 재등록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8320896B1 (en) Unified communication access system
KR20120053226A (ko) 무한 루핑 방지를 위한 세션 설정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0715599B1 (ko) Sip 기반 패킷 통신 망에서의 통화 불가 안내 방송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133358A1 (en) A system used during retrieval or transmission of short me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